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738B1 - 감소된 전력-소비 전송기 - Google Patents

감소된 전력-소비 전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738B1
KR101200738B1 KR1020107029663A KR20107029663A KR101200738B1 KR 101200738 B1 KR101200738 B1 KR 101200738B1 KR 1020107029663 A KR1020107029663 A KR 1020107029663A KR 20107029663 A KR20107029663 A KR 20107029663A KR 101200738 B1 KR101200738 B1 KR 101200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circuit
transmitter
driver amplifier
digital control
radio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686A (ko
Inventor
쥔슝 덩
거칸월 싱 사호타
프라샨트 아쿨라
토마스 마라
아파린 블라디미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14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6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polarisation voltage or current, e.g. gliding Class 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21Use of a microprocessor in an amplifier circuit or its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36A I/Q, i.e. phase quadrature, modulator or demodulator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37A transformer being used as coupling element between two amplifying s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디지털 제어 블럭; 및 전송기의 전력 소비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를 포함하는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해 선택된 바이어스 모드에서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가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디지털 제어 블럭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감소된 전력-소비 전송기{REDUCED POWER-CONSUMPTION TRANSMITTERS}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송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기는 이동국 모뎀 (MSM) 으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를 수신하고, 베이스밴드 신호를 하나 이상의 믹서를 사용하여 무선 주파수 (RF) 로 업컨버트 (up-convert) 한 후, 안테나를 통한 전송을 위하여 RF 신호를, 가령 드라이버 증폭기와 전력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한다.
더 우수한 전력 효율은 일반적으로 핸드셋 (handset) 사용자들을 위한 더 오랜 통화 시간을 의미하기 때문에, 전력 효율은 진보한 무선 애플리케이션, 특히 핸드셋 디바이스에서 중요하다.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력 효율의 병목은 전송기이다. 전송기 블럭 중에서, 가장 큰 전력 소비자는 드라이버 증폭기 (DA) 와 전력 증폭기 (PA) 를 포함한 증폭기이다. 전송 경로를 따르는 다른 전송기 블럭들도 또한 전송기의 전체적인 전력 소비에 기여한다.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의 전송기에서의 전송기 블럭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필요성이 당업계에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실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a-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5a-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은 무선 주파수 수신이 요구되는 어떠한 전기적 또는 전자적 환경에서의 어떠한 전자적 셋팅에도 적용가능하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은 무선 통신 환경에 국한되지 않음에도,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무선 통신 환경의 컨텍스트에서 제시되지만, 케이블 셋탑박스 등 뿐만 아니라 셀폰, 기지국 같은 무선 주파수 송수신을 사용하는 어떠한 유무선 통신 셋팅에도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코드분할 다중접속 (CDMA), 시분할 다중접속 (TDMA), 주파수분할 다중접속 (FDMA), 직교주파수분할 다중접속 (OFDMA), 단일 캐리어 FDMA (SC-FDMA) 네트워크 등과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사용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와 '시스템'이란 용어는 종종 호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CDMA 네트워크는 유니버설 지상파 무선 접속 (UTRA), cdma2000 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유니버설 지상파 무선 접속 (UTRA)은 와이드밴드-CDMA (W-CDMA), 저속 칩 레이트 (LCR), 고속 칩 레이트 (HCR) 등을 포함한다. CDMA2000은 IS-2000, IS-95, IS-856 표준을 커버한다. TDMA 네트워크는 이동통신용 글로벌 시스템 (GSM) 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OFDMA 네트워크는 이벌브드 UTRA (E-UTRA), 울트라 모바일 브로드밴드 (UMB),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플래쉬 OFDM®등과 같은 무선 기술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무선 기술들과 표준들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UTRA, E-UTRA, 및 GSM 은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라고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은 "3GPP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라고 명명된 기구로부터의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3GPP 와 3GPP2 문서들은 공개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명확성을 위해, 이러한 기술들의 특정 양태들은 3GPP 네트워크에 대해 이하 설명된다.
