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588B1 - 나사 절삭용 인서트 - Google Patents

나사 절삭용 인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588B1
KR101200588B1 KR1020050098361A KR20050098361A KR101200588B1 KR 101200588 B1 KR101200588 B1 KR 101200588B1 KR 1020050098361 A KR1020050098361 A KR 1020050098361A KR 20050098361 A KR20050098361 A KR 20050098361A KR 101200588 B1 KR101200588 B1 KR 101200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projection
cutting
plane
cutting e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096A (ko
Inventor
유따까 나다
오사무 이찌노세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4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6Profile cutting tools, i.e. forming-tools
    • B23B27/065Thread-tur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32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 B23B2200/321Chip breaking or chip evacuation by chip breaking proj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 Y10T407/235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with integral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10T407/245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comprising concave surface in cutting face o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래디얼 인피드에 있어서의 후반 사이클에서도 확실하게 절삭 칩을 컬시켜 그 배출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
인서트 본체(1)에 형성된 레이크면(7)의 변 모서리부에, 이 레이크면(7)에 대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볼록 V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과 이 나사 절삭 날(4)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는 긁기 날(5)을 갖는 절삭 날(6)을 형성하고, 이 평면으로부터 보아 레이크면(7) 중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은 나사 절삭 날(4)보다도 돌출시키지 않고 긁기 날(5)보다도 후방의 레이크면(7) 상에, 이 레이크면(7)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11)와, 이 제1 돌기(11)보다도 돌출 높이가 높은 제2 돌기(12)와, 이들 제1 및 제2 돌기(11, 12)보다도 더욱 돌출 높이가 높은 제3 돌기(13)를 돌출 설치하고, 이 중 제1 및 제2 돌기(11, 12)를 제3 돌기(13)보다도 절삭 날(6)측에 위치시킨다.
레이크면, 절삭 날, 돌기, 긁기 날, 경사면

Description

나사 절삭용 인서트 {INSERT FOR CUTTING THREADS}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중심선(O)에 따른 평면도.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X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4는 도2에 있어서의 Y 방향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5는 도2에 있어서의 Z-Z 단면도.
도6은 도1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인서트 본체(1)의 모서리부 확대 평면도.
도7은 도6에 있어서의 Z1-Z1 단면도.
도8은 도6에 있어서의 T1-T1 단면도.
도9는 도6에 있어서의 T2-T2 단면도.
도10은 도6에 있어서의 X1-X1 단면도.
도11은 도6에 있어서의 W1-W1 단면도.
도12는 도6에 있어서의 Z2-Z2 단면도.
도13은 도6에 있어서의 X2-X2 단면도.
도14는 도6에 있어서의 W2-W2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서트 본체
4(4A, 4B) : 나사 절삭 날
5 : 긁기 날
6 : 절삭 날
7 : 레이크면
8 : 랜드부
9(9A, 9B) : 경사면
10 : 바닥면
11 : 제1 돌기
11A : 제1 브레이커벽
12 : 제2 돌기
12A : 제2 브레이커벽
13 : 제3 돌기
13A : 제3 브레이커벽
O : 인서트 본체(1)의 중심선
L : 평면으로부터 보아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
F : 인서트 이송 방향
B :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의 경사면(9A)의 경사각
C :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의 경사면(9B)의 경사각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25783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8-29480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표 평9-502396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14089호 공보
본 발명은 인서트 착탈식 절삭 공구의 공구 본체에 보유 지지되어 워크에 나 절삭을 실시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나사 절삭용 인서트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내지 4에 삼각형 평판상을 이루는 인서트 본체의 삼각형면의 각 모서리부에 레이크면이 형성되고, 이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나사 절삭해야 하는 나사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 볼록 V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레이크면의 변 모서리부에 형성된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특허 문헌 1 내지 4에 기재된 인서트에서는 상기 레이크면 상에 돌출하는 돌기를 칩 브레이커로서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나사 절삭용 인서트는 일반적으로 복수 사이클의 시삭(施削)에 의해 회전하는 워크의 주위면에 나사 절삭을 실시하는 데 이용된다. 즉,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이 워크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도록 인서트 본체가 상기 공구 본체에 보유 지지되어 상기 나사 절삭 날을 워크 주위면에 절입시키면서 상기 축선에 평행한 일정한 이송 방향으로 소정의 이송량으로 복수 사이클(복수회) 송출되고, 이 때 각 사이클마다의 절입량을 서서히 크게 해 감으로써, 최종 사이클에 있어서 원하는 단면 형상, 골 깊이의 나선 형상의 나사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8-25783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8-294804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표 평9-502396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14089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사이클마다의 절입량을 서서히 크게 해 갈 때에는 각 사이클마다 인서트 본체가 상기 이등분선에 따라 전진하도록 절입량을 크게 하는 래디얼 인피드, 한 쌍의 나사 절삭 날 중 이송 방향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에 따라 인서트 본체를 이송 방향측으로 전진시키면서 절입량을 크게 해 가는 프랭크 인피드, 혹은 상기 이등분선을 사이에 두고 인서트 본체를 이송 방향측과 그 후방측으로 번갈아 진퇴시키면서 절입량을 크게 해 가는 인크리멘털 인피드 등의 절입 방법이 채용된다. 그리고, 특히 나사 절삭에 있어서는 공작 기계의 NC 프로 그램의 범용성으로부터 래디얼 인피드가 다용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래디얼 인피드에서는 복수 사이클 중 절입 초기의 전반 사이클로부터 중간 단 사이클 정도에 거쳐서는 절입량의 증대분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생성되는 절삭 칩의 두께도 비교적 두꺼워, 절삭 칩 자신의 컬이나 특허 문헌 1 내지 4에 기재된 돌기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후반 사이클의 특히 나사 형상이나 치수를 소정의 형상 및 치수로 마무리하는 최종 사이클에 있어서는 절입량의 증대분이 매우 작으므로 절삭 칩 두께도 매우 얇아진다. 