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6307B1 -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6307B1
KR101206307B1 KR1020110008543A KR20110008543A KR101206307B1 KR 101206307 B1 KR101206307 B1 KR 101206307B1 KR 1020110008543 A KR1020110008543 A KR 1020110008543A KR 20110008543 A KR20110008543 A KR 20110008543A KR 101206307 B1 KR101206307 B1 KR 101206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st agent
unit
ray
injection
contr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7389A (ko
Inventor
김종효
Original Assignee
김종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효 filed Critical 김종효
Priority to KR1020110008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307B1/ko
Publication of KR2012008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영제 주입과 동시에 X선을 조사하여 조영제의 누출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영제 모니터링 영상을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도 조영제 주입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는, 피검체에 조영제를 주입하는 조영제주입부와 상기 피검체에 조영제가 주입되는 부위에 X선을 조사하여 그 부위의 X선 투과상을 촬상하는 X선투시부 및 상기 조영제주입부 및 상기 X선투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조영제 누출시 내주 조직에 침투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조영제 누출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Apparatus for testing leaks of contrast media}
본 발명은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영제 주입과 동시에 X선을 조사하여 조영제의 누출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조영제 모니터링 영상을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도 조영제 주입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단층(CT - Computed Tomography)나 자기공명영상(MRI - Magnetic Resonance Imaging) 영상검사에서 환자에게 조영제(contrast media) 주사를 주고 영상 검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조영제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이나 컴퓨터 단층(CT) 촬영과 같은 방사선 검사 때에 조직이나 혈관을 잘 볼 수 있도록 각 조직의 X선 흡수차를 인위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영상의 대조도를 크게 해주는 약품이다. 따라서, 종양 등과 같이 모세혈관분포가 증가하는 병변일 경우 조영제를 주입하면 그 모세혈관의 대조도가 매우 향상되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증가시켜줄 수 있다.
그런데, 조영제 주입시 수십cc 이상이 되는 대량의 조영제를 짧은 시간에 환자의 손등이나 팔에 있는 정맥으로 주입해야 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혈관에서 조영제가 누출되어 근육 등의 조직에 침투할 위험이 있다. 그렇게 되면 환자에게 염증 반응과 통증 등이 유발되어 신속한 처치를 해야 하므로 조영제 주입시에는 누출 여부를 면밀히 감시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조영제 주입 과정에서 주입 부위가 과다하게 부풀어 오르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만 가지고는 조영제가 내부 조직에 침투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조영제 주입과 동시에 X선을 조사하여 조영제의 누출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영제 모니터링 영상을 실시간으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도 조영제 주입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는, 피검체에 조영제를 주입하는 조영제주입부와 상기 피검체에 조영제가 주입되는 부위에 X선을 조사하여 그 부위의 X선 투과상을 촬상하는 X선투시부 및 상기 조영제주입부 및 상기 X선투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영제주입부와 상기 X선투시부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X선투시부는 상기 피검체에 X선을 조사하는 X선조사부와 상기 X선조사부의 X선 투과상을 촬상하는 받침대 형상의 X선검출부 및 상기 X선검출부에 상기 피검체를 고정시키는 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X선검출부는 형광판(Fluorescent plate/Scintillator), 광증폭관(Intensifying Tube), 고감도 CMOS/CCD 카메라 및 직접방식 X선 검출기(Direct-type X-ray Det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는 상기 X선투시부의 X선 투과상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디지털 감산 조영술(DSA - Digital Substraction Angiography) 또는 이중에너지 감산 영상법(Dual Energy Substraction Imaging)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는 미리 설정된 전송방식에 따라 미리 등록된 외부 장치에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는 혈관을 포함한 상기 피검체의 조직 부위를 인식하는 부위인식부 및 상기 부위인식부를 이용하여 조영제의 누출이 확인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위인식부는 구조필터기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경고음발생부가 동작하는 경우에, 조영제가 주입된 부분의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색상 또는 모양으로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경고음발생부가 동작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호출번호로 의료담당자를 호출하거나, 미리 설정된 의료담당자의 휴대번호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는 상기 조영제주입부에서 조영제의 주입이 시작되는 경우에 조영제의 주입을 알리는 주입신호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에 의하면,
첫째, 조영제 누출시 내부 조직에 침투하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조영제 누출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X선투시부와 조영제주입부를 동기화하여 작동되게 함으로써, 조영제 주입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촬영이 시작되고, 주입이 끝나면 자동으로 촬영이 종료되어 과다한 X선 노출을 방지하고 작동을 자동화할 수 있다.