"예시적인" 이란 말은 본 명세서에서 "예,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제공하는"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것으로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통신 시스템 (120, 122) 과, 다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 (120, 122) 과 통신이 가능한 멀티안테나 무선 디바이스 (110) 를 포함하는, 하나의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 환경 (1) 을 도시한다. 무선 시스템 (120) 은, 예를 들어 IS-2000 ( CDMA 1x라고 통칭됨), IS-856 (CDMA 1x EV-DO 라고 통칭됨), IS-95, W-CDMA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CDMA 표준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CDMA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무선 시스템 (120) 은 베이스 트랜시버 시스템 (BTS; 130) 과 모바일 스위칭 센터 (MSC; 140) 를 포함한다. BTS (130) 는 그 커버리지 영역 하에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공중경유 (over-the-air) 통신을 제공한다. MSC (140) 는 무선 시스템 (120) 에서 BTS들에 커플링되고, 이러한 BTS 들에 대한 조정과 제어를 제공한다. 무선 시스템 (122) 은 GSM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TDMA 표준들을 구현할 수도 있는 TDMA 시스템이 될 수도 있다. 무선 시스템 (122) 은 노드 B (132) 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 (RNC; 142) 를 포함한다. 노드 B (132) 는 그 커버리지 영역하에 있는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공중경유 (over-the-air) 통신을 제공한다. RNC (142) 는 무선 시스템 (122) 에서 노드 B 들에 결합되어, 이들 노드 B 들을 위한 조정과 제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BTS (130) 와 노드 B (132) 는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고정된 스테이션이며, 기지국 또는 기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MSC (140) 와 RNC (142) 는 기지국에 대한 조정과 제어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엔터티들이며, 다른 용어로도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셀룰라 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무선-인에이블 컴퓨터, 또는 기타 다른 무선 통신 유닛이나 디바이스가 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또한 이동국 (3GPP2 용어), 사용자 장비 (UE) (3GPP 용어), 액세스 단말기, 또는 기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10) 에는 다수의 안테나, 예를 들어 하나의 외부 안테나와 하나 이상의 내부 안테나들이 장착되어 있다. 다수의 안테나들은 페이딩, 다중경로, 간섭 등과 같은 유해한 경로 효과들에 대해 다이버시티 (diversity) 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전송 엔터티에 있는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RF 변조 신호는 가시선 (line-of-sight) 경로 및/또는 반사된 경로를 통하여 무선 디바이스 (110) 에 있는 다수의 안테나들에 도달할 수도 있다. 무선 디바이스 (110) 의 전송 안테나와 각 수신 안테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파 경로 (propagation path) 가 통상적으로 존재한다. 만일 다른 수신 안테나에 대한 전파 경로가 독립적이라면(이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어느 정도는 사실이다), 다수의 안테나가 RF 변조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될 때 다이버시티는 증가하고 수신된 신호 품질은 향상된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위성 (150) 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고 못 할 수도 있다. 위성 (150) 은 주지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유러피안 갈릴레오 시스템 등과 같은 위성 포지셔닝 시스템에 속할 수도 있다. 각 GPS 위성은, 지상에 있는 GPS 수신기가 GPS 신호의 도달 시간 (time of arrival) (TOA) 을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로 인코딩된 GPS 신호를 전송한다. 충분한 수의 GPS 위성들에 대한 측정은, GPS 수신기를 위한 정확한 3차원 위치 추정치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디바이스 (110) 는 상이한 무선 기술들 (예를 들면 CDMA, GSM, GPS 등) 의 임의의 수의 무선 시스템과 통신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2는 예시적인 무선 디바이스 (110) 를 도시하는 간략화된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무선 디바이스 (110) 는, 일단에는 외부 안테나가 될 수 있는 메인 안테나 같은 안테나 (202) 와 연결되고 타단은 이를테면 경로 (226) 를 통하여 이동국 모뎀 (MSM) (220) 과 통신하는, SAW-필터드 (SAW-filtered) 전송기와 같은 예시적인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210) 를 포함한다. MSM (220) 은 메모리 (222) 와 통신하는 프로세서 (224) 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전송기와 같은 예시적인 전송기 (220) 는 전송기 (210) 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디지털 제어 블럭 (250) 과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를 갖고 있는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를 포함한다. 각 바이어스 모드는 전송기 (210) 에서의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한다. 도 3a-d와 결합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가 전송기 (220) 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된 바이어스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송기 (210) 는 예를 들어 154 kbps 피크 업링크 데이터 레이트와 1.23 메가 헤르쯔 (MHz) 의 대역폭을 지원하도록 설계된다. 전송기 (210) 는 모든 CDMA 주파수 대역, 일반적으로 PCS 와 셀밴드 (Cell-band) 같은 고대역과 저대역에서 동작한다. 전송기 (220) 는 2차 베이스밴드 (BB) 필터와 같은 베이스밴드 (BB) 필터 (230), BB 가변 이득 증폭기 (VGA; 232) 와, 믹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이렉트 업컨버터 (234),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DA1; 238), 전력 증폭기 (PA; 244) 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전송 (Tx)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DAC; 240) 는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해 제공되는 레퍼런스 전류 (Iref) 로 직교 차동 I 및 Q 신호를 생성한다. BB I 및 Q 신호들은 BB 필터 (230) 에 입력되고, 필터링된 BB 신호들은, 도 3a-d 와 결합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이득 제어로 스위칭되는 BB VGA (232) 로 미러링된다. BB VGA의 출력 전류는 예를 들어 두 개의 크로스 커플링된 길버트 (Gilbert) 셀 믹서들로 구성되는 싱글 사이드밴드 업컨버터 (234) 에 의하여 업컨버트된다. 업컨버터의 출력 RF 전류는, 도 3a-d와 결합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디지털 이득 제어를 통해 제어되는 RF VGA (236) 의 입력에 인가된다. RF VGA (236) 의 출력에서의 차동 신호는 변압기 (237) 를 통해 DA1 (238) 의 입력에 단일 - 종단 (single-ended) 신호로 변환된다. 도 3a-d와 결합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DA1 (238) 은 디지털 제어되는 스위치드 캐스코드 스테이지 (switched cascode stage) 로 구성되고, 디지털 이득 제어를 제공한다. 도 3a-d와 결합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DA1 (238) 의 출력 (238a) 다음에 위치한 241a, 241b, 241c 와 같은 복수의 RF 스위치는, MSM (220) 으로부터 수신된 모드 선택 신호 (248) 에 따라, PA 회로 (244) 를 통한 정상 모드 (normal mode) 출력이나 PA-바이패스 경로 (246) 출력을 통한 PA-바이패스 모드를 선택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전송기 (210) 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TxDAC (240), BB-VGA (232), RF-VGA (236), DA1 (238) 과 같은 복수의 회로들을 지시한다.