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1005B1 - 분리 용기, 어태치먼트 및 분리 방법 - Google Patents

분리 용기, 어태치먼트 및 분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1005B1
KR101201005B1 KR1020107007490A KR20107007490A KR101201005B1 KR 101201005 B1 KR101201005 B1 KR 101201005B1 KR 1020107007490 A KR1020107007490 A KR 1020107007490A KR 20107007490 A KR20107007490 A KR 20107007490A KR 101201005 B1 KR101201005 B1 KR 10120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paration
chamber
sperm
sample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544A (ko
Inventor
게이코 이토
사토시 히라이
오사무 오키츠
야스노리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66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1Test tubes specially adapted for centrifugat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6Fluid interfacing between devices or objects, e.g. connectors, inlet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6Function or devices integrated in the closure
    • B01L2300/047Additional chamber,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09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 B01L2300/0618Holders integrated in container to position an object for removable separatio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2035/00465Separating and mixing arrangements
    • G01N2035/00495Centrifu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필요한 성분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리 용기를 제공한다. 원심 분리에 의해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바닥부에 모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용기(1)로서, 용기 본체(11)와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11)는,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하단이 바닥부인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 용기이고, 상기 구획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12)을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11) 내부는, 상기 격벽(12)에 의해 시료 도입실(14) 및 분리 대상물 도출실(15)로 구획되고,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은, 격벽(12) 하부의 관통 구멍(13)에 의해 연통되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의 하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채취관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 대상물을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여 상기 용기 본체(11) 밖으로 회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 용기, 어태치먼트 및 분리 방법{SEPARATION CONTAINER, ATTACHMENT AND SEPARATION METHOD}
본 발명은, 분리 용기, 어태치먼트 및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불임증에는, 남성측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되는 케이스가 5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남성 불임증으로는, 예컨대 조정(造精) 기능 장애 및 성기능 장애를 들 수 있다. 정액 소견에서 본 남성 불임증으로는, 정액 중의 정자 농도가 낮은 정자 부족증, 정액 중에 정자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무정자증, 정자의 운동 능력이 부족한 정자 무력증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남성 불임증에 대해서는, 호르몬 요법 등으로 정자의 증가를 도모하는 방법이 있다. 정색정맥류(精索靜脈瘤) 등의 폐색성 질환의 경우는, 정로 재건술 등의 수술 요법이 적용된다. 이러한 요법으로는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나 무정자증의 경우는, 인공 수정법(artificial insemination : AI), 체외 수정법(in vitro fertilization : IVF) 및 현미(顯微) 수정법(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 ICSI) 등의 생식 보조 의료(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 ART)가 적용되고 있다.
생식 보조 의료에 사용하는 정자의 조제 방법으로는, 밀도 구배 원심에 의한 분리법(밀도 구배 원심법) 및 정자의 운동성을 이용한 분리법(스윔업법)을 들 수 있다. 전자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퍼콜(percoll)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퍼콜에 정액 또는 정소 조직을 중층(重層)하고, 원심 분리에 의해 밀도 구배를 형성하여, 정액 또는 정소 조직 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성숙한 정자만을 최하층으로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 조작의 과정에서, 정자는 세정 및 농축되고, 정자의 운동률 및 농도가 높아진다. 후자의 방법은, 우선, 정액으로부터 원심 분리에 의해, 정액 중 정자를 제외한 액체 성분인 정장(精漿)을 제거하고,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의 농도가 높은 상태로 한다. 이어서, 상청(정장)을 제거한 후, 배지(培址)가 들어 있는 시험관 등의 용기의 바닥부에,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가라앉히고, 양호하고 고활성인 정자만이 직선 운동으로 상기 배지의 상부로 유영하여 부상해 오는 것을 이용하여, 성숙 운동 정자를 얻는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정자를 세정 및 농축함으로써 수정 기회가 증가하여, 수정 확률의 향상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수정에 장애가 되는 정장이나 잡균 등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전자(前者)의 밀도 구배 원심법에서는, 원심관의 바닥부에 침전된 정자를, 원심관 상부의 개구를 통해 피펫을 삽입하여 채취할 때, 퍼콜의 중층(中層) 부근에 존재하는 성분이 피펫에 부착되어, 이들이 정자 중에 혼입된다는 문제가 있다. 퍼콜의 중층 부근에는, 정장 또는 정소 조직 성분이 존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세균,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정장 및 정소 조직 성분의 혼입은 정자의 희석화로 이어져, 정자의 운동성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세균 또는 바이러스의 혼입은, 수정란 및 태어날 아기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고, 또한 정자를 조제하는 조작자의 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후자(後者)의 스윔업법에도 동일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도 구배 원심법에 적용하는 정자 채취 용구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유리제 원심관의 바닥부의 직경을 작게 하고, 상기 바닥부에 용이하게 커팅하기 위한 취약부가 형성된 채취구(採取具)가 개시되어 있다. 이 채취구는, 우선, 정자를 원심 분리로 침전시킨 후, 상부 개구에 스포이드 고무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의 상기 취약부를 커팅하여, 상기 채취구의 하단을 개구하고, 이어서, 상기 스포이드 고무를 압축하여 상기 채취구 내부에 양압(陽壓)을 발생시켜, 상기 하단의 개구를 통해 침전된 정자를 외부로 도출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상기 채취구를 개량한 것으로서, 상기 취약부를 갖는 직경이 작은 바닥부를 보호하는 유지구를 갖는 채취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채취구는, 상기 취약부를 커팅하여 정자를 도출하기 때문에, 커팅시에 발생하는 파단편이 정자에 혼입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채취구에서는, 커팅 조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자가 조작을 잘못하면 손가락 등에 상처를 입을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용기 본체 속에 내통이 삽입된 채취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채취구에서는, 내통의 바닥부는 개구되어 있고, 원심 분리시에, 상기 개구는 마개로 폐색되어 있다. 상기 내통의 개구를 마개로 폐색한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내통 사이에 퍼콜을 넣고, 그 위에 시료를 중층하며, 원심 분리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에 정자를 침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통에 피펫을 삽입하고, 상기 피펫의 선단으로 상기 마개를 상기 용기 본체측으로 밀어서 제거하며, 상기 피펫 선단을 용기 본체의 바닥부로 이동시켜, 정자를 흡인하여 채취한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상기 채취구를 개량한 것으로서, 마개의 선단 형상을 첨각(尖角) 형상으로 하고, 상기 마개가 상기 내통 하단의 개구로부터 탈락되어 상기 용기 본체 바닥부에 낙하한 경우, 상기 마개가 탈락 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쓰러지도록 한 것이다. 개량한 채취구에서는, 탈락시킨 마개의 방해를 받지 않고, 피펫을 용기 본체 바닥부에 삽입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3 및 4에 개시된 채취구에서는, 내통의 하단 개구가 마개로 폐색되어 있지만, 원심 처리시에, 마개가 원심력으로 탈락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5에는, 원심관 속에 채취관을 배치한 채취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채취구에서는, 원심 분리후 상기 채취관에 시린지(syringe)를 접속하고, 상기 원심관의 바닥부에 침전된 정자를 흡인하여 채취한다. 그러나, 이 채취구에서는, 상기 채취관이 1점에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원심 분리시의 원심력에 의해 탈락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채취관의 선단이 상기 원심관의 바닥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원심 분리시에 상기 채취관의 선단에 의해 정자가 물리적 손상을 받을 우려도 있다.
특허문헌 6에는, 바닥이 있는 관 속에, 선단 및 후단이 개구된 튜브체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 채취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채취구에서는, 상기 바닥이 있는 관 및 상기 튜브체에 퍼콜을 충전하며,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튜브체의 퍼콜 상에 시료를 중층하여 원심 분리하고,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바닥이 있는 관의 바닥부에 정자를 침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튜브체를 제거한 후, 피펫으로 상기 바닥이 있는 관의 바닥부의 정자를 채취한다. 그러나, 이 채취구에서는, 상기 튜브체를 제거한다고 하는 번잡한 조작을 해야 한다.