셋째, X선투시부를 피검체 받침대 형태로 제작하여 CT/MRI 장비 등의 갠트리(gantry) 입구에 부착할 수 있어 CT/MRI 장비 등의 촬영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조영제가 주입되는 영상을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 담당자가 환자 곁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조영제 주입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다섯째, 조영제가 누출되는 경우에 주의를 환기시키는 경고음을 발생하거나, 의료 담당자에게 메시지를 보냄으로써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여섯째, 혈관 및 그 외 부위를 인식할 수 있는 부위인식부를 이용하여 조영제 누출 여부를 판단하므로 지능적으로 조영제 주입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조영제주입부의 실시예로서 조영제자동주입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로, 도 1을 참조하여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는 조영제주입부(100), X선투시부(200), 제어부(300), 주입신호알림부(400), 부위인식부(500), 경고음발생부(600), 데이터처리부(700), 전송부(800), 사용자인터페이스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영제주입부(100)는 피검체에 조영제를 주입한다. 인간의 손에 의하여 조영제를 주입할 수 있는 압력은 20 내지 150 PSI로서 한계가 있으며 정확한 시간에 정량을 주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 정기적으로 주사기의 내관을 압축시킴으로써 일정 시간에 일정량의 조영제를 검사 부위에 정확히 주사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분할하여 주사할 수 있는 주입기가 개발되었다. 따라서, 상기 조영제주입부(100)는 조영제를 주사할 수 있는 주사기 등도 가능하지만, 하기에서 설명할 제어부(3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어야 하므로, 조영제를 자동으로 주입할 수 있는 장치인 조영제자동주입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내지 도 2b는 상기 조영제주입부(100)의 실시예로서 조영제자동주입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X선투시부(200)는 상기 피검체에 조영제가 주입되는 부위에 X선을 조사하여 그 부위의 X선 투과상을 촬상하며, 상기 피검체에 X선을 조사하는 X선조사부(210), 상기 X선조사부(210)의 X선 투과상을 촬상하는 받침대 형상의 X선검출부(230) 및 상기 X선검출부(230)에 상기 피검체를 고정시키는 밴드부(25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CT 또는 MRI 장비에 환자가 누워서 조영제를 맞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팔 받침대 형태로 X선검출부(230)를 제작하고, 환자의 팔을 받침대 형태의 X선검출부(230)에 고정시키는 밴드부(250)가 부착되며, X선조사부(210)는 팔 위쪽으로 위치되면서 CT 및 MRI 장비 갠트리(gantry) 입구에 위치시킬 수 있게 하여 촬영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X선검출부(230)는 실시간으로 X선을 관찰할 수 있으면서 극소량의 X선만으로도 내부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고감도의 검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X선을 빛으로 변환하는 형광판(Fluorescent plate/Scintillator), 광증폭관(Intensifying Tube), 고감도 CMOS/CCD 카메라 및 직접방식 X선 검출기(Direct-type X-ray Det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조영제주입부(100)와 상기 X선투시부(200)를 제어하고 동기화시킨다. 조영제가 누출되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조영제가 주입하는 것과 동시에 그 진행상황을 볼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X선투시부(200)를 상기 조영제주입부(100)와 동기화하여 작동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동기화함으로써, 조영제 주입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촬영이 시작되고, 주입이 끝나면 자동으로 촬영이 종료되며, 그에 따라 필요없는 과다 X선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작동을 자동화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처리부(700)는 상기 X선투시부(200)의 X선 투과상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이때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디지털 감산 조영술(DSA - Digital Substraction Angiography) 또는 이중에너지 감산 영상법(Dual Energy Substraction Imaging)을 이용할 수 있다.
디지털 감산 조영술은 혈관조영술의 한 방법으로 우선 혈관 조영을 할 부분의 단순 촬영을 실시하고 다음에 혈관 조영을 한다. 그렇게 하여 두 가지 촬영의 정보를 컴퓨터에 입력시켜 두 번째 촬영의 정보에서 첫 번째 촬영의 정보를 뺀다. 그러면 혈관만 깨끗이 조영되고 나머지 부분의 영상이 없어진 것이 나오게 되는데, 이처럼 혈관 부분의 영상을 더욱더 선명히 얻는 것을 디지털 감산이라고 한다.
