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059B1 - 농작업기 - Google Patents

농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059B1
KR101201059B1 KR1020110019372A KR20110019372A KR101201059B1 KR 101201059 B1 KR101201059 B1 KR 101201059B1 KR 1020110019372 A KR1020110019372 A KR 1020110019372A KR 20110019372 A KR20110019372 A KR 20110019372A KR 101201059 B1 KR101201059 B1 KR 101201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tilling
stationary
rotating
work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459A (ko
Inventor
게이이치 야기사와
쇼지 가나이
Original Assignee
마쓰야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야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쓰야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10019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059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A01B63/1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A01B63/111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 A01B63/1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operated by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regulating working depth of implements to achieve a constant working dept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01B59/06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of the type comprising at least two lower arms and one upper arm generally arranged in a triangle (e.g. three-point hit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과제] 경운체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농작업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농작업기(1)는, 트랙터(2)의 3점 링크 기구(7)에 연결되는 기체 (21)을 구비한다. 농작업기(1)는, 기체(2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경운체(22)와, 기체(21)에 대해서 상하 회동 가능하며 또한 좌우 회동 가능한 정지체(23)와,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을 구비한다.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은, 정지체(23)의 좌우 회동에는 연동하지 않고 정지체(23)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동부(85)와 이 가동부(85)의 움직임을 검지하는 검지부(86)를 가진다.

Description

농작업기{FARM WORK MACHINE}
본 발명은, 주행차의 주행에 의해 이동하면서 농작업을 하는 농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농작업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농작업기는, 주행차인 트랙터의 기체(機體) 연결부(3점 링크 기구)에 연결되는 기체(機體)와, 이 기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경운(耕耘)작업을 하는 경운체(耕耘體)와, 기체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경운체의 후방에서 정지(整地) 작업을 하는 정지체(整地體)와, 경운체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심(耕深) 일정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은, 농작업기측의 센서 와이어와, 이 센서 와이어의 후단부에 연결된 응답 레버와, 트랙터측의 센서 로드와, 이 센서 로드의 전단부에 연결되어 응답 레버와 걸리거나 벗겨짐이 가능하도록 걸어맞춤하는 센서 레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심 일정 유지 수단에 의해서, 정지체의 상하 회동에 기초하여 트랙터의 기체 연결부가 상하 이동하여 경운체의 경운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일본 실개소63-138004호공보
그리고, 예를 들면 정지체가 기체에 대해서 좌우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또한 기체에 대해서 전후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농작업기에서도, 경운체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경운체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농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농작업기는, 기체 연결부와 이 기체 연결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제어 수단을 구비한 주행차에 연결되어, 이 주행차의 주행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농작업을 하는 농작업기로서, 상기 기체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체와, 이 기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경운작업을 하는 경운체와, 상기 기체에 대해서 좌우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또한 상기 기체에 대해서 전후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운체의 후방에서 정지 작업을 하는 정지체와, 상기 경운체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은, 상기 정지체의 좌우 회동에는 연동하지 않고, 상기 정지체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동부와, 이 가동부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출력하는 검지부를 가지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농작업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농작업기에 있어서, 기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좌우 회동체와, 이 좌우 회동체에 마련되어, 정지체를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정지체 지지체와, 상기 좌우 회동체에 마련된 회동 부재 지지체를 구비하고,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은, 상기 회동 부재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정지체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회동 부재와, 이 회동 부재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가 가동부로 되어 있는 기다란 형상의 부재를 가진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농작업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농작업기에 있어서, 기체는, 입력축을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입력축 유지부를 가지며,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의 회동 부재가, 상기 입력축 유지부의 측방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농작업기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농작업기에 있어서, 회동 부재 지지체는, 기체의 입력축 유지부의 후방 근방 위치에 배치된 제1 판부(板部) 및 이 제1 판부에 마련되어 상기 입력축 유지부의 측방 근방 위치에 배치된 제2 판부를 가지며,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의 회동 부재가, 상기 제2 판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은, 정지체의 좌우 회동에는 연동하지 않고 정지체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동부와, 이 가동부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구동 제어 수단에 출력하는 검지부를 갖기 때문에, 정지체의 좌우 회동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고, 경운체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농작업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농작업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농작업기의 부분 배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농작업기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농작업기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농작업기의 좌우 회동 지점 부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농작업기의 좌우 회동 지점 부근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농작업기의 좌우 회동 지점 부근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농작업기의 정지체 상하 회동시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10은 상기 농작업기의 정지체 좌우 회동시의 동작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1은 농작업기로서, 이 농작업기(1)는, 예를 들면 주행차인 트랙터(2)의 후부(後部)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경운 정지 작업기(로터리)이다. 즉, 농작업기(1)는, 트랙터(2)의 후부에 연결되어, 이 트랙터(2)의 주행에 의해 진행 방향인 전방으로 포장(圃場)상을 이동하면서 경운 정지 작업(농작업)을 하는 것이다.