이러한 채취구의 문제는, 생식 보조 의료에서 정자의 조제시의 문제이지만, 원심 분리에 의해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분야에서도 공통된 문제이기도 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880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523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9-28574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469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13500호 공보 재공표 특허 WO2005/030399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은, 불필요한 성분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심 분리시에 부재의 탈락이 일어나지 않고, 안전성이 우수하며, 간단한 조작으로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할 수 있는 분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원심 분리에 의해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바닥부에 모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용기로서,
용기 본체와,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는, 상단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하단이 바닥부인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 용기이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갖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2개 이상의 실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2개 이상의 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시료 도입실이고,
나머지 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며,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은, 각각의 하부에서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은, 각각 원심 처리액이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채취관을 삽입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의 상기 분리 대상물을,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여 상기 용기 본체 밖으로 회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 용기에서는, 상기 구획부에 의해, 용기 내부가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로, 즉 2개의 실로 구획되고, 상기 2개의 실은 그 하부에서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시료를 상기 시료 도입실에 넣고 원심 분리하면, 분리 대상물은 상기 분리 용기 본체의 하부, 즉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 또는 적어도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에 침전된다. 시료가 불필요한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원심 분리에 있어서, 상기 시료 도입실에서는, 예컨대 상층 또는 중층에, 상기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필요한 성분이 존재하지만,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는 상기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필요한 성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채취관을 삽입하여, 침전되어 있는 분리 대상물을 채취해 회수하면, 상기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순물 등의 불필요한 성분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 대상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용기에 의하면, 상기 시료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을 농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예컨대, 정자의 세정 및 농축에 사용하면, 정액 또는 정소 조직에서 유래하는 불필요한 성분이나 세균 등의 불순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농축 정자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윔업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스윔업법에 적용하는 경우, 우선 시료 도입실에 시료를 도입하여 원심 분리하면, 성숙 정자는 용기 본체 하부, 즉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 또는 적어도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에 침전된다. 상기 시료 도입실에는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순물이 존재하지만,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는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성숙 정자는, 불순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을 유영하여 부상해 오기 때문에, 이것을 채취해 회수하면, 불순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성숙 정자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단순하고 견고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원심 분리시에 부재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간단한 조작으로 분리 대상물을 채취해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A) 및 (B)는, 실시예 1의 분리 용기를 이용하여 시료로부터 정자를 분리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분리 용기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의 (A)는 실시예 2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정면도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4의 (D)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평면도이고, 도 4의 (E)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실시예 2에서의 어태치먼트를 용기 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4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실시예 3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정면도이며, 도 6의 (C)는 도 6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6의 (D)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실시예 3에서의 어태치먼트를 용기 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6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실시예 4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정면도이며, 도 8의 (C)는 도 8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8의 (D)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9의 (A)는 실시예 4에서의 어태치먼트를 용기 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8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실시예 5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분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의 (B) 및 (C)는 실시예 6의 분리 용기를 이용한 시료로부터의 정자의 분리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실시예 6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13의 (B)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정면도이며, 도 13의 (C)는 도 13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13의 (D)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14의 (A)는 실시예 6에서의 어태치먼트를 용기 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3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5의 (A) 및 (B)는, 실시예 6에서의 다른 구성의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의 (A) 및 (B)는, 실시예 6에서의 또 다른 구성의 어태치먼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어태치먼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7의 (B), (C) 및 (D)는 본 예의 분리 용기를 이용한 시료로부터의 정자의 분리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분리 용기의 구성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8의 (B)는 도 18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9의 분리 용기를 이용한 시료로부터의 정자의 분리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그 밖의 분리 용기를 이용한 시료로부터의 정자의 분리 방법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시료 도입실 및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란, 예컨대,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그 사이의 격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 등에 의해, 처음부터 연통되어 있어도 되고,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을 완전히 이격된 상태로 형성해 두고, 필요에 따라서 연통시켜도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후자의 경우,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을 연통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사이의 격벽에, 피펫 등의 채취관에 의해 구멍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분리 용기>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 분리에 의해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바닥부에 모아 분리하기 위한 분리 용기로서,
용기 본체와,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는, 상단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하단이 바닥부인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 용기이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갖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2개 이상의 실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2개 이상의 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시료 도입실이고,
나머지 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며,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은, 각각의 하부에서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은, 각각 원심 처리액이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채취관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의 상기 분리 대상물을,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여 상기 용기 본체 밖으로 회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로는,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제1 내지 제4의 분리 용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평판형의 격벽을 갖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로는, 예컨대,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평판형의 격벽이고,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해,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는, 예컨대, 상기 격벽의 하부의 관통 구멍 대신에, 또는 이것에 더하여, 상기 격벽의 밑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 관통 구멍을 갖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로는, 예컨대,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평판형의 격벽이고, 상기 격벽의 높이가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짧으며, 상기 격벽의 밑변보다 하측에, 상기 격벽의 밑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에 의해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해,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격벽은, 예컨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 상기 시료 도입실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상기 격벽은, 그 길이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시료 도입실측을 향해 경사진 형상이어도 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예컨대, 스윔업법에 의한 정자의 세정 농축에 적용한 경우, 성숙 정자의 회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구획부는 격벽 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격벽 고정부에 의해,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지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획부는, 예컨대, 상기 격벽 자체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지지 고정되어 있어도 되지만, 별도로 상기 격벽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을 지지 고정하면, 예컨대, 원심 분리시에 탈락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용기는, 상기 구획부가 이하에 나타내는 제1의 내용기를 갖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용기로는, 예컨대,
상기 구획부가 제1의 내용기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한 외경 및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의 일부의 형상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의 일부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의 그 밖의 부분의 형상은 평면형상이며,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측벽 부분이 상기 격벽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 내주면의 동일 형상 부분이 서로 접한 상태로, 그리고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동일 형상 부분 이외의 내주면이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로,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내용기는 내용기 고정부를 갖고, 상기 내용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지지 고정되고,
상기 내용기 내부의 실이 상기 시료 도입실이며,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중의 상기 접해 있는 면 이외의 면에 의해 형성된 실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인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은, 상기 축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내용기 내부를 향해 경사진 형상이어도 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예컨대, 스윔업법에 의한 정자의 세정 농축에 적용한 경우, 성숙 정자의 회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분리 용기는, 상기 구획부가 이하에 나타내는 제2의 내용기를 갖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3의 분리 용기로는, 예컨대,
상기 구획부가 제2의 내용기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의 측벽 전체가 상기 격벽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이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로,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내용기가 내용기 고정부를 갖고, 상기 내용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지지 고정되며,
상기 내용기 내부의 실이 상기 시료 도입실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실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인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분리 용기는, 상기 구획부 대신, 이하에 나타내는 제3의 내용기를 갖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제4의 분리 용기로는, 예컨대,
상기 구획부 대신 제3의 내용기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한 외경 및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형상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내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내용기 외주면이 상기 용기 본체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지지 고정되며,
상기 내용기는 양압 발생부를 갖고,
상기 양압 발생부는, 상기 내용기의 상부 개구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내용기를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한 상태로 상기 내용기 내부에 상기 시료를 도입하고, 상기 시료 중의 분리 대상물을 원심 분리에 의해 상기 내용기의 하부로 이동시키며, 이 상태로 상기 내용기를 상기 용기 본체에서 꺼내고, 상기 양압 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압력으로, 상기 내용기의 하부 개구 또는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분리 대상물을 도출할 수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에서, 예컨대, 상기 격벽 고정부 또는 상기 내용기 고정부는, 예컨대, 상기 고정부 전체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격벽 또는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지지 고정되어도 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부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격벽 또는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지지 고정되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구획부(예를 들어, 상기 격벽 또는 상기 제1, 제2 또는 제3의 내용기)는, 예컨대, 각각 상기 용기 본체와 일체화된 형태이어도 되고,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형태이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상기 구획부를 갖는 부재로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를 용기 본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구획부는 파지부를 더 가져도 된다. 상기 파지부는, 예컨대, 상기 구획부를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했을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가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경우, 노출된 상기 파지부를 붙잡음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한 착탈 조작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의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덮개부를 가짐으로써, 예컨대 상기 분리 용기 내부에 충전한 원심 처리액이나 시료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불순물이 외부에서 상기 분리 용기 내부로 혼입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부는, 예컨대, 상기 용기 본체와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태이어도 되고, 상기 용기 본체와는 별개의 부재이며, 사용시에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내용기를 갖는 제2, 제3 및 제4의 분리 용기의 경우, 상기 덮개부는, 상기 형태 외에, 예컨대, 상기 내용기에 장착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구체예로서, 상기 제2 및 제3의 분리 용기의 경우, 상기 덮개부는, 예컨대, 내용기와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태이어도 되고, 상기 내용기와는 별개의 부재이며, 사용시에 상기 내용기에 장착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상기 제4의 분리 용기의 경우, 예컨대, 상기 용기 본체 및 상기 내용기와는 별개의 부재이며, 사용시에 상기 내용기에 장착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상기 덮개부의 장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나사 결합, 맞물림, 끼워 맞춤, 압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내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에 착탈 가능한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심 분리후에 상기 내용기를 상기 용기 본체에서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용기를 꺼냄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분리 대상물을 회수하기 위한 채취관을 한층 더 삽입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충전하는 원심 처리액의 양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예컨대, 상기 내용기 내부의 상기 시료 도입실에 잔존하는 액체(예를 들어, 불순물을 포함하는 시료 등)가, 상기 내용기를 꺼냄으로써, 상기 내용기 하부의 관통 구멍 또는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분리 대상물을 포함하는 원심 처리액 중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을 채용할 때에는, 상기 덮개부는, 예컨대, 상기 내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내용기 상부의 개구,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료 도입실의 상부의 개구가, 상기 덮개부와의 접촉에 의해 실질적으로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라면, 상기 내용기의 내부는 기밀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내용기 하부의 관통 구멍 또는 개구를 통해, 상기 내용기 내부의 시료 도입실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액체가 새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예컨대, 상부에,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용기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과 상기 분리 용기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상기 관통 구멍은, 전자 및 후자 중 어느 한쪽이어도 되지만, 양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가 상기 덮개부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원심 분리시의 상기 시료 도입실 내부의 압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부의 압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은, 예컨대, 폐색할 수 있어도 되고, 개폐 정도를 조정할 수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개폐 가능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상기 시료 도입실 내부의 압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압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료 도입실에 충전한 시료를 상기 시료 도입실 내에 머무르게 하는 경우에는, 관통 구멍을 폐쇄한 상태로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심 분리후,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의 관통 구멍 또는 개구부의 근방에 분리 대상물이 잔존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의 관통 구멍을 개방함으로써, 잔존하는 분리 대상물을 상기 시료 도입실에서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로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상기 시료 도입실에 충전한 액체의 액면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충전한 액체의 액면을 평형으로 하는 경우는, 상기 상부의 관통 구멍을 개방한 상태로 원심 분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 구멍의 개폐는, 예컨대, 손이나 손가락으로 해도 되고, 상기 관통 구멍에 개폐 조정부를 형성하여, 예컨대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의 개구 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용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로부터 노출된 상기 파지부를 갖는 경우, 상기 파지부에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원심 분리후 분리 대상물을 회수하기 전에, 상기 분리 용기로부터 상기 내용기를 꺼내는 경우에는, 예컨대, 상기 시료 도입실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막고, 상기 파지부를 잡아 상기 내용기를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을 막음으로써 상기 시료 도입실 내부의 기밀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시료 도입실 내부에서 불순물 등을 포함하는 액체가 새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공기가 통과할 수 있고, 불순물이 외부로부터 침입하지 못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은, 통기 필터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통기 필터로는, 예컨대, 다공성 필터나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소수성 필터가 바람직하고, 예컨대, 불소계 수지 등의 소수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필터나, 상기 소수성 폴리머로 코팅된 필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의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시료로부터 정자를 분리하기 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시료로부터의 정자의 분리에 이용하는 경우, 그 분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밀도 구배 원심법이나, 스윔업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밀도 구배 원심법에 사용하는 경우, 정자의 분리 이외에도, 예컨대, 세포 소기관의 분리, DNA 또는 RNA의 분리, 혈액의 특정 성분(예를 들어, 백혈구)의 분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스윔업법에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액체를 주입하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에 침전되어 분리된 정자를, 상기 액체 속을 유영하여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상부로 부상하게 하여, 상기 부상한 정자를 채취해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처리액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원심 분리에서 용기 본체 내에 주입되는 액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예로는, 예컨대, 퍼콜 등의 밀도 구배 담체, 배지,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배지로는, 예컨대, 정자 등의 분리 대상물에 적합한 액체를 들 수 있다. 또한, 스윔업법의 경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는, 상기 액체로서, 예컨대, 정자가 유영할 수 있는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상기 배지를 들 수 있다. 상기 배지의 구체예로는, 예컨대, HEPES를 함유한 액체 등을 들 수 있다.
