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649B1 -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649B1
KR102298649B1 KR1020200114059A KR20200114059A KR102298649B1 KR 102298649 B1 KR102298649 B1 KR 102298649B1 KR 1020200114059 A KR1020200114059 A KR 1020200114059A KR 20200114059 A KR20200114059 A KR 20200114059A KR 102298649 B1 KR102298649 B1 KR 102298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etal part
sensor unit
blood vesse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호
Original Assignee
임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호 filed Critical 임태호
Priority to KR1020200114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31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 A61M5/16836Monitoring, detecting, signalling or eliminating infusion flow anomalies by sensing tissue properties at the infusion site, e.g. for detecting in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1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the use of contrast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4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lood vessels, e.g. by angi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72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 A61M5/1723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 A61M2005/1726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electrical or electronic using feedback of body parameters, e.g. blood-sugar, pressure the body parameters being measured at, or proximate to, the infusion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iabet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는, 약물이 투입되는 환자의 혈관 부위를 덮는 피부 접촉 패치의 상태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혈관으로 전달되는 약물을 차단시키면서 동시에 약물주입장치에서 기배출된 약물을 주변의 팩으로 회수시키는 밸브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Device for Detecting Leak of Drug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령 조영제 등의 약물이 투입되는 환자의 혈관 주변에 혈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조영제 등의 혈관 외 약물 유출을 감지할 수 있는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단층(CT: Computed Tomography)이나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영상검사에서 환자에게 조영제(contrast media) 주사를 주고 영상 검사를 하는 경우가 많다. 조영제는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이나 컴퓨터 단층(CT) 촬영과 같은 방사선 검사 때에 조직이나 혈관을 잘 볼 수 있도록 각 조직의 X선 흡수차를 인위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영상의 대조도를 크게 해주는 약품이다. 따라서, 종양 등과 같이 모세혈관분포가 증가하는 병변일 경우 조영제를 주입하면 그 모세혈관의 대조도가 매우 향상되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증가시켜줄 수 있다.
그런데, 조영제 주입시 수십cc 이상이 되는 대량의 조영제를 짧은 시간에 환자의 손등이나 팔에 있는 정맥으로 주입해야 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혈관에서 조영제가 누출되어 근육 등의 조직에 침투할 위험이 있다. 그렇게 되면 환자에게 염증 반응과 통증 등이 유발되어 신속한 처치를 해야 하므로 조영제 주입시에는 누출 여부를 면밀히 감시할 필요가 있다.
물론 기존에는 조영제 주입 과정에서 주입 부위가 과다하게 부풀어 오르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조영제가 내부 조직에 침투하였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조영제는 CT, MRI 등 진단 촬영시 음영을 강화해 조직과 혈관의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문 의약품이지만 혈관 내벽이 약한 사람,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 조영제가 혈관 외로 유출되는 사고로 이어져 피부 괴사, 아나필락시스 쇼크 등의 심각한 중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05000호(2006.07.1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7478호(2013.08.0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6307호(2012.11.23)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6541호(2015.09.22)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조영제 등의 약물이 투입되는 환자의 혈관 주변에 혈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여 조영제 등의 혈관 외 약물 유출을 감지할 수 있는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는, 약물이 투입되는 환자의 혈관 부위를 덮는 피부 접촉 패치(patch)의 상태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혈관으로 전달되는 약물을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차단시키면서 동시에 약물주입장치에서 기배출된 약물을 주변의 팩(pack)으로 회수시키는 밸브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부 접촉 패치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금속부, 및 상기 절취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금속부와 일부가 중첩되어 전기적으로 도통하며, 상기 혈관 부위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절취선의 상태가 변화하여 상기 제1 금속부와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제2 금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금속부와 상기 제2 금속부는 각각 구리막(copper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부와 상기 제2 금속부는 면적 및 모양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2 금속부의 면적이 상기 제1 금속부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약물을 주입하고 회수하는 관로를 