트랙터(2)는, 엔진 및 운전석 등을 가진 본체인 트랙터 본체(3)를 구비하고 있다. 트랙터 본체(3)의 좌우 양측에는, 전륜(4) 및 후륜(5)이 마련되어 있다. 트랙터 본체(3)의 후단부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PTO축(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트랙터 본체(3)의 후단부에는, 트랙터 본체(3)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한 기체 연결부인 3점 링크 기구(7)가 마련되어 있다. 3점 링크 기구(7)는, 트랙터 본체(3)에 대해서 축(8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한 1개의 상부 링크 (8)와, 트랙터 본체(3)에 대해서 축(9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한 좌우 1쌍으로 2개의 하부 링크(9)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트랙터(2)는, 3점 링크 기구(7)의 하부 링크(9)를 트랙터 본체(3)에 대해서 축(9a)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시키는 구동 제어 수단(11)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 제어 수단(11)은, 트랙터 본체(3)에 대해서 축(12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한 대략 L자 형상의 리프트 아암(12)과, 이 리프트 아암(12)에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고 하단부가 하부 링크(9)에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된 리프트 로드(13)와, 리프트 아암(12)을 트랙터 본체(3)에 대해서 축(12a)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시키는 구동부인 유압 실린더(14)와, 이 유압 실린더(14)를 제어하는 제어부(15)를 가지고 있다. 즉, 구동 제어 수단(11)은, 유압 장치인 유압 실린더(14)의 유압 제어에 의해서 3점 링크 기구(7)를 상하 이동시키는 것이다.
농작업기(1)는, 트랙터(2)의 후부의 3점 링크 기구(7)에 연결된 좌우 방향 기다란 형상의 기체(21)와, 이 기체(21)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트랙터(2)측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소정 방향(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경운작업을 하는 경운체(로터리)(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농작업기(1)는, 기체(21)에 대해서 좌우 방향 축선(상하 회동 지점(支點)) A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또한 기체(21)에 대해서 전후 방향 축선(좌우 회동 지점) B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경운체(22)의 후방에서 정지 작업을 하는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으로 판 형상의 정지체(균평판(均平板))(23)과, 경운 정지 작업시에 경운체(22)의 경운 깊이(경심)를 항상 일정(미리 설정된 설정치)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심 일정 유지 수단(오토 장치)(24)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21)는, 트랙터(2)의 후부의 3점 링크 기구(7)에 탈착 가능하도록 연결된 3점 연결부(26)를 가지고 있다. 3점 연결부(26)는, 1개의 상부 아암(27) 및 좌우 1쌍으로 2개의 하부 아암(28)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체(21)는,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으로 원통형상의 프레임부인 프레임 파이프부(29)를 가지고 있다. 프레임 파이프부(29)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는, 입력축(30)을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상자 형상의 미션 케이스 등의 입력축 유지부(기어박스부)(31)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입력축 유지부(31)은, 농작업기(1)의 좌우 방향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입력축 유지부(31)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된 입력축(30)에는, 트랙터(2)의 PTO축(6)이 유니버설 죠인트 및 전동 샤프트 등으로 이루어진 전동 수단(32)을 통하여 접속되고 있다.
프레임 파이프부(29)의 길이방향 일단부인 좌단부(진행 방향 좌측의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이고 상자 형상의 체인 케이스부(33)의 상부가 부착되어 있다. 프레임 파이프부(29)의 길이방향 타단부인 우단부(진행 방향 우측의 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이고 판 형상의 브래킷부(34)의 상부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소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간 대향하는 좌우의 체인 케이스부(33) 및 브래킷부(34)에 경운체(22)가 회전 가능하도록 가설(架設)되어 있다.