<어태치먼트>
이어서,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는, 본 발명의 분리 용기에 사용하는 어태치먼트로서,
상기 어태치먼트는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갖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2개 이상의 실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부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2개 이상의 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시료 도입실이 되고,
나머지 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되며,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각각의 하부에서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로는, 예컨대, 이하에 나타내는 제1 내지 제4의 어태치먼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는,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평판형의 격벽을 갖는 형태이며,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로는,
상기 격벽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평판형의 격벽이고,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해,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로는, 예컨대, 상기 격벽의 하부의 관통 구멍 대신에, 또는 이것에 더하여, 상기 용기 본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격벽의 밑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에 의해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형태이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로는, 예컨대,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의 평판형의 격벽이며,
상기 격벽의 높이가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짧고, 상기 격벽의 밑변보다 하측에, 상기 격벽의 밑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에 의해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해,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형태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에서, 상기 격벽은,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 상기 시료 도입실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격벽은, 그 길이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시료 도입실측을 향해 경사진 형상이어도 된다. 본 형태에 의하면, 예컨대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분리 용기를, 스윔업법에 의한 정자의 세정 농축에 적용한 경우, 성숙 정자의 회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에서, 상기 구획부는 격벽 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격벽 고정부에 의해,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지지 고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은, 예컨대, 상기 격벽 자체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 내에 지지 고정되어 있어도 되지만, 별도로 상기 격벽 고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격벽을 지지 고정하면, 예컨대, 원심 분리시에 탈락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의 어태치먼트는, 상기 구획부가 이하에 나타내는 제1의 내용기를 갖는 형태이며,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용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어태치먼트로는, 예컨대,
상기 구획부가 제1의 내용기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한 외경 및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의 일부의 형상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의 일부의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의 그 밖의 부분의 형상은 평면형상이며,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측벽 부분이 상기 격벽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 내주면의 동일 형상 부분이 서로 접한 상태로, 그리고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동일 형상 부분 이외의 내주면이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로,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기가 내용기 고정부를 갖고, 상기 내용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지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기 내부의 실이 상기 시료 도입실이 되고,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중의 상기 접해 있는 면 이외의 면에 의해 형성된 실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2의 어태치먼트에서,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이, 상기 축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내용기 내부를 향해 경사진 형상인 형태이어도 된다. 본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분리 용기를, 예컨대, 스윔업법에 의한 정자의 세정 농축에 적용한 경우, 성숙 정자의 회수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어태치먼트는, 상기 구획부가 이하에 나타내는 제2의 내용기를 갖는 형태이며, 본 발명의 제3의 분리 용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어태치먼트로는, 예컨대,
상기 구획부는 제2의 내용기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의 측벽 전체가 상기 격벽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이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로,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기가 내용기 고정부를 갖고, 상기 내용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지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내용기 내부의 실이 상기 시료 도입실이 되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실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제4의 어태치먼트는, 상기 구획부 대신, 이하에 나타내는 제3의 내용기를 갖는 형태이며, 본 발명의 제4의 분리 용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의 어태치먼트로는, 예컨대,
상기 구획부 대신 제3의 내용기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는, 상기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한 외경 및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형상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내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경우, 상기 내용기 외주면이 상기 용기 본체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지지 고정 가능하며,
상기 내용기는 양압 발생부를 갖고,
상기 양압 발생부는, 상기 내용기의 상부 개구에 착탈 가능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는, 파지부를 더 가져도 되고, 상기 파지부는, 예컨대, 상기 어태치먼트를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했을 때,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출된 상기 파지부를 붙잡음으로써,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의 상기 용기 본체에 대한 착탈 조작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는 상기 상단의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덮개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이 덮개부를 가짐으로써, 예컨대 상기 어태치먼트를 장착한 분리 용기 내부에 충전한 원심 처리액이나 시료 등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과, 불순물이 외부에서 상기 분리 용기 내부로 혼입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부는, 예컨대 내용기와 부분적으로 연결된 형태이어도 되고, 상기 내용기와는 별개의 부재이며, 사용시에 상기 내용기에 장착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상기 내용기에 장착하는 덮개부는, 예컨대 상기 내용기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의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의 장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나사 결합, 맞물림, 끼워 맞춤, 압접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심 분리후, 상기 용기 본체에서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태치먼트를 꺼냄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외부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회수하기 위한 채취관을, 한층 더 삽입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충전하는 원심 처리액의 양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예컨대, 상기 어태치먼트 내부의 상기 시료 도입실에 잔존하는 액체(예를 들어, 불순물을 포함하는 시료 등)가, 상기 어태치먼트를 꺼냄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 하부의 관통 구멍 또는 개구를 통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분리 대상물을 포함하는 원심 처리액 중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을 채용할 때에는, 상기 덮개부를 상기 어태치먼트에 장착함으로써, 상기 어태치먼트 상부의 개구가, 상기 덮개부와의 접촉에 의해 실질적으로 막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라면, 상기 어태치먼트의 내부는 기밀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어태치먼트 하부의 관통 구멍 또는 개구를 통해, 상기 어태치먼트 내부의 시료 도입실의 불순물을 함유하는 액체가 새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가,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로부터 노출된 상기 파지부를 갖는 경우, 상기 파지부에 상기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관통 구멍으로는, 예컨대,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용기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과 상기 분리 용기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들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은, 전자 및 후자 중 어느 한쪽이어도 되지만, 양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 구멍에 관해서는, 상기 본 발명의 분리 용기에 관한 설명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의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분리 용기와 마찬가지로, 시료로부터 정자를 분리하기 위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분리 용기를, 시료로부터의 정자의 분리용으로 이용하는 경우, 그 분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밀도 구배 원심법이나, 스윔업법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밀도 구배 원심법에 사용하는 경우, 정자의 분리 이외에도, 예컨대, 세포 소기관의 분리, DNA 또는 RNA의 분리, 혈액의 특정 성분(예를 들어, 백혈구)의 분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스윔업법에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액체를 주입하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에 침전되어 분리된 정자를, 상기 액체 속을 유영하여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상부로 부상하게 하여, 상기 부상한 정자를 채취해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처리액 및 스윔업법에 사용하는 액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분리 방법>
본 발명의 분리 방법은,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분리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본 발명의 분리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또는 제4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방법은, 하기 (A) 내지 (D)의 공정을 갖는다.
(A)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원심 처리액을 충전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상기 시료 도입실에 상기 시료를 도입하는 공정
(C)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공정
(D) 상기 (C)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채취관을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삽입하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의 상기 분리 대상물을,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여 상기 용기 본체 밖으로 회수하는 공정
본 발명에서, 상기 원심 처리액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퍼콜 등의 밀도 구배 담체, 정자 등의 분리 대상물에 적합한 액체, 정자가 유영할 수 있는 액체, 완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의 다른 분리 방법에서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방법은, 예컨대, 밀도 구배 원심법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방법에서, 상기 원심 처리액은, 상기 밀도 구배 담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공정에서, 상기 시료 도입실의 상기 밀도 구배 담체 상에 상기 시료를 중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방법은, 예컨대, 상기 분리 대상물로서 정자를 시료로부터 회수할 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 대상물이 정자인 경우, 상기 시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정자를 포함하는 시료를 들 수 있다. 상기 시료로는, 예컨대, 정액, 정소 조직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시료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정액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방법에 관해, 정자의 분리에 적용하는 예로서, 제2, 제3 및 제4의 분리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방법으로는, 분리 대상물이 정자이고, 예컨대, 상기 (C) 공정 및 (D) 공정이, 하기 (C2) 공정 및 (D2) 공정인 형태를 들 수 있다.
(A)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원심 처리액을 충전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상기 시료 도입실에 상기 시료를 도입하는 공정
(C2)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 중의 정자를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에 침전시키는 공정
(D2) 상기 (C2)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채취관을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삽입하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의 상기 정자를,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여 상기 용기 본체 밖으로 회수하는 공정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방법은, 예컨대, 상기 밀도 구배법을 적용한 형태이다. 이 경우, 상기 원심 처리액으로는, 예컨대, 퍼콜 등의 밀도 구배 담체가 바람직하고, 상기 (B) 공정에서, 상기 시료는, 상기 시료 도입실의 상기 밀도 구배 담체 상에 중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의 분리 방법으로는, 분리 대상물이 정자이고, 예컨대, 상기 (C) 공정 및 (D) 공정이, 하기 (C3) 공정 및 (D3) 공정인 형태를 들 수 있다.
(A)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원심 처리액을 충전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상기 시료 도입실에 상기 시료를 도입하는 공정
(C3)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 중의 정자를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에 침전시키는 공정
(D3) 상기 (C3)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상부로 유영해 온 정자를 채취해 회수하는 공정
본 발명의 제3의 분리 방법은, 예컨대, 스윔업법을 적용한 형태이다.
