KR101207787B1 - 양초 제조기구 - Google Patents

양초 제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787B1
KR101207787B1 KR1020120082295A KR20120082295A KR101207787B1 KR 101207787 B1 KR101207787 B1 KR 101207787B1 KR 1020120082295 A KR1020120082295 A KR 1020120082295A KR 20120082295 A KR20120082295 A KR 20120082295A KR 101207787 B1 KR101207787 B1 KR 101207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molding
pedestal
wick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준
Original Assignee
김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준 filed Critical 김호준
Priority to KR1020120082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2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 C11C5/023Apparatus for preparation thereof by casting or melting in a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받침대(100), 성형본체(200), 성형막을 포함하되, 받침대(100)는 바닥면에 놓여 성형본체(200)를 지지하고 양초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성형본체(200)는 상기 받침대(100)와 결합하여 양초의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성형막(300)은 상기 성형본체(2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양초의 냉각시 수축에 따른 오목한 부분을 채워주고 양초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초 제조기구{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ANDLE}
본 발명은, 받침대(100), 성형본체(200), 성형막을 포함하되, 받침대(100)는 바닥면에 놓여 성형본체(200)를 지지하고 양초의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성형본체(200)는 상기 받침대(100)와 결합하여 양초의 기둥을 형성하며, 상기 성형막(300)은 상기 성형본체(2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양초의 냉각시 수축에 따른 오목한 부분을 채워주고 양초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는 파라핀, 밀랍 등으로 된 고체 연료와 심지로 이루어진 광원 또는 연료를 말하는 것으로 서양식 초를 양초라고 말하며, 일반 가정용으로부터 종교용, 행사용, 예식용, 장식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양초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단면과 일정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심지를 포함한다. 양초의 바닥면은 양초를 세울 수 있도록 평평하고 상단면은 평평하거나 가운데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반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양초는 주성분인 파라핀과 그외 스테아린산, 응고제, 기타 색소, 향료로 구성된다.
파라핀(Paraffin)은 석유에서 얻어지는 반투명의 흰색 고체로 냄새가 없으며, 정제의 정도 및 성분 등에 의하여 녹는점이 다양하며 그 범위는 47~65℃이다. 순수한 파라핀보다는 동식물성 고체지방산 같은 것을 혼합하면 불이 더 맑고 깨끗하게 나온다고 알려져 있어서 양초를 만들 때 대략 20% 정도의 스테아린산을 혼합한다.
양초는 심지를 모양틀에 고정한 후에 용융상태의 파라핀, 스테아린산과 응고제를 붓고 기타 색소와 향료를 넣어 냉각시켜 만드는데, 일정한 형상의 양초를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해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단면을 가진 긴 길이의 양초를 일정길이만큼 절단한 후 상단면만 추후 형성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그런데 양초의 주성분인 파라핀은 냉각하면서 수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파라핀은 다른 원료와 달리 정제의 정도 및 성분에 따라 품종이 다양하기 때문에, 녹는점 및 냉각시 수축률 또한 품종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일정형상과 길이를 가지는 양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녹인 파라핀을 여러 번 부어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양초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원하는 형상의 양초를 손쉽게 만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양초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일 예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8-067323호에 양초 제조장치 및 그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용기에서 냉각되면서 성형되는 양초의 모양을 원하는 모양으로 형성시키는 성형기구를 구비한 양초 제조장치에 대한 것이다.
즉, 녹인 양초(30)를 소정 모양의 용기(21)에 부은 후 용기에 분리막(22)과 심지봉(23)으로 구성된 성형기구(24)를 담그고 냉각시킨다. 냉각된 양초는 용기(21)와 성형기구(24)로부터 분리되고 이때 양초가 냉각되면서 상부에 생기는 수축오목부(25)도 제거된다. 심지봉(23)에 의해 구성된 심지구멍에 심지를 고정하여 양초를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양초 제조장치는 냉각된 양초로부터 성형기구를 제거하는 과정과 성형기구로부터 수축오목부(25)를 제거하는 과정이 쉽지 않아 제거시 불량품이 생기기 쉽고, 만들어진 심지구멍에 심지를 추후에 삽입하는 일도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1-0018450호에는 장식용 양초와 그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이는 대형공간에서 사용되는 다각뿔 형태의 대형양초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심지(80)를 일단이 지면에 고정된 받침판(30)의 저면 중공관체(33)와 보강틀(90)의 심지 통과홀(32,92)을 통과하여 확장틀(50)의 상단부에 걸림되어 있는 록킹바(54)에 고정시킨 다음, 받침판의 중공관체(33)에 고무패킹(40)을 끼움 고정 시킨 후 확장틀(50)의 내부에 가열된 양초액을 주입 및 냉각시켜 양초를 제조한다.
