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2965B1 -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 Google Patents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2965B1
KR101202965B1 KR1020120056094A KR20120056094A KR101202965B1 KR 101202965 B1 KR101202965 B1 KR 101202965B1 KR 1020120056094 A KR1020120056094 A KR 1020120056094A KR 20120056094 A KR20120056094 A KR 20120056094A KR 101202965 B1 KR101202965 B1 KR 10120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utout
winding roll
clean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102012005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2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테이프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테이프권취롤에서 테이프를 절단하거나 또는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테이프를 풀 때에 사용되는 절취구를 구비하여 테이프를 매끄럽게 절단할 수 있고 테이프의 점착면에 손을 닿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에 관한 것으로서, 절취구로 테이프의 끝단부를 덮도록 테이프의 폭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절취구를 길게 형성하고, 복수의 장공을 절취구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한 다.

Description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ADHESIVE TAPE WINDING ROLL HAVING CUTTING MEANS}
본 발명은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테이프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테이프권취롤에서 테이프를 절단하거나 또는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테이프를 풀 때에 사용되는 절취구를 구비하여 테이프를 매끄럽게 절단할 수 있고 테이프의 점착면에 손을 닿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카페트, 쇼파, 시트, 방바닥, 책상 등과 같은 곳에 묻은 오염물질을 테이프의 점착면에 부착하여 청소하는 크리너는,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기다란 테이프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테이프권취롤과, 테이프권취롤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는 핸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크리너는 테이프권취롤을 핸드롤러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상태에서 핸드롤러를 손으로 잡고 청소하고자하는 면에 테이프권취롤을 굴려 오염물질을 테이프권취롤의 테이프에 부착시켜 청소한다. 아울러, 테이프권취롤에 권취된 기다란 테이프에서 오염물질이 부착된 부분만 절단하여 깨끗한 점착면을 이용해 청소를 계속할 수 있다.
테이프의 절단을 쉽게 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608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80751호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테이프를 테이프권취롤에 권취할 때에 소정을 간격을 두고 절취선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를 절단할 때에 절취선을 경계로 절단함으로써 쉽게 절단하면서 절단 부위를 한층 매끄럽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절취선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및 고정을 추가해야만 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어려움을 갖게 되었다.
한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8790호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기를 핸드롤러에 장착하기도 하여서, 테이프를 소진함에 따라 교체하며 사용하게 되는 테이프권취롤의 제작비용을 경감할 수 있고, 반복사용하게 되는 핸드롤러에 절단기를 장착함으로써 비용 증가의 부담을 줄였다. 하지만, 절단기를 핸드롤러에 장착하는 것은 핸드롤러를 사용하는 데 불편하게 하고, 테이프권취롤만 바꿔가며 핸드롤러를 반복 사용하는 과정에서 절단기가 파손될 경우에 테이프를 절단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막대자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테이프를 절단하기도 하였으나, 절단면이 매끄럽지 아니하여 다음에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해 테이프를 풀 때에 테이프의 끝단부를 손으로 잡기 어렵게 되고, 직선으로 깔끔하게 절단되지 않고 빗나가 찢어지기도 하였다.
또한, 테이프를 절단할 때마다 막대자와 같은 것을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적당한 크기의 장방형 판재를 테이프권취롤의 테이프 점착면에 점착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테이프를 소정 길이로 절단 폐기할 때마다 남게 되는 테이프의 곡면이 변하게 되어서 판재를 테이프에 밀착시켜 점착할 수 없다. 또한, 판재의 길이방향을 테이프의 폭방향에 정확하게 일치시키도 어려워 권취된 테이프의 곡면에 의해 판재가 들쳐진 상태로 됨에 따라 판재가 쉽게 떨어져 분실할 수 있다. 또한, 판재의 들춰진 부분에 이물질이 끼여 판재가 더욱 쉽게 떨어져 분실됨에 따라 판재를 다시 준비해야하는 어려움도 갖게 된다.