상기 제3의 분리 방법은, 예컨대, 상기 (C3) 공정 및 (D3) 공정이, 하기 (C3') 공정 및 (D3') 공정이어도 된다.
(C3') 상기 원심 분리후, 상청(上淸)의 상기 원심 처리액을 제거하고, 이어서, 정자가 유영할 수 있는 액체를 상기 시료 도입실 및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충전하는 공정
(D3') 상기 (C3')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상부로 유영해 온 정자를 채취해 회수하는 공정
본 형태는, 예컨대, 상기 밀도 구배법과 스윔업법의 조합을 적용한 형태이다. 이와 같이, 밀도 구배법을 행한 후, 상기 원심 처리액을 제거하고, 또한 상기 액체를 충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성숙 정자의 세정 및 회수를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원심 처리액으로는, 예컨대, 퍼콜 등의 밀도 구배 담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3') 공정에서 충전하는 액체는, 정자가 유영할 수 있는 액체이면 되고,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전술한 정자의 배지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분리 방법에서, 상기 제1의 내용기를 갖는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용기, 또는 상기 제2의 내용기를 갖는 본 발명의 제3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예컨대, 이하의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심 분리를 행하는 상기 (C) 공정후 및 분리 대상물을 채취하는 상기 (D) 공정전에, 상기 분리 용기에서의 상기 내용기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내용기를 상기 분리 용기의 외부로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 용기내에서 상기 각 내용기를 꺼냄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에서의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넓어져, 상기 (D) 공정에서의 채취관의 삽입이 한층 더 용이해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충전하는 원심 처리액의 양도 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내용기는, 그 내부에 시료 도입실을 갖기 때문에, 상기 내용기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하여 상기 내용기를 꺼냄으로써, 상기 시료 도입실 내의 액체가 상기 용기 본체의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원심 처리액 내에, 상기 시료 도입실 내의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순물 등이 혼입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용기를 꺼내는 형태에서, 본 발명의 분리 용기로는, 예컨대,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내용기의 개구부에 대한 탈착을 통해, 상기 분리 용기의 용기 본체의 상단을 개폐할 수 있는 분리 용기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내용기에 상기 덮개부를 장착한 상태로, 상기 내용기를 상기 분리 용기의 외부로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 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용기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과 상기 분리 용기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 용기가 관통 구멍을 갖는 경우는, 예컨대, 상기 시료 도입실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막은 상태로, 상기 내용기를 용기 본체에서 꺼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의 분리 방법으로는, 분리 대상물이 정자이고, 예컨대, (C) 공정 및 (D) 공정이, 하기 (C4) 공정 및 (D4) 공정이고, (E)~(G) 공정을 더 갖는 형태를 들 수 있다.
(A)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원심 처리액을 충전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상기 시료 도입실에 상기 시료를 도입하는 공정
(C4)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 중의 정자를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에 침전시키는 공정
(D4) 상기 (C4)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채취관을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에 삽입하여,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고, 상기 채취관 내에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채취관을 상기 용기 본체에서 꺼내는 공정
(E) 상기 (A) 공정의 분리 용기와는 별도로,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의 분리 용기를 새로운 분리 용기로서 새롭게 사용하고, 상기 새로운 분리 용기의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액체를 충전하는 공정
(F) 상기 (E) 공정후의 상기 새로운 분리 용기에서, 상기 (D4) 공정후의 상기 채취관을 상기 새로운 분리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에 삽입하여, 상기 채취관 내의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로 도출하는 공정
(G) 상기 (F) 공정후의 상기 새로운 분리 용기에서,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상부로 유영해 온 정자를 채취해 회수하는 공정
본 형태는, 예컨대, 하나의 분리 용기에서 밀도 구배 원심법을 적용한 후, 다른 분리 용기에서 스윔업법을 적용한 형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분리 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4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5 분리 방법으로는, 상기 (A) 내지 (D)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D) 공정이 하기 (D5) 공정인 형태를 들 수 있다.
(A)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의 분리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원심 처리액을 충전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상기 시료 도입실에 상기 시료를 도입하는 공정
(C)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공정
(D5) 상기 (C)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상기 내용기의 상부 개구에 상기 양압 발생 수단을 장착하고, 상기 내용기를 상기 용기 본체에서 꺼내며, 상기 양압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한 압력에 의해, 상기 내용기의 하부 개구 또는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분리 대상물을 도출하여 회수하는 공정
본 발명의 제5의 분리 방법에서, 상기 분리 대상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제1의 분리 방법과 마찬가지로 정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형태에 적용하는 시료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도 구배 담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퍼콜, 수식(修飾) 콜로이드 실리카, 자당 중합체, 피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퍼콜은, 통상, 폴리비닐피롤리돈 피막을 갖는 콜로이드형 실리카졸이다. 상기 퍼콜로는, 엔도톡신을 제거한 후, HEPES 함유액 등의 배지를 첨가하여 등장화(等張化)한 퍼콜이 바람직하다. 퍼콜의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90~98%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리 방법에서, 원심 분리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1000 G(1000×9.80665 ㎨)로 20~30분간의 조건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리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리 용기를 형성하는 재료는, 예컨대, 합성 수지 재료, 금속 재료, 유리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재료의 가공성(예를 들어, 성형성, 조립성, 필요에 따라서 접착성 등), 위생면(예를 들어, 첨가물의 시료로의 용출 등), 기능성(예를 들어, 시인성 등), 비용면 등의 관점에서, 상기 합성 수지 재료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격벽, 제1의 내용기, 제2의 내용기 또는 제3의 내용기를 구성 요소로 하고, 임의로 고정부를 갖지만, 이들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료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용기 본체를 형성하는 재료는, 예컨대, 불소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메틸펜텐, 메타크릴, ABS(아크릴로니트릴ㆍ부타디엔ㆍ스티렌 공중합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 실리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합성 고무, 각종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불소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 중에서도, 소수성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을 형성하는 재료는, 예컨대, 불소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메틸펜텐, 메타크릴, ABS, PET 수지,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를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비교적 경질(硬質)의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의 형성 재료로서, 비교적 경질인 합성 수지를 이용하면, 보다 기밀성이 우수한 분리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내용기를 형성하는 재료는, 상기 용기 본체와 동일하다. 상기 고정부의 형성 재료는, 상기 격벽 또는 상기 내용기와 동일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의 단면도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분리 용기(1)는, 용기 본체(11)와 격벽(12)을 갖는다. 상기 용기 본체(11)는, 축방향으로 긴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이며,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하단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하단 선단부는 끝이 뾰족한 형상이다. 상기 격벽(12)은, 상기 용기 본체(11) 내부에서, 상기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12)의 형상은,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부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평판형이며, 하부는 테이퍼형으로 폭이 좁아져 있고, 하부 선단부는 끝이 뾰족한 형상이다. 상기 격벽(12)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11) 내부가, 대략 중앙부를 경계로, 시료 도입실(14) 및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의 2개의 실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격벽(12)의 하부에는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 구멍(13)에 의해,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은 각각의 하부에서 연통되어 있다. 상기 격벽(12)은, 그 측면 부분에서 상기 용기 본체(11)와 접해 있고, 이것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11) 내에서 지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격벽(12)과 용기 본체(11)의 접촉부는, 예컨대, 접착제로 접착 고정되어 있어도 되지만, 격벽(12)과 용기 본체(11)를 별도의 부재로 하고, 상기 격벽(12)의 폭사이즈를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상기 격벽(12)의 측면을 상기 용기 본체(11)의 내주면에 압접함으로써 지지 고정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용기 본체(11)와 격벽(12)을 별도의 부재로 하는 경우, 상기 격벽(12)을 어태치먼트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용기 본체(11)와 격벽(12)이 일체물이어도 된다. 본 예의 분리 용기의 격벽(12)에는, 관통 구멍이 하나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12)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관통 구멍을 형성해도 되고, 후술하는 내용기의 예도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을 격벽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형성하면, 예컨대, 밀도 구배 원심 분리한 경우, 중간층이나 상층에 존재하는 성분도 채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13)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의 사이즈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용기 본체의 용적은, 예컨대 0.1~50 ㎖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2~20 ㎖의 범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 ㎖의 범위이다. 상기 용기 본체의 최대 내경(예를 들어, 상부 개구 내경)은, 예컨대 5~30 ㎜의 범위이다. 격벽의 크기는, 예컨대, 상기 용기 본체의 내면형상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의 폭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의 관통 구멍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원형의 관통 구멍의 경우 직경이 0.05~5 ㎜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1~3 ㎜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2 ㎜의 범위이다.
본 예의 분리 용기를 이용한 시료로부터의 분리 대상물의 분리 방법에 관해, 퍼콜을 이용한 정자의 분리법을 예로 들어, 도 2의 단면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분리 용기(1)의 시료 도입실(14) 및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에 퍼콜(16)을 주입한다. 그리고, 상기 시료 도입실(14)의 상기 퍼콜(16) 상에 정액 등의 정자 함유 시료(17)를 중층한다. 이 상태로 상기 분리 용기(1)를 원심 분리하면,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료(17)로부터 정자(17a)가 분리되어 상기 분리 용기(1)의 바닥부에 침강된다. 그러나, 상기 시료 도입실(14)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이, 상기 관통 구멍(13)에 의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의 바닥부에 정자(17a)가 침전된다. 그리고,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의 상부 개구를 통해 피펫 등의 채취관(18)을 삽입하여,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의 바닥부에 침전된 정자를 채취해 회수한다. 이어서, 상기 채취관(18)을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로부터 빼내는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에 존재하는 퍼콜(16)은, 상기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채취 회수된 정자가, 상기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오염이 방지된 정자를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어서, 도 3, 도 4 및 도 5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 3, 도 4 및 도 5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다. 본 예의 분리 용기는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의 실시예이고,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의 실시예이다.