그러나 상기 장식용 양초 제조금형은 보강틀(90)과 확장틀(50)의 연결부위가 그냥 얹어서 연결되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 확장틀(50)이 고정되기 힘들뿐만 아니라 녹은 양초를 부었을 때 녹은 양초가 연결부위에서 흘러나올 수 있고, 록킹바(54) 또한 확장틀(50) 위에 얹어지는 형식으로 되어있어 심지가 양초의 중앙에 오도록 고정하는 것도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양초가 냉각되면서 수축되기 때문에 일정한 형상의 양초를 만들기 위해 양초의 밑단을 일일이 평평하게 재가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양초가 냉각되면서 수축되어 형상이 달라지는 단점을 보완하여 어떤 품종의 양초 원료를 사용하여도 일정한 형상의 양초를 만들 수 있어 양초 제조공정을 간편하게 하고, 양초를 성형하는 기구로부터 양초의 제거가 용이하며, 원하는 형상의 양초를 편하게 만들 수 있는 양초 제조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양초는 바닥면까지 완전하게 태울 수 없기 때문에 태우고 남은 양초를 모아 재생양초를 만들 때 사용할 수 있는 양초 제조기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양초가 냉각되면서 수축되어 일정한 길이와 형상을 갖는 양초를 제조하기 어려운 점을 보완하여 일반양초 제조 및 재생양초 제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양초 제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양초 상면의 완성도를 높이고 받침대(100)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상면 형상을 가지는 양초를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초의 상면을 형성하는 틀을 받침대(100)에 형성하고 양초액을 주입하는 성형막(300)이 있는 부분이 양초의 바닥면이 되도록 하는 양초 제조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 놓여 성형본체(200)를 지지하고 양초의 상면을 형성하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와 결합하여 양초의 기둥을 형성하는 성형본체(200), 상기 성형본체(2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양초의 냉각시 수축에 따른 오목한 부분을 채워주고 양초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막(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100)는 오링을 이용하여 받침대(100)와 성형본체(200)의 조립시 생기는 틈을 밀봉하여 양초액이 새지 않도록 하며, 받침대(100)의 바닥에 바닥홈(160)을 형성하여 심지를 받침대(100)의 바깥쪽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여 받침대(1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받침대(100)는 내부에 양초상면 형성부(140)를 형성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상면에 따라 받침대(100)만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상면을 가지는 양초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성형막(300)은 상기 성형본체(200)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성형본체(200) 내부에 채워진 양초액이 냉각되면서 수축되어 성형본체(200)의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같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성형막(300)은 성형플랜지(310)와 심지가이드(330)로 구성되고 상기 성형플랜지(310)의 상면에는 양초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주입홀(320)을 형성하며 상기 주입홀(320)을 통해 주입홀(320) 위에 채워진 양초액이 성형본체(200) 내부에 채워진 양초액이 냉각되어 수축하면서 생기는 여러 개의 오목한 부분을 채워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성형플랜지(310)는 테프론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인 양초 제조기구는, 양초가 냉각되면서 수축되어 일정한 길이와 형상을 갖는 양초를 제조하기 어려운 점을 보완해주어 일반양초 제조 및 재생양초 제조에도 사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인 양초 제조기구는, 내부에 양초상면 형성부(140)를 포함한 받침대(100)를 형성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상면에 따라 받침대(100)만 교체함으로써 양초 상면의 완성도를 높이고 다양한 상면을 가지는 양초를 제작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예로서 양초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서 장식용 양초와 그 제조금형의 결합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분해 사시도(a)와 조립 사시도(b)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조립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받침대(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성형본체(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성형막(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심지 고정에 대한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분해 사시도(a)와 조립 사시도(b)를, 도 4 는 조립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는 크게 받침대(100), 성형본체(200), 성형막(30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는 양초가 냉각되면서 수축되어 일정한 길이와 형상을 갖는 양초를 제조하기 어려운 점을 보완해주어 일반양초 제조 및 재생양초 제조에도 사용할 수 있는 양초 제조기구로서, 양초의 상면을 형성하는 틀을 받침대(100)에 형성하고 양초액을 주입하는 성형막(300)이 있는 부분이 양초의 바닥면이 되도록 한다.