따라서, 이 최종 사이클도 포함한 후반 사이클에 있어서는 컬되기 어려워 연장되는 경향이 있는 절삭 칩이 생성되게 되고, 게다가 이와 같은 절삭 칩이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생성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 내지 4에 기재된 나사 절삭용 인서트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절삭 칩을 컬시키기 위한 상기 돌기가 레이크면 중에서도 볼록 V자 형상을 이루는 나사 절삭 날의 평면으로부터 보아 내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어 전반 사이클로부터 중간 단 사이클에 거친 비교적 두꺼운 절삭 칩의 처리에는 효과적이지만, 후반 사이클이나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최종 사이클에 있어서 생성되는 매우 얇은 절삭 칩에 대해서는 절삭 칩이 레이크면으로부터 저항을 받는 일 없이 워크로부터 깎아내어진 상태의 속도로 유출되기 때문에, 돌기를 용이하게 타고 넘어 연장되는 경향이 있는 상태로 배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절삭 칩의 배출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해져 절삭 칩이 워크나 공구 본체에 달라붙거나, 혹은 소정 형상 및 치수로 나사를 형성한 워크를 절삭 칩이 흠집을 내어 버리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 내지 4 중에서도 특허 문헌 1에는 이러한 돌기를 나사 절삭 날의 내측의 레이크면 상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나사 절삭 날의 후방 단부보다도 더욱 후방에 평면으로부터 보아 톱니 형상의 요철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거나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사면은 레이크면으로부터 보스면으로 수직 상승하는 1단인 것이므로, 후반 사이클에서 생성된 절삭 칩을 확실하게 이 경사면에 충돌시켜 컬시키고자 하면 그 레이크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높게 설정해야만하며, 이 경우에 절삭 칩은 한 번에 말아 넣어져 컬되는 동시에 급격하게 그 유출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되므로, 절삭 저항의 증대를 초래하여 워크나 공구 본체에 슬라이트 웨이브니스 진동이 생기거나, 이에 수반하여 마무리 면 정밀도가 열화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가령 절삭 칩 처리가 곤란하게 되는 래디얼 인피드에 있어서의 후반 사이클에서도 절삭 저항의 증대에 의한 슬라이트 웨이브니스 진동 등에 의한 마무리 면 정밀도의 열화를 초래하거나 하는 일 없이 확실하게 절삭 칩을 컬시켜 그 배출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나사 절삭용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나사 절삭용 인서트는, 인서트 본체에 형성된 레이크면의 변 모서리부에, 이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볼록 V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나사 절삭 날과 이들 나사 절삭 날 중 적어도 한 쪽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는 긁기 날을 갖는 절삭 날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크면 중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전방의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은 이들 나사 절삭 날보다도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후방의 상기 레이크면 상에는 상기 레이크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와, 이 제1 돌기보다도 돌출 높이가 높은 제2 돌기와, 이들 제1 및 제2 돌기보다도 더욱 돌출 높이가 높은 제3 돌기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중 상기 제1 및 제2 돌기는, 상기 제3 돌기보다도 상기 절삭 날측에 위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나사 절삭용 인서트는, 인서트 본체에 형성된 레이크면의 변 모서리부에, 이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볼록 V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나사 절삭 날과 이들 나사 절삭 날 중 적어도 한 쪽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는 긁기 날을 갖는 절삭 날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크면 중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전방의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은 이들 나사 절삭 날보다도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후방의 상기 레이크면 상에는 상기 레이크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와, 이 제1 돌기보다도 돌출 높이가 높은 제2 돌기와, 이들 제1 및 제2 돌기보다도 더욱 돌출 높이가 높은 제3 돌기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중 상기 제1 및 제2 돌기는 상기 제3 돌기보다도 상기 절삭 날측에 위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레이크면 중,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전방의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에는, 이들 나사 절삭 날에 대해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후퇴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경사면 중 상기 인서트 본체의 이송 방향 후방측의 경사면은 이송 방향측의 경사면보다도 급구배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내지 도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서트 본체(1)는 초경합금 등의 경질 재료에 의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정삼각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그 개략 정삼각형을 이루는 상하면의 중앙에는 상기 인서트 본체(1)를 그 두께 방향(도1, 도3 내지 도5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이하, 인서트 두께 방향이라 함)으로 관통하는 단면 원형의 부착 구멍(2)이 개구되어 있고, 인서트 본체(1)는 이 부착 구멍(2)의 중심선(O)에 관하여 120˚회전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중심선(O)에 따른 평면으로부터 보아 인서트 본체(1)가 이루는 상기 정삼각형의 각 모서리부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부에 교차하는 변 모서리부 중 한 쪽 변 모서리부에 대략 수직이 되도록 절결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절결된 부분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한 쪽 변 모서리부측에 그 절결면에 수직인 이등분선(L)을 갖고 돌출하는 볼록 V자 형상의 돌조부(2)가 인서트 두께 방향에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 돌조부(3)가 이루는 볼록 V자의 상면측의 양변 모서리부에는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나사 절삭 날(4)의 후방 단부로부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상기 절결면의 상면측 변 모서리부에는 양 나사 절삭 날(4)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도록 긁기 날(5)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나사 절삭 날(4) 및 긁기 날(5)에 의해 절삭 날(6)이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절삭 날(6)을 변 모서리부에 갖는 인서트 본체(1)의 상면의 각 모서리부는 그 레이크면(7)이 된다. 단, 긁기 날(5)은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 중 후술하는 인서트 이송 방향(F)의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4)의 후방 단부에만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평면으로부터 보아 볼록 V자를 이루는 나사 절삭 날(4)끼리의 협각은 예각이 되는 동시에, 이들 나사 절삭 날(4)끼리가 교차하는 상기 볼록 V자의 돌출 단부는 이등분선(L) 상에 중심을 갖고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들 나사 절삭 날(4)에 원활하게 접하는 볼록 원호 형상이 되는 한편, 각 나사 절삭 날(4)과 그 후방 단부에 연속되는 긁기 날(5)과의 교차 부분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들 나사 절삭 날(4)과 긁기 날(5)에 원활하게 접하는 오목 원호 형상이 되어 있다. 