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3649B1 -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03649B1 KR101203649B1 KR1020110036673A KR20110036673A KR101203649B1 KR 101203649 B1 KR101203649 B1 KR 101203649B1 KR 1020110036673 A KR1020110036673 A KR 1020110036673A KR 20110036673 A KR20110036673 A KR 20110036673A KR 101203649 B1 KR101203649 B1 KR 1012036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strip
- magnetic
- support
- buff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adding cards, coupons or other inserts to package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57—Coiling the roll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스트립(S)의 초기 권취시 엔드 마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이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는 지지패드(10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패드(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패드(100) 간의 부착 부위에 스트립(S)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01)이 형성되는 완충패드(200)와, 스트립(S)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지지패드(100)에 마련되는 자성패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일의 내경부에 발생하는 엔드 마크를 줄일 수 있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냉연공장에서 제조되는 코일 형태의 스트립은, 핀치롤을 통과하여 일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출측의 절단기에서 스트립의 선단부가 절단되며, 절단된 스트립은 보관이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루마리의 코일 형태로 감고 있다.
이때, 절단된 스트립의 선단부는 그 전단면이 직각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감기는 과정에서, 스트립의 첫번째 권취부의 직각 부분을 다음 권취되는 스트립이 연속적으로 누르게 되어 요철 형태의 엔드 마크(end mark)를 연속적으로 발생시켜서 제품 품질저하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예컨대,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된 냉연제품의 스트립(12)을 절단기에 의해 절단하여 권취장치로 권취하게 되면, 스트립의 선단이 내경 슬리브(Sleeve)에 수직한 상태에서 권취가 되는데, 이때, 텐션릴(10)에 형성된 단차(10a)에 의해 스트립(12) 선단에는 엔드 마크(12a)가 형성되고, 이후 엔드 마크(12a)가 형성된 부분에 겹쳐지는 스트립(12)에는 계속해서 엔드 마크(12a)가 발생되어 품질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스트립의 표면결함인 엔드 마크는, 냉연강판과 같이 스트립의 표면 자체가 외장재로 쓰이는 경우, 제품의 특성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므로, 스트립 표면의 미려함을 해치는 동시에, 스트립이 급외품으로 처리되어 막대한 비용 손실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트립의 초기 권취시 발생되는 엔드 마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는, 지지패드, 완충패드 및 자성패드를 포함하고, 완충패드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패드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패드 간의 부착 부위에 스트립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자성패드는 상기 스트립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상기 지지패드에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패드에는 상기 자성패드와 지지패드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자성패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패드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상기 자성패드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패드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패드는 상기 지지패드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성패드는 상기 스트립의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자성패드와, 상기 스트립의 일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자성패드와, 상기 스트립의 타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3 자성패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패드는 상기 지지패드의 선단부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접착완충부와, 상기 삽입공간을 통해 상기 스트립의 선단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완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패드는 두께로 인한 엔드 마크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종이패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권취된 스트립의 표면에서의 엔드 마크의 발생 우려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종래에 비하여 제품의 실수율을 현저히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패드에 자성패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함으로써, 돌출되게 부착되는 자성패드로 인한 엔드 마크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 텐션릴에 스트립이 권취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b는 종래 텐션릴에 권취된 스트립에서 발생되는 엔드 마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지패드와 완충패드의 삽입공간으로 스트립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지패드와 완충패드의 삽입공간으로 스트립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b는 종래 텐션릴에 권취된 스트립에서 발생되는 엔드 마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지패드와 완충패드의 삽입공간으로 스트립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지패드와 완충패드의 삽입공간으로 스트립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지지패드와 완충패드의 삽입공간으로 스트립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는, 지지패드(100), 완충패드(200) 및 자성패드(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스트립의 두께 차이로 인한 엔드 마크 발생을 방지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지지패드(100)는 스트립(S)의 선단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는 얇은 패드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두께로 인한 엔드 마크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종이패드가 사용된다.
그리고 지지패드(100) 상에는 스트립(S)의 선단부가 놓여진 상태에서, 해당 일측에 스트립(S)의 선단부를 사이에 두고 완충패드(200)가 부착되고, 해당 타측에 스트립(S)과 자력을 통해 착탈이 가능한 자성패드(300)가 부착된다.
