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368B1 -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368B1
KR101199368B1 KR1020050112266A KR20050112266A KR101199368B1 KR 101199368 B1 KR101199368 B1 KR 101199368B1 KR 1020050112266 A KR1020050112266 A KR 1020050112266A KR 20050112266 A KR20050112266 A KR 20050112266A KR 101199368 B1 KR101199368 B1 KR 101199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mobile communication
authentication key
digit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352A (ko
Inventor
김주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3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센터가 디지털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방송 중계망이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암호화하여 송출하는 단계; 이동통신망이 상기 방송센터 혹은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를 송출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가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용 디지털 방송 전용 단말기 등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사용자도 음영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을 원래의 품질대로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디지털 방송, 인증, 인증키, 방송 중계망, 이동통신망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With Authenticat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Authenticating Digital Broadcasting And Its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디지털 방송 전용 단말기 등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사용자도 음영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을 원래의 품질대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 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및 방송 기술의 융합 및 발전에 힘입어, 고정된 장소 및 정해진 시각뿐만 아니라, 이동 중 혹은 시청을 원하는 시각에 디지털 방송을 즐길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특히, 한국에서는 2005년 5월부터 위성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S-DMB)이 시작되는 등, 향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의 디지털 방송이 서비스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종래 고정형 수신기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방송 이외에도, 이동형 수신기를 대상으로 하여 현재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 혹은 개발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은, 유럽의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미국 퀄컴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Media FLO(Forward Link Only), 한국의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등이 있다. 이러한 추세와 힘입어, 사용자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방송신호가 도달하지 않거나 신호의 세기가 약한 음영지역에서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방송 중계망이 설치되어야 한다. 방송 중계망 사용에 대한 과금 여부는 정책적인 것으로서, 유료 서비스 혹은 무료 서비스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과금 정책과는 별도로, 방송 중계망을 통해 수신되는 송출되는 방송신호는 암호화하여 이를 해독할 수 있는 인증키를 받아야 방송 시청이 가능한 시스템이 있을 수 있다. 특히, 과금 정책이 유료 서비스인 경우, 이러한 방송신호 암호화 및 인증키를 이용한 암호 해독 과정은 거의 필수적이라 하겠다.
상기 방송 중계망을 통한 방송신호 암호화 및 인증키를 이용한 암호 해독 과정이 적용되는 방송 서비스의 경우,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는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여야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증키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내려보내는 방식으로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과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모두 구비한 단말기의 경우,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디지털 방송 전용 단말기의 경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없어 음영지역에서는 원래 예정된 품질을 가지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차량에 장착되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차량용 디지털 방송 전용 단말기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서,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TDMB) 서비스에서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KTF가 제안한 망식별장치(NIS: Network Identification System)가 대표적인 예이다. 상기 망식별장치는 방송망 및 중계망에 식별번호를 부여해 그 신호에 따라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방송 중계망을 통한 방송신호 수신이 필요한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증키를 수신하여야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증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증키를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디지털 방송 전용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전용 단말기의 사용자도 음영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을 원래의 품질대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은, 방송센터가 디지털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방송 중계망이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암호화하여 송출하는 단계; 이동통신망이 상기 방송센터 혹은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를 송출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가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센터;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암호화하여 송출하는 방송 중계망; 상기 방송센터 혹은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를 송출하는 이동통신망;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인증키 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서의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은,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수신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의 해독에 필요한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의 해독에 필요한 인증키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 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은, 방송센터(100), 방송 중계망(110), 이동통신망(120), 이동통신 단말기(130) 및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송센터(100)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송출한다.
상기 방송 중계망(110)은,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송출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세기가 약하거나 도달하지 않는 음영 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방송 중계망(110)은,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암호화하여 송출한다. 상기 방송 중계망(110) 이용에 관한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에게만 음영지역에서도 방송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방송신호를 암호화하는 것이다. 상기 암호화된 방송신호는 후술하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해독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망(120)은, 기지국, 교환국, 홈 위치 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망(120)은, 상기 방송센터(100) 혹은 상기 방송 중계망(110)으로부터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를 송출한다. 상기 인증키 생성 및 송출은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망(120)은, CDM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WCDMA(Wideband CDMA), CDMA-2000, MBS(Mobile Broadband System) 등을 모두 포함한다. 여기서 MBS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4 세대 이상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상기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가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인증키 수신에 관한 서비스에 가입한 경우라면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는, 상기 방송 중계망(110)으로부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한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예를 들면,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무선통신(IrDA),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등이 있다.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가, 상기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 및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 모두 동일한 방식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는,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방식의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는,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디지털 방송 수신 전용 단말기가 가장 적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는,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200), 통신 모듈(210), 제어부(220), 표시부(230) 및 메모리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200)은,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 이다. 디지털 방송신호의 수신 경로는,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상기 방송 중계망(110)을 거쳐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모듈(21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로부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의 해독에 필요한 인증키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모듈(210)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무선통신(IrDA),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210)은, USB(Universal Serial Bus),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 등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위한 모듈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듈(210)이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반드시 상기 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와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 간에 유선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방식은 모두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220)는,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200), 통신 모듈(210), 제어부(220), 표시부(230) 및 메모리부(240)를 제어하되, 상기 통신 모듈(210)을 통해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200)을 통해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200)이 수신한 특정 방송이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은 상기 방송 중계망(110)을 통해 수신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인증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가 상기 이동통신망(120)으 로부터 수신한 것이다.