상기 주입신호알림부(400)는 상기 조영제주입부(100)에서 조영제의 주입이 시작되는 경우에 조영제의 주입을 알리는 주입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에서 디지털 감산 조영술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X선투시부(200)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상기 주입신호를 받는 즉시 촬영을 하고 상기 데이터처리부(700)는 조영제 주입 전의 마스크 영상을 생성한다. 그 이후부터 상기 X선투시부(2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얻는 영상은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에 의해 마스크 영상과의 차이 성분만이 디스플레이되고, 그에 따라 조영제 주입에 의해 추가적으로 발생되는 신호만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입신호알림부(400)는 의료 담당자가 다른 진료를 하고 있을 경우에도 조영제 주입이 시작됨을 알려주기 위해 미리 저장된 의료 담당자의 핸드폰 또는 호출기로 호출을 하거나 컴퓨터 화면에 팝업(pop-up) 창 형태로 주의를 환기시키는 형태로 주입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중에너지 감산 영상법은 에너지 대역이 다른 X선을 순차적으로 조사하여 고에너지 및 저에너지 X선 영상을 얻고, 상기 획득한 두 X선 영상으로부터 뼈와 연부 조직의 X선 감쇠 특성 차이를 이용하여 뼈나 연부 조직만의 X선 흡수효과를 선택하여 제거하는 기술로, 기준 마스크 영상이 없을 경우에도 인체부위에 대한 감산촬영 영상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에서 이중에너지 감산 영상법을 적용하는 경우, 실시간으로 저에너지 X선 영상과 고에너지 X선 영상을 번갈아 얻어 조영제 원료 물질 성분만을 추출하여 영상을 만들어 표시한다. 이 경우, 마스크 영상이 없는 경우에도 조영제의 원료인 요오드(I)가 지니는 X선 에너지 스펙트럼에 대한 감쇠특성만을 추출하여 영상화할 수 있으므로, 마스크 영상의 생성이 잘못되거나 환자의 움직임을 이유로 디지털 감산 조영술이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경우에도 조영제 성분의 주입에 따른 혈관 및 주변 조직의 반응 과정을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송부(800)는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전송방식에 따라 미리 등록된 외부 장치에 전송하는데, 상기 외부 장치는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의료장치, PACS(Picture Arching Communication System)의 서버 또는 담당 의료진의 스마트폰을 포함한 휴대 단말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영제주입부(100)에서 조영제의 주입이 시작되면 미리 저장된 전화번호로 영상 통화를 발신하여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조영제 모니터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여 의료 담당자가 촬영실에 있지 않은 경우에도 조영제 주입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송부(800)는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 의료기록 저장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써 추후 병원정보시스템을 통하여 의무기록으로 활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부위인식부(500)는 혈관을 포함한 상기 피검체의 조직 부위를 인식하고, 상기 경고음발생부(600)는 상기 부위인식부(500)를 이용하여 조영제의 누출이 확인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부위인식부(500)에서 혈관을 감지하는 방법으로는 혈관이 관 형태로 생긴 점을 이용하여 조영제에 의한 강한 음영이 관 형태의 구조에 국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영상에서 관 형태의 신호를 검출하는 기법으로는 기존에 제안된 여러 가지 구조필터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필터기법의 예로서, 혈관에서는 영상 신호의 수직, 수평축 방향으로 미분치를 구했을 때, 그 미분치가 가리키는 벡터 방향으로 신호 변화 프로파일을 구하면, 최고 값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 내에서 좌우 대칭인 곡선모양을 나타낸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혈관과 여타 구조 사이의 구분이 가능하다. 이러한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함으로써 지능적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처리부(700)는 상기 경고음발생부(600)가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조영제가 주입된 부분의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색상 또는 모양으로 표시함으로써, 조영제의 누출이 의심되는 영역을 컬러화 또는 강조화하여 의료 담당자가 조영제의 누출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부(800)는 상기 경고음발생부(600)가 동작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호출번호로 의료 담당자를 호출하거나, 미리 설정된 의료 담당자의 휴대번호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의료 담당자가 조영제의 누출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경고음발생부(600)가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조영제주입부(100)가 조영제 주입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90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술한 의료 담당자의 연락처 등록, 메뉴 설정 등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야 하는 사항에 대한 입력수단 및 상기 데이터처리부(700)의 데이터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입력수단은 마우스, 키보드, 터치패드 등이 될 수 있으며, 출력수단은 모니터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방법의 흐름도로, 도 3을 참조하여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피검체에 조영제를 주입하면(S10), 조영제 주입신호를 발생시키고(S20), 상기 주입신호에 따라 조영제 주입과 동기화시켜 X선을 투시하여 영상 데이터를 획득한다(S30). 상기 획득한 데이터를 디지털 감산 조영술 또는 이중데이터 감산 영상법을 통하여 데이터 처리를 하고(S40), 미리 설정된 전송방식에 따라 사전에 등록된 외부 장치에 처리 결과를 전송하여 외부에서 실시간으로 조영제 주입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특히 피검체의 조직 부위를 인식(S50)하여 조영제의 누출 여부를 확인한다(S60).