변경시키는 밸브,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밸브의 관로 변경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물 유출감지장치는, 스위칭소자로서 동작하는 상기 센서부의 전기적 단락시 상기 약물주입장치의 관리자에게 상태를 알리는 LED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의 구동방법은, 센서부가, 약물이 투입되는 환자의 혈관 부위를 덮는 피부 접촉 패치의 상태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밸브장치가, 상기 혈관으로 전달되는 약물을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차단시키면서 동시에 약물주입장치에서 기배출된 약물을 주변의 팩으로 회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령 조영제 등을 혈관 외 유출을 즉시 감지하여 혈관 내 추가 주입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 소비자원의 소비자 위해(危害) 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조영제 위해 사례 신고 건수는 해마다 늘어가고 있으며 신고되는 심각한 위해 사례를 제외하더라도 조영제 혈관 외 유출량에 따라 추후 재검사까지의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 멍 등의 환자 불만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센서부의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밸브장치를 소자 기호로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약물 유출감지장치의 실험 예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약물 유출감지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0017]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센서부의 구성 및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밸브장치를 소자 기호로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도 1의 약물 유출감지장치의 실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시스템(90)은 약물주입장치(100) 및 약물 유출감지장치(110 ~ 16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약물주입장치(100)가 생략되어 약물 유출감지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약물 유출감지장치(110 ~ 160)의 구성요소 일부가 약물주입장치(10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주입장치(100)는 CT나 MRI 영상검사에서 환자에게 조영제를 주입하는 조영제 주입 장치를 포함한다. 조영제는 MRI 촬영이나 CT 촬영과 같은 방사선 검사 때에 조직이나 혈관을 잘 볼 수 있도록 각 조직의 X선 흡수차를 인위적으로 크게 해 영상의 대조도를 크게 해주는 약품이다. 따라서 종양 등과 같이 모세혈관분포가 증가하는 병변일 경우 조영제를 주입하면 그 모세혈관의 대조도가 매우 향상되므로 진단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조영제 등을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하는 약물주입장치(100)는 CT, MRI 촬영장에서 조영제 주입을 관제하는 통제실에서 통제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통상 통제실까지는 물리적 거리가 존재한다. 약물주입장치(100)에서 조영제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연결되는 튜브는 밸브장치(11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밸브장치(110)는 약물주입장치(100)의 배출구에 바로 체결되는 경우 튜브가 생략될 수 있다.
조영제 주입 장치로서 약물주입장치(100)는 최고 사용압력이 가령 320psi(2.2Mpa)에 해당할 수 있고, 중간값은 200psi(1.38Mpa) 정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CT, MRI 촬영시 조영제 주입 압력은 혈관으로의 원활한 주입을 위해 최고압력으로 주입을 하는 경우가 상당 부분이며, 혈관 외 유출을 우려하는 병원에서는 중간 값으로 주입을 한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2>는 최고 사용압력에서의 초당 주입량(Q) 및 혈관 외 유출 발생후 5초간 지속 주입시의 주입량을 보여주며, <수학식 3> 및 <수학식 4>는 중간값에서의 초당 주입량 및 혈관 외 유출 발생후 5초간 지속 주입시의 주입량을 각각 보여준다.
Figure 112020094619308-pat00001
Figure 112020094619308-pat00002
Figure 112020094619308-pat00003
Figure 112020094619308-pat00004
CT, MRI 촬영장에서 조영제 주입을 관제하는 통제실까지는 물리적 거리가 있어 혈관 외 유출이 발생하여도 위에서와 같이 5초 이내에 인식하기는 사실상 어려울 수 있다. 가령 혈관 외 유출 발생을 통제실에서 5초 안에 인지한 후 조영제 주입을 멈춘다 해도 위의 수학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354cc, 그리고 중간값을 사용하는 경우는 280cc의 혈관 외 유출이 발생하게 된다. 혈관 외 유출량은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20094619308-pat00005
상기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110 ~ 160)는 통제실의 담당자가 혈관 외 조영제 유출 발생을 빠르게 인식할 수 있게 하며, 혈관 외 유출을 즉시 감지하여 주입을 막는 센서(예: 금속막을 이용한 스위칭소자 등)와 바이패스(by-pass) 밸브(예: 화학용 핀치 솔레노이드 밸브 등)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조영제가 혈관 내로 주입되는 것을 방지 내지는 최소화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100 ~ 160)는 밸브장치(110), 센서부(120), LED 발광부(130), 팩(pack)(140) 및 전압공급부(15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며,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앞서서의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밸브장치(110)는 밸브와, 그 밸브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화학용 핀치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노멀 클로즈(close) 타입의 밸브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노멀 클로즈 타입"이란 '0'의 신호에 조영제가 통과하는 관로를 온오프 제어되느냐, 혹은 '1'의 신호에 관로를 온오프 제어하느냐에 관계되는 밸브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화학용 핀치 솔레노이드 밸브는 HPV406 시리즈로서 HPV 406, 406NO, 406D 모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D 시리즈가 적합할 수 있다. 회로도상의 표시기호는 도 3에 나타내고 있으며, 무기호는 상시닫힘형을 나타내고, NO는 상시 열림형, 그리고 D는 복동형을 각각 나타낸다. 화학용 핀치 솔레노이드 밸브는 몸체에 실리콘 밸브를 설치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외부 압축기(PINCH)로 실리콘 튜브 내의 유체를 제어하는 구조를 갖는다. 음료, 식품, 약품 등 각종 첨가물의 유체 제어에 적합하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학용 핀치 솔레노이드 밸브를 표시기호로 보여주고 있다.