완충패드(200)는 지지패드(100) 간의 부착시 부착 부위에 스트립(S)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01)이 형성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지지패드(100)의 일면에 부착된다. 그리고 완충패드(200)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구성된 스펀지(sponge)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완충패드(200)는 접착완충부(210)와 접촉완충부(220)로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접착완충부(210)는 지지패드(100)의 선단부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정의되고, 접촉완충부(220)는 삽입공간(201)을 통해 스트립(S)의 선단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스트립(S)의 선단이 완충패드(200)의 접촉완충부(220)와 지지패드(100) 사이의 삽입공간(2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트립(S)의 권취가 이루어지면, 완충패드(200)는 스트립(S)의 선단에 대해 두께 차이를 보상하므로, 스트립(S)의 권취시 엔드 마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스트립(S)의 권취시 지지패드(100)가 스트립(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패드(100)에는 자성패드(300)가 부착된다. 이 자성패드(300)는 자력을 이용하여 스트립(S)과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자성패드(300)는 지지패드(10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성됨으로써, 스트립(S)의 폭방향에 대해 자력을 통한 효과적인 부착이 이루어지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자성패드(300)는 스트립(S)의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자성패드(300a)와, 스트립(S)의 일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자성패드(300b)와, 스트립(S)의 타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3 자성패드(300c)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자성패드(300)는 스트립(S)의 중앙부, 일측부 및 타측부에 대해 지지패드(100)와 적절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패드(100)의 상면에 자성패드(300)를 고정시킨 제1 실시예의 경우, 스트립(S) 선단에 발생되는 엔드 마크를 상당 부분 경감시킬 수 있으나, 스트립(S)의 권취시 본 발명을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지지패드(100)의 상면에 둘출되게 부착된 자석패드의 흔적이 스트립(S)에 미세하기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B-B"선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지패드와 완충패드의 삽입공간으로 스트립(S) 선단부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우려를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패드(100)에는 자성패드(300)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된다. 이 삽입홈(110)은 자성패드(300)와 지지패드(100)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자성패드(300)의 흔적이 스트립(S)에 미세하기 남아 있는 우려를 불식(拂拭)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지지패드(100)와, 지지패드(100)의 일면에 부착되는 완충패드(200)와, 지지패드(100)에 마련되는 자성패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들 지지패드(100), 완충패드(200), 자성패드(300)의 구성은, 삽입홈(110)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지지패드(100), 완충패드(200), 자성패드(30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지지패드(100)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자성패드(300)를 지지패드(100)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패드(400)가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패드(400)는 제1 자성패드(300a), 제2 자성패드(300b) 및 제3 자성패드(300c)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부착되는 복수의 접착패드(400)로 구성되지만, 접착패드(400)는 제1 자성패드(300a), 제2 자성패드(300b) 및 제3 자성패드(300c)를 동시에 접착할 수 있는 하나의 접착패드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접착패드(400)는 통상의 접착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접착패드(400)의 접착 흔적이 스트립(S)에 남지 않을 정도의 얇은 접착테이프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패드(100), 완충패드(200) 및 자성패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를 준비한다.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가 준비되면 이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에 스트립(S)의 선단부를 삽입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패드(100)와 완충패드(200) 사이에 형성된 삽입공간(201)에 스트립(S)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이때, 지지패드(100)의 자성패드(300)는 자력을 이용하여 스트립(S)에 부착되므로, 스트립(S)의 권취시에도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는 스트립(S)의 선단부에 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후, 텐션릴을 통해 스트립(S)의 권취 과정이 수행되면, 종래 스트립의 초기 권취시 스트립 선단부측에서의 엔드 마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트립 표면에서의 엔드 마크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자성패드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지지패드에 형성함으로써, 자성패드로 인한 엔드 마크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지지패드 200 :완충패드