이는 양초 상면의 완성도를 높이고 받침대(100)만 변경함으로써 다양한 상면 형상을 가지는 양초를 만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를 이용하여 양초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심지(400)의 일단에 심지 고정기구(410)를 장착한다.
심지 고정기구(410)는 심지(400)를 양초 제조기구와 조립할 때 편리하게 심지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받침대(100)에 오링을 조립한 후 심지 고정기구(410)를 잡고 심지(400)를 받침대의 심지홀(150)을 통해 끼워넣는다.
성형본체(200) 내부에는 추후 생성된 양초가 잘 빠지게 하기 위해 이형제를 발라준다. 이형제가 없을 경우 이 과정은 생략이 가능하다. 심지홀(150)을 통과한 심지(400)를 성형본체(200) 내부를 통과시킨 후 받침대(100)와 성형본체(200)를 조립한다. 이때 심지(400)를 성형본체(200) 길이보다 길게 잡아당겨 심지가 받침대와 성형본체(200) 조립시 빠지지 않도록 한다.
받침대(100)와 성형본체(200)의 조립이 끝나면 심지 고정기구(410)를 잡고 성형막의 심지가이드(330)를 통과시킨 후 일정 길이만큼 잡아당긴다. 이때 성형막의 심지가이드(330)가 성형본체(200)를 향하도록 한다.
심지(400)가 통과된 성형막(300)을 성형본체(200)의 내부에 삽입한 후 만들고자 하는 양초의 길이에 맞도록 위치를 맞춘다.
성형막(300) 조립이 끝나면 심지(400)를 심지고정부(210)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받침대 아래쪽의 심지(400)를 잡아당겨 심지가 팽팽하게 되도록 한 뒤 받침대의 바닥홈(160)을 따라 심지(400)를 빼낸 후 양초 제조기구를 바닥 위에 세운다.
양초 제조기구의 조립이 끝나면 양초액을 성형막의 주입홀(320)을 통해 성형본체(200)내에 주입한다. 이때 양초액이 성형막(300)보다 5~10mm 정도 올라올 때까지 주입한 후 양초를 냉각시킨다.
양초액은 냉각되면서 수축되기 때문에 성형본체(200) 아래쪽으로 양초액이 서서히 줄어드는데, 이때 성형막(300)은 수축되는 양초액과 함께 성형본체(200) 아래쪽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된다.
또한 수축으로 인해 성형막(300) 아래에 맞닿는 양초의 면은 오목한 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성형막(300) 위에 있던 양초액이 주입홀(320)을 통해 오목한 부분을 채워 면을 평평하게 만들어준다.
양초가 완전히 냉각되면 심지를 심지고정부(210)로부터 분리한 후 성형막 (300), 성형본체(200), 받침대(100) 순으로 분리하고 양초 양단의 심지를 적당한 길이만큼 잘라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받침대(100)는 바닥면에 놓여 성형본체(200)를 지지하고, 내부는 양초의 상면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있어 양초의 상면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받침대(100)의 재질은 양초의 녹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하면서 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C Nylon을 사용하였다.
M.C Nylon(Mono Cast Nylon)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서 기계적 강도와 자기윤활성이 뛰어나고 고속회전 및 고온에서 연속사용이 가능하여 내열성 및 금속대체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M.C Nylon의 연속 사용온도는 120℃이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받침대(100)는 양초의 녹는점인 47~65℃ 이상에서 사용이 가능한 플라스틱류나 금속류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받침대(100)의 상단부에는 성형본체 연결홈(110)을 일정 길이만큼 형성하여 받침대(100)에 성형본체(200)가 끼워맞춤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성형본체 연결홈(110)은 성형본체(200) 외형과 같은 치수와 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받침대의 상단부에서 조금 내려온 위치에는 오링홈(120)을 형성한다.
오링홈을 형성하는 이유는 오링을 이용하여 받침대(100)와 성형본체(200)의 조립시 생기는 틈을 밀봉하여 양초액이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오링은 양초의 녹는점인 47~65℃ 이상에서 사용이 가능한 재질로 된 오링을 사용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BR 재질의 오링을 사용하였다.