밸브장치(110)는 약물주입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가령 조영제가 통과하는 제1 튜브, 그리고 제1 튜브를 통해 밸브장치(110)의 주입구를 통과하는 조영제를 환자의 혈관 쪽으로 전달하는 제2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밸브장치(110)는 센서부(120)에서 조영제 유출 감지시 제1 튜브 및 제2 튜브로 제공되는 조영제를 주변에 구비되는 팩(140)으로 회수하는 회수구를 포함하며, 제1 튜브 및 제2 튜브는 회수구에 또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밸브장치(110)의 구동부(예: CPU나 MPU 등의 제어부)는 센서부(120)에서 센싱 신호가 제공될 때 이를 근거로 주입구를 폐쇄시키고, 동시에 회수구를 개방하여 팩(140)으로 현재 약물주입장치(100)로부터 배출된 조영제를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밸브장치(110)의 구동부는 PCB나 FPCB 등에 형성되어 있는 제어회로(예: IC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센서부(12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예: 전압이나 전류신호)가 차단되면 이를 근거로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110 ~ 160)는 센서부(1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거나 개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가령 폐루프를 형성한 상태에서 개루프로 변경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공급부(150)에서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 센서부(120), LED 발광부(130) 및 밸브장치(110)가 전기적으로 도통할 수 있다. 반면, 환자의 혈관으로 주입되는 조영제가 혈관 외로 유출될 때 센서부(120)는 이를 감지하고, 전기적 연결을 끊을 수 있다. 폐루프를 단락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센서부(120)는 폐루프의 연결 상태를 단락시키는 스위칭소자로서 동작한다고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120)의 접속 상태가 변하면, LED 발광부(130)로 제공되는 전압이나 전류가 없어 LED가 소등되고, 이를 조영제 주입 장치를 통제하는 담당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환자의 혈관 상태가 비정상적임을 즉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밸브장치(110)의 구동부로 제공되는 전압 또는 전류 또한 차단되므로 구동부는 이를 감지하여 밸브를 조영제 주입 모드(mode)에서 회수 모드로 동작시킨다고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20)는 환자의 혈관 부위에 구비되어 환자의 혈관 상태에 따라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환자의 피부 접촉 패치(97)상에 절취선(200)을 형성한 후 혈관의 상태 변화(예: 부풀어 오름)에 따라 절취선(200)이 형성된 부위가 변화에 의해 센서부(120)의 전기적 단락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부 접촉 패치(97)의 절취선(200)을 기준으로 일측에 구리막 등의 도전체로 제1 금속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절취선(200)을 기준으로 타측에도 구리막 등으로 제2 금속부를 형성한다. 다만, 제2 금속부는 일부가 제1 금속부상에 중첩된다. 이를 통해 전기적으로 도통 상태를 형성한다. 따라서, 주입되는 조영제에 의해 환자의 혈관 부위의 상태가 변하게 되면 가령 부풀어 오르게 되면 절취선(200)의 부위가 혈관 부위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절취되며 이를 통해 서로 도통되어 있던 제1 금속부와 제2 금속부의 접촉이 단락된다. 접촉력이나 접촉 면적 등을 다양하게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 금속부와 제2 금속부는 서로 면적이나 모양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제1 금속부는 사각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제2 금속부는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금속부와 제2 금속부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부(120)가 실제로 2개의 금속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120)는 전압공급부(150)의 전압이나 전류가 2개의 금속막이 서로 단락됨으로써 LED 발광부(130)와 밸브장치(110)로 전압이나 전류의 제공을 차단함으로써 조영제 혈관 외 유출을 빠르게 감지하여 즉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센서부(120)는 금속막의 주변에 금속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칭소자 등의 주변회로를 더 구성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막을 이용하여 스위칭소자를 형성하는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20)는 도 1에서와 같이 구리막 등을 이용한 2개의 금속부를 통해 스위칭소자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금속부에 FET(Field Effect Transistor) 소자 등을 더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FET나 TR 소자는 스위칭소자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가령 FET의 경우 소스(S)와 게이트(G) 단자 사이에 Vgs 전압이 인가되면 스위치로서 동작한다. 이와 같이 스위칭소자가 온오프 동작할 때 LED 발광부(130)나 밸브장치(110)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조영제가 주입되는 부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110 ~ 150), 특히 센서부(120)와 LED 발광부(1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가령 센서부(120)는 도 2에서와 같이 피부 접촉 패치(97)상에 구성하고, 그 상부에는 센서 보호용 덮개 패치(99)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정리해 보면, 스위치 단자에 해당하는 양쪽의 동판 즉 구리막(예: 타 재질로 대체 가능함)이 혈관 외 유출이 발생하여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상황을 감지하여 조영제 추가 주입을 막는 신호를 보낸다. 