이때 조영제가 누출된 경우에 조영제의 누출을 알리는 경고음을 발생시키고(S70). 의료 담당자를 호출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형식 등을 통하여 외부에 조영제 누출 사실을 알린다(S80). 그러나 조영제가 누출되지 않았다면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S90)로 전송하여 추후 의무기록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조영제가 누출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 이전에도 X선 투시에 의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여 조영제 투입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조영제주입부 200 X선투시부
210 X선조사부 230 X선검출부
250 밴드부
300 제어부 400 주입신호알림부
500 부위인식부 600 경고음발생부
700 데이터처리부 800 전송부
900 사용자인터페이스부

Claims (12)

  1. 피검체에 조영제를 주입하는 조영제주입부;
    상기 피검체에 조영제가 주입되는 부위에 상기 조영제의 주입과 동시에 X선을 조사하여 그 부위의 X선 투과상을 촬상하는 X선투시부; 및
    상기 조영제주입부 및 상기 X선투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영제주입부와 상기 X선투시부를 동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선투시부는,
    상기 피검체에 X선을 조사하는 X선조사부;
    상기 X선조사부의 X선 투과상을 촬상하는 받침대 형상의 X선검출부; 및
    상기 X선검출부에 상기 피검체를 고정시키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X선검출부는,
    형광판(Fluorescent plate/Scintillator), 광증폭관(Intensifying Tube), 고감도 CMOS/CCD 카메라 및 직접방식 X선 검출기(Direct-type X-ray Detector)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X선투시부의 X선 투과상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디지털 감산 조영술(DSA - Digital Substraction Angiography) 또는 이중에너지 감산 영상법(Dual Energy Substraction Imaging)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미리 설정된 전송방식에 따라 미리 등록된 외부 장치에 상기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혈관을 포함한 상기 피검체의 조직 부위를 인식하는 부위인식부; 및
    상기 부위인식부를 이용하여 조영제의 누출이 확인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음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위인식부는,
    구조필터기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처리부는,
    상기 경고음발생부가 동작하는 경우에, 조영제가 주입된 부분의 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색상 또는 모양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경고음발생부가 동작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호출번호로 의료담당자를 호출하거나, 미리 설정된 의료담당자의 휴대번호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영제주입부에서 조영제의 주입이 시작되는 경우에 조영제의 주입을 알리는 주입신호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KR1020110008543A 2011-01-28 2011-01-28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KR101206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543A KR101206307B1 (ko) 2011-01-28 2011-01-28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543A KR101206307B1 (ko) 2011-01-28 2011-01-28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89A KR20120087389A (ko) 2012-08-07
KR101206307B1 true KR101206307B1 (ko) 2012-11-29

Family

ID=4687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543A KR101206307B1 (ko) 2011-01-28 2011-01-28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3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6203B2 (en) 2015-10-08 2020-05-12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diagnosis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ntrast enhanced ultrasound image
KR102298649B1 (ko) 2020-09-07 2021-09-03 임태호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0748B (zh) * 2019-11-06 2022-02-11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监测对比剂外渗的报警控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349A (ja) 2002-01-30 2003-10-14 Nemoto Kyorindo:Kk Mri対応注入装置
JP2004194802A (ja) 2002-12-17 2004-07-15 Nemoto Kyorindo:Kk 漏出検出装置および方法
WO2008099876A1 (ja) * 2007-02-16 2008-08-21 Nemoto Kyorindo Co., Ltd. 薬液注入装置およびct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0349A (ja) 2002-01-30 2003-10-14 Nemoto Kyorindo:Kk Mri対応注入装置
JP2004194802A (ja) 2002-12-17 2004-07-15 Nemoto Kyorindo:Kk 漏出検出装置および方法
WO2008099876A1 (ja) * 2007-02-16 2008-08-21 Nemoto Kyorindo Co., Ltd. 薬液注入装置およびct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6203B2 (en) 2015-10-08 2020-05-12 Samsung Medison Co., Ltd. Ultrasound diagnosis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contrast enhanced ultrasound image
KR102298649B1 (ko) 2020-09-07 2021-09-03 임태호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389A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8275B2 (ja) 放射線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方法、並びに放射線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2010264185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2008228992A (ja) X線診断システム
KR20050037338A (ko) 의료용 화상 진단 장치
KR102367133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KR102393294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4113779A (ja) X線ct装置及びct値計測方法
KR20160139294A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장치를 위한 방법
WO2012099222A1 (ja) X線診断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206307B1 (ko)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KR102379067B1 (ko) 의료 영상 장치 및 의료 영상 처리 방법
US10631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ast-enhanced spectral mammography programmed sequences
JP4313977B2 (ja) 検査室の被検体観察装置
JP5697422B2 (ja) X線診断装置
JP2010233965A (ja) 医用診断装置
JP6381966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
JP4695698B2 (ja) 診断装置
JP2013236960A (ja) 医用画像診断装置
US20150230769A1 (en) Image diagnosis apparatus, contrast agent injector, contrast enhanced imaging aiding apparatus, and image diagnosis system
JP202107423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5591963B2 (ja) X線診断装置
JP2011161091A (ja) X線診断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x線診断システム
JP2012070890A (ja) X線ct装置
JP4718793B2 (ja) Mri装置
JP2022023795A (ja) 医用画像診断装置およ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