좌측의 경운체 지지부인 체인 케이스부(33)의 후단부의 상부에는, 정지체 (23)의 기체(21)에 대한 전후 방향 축선 B를 중심으로 하는 좌우 회동을 소정 범위 내로 규제하는 규제부인 좌우 회동 규제판(36)이 고정 형성되어 있다. 좌우 회동 규제판(36)에는,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의 장공부(37)가 형성되어 있다. 체인 케이스부(33)의 후단부의 하부에는, 좌측 측판인 사이드 커버판(38)이 고정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경운체 지지부인 브래킷부(34)의 후단부의 상부에는, 정지체(23)의 기체(21)에 대한 전후 방향 축선 B를 중심으로 하는 좌우 회동을 소정 범위 내로 규제하는 규제부인 좌우 회동 규제판(41)이 고정 형성되어 있다. 좌우 회동 규제판(4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의 장공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부(34)의 후단부의 하부에는, 우측 측판인 사이드 커버판(43)이 고정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21)는, 경운체(22)의 상방부를 덮는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이고 판 형상의 경운체 커버부(44)를 가지고 있다. 경운체 커버부(44)의 좌우 방향 중앙부의 상면에는, 수평판부(46a) 및 연직판부(46b)를 가진 고정판(46)이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46)에는, 서로 이간 대향하는 전후 1쌍의 축지지판(47)이 고정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즉, 전측(前側)의 축지지판(47)이 고정판(46)의 수평판부(46a)에 고정 형성되고, 후측(後側)의 축지지판(47)이 고정판(46)의 연직판부 (46b)에 고정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8 등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축지지판(47)에서, 전후방향으로 축방향을 가진 환축(丸軸) 형상의 축체(50)가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축지지판(47)에 형성된 원형상의 구멍부(48)에 수평 형상의 축체(50)가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한편, 축체(50)의 축심을 통과하는 선이, 농작업기(1)의 좌우 방향 중앙 위치에 위치하는 전후 방향 축선 B이다.
또한, 양 축지지판(47)으로 고정적으로 지지된 고정축인 축체(50)의 후부 외주에는, 좌우 회동체(51)가 이 축체(전후 방향 축선 B)(50)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즉, 기체(21)에 대해서 전후 방향 축선 B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 가능한 좌우 회동체(51)가, 기체(21)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전후방향의 축체(50)를 통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우 회동체(51)는,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의 판부(52)와, 이 판부(52)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고정 형성된 전후방향 원통형상의 통부(筒部)(53)를 가지고 있다. 통부(53)는, 축체(50)의 후부 외주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 맞춰지고, 핀 (54)으로 빠짐 방지한 와셔(55)와 후측의 축지지판(47)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판부(오토 부착판)(52)의 좌우 어느 일방측, 예를 들면 좌측이 피부착부(56)가 되고 있다.
또한, 좌우 회동체(51)의 하단부에는, 정지체(23)를 좌우 방향 축선 A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좌우 방향 원통 형상의 정지체 지지체 (57)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즉, 정지체(23)의 상단부에 형성된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이고 원통 형상의 상단 통부(23a)의 좌우 방향 중앙부가, 정지체 지지체 (57)의 내주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좌우 회동체(51)의 판부(52)의 피부착부(56)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판 형상의 회동 부재 지지체(58)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회동 부재 지지체(58)는, 부착구(예를 들면 볼트 및 너트 등)(61)로 피부착부(56)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기체(21)의 입력축 유지부(31)의 후방 근방 위치에 연직 형상으로 배치된 좌우 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의 제1 판부(59)와, 이 제1 판부(59)의 좌단부에 고정 형성되어 이 제1 판부(59)의 좌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입력축 유지부(31)의 측방 근방 위치에 연직 형상으로 배치된 전후방향으로 기다란 형상의 제2 판부(60)를 가지고 있다. 한편, 제2 판부(60)의 대략 전체가 입력축 유지부(31)의 측방 근방 위치에서 그 입력축 유지부(31)의 좌측면과 근접하여 대향하고 있으며, 이 제2 판부(60)의 전단부가 프레임 파이프부(29)의 하방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21)의 스탠드 홀더부(62)에는, 스탠드(63)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체인 케이스부(33) 및 브래킷부(34)의 각 하단부에는, 휘어짐체인 스킷(64)이 부착되어 있다.