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할 때 하나 이상의 복수의 회로들의 전류 소비를 감소시킨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득 제어는 디지털 디스크리트 스텝 (digital discrete step) 들로 구현된다. 코어스 이득 제어 (coarse gain control) 는 BB VGA (232), RF VGA (236), DA1 (238) 에서 수행된다. TxDAC (240) 에서의 정밀 이득 제어는 0.25 dB 의 선형 이득 특성을 얻기 위하여 코어스 이득 곡선 (coarse gain curve) 을 보상한다. 코어스 이득 제어와 정밀 이득 제어 모두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상주할 수 있는 룩업테이블 (LUT) 을 통해 달성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기 (210) 는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244a) 과 증폭된 RF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244b) 을 갖고 있는 전력 증폭기 (PA) 회로 (244) 를 포함한다. 전송기 (210) 는 또한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의 출력 (238a) 을 PA 회로 (244) 의 출력부에 접속하기 위하여 PA-바이패스 경로 (246) 를 포함한다.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의 출력 (238a) 과 PA 회로 (244) 의 출력 (244b)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스위치들 (241a, 241b, 241c) 은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이 PA-바이패스 경로 (246) 와 PA 회로를 포함한 경로 (24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송기 (210) 는 또한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에 의해 PA 회로 (244) 에 공급되는 RF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해, 스위치 (241a) 이후와 같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의 출력 (238a) 과 PA 회로 (244) 의 입력 (244a) 의 사이에 위치한 표면탄성파 (SAW) 필터 (252) 를 포함한다.
통상의 예시적 동작 모드 (즉, PA (244) 출력 (244b) 이 고전력) 에서는, DA1 (238) 출력은 RF 스위치 (241a) 와 RF SAW 필터 (252) 를 통해 PA (244) 로 출력 전력을 7 dBm 까지 전달한다. PA-바이패스 모드 (즉, PA (244) 출력이 저전력과 중간 전력) 에서는, DA1 (238) 출력은 9dBm 을 초과하는 출력 전력을 RF 스위치들 (241b, 241c) 을 통해서 PA (244) 출력 (244b) 으로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PA (244) 를 바이패스하여 더 양호한 전력 소비를 달성하게 된다.
도 3a-d는 상기 도 2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210) 의 전력 소비가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으로부터 수신된 것과 같은 디지털 제어 명령을 통해서 동적으로 조절되는 블럭 (300) 에서 시작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제어 명령은, TxDAC (240) 에 대한 베이스밴드 (BB) 이득 제어 (GC) 명령 (251a), BB VGA (232) 에 대한 BB-VGA-GC 명령 (251b), RF 이득 제어 (GC) 명령 (251c), RF VGA (236) 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에 대한 이득 제어 (GC) 명령 (251d),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스위치 (241a, 241b, 241c) 를 여닫기 위한 커맨드 (command) 명령 (251e) 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 명령 (251a-e) 은 8비트이다. 다음으로 블럭 (310) 에서, 디지털 제어 명령 (251d) 에 기초하여,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의 바이어스 모드는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의, 하이 바이어스 모드 (high-bias mode) 또는 로우 바이어스 모드 (low-bias mode) 와 같은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로부터 선택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는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에서의 동작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하고, 따라서 전송기 (210) 의 전체적인 동작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한다. 그 후, 전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도 3b는 도3a의 블럭 (300) 에서의 동작을 좀더 세부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프로세스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210) 의 전력소비가, MSM (220) 으로부터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서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 (226a) 과 같은,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을 통해서 동적으로 조절되는 블럭 (330) 에서 시작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 (226a) 은 8비트이다.
그 다음, 블럭 (340) 에서, 수신 신호 (226a) 는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해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중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전류 소비 특성으로 맵핑된다. 이 맵핑은, 전송기 (210) 의 전체 전력 소비가 수신 신호 (226a) 를 통해 MSM (220) 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 소비 레벨과 맞출 수 있도록, 어느 전류 레벨에서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이 동작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대해 내부 또는 외부가 될 수도 있는 룩업테이블 (LUT; 253) 이 맵핑을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중 하나 이상은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내부에 있는 트랜지스터 셋트에 대응하는 3 개 이상과 같은 복수의 이득 스테이지를 갖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중 하나 이상은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내부의 255개의 트랜지스터 셋트에 대응하는 256개의 이득 스테이지를 갖고 있다. 이들 트랜지스터를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각각의 전력 소비 레벨을 조절할 수 있고, 이는 전송기 (210) 전체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게 된다. 블럭 (340) 다음으로, 플로우는 도 3a의 블럭 (300) 으로 리턴된다.
도 3c는 도 3a의 블럭 (300) 내 동작을 더 자세히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프로세스는 전송기 (210) 출력 전력이 낮을 때 PA-바이패스 경로 (246) 가 선택되는 블럭 (350) 에서 시작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 선택은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해, 스위치 (241a) 를 열고 스위치 (241b, 241c) 를 닫는 제어 명령 (251e) 을 통해 이루어진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PA 회로 (244) 는 또한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가령 MSM (220) 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 (248) 을 통해, 턴오프된다. 다음, 블럭 (360) 에서, PA 회로 (244) 가 전송기 (210)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선택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 선택은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해, 스위치 (241a) 를 닫고 스위치 (241b, 241c) 를 여는 제어 명령 (251e) 을 통해 이루어진다. 블럭 (360) 다음, 플로우는 도 3a의 블럭 (300) 으로 리턴된다.