도 3의 정면도에 본 예의 용기 본체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용기 본체(100)는, 축방향으로 긴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와 캡(102)을 갖는다.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는,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하단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하단 선단부는 끝이 뾰족한 형상이다. 또한, 캡(102)은, 연결부를 통해 상기 상부 개구의 일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개구를 폐색할 수 있다. 본 예의 용기 본체는, 소위 원심 튜브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예컨대,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와 분리된 부재이어도 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도 4의 (A), (B), (C) 및 (D)에 본 예의 어태치먼트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정면도이며, 도 4의 (C)는 도 4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4의 (D)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4의 (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어태치먼트(21)는, 평판형의 격벽(12)과, 판형상의 고정 부재(121)로 구성된다. 상기 격벽(12)은, 도 3에 나타내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부 단면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고, 하부는 테이퍼형으로 폭이 좁아져 있으며, 하부 선단부는 끝이 뾰족한 형상이다. 또한, 상기 격벽(12)의 하부에는, 하나의 원형의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판형상 고정 부재(121)는, 상기 격벽(12)의 상부에, 상기 격벽(12)의 양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도 4의 (E)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에서, 관통 구멍(13)을 격벽(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렬로 복수개[도 4의 (E)에서는 4개] 형성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밀도 구배 담체의 상층 및 중층에 존재하는 성분을 채취해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예의 어태치먼트(21)를 본 예의 용기 본체(100)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 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서는, 어태치먼트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용기 본체(100)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만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5의 (A)는 어태치먼트(21)를 용기 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4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21)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에 삽입한 경우, 상기 격벽(12)의 측면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상기 판형상 고정 부재(121)의 양단 측면도 상기 내주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격벽(12)은, 강고하게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 내에 지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21)의 사이즈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면, 상기 격벽(12)의 측면 및 상기 판형상 고정 부재(121)의 양단 측면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더욱 강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용기 본체(100) 및 어태치먼트(21)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의 부분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판형상 고정 부재(121)의 폭은, 예컨대 5~30 ㎜의 범위이다.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기 캡(102)에 있어서, 상기 캡(102)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에 끼워 넣어지는 부분의 외형은, 예컨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상부 개구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하면 된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 의한 퍼콜을 이용한 정자의 분리법은, 어태치먼트를 용기 본체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형성하고, 원심 분리시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상부 개구를 캡으로 폐색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 6및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다. 본 예의 분리 용기는 본 발명의 제1의 분리 용기의 실시예이고,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의 실시예이다.
본 예에서, 용기 본체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의 (A), (B), (C) 및 (D)에 본 예의 어태치먼트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정면도이며, 도 6의 (C)는 도 6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6의 (D)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의 (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어태치먼트(22)는, 판형상 고정 부재 대신 원환형의 고정 부재(122)를 격벽(12)의 상부에 부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2의 어태치먼트와 동일한 구성이다.
다음으로, 본 예의 어태치먼트(22)를, 도 3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100)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어태치먼트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용기 본체(100)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만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7의 (A)는 어태치먼트(22)를 용기 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6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22)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에 삽입한 경우, 상기 격벽(12)의 측면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상기 원환형 고정 부재(122)의 외주면 전체도 상기 내주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격벽(12)은, 강고하게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 내에 지지 고정된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상기 어태치먼트(22)의 사이즈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면, 상기 격벽(12)의 측면 및 상기 원환형 고정 부재(122)의 외주면 전체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주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더욱 강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서, 용기 본체 및 어태치먼트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의 부분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원환형 고정 부재(122)의 폭은, 예컨대 5~30 ㎜의 범위이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 의한 퍼콜을 이용한 정자의 분리법은, 상기 어태치먼트를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에 삽입하여 상기 분리 용기를 형성하고, 원심 분리시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상부 개구를 상기 캡으로 폐색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7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다. 본 예의 분리 용기는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용기의 실시예이고,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본 발명의 제2의 어태치먼트의 실시예이다.
본 예에서, 용기 본체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8의 (A), (B), (C) 및 (D)에 본 예의 어태치먼트를 나타낸다. 도 8의 (A)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정면도이며, 도 8의 (C)는 도 8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8의 (D)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평면도이다. 도 8의 (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어태치먼트(23)는 상기 제1의 내용기이고,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반원통형이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하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하부 선단은 끝이 뾰족한 형상이다. 또한,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는 관통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용기의 반원통형의 반원의 외주 곡면부(124)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의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내용기의 반원통형의 평면부의 측벽이 격벽(12)이다.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는, 원환형 고정 부재(123)가 부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어태치먼트(23)를, 도 3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100)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 예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서는, 어태치먼트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용기 본체(100)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만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9의 (A)는 어태치먼트(23)를 용기 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9의 (B)는 도 8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3)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에 삽입한 경우, 상기 내용기의 반원부의 외주면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 부착된 원환형 고정 부재(123)의 외주면 전체도,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어태치먼트(23)가 상기 용기 본체 속에서 강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23)의 상기 내용기 내부가 시료 도입실(14)이고,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 측벽[격벽(12)]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내용기가 접한 면 이외의 면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이 된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상기 어태치먼트(23)의 사이즈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면, 상기 내용기의 반원부의 외주면 및 상기 원환형 고정 부재(123)의 외주면 전체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더욱 강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23)의 크기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동일한 구성의 부분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 의한 퍼콜을 이용한 정자의 분리법은, 상기 어태치먼트를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형성하고, 원심 분리시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상부 개구를 상기 캡으로 폐색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5)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에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서, 도 1 내지 도 9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다. 본 예의 분리 용기는 본 발명의 제3의 분리 용기의 실시예이고,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본 발명의 제3의 어태치먼트의 실시예이다.
본 예에서, 용기 본체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의 (A) 및 (B)에 본 예의 어태치먼트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어태치먼트(24)는 상기 제2의 내용기(126)를 갖고, 상기 내용기(126)는 축방향으로 긴 원통형 용기이며,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하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하부 선단부는 개구되어 있다. 상기 내용기(126)의 측벽 전체가 격벽이다. 상기 내용기(126)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 내용기(126)의 상부에는, 상부 판형상 고정 부재(125)가, 네방향(예를 들어, 동서남북의 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기 내용기(126)의 하부에는, 원환형 부재이며, 판형상 부재가 네방향(예를 들어, 동서남북의 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하부 고정 부재(12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어태치먼트(24)를, 도 3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100)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 예를 도 11에 나타낸다. 도 11에서는, 어태치먼트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용기 본체(100)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만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24)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에 삽입한 경우, 상기 상부 판형상 고정 부재(125) 및 상기 하부 고정 부재(128)에 의해, 상기 내용기(126)의 외주면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 내주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지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내용기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용기(126)의 외주면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이 시료 도입실(14)이고, 상기 내용기(126) 내부가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이 된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서, 용기 본체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24)는, 상기 용기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며, 상부 개구 및 하부 개구의 크기는 적절하게 결정된다. 그 밖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동일한 구성의 부분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 의한 퍼콜을 이용한 정자의 분리법은, 상기 어태치먼트를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형성하고, 원심 분리시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상부 개구를 캡으로 폐색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6)
다음으로, 도 12에, 본 발명의 실시예 6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도 1 내지 도 11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예의 분리 용기는 스윔업법에 적합한 것이다. 단, 본 예의 분리 용기는 밀도 구배 원심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본 예의 분리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분리 용기(1a)는, 평판형의 격벽(12)이 시료 도입실(14)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상기 격벽(12)의 하부가 시료 도입실(14)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것 외에는, 본 예의 분리 용기는, 실시예 1에 나타낸 분리 용기와 동일한 구성이다.
도 12의 (B) 및 (C)의 단면도에 기초하여, 본 예의 분리 용기를 이용한 스윔업법에 의한 정자의 분리법을 설명한다.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에, HEPES 함유액 등의 배지(16)를 넣는다. 상기 시료 도입실(14)의 배지에는, 정자를 포함하는 시료(17)를 넣는다. 이 상태로 원심 분리하면, 정자(17a)가 상기 시료(17)로부터 분리되어 침강되고,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의 바닥부에 침전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2)을 치우치게 배치하고, 상기 격벽(12)의 하부를 절곡했기 때문에, 많은 정자가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측에 침전되어, 다음 공정인 스윔업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침전된 정자를 방치하면, 도 12의 (C)의 화살표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침전된 정자가 배지 속을 유영하여 부상해 온다. 부상한 정자를 채취해 회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시료 도입실(14)에서 원심 분리하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에서 스윔업을 실시하면, 정자를 회수할 때,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순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심 분리시에, 상기 배지 대신 퍼콜 등의 밀도 구배 담체를 사용해 밀도 구배 원심에 의해 정자를 침전시키고, 밀도 구배 담체를 제거하며, 상기 배지를 분리 용기에 넣어 스윔업법을 실시해도 된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 의한 퍼콜을 이용한 정자의 분리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스윔업법에 적합한 어태치먼트의 예를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다.
우선, 본 발명의 제2의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스윔업법에 적합한 형태의 예를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서, 도 1 내지 도 12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13의 (A), (B), (C) 및 (D)에 본 예의 어태치먼트를 나타낸다. 도 13의 (A)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13의 (B)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정면도이며, 도 13의 (C)는 도 13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13의 (D)는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평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실시예 4의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내용기의 격벽부를, 축방향에 평행한 평행 격벽부(12a)와, 내용기 내부측에 테이퍼형으로 경사진 테이퍼 격벽부(12b)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그 외에는 실시예 4의 어태치먼트와 동일하다.