단, 이들 요철 원호의 반경이나 평면으로부터 보아 나사 절삭 날(4)끼리가 이루는 볼록 V자의 협각의 크기 및 긁기 날(5)로부터의 돌출량 등은 워크에 형성해야 할 나사의 치수 및 형상 등에 따라서 설정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절삭용 인서트는 인서트 착탈식 나사 절삭 바이트 등의 공구 본체에,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을 도시하지 않은 워 크의 회전축선에 수직으로서 레이크면(7)이 이 워크의 회전 방향에 대향하도록 하여 평면으로부터 보아 인서트 본체(1)가 이루는 정삼각형의 변 모서리부 중 나사 절삭에 사용되는 절삭 날(6)이 형성된 모서리부에 교차하는 상기 한 쪽 변 모서리부 이외의 나머지 2변 모서리부에 연속되는 인서트 본체(1)의 측면을 상기 공구 본체 선단부의 부착 시트벽면에 접촉시키고, 상기 부착 구멍(2)에 삽통되는 역시 도시하지 않은 클램프 나사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보유 지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부착된 공구 본체로의 클램프 강성의 관계로부터 상기 인서트는 상기 워크의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상기 한 쪽 변 모서리부측에 복수 사이클로 송출되면서, 각 사이클마다 절입량을 크게 해 감으로써 상기 나사 절삭 날(4)에 의해 워크의 주위면에 나사를 형성하고, 또한 최종 사이클에 있어서는 상기 긁기 날(5)에 의해 나사산의 정상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으로 상기 한 쪽 변 모서리부측을 향하는 방향(도2, 도6에 있어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방향)이 인서트 이송 방향(F)이 된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등분선(L)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측면으로부터 보아, 나사 절삭 날(4)은 상기 돌출 단부로부터 이등분선(L) 방향으로 레이크면(7)의 후방측(도6에 있어서는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방향)을 향함에 따라서 일정한 경사각으로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점차 후퇴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긁기 날(5)에 연속되는 레이크면(7)도 상기 이등분선(L) 방향, 즉 평면으로부터 보아 긁기 날(5)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레이크면(7)의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측면으로부터 보아 이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경사각과 동등한 일정한 경사각으로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점차 후퇴하는 경사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사 절삭 날(4)의 릴리프면이 되는 상기 돌조부(3)의 측면과 긁기 날(5)의 릴리프면이 되는 상기 절결면 및 그 밖의 인서트 본체(1)의 측면과는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절삭용 인서트는 네거티브 인서트가 되는 동시에, 이들 나사 절삭 날(4)이나 긁기 날(5) 및 그 레이크면(7)이 형성되는 상면과는 반대인 인서트 본체(1)의 하면은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평면으로부터 보아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의 레이크면(7)에는 도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나사 절삭 날(4)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상기 나사 절삭 날(4)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일정한 경사각(A)에서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점차 후퇴하는 랜드부(8)가 일정폭(D)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랜드부(8)의 더욱 내측에는 이 랜드부(8)가 이루는 경사각(A)보다도 큰 경사각에서 레이크면(7)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점차 후퇴하는 경사면(9)이 각각 형성되어 있지만, 이들 경사면(9)은 상기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의 나사 절삭 날(4A)[도6에 있어서 좌측의 나사 절삭 날(4)]의 내측에 랜드부(8)를 거쳐서 연속되는 경사면(9B)의 경사각(C)이 커지도록, 즉 경사면(9B)이 경사면(9A)보다도 급구배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볼록 V자의 돌출 단부측으로부터 랜드부(8)를 거쳐서 레이크면(7)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이들 경사면(9A, 9B)의 교차 능선[경사면(9A, 9B)이 이루는 곡부의 곡저선](M)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레이크면(7)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이등분선(L)으로부터 인서트 이송 방향(F)의 후방측으로 점차 이격되도록 경사지게 된다.
또한, 이들 경사면(9)의 내측에는 상기 이등분선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도10 및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수직이고, 상기 이등분선(L)에 따라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면에 있어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절삭 날(4)의 상기 돌출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측면으로부터 보아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경사각과 동등한 경사각에서 점차 후퇴하는 바닥면(10)이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랜드부(8)로부터 이 바닥면(10)까지의 경사면(9)의 폭은 각 경사면(9A, 9B)의 각각에서는 일정하고, 경사면(9A, 9B)끼리에서는 완만한 경사각(B)의 경사면(9A) 쪽이 경사각(C)이 큰 급구배의 경사면(9B)보다도 커진다. 또한, 이들 랜드부(8), 경사면(9) 및 바닥면(10)은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 방향으로 긁기 날(5)의 위치를 넘어 그 후방의 레이크면(7)의 내측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레이크면(7) 중 이 긁기 날(5)보다도 전방의, 평면으로부터 보아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은 이들 나사 절삭 날(4)보다도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일 없이 상기 도8 내지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절삭 날(4)에 대해 후퇴하도록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 긁기 날(5)보다도 후방의 레이크면(7) 상에는 제1, 제2, 제3의 3개의 돌기(11, 12, 13)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11 내지 13)는 제1, 제2, 제3 돌기(11, 12, 13)의 순으로 그 상기 인서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가 높아지는 동시에, 제1 및 제2 돌기(11, 12)가 제3 돌기(13) 보다도 절삭 날(6)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제3 돌기(13)보다도 절삭 날(6)측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돌기(11, 12)는 돌출 높이가 낮은 제1 돌기(11)가 상기 이등분선(L)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F)의 후방측에, 또한 돌출 높이가 높은 제2 돌기(12)는 이등분선(L)의 인서트 이송 방향(F)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이 이등분선(L)을 협지하여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서로 반대측에, 게다가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동일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 방향에 있어서는 제1 돌기(11)가 제2 돌기(12)보다도 절삭 날(6)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돌기(11)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인서트 이송 방향(F)]에 대해 이 인서트 이송 방향(F)의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전방의 절삭 날(6)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긴 원뿔대형의 돌제(突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송 방향(F)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4B)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 돌기(11)의 절삭 날(6)측을 향하는 브레이커벽(제1 브레이커벽)(11A)도 동일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6)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게 된다.