도 3d는 도 3a의 블럭 (310) 에서의 동작을 더 세부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프로세스는, 전송기 (210) 출력 전력이 낮을 때,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에 대해 로우 바이어스 모드가 선택되는 블럭 (370) 에서 시작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선택은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해 제어 명령 (251d) 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 블럭 (380) 에서, 전송기 (210) 출력 전력이 높을 때,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에 대해 하이 바이어스 모드 (high bias mode) 가 선택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선택은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해 제어 명령 (251d) 을 통해 이루어진다. 블럭 (380) 다음, 플로우는 도 3a의 블럭 (310) 으로 리턴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도 3a-d와 연관하여 설명되는 동작들은 함께 수행된다. 예를 들어 MSM (220) 이 전송기 (210) 에 대한 저 출력 전력 시나리오를 택하는 제어 신호 (226a) 의 수신 이후,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먼저 제어 신호 (226a) 를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의 미리 결정된 전류 소비 특성에 맵핑한다.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각각이 자신의 수많은 트랜지스터를 턴온/턴오프 시킴으로써 맵핑된 특성에 대응하는 이득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한다.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또한 스위치 (241a) 를 열고 스위치 (241b, 241c) 를 닫음으로써 PA-바이패스 경로 (246) 의 선택을 지시한다. MSM (220) 은 또한 명령 (248) 을 통해 PA 회로 (244) 를 턴오프한다.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또한 제어 명령 (251d) 을 통해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에 대하여 로우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는데, 여기에서는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숫자를 가진 컴포넌트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이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는, 전송기 회로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와 공통의 입력 (238a) 을 갖는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를 포함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한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와 마찬가지로, 수신 신호 (226a) 에 따라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가 전송기 (210) 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바이어스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지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전송기 (210) 는 PA-바이패스 경로 (246) 를 선택할 수 있도록,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의 출력과 PA 회로 (244) 의 출력 (244b) 사이에 위치한 스위치 (241c) 를 갖고 있다.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는 복수의 이득 스테이지, 가령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에 있는 트랜지스터들의 셋트에 대응하는 3 개 이상의 이득 스테이지를 갖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는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내부에 255개의 트랜지스터의 셋트에 대응하는 256 개의 이득 스테이지를 갖고 있다. 이러한 트랜지스터들을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의 전력 소비 레벨을 조절할 수 있고, 이는 전송기 (210) 전체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게 된다.
도 5a-d는 상기 도 4와 관련하여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210) 의 전력 소비가 디지털 제어 명령, 가령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으로부터 수신된 것과 같은 명령을 통해 동적으로 조절되는 블럭 (500) 에서 시작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제어 명령은, TxDAC (240) 에 대한 베이스 밴드 (BB) 이득 제어 (GC) 명령 (251a), BB VGA (232) 에 대한 BB-VGA-GC 명령 (251b), RF VGA (236) 에 대한 RF 이득 제어 (GC) 명령 (251c) 과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에 대한 이득 제어 (GC) 명령 (251d), 뿐만 아니라 스위치 (241c) 를 여닫기 위한 커맨드 명령 (251e)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어 명령 (251a-e) 은 8비트이다. 다음, 블럭 (510) 에서는, 디지털 제어 명령 (251d) 에 기반하여, 하이 바이어스 모드나 로우 바이어스 모드와 같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의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로부터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의 일 바이어스 모드가 선택된다. 다음, 블럭 (530) 에서는, 디지털 제어 명령 (251d) 에 기반하여, 하이 바이어스 모드나 로우 바이어스 모드와 같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의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로부터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의 일 바이어스 모드가 선택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는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에서의 동작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하고, 따라서 전송기 (210) 에서의 전체적인 동작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한다. 그 후, 전체적인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도 5b는 도 5a의 블럭 (500) 에서의 동작을 더 자세히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프로세스는 블럭 (570) 에서 시작하는데, 여기에서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210) 의 전력 소비가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 가령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서 MSM (220) 으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 (226a) 과 같은 명령을 통해 동적으로 조절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제어 명령 (226a) 은 8비트이다.
다음, 블럭 (580) 에서, 수신된 신호 (262a) 는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하여,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그리고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중 하나 이상의 미리 결정된 전류 소비 특성에 맵핑된다. 이러한 맵핑은,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그리고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가, 전송기 (210)의 전체적인 전력 소비가 수신된 신호 (262a) 를 통해 MSM (220) 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 소비 레벨과 일치되도록 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전류 레벨로 동작해야 할지 결정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대해 내부 혹은 그 외부에 있을 수 있는 룩업 테이블 (LUT; 253) 이 맵핑을 위해 사용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그리고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중 하나 이상은,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그리고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내부의 트랜지스터 셋트에 대응하는 3 개 이상의 스테이지와 같은 복수의 이득 스테이지를 갖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그리고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중 하나 이상은,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그리고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내에 있는 255개의 트랜지스터의 셋트에 대응하는 256 개의 이득 스테이지를 갖고 있다. 이러한 트랜지스터를 턴온 또는 턴오프함으로써,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은 TxDAC (240), BB VGA (232), RF VGA (236) 그리고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및 DA2; 239) 의 각각의 전력 소비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전송기 (210) 전체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게 된다. 블럭 (340) 다음, 플로우는 도 5a의 블럭 (500) 으로 리턴된다.