경운체(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체인 케이스부(33)의 하부와 우측의 브래킷부(34)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좌우 방향의 경운축인 회전축(71)을 가지고 있다. 회전축(71)의 축방향 일단부인 좌단부가 체인 케이스부 (33)의 하부에서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또한, 회전축(71)의 축방향 타단부인 우단부가 브래킷부(34)의 하부에서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회전축(71)은, 입력축(30)에 접속된 동력 전달 수단(도시하지 않은 체인 및 전동 샤프트 등)으로부터 동력을 받아 소정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축(71)의 외주면에서의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을 둔 복수 개소에는, 판 형상의 플랜지(72)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플랜지(72)에는, 회전축(71)과 함께 회전하면서 경운작업을 하는 경운조 (73)가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정지체(23)는, 판 형상의 정지체 본체(76)를 가지며, 이 정지체 본체(76)의 상단부가 원통형상의 상단 통부(23a)가 되고 있다. 한편, 상단 통부(23a)의 축심을 통과하는 선이, 정지체(23)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우 방향 축선 A이다.
그리고, 상단 통부(23a)의 좌우 방향 중앙부가 정지체 지지체(57)에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상단 통부(23a)의 좌단부가 좌측의 좌우 회동 규제판(36)의 장공부(37) 내에 이 장공부(37)를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단 통부 (23a)의 우단부가 우측의 좌우 회동 규제판(41)의 장공부(42) 내에 이 장공부(42)를 따라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도 3 참조). 한편, 정지체 본체 (76)의 상부에는, 로드 피부착부(75)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정지체 본체(76)의 좌우 방향 양단부에는 정지체 측판(77)이 고정 형성되고, 이 정지체의 측판(77)에는 연장정지체(78)가 접기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기체(21)와 정지체(23)의 사이에는, 정지체(23)의 접지압을 조정하는 접지압 조정 수단(79)이 마련되어 있다.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는, 도 1, 도 4, 도 5, 도 9 및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부재 지지체(58)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정지체(23)의 기체(21)에 대한 좌우 방향 축선 A를 중심으로 하는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상하 회동하는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L자 형상의 회동 부재(81)를 가지고 있다. 회동 부재(81)는, 회동 부재 지지체(58)의 제2 판부(60)의 상부에 좌우 방향의 축(8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기체(21)의 입력축 유지부(31)의 측방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회동 부재 지지체(58)의 전후방향 중간부가 제2 판부(60)에 축(80)을 사이에 두고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회동 부재(81)의 후단부에는, 막대 형상의 연결 부재인 연결 로드(82)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연결 로드(82)의 하단부에는, 정지체(23)의 로드 피부착부(75)에 부착부재(83)를 사이에 두고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회동 부재(81)의 전단부에는, 이 회동 부재(81)의 회동 부재 지지체(58)에 대한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후방 및 전방으로 이동하는 가요성이 있는 선 형상의 기다란 형상 부재인 와이어(84)의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와이어(84)의 전단측은 트랙터(2)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이 와이어(84)의 전단부로 구성된 가동부(85)가, 트랙터(2)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 트랙터측 센서부인 검지부(86)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검지부(86)는, 트랙터(2)의 구동 제어 수단(11)의 제어부(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동부(85)는, 정지체(23)의 기체(21)에 대한 전후 방향 축선 B를 중심으로 하는 좌우 회동에는 연동하지 않고, 정지체(23)의 기체(21)에 대한 좌우 방향 축선 A를 중심으로 하는 상하 회동에만 연동하여 움직인다, 즉 예를 들면 회동 부재(81)의 상향 회동 및 하향 회동에만 연동하여 후방 이동(일방향 동작) 및 전방 이동(일방향 동작에 대해서 반대의 타방향 동작) 한다.
즉, 정지체(23)가 좌우 방향 축선 A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한 경우에는 가동부(85)가 정지체(23)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검지부(86)에 대해서 와이어(8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움직이지만(도 9 참조), 정지체(23)가 전후 방향 축선 B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한 경우에는 가동부(85)가 검지부(86)에 대해서 거의(또는 완전히) 움직이지 않는 구성이 되고 있다(도 10 참조). 한편, 정지체(23)의 좌우 회동시(스윙시)에 가동부(85)가 약간 움직이는 구성의 경우, 그 가동부(85)의 동작량이 검지부(86)로 검지되지 않는 정도이면 된다.