본 예의 어태치먼트를, 도 3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100)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 예를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어태치먼트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용기 본체(100)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만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14의 (A)는 어태치먼트를 용기 본체(100)에 삽입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4의 (B)는 도 13의 (A)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상기 격벽부(12b)가 상기 시료 도입실(14)측으로 테이퍼형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의 바닥부가 넓어져, 많은 정자가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에 침전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의 어태치먼트에 있어서, 스윔업법에 적합한 다른 형태의 예를 도 15의 사시도에 나타낸다. 도 15에서, 도 1 내지 도 1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15의 (A)에 나타내는 어태치먼트는, 내용기의 하단이 개구되어 있고, 그 외에는 실시예 4의 어태치먼트와 동일하다. 도 15의 (B)에 나타내는 어태치먼트는, 관통 구멍(13)이, 내용기의 격벽(12)의 하단 선단부에 잘라낸 것처럼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외에는 실시예 4의 어태치먼트와 동일하다. 도 15의 (A) 및 (B)에 나타내는 형태의 어태치먼트도, 예컨대, 많은 정자를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바닥부에 침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의 어태치먼트에서, 스윔업법에 적합한 다른 형태의 예를 도 16의 사시도에 나타낸다. 도 16에서, 도 1 내지 도 15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16의 (A)에 나타내는 어태치먼트는, 격벽(12)의 길이가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짧고, 그 외에는 실시예 2의 어태치먼트와 동일하다. 도 16의 (B)에 나타내는 어태치먼트는, 관통 구멍(13)이, 격벽(12)의 하부 선단부에 잘라낸 것처럼 크게 형성되어 있고, 그 외에는 실시예 2의 어태치먼트와 동일하다. 도 16의 (A) 및 (B)에 나타내는 형태의 어태치먼트도, 예컨대, 많은 정자를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바닥부에 침전시킬 수 있다.
도 13, 도 14,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어태치먼트는, 스윔업법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밀도 구배 원심법에도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7)
상기 스윔업법에 의해 정액으로부터 정자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원심 분리시에,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이 침강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정자의 유영ㆍ부상이 방해를 받아, 정자의 회수가 어려워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배지 등을 도입하면, 상기 정액내 고형물이 배지 속에서 날아올라, 정자에 불순물이 혼입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즉, 우선,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나타낸 상기 분리 용기(1)의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에 퍼콜(16)을 주입한다. 그리고, 상기 시료 도입실(14)의 상기 퍼콜(16) 상에 정액(17)을 중층한다. 이 상태로 상기 분리 용기(1)를 원심 분리하면,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액(17)으로부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17a)이 분리되어 상기 분리 용기(1)의 바닥부에 침강된다. 그러나, 상기 시료 도입실(14)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은, 관통 구멍(13)에 의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정액내 고형물(17a)은,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의 바닥부에 침전된다. 그리고,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의 상부 개구를 통해 피펫 등의 채취관(18)을 삽입하여,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에 침전된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채취해 회수한다. 이어서, 상기 채취관(18)을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로부터 빼낸다. 이 때,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에 존재하는 퍼콜(16)은, 상기 정액에서 유래하는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채취 회수된 정자를 포함하는 상기 정액내 고형물이, 상기 정액에서 유래하는 불순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오염이 방지된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의 (A)에 나타내는 상기 분리 용기(1a)의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에, 정자가 유영할 수 있는 배지를 넣는다. 이어서, 상기 채취관(18)을 상기 분리 용기(1a)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시료 도입실(14)의 하부에 삽입하고, 상기 채취관(18) 내의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상기 시료 도입실(14)의 하부로 도출한다.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은,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의 바닥부에 침전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2)을 치우치게 배치하고, 상기 격벽(12)의 하부를 절곡했기 때문에, 많은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측에 침전되고, 다음 공정인 스윔업이 용이해진다. 다음으로, 침전된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방치하면, 상기 정액내 고형물에 포함되는 정자가, 배지 속을 유영하여 부상하여 온다. 부상한 정자를 채취해 회수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분리 용기에서 밀도 구배 원심법을 적용한 후, 다른 분리 용기에서 스윔업법을 적용함으로써, 정액으로부터 정자를 분리하는 경우에도, 불순물을 혼입시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정자를 회수할 수 있다.
(실시예 8)
다음으로, 도 17에 본 발명의 실시예 8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 17에서, 도 1 내지 도 16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에 어태치먼트를 부착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다. 본 예의 분리 용기는 본 발명의 제4의 분리 용기의 실시예이고,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본 발명의 제4의 어태치먼트의 실시예이다.
본 예에서, 용기 본체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도 3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7의 (A)의 단면도에 본 예의 어태치먼트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제3의 내용기(51)이다. 상기 내용기(51)는 축방향으로 긴 원통형이며,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하부는 선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하부 선단은 개구되어 있다. 상기 내용기(51)는,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한 외경 및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 형상이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형상과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또한, 내용기(51)의 상부에는, 상부 개구를 덮도록 양압 발생부인 스포이드 고무(5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양압 발생부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전술한 스포이드와 같은 양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예의 어태치먼트를, 도 3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100)에 삽입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 예를 도 17의 (B)의 단면도에 나타낸다. 도 17의 (B)에서는, 어태치먼트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도록, 용기 본체(100)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만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에 삽입한 경우, 상기 내용기(51)의 외주면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해, 어태치먼트가 상기 용기 본체 속에서 강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본 예의 어태치먼트의 사이즈를, 예컨대,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면, 상기 내용기(51)의 외주면이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내주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더욱 강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본 예의 분리 용기를 이용한 정자의 분리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어태치먼트(내용기)(51)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에 삽입하며, 상기 내용기(51) 내에 퍼콜(16)을 넣고, 상기 퍼콜(16) 상에 정자를 포함하는 시료(17)를 중층한다. 그리고, 캡으로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의 상부 개구를 폐색한 상태로 원심 분리하고, 정자(17a)를 침전시킨다. 원심 분리후, 도 17의 (C)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용기(51)의 상부 개구를 막도록 스포이드 고무(52)를 부착하여, 상기 내용기(51)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에서 꺼낸다. 그리고, 도 17의 (D)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 등으로 스포이드 고무(52)를 누름으로써 양압을 발생시켜, 상기 양압에 의해, 상기 내용기(51)의 바닥부에 침전되어 있던 정자(17a)를, 하부 개구를 통해 도출하여 회수한다. 이와 같이 하면, 퍼콜의 상층 및 중층에 시료에서 유래하는 불순물이 존재하더라도 정자에 혼입되는 일이 없고, 정자를 회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예의 분리 용기에서, 용기 본체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의 크기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9)
다음으로, 도 18에, 본 발명의 실시예 9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 18에서, 도 1 내지 도 17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예에서는, 용기 본체에 어태치먼트 및 캡을 부착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다. 본 예의 분리 용기는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용기의 실시예이고, 본 예의 어태치먼트는 본 발명의 제2의 어태치먼트의 실시예이다.
도 18의 (A) 및 (B)에 본 예의 분리 용기를 나타낸다. 도 18의 (A) 및 (B)는, 본 예의 분리 용기의 구성 부재, 즉 용기 본체(200), 어태치먼트(25) 및 캡(103)을 분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의 (A)는 용기 본체(200), 어태치먼트(25) 및 캡(103)의 사시도이고, 도 18의 (B)는 도 18의 (A)에서의 용기 본체의 Ⅰ-Ⅰ방향에서 본 단면도, 어태치먼트(25)의 Ⅱ-Ⅱ방향에서 본 단면도, 캡의 Ⅲ-Ⅲ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8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예의 분리 용기에서, 상기 용기 본체(200)는, 축방향으로 긴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이며, 상단이 개구되어 있고, 하단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하단 선단부는 끝이 뾰족한 형상이다. 본 예의 어태치먼트(25)는 상기 제1의 내용기이고,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반원통형이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하부는 선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며, 하부 선단은 개구되어 있다. 상기 내용기의 반원통형의 반원의 외주 곡면부(124)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인 상기 용기 본체(200)의 내주면의 일부와 대략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내용기의 반원통형의 평면부의 측벽이 격벽(12)이다. 상기 내용기의 상부에는, 원환형 고정 부재(222)가 부착되어 있다. 원환형 고정 부재(222)에서의 상부(222a)는 원통형이고, 상기 상부의 외주 직경은 상기 용기 본체(200)의 상부 개구보다 큰 직경이다. 한편, 원환형 고정 부재(222)에서의 하부(222b)는 원통형이고, 그 외주 직경은 상기 용기 본체(200)의 상부 개구의 내경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222b)의 일부는,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124)을 겸하고 있다[도 18의 (A) 및 (B)에서 좌측]. 캡(103)은, 상기 용기 본체(200) 및 어태치먼트(25)의 상부 개구를 폐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태치먼트(25)를 용기 본체(200)에 삽입하고, 캡(103)을 더 장착하여 분리 용기를 구성한 예를 도 19에 나타낸다. 도 19에서, 도 18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19는, 어태치먼트(25)를 용기 본체(200)에 삽입하고, 캡(103)을 장착한 상태의 분리 용기(2)의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어태치먼트(25)를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용기 본체(200)에 삽입한 경우, 상기 내용기의 반원부의 외주면(124)은, 상기 용기 본체(200)의 내주면에 접촉하고, 상기 내용기 상부의 원환형 고정 부재(222)의 하부(222b)의 외주면 전면(全面)도, 상기 용기 본체(200)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어태치먼트(25)가 상기 용기 본체(200) 속에서 강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어태치먼트(25)의 상기 내용기 내부가 시료 도입실(14)이고,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 측벽[격벽(12)]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중에서 상기 내용기가 접하는 면 이외의 면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분리 대상물 도출실(15)이 된다. 또한,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상기 어태치먼트(25)의 사이즈를, 상기 용기 본체(200)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면, 상기 내용기의 반원부의 외주면 및 상기 원환형 고정 부재(222)에서의 하부(222b)의 외주면 전체가, 상기 용기 본체(200)의 내주면에 압접되기 때문에, 더욱 강고하게 지지 고정되게 된다. 또한, 본 예에서, 상기 원환형 고정 부재(222)에서의 상부(222a)는, 상기 용기 본체(200)의 개구부에 걸리는 형상이므로, 예컨대, 상기 어태치먼트(25) 전체가 용기 본체(200) 내부에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환형 고정 부재(222)에서의 상부(222a)는, 상기 용기 본체(200)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상기 어태치먼트(25)의 파지부를 겸한다. 이 파지부를 잡고서 상기 어태치먼트(25)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취급이 간편해진다.