KR 10-2011-0116089 A 2011.10.25. KR 10-2011-0080751 A 2011.07.13. KR 20-0368790 Y1 2004.11.1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권취롤에 점착한 상태로 사용하되,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용도 또는 테이프를 쉽게 풀기 위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절취구를 구비하며, 절취구를 테이프권취롤에 점착할 때에 절취구의 길이방향을 테이프의 폭방향에 정확하게 일치시킨 상태로 점착 가능하여, 들춰지는 부분 없이 절취구를 테이프권취롤에 감긴 테이프에 밀착하여 점착할 수 있는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테이프(11)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것으로서 핸드롤러(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점착면을 이용하여 오염물질를 제거하는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에 있어서, 테이프(11)의 끝단부(12)를 덮도록 테이프(11)의 폭방향을 가로지르게 길게 형성되되, 테이프(11)의 폭보다는 약간 길게 형성하고 테이프(11)의 감긴 방향을 향하는 폭방향을 길이방향에 비해 작게 한 장방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테이프(11)에 대고 테이프(11)의 끝단부 쪽을 절단하거나 또는 테이프(11)의 끝단부(12)에 점착한 상태로 당겨 테이프(11)를 푸는 데 사용되는 절취구(2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절취구(20)는, 복수의 장공(21)을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구(20)는, 테이프(11)의 감긴 곡면을 따라 굴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구(20)는, 길이방향의 양단을 수직 절곡하여서, 권취된 테이프(11)의 측면에 양단 절곡 부위를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구(20)는, 폭방향의 양단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커터날(2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날(22)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는 톱날을 테이프(11)를 향해 돌출 성형하되 테이프(11)의 두께만큼 돌출 성형하여서 절취구(20)를 테이프(11)의 점착면에 점착하여 누름에 따라 테이프(11)에 절취선(14)을 형성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취구(20)는, 양면 중에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장공(21)의 형성 라인을 따라 장요홈(25)을 형성하여 장공(21)의 형성 라인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게 하며, 양면 중에 테이프(11)에 점착되지 아니하는 면에 요철(24)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테이프의 절단 과정에서 사용할 절취구를 테이프권취롤에 감긴 테이프에 점착한 상태로 사용하여, 테이프에 절취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절단수단을 핸드롤러에 장착할 필요도 없어 제조상 및 사용상 장점을 갖출 뿐만 아니라, 절취구에 형성한 장공을 테이프의 끝단부에 맞추어 절취구를 점착하므로 절취구를 들춰짐 없이 밀착된 상태로 점착할 수 있어 절취구의 분실 우려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절취구를 테이프에 밀착시켜 점착함에 따라 절취구와 테이프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아니하여 오염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분만 테이프의 폭방향에 맞추어 절단 폐기하므로, 오염물질이 묻지 아니한 테이프를 절단 폐기하는 일 없이 테이프를 십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의 끝단부에 이물질이 묻지 아니하게 절취구를 밀착시켜 덮으므로, 테이프의 끝단부를 쉽게 들춰 테이프를 풀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깨끗한 테이프의 끝단부에 절취구를 점착시킨 상태에서 절취구를 잡고 당겨 테이프를 풀더라도 절취구가 잘 떨어지지 아니하며, 이에 따라 테이프의 점착면에 손을 대지 아니하며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테이프를 향해 돌출된 커터날을 절취구에 형성함으로써, 오염물질을 청소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절취선이 형성되게 하므로, 보다 깔끔하게 테이프를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절취구에 장요홈을 형성함으로써 테이프권취롤에 권취된 상태로 남게 되는 테이프의 곡면이 변하더라도 절취구를 테이프에 밀착시킬 수 있고, 절취구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비록 절취구를 테이프권취롤에 점착한 상태로 청소하더라도 테이프권취롤을 잘 굴러가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을 핸드롤러(30)에 장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을 핸드롤러(30)에 장착하여 크리너로 사용하게 한 상태도.