도 5c는 도 5a의 블럭 (510, 530) 에서의 동작을 세부적으로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프로세스는 블럭 (550) 에서 시작하는데, 여기에서는 전송기 (210) 출력 전력이 낮을 때,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와 PA-바이패스 경로 (246) 가 선택되고, 스위치 (241c) 가 닫히며,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와 PA 회로 (242) 중 하나 또는 모두가 턴오프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선택은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해 제어 명령 (251d, 251e) 을 통해 이루어진다. 다음, 블럭 (560) 에서, 전송기 (210) 출력 전력이 높을 때,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와 PA 회로 (242) 가 선택되고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가 턴오프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전송기 (210)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스위치 (241c) 가 열린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러한 선택은 디지털 제어 블럭 (250) 에 의해 제어 명령 (251d, 251e) 을 통해 이루어진다. PA 회로 (244) 또는 PA-바이패스 경로 (246) 중의 선택은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1; 238) 나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DA2; 239) 의 턴오프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스위치 (241a, 241b) 의 구현은 더 이상 필요 없다. 블럭 (560) 다음, 플로우는 도 5a의 블럭 (510, 530) 으로 리턴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형태가 예시의 목적으로 개별적으로 논의되었지만, 이들은 개별적으로 도시한 실시형태들의 특징 중 일부나 전체를 가진 하나의 실시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한 기술은 정보와 신호가 다양한 다른 기술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앞서 기술한 바에서 내내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벌, 그리고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학계 또는 광학 입자, 또는 그것의 어떠한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그러한 기술은 본 개시와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럭, 모듈, 회로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적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호환가능성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 컴포넌트, 블럭, 모듈, 회로 및 단계들이 그 기능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개별적인 애플리케이션과 전체 시스템에 부여된 설계 제약조건들에 따른다. 숙련된 기술자는 상기의 기능을 각 개별적인 애플리케이션에 맞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그러한 구현 방식 결정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의 일탈을 초래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여기에서 본 개시와 관련하여 기술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럭, 모듈 및 회로 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처리기 (DSP), 주문형 반도체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개의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별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여기서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도 있으나, 프로세서는 선택적으로 어떠한 기존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스테이트 머신 (state machine) 이 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의 조합,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어떠한 다른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본 개시와 관련하여 기술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removable disk), 시디롬 (CD-ROM), 또는 알려진 다른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도록 프로세서와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내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별도의 컴포넌트로 상주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은 컴퓨터가 상기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코드를 갖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가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구현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기의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어떠한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그 기능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있는 하나 이상의 명령 또는 코드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어떠한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저장 매체 와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access) 될 수 있는, 가능한 어떠한 매체도 될 수 있다. 제한되지 않는 예로써,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디스크 저장부, 마그네틱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마그네틱 저장 디바이스, 또는 명령이나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운반 또는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컴퓨터나 범용 또는 특수 용도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어떠한 다른 매체들로 구성된다. 또한, 임의의 커넥션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된다. 예를 들면, 만일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radio),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radio), 마이크로웨이브와 같은 무선 기술은 매체의 개념에 포함된다. 여기서 사용된 디스크 (disk) 와 디스크 (disc) 는 컴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디스크, 디브이디 (DVD), 플로피 디스크와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디스크 (disk) 는 보통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복원하는 반면, 디스크 (disc) 는 데이터를 레이저로 광학적으로 복원하는 것이다. 상기의 것들의 조합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영역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상기 기술한 바는 숙련된 기술자가 본 개시의 제작 또는 사용을 하는데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수정이 숙련된 기술자에게는 명백할 것이고, 여기에서 정의된 일반 원리는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다양한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여기에서 기술된 예나 설계에 국한하려 하지 않고, 여기에서 개시된 원리와 새로운 특징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와 일치될 것이다.

Claims (32)

  1.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로서,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디지털 제어 블럭;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에서의 전력 소비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모드들을 포함하는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로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된 바이어스-모드에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가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증폭된 RF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을 갖는 전력 증폭기 (PA) 회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출력을 상기 PA 회로의 출력에 연결하는 PA-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PA-바이패스 경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출력과 상기 PA 회로의 출력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회로들에 명령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들은 베이스밴드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베이스밴드 가변 이득 증폭기, RF 가변 이득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전송기 출력 전력이 감소할 때 상기 복수의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류 소비를 감소시키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대해 하이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대해 로우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PA) 회로는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턴오프 (turn off) 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의해 상기 PA 회로에 공급되는 상기 RF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해,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출력과 상기 PA 회로의 입력 사이에 위치한 표면탄성파 (SAW) 필터를 더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는 복수의 이득 스테이트 (gain state) 들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는 256 개의 이득 스테이트들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로들은 각각 복수의 이득 스테이트들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3.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로서,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디지털 제어 블럭;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에서의 전력 소비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모드들을 포함하는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로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선택된 바이어스-모드에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가 동작하도록 명령하는,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에서의 전력 소비 레벨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로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가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해 선택된 바이어스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명령하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는 공통 입력을 갖는,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과, 증폭된 RF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을 갖는 전력 증폭기 (PA) 회로;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출력을 상기 PA 회로의 출력에 연결하기 위한 PA-바이패스 경로; 및
    상기 PA-바이패스 경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출력과 상기 PA 회로의 출력 사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및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 복수의 이득 스테이트들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및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중 적어도 하나는 256 개의 이득 스테이트들을 포함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상기 PA-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상기 PA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턴오프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상기 PA 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를 턴오프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상기 복수의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전류 소비 특성에 맵핑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블럭은,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된 신호를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그리고 상기 복수의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전류 소비 특성에 맵핑하는,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
  21.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바이어스-모드를 상기 디지털 제어 명령들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PA-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전력 증폭기 (PA) 회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소비 조절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대해 로우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대해 하이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비 조절 방법.