본 예의 분리 용기(2)에서, 상기 용기 본체(200)의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실시예 2에서의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101)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25)의 크기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 용기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환형 고정 부재(222)에서, 원통형의 상부(222a)의 외주 직경은, 예컨대 5~50 ㎜의 범위이고, 원통형의 하부(222b)의 외주 직경은, 예컨대 3~48 ㎜의 범위이다. 캡(103)은, 그 내경이, 예컨대, 어태치먼트(25)의 원환형 고정 부재(222)에서의 상부(222a)의 외주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하면 된다. 그 밖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과 동일한 구성의 부분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예의 분리 용기를 이용한 시료로부터의 분리 대상물의 분리 방법에 관해, 퍼콜을 이용한 정자의 분리법을 예로 들어, 도 19의 단면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예컨대, 실시예 1~7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우선,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200)의 내부에 상기 어태치먼트(25)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시료 도입실(14)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모두에 퍼콜(16)을 주입한다. 또한, 상기 시료 도입실(14)의 상기 퍼콜(16) 상에 정액 등의 정자 함유 시료를 중층한 후, 상기 어태치먼트(25)의 개구 상부에 캡(103)을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본 예의 분리 용기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새는 것과, 외부로부터 본 예의 분리 용기 내부에 불순물 등이 혼입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상기 분리 용기(2)를 원심 분리하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료로부터 정자(17a)가 분리되어 상기 분리 용기(2)의 바닥부에 침강된다. 이어서, 상기 어태치먼트(25)에 상기 캡(103)을 장착한 상태로, 상기 어태치먼트(25)를 상기 용기 본체(200)에서 꺼낸다. 상기 어태치먼트(25)를 꺼냄으로써,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바닥부 전체가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본체(200)의 상부 개구를 통해 피펫 취관을 삽입하여, 상기 용기 본체(200)의 바닥부에 침전된 정자를 채취해 회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어태치먼트(25)를 꺼냈기 때문에,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서 상기 채취관을 삽입할 수 있는 영역이 확대되어, 조작의 용이성이 더욱 향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의 분리 용기 및 제2의 어태치먼트의 다른 형태의 예를 도 20의 단면도에 나타낸다. 도 20에서, 도 18 및 도 19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20에 나타내는 분리 용기(3)에서, 어태치먼트는, 원환형 고정 부재(223)의 상부(223a)에, 2개의 관통 구멍(223c 및 223d)을 갖고 있고, 그 외에는, 상기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분리 용기와 동일하다. 도 20에서, 관통 구멍(223c)은,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과 상기 분리 용기(3)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고, 관통 구멍(223d)은, 상기 시료 도입실(14)과 상기 분리 용기(3)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다. 그리고, 상기 관통 구멍(223c 및 223d)은 폐색할 수 있어도 되고, 개폐 상태를 조정할 수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관통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분리 용기(3) 내부의 압력, 구체적으로는, 상기 시료 도입실(14) 내부와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 내부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관통 구멍(223c 및 223d)의 형상, 크기, 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관통 구멍의 형상은, 예컨대, 원형, 타원형 등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의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관통 구멍이 원형인 경우, 상기 관통 구멍의 크기는, 직경이, 예컨대 0.1~10 ㎜이다. 상기 관통 구멍이 그 밖의 형상인 경우, 상기 관통 구멍의 크기는, 최장 개구부가, 예컨대 0.1~10 ㎜이다. 또한, 관통 구멍의 수는, 개폐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예컨대,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과 상기 분리 용기(3)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과, 상기 시료 도입실(14)과 상기 분리 용기(3)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각각 1개씩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의 분리 용기(3)를 이용한 시료로부터의 분리 대상물의 분리 방법에 관해, 퍼콜을 이용한 정자의 분리법을 예로 들어, 도 20의 단면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특별히 나타내지 않는 한, 예컨대, 상기 도 19에 나타내는 분리 용기를 이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예의 분리 용기(3)의 경우, 예컨대, 관통 구멍(223c 및 223d)을 개구한 상태로 원심 분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시료 도입실(14)과 상기 분리 용기(3)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상기 관통 구멍(223d)을 막은 상태로, 상기 용기 본체(200)로부터, 상기 캡(103)을 장착한 상기 어태치먼트(25)를 꺼낸다. 원심 분리시에는, 관통 구멍(223c 및 223d)을 개방했기 때문에 기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어태치먼트(25)를 꺼낼 때에는, 관통 구멍(223d)을 폐색함으로써 상기 분리 용기(3) 내부의 기밀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어태치먼트(25)의 상기 시료 도입실(14)로부터 액체가 새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관통 구멍(223c 및 223d)의 개폐에 의해, 원심 분리후에 상기 어태치먼트(25)의 상기 시료 도입실(14) 하부에 잔존하는 분리 대상물을,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로 도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 구멍(223c) 및 관통 구멍(223d), 또는 어느 하나를 폐색한 상태로 원심 분리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어태치먼트(25)의 상기 시료 도입실(14) 내부에 분리 대상물이 잔존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관통 구멍(223c 및 223d)을 모두 개방함으로써, 상기 시료 도입실(14) 하부에 잔존하는 분리 대상물을,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15)로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 구멍(223d)을 막은 상태로 어태치먼트(25)를 꺼내면 된다. 완전히 개방 또는 폐색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의 압력을 조정해도 되고, 개방이나 폐색의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마찬가지로 조정을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불필요한 성분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심 분리시에 부재의 탈락이 없으며, 안전성이 우수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 용기는, 시료로부터 정자를 분리(예를 들어, 세정, 농축)하는 데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넓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3)

  1. 분리 용기를 이용하여 시료로부터 분리 대상물을 분리하는 분리 방법으로서,
    상기 분리 대상물은 정자이고,
    상기 분리 용기가
    용기 본체와, 구획부를 가지며,
    상기 용기 본체는, 상단에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하단이 바닥부인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 용기이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격벽을 갖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는, 상기 격벽에 의해 2개 이상의 실(室)로 구획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 2개 이상의 실 중의 적어도 하나가 시료 도입실이고,
    나머지 실 중의 적어도 하나가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며,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은, 각각의 하부에서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은, 각각 원심 처리액이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채취관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의 상기 분리 대상물을,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여, 상기 용기 본체 밖으로 회수할 수 있는 분리 용기에 있어서,
    (A)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원심 처리액을 충전하는 공정
    (B) 상기 (A) 공정의 상기 시료 도입실에 상기 시료를 도입하는 공정
    (C)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로부터 정자를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로 이동시켜 분리하는 공정
    (D) 상기 (C)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채취관을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삽입하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의 상기 정자를,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여 상기 용기 본체 밖으로 회수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분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처리액은, 밀도 구배 담체, 배지(培地) 및 완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것인 분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심 처리액은 밀도 구배 담체이고,
    상기 (B) 공정에서는, 상기 시료 도입실의 상기 밀도 구배 담체 상에 상기 시료를 중층(重層)하는 것인 분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에서는,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 중의 정자를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에 침전시키고,
    상기 (D) 공정에서는, 상기 (C)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채취관을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에 삽입하고,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내의 상기 정자를,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여 상기 용기 본체 밖으로 회수하는 것인 분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에서는,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 중의 정자를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에 침전시키고,
    상기 (D) 공정에서는, 상기 (C)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상부로 유영해 온 정자를 채취해 회수하는 것인 분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에서는, 상기 원심 분리후, 상청(上淸)의 상기 원심 처리액을 제거하고, 이어서, 정자가 유영할 수 있는 액체를 상기 시료 도입실 및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충전하며,
    상기 (D) 공정에서는, 상기 (C)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상부로 유영해 온 정자를 채취해 회수하는 것인 분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정액이고,
    상기 (C) 공정에서는, 상기 (B)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를 원심 분리하여, 상기 시료 중의 정자를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에 침전시키고,
    상기 (D) 공정에서는, 상기 (C) 공정후의 상기 분리 용기에서, 채취관을 상기 분리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에 삽입하여,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상기 채취관으로 채취하고, 상기 채취관 내에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채취관을 상기 용기 본체에서 꺼내며,
    (E) 상기 (A) 공정의 분리 용기와는 별도로, 새롭게 상기 분리 용기를 사용하고, 상기 새로운 분리 용기의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 모두에, 정자가 유영할 수 있는 액체를 충전하는 공정
    (F) 상기 (E) 공정후의 상기 새로운 분리 용기에서, 상기 (D) 공정후의 상기 채취관을 상기 새로운 분리 용기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에 삽입하여, 상기 채취관 내의 상기 정자를 포함하는 정액내 고형물을,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로 도출하는 공정
    (G) 상기 (F) 공정후의 상기 새로운 분리 용기에서, 상기 시료 도입실의 하부로부터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의 상부로 유영해 온 정자를 채취해 회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인 분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평판형의 격벽이고,
    상기 격벽의 하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해,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인 분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평판형의 격벽이고,