또한, 이 제1 브레이커벽(11A)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 절삭 날(4B)에 연속되어 긁기 날(5)보다 후방의 레이크면(7) 내측으로 연장된 랜드부(8) 및 경사면(9B)과 그 내측의 바닥면(10) 및 긁기 날(5)에 연속되는 레이크면(7)에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이 제1 돌기(11)는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는 상기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4B)의 후방 단부보다도 더욱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까지 연장 설치되게 된다. 또한, 이 제1 돌기(11)의 상단부면(11B)은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평탄면이 되고, 그 돌출 높이는 도3이나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절삭 날(4)의 상기 돌출 단부에 있어서의 인서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보다는 낮고, 또한 상기 랜드부(8)나 경사면(9B), 혹은 레이크면(7)이나 바닥면(10)과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의 이들 레이크면(7), 랜드부(8), 경사면(9B) 및 바닥면(10)보다는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돌기(12)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바닥 및 하부 바닥을 갖는 사다리꼴형의 대략 사각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6)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브레이커벽(12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브레이커벽(12A)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크면(7)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바닥면(10)과 교차하여 융기하고, 이등분선(L)을 협지하여 제1 돌기(11)와 대향하도록,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 제1 돌기(11)가 이루는 상기 긴 원뿔의 연장되는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도록, 즉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4B)과는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동일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 제2 브레이커벽(12A)이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α)는 제1 브레이커벽(11A)이 이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β)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돌기(12)는 상기 제2 브레이커벽(12A)보다도 전방에 있어서,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의 나사 절삭 날(4A)에 연속되어 긁기 날(5) 후방의 레이크면(7) 내측으로 연장된 랜드부(8) 및 경사면(9B)과, 이 나사 절삭 날(4A) 후방 단부에 연속된 긁기 날(5)로부터 연장되는 레이크면(7)과 교차되는 동시에, 제2 브레이커벽(12A)의 반대측에서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인서트 본체(1)가 이루는 개략 정삼각형의 상기 한 쪽 변 모서리부에 도달하여 이 한 쪽 변 모서리부에 연속되는 인서트 본체(1)의 측면과 동일 높이의 면에 인서트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2 돌기(12)는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의 나사 절삭 날(4A)의 후방 단부보다도 더욱 인서트 이송 방향(F)측에까지 연장 설치되게 된다. 또한, 이 제2 돌기(12)의 상단부면(12B)도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평탄면이 되고, 그 돌출 높이는 제1 돌기(11)와 마찬가지로 나사 절삭 날(4)의 돌출 단부보다도 낮고, 도3이나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절삭 날(4)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는 긁기 날(5)과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3 돌기(13)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제1 돌기(11)와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제1 돌기보다도 큰 긴 원뿔대형의 돌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이 제3 돌기(13)의 절삭 날(6)측을 향하는 제3 브레이커벽(13A)은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이루는 각도가 제1 브레이커벽(11A)과 대략 동등한 각도(β)가 된다. 단, 이 제3 돌기(13)의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은 제2 돌기(12)와 마찬가지로 인서트 본체(1)의 상기 한 쪽 변 모서리부에 도달하여, 이 한 쪽 변 모서리부측의 인서트 본체(1)의 측면과 같은 높이의 면에 인서트 두께 방향에 따라 절결되어 있다. 또한, 이 제3 브레이커벽(13A) 은 상기 바닥면(10)의 후방 단부측 부분과 제2 돌기(12)에 있어서의 제2 브레이커벽(12A)의 후방측 부분 및 제1 및 제2 돌기(11, 12)의 절삭 날(6)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벽면에 교차하여, 도11이나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벽면과의 사이에 단면 오목 V자 형상의 곡부가 구획되도록 융기되어 있다.
또한, 이 제3 돌기(13)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제1 돌기(11)보다도 인서트 이송 방향(F)의 후방측에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제3 브레이커벽(13A)은 동일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으로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의 양 후방 단부를 넘는 길이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 제3 돌기(13)의 상단부면(13B)도 제1 및 제2 돌기(11, 12)의 상단부면(11B, 12B)과 마찬가지로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평탄면이 되고, 단 그 인서트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 높이는 도3이나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 절삭 날(4)의 돌출 단부보다도 높고, 또한 2번째로 높은 제2 돌기(12)와의 돌출 높이의 차도 제1 및 제2 돌기(11, 12) 사이의 돌출 높이의 차보다 충분히 커지도록 되어 있어, 도3이나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서트 본체(1)에 있어서 가장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긁기 날(5)로부터 후방을 향해 점차 후퇴 경사하는 레이크면(7)의 후방측에는 인서트 두께 방향에 수직인 평면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돌기(13)의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의 원뿔 형상 벽면의 일부와 절삭 날(6)과는 반대측을 향하는 벽면은 이 평면부(14)로부터 융기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 본체(1) 상면의 상기 부착 구멍(2)의 개구부 주변에는 제3 돌기(13)의 상단부면(13B)과 대 략 동등한 돌출 높이를 갖는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보스면(15)이, 제3 돌기(13)의 더욱 후방에 간격을 두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나사 절삭용 인서트에 있어서는, 레이크면(7) 상에 돌출 설치되는 제1, 제2, 제3 돌기(11, 12, 13)가 모두 나사 절삭 날(4) 후방 단부에 연속되는 긁기 날(5)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의 레이크면(7) 상에 이들 나사 절삭 날(4)보다도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형성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서트를 래디얼 인피드에 의한 나사 절삭에 이용하여 그 후반 사이클, 특히 최종 사이클에 있어서 매우 얇은 절삭 칩이 생성되어도 이러한 절삭 칩은 상기 볼록 V자 내의 레이크면(7) 상을 찰과하여 어느 정도 저항을 받은 후에 돌기(11 내지 13)에 충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볼록 V자 내에 돌기를 설치한 경우와 같이 절삭 칩이 생성된 상태의 속도로 용이하게 타고 넘어버리는 일은 없으며, 확실하게 절삭 칩을 돌기(11 내지 13)의 절삭 날(6)측을 향하는 브레이커벽(11A 내지 13A)에 충돌시켜 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돌기(11 내지 13) 사이에 있어서는 돌출 높이가 낮은 제1 및 제2 돌기(11, 12)가, 돌출 높이의 가장 높은 제3 돌기(13)보다도 절삭 날(6)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볼록 V자 내측의 레이크면(7) 상을 찰과한 절삭 칩은, 우선 이들 돌출 높이가 낮은 제1 및 제2 돌기(11, 12)에 충돌하여 느슨하게 권취하려는 성질이 생기는 동시에, 그 유출 방향이 서서히 소정의 배출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그렇게 한 후에 이와 같이 하여 권취하려는 성질이 생긴 절삭 칩이 제3 돌기(13)에 충돌함으로써 소정 직경에 컬되는 동시에 