  23. 삭제
  24. 제 21 항에 있어서,
    PA-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는 단계는,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PA 회로를 턴오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비 조절 방법.
  25. 삭제
  26.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바이어스-모드를 상기 디지털 제어 명령들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바이어스 모드를 상기 디지털 제어 명령들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단계;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상기 디지털 제어 명령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PA-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PA 회로를 턴오프하는 단계; 및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상기 PA 회로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를 턴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소비 조절 방법.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는,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통해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와 복수의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전류 소비 특성에 맵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비 조절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는;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상기 제 2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 및 복수의 회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미리 결정된 전류 소비 특성에 맵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력 소비 조절 방법.
  29.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는 수단;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 레벨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바이어스 모드를 상기 디지털 제어 명령들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수단;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를 선택된 바이어스 모드로 동작시키는 수단;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PA-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는 수단; 및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전력 증폭기 (PA) 회로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전력 소비 조절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대해 로우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 및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대해 하이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력 소비 조절 장치.
  31. 컴퓨터로 하여금 디지털 제어 명령들을 통해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 소비를 동적으로 조절하게 하는 명령들;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디지털 제어 명령들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주파수 (RF) 전송기의 전력소비 레벨에 대응하는 복수의 바이어스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의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들;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를 선택된 바이어스 모드에서 동작하게 하는 명령들;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PA-바이패스 경로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들; 및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전력 증폭기 (PA) 회로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전송기 출력 전력이 낮을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대하여 로우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들; 및
    전송기 출력 전력이 높을 때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1 드라이버 증폭기 회로에 대하여 하이 바이어스 모드를 선택하게 하는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07029663A 2008-05-30 2009-05-29 감소된 전력-소비 전송기 KR1012007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30,729 2008-05-30
US12/130,729 US8618876B2 (en) 2008-05-30 2008-05-30 Reduced power-consumption transmitters
PCT/US2009/045736 WO2009146440A1 (en) 2008-05-30 2009-05-29 Reduced power-consumption transmit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686A KR20110014686A (ko) 2011-02-11
KR101200738B1 true KR101200738B1 (ko) 2012-11-13

Family

ID=4099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663A KR101200738B1 (ko) 2008-05-30 2009-05-29 감소된 전력-소비 전송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18876B2 (ko)
EP (1) EP2297861A1 (ko)
JP (2) JP2012507885A (ko)
KR (1) KR101200738B1 (ko)
CN (1) CN102047567B (ko)
TW (1) TW201012081A (ko)
WO (1) WO2009146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8876B2 (en) * 2008-05-30 2013-12-31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power-consumption transmitters
CN102204401A (zh) * 2008-09-05 2011-09-28 艾色拉加拿大有限公司 具有针对无线应用的可切换输出的无源发射机架构
US8854019B1 (en) 2008-09-25 2014-10-07 Rf Micro Devices, Inc. Hybrid DC/DC power converter with charge-pump and buck converter
US9166471B1 (en) 2009-03-13 2015-10-20 Rf Micro Devices, Inc. 3D frequency dithering for DC-to-DC converters used in multi-mode cellular transmitters
US8315576B2 (en) 2009-05-05 2012-11-20 Rf Micro Devices, Inc. Capacitive compensation of cascaded directional couplers
US8548398B2 (en) 2010-02-01 2013-10-01 Rf Micro Devices, Inc. Envelope power supply calibration of a multi-mode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US8538355B2 (en) 2010-04-19 2013-09-17 Rf Micro Devices, Inc. Quadrature power amplifier architecture
US8565694B2 (en) 2010-04-20 2013-10-22 Rf Micro Devices, Inc. Split current current digital-to-analog converter (IDAC) for dynamic device switching (DDS) of an RF PA stage
US8983410B2 (en) 2010-04-20 2015-03-17 Rf Micro Devices, Inc. Configurable 2-wire/3-wire serial communications interface
US8947157B2 (en) 2010-04-20 2015-02-03 Rf Micro Devices, Inc. Voltage multiplier charge pump buck
US9553550B2 (en) 2010-04-20 2017-01-24 Qorvo Us, Inc. Multiband RF switch ground isolation
US9362825B2 (en) 2010-04-20 2016-06-07 Rf Micro Devices, Inc. Look-up table based configuration of a DC-DC converter