성형본체 연결홈(110)의 아래쪽에는 성형본체 체결부(130)가 위치한다.
성형본체 체결부(130)의 위치는 성형본체(200)의 전체길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받침대(100)의 상단부에서 성형본체(200)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길이만큼 내려온 위치에 형성된다.
성형본체 체결부(130)의 아래쪽에는 양초의 상면과 같은 모양을 가진 가운데가 오목한 반원모양의 양초상면 형성부(140)가 위치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양초상면 형성부(140)는 반원모양뿐만 아니라 세모, 타원, 물결모양 등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상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다양한 양초상면 형성부(140)를 가진 받침대(100)를 여러 개 제작하여 받침대(100)만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상면을 가진 양초를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양초상면 형성부(140)의 중앙에는 심지홀(150)이 위치하는데 심지홀(150)은 심지 고정기구(410)가 통과할 수 있는 치수를 가지고 받침대(100)의 하단부까지 관통되어 있다.
받침대(100)의 하단에는 심지홀(150)에서 받침대(100)의 바깥쪽으로 바닥홈(160)을 형성한다. 바닥홈(160)은 심지홀(150)의 아래쪽에 위치한 심지(400)를 바닥홈(160)을 따라 받침대(100)의 바깥쪽으로 빼내어 받침대(1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바닥홈(160)의 형상은 사각형이나 반원모양, 꼬깔 모양 등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한 개 또는 그 이상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본체(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성형본체(200)는 받침대(100)와 결합하여 양초의 기둥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성형본체(200)는 원형 단면에 일정 길이와 일정 두께를 가지고 양단이 관통되어 있는 파이프 형태로 되어 있으며, 성형본체(200)의 내부는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외형과 같은 치수를 가지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성형본체(200)는 원형뿐만 아니라 사각형, 별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성형본체(200)의 재질은 양초의 녹는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사용이 가능하면서, 냉각된 양초를 쉽게 빼낼 수 있고 다양한 양초 형상을 만들 수 있도록 가공이 용이한 재질로 구성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알루미늄을 사용하였다.
알루미늄(Aluminium)은 가볍고 내구성이 크며 가공성이 우수하고 융점이 다른 금속에 비해 낮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의 모양을 성형할 수 있다.
성형본체(200)의 일단에는 내면 모따기를 하여 추후 성형막(300)과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성형본체(200)의 내부면은 매끄럽게 하여 양초의 외면이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성형본체(200) 일단의 내부에는 눈금을 표시한다.
눈금은 성형본체(200) 내부에 성형막(300)을 결합하였을 때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길이에 맞는 성형막(300)의 결합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표시하는 것으로,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높이와 양초액 냉각시 수축을 고려한 양초액 주입높이를 표시한다. 이때 눈금은 성형본체(200)의 일단에 형성된 모따기와 같은 쪽 단에 표시한다.
성형본체(200) 일단에는 받침대(100)와 성형막(300)을 통해 설치된 심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심지고정부(210)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심지고정부(210)는 성형본체(200) 내부에 형성된 눈금과 같은 쪽에 위치한다. 심지고정부(210)는 심지를 세네 번 정도 감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심지고정부(210)의 한쪽 면에는 힌지(230)와 고정판(220)을 형성하여, 심지고정부(210)를 통해 심지를 세, 네 번 돌려 감은 후 힌지(230)에 고정된 고정판(220)을 이용하여 심지를 고정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심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힌지(230)와 고정판(220)뿐만 아니라 클립이나 핀 등을 이용한 고정기구를 하나 이상 설치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성형막(3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성형막(300)은 성형본체(2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양초액의 냉각시 수축에 따라 발생하는 오목한 부분을 채워주고 양초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성형플랜지(310)와 심지가이드(33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성형막(300)은 심지가이드(330)가 있는 쪽이 성형본체(200) 내부에 들어가도록 결합하고, 심지가이드(330)가 있는 쪽의 성형플랜지(310)와 맞닿는 면이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바닥면 모양을 형성한다.