210 :접착완충패드 220 :접촉완충패드
300 :자성패드 300a :제1 자성패드
300b :제2 자성패드 300c :제3 자성패드
400 :접착패드
210 :접착완충패드 220 :접촉완충패드
300 :자성패드 300a :제1 자성패드
300b :제2 자성패드 300c :제3 자성패드
400 :접착패드
Claims (7)
- 지지패드(100);
적어도 일부가 상기 지지패드(100)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지지패드(100) 간의 부착 부위에 스트립(S)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01)이 형성되는 완충패드(200); 및
상기 스트립(S)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상기 지지패드(100)에 마련되는 자성패드(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100)에는 상기 자성패드(300)와 지지패드(100)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자성패드(300)가 삽입되는 삽입홈(1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100)의 일면 또는 타면에는 상기 자성패드(300)를 고정하기 위한 접착패드(40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성패드(300)는 상기 지지패드(10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자성패드(300)는 상기 스트립(S)의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1 자성패드(300a)와, 상기 스트립(S)의 일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자성패드(300b)와, 상기 스트립(S)의 타측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3 자성패드(30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200)는 상기 지지패드(100)의 선단부에 접착이 이루어지는 접착완충부(210)와, 상기 삽입공간(201)을 통해 상기 스트립(S)의 선단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촉완충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100)는 두께로 인한 엔드 마크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종이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673A KR101203649B1 (ko) | 2011-04-20 | 2011-04-20 |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6673A KR101203649B1 (ko) | 2011-04-20 | 2011-04-20 |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8983A KR20120118983A (ko) | 2012-10-30 |
KR101203649B1 true KR101203649B1 (ko) | 2012-11-23 |
Family
ID=4728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6673A KR101203649B1 (ko) | 2011-04-20 | 2011-04-20 |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0364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0022B1 (ko) * | 2014-05-19 | 2016-03-04 | (주)타스지혁 | 자국방지형 권취관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5881Y1 (ko) | 2001-03-30 | 2001-10-10 | 백흥기 | 강판 코일의 눌림 마크를 방지하는 원형롤러장치 |
-
2011
- 2011-04-20 KR KR1020110036673A patent/KR1012036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5881Y1 (ko) | 2001-03-30 | 2001-10-10 | 백흥기 | 강판 코일의 눌림 마크를 방지하는 원형롤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8983A (ko) | 2012-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376935B (zh) | 电池用电极片及其制造方法 | |
JP4740298B2 (ja) | シート剥離装置及び剥離方法 | |
TWI700255B (zh) | 玻璃卷及其製造方法 | |
JP2017213627A (ja) | ワークの切断方法 | |
KR101203649B1 (ko) | 코일의 단차마크 저감어셈블리 | |
JP2013158784A (ja) | スリッターラインにおけるコイル緩み防止方法 | |
JP2006272338A (ja) | 金属帯の巻取り方法 | |
JPH0957345A (ja) | 精整ラインの鋼帯巻取りリール | |
JPH11135349A (ja) | アモルファス鉄心変圧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JP2842746B2 (ja) | テープの切断方法 | |
KR101510478B1 (ko) | 엔드마크 감소를 위한 완충패드 | |
KR101795919B1 (ko) | 엔드마크 방지용 패드 및 이를 사용한 코일 | |
WO2018203448A1 (ja) | ワークの切断方法及び接合部材 | |
JP2008260601A (ja) | 巻回体、その製造方法、及び積層部含有長尺シート | |
KR20120002500U (ko) | 롤 타입 용접지지구 | |
JP2007253422A (ja) | フィルムロール | |
JP2008162719A (ja) | フィルム巻取りローラ | |
KR101460210B1 (ko) | 스폿용접으로 고정된 스트립이 구비된 케이블타이 및 케이블타이의 제조방법 | |
JP4538983B2 (ja) | ビードワイヤー巻取り成形装置におけるビードワイヤー誘導装置 | |
JP5161532B2 (ja) | 基板表面加工装置 | |
JP3219484U (ja) | 案内装置、及び切断設備 | |
KR101381630B1 (ko) | 리코일러에 설치되는 그리퍼 | |
KR101919518B1 (ko) | 스트립 선단부 가공장치 | |
JP2007286533A (ja) | 接着剤の巻き付け方法とホットメルト接着剤の巻付治具 | |
KR20150053150A (ko) | 웹 권취용 코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