도 4는 절취구를 테이프권취롤에 비뚤어지게 점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을 핸드롤러(30)에 장착하여 크리너로 사용할 때의 사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점착면을 안쪽으로 하여 테이프를 권취한 테이프권취롤일 경우의 절취구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절취구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절취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의 절취구를 이용한 테이프의 절취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의 사시도로서, 도 1의 (a)는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에 점착하기 전의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의 점착면에 점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테이프권취롤(10)은 점착면이 외측을 향하게 테이프(11)를 권취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은,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테이프(11)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테이프권취롤(10) 및 테이프(11)의 점착면에 점착하며 사용하는 절취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테이프권취롤(10)은 일정한 폭을 갖는 테이프(11)를 권회하여 여러 겹으로 권취함에 따라 원통형을 갖게 되며, 일반 공지된 테이프권취롤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절취선이 조성되어도 좋지만 후술하는 절취구(20)를 이용하여 절단하므로 절취선을 굳이 별도로 조성될 필요는 없다. 여기서, 절취선은 테이프권취롤(10)에서 일부 테이프(11)를 절단하여 버릴 때에 절단하기 쉽도록 폭방향을 향해 조성하되 테이프(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조성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폭방향을 향한 일직선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성되는 구멍 형태로 조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취선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테이프(11)를 권취할 때에 소정의 간격마다 조성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후술하는 절취구(20)를 이용하여 테이프(11)를 쉽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11)에 조성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테이프권취롤(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원통형 코어튜브(13)의 외주면에 테이프(11)를 권취하지만, 코어튜브(13) 없이 테이프(11)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것이어도 된다. 코어튜브(13) 없이 테이프권취롤을 형성할 경우에는 테이프권취롤을 핸드롤러(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할 때에 테이프권취롤의 내부 중공에 삽입할 원통형 지지수단을 마련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코어튜브(13)를 갖는 테이프권취롤(10)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테이프(11)의 점착면은 권취할 때에 내측(코어튜브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거나 아니면 외측을 향하게 한다. 그리고,테이프(11)에 있어서 점착면의 반대측면은 오염물질이 달라붙지 않는 비접착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테이프(11)의 점착면 및 권취 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절취구(20)는 장방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막대의 형상을 갖추며, 길이방향의 길이는 테이프(11)의 폭보다는 약간 길게 형성되어서, 테이프권취롤(10)에 감긴 테이프(11)의 끝단부(12)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부연하면, 상기 절취구(20)는 테이프(11)의 폭방향을 향해 길게 형성되고, 폭(테이프의 폭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길이, 또는 테이프의 권취 방향의 길이)은 짧게 한 판재 형상을 갖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취구(20)는 테이프(11)의 감긴 곡면을 따라 굴곡되게 형성된다. 부연하면, 테이프권취롤(10)에 곡면을 이루며 권취된 테이프(11)에 상기 절취구(20)를 점착하였을 때에 폭방향의 양단이 들뜨지 아니하도록 테이프(11)의 감긴 곡률에 맞추어 굴곡되게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취구(20)는 테이프권취롤(10)의 테이프(11)에 안정된 상태로 점착된다. 이때, 상기 절취구(20)의 굴곡은 테이프(11)의 곡면에 맞추어 곡선을 이루게 하거나 아니면, 중간부위에서 꺾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취구(20)의 굴곡은 가장 안쪽에 감긴 테이프(11)에 점착할 때를 기준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취구(20)는 폭의 중간쯤을 가로지르는 복수의 장공(21)이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일렬로 형성되어 있어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11)의 끝단부(12)를 장공(21)을 통해 보면서 테이프(11)의 끝단부(12)를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21)에 맞추어 점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프(11)의 끝단부(12)가 장공(21)들을 지나가도록 절취구(20)를 점착함으로써, 절취구의 폭방향 중간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장공이 형성된 라인)을 기준으로 절취구(20)의 절반정도를 테이프(11)의 끝단부(12)에 인접한 면에 점착하고 나머지 절반정도를 테이프(11)의 끝단부(12)로부터 한바퀴 돈 위치의 면에 점착한다. 따라서, 장공(21)에 맞추어 절취구(20)를 점착함에 따라, 절취구(20)를 테이프(11)의 폭방향에 정확하게 맞추어 비뚤어지지 아니하게 하는 한편, 폭방향에 맞추지 못함에 따라 절취구(20)의 폭방향 단부가 들쳐지게 되는 상황도 발생하지 아니하고, 절취구(20)에 점착된 부위에 오염물질이 묻지도 아니하여 이후에 테이프를 절단할 때에도 오염물질이 묻은 부분만 폭방향에 일치시켜 절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취구(20)의 양단부 형상은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를 점차 작게하여서, 테이프권취롤(10)에 권취된 페이트(11)의 끝단부(12)를 점착된 상태에서 떼어낼 때에 활용하게 하는 것도 좋다.