    상기 격벽의 높이는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짧으며, 상기 격벽의 밑변보다 하측에는, 상기 격벽의 밑변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에 의해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에 의해, 상기 시료 도입실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이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인 분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의 직경 방향 중심보다 상기 시료 도입실측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상기 격벽은, 그 길이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시료 도입실측을 향해 경사진 형상인 것인 분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구획부가 격벽 고정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격벽 고정부에 의해, 상기 격벽이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지지 고정되어 있는 것인 분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구획부가 제1의 내용기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 내부에 삽입 가능한 외경 및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의 일부의 형상은,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의 일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의 그 밖의 부분의 형상은 평면형상이며,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측벽 부분이 상기 격벽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 내주면의 동일 형상 부분이 서로 접한 상태로, 그리고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동일 형상 부분 이외의 내주면이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로,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내용기는 내용기 고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용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지지 고정되며,
    상기 내용기 내부의 실이 상기 시료 도입실이고,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 중의 상기 접해 있는 면 이외의 면에 의해 형성된 실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인 것인 분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내용기의 평면형상의 외주면이, 상기 축방향의 도중으로부터 상기 내용기 내부를 향해 경사진 형상인 것인 분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는,
    상기 구획부가 제2의 내용기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는, 축방향으로 긴 통형상이고, 상기 용기 본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과, 상기 용기 본체의 깊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내용기의 상부가 개구되어 있고, 상기 내용기의 하부가 개구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내용기의 하부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의 측벽 전체가 상기 격벽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이 일정한 거리를 둔 상태로,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 배치되며,
    상기 내용기는 내용기 고정부를 갖고, 상기 내용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내용기가 상기 용기 본체 내에서 지지 고정되며,
    상기 내용기 내부의 실이 상기 시료 도입실이고,
    상기 내용기의 외주면과 상기 용기 본체의 내주면에 의해 형성된 실이,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인 것인 분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후 및 상기 (D) 공정전에, 상기 분리 용기에서의 상기 제1의 내용기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1의 내용기를 상기 분리 용기의 외부로 꺼내는 것인 분리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 도입실과 상기 분리 용기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 및 상기 분리 대상물 도출실과 상기 분리 용기 외부를 연통할 수 있는 관통 구멍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것인 분리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용기에서, 덮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의 개구를 폐색할 수 있는 것인 분리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공정후 및 상기 (D) 공정전에, 상기 분리 용기에서의 상기 제2의 내용기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2의 내용기를 상기 분리 용기의 외부로 꺼내는 것인 분리 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KR1020107007490A 2007-10-24 2008-10-23 분리 용기, 어태치먼트 및 분리 방법 KR101201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6718 2007-10-24
JP2007276718 2007-10-24
PCT/JP2008/069209 WO2009054441A1 (ja) 2007-10-24 2008-10-23 分離容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分離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544A KR20100066544A (ko) 2010-06-17
KR101201005B1 true KR101201005B1 (ko) 2012-11-13

Family

ID=4057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490A KR101201005B1 (ko) 2007-10-24 2008-10-23 분리 용기, 어태치먼트 및 분리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00222196A1 (ko)
EP (1) EP2208540A4 (ko)
JP (1) JP5169730B2 (ko)
KR (1) KR101201005B1 (ko)
CN (1) CN101821011B (ko)
AU (1) AU2008314981A1 (ko)
HK (1) HK1143339A1 (ko)
WO (1) WO2009054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5622B2 (en) * 2009-04-22 2013-09-17 Lotus Bio (Nymphaea) Ltd Sperm separation system
WO2011041703A2 (en) * 2009-10-02 2011-04-0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Sample pr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AU2011327246A1 (en) * 2010-11-09 2013-05-02 Jms Co., Ltd. Separation container and separation method
US9075039B2 (en) 2011-11-08 2015-07-07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ntainer and cap for a biological specimen
US9381524B2 (en) 2011-11-08 2016-07-0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ample preparation
JP5906785B2 (ja) * 2012-02-15 2016-04-20 Dic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検体抽出容器
ITNA20120046A1 (it) * 2012-08-02 2014-02-03 No Self S R L Uso di acidi nucleici di sistemi biologici parassiti, patogeni e infestanti per l'inibizione e/o controllo degli stessi sistemi
KR101591308B1 (ko) * 2013-11-19 2016-02-03 바디텍메드(주) 절취수단을 구비한 시료채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료채취 방법
CN105039145A (zh) * 2015-07-30 2015-11-11 东北农业大学 活动隔间式核酸反应管及其应用
CH711412A1 (de) * 2015-08-12 2017-02-15 Roth Felix Medizinalröhrchen.
KR20170020731A (ko) 2015-08-16 2017-02-24 구홍식 용기
US9872399B1 (en) * 2016-07-22 2018-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mplementing backdrilling elimination utilizing anti-electroplate coating
CN106353137B (zh) * 2016-08-30 2023-10-31 徐州憬美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取液容器组件及取液方法
CH713443A2 (de) 2017-02-08 2018-08-15 Roth Felix Medizinalröhrchen.
JP7142842B2 (ja) * 2017-06-30 2022-09-28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哺乳動物精子の分離方法、人工授精方法及び体外受精方法
WO2019004217A1 (ja) * 2017-06-30 2019-01-03 国立大学法人広島大学 哺乳動物精子の分離方法、人工授精方法及び体外受精方法
EP3927447A4 (en) * 2018-11-30 2022-12-28 Hans-Werner Heinrich SEPA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20230160801A1 (en) * 2020-04-28 2023-05-25 Horiba, Ltd. Measurement cell and centrifugal sedimentation-type particle-size distribution measuring device using said measurement ce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2562A (ja) * 1981-08-05 1983-03-28 オ−ソ・ダイアグノステイツク・システムズ・インコ−ポレ−テツド 粒子を洗浄する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1998051412A1 (en) 1997-05-16 1998-11-19 Roberto Guglielmo Density gradient sedimentation and swim-up test tub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5575A (en) * 1978-05-15 1980-09-30 Ventrex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 vitro clinical diagnostic tests using a solid phase assay system
JPS6032609Y2 (ja) * 1978-06-21 1985-09-28 秀彦 周藤 血清又は血漿分離容器
US4326959A (en) * 1981-02-04 1982-04-27 Ferrara Louis T Blood separator and dispenser
US4436631A (en) * 1981-08-05 1984-03-13 Ortho Diagnostic Systems Inc. Multiple particle washing system and method of use
FR2539628B1 (fr) * 1983-01-25 1988-11-10 Fondation Rech Hormonologie Procede de separation de cellules mobiles, notamment de spermatozoides mobiles, ainsi que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JP2519978B2 (ja) * 1988-06-10 1996-07-31 ナン ワン フ 精子分離方法および精子分離装置
US5242660A (en) * 1992-02-28 1993-09-07 Paul Hsei Sample preparation device
ZA948564B (en) * 1993-11-19 1995-07-26 Bristol Myers Squibb Co Liquid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WO1997006890A1 (en) * 1995-08-11 1997-02-27 Robbins Scientific Corporation Compartmentalized multi-well container
JP3062082B2 (ja) 1996-04-19 2000-07-10 株式会社大日本精機 液体の遠心分離用沈殿管
JP2001046915A (ja) 1999-08-12 2001-02-20 Dainippon Seiki:Kk 遠心分離用沈殿管
AU2707100A (en) * 1998-11-30 2000-06-19 Ivf Sciences Colorado, Inc. System and sequential culture media for in vitro fertilization
JP3744298B2 (ja) 1999-02-02 2006-02-08 ニプロ株式会社 精子洗浄濃縮用チューブおよび精子洗浄濃縮方法
AU764294B2 (en) * 1999-02-02 2003-08-14 Nipro Corporation Tube for sperm washing and concentration and method for sperm washing and concentration
DE20004409U1 (de) * 2000-03-09 2000-05-25 Weis Ludwig Zentrifugiergefäße
US6866826B2 (en) * 2000-12-30 2005-03-15 Beckman Coulter, Inc. Large mouth centrifuge labware
FR2821672B1 (fr) * 2001-03-02 2003-05-02 Scp Dosagene R & D Moyens pour l'extraction de produits a analyser et leurs applications en diagnostic et analyse
JP4269756B2 (ja) 2003-04-17 2009-05-27 ニプロ株式会社 体液濃縮採取具
WO2005030399A1 (ja) * 2003-09-30 2005-04-07 Kabushiki Kaisha Kitazato Supply 遠心分離用沈殿管および生体細胞採取用チューブ
JP4501770B2 (ja) 2005-05-02 2010-07-14 ニプロ株式会社 精子濃縮洗浄用チューブと保持具とを含むセ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2562A (ja) * 1981-08-05 1983-03-28 オ−ソ・ダイアグノステイツク・システムズ・インコ−ポレ−テツド 粒子を洗浄する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1998051412A1 (en) 1997-05-16 1998-11-19 Roberto Guglielmo Density gradient sedimentation and swim-up test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8540A1 (en) 2010-07-21
EP2208540A4 (en) 2011-09-21
JP5169730B2 (ja) 2013-03-27
CN101821011B (zh) 2012-06-13
AU2008314981A1 (en) 2009-04-30
KR20100066544A (ko) 2010-06-17
WO2009054441A1 (ja) 2009-04-30
JP2009119457A (ja) 2009-06-04
HK1143339A1 (en) 2010-12-31
US20100222196A1 (en) 2010-09-02
CN101821011A (zh)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005B1 (ko) 분리 용기, 어태치먼트 및 분리 방법
EP2515121B1 (en) Sample processing device
JP5051557B2 (ja) 分離容器および分離方法
EP2146794B1 (en) Buoy suspension fractionation system
RU272911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бора образца нуклеиновой кислоты
US8241592B2 (en) Cel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EP3473340B1 (en) A container for selective transfer of samples of biological material
US10603665B2 (en) Cell concentration devices and methods that include an insert defining a lumen and a cannula assembly
KR101307672B1 (ko) 제대혈 조혈 줄기 세포의 증식 제어 방법 및 그 용도
JP2013506846A (ja) 試料調製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1265243B1 (ko) 액성 성분 채취장치
US20070131612A1 (en) Cell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7515109A (ja) 流体移送デバイスおよび流体を無菌で移送する方法
JP6256352B2 (ja) 血液成分分離収容装置及び多血小板血漿の調製方法
CN103038624A (zh) 一种新型的贮存、收集或分离用装置
WO20191334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ellular separation
JPH06206008A (ja) 密度勾配遠心分離を実施する方法と、それに使用する成層用インサート等
JP2004313500A (ja) 体液濃縮採取具
JP2015136647A (ja) 分離容器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