스위치 단자의 경우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이 발생하는 유접점 방식과 전기 회로에 의한 감지의 무접점 방식 두가지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스위치 단자를 이분할한 밴드 즉 패치 중앙에 부착하여 접점을 유지하여 해당 검시자의 조영제 주입 바늘 인근에 부착한다. 평상시 조영제 주입기에서 노멀 클로즈 타입의 바이패스(By pass) 밸브(예: 조영제 직접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영제 투입 튜브 외부에 설치), 가령 화학용 핀치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혈관으로 조영제를 주입한다. 혈관 외 유출로 인하여 피부가 부풀어 오르면 밴드 중앙에 만들어 놓은 절취선(200)에 일정 압력이상 팽창이 발생하여 부착된 스위치 단자를 단락시켜 실시간으로 조영제 추가 주입 금지 신호(예: LED 등)와 바이패스 밸브의 전원을 차단한다. 전원이 차단된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Open) 되면서 조영제가 인체로 추가로 투입되지 않고 회수 팩(Disposal pack)(140)으로 회수되도록 조영제 관로를 변경시켜 추가적인 혈관 외 유출을 방지 내지는 최소화시키게 된다.
도 5는 도 1의 약물 유출감지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110 ~ 150)는 조영제와 같은 약물이 투입되는 환자의 혈관 부위를 덮는 피부 접속 패치(97)의 상태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한다(S500). 예를 들어,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 패치(97)상에 형성되는 절취선(200)을 기준으로 절취선(200)의 상태 변화에 따라 전기적 상태(예: 단락)가 변화하도록 스위칭소자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소자는 절취선(200)의 상태 변화에 따라 2개의 금속막이 도통상태에서 단락상태로 변경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110 ~ 150)는 혈관으로 전달되는 약물을 센서부(120)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차단시키면서 동시에 약물주입장치(100)에서 기배출된 약물을 주변의 팩(140)으로 회수한다(S510). 이를 위하여 가령 도 1의 밸브장치(110)의 관로를 주입 모드에 회수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드(mode)는 동작 방식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주입 모드에서는 주입구를 개방하여 약물주입장치(100)에서 배출되는 약물이 환자의 혈관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회수 모드에서는 주입구를 폐쇄하고 회수구를 개방하여 약물주입장치(100)에서 기배출된 약물이, 가령 혈관으로 주입되기 전의 약물이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물 유출감지장치(110 ~ 15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약물주입장치 110: 밸브장치
120: 센서부 130: LED 발광부
140: (회수) 팩(pack) 150: 전압공급부
200: 절취선 211 ~ 213: 스위칭부

Claims (7)

  1. 약물이 투입되는 환자의 혈관 부위를 덮는 피부 접촉 패치(patch)의 상태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혈관으로 전달되는 약물을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차단시키면서 동시에 약물주입장치에서 기배출된 약물을 주변의 팩(pack)으로 회수시키는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약물 유출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약물을 주입하고 회수하는 관로를 변경시키는 밸브; 및 상기 센서부의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밸브의 관로 변경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약물 유출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피부 접촉 패치의 절취선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금속부; 및
    상기 절취선을 기준으로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금속부와 일부가 중첩되어 전기적으로 도통하며, 상기 혈관 부위의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절취선의 상태가 변화하여 상기 제1 금속부와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제2 금속부;를
    포함하는 약물 유출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부와 상기 제2 금속부는 각각 구리막(copper film)으로 형성되는 약물 유출감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부와 상기 제2 금속부는 면적 및 모양이 서로 상이하며, 상기 제2 금속부의 면적이 상기 제1 금속부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유출감지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14059A 2020-09-07 2020-09-07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98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059A KR102298649B1 (ko) 2020-09-07 2020-09-07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059A KR102298649B1 (ko) 2020-09-07 2020-09-07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649B1 true KR102298649B1 (ko) 2021-09-03