이와 같이 절취구(20)를 구비한 테이프권취롤(10)은, 테이프(11)의 끝단부(12)를 장공(21)에 맞추며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에 점착한 상태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을 핸드롤러(30)에 장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을 핸드롤러(30)에 장착하여 크리너로 사용하게 한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절취구(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프권취롤(10)은, 코어튜브(13)의 양측 개구에 각각 회동지지프레임(40)을 삽입고정한 후에 회동지지프레임(4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핸드롤러(30)에 장착하여 크리너로 사용된다.
상기 핸드롤러(30)는 테이프권취롤(10)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31) 및 손잡이(31)의 단부에 좌우 대칭적으로 고정되는 'ㄷ'자형의 회동축지지대(32)로 구성되며, 회동축지지대(32)의 양단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회동축돌기(33)도 조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지지프레임(40)은 판상의 지지판(43), 지지판(43)의 일면에 연장되어 코어튜브(13)의 단부 개구에 삽입되는 원통부(42) 및 지지판(43)의 중심에 조성되어 회동축돌기(33)에 삽입됨에 따라 회동축돌기(33)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축구멍(4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한 핸드롤러(30) 및 회동지지프레임(40)에 한정하여 사용할 필요는 없고, 원통형의 테이프권취롤(10)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굴리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핸드롤러(30) 및 회동지지프레임(40)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3의 상태와는 대조적으로 절취구를 테이프권취롤에 비뚤어지게 점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의 테이프에 눈대중으로 맞추어 점착함에 따라, 절취구(20)의 길이방향이 테이프의 폭방향(테이프 끝단부를 따라가는 방향)에 일치하지 아니하고 비뚤어지게 되었다. 이럴 경우에, 절취구(20)와 페이프(11) 사이에 갭(G)이 생기며, 특히 절취구(20)의 길이방향 단부에서 가장 큰 갭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한 갭(G)을 통해 오염물질이 테이프(11)에 묻을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절취구(20)는 장공(21)를 갖추고 있으므로, 장공(21)들을 잇는 배열 라인을 테이프 끝단부(12)에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의 테이프(11)에 점착할 때에 상기 도 4의 상태가 아닌 상기 도 3의 상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취구(20)를 구비한 테이프권취롤(10)을 핸드롤러(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의류, 카페트, 쇼파, 시트, 방바닥, 책상 등에 뭍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크리너로써 사용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을 핸드롤러(30)에 장착하여 크리너로 사용할 때의 사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의 테이프권취롤(10)은 테이프(11)를 권취할 때에 점착면이 외측을 향하게 권취한 것이다.