US8989685B2 (en) 2010-04-20 2015-03-24 Rf Micro Devices, Inc. Look-up table based configuration of multi-mode multi-band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circuitry
US9900204B2 (en) 2010-04-20 2018-02-20 Qorvo Us, Inc. Multiple functional equivalence digital communications interface
US8515361B2 (en) 2010-04-20 2013-08-20 Rf Micro Devices, Inc. Frequency correction of a programmable frequency oscillator by propagation delay compensation
US8706063B2 (en) 2010-04-20 2014-04-22 Rf Micro Devices, Inc. PA envelope power supply undershoot compensation
US8712349B2 (en) 2010-04-20 2014-04-29 Rf Micro Devices, Inc. Selecting a converter operating mode of a PA envelope power supply
US9077405B2 (en) 2010-04-20 2015-07-07 Rf Micro Devices, Inc. High efficiency path based power amplifier circuitry
US8811920B2 (en) 2010-04-20 2014-08-19 Rf Micro Devices, Inc. DC-DC converter semiconductor die structure
US8811921B2 (en) * 2010-04-20 2014-08-19 Rf Micro Devices, Inc. Independent PA biasing of a driver stage and a final stage
US8542061B2 (en) 2010-04-20 2013-09-24 Rf Micro Devices, Inc. Charge pump based power amplifier envelope power supply and bias power supply
US8913971B2 (en) 2010-04-20 2014-12-16 Rf Micro Devices, Inc. Selecting PA bias levels of RF PA circuitry during a multislot burst
US9008597B2 (en) 2010-04-20 2015-04-14 Rf Micro Devices, Inc. Direct current (DC)-DC converter having a multi-stage output filter
US9048787B2 (en) 2010-04-20 2015-06-02 Rf Micro Devices, Inc. Combined RF detector and RF attenuator with concurrent outputs
US9184701B2 (en) 2010-04-20 2015-11-10 Rf Micro Devices, Inc. Snubber for a direct current (DC)-DC converter
US8892063B2 (en) 2010-04-20 2014-11-18 Rf Micro Devices, Inc. Linear mode and non-linear mode quadrature PA circuitry
US9577590B2 (en) 2010-04-20 2017-02-21 Qorvo Us, Inc. Dual inductive element charge pump buck and buck power supplies
US8913967B2 (en) 2010-04-20 2014-12-16 Rf Micro Devices, Inc. Feedback based buck timing of a direct current (DC)-DC converter
US8831544B2 (en) 2010-04-20 2014-09-09 Rf Micro Devices, Inc. Dynamic device switching (DDS) of an in-phase RF PA stage and a quadrature-phase RF PA stage
US9214900B2 (en) 2010-04-20 2015-12-15 Rf Micro Devices, Inc. Interference reduction between RF communications bands
US8942650B2 (en) 2010-04-20 2015-01-27 Rf Micro Devices, Inc. RF PA linearity requirements based converter operating mode selection
US9030256B2 (en) 2010-04-20 2015-05-12 Rf Micro Devices, Inc. Overlay class F choke
US8842399B2 (en) 2010-04-20 2014-09-23 Rf Micro Devices, Inc. ESD protection of an RF PA semiconductor die using a PA controller semiconductor die
US8983407B2 (en) 2010-04-20 2015-03-17 Rf Micro Devices, Inc. Selectable PA bias temperature compensation circuitry
US8731498B2 (en) 2010-04-20 2014-05-20 Rf Micro Devices, Inc. Temperature correcting an envelope power supply signal for RF PA circuitry
US8559898B2 (en) 2010-04-20 2013-10-15 Rf Micro Devices, Inc. Embedded RF PA temperature compensating bias transistor
US8571492B2 (en) 2010-04-20 2013-10-29 Rf Micro Devices, Inc. DC-DC converter current sensing
US9214865B2 (en) 2010-04-20 2015-12-15 Rf Micro Devices, Inc. Voltage compatible charge pump buck and buck power supplies
US8942651B2 (en) 2010-04-20 2015-01-27 Rf Micro Devices, Inc. Cascaded converged power amplifier
US8958763B2 (en) 2010-04-20 2015-02-17 Rf Micro Devices, Inc. PA bias power supply undershoot compensation
US8699973B2 (en) 2010-04-20 2014-04-15 Rf Micro Devices, Inc. PA bias power supply efficiency optimization
US9065505B2 (en) 2012-01-31 2015-06-23 Rf Micro Devices, Inc. Optimal switching frequency for envelope tracking power supply
US9264077B2 (en) * 2012-05-31 2016-02-16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an RF transmitter providing impedance fluctuation dampening and related methods
KR102200711B1 (ko) * 2013-10-11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에서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는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9544002B2 (en) * 2014-01-16 2017-01-10 Intel IP Corporation Concurrent transmit and receive
TWI656631B (zh) * 2014-03-28 2019-04-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攝像裝置
US9837972B2 (en) * 2015-12-30 2017-12-05 Skyworks Solutions, Inc. Multi-mode power amplifier module
EP3499643A4 (en) * 2017-02-22 2019-10-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90097671A1 (en) * 2017-09-26 2019-03-28 Apple Inc. Converged transmitter architectur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11387933B2 (en) 2020-01-31 2022-07-1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ransmission front end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 in mod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4735A1 (en) 2002-03-01 2003-09-04 Julien Marquis Christian Method of adjusting gain and current consumption of a power amplifier circuit while maintaining linearity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2288A (ja) * 1992-11-06 1994-05-31 Oki Electric Ind Co Ltd 電力制御装置
US5432473A (en) 1993-07-14 1995-07-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Dual mode amplifier with bias control
US5568094A (en) 1994-12-15 1996-10-22 At&T Corp. Rf power amplifier with increased efficiency at low power
US5923215A (en) 1996-06-13 1999-07-13 The Whitaker Corporation Linearized amplifier