상기 표시부(230)는,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23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된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220)에 의해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활성화된 디지털 방송과 인증키 등을 상기 메모리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방송센터(100)가 디지털 방송신호를 송출한다[S300].
그리고, 상기 방송 중계망(110)이, 상기 방송센터(10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암호화하여 송출한다[S310].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망(120)이, 상기 방송센터(100) 혹은 상기 방송 중계망(110)으로부터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S320], 상기 수신한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여 송출한다[S330]. 상기 인증키는, 상기 특정 방송이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그 암호 해독에 필요한 값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가, 상기 이동통신망(120)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한다[S340].
그리고,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가, 상기 방송 중계망(110)으로부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수신하고[S35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고[S360], 상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한다[S370]. 즉, 상기 인증키는, 상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의 해독에 필요한 키이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30)와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40) 간의 인증키 송수신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혹은 유선 통신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과 유선 통신 방식의 예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방송 중계망을 통한 방 송신호 수신이 필요한 음영 지역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인증키를 수신하여야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인증키를 수신하고, 수신한 인증키를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디지털 방송 전용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디지털 방송 전용 단말기의 사용자도 음영 지역에서 디지털 방송을 원래의 품질대로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방송센터가 디지털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방송 중계망이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암호화하여 송출하는 단계;
    이동통신망이 상기 방송센터 혹은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를 송출하는 단계;
    이동통신 비음영지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가 상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인증키의 수신을 위한 인증키 수신 서비스에 가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간의 상기 인증키 송수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방법.
  4. 디지털 방송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센터;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방송신호를 암호화하여 송출하는 방송 중계망;
    상기 방송센터 혹은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특정 방송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방송에 대한 인증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키를 송출하는 이동통신망;
    이동통신 비음영지역에 위치하여,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방송 중계망으로부터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증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키는 인증키 수신 서비스에 가입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간의 상기 인증키 송수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음영지역에 위치할 경우, 이동통신 비음영지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근거리 통신을 통해 암호화된 특정 방송의 해독에 필요한 인증키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암호화된 특정 방송을 해독하여 활성화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3. 삭제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그비(Zigbe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6. 삭제
KR1020050112266A 2005-11-23 2005-11-23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99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66A KR101199368B1 (ko) 2005-11-23 2005-11-23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266A KR101199368B1 (ko) 2005-11-23 2005-11-23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52A KR20070054352A (ko) 2007-05-29
KR101199368B1 true KR101199368B1 (ko) 2012-11-09

Family

ID=3827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266A KR101199368B1 (ko) 2005-11-23 2005-11-23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013B1 (ko) * 2008-11-28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659A (ja) * 2001-07-12 2003-01-31 Ntt Comware Corp 有料放送デコード装置、有料放送課金サーバ、有料放送課金方法、及び有料放送課金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2659A (ja) * 2001-07-12 2003-01-31 Ntt Comware Corp 有料放送デコード装置、有料放送課金サーバ、有料放送課金方法、及び有料放送課金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52A (ko) 200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435B1 (ko) 디지털 방송 제한 수신 단말기 및 그 방법
EP1300035B1 (en)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method for receiving an encrypted first signal and complementary information related to the first signal
JP4659594B2 (ja) 地上波dmbの個別放送チャネルに対する有料化システム及び方法
US76985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RM to control conditional access to broadband digital content
CN101018319B (zh) 用于数字多媒体广播限制服务的系统和方法
US8640249B2 (en) Digital broadcasting conditional access system and method
WO2005045554A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rm to control conditional access to broadband digital content
JP200525246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050090399A (ko) 디지털 유료 텔레비젼의 액세스 제어 방법
KR100801286B1 (ko) 방송 송신 시스템 및 방송 수신 장치
KR101199368B1 (ko) 디지털 방송 인증 기능을 갖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디지털 방송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333350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放送装置、管理装置
JP3757102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視聴契約情報管理装置及び番組認証方法
CN101461237B (zh) 地址产生方法及广播接收装置
US20110060911A1 (en) Conditional access apparatus
CN100379288C (zh) 同一户头多个数字电视接收终端ca模块无线连接关联方式
JP2005311571A (ja) 番組視聴システム
KR100811345B1 (ko) 디지털 방송 제한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718122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H0638208A (ja) 視聴情報伝送システム
CN101582729B (zh) 业务密钥获取的方法、系统、条件接收模块及用户终端
JP2010103632A (ja) ワンセグメントスポット放送システム、放送装置、携帯端末及びワンセグメントスポット放送受信方法
JPH11308594A (ja) 有料放送の契約更改情報の放送方法と放送送受信装置
JP2006081211A (ja) 放送受信端末および放送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