먼저, 절취구(20)의 장공(21)을 테이프(11)의 끝단부(12)에 맞추어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에 점착한 상태로 테이프권취롤(10)을 핸드롤러(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한다. 그리고, 핸드롤러(30)의 손잡이를 잡고 테이프권취롤(10)을 오염물질이 뭍은 면을 따라 누르면서 굴려 테이프(10)의 점착면에 오염물질을 부착한다. 이때, 테이프(11)의 끝단부(12)가 절취구(20)에 눌려서 들춰지지 아니한다. 만약 절취구(20)가 없다면 테이프(11)의 끝단부(12)에 인접한 점착면이 청소하고자 하는 면에 점착되어 들춰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절취구(20)를 테이프(11) 끝단부(12)에 덮은 상태로 청소하므로, 테이프(11) 끝단부(12)가 들쳐지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사용함에 따라, 테이프권취롤(10)에서 외곽측에 한바퀴 권취된 테이프(11)의 점착면에 오염물질이 부착되면서 점차 점착력이 떨어지고 오염물질의 부착 증가량도 줄어들게 된다.
다음으로, 오염물질이 부착됨에 따라 점착력을 잃게 된 외곽측 테이프(11)를 절단하여 오염물질이 부착되지 아니한 안쪽의 테이프(11)를 사용할 준비를 한다. 이를 위해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11)의 끝단부(12)를 상기 절취구(20)에 점착된 상태로 상기 절취구(20)를 잡고 테이프(11)를 한 바퀴 풀어서, 오염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분을 펼친다. 여기서, 상기 절취구(20)를 완전히 떼어낸 상태에서 테이프(11)의 끝단부를 손으로 잡고 테이프를 풀 수도 있는 데, 이때,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로부터 떼어낼 때에, 절취구(20)에 점착되었던 테이프(11)의 끝단부(12)가 점착력에 의해 들쳐지게 되므로, 테이프(11)의 끝단부(12)를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이 부착된 면과 오염물질이 부착되지 아니한 면 사이의 경계선에 상기 절취구(20)의 폭방향 일단을 맞춘 상태에서 상기 절취구(20)를 테이프(11)에 댄다. 이때, 테이프(11)의 외측면에 점착면이 조성된 것이면 상기 절취구(20)를 테이프(11)에 대는 순간 점착된다. 그리고, 상기 절취구(20)를 누른 상태에서 오염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분(절취구를 댄 부분을 기준으로 테이프 끝단부가 포함된 부분)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취구(20)의 폭방향 일단을 경계로 하여 테이프가 깔끔하게 절단된다.
다음으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구(20)를 떼어낸 후에 테이프권취롤(10)에 남게 되는 테이프(11)의 끝단부(12)에 장공(21)이 위치하도록 상기 절취구(20)를 테이프(11)에 점착한다. 이때, 테이프권취롤(10)에 권취된 상태로 남게 되는 테이프(11)에는 오염물질이 묻어 있지 아니하므로 절취구(20)의 점착 상태가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프(11)의 끝단부(12)가 장공(21)들을 가로지르게 맞추며 상기 절취구(20)를 점착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절취구(20)의 길이방향을 테이프(11)의 폭방향에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폭방향을 따라 굴곡 형성된 상기 절취구(20)의 폭방향 양단부를 들쳐지지 아니하도록 테이프(11)에 점착할 수 있다.
도 6은 점착면을 안쪽으로 하여 테이프를 권취한 테이프권취롤일 경우의 절취구 사용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도 6에 도시된 단면도는 사용 상태를 알아보기 쉽도록 테이프(11)의 두께를 크게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테이프(11)의 두께가 상기 도 6에 도시된 것보다 매우 얇다.
상기 도 6를 참조하면, 테이프권취롤(10)은 점착면을 안쪽으로 하여 테이프(11)를 권취한 것이므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하기 위해서 테이프(11)를 한바퀴 정도 풀어내 후에 풀린 부분과 풀리지 아니한 부분의 경계를 접고 풀린 부분을 역방향으로 되감아 점착면이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 그리고, 역방향으로 되감은 부분의 끝단부(12)를 풀린 부분과 풀리지 아니한 부분의 접힌 경계선에 근접하게 맞추고 테이프의 끝단부 또는 접힌 경계선을 장공(21)에 맞추면서 상기 절취구(20)를 테이프(11)의 점착면에 점착한다. 아니면, 절취구(20)의 절반을 테이프의 끝단부에 점착한 상태에서 절취구(20)를 잡아당겨 테이프를 한바퀴 풀고 역방향으로 되감아 절취구(20)의 나머지 절반을 테이프의 풀리기 시작한 부분에 점착하여도 된다.