Family

ID=77784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059A KR102298649B1 (ko) 2020-09-07 2020-09-07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6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4668A (en) * 1996-06-14 1999-09-21 Medrad, Inc. Extravasation detector using microwave radiometry
KR20040093420A (ko) * 2003-04-28 2004-11-05 가부시키가이샤 네모또 쿄린도 혈관에 주입되는 약액의 누출을 펄스신호를 이용하여검출하는 누출검출장치
JP2005508679A (ja) * 2001-10-04 2005-04-07 サイムド ライフ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造影流体制御システム
KR101206307B1 (ko) 2011-01-28 2012-11-29 김종효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KR101297478B1 (ko) 2005-05-26 2013-08-16 쟝-피에르 피터 조영제 전달시스템
KR20150106541A (ko) 2014-03-12 2015-09-2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검출 장치를 이용한 약물 검출 방법
KR101680580B1 (ko) * 2015-10-01 2016-11-2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외유출 감지장치
KR20190061318A (ko) * 2017-11-27 2019-06-0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약물 주입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4668A (en) * 1996-06-14 1999-09-21 Medrad, Inc. Extravasation detector using microwave radiometry
JP2005508679A (ja) * 2001-10-04 2005-04-07 サイムド ライフ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血管造影流体制御システム
KR20040093420A (ko) * 2003-04-28 2004-11-05 가부시키가이샤 네모또 쿄린도 혈관에 주입되는 약액의 누출을 펄스신호를 이용하여검출하는 누출검출장치
KR100605000B1 (ko) 2003-04-28 2006-07-26 가부시키가이샤 네모또 쿄린도 혈관에 주입되는 약액의 누출을 펄스신호를 이용하여검출하는 누출검출장치
KR101297478B1 (ko) 2005-05-26 2013-08-16 쟝-피에르 피터 조영제 전달시스템
KR101206307B1 (ko) 2011-01-28 2012-11-29 김종효 조영제 누출 여부 검사 장치
KR20150106541A (ko) 2014-03-12 2015-09-22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약물 검출 장치를 이용한 약물 검출 방법
KR101680580B1 (ko) * 2015-10-01 2016-11-29 신한대학교 산학협력단 혈관외유출 감지장치
KR20190061318A (ko) * 2017-11-27 2019-06-05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약물 주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612B1 (en) Blood loss detection for hemodialysis system
US6447474B1 (en) Automatic fever abatement system
EP2136870B1 (en) Detecting needle entry into a port of an infusion device
US6751500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xtravasation detection
JP4423436B2 (ja) 圧力変換器保護バルブ
JP6841770B2 (ja) 静脈漏出および静脈の中の設置を検出する静脈内アクセス・デバイス
CN106137332B (zh) 超声介入穿刺装置及穿刺组件
JP5231394B2 (ja) 血管外遊出検出装置
KR102298649B1 (ko) 약물 유출감지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0995293B1 (ko) 혈관외유출을 검출하는 초음파 시스템 및 방법
US20230148872A1 (en) Temperature Monitoring for Vessel Detection
Masatsugu et al. Liver cyst with biliary communication successfully treated with laparoscopic deroofing: a case report
JP4405398B2 (ja) 管外遊出検出器
Lamonaca et al. Cystic echinococcosis of the liver and lung treated by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an ex-vivo pilot experimental study in animal models
Choi et al. Biliary tract disorders, gallbladder disorders and gallstone pancreatitis
US20220346648A1 (en) Infrared imaging, measurement, and analysis of infusion sites during subcutaneous and intravenous infusions
CN211300019U (zh) 一种接触式ct增强扫描造影剂渗出监测装置
JPH05309132A (ja) 体外循環温熱治療装置
CN118236084A (zh) 一种动态脑血管造影装置、方法、设备及介质
Bo et al. ATTENTIV: Instrumented Peripheral Catheter for the Detection of Catheter Dislodgement in IV Infiltration
CN116920210A (zh) 一种ct增强高压注射对比剂血管外渗ai监测方法及装置
CN117794441A (zh) 智能静脉导管系统
DE102007030163A1 (de) Messeinrichtung zur Erfassung der Ausbreitungsgeschwindigkeit von Pulswellen im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Blutkreislaufsystem und Verfahren
WO2005084139A2 (ja) 穿刺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