또한, 검지부(86)는, 와이어(84)의 가동부(피검지부)(85)의 움직임(일방향 동작 및 타방향 동작)을 검지하여 그 가동부(85)의 움직임(동작량)에 따른 검지 신호를 트랙터(2)의 구동 제어 수단(11)의 제어부(15)에 출력한다. 그리고, 구동 제어 수단(11)은, 검지부(86)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유압 실린더(14)를 제어하여 3점 링크 기구(7)를 가동부(85)의 움직임에 따라 트랙터 본체(3)에 대해서 상하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정지체(23)의 상하 회동에 따라 기체(21)가 상하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경운체(22)의 경운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와이어(84)는, 가늘고 긴 통 형상의 커버 부재(88)내에 이 커버 부재 (88)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통과되고 있다. 커버 부재(88)의 후단측의 소정 부위가, 회동 부재 지지체(58)의 제2 판부(60)에 고착된 커버 유지부재(89)로 유지되고 있다. 이들 와이어(84), 커버 부재(88), 커버 유지부재(89), 회동 부재 (81), 연결 로드(82), 부착 부재(83) 및 검지부(86) 등에 의해서,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이 구성되고 있다.
다음에, 농작업기(1)의 작용 등을 설명한다.
농작업기(1)가 트랙터(2)의 3점 링크 기구(7)에 연결되어 지지된 상태로, 트랙터(2)가 주행하면, 이 주행에 의해 농작업기(1)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농작업기(1) 전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경운체(22)가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경운작업을 하고, 이 경운체(22)의 후방에서 정지체(23)가 정지 작업을 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체(23)가 기체(21)에 대해서 좌우 방향 축선 A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한 경우에는, 회동 부재(81)가 회동 부재 지지체(58)에 대해서 축(80)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하여 와이어(84) 전체가 이 와이어(84)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동하고, 그 결과, 가동부(85)가 검지부(86)에 대해서 움직인다.
그렇게 되면, 검지부(86)가 그 가동부(85)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출력하고, 트랙터(2)의 구동 제어 수단(11)이 그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3점 링크 기구(7)를 가동부(85)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 이동시킨다. 그 결과, 정지체(23)의 상하 회동에 따라 기체(21)가 상하 이동하여, 경운체(22)의 경운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지체(23)가 기체(21)에 대해서 전후 방향 축선 B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한 경우에는,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의 회동 부재(81)가 좌우 회동체(51), 정지체 지지체(57) 및 회동 부재 지지체(58) 등과 일체가 되어 기체(21)에 대해서 전후 방향 축선 B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즉,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의 대략 전체가 정지체(23)와 일체가 되어 좌우 회동(스윙)한다.
이 때, 와이어(84)의 후단측{농작업기(1)측의 부분}은 기체(21)에 대해서 회동 부재(81)와 함께 약간 상하 이동하지만, 와이어(84)의 전단부의 가동부(85)는 거의 움직이지 않아, 검지부(86)는 가동부(85)를 검지하지 않고 검지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정지체(23)의 좌우 회동에 따라 기체(21)가 상하 이동하는 경우가 없고, 경운체(22)의 경운 깊이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농작업기(1)에 의하면,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은, 정지체(23)의 좌우 회동에는 연동하지 않고 정지체(23)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동부 (85)와 이 가동부(85)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구동 제어 수단(11)에 출력하는 검지부(86)를 갖기 때문에, 정지체(23)의 좌우 회동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고, 경운체(22)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적절한 경운정지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은, 회동 부재 지지체(58)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정지체(23)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회동 부재(81)와 이 회동 부재(81)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가 가동부(85)로 되고 있는 가요성의 와이어 (84)를 갖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구성임에도 불구하고, 경운체(22)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의 회동 부재(81)가 회동 부재 지지체(58)의 제2 판부(60)에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기체(21)의 입력축 유지부(31)의 측방 근방 위치{농작업기(1)의 좌우 방향 중앙 부근}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체(23)의 좌우 회동에 의한 악영향을 받지 않고, 경운체(22)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고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이 좌우 회동체(51)의 좌측에 회동 부재 지지체(58)를 사이에 두고 부착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경심 일정 유지 수단(24)을 좌우 회동체(51)의 우측에 회동 부재 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1 농작업기
