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9146B1 - 오픈카용 루프장치 - Google Patents

오픈카용 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9146B1
KR101199146B1 KR1020100123819A KR20100123819A KR101199146B1 KR 101199146 B1 KR101199146 B1 KR 101199146B1 KR 1020100123819 A KR1020100123819 A KR 1020100123819A KR 20100123819 A KR20100123819 A KR 20100123819A KR 101199146 B1 KR101199146 B1 KR 101199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base
drive gear
rear loop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522A (ko
Inventor
박태완
한윤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146B1/ko
Priority to US13/210,895 priority patent/US20120139285A1/en
Priority to DE102011053298A priority patent/DE102011053298A1/de
Priority to CN2011102741743A priority patent/CN102485519A/zh
Publication of KR2012006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185Locking arrangements
    • B60J7/1856Locking arrangements for interlocking the roof linkage system when deploy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카용 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에 의해 접히고 펼쳐지는 프론트루프와 리어루프를 갖는 오픈카의 루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루프의 하부에는 리어루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리어루프의 하면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기어; 상기 출력기어와 치합되어 베이스 상에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각 링크; 및 상기 각 링크에 연결되고 링크에 의해 베이스 상에서 회전되면서 리어루프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모터시스템에 의해서 펼쳐지고 접히는 루프가 신속하게 작동될 뿐만 아니라 정밀 조정이 가능해지고, 펼쳐진 루프는 리어루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루프장치의 강성이 전반적으로 증대된다.