상기 도 6의 상태에서 테이프권취롤(10)를 굴리며 오염물질을 테이프(11)의 점착면에 부착한 이후에 오염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분을 절단하는 과정은 점착면의 위치 차이만 있을 뿐이고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유사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사자라면 알 수 있으므로, 부연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절취구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의 (a)에 도시된 절취구는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절취구와 동일한 몸체를 갖추지만, 길이방향 양단을 수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는 절곡부(23)를 추가 구비하여서, 길이방향을 테이프권취롤(10)에 권취된 테이프(11)의 폭방향에 맞추어 테이프(11)에 점착할 때에, 권취된 테이프(11)의 측면에 상기 절곡부(23)를 밀착되게 한다. 이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절취구는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절취구보다는 테이프권취롤(10)에 안정된 상태로 점착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절취구는 폭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커터날(22)을 구비하여서, 상기 도 5의 (b)에 도시된 테이프(11)의 절단과정에서 커터날(22)를 이용해 테이프를 보다 쉽게 절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터날(22)은 폭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하여도 되지만, 어느 한쪽의 단부에만 형성하여도 된다.
도 7의 (c)에 도시된 절취구는 절곡부(23)와 커터날(22)을 모두 갖춘 것으로서, 절곡부(23)의 장점과 커터날(22)의 장점을 갖는다.
도 8은 절취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절취구는 폭방향의 양단부 중에 일측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한 커터날(22)을 구비하고, 양면 중에 테이프에 점착되지 아니하고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면에 장요홈(25) 및 요철(24)을 구비한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절취구에서 커터날(22)의 형태를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 커터날(22)을 과도할 정도로 크게 도시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상기 커터날(22)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렬로 나열되는 톱날을 폭방향의 일측 단부에 돌출 성형하되 테이프(11)를 향해 돌출 성형하여서, 절취구를 테이프권취롤(10)에 권취된 테이프(11)에 점착하게 되면 톱날이 테이프(11)를 파고 들어가게 한다. 여기서, 상기 톱날은 테이프(11)에 구멍을 뚫을 정도로 날카롭게 할 수도 있지만, 흠집을 낼 정도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톱날의 돌출 높이는 테이프(11)의 두께 정도로 하여서 절취구를 테이프권취롤(10)에 권취된 테이프(11)에 점착한 상태에서 눌렀을 때에, 점착된 테이프 부분만 흠집(또는 구멍)이 나게 하고 안쪽에 겹쳐서 권취된 테이프 부분에는 상기 톱날에 의한 흠집이 나지 아니하게 한다.