상기 배출 방향으로 배출되므로, 절삭 칩이 한 번에 컬되어 배출 방향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경우와 같이 절삭 칩 저항의 증대를 초래하거나 이에 수반하여 워크나 공구 본체에 슬라이트 웨이브니스 진동을 발생시켜 마무리 면 정밀도를 나쁘게 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나사 절삭용 인서트에 따르면 상기 래디얼 인피드에 있어서의 최종 사이클에 있어서도 절삭 칩을 확실하게 컬시키는 동시에 그 배출 방향을 제어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절삭 칩이 워크나 공구 본체에 얽혀 나사 절삭 작업을 중단시킬 수밖에 없어지거나, 워크에 형성된 나사가 절삭 칩에 의해 흡집이 생겨 마무리 면 정밀도를 나쁘게 하거나 하는 사태를 방지하여, 우수한 마무리 면 정밀도의 나사 절삭을 원활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래디얼 인피드의 전반 사이클에 의해 생성되는 비교적 두꺼운 절삭 칩은 상기 볼록 V자 내의 레이크면(7) 상을 찰과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컬되므로, 그 처리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상기 인서트에 따르면 이러한 나사 절삭 전체에 걸쳐 안정적인 절삭 칩 처리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먼저 절삭 칩이 충돌하는 제1 및 제2 돌기(11, 12)를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L)에 따라 유출되는 절삭 칩을 이들 제1 및 제2 돌기(11, 12)의 쌍방으로 확실하게 돌출시켜 권취하려는 성질을 생기게 하고, 또한 돌출 높이가 낮은 제1 돌기(11)측으로부터 돌출 높이가 높은 제2 돌기(12)측으로 확실하게 안내하 고 그 유출 방향을 서서히 변화시켜 그 후방의 제3 돌기(13)로 유도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돌기(11)가 제2 돌기(12)보다도 절삭 날(6)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절삭 칩에 생기는 권취하려는 성질도 서서히 강해지는 동시에 유출 방향의 변화도 보다 단계적인 것이 되므로 절삭 저항의 저감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1 및 제2 돌기(11, 12)는 상기 이등분선(L)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간격을 두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삭 칩이 이들 제1 및 제2 돌기(11, 12)에 충돌하여 그 브레이커벽(11A, 12A)을 찰과할 때의 찰과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이에 수반하여 절삭 저항도 한층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져 슬라이트 웨이브니스 진동 등의 발생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제1 및 제2 돌기(11, 12)가 간격을 두고 있음으로써 절삭 칩은 그 사이에 구획되는 오목부를 통해 후방의 제3 돌기(13)를 향해 유출되게 되므로, 이 절삭 칩 유출 방향의 제어도 한층 확실하고 또한 용이해진다. 단, 절삭 저항이 증대될 우려가 없을 때 등에는 제1 및 제2 돌기(11, 12)가 간격을 두지 않고, 즉 서로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이등분선(L)을 사이에 두고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된 제1 및 제2 돌기(11, 12) 중 돌출 높이가 낮은 제1 돌기(11)는 이등분선(L)의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돌출 높이가 높은 제2 돌기(12)는 인서트 이송 방향(F)측에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절삭 칩을 제1 돌기(11)측으로부터 제2 돌기(12)측, 즉 상기 인서트 이송 방향(F) 측으로 유도하여 제3 돌기(13)에 충돌시키고 컬시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칩이 원래 이 인서트 이송 방향(F)측으로 배출되기 쉬운 것과 더불어 그 배출 방향을 더욱 확실하게 이 인서트 이송 방향(F)측으로 제어할 수 있고, 특히 최종 사이클에 의해 나사 절삭 날(4)보다도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에 소정 치수 및 형상으로 마무리된 워크의 나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이등분선(L)의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으로 돌출 설치된 제1 돌기(11)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 이등분선(L)에 수직으로 상기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절삭 날(6)측을 향해 전방으로 경사지는 돌제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이에 수반하여 이 제1 돌기(11)의 절삭 날(6)측을 향하는 브레이커벽(11A)도 마찬가지로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절삭 날(6)측을 향해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제1 브레이커벽(11A)에 충돌한 절삭 칩은 이 제1 브레이커 벽(11A)에 따라 인서트 이송 방향(F)측으로 유도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 제1 돌기의 브레이커벽(11A)에 충돌한 절삭 칩은 보다 안정적으로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의 제2 돌기(12)에 충돌시켜 권취하려는 성질을 강하게 하는 동시에 그 배출 방향도 이 인서트 이송 방향(F)측으로 더욱 확실하게 지향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이와 같이 하여 제1 돌기(11)측으로부터 안내된 절삭 칩이 충돌되는 제2 돌기(12)는 제1 브레이커벽(11A)과는 반대로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6)측을 향해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2 브레이커벽(12A)을 구비하고 있고, 특히 본 실시 형태 에서는 이 제2 브레이커벽(12A)이 제1 돌기(11)나 그 브레이커벽(11A)이 연장 설치된 방향으로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수직으로 대향되어 있으므로, 상기 절삭 칩에 의해 확실하게 강하게 권취하려는 성질을 생기게 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후의 제3 돌기(13)에 의한 컬을 한층 더 원활하고 또한 안정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이 제2 브레이커벽(12A)이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이루는 경사의 각도(α)는 제1 브레이커벽(11A)이 이루는 각도(β)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므로, 제1 돌기(11)측으로부터 안내되면서도 상기 이등분선에 따라 유출되는 절삭 칩에 의해 과대한 저항이 생기는 일은 없으며, 슬라이트 웨이브니스 진동 등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제1 및 제2 돌기(11, 12)의 후방측[절삭 날(6)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 설치되는 제3 돌기(13)는 그 절삭 날(6)측을 향하는 제3 브레이커벽(13A)이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의 긁기 날(5)에 연속되는 양 후방 단부를 넘는 길이로,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은 보다 이 이송 방향(F)측으로, 또한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은 보다 이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래디얼 인피드의 후반 사이클에 있어서 이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생성되는 절삭 칩에 대해서도, 이 절삭 칩의 폭을 상회하는 길이의 제3 브레이커벽(13A)에 확실하게 충돌시켜 컬시키고, 또한 인서트 이송 방향(F)측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돌기(11, 12)도 그 브레이커벽(11A, 12A)이 각각 나사 절삭 날(4)의 양 후방 단부를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과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을 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으 므로, 이들 제1 및 제2 돌기(11, 12)에 의한 래디얼 인피드 최종 사이클의 절삭 칩 처리성이 나빠지는 일도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제3 돌기(13)도 평면으로부터 보아 제1 돌기(11)와 동등한 각도(β)로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역시 돌제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 돌기(13)의 상기 제3 브레이커벽(13A)에 충돌되어 컬된 절삭 칩은, 이 제3 돌기(13)의 연장 설치 방향에 따라 인서트 이송 방향(F)측으로 배출되게 되므로, 배출 방향이 제어되어 배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절삭 칩에 의해 워크가 손상되거나 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이 제3 브레이커벽(13A)과 제2 돌기(12)의 후방측을 향하는 벽면 사이에는, 단면 V자 형상의 오목부가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6)과는 반대측의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즉 워크로부터 떨어지도록 구획되고, 게다가 이 오목부의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은 