Description

오픈카용 루프장치{roof apparatus for open car}
본 발명은 오픈카용 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오픈카의 루프를 펼쳐진 상태로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오프카용 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픈카의 루프는 그 중앙부가 분할된 프론트루프와 리어루프로 구성되고, 루프를 열 때에는 트렁크리드가 열림과 아울러 프론트루프와 리어루프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접히면서 트렁크 내에 수납되고, 루프를 닫을 때에는 닫힌 트렁크리드가 다시 열림과 아울러 트렁크에 수납되어 있던 프론트루프와 리어루프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접히고 펼쳐지는 루프장치는 트렁크 내에 설치된 유압시스템에 의해서 작동된다.
그런데, 이러한 유압시스템은 비교적 큰 힘을 용이하게 얻을 수는 있으나, 온도에 따라 작동유체의 성질이 변화하여 성능이 변화되는 단점이 있고, 오랜 사용 등으로 인한 노후현상으로 작동유체가 누유될 위험이 있으며, 응답력이 느려 작동 속도제어가 용이하지 않고, 하나의 유압펌프로 서로 다른 힘이 필요한 다수의 실린더를 동시에 제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감안하여 오픈카의 루프에는 유압시스템을 대신한 모터시스템이 구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 상의 단점들을 해소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모터시스템은 유압시스템에 비해 펼쳐진 루프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을 만큼의 큰 힘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루프에는 이를 견고히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요구되고, 이런 지지수단은 오픈카의 루프와 연동되어 작동되어야 하며, 이의 작동 시는 전술한 유압시스템에서와 같은 단점들이 모두 해소된 메커니즘을 가져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오픈카의 루프를 모터시스템으로 작동시키는 한편 펼쳐진 루프를 견고히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작동유체의 변화로 인한 성능저하 및 작동유체의 누유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한 작동력과 더불어 루프장치의 전반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오프카용 루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모터에 의해 접히고 펼쳐지는 프론트루프와 리어루프를 갖는 오픈카의 루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루프의 하부에는 리어루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리어루프의 하면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기어; 상기 출력기어와 치합되어 베이스 상에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각 링크; 및 상기 각 링크에 연결되고 링크에 의해 베이스 상에서 회전되면서 리어루프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의 루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에는 돌출된 스토퍼핀을 갖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에는 스토퍼핀이 관통되는 슬롯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래치에 대응한 리어루프에는 래치가 각각 걸림 또는 해제되는 록킹핀을 갖는 스트라이커가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픈카용 루프장치에 따르면, 루프와 같이 연동되어 작동되는 한편 펼쳐진 루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루프의 작동 메커니즘을 모터시스템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 유압시스템의 단점이 모두 해소된다. 즉, 온도에 따른 작동유체의 변화로 인한 성능저하 및 작동유체의 누유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신속한 작동력과 더불어 서로 다른 힘이 요구되는 작동부위도 기어의 증속비 또는 감속비를 이용하여 모두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펼쳐진 루프가 지지수단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루프장치의 전반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픈카용 루프 지지수단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지지수단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지지수단을 보인 분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루프의 열림 전 지지수단의 열림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루프의 닫힘 후 지지수단의 닫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픈카용 루프장치 및 루프 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오픈카용 루프장치는 프론트루프(1)와 리어루프(2)가 모터시스템(미도시)에 의해서 접히고 펼쳐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루프(2)의 하부에는 루프가 펼쳐졌을 때 리어루프(2)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구성된다.
상기 지지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와, 출력기어(20), 구동기어(30), 스토퍼(40), 링크(50)(60), 래치(51)(61), 스트라이커(70)(8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0)는 리어루프(2)의 하면에 리어루프(2)와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루프(2)는 모터시스템에 의해서 베이스(1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출력기어(20)는 베이스(10) 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에 연결된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베이스(10) 상에서 정.역회전 구동된다.
이러한 출력기어(20)와 이격된 베이스(10)의 일측에는 구동기어(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구동기어(30)는 출력기어(20)와 치합된 상태로서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30)에는 후술될 스토퍼(40)의 스토퍼핀(41)이 관통되는 슬롯(3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0)는 베이스(10)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그 일면에는 돌출된 스토퍼핀(41)이 구동기어(30)의 슬롯(31)에 관통된 상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되는 구동기어(30)는 슬롯(31)에 끼워진 스토퍼핀(41)에 의해서 슬롯(31)의 길이만큼 그 회전량이 제한된다.
상기 링크는 구동기어(30)의 전후측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프론트링크(50)와 리어링크(60)로 대별되고, 상기 프론트링크(50)와 리어링크(60)는 회전되는 구동기어(30)에 의해서 당겨지거나 또는 밀려 이동된다.
또, 상기 프론트링크(50)와 리어링크(60)의 단부에는 프론트래치(51)와 리어래치(61)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래치(51)(61)는 그 하단부가 베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 즉 힌지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51)(61)는 각 링크(50)(60)의 당김이나 밀림에 의해 베이스(10) 상의 힌지축(52)(62)을 기준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래치(51)(61)는 리어루프(2)의 선,후단부에 각각 걸림되거나 해제되는데, 이때 리어루프(2)의 선,후단부에는 각각의 스트라이커가 설치된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리어루프(2)의 하측 선단부에 설치된 프론트스트라이커(70)와, 리어루프(2)의 하측 후단부에 설치된 리어스트라이커(80)로 대별되고, 각 스트라이커(70)(80)에는 각 래치(51)(61)가 걸림 또는 해제되는 록킹핀(71)(81)이 설치된다. 특히, 래치(51)(61)가 해제된 상태에서의 스트라이커(70)(80)는 리어루프(2)와 같이 회전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픈카의 루프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여기서, 오픈카의 루프는 종래와 동일하게 작동되므로 생략키로 하고, 루프 지지수단의 작동을 중점적으로 설명키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1)(2)가 열리기 전에 지지수단의 모터(미도시)가 작동하여 출력기어(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4 기준).
그러면, 출력기어(20)에 치합된 구동기어(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구동기어(30)의 회전은 스토퍼(40)의 스토퍼핀(41)이 슬롯(31)의 타단부에 접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동기어(30)의 회전에 의해 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프론트링크(50)와 리어링크(60)는 구동기어(30)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같이 당겨진 각 링크(50)(60)에 의해 링크(50)(6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래치(51)(61)가 그 하단부의 힌지축(52)(62)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전된 각 래치(51)(61)는 리어루프(2)에 설치된 프론트스트라이커(70)의 록킹핀(71)과, 리어스트라이커(80)의 록킹핀(81)으로부터 각각 걸림이 해제되고, 이에 의해 리어루프(2)는 트렁크 내부로 접혀 수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 있던 루프(1)(2)가 다시 펼쳐져 닫힌 후에는 지지수단의 모터가 역작동되어 출력기어(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5 기준).
그러면, 출력기어(20)에 치합된 구동기어(30)가 스토퍼(40)의 스토퍼핀(41)이 슬롯(31)의 일단부에 접할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런 구동기어(30)의 회전에 의해 프론트링크(50)와 리어링크(60)가 구동기어(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려 이동되며, 이와 같이 밀린 각 링크(50)(60)에 의해서 래치(51)(61)는 그 하단부의 힌지축(52)(62)을 기준으로 각각 역회전되어, 리어루프(2)의 프론트스트라이커(70)의 록킹핀(71)과, 리어스트라이커(80)의 록킹핀(81)에 각각 다시 걸림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펼쳐지고 접히는 루프(1)(2)가 신속하게 작동될 뿐만 아니라 정밀 조정이 가능해지고, 펼쳐진 루프(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루프(2)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됨으로써 루프장치의 전반적인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1 : 프론트루프 2 : 리어루프
10 : 베이스 20 : 출력기어
30 : 구동기어 31 : 슬롯
40 : 스토퍼 41 : 스토퍼핀
50,60 : 링크 51,61 : 래치
52,62 : 힌지축 70,80 : 스트라이커
71,81 : 록킹핀

Claims (3)

  1. 모터에 의해 접히고 펼쳐지는 프론트루프와 리어루프를 갖는 오픈카의 루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어루프의 하부에는 리어루프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이 구성되되,
    상기 지지수단은, 리어루프의 하면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출력기어;
    상기 출력기어와 치합되어 베이스 상에서 회전 구동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각 링크; 및
    상기 각 링크에 연결되고 링크에 의해 베이스 상에서 회전되면서 리어루프에 걸림 또는 해제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의 루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돌출된 스토퍼핀을 갖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기어에는 스토퍼핀이 관통되는 슬롯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회전되는 구동기어의 회전량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의 루프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래치에 대응한 리어루프에는 래치가 각각 걸림 또는 해제되는 록킹핀을 갖는 스트라이커가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카의 루프장치.
KR1020100123819A 2010-12-06 2010-12-06 오픈카용 루프장치 KR101199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819A KR101199146B1 (ko) 2010-12-06 2010-12-06 오픈카용 루프장치
US13/210,895