상기 장요홈(25)은, 장공(21)들이 형성된 라인, 즉, 절취구(20)의 폭방향 중심을 가로지르는 길이방향의 라인 상에 길게 이어진 홈의 형태로 조성되어서, 폭방향의 중간점을 잇는 라인을 기점으로 절곡할 수 있다. 이때, 절취구(20)는 절곡하더라도 탄성복원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여 구부리더라도 다시 원상태로 복원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절취구(20)에 장요홈(25)을 조성함으로써, 테이프권취롤(10)의 테이프(11)에 점착된 절취구(20)를 떼어낼 때에 유용할 뿐만 아니라, 테이프(11)와의 점착 상태를 좋게 한다. 절취구(20)의 점착 상태를 살펴보면, 절취구(20)를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만곡되거나 아니면 중간점을 약간 꺾어 굴곡지게 형성하여 테이프권취롤(10)에 권취된 테이프(11)에 넓은 면적으로 점착되게 하고 절취구(20)의 폭방향 단부를 테이프(11)에 밀착되게 한다 해도, 안쪽에 권취된 테이프일수록 권취된 테이프의 곡률 반경이 점차 작아져서 테이프(11)를 절단 폐기할수록 테이프권취롤(10)에 남아있는 테이프와 절취구(20) 사이의 밀착 상태가 달라진다. 반면에 상술한 바와 같이 장요홈(25)을 조성하면 테이프권취롤(10)에 남아있는 테이프의 량이 달라지더라도 테이프권취롤(10)에 남은 테이프에 상기 절취구(20)를 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요홈(25)은 상기 절취구(20)의 양면 중에 테이프(11)에 점착되지 않는 일면에 조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테이프(11)에 점착되는 타면에 조성하여도 상기 절취구(20)를 구부리게 할 수 있으므로, 양면 중에 어느 일면이나 아니면 양면 모두에 조성하여도 된다. 한편, 상기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절취구(2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절곡부(23)를 형성하고, 상기한 장요홈(25)을 일면에 조성한다면, 절곡부(23)에 의해 구부리지 아니하게 되므로, 절곡부(23)의 중간쯤을 절개하거나 아니면 'V'자형의 노치(notch, 미도시)를 형성하여서 절취구(20)를 구부릴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24)은, 상기 절취구(20)의 양면 중에 테이프(11)에 점착되지 않는 외측면에 조성되어서, 청소하고자 하는 면이 매끄럽더라도 상기 절취구(20)를 점착한 테이프권취롤(10)이 청고하고자 하는 면에서 잘 굴러가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요철(24)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이어진 요홈을 복수개로 조성하였으나,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외측으로 돌출된 엠보싱(embossing)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도 9은 상기 도 8의 절취구를 이용한 테이프의 절취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를 향해 수직에 가깝게 절곡 형성된 커터날(22)을 구비한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에 권취된 테이프(11)에 점착한 상태로 핸드롤러(30)를 잡고 움직여 청소하고자 하는 면을 따라 테이프권취롤(10)를 굴리면 테이프(11)의 점착면에 오염물질이 부착됨은 물론이고 절취구(20)가 눌려 커터날(22)로 테이프(11)에 흠집이 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염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분을 절단하기 위해 절취구(20)를 테이프권취롤(10)로부터 떼어내면 커터날(22)에 의해 발생한 흠집이 절취선(14)의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오염물질이 부착된 테이프 부분을 테이프권취롤(10)로부터 풀어 절단할 때에 커터날(22)에 의해 발생한 절취선(14)을 따라 쉽게 절단할 수 있다.
물론, 절취선(14)을 따라 절단할 때에 절단 부위를 더욱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구(20)를 절취선(14)에 맞추어 테이프에 점착한 상태에서 절취선(14)을 따라 절단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테이프권취롤 11 : 테이프 12 : 끝단부 13 : 코어튜브
20 : 절취구 21 : 장공 22 : 커터날 23 : 절곡부
24 : 요철 25 : 장요홈
30 : 핸드롤러 31 : 손잡이 32 : 회동축지지대
33 : 회동축돌기
40 : 회동지지프레임 41 : 축구멍 42 : 원통부 43 : 지지판

Claims (6)

  1. 일면에 점착면이 형성된 테이프(11)를 원통형으로 권취한 것으로서 핸드롤러(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하여 점착면을 이용하여 오염물질를 제거하는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에 있어서,