상기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을 향하는 인서트 본체(1)의 상기 한 쪽의 변 모서리부측의 측면으로 해방되게 되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소정 직경으로 컬된 절삭 칩을 이 오목부에 의해 안내하여 조금도 차단되는 일 없이,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이며 또한 워크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제1 및 제3 돌기(11, 13)의 브레이커벽(11A, 13A)이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서로 동등한 각도(β)로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6)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연장되는 한편, 제2 돌기(12)의 브레이커벽(12A)은 이 이등분선 (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상기 각도(β)보다도 큰 각도로,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대략 직교하도록 인서트 이송 방향(F)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6)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제1 및 제3 브레이커벽(11A, 13A)의 각도는 다른 각도라도 좋고, 또한 제2 브레이커벽(12A)의 각도(α)는 각도(β)와 동등하거나 각도(β)보다도 작거나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이와 같이 하여 각도(α, β)를 갖고 경사시키는 일 없이 이들 각도(α, β)가 0 °, 즉 제1 내지 제3 돌기(11 내지 13)의 브레이커벽(11A 내지 13A) 중 적어도 1개가, 이 이등분선(L)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3 돌기(11, 13)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긴 원 형상을 이루고, 그 브레이커벽(11A, 13A)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경사져 융기하는 동시에 상단부면(11B, 13B)이 인서트 두께 방향으로 수직인 평탄면으로 된 긴 원뿔대 형상으로 되고, 또한 제2 돌기(12)도 평면으로부터 보아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는 사다리꼴 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상단부면(11B 내지 13B)은 볼록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제1 및 제3 돌기(11, 13)는 그 전체가 단면 볼록 원호 등을 이루는 볼록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제2 돌기(12)도 예를 들어 구면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제1 및 제2 돌기(11, 12)의 후방측과 제3 돌기(13)의 브레이커벽(13A) 사이에는 오목부가 형성되지 않고, 예를 들어 상단부면(11B, 12B)이 그대로 제3 브레이커벽(13A)에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볼록 V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에 각각 연속되어, 이 볼록 V자의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후퇴하는 랜드부(8)와, 또한 그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랜드부(8)보다도 급경사로 후퇴하는 경사면(9)이 형성되어 있고, 게다가 이들 랜드부(8)와 경사면(9)은 긁기 날(5)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 및 제2 돌기(11, 12)에 각각 교차되어 있으므로, 절삭 칩을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이등분선을 따라 유출시키고, 이들 제1 및 제2 돌기(11, 12)와 그 후방의 제3 돌기(13)에 확실하게 충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절삭 저항의 저감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중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의 나사 절삭 날(4A)로부터 후퇴 경사하는 경사면(9A)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4B)로부터 후퇴 경사하는 경사면(9B)이 급구배에서 하강 경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4B)에 의해 생성되어 상기 경사면(9B)을 찰과하면서 바닥면(10)에 이르는 절삭 칩은, 반대의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의 나사 절삭 날(4A)에 의해 생성되어 경사면(9A)을 찰과하는 절삭 칩보다도, 경사면(9)과의 찰과 면적 혹은 찰과 거리가 작아 찰과에 소비되는 운동 에너지가 적고, 게다가 보다 먼저 바닥면(10)에 도달하여 인서트 이송 방향(F)측으로 압출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나사 절삭용 인서트를 상기 래디얼 인피드 이외의, 예를 들어 프랭크 인피드에 이용하는 경우라도 인서트 이송 방향(F)측의 나사 절삭 날(4A)에 의해 보다 많이 생성되는 절삭 칩을, 인서트 이송 방향(F)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4B)로부터의 운동 에너지가 큰 절삭 칩을 먼저 바닥면(10)으로 유입시킴으로써,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L)에 따르도록 또는 이보다도 인서트 이송 방향(F)측으로 압출하도록 하여 유출시킬 수 있고, 이러한 프랭크 인피드에 이용한 경우라도 확실한 절삭 칩 처리가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나사 절삭용 인서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나사 절삭 날(4)에 직접 연속되는 랜드부(8)는 인서트 이송 방향(F)측 및 그 후방측에서 서로 동등한 경사각(A) 및 폭(D)으로 되어 있으므로, 래디얼 인피드일 때에 양측에서 대략 균등하게 생성되는 절삭 칩에 대해 나사 절삭 날(4A, 4B) 사이의 마모 등도 균등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장기에 걸쳐 보다 안정적인 나사 절삭을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나사 절삭용 인서트에 있어서는, 우선 레이크면 중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긁기 날보다도 전방의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은 이들 나사 절삭 날보다도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어, 래디얼 인피드 최종 사이클의 두께가 매우 얇은 절삭 칩을 안정적으로 상기 제1 내지 제3의 돌기측으로 유도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레이크면 상의 돌기가 나사 절삭 날 후방 단부의 긁기 날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으므로, 나사 절삭 날에 의해 생성된 절삭 칩은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 내측의 레이크면에 찰과하여 어느 정도 저항을 받은 시점에서 이 돌기에 충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래디얼 인피드의 후반 사이클에 있어서 매우 얇은 절삭 칩이 생성되어도 그 상태의 속도로 타고 넘거나 하 는 일이 없어 이 돌기에 의해 확실하게 절삭 칩을 컬시켜 그 배출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편 래디얼 인피드의 전반 사이클로부터 중간 단 사이클에 거쳐 생성되는 두꺼운 절삭 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절삭 칩 자체가 컬되기 쉬워지므로 그 처리성이 나빠지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돌기는 제1, 제2, 제3의 3개의 돌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 이 순서로 돌출 높이가 높아지도록 되어 있고, 이 중 돌출 높이가 낮은 제1 및 제2 돌기는 돌출 높이가 가장 높은 제3 돌기보다도 전방의 절삭 날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우선 이들 제1 및 제2 돌기에 충돌시킴으로써 절삭 칩에 느슨하게 권취하려는 성질을 생기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돌기의 돌출 높이의 차에 의해 그 유출 방향이 서서히 소정의 방향이 되도록 안내할 수 있어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그렇게 한 후에 최대의 돌출 높이인 제3 돌기에 충돌시킴으로써 절삭 칩을 소정 직경까지 컬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된 배출 방향으로 유도함으로써 처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성의 나사 절삭용 인서트에 따르면, 이러한 래디얼 인피드의 후반 사이클, 특히 최종 사이클에 있어서 절삭 칩이 워크나 공구 본체에 얽히거나, 과대한 저항에 의해 워크나 공구 본체에 슬라이트 웨이브니스 진동이 생기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한 마무리 면 정밀도의 나사 절삭을 안정적으로 촉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의 나사 절삭용 인서트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제3 돌기보다도 절삭 날에 위치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를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으로 돌 출 설치함으로써 래디얼 인피드시에 이 이등분선에 따르도록 유출되는 절삭 칩을 보다 확실하게 이들 제1 및 제2 돌기에 충돌시켜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하려는 성질을 생기게 하는 동시에 그 유출 방향도 서서히 소정의 방향이 되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는 이들 제1 및 제2 돌기를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함으로써 절삭 칩이 이들 제1 및 제2 돌기에 충돌하여 찰과할 때의 찰과 면적을 작게 하여 절삭 저항의 저감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제1 및 제2 돌기를 상기 이등분선의 서로 반대측으로 돌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이등분선에 대해 인서트 본체의 이송 방향(이하, 인서트 이송 방향이라 함) 후방측에, 상기 제2 돌기는 이등분선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측에 각각 돌출 설치함으로써 상기 이등분선에 따라 유출된 절삭 칩은 돌출 높이가 낮은 제1 돌기측으로부터 높은 제2 돌기측으로 안내된다. 