2 주행차인 트랙터
7 기체 연결부인 3점 링크 기구
11 구동 제어 수단
21 기체
22 경운체
23 정지체
24 경심 일정 유지 수단
30 입력축
31 입력축 유지부
51 좌우 회동체
57 정지체 지지체
58 회동 부재 지지체
59 제1 판부
60 제2 판부
81 회동 부재
84 기다란 형상 부재인 와이어
85 가동부
86 검지부
A 좌우 방향 축선
B 전후 방향 축선

Claims (4)

  1. 기체(機體) 연결부와 이 기체 연결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제어 수단을 구비한 주행차에 연결되고, 이 주행차의 주행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농작업을 하는 농작업기로서,
    상기 기체 연결부에 연결되는 기체(機體)와,
    이 기체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경운(耕耘)작업을 하는 경운체(耕耘體)와,
    상기 기체에 대해서 좌우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또한 상기 기체에 대해서 전후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경운체의 후방에서 정지(整地) 작업을 하는 정지체(整地體)와,
    상기 경운체의 경운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경심(耕深) 일정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은,
    상기 정지체의 좌우 회동에는 연동하지 않고, 상기 정지체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가동부와, 이 가동부의 움직임을 검지하여 검지 신호를 상기 구동 제어 수단에 출력하는 검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체의 좌우 방향 중앙부에 좌우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좌우 회동체와,
    이 좌우 회동체에 설치되어, 정지체를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정지체 지지체와,
    상기 좌우 회동체에 설치된 회동 부재 지지체를 구비하고,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은,
    상기 회동 부재 지지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정지체의 상하 회동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회동 부재와,
    이 회동 부재에 일단부가 부착되고, 타단부가 가동부로 되고 있는 기다란 형상의 부재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기체는, 입력축을 회전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입력축 유지부를 가지며,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의 회동 부재가, 상기 입력축 유지부의 측방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회동 부재 지지체는, 기체의 입력축 유지부의 후방 근방 위치에 배치된 제1 판부(板部) 및 이 제1 판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축 유지부의 측방 근방 위치에 배치된 제2 판부를 가지며,
    경심 일정 유지 수단의 회동 부재가, 상기 제2 판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KR1020110019372A 2011-03-04 2011-03-04 농작업기 KR101201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72A KR101201059B1 (ko) 2011-03-04 2011-03-04 농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372A KR101201059B1 (ko) 2011-03-04 2011-03-04 농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459A KR20120100459A (ko) 2012-09-12
KR101201059B1 true KR101201059B1 (ko) 2012-11-14

Family

ID=4711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372A KR101201059B1 (ko) 2011-03-04 2011-03-04 농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0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8004U (ko) 1987-03-03 1988-09-12
JP2574064B2 (ja) 1990-10-18 1997-01-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854501B2 (ja) 1993-05-11 1999-02-03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の操向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8004U (ko) 1987-03-03 1988-09-12
JP2574064B2 (ja) 1990-10-18 1997-01-22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2854501B2 (ja) 1993-05-11 1999-02-03 株式会社クボタ 刈取収穫機の操向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459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73569A (ja) 作業車
KR101201059B1 (ko) 농작업기
JP2007215520A (ja) 乗用型田植機
JP2013183709A (ja) 農業用トラクタ
JP2015223094A (ja) 作業車両
JP2011036209A (ja) 歩行型管理機
WO2020241811A1 (ja) トラクタ
JP2019013194A (ja) 農作業機
JP6241942B2 (ja) 作業車両の操舵装置
JP7219162B2 (ja) トラクタ
JP6247146B2 (ja) 乗用田植機
JP6794097B2 (ja) トラクタ
JP6247144B2 (ja) 乗用田植機
JP2000116211A (ja) 乗用田植機の植付部連結構成
JP2012187065A (ja) 農作業機の延長整地板回動装置
JP2012187066A (ja) 農作業機の延長整地板回動装置
JP5045534B2 (ja) トラクタ
JP4585248B2 (ja) トラクタの作業機連結装置
JP4944634B2 (ja) 歩行型作業機
JP2020191842A (ja) トラクタ
JP2020099223A (ja) 作業車
JP6123638B2 (ja) 作業車両
JP2014158424A (ja) 農用車両の車輪昇降装置
JP2020103259A (ja) 農作業機
JP2013086766A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