성형본체(200) 내부에 채워진 양초액은 냉각되면서 수축되기 때문에 성형본체(200)의 아래쪽으로 서서히 줄어들게 된다. 이때 수축되는 양초액과 함께 성형막(300)이 성형본체(200) 아래쪽으로 같이 움직여서,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양초액이 수축하면서 성형막(300) 아래에 맞닿는 면에는 여러 개의 오목한 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이때 성형막(300) 위에 있던 양초액이 주입홀(320)을 통해 오목한 부분을 채워주게 되어 면이 평평해지도록 해 준다.
성형플랜지(310)는 성형본체(200)의 내부와 동일한 형상과 치수를 가지고 일정 두께를 가진다.
이때 성형플랜지(310)의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에는 성형막을 성형본체에 결합시 성형막이 비뚤어져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성형플랜지(310)의 외부 두께는 두껍고 내부로 갈수록 얇아지게끔 라운드 처리하거나 비스듬하게 처리할 수 있다.
성형플랜지(310)의 상면에는 양초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주입홀(320)을 형성한다. 또한 성형플랜지(310)의 중앙에는 탭을 형성하여 심지가이드(33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성형플랜지의 주입홀(320)은 양초액이 냉각되면서 수축에 의해 생기는 양초의 오목한 부분을 채워줄 수 있도록 여러 개로 형성한다. 또한 양초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만들어 줘야 하기 때문에 주입홀(320)이 너무 크지 않도록 한다.
성형플랜지(310)의 재질은 양초액의 수축과 함께 성형본체(200) 내부에서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테프론을 사용한다.
테프론(Teflon)은 듀폰사가 개발한 불소수지로서 비점착성이 있어 테프론이 코팅된 표면 위에는 거의 모든 물질이 달라붙지 않는 재질로서 성형본체(200) 내부에서 양초액의 수축과 함께 미세하게 이동하는 성형플랜지(310)에 적합한 재질이다.
심지가이드(330)는 성형본체(200)를 통과한 심지가 양초의 중앙에 올 수 있도록 위치를 잡아주고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바닥면 중앙의 모양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를 이용하여 양초를 제조하게 되면 양초의 바닥면에는 심지가이드 형상대로 홀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 홀을 이용하여 양초꽂이에 양초를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심지가이드(330)는 일정 두께를 가지고 내부가 비어있는 튜브 형상으로 일단은 작은 직경을 가지고 타단은 큰 직경을 가진 꼬깔 모양으로 형성한다.
작은 직경을 가진 단은 심지(400)와 심지 고정기구(410)가 통과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이때 크기가 너무 클 경우에는 심지가 양초의 중앙에 위치하지 않고 비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심지와 심지 고정기구(410)가 통과할 정도의 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큰 직경을 가진 단의 외경에는 성형플랜지(310)와 결합할 수 있도록 탭을 형성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심지가이드(330)는 꼬깔 모양 뿐만 아니라 직선모양, 물결모양 등으로 형성하여 양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홀의 모양을 다양하게 제작하여 디자인적 요소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설계조건에 따라서, 성형막(300)을 심지가이드(330) 없이 성형플랜지(310)로만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성형플랜지(310) 중앙에 형성된 탭을 제거하고, 심지(400)와 심지 고정기구(410)가 통과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진 홀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심지 고정기구(410)는 심지의 일단에 장착하여 심지(400)를 받침대(100)와 성형막(300)에 조립할 때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심지 고정기구(410)는 튜브형상으로 되어 있어 심지 고정기구(400)의 내부에 심지를 일정길이 끼워넣은 후 공구를 사용하여 눌러서 심지를 물려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심지 고정기구(410)는 클립형, 핀형 등 여러 타입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일회성으로 사용하게 하거나, 여러 번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초 제조기구의 심지 고정에 대한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심지 고정기구(410)를 사용하는 대신 심지(400)의 일단에 실(420)을 끼운 바늘을 관통시켜 심지(400)와 실(420)이 연결된 부위를 매듭을 짓고, 실(420)을 양쪽으로 잡아당겨 심지(400)의 위치를 잡아준 후 실(420)을 심지고정부(21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에서 도 3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3 내지 도 8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0: 받침대
110: 성형본체 연결홈
120: 오링홈
130: 성형본체 체결부
140: 양초상면 형성부
150: 심지홀
160: 바닥홈
200: 성형본체
210: 심지고정부
220: 고정판
230: 힌지
300: 성형막
310: 성형플랜지
320: 주입홀
330: 심지가이드
400: 심지
410: 심지 고정기구
420: 실

Claims (6)

  1. 바닥면에 놓여 성형본체(200)를 지지하고 양초의 상면을 형성하는 받침대(100);
    상기 받침대(100)와 결합하여 양초의 기둥을 형성하는 성형본체(200);
    상기 성형본체(2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양초의 냉각시 수축에 따른 오목한 부분을 채워주고 양초의 바닥면을 수평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막(300);을 포함하되