즉, 절삭 칩은 인서트 이송 방향측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특히 최종 사이클에 있어서 절삭 날에 의해 형성된 워크의 나사가 절삭 칩에 의해 흡집이 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제1 돌기에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 브레이커벽을 구비함으로써, 더욱 확실하게 절삭 칩을 이송 방향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에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측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측을 향해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브레이커벽을 구비함으로써, 이와 같이 하여 제1 돌 기측으로부터 안내된 절삭 칩에 한층 더 확실하게 권취하려는 성질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제3 돌기에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나사 절삭 날의 양 후방 단부를 넘는 길이로 연장되는 제3 브레이커벽을 구비함으로써, 이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의 전체 길이에 걸쳐 생성되는 래디얼 인피드 최종 사이클의 절삭 칩도 확실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제3 브레이커벽도 상기 제1 브레이커벽과 동일하도록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인서트 이송 방향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절삭 날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 설치함으로써 제3 돌기에 의해 컬된 절삭 칩을 안정적으로 인서트 이송 방향측으로 배출하여 워크의 흡집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나사 절삭에서는 래디얼 인피드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예를 들어 나사 피치가 큰 피치인 경우에 절삭 저항을 낮추거나, 또는 NC 제어에 의하지 않는 절삭에서는 절삭 칩 처리가 한층 용이한 프랭크 인피드가 채용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 프랭크 인피드에서는 절삭 칩이 주로 인서트 이송 방향측의 나사 절삭 날에 의해 생성되어 인서트 이송 방향 후방측으로 유출되므로, 그 배출 방향을 인서트 이송 방향측으로 수정하여 래디얼 인피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에 의해 처리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본 발명의 제2 나사 절삭 인서트와 같이, 레이크면 중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긁기 날보다도 전방의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에 이들 나사 절삭 날에 대해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후퇴하는 경사면을 각각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 중 인서트 이송 방향 후방측의 경사면을 인서트 이송 방향측의 경사면보다도 급구배로 경사시킴으로써 인서트 이송 방향 후방측의 나사 절삭 날에 의해 생성된 절삭 칩을 이 인서트 이송 방향 후방측의 경사면과의 찰과 저항을 적게 하여 큰 운동 에너지를 남긴 상태에서 신속하게 경사면의 바닥측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인서트 이송 방향측의 나사 절삭 날에 의해 생성된 절삭 칩을 이 이송 방향측으로 압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프랭크 인피드에 있어서 생성되는 절삭 칩도 확실하게 상기 이등분선에 따르도록 유출시켜 상기 나사 절삭 날보다도 후방의 제1 내지 제3 돌기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래디얼 인피드는 물론 프랭크 인피드에 이용해도 양호한 절삭 칩 처리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나사 절삭용 인서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9)

  1. 인서트 본체에 형성된 레이크면의 변 모서리부에, 이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볼록 V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나사 절삭 날과 이들 나사 절삭 날 중 적어도 한 쪽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는 긁기 날을 갖는 절삭 날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크면 중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전방의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은 이들 나사 절삭 날보다도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후방의 상기 레이크면 상에는 상기 레이크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와, 이 제1 돌기보다도 돌출 높이가 높은 제2 돌기와, 이들 제1 및 제2 돌기보다도 더욱 돌출 높이가 높은 제3 돌기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중 상기 제1 및 제2 돌기는, 상기 제3 돌기보다도 상기 절삭 날측에 위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2. 인서트 본체에 형성된 레이크면의 변 모서리부에, 이 레이크면에 대향하는 평면으로부터 보아 볼록 V자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나사 절삭 날과 이들 나사 절삭 날 중 적어도 한 쪽의 후방 단부에 연속되는 긁기 날을 갖는 절삭 날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크면 중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전방의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은 이들 나사 절삭 날보다도 돌출하는 일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후방의 상기 레이크면 상에는 상기 레이크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기와, 이 제1 돌기보다도 돌출 높이가 높은 제2 돌기와, 이들 제1 및 제2 돌기보다도 더욱 돌출 높이가 높은 제3 돌기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중 상기 제1 및 제2 돌기는 상기 제3 돌기보다도 상기 절삭 날측에 위치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레이크면 중,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긁기 날보다도 전방의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내측 부분에는, 이들 나사 절삭 날에 대해 내측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후퇴하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들 경사면 중 상기 인서트 본체의 이송 방향 후방측의 경사면은 이송 방향측의 경사면보다도 급구배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돌기는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이등분선에 대해 상기 인서트 본체의 이송 방향 후방측으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이등분선에 대해 상기 인서트 본체의 이송 방향측으로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상기 인서트 본체의 이송 방향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절삭 날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 브레이커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상기 인서트 본체의 이송 방향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절삭 날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 브레이커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기는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한 쌍의 나사 절삭 날이 이루는 볼록 V자의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어도 상기 나사 절삭 날의 양 후방 단부를 넘는 길이로 연장되는 제3 브레이커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브레이커벽은 상기 평면으로부터 보아 상기 이등분선에 수직인 방향에 대해 상기 인서트 본체의 이송 방향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절삭 날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절삭용 인서트.