    테이프(11)의 끝단부(12)를 덮도록 테이프(11)의 폭방향을 가로지르게 길게 형성되되, 테이프(11)의 폭보다는 약간 길게 형성한 장방형의 판재로 형성되어, 테이프(11)에 대고 테이프(11)의 끝단부(12)가 포함된 면을 절단하거나 또는 테이프(11)의 끝단부(12)에 점착한 상태로 당겨 테이프(11)를 푸는 데 사용되는 절취구(2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절취구(20)는, 복수의 장공(21)을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양면 중에 적어도 한쪽 면에 상기 장공(21)의 형성 라인을 따라 장요홈(25)을 형성하여 장공(21)의 형성 라인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게 하며, 양면 중에 테이프(11)에 점착되지 아니하는 면에 요철(24)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구(20)는, 테이프(11)의 감긴 곡면을 따라 굴곡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구(20)는, 길이방향의 양단을 수직 절곡하여서, 권취된 테이프(11)의 측면에 양단 절곡 부위를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구(20)는, 폭방향의 양단부 중에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에 커터날(2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날(22)은, 일정한 간격으로 나열되는 톱날을 테이프(11)를 향해 돌출 성형하되 테이프(11)의 두께만큼 돌출 성형하여서 절취구(20)를 테이프(11)의 점착면에 점착하여 누름에 따라 테이프(11)에 절취선(14)을 형성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6. 삭제
KR1020120056094A 2012-05-25 2012-05-25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KR10120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94A KR101202965B1 (ko) 2012-05-25 2012-05-25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094A KR101202965B1 (ko) 2012-05-25 2012-05-25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2965B1 true KR101202965B1 (ko) 2012-11-21

Family

ID=47565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094A KR101202965B1 (ko) 2012-05-25 2012-05-25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29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39B1 (ko) 2020-09-17 2021-12-10 장기철 롤테이프를 이용한 스탬프식 청소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798A (ja) * 2004-02-27 2005-09-08 F & F:Kk ホルダおよびクリーナ
JP2009207903A (ja) 2009-04-27 2009-09-17 Nitomuzu:Kk ミシン目入り粘着テープ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ミシン目入り粘着テープロ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7798A (ja) * 2004-02-27 2005-09-08 F & F:Kk ホルダおよびクリーナ
JP2009207903A (ja) 2009-04-27 2009-09-17 Nitomuzu:Kk ミシン目入り粘着テープ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ミシン目入り粘着テープロ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739B1 (ko) 2020-09-17 2021-12-10 장기철 롤테이프를 이용한 스탬프식 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0966B2 (ja) 接着面の使用と保管が簡便なテープクリーナー
KR101031968B1 (ko) 롤 형 접착 크리너
US7107643B1 (en) Lint brush with peel-off strips
KR101202965B1 (ko) 절취구를 구비한 크리너용 테이프권취롤
US20020088070A1 (en) Cleaning roller assembly
KR101199838B1 (ko) 접착면의 사용과 보관이 간편한 테이프크리너
KR100736863B1 (ko) 테이프 클리너
KR101194050B1 (ko) 테이프의 절취가 용이한 테이프크리너
JP2008168107A (ja) 粘着テープ掃除具
JP5476529B1 (ja) 粘着ローラクリーナ。
JP4328571B2 (ja) 粘着式清掃具
JP3140158U (ja) ゴミ取り粘着ロ−ル
CN111358401A (zh) 一种应用成卷拖布地面摩擦滚动收卷拖布的拖地装置
JP4815507B2 (ja) ミシン目入り粘着テープ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ミシン目入り粘着テープロール
CN212186400U (zh) 一种与一次性成卷拖布配合的自动更新拖把装置
KR102054705B1 (ko) 머리카락 제거가 용이한 점착테이프 롤 클리너
JP2014236890A (ja) ゴミ取りローラ
KR200439524Y1 (ko) 폼 크린 장치
JPS6124217Y2 (ko)
JPH078411A (ja) 芯無し紙製シート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24214Y2 (ko)
CN212118074U (zh) 一种应用成卷拖布地面摩擦滚动收卷拖布的拖地装置
KR100819357B1 (ko) 양면형 폼 크린 장치
EP1388517A2 (en) Core for rolls of sheet material, particularly paper, relative manufacturing method and brush using said core
JP3019581U (ja) 粘着ローラ型掃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