    상기 성형막(300)은 성형플랜지(310)와 심지가이드(330)로 구성되고,
    상기 성형플랜지(310)의 상면에는 양초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주입홀(320)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홀(320)을 통해 주입홀(320) 위에 채워진 양초액이 성형본체(200) 내부에 채워진 양초액이 냉각되어 수축하면서 생기는 여러 개의 오목한 부분을 채워주게 되며,
    상기 성형막(300)은 성형본체(200) 내부에 채워진 양초액이 냉각되면서 수축되어 성형본체(200)의 아래쪽으로 이동할 때 같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는 오링을 이용하여 받침대(100)와 성형본체(200)의 조립시 생기는 틈을 밀봉하여 양초액이 새지 않도록 하며,
    받침대(100)의 바닥에 바닥홈(160)을 형성하여 심지를 받침대(100)의 바깥쪽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여 받침대(100)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는 내부에 양초상면 형성부(140)를 형성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양초의 상면에 따라 받침대(100)만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상면을 가지는 양초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플랜지(310)는 테프론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 제조기구.
KR1020120082295A 2012-07-27 2012-07-27 양초 제조기구 KR101207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295A KR101207787B1 (ko) 2012-07-27 2012-07-27 양초 제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295A KR101207787B1 (ko) 2012-07-27 2012-07-27 양초 제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787B1 true KR101207787B1 (ko) 2012-12-07

Family

ID=47906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295A KR101207787B1 (ko) 2012-07-27 2012-07-27 양초 제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7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070A (ko) * 2020-02-07 2021-08-18 김경태 연소과정 중 그을음이 없이 은은한 향을 발생하는 양초 및 그 이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5015A (ja) 2009-02-12 2010-08-26 Ashibe Kogei:Kk ろうそくおよびろうそく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5015A (ja) 2009-02-12 2010-08-26 Ashibe Kogei:Kk ろうそくおよびろうそく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070A (ko) * 2020-02-07 2021-08-18 김경태 연소과정 중 그을음이 없이 은은한 향을 발생하는 양초 및 그 이용방법
KR102403396B1 (ko) 2020-02-07 2022-05-27 김경태 연소과정 중 그을음이 없이 은은한 향을 발생하는 양초 및 그 이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787B1 (ko) 양초 제조기구
FR2358250A1 (fr) Procede de production d'objets a ames internes moules en matiere plastique
JP2005195540A (ja) シースフローセルキュベ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RU2012134267A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бетон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тонного элемента
MX2014003391A (es)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tubos revestidos con un revestimiento interior.
JP2012020579A (ja) 有孔中空管の製造方法および有孔中空管製造用型枠
KR100944249B1 (ko) 중공원통형 사출물 성형용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출물의 제조방법
US7981345B2 (en) Fabrication method of products with closed micro-channels by injection molding
CN211415975U (zh) 一种用于密封和隔离的硅橡胶灌封模具
CN105587965A (zh) 一种密封件及其与管子的密封方法
US2013030716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optical element
CN205202152U (zh) 一体式加热冷却钢塑复合管管端封口机构的防料溢出结构
CN105593355A (zh) 液体蜡烛系统
CN203060290U (zh) 一种针灸针
CN207495928U (zh) 一种吊瓶注塑模具
KR101489368B1 (ko) 강화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 양초성형겹관금형
CN213321372U (zh) 一种led灯具注塑模具
US8216494B2 (en) Method for making mold
JP6320449B2 (ja) 繊維強化樹脂成形品の圧縮成形方法および金型
KR101576642B1 (ko) 양초 제조방법
JP2015124845A (ja) パイプ状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8629808U (zh) 一种封闭套塑胶模具
CN212736898U (zh) 一种imd定位模具
JP2007083535A (ja) ウォームギア用金型
KR102193991B1 (ko) 내부가 구획된 파이프의 성형장치 및 성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