KR1020050098361A 2004-10-27 2005-10-19 나사 절삭용 인서트 KR101200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12241A JP4353067B2 (ja) 2004-10-27 2004-10-27 ねじ切り切削用インサート
JPJP-P-2004-00312241 2004-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096A KR20060054096A (ko) 2006-05-22
KR101200588B1 true KR101200588B1 (ko) 2012-11-12

Family

ID=3620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8361A KR101200588B1 (ko) 2004-10-27 2005-10-19 나사 절삭용 인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41083B2 (ko)
EP (1) EP1669146B1 (ko)
JP (1) JP4353067B2 (ko)
KR (1) KR101200588B1 (ko)
CN (1) CN100528440C (ko)
AT (1) ATE361169T1 (ko)
DE (1) DE602005001045T2 (ko)
ES (1) ES228411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84B1 (ko) 2005-12-22 2007-06-04 한국야금 주식회사 개선된 코너절인부를 가지는 나사 인서트
SE529979C2 (sv) * 2006-01-30 2008-01-22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Borr och borrskär där mynningsytan i skärets hål har en tvärsnittsvis konvexform
DE102006028062B4 (de) * 2006-06-12 2008-09-18 Vargus Ltd. Wendeschneidplatte
KR100832869B1 (ko) * 2006-07-20 2008-05-28 한국야금 주식회사 절삭저항을 감소시키는 절삭 인서트
DE112007002584B4 (de) * 2006-10-31 2016-05-19 Kyocera Corp. Schneideinsatz, Schneidwerkzeug und Verfahren zur spanenden Bearbeitung eines Werkstücks
WO2008111252A1 (ja) 2007-03-12 2008-09-18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ねじ切り切削用インサート
EP2481504B1 (en) * 2009-09-25 2019-07-24 Tungaloy Corporatio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JP5201424B2 (ja) * 2010-10-23 2013-06-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炭素膜被覆切削工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939684B2 (en) * 2012-05-15 2015-01-27 Iscar, Ltd. Cutting insert with chip-control arrangement having recess depths and projection heights which increase with distance from cutting edge
CN102814559B (zh) * 2012-08-17 2015-07-29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加工螺纹的方法
JP5984183B2 (ja) * 2012-10-30 2016-09-06 オークマ株式会社 工作機械
JP5908386B2 (ja) * 2012-10-30 2016-04-26 オークマ株式会社 工作機械
CN103639543B (zh) * 2013-11-14 2016-01-20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一种螺纹加工刀片
CN103691998A (zh) * 2013-12-13 2014-04-02 绵阳市绵工工具有限公司 一种具有波纹刃口和高凸台的凸三边钻刀片
CN103894681A (zh) * 2014-03-31 2014-07-02 宁波川景誉机械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齿轮铣刀装置的刀片
US10675695B2 (en) * 2015-04-02 2020-06-09 Stephen MacLennan Saw tooth
DE102015109055A1 (de) * 2015-06-09 2016-12-15 Schwarz Cuttingtools GmbH Gewindeschneidplatte
JP6462126B2 (ja) * 2015-06-23 2019-01-30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CN105290546B (zh) * 2015-10-16 2018-01-30 厦门金鹭特种合金有限公司 一种可转位螺纹加工刀片
US11110526B2 (en) * 2016-12-27 2021-09-07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Cutting insert
JP6895117B2 (ja) * 2017-04-05 2021-06-30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EP3702075B1 (en) * 2019-02-28 2023-12-20 AB Sandvik Coromant Turning insert for metal cutting
EP3892405A1 (en) * 2020-04-08 2021-10-13 AB Sandvik Coromant A method for cutting metallic threads
DE112022002309T5 (de) * 2021-04-23 2024-02-22 Kyocera Corporation Schneideinsatz, schneidwerk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aschinell bearbeiteten produkts
IL307761A (en) 2021-06-06 2023-12-01 Vargus Ltd cutting attach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205U (ja) * 1983-03-04 1984-09-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アウエイチツ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2562B (sv) 1983-03-15 1987-12-07 Santrade Ltd Gengsker
SE445094B (sv) * 1984-10-10 1986-06-02 Santrade Ltd Sker med stodytor pa dess undersida
US4673924A (en) 1985-10-04 1987-06-16 Taylor Ritchie S Maritime wind shift alarm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wind shifts
KR930011655B1 (ko) * 1988-08-25 1993-12-16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나사절삭용 드로우 어웨이팁
JPH052244Y2 (ko) * 1989-08-31 1993-01-20
GB2254026B (en) * 1991-03-22 1994-02-09 Posi Thread Cutting insert
SE502362C2 (sv) 1993-09-10 1995-10-09 Sandvik Ab Skär för gängsvarvning
SE509363C2 (sv) * 1995-09-25 1999-01-18 Sandvik Ab Fastspänningsanordning fjör skärplattor samt skärplatta avsedd för dylik anordning
DE19738456A1 (de) 1997-09-03 1999-03-11 Kennametal Inc Gewindeschneidplatt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6205U (ja) * 1983-03-04 1984-09-11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アウエイチツ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41083B2 (en) 2007-07-10
CN1765553A (zh) 2006-05-03
EP1669146A1 (en) 2006-06-14
KR20060054096A (ko) 2006-05-22
DE602005001045T2 (de) 2007-12-27
JP4353067B2 (ja) 2009-10-28
US20060088391A1 (en) 2006-04-27
EP1669146B1 (en) 2007-05-02
ATE361169T1 (de) 2007-05-15
ES2284117T3 (es) 2007-11-01
DE602005001045D1 (de) 2007-06-14
CN100528440C (zh) 2009-08-19
JP2006123041A (ja)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588B1 (ko) 나사 절삭용 인서트
KR101408498B1 (ko) 나사 절삭용 인서트
JP6412703B2 (ja) 両面型刃先割出し可能な旋削用インサート
KR101585283B1 (ko) 절삭 인서트
US5967710A (en) Drilling tool for drilling in solid metal
KR100389107B1 (ko) 얇은칩에대한칩브레이커를가진절삭인서트
EP1980348B1 (en) Cutting insert
US5375948A (en) Cutting insert for cutting and grooving tools
EP2781286B1 (en) A polygonal turning insert
KR102003617B1 (ko) 절삭 인서트
US8997610B2 (e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achined product using the same
RU2661684C2 (ru) Сверло для глубокого сверления
JP4729894B2 (ja) インサートおよび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JP2008272924A (ja) 切削インサート
JP5592954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RE37595E1 (en) Cutting insert for cutting and grooving tools
WO2019017049A1 (ja) 切削インサート
JP2000107911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2005288613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CN201988737U (zh) 一种用于粗加工的立装机夹五刃切断刀片
JP4189291B2 (ja) 溝入れ加工用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6966034B2 (ja) 切削インサート
JP2008000840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転削工具
KR20210028717A (ko) 볼엔드밀 및 절삭 인서트
JPH10249611A (ja) 旋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