JP3387508B2 (ja) * 1998-02-19 2003-03-1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送信増幅装置
JP2000332620A (ja) * 1999-05-18 2000-11-30 Denso Corp 送信電力制御回路
US6313698B1 (en) 1999-09-24 2001-1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phone transmit power amplification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US6529716B1 (en) 2000-01-11 2003-03-04 Skyworks Solutions, Inc. RF transmitter with extended efficient power control range
US6480700B1 (en) 2000-03-03 2002-11-1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operating a communication device at reduced level of current consumption
JP3463656B2 (ja) * 2000-07-12 2003-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電力増幅装置及びその方法
US6515541B2 (en) 2001-06-13 2003-02-04 Skyworks Solutions, Inc. Multi-level power amplifier
US20050090210A1 (en) 2002-04-11 2005-04-2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apparatus
WO2004027983A2 (en) 2002-09-20 2004-04-01 Triquint Semiconductor, Inc. Saturated power amplifier with selectable and variable output power levels
KR20050083712A (ko) 2002-10-03 2005-08-26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무선 통신 시스템용 전력 증폭기, 이를 포함한 umts핸드셋 및 그 전력 증폭기의 전력 소비 감소 방법
US7477106B2 (en) 2002-12-19 2009-01-13 Nxp B.V. Power amplifier with bias control
US6831517B1 (en) * 2002-12-23 2004-12-14 Intersil Americas, Inc. Bias-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mable RF power amplifier
US6859098B2 (en) 2003-01-17 2005-02-22 M/A-Com, Inc. Apparatus, method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control in an electromagnetic processor
JP2004048797A (ja) * 2003-09-12 2004-02-12 Hitachi Ltd 送信機および電力増幅器
JP2005175561A (ja) * 2003-12-08 2005-06-30 Renesas Technology Corp 高周波電力増幅回路用電源回路および電源用半導体集積回路並びに電源用電子部品
JP4683468B2 (ja) * 2005-03-22 2011-05-1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回路
US7345534B2 (en) 2005-05-31 2008-03-18 M/A-Com Eurotec Bv Efficient power amplification system
JP2007005996A (ja) 2005-06-22 2007-01-11 Renesas Technology Corp 通信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7711070B2 (en) * 2005-08-25 2010-05-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transmitter power consumption
US7423488B2 (en) 2005-12-05 2008-09-0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the effects of aging and temperature on transistor performance
US7933567B2 (en) * 2006-01-26 2011-04-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linear monotonic output power
US7528648B2 (en) * 2006-02-23 2009-05-0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Replica biased system
JP2007228360A (ja) 2006-02-24 2007-09-06 Kyocera Corp 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08048321A (ja) 2006-08-21 2008-02-28 Nec Corp 無線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電力レベル調整システム
US7715810B2 (en) * 2007-01-31 2010-05-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stepped drain bias control with digital predistortion for a power amplifier
US8014740B2 (en) * 2007-07-31 2011-09-0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mplitude calibration for polar modulation with discontinuous phase
KR101481725B1 (ko) * 2008-02-26 201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의 전력 송신 장치 및 방법
US8618876B2 (en) * 2008-05-30 2013-12-31 Qualcomm Incorporated Reduced power-consumption transmitt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4735A1 (en) 2002-03-01 2003-09-04 Julien Marquis Christian Method of adjusting gain and current consumption of a power amplifier circuit while maintaining linear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7567A (zh) 2011-05-04
CN102047567B (zh) 2015-07-29
WO2009146440A1 (en) 2009-12-03
EP2297861A1 (en) 2011-03-23
JP2013232976A (ja) 2013-11-14
JP2012507885A (ja) 2012-03-29
KR20110014686A (ko) 2011-02-11
JP5763133B2 (ja) 2015-08-12
US8618876B2 (en) 2013-12-31
US20120236958A1 (en) 2012-09-20
TW201012081A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738B1 (ko) 감소된 전력-소비 전송기
KR100984984B1 (ko) 다중 대역 무선 주파수 변조기
CN106797221B (zh) 用于在多载波发射器中使用的互调失真消除器
US20080144539A1 (en) Simplified Digital Predistortion in a Time-Domain Duplexed Transceiver
KR101157438B1 (ko) 저감된 전력-소모 수신기
EP25576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ower efficiency of a transmitter
US20140341318A1 (en) Average power tracking in a transmitter
EP25576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rving input impedance of a current-mode circuit
US20070087770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654216B1 (en) SAW-less transceiver with notch at transmitter frequency
US20030003886A1 (e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radio transmission method
US8107910B2 (en) Differential to single-ended conversion for radio frequency devices
JP2017508378A (ja) モードベースアンテナ同調
JP2010273069A (ja) 受信器、送受信器および携帯端末装置
US8447256B2 (en) Digital voltage-controlled attenuator
JP2010021747A (ja) ダイレクト・アップ・コンバージョン送信機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11736071B2 (en) Wideband amplifier
US20140154998A1 (en) Transmit Adaptation Responsive to Signal Transformation
WO2020103450A1 (en) Programmable on-chip self-calibrating balanced attenuator
WO2020103709A1 (en) Transmit-receive switch
GB2460112A (en) Controlling transmission diversity by delaying a signal on a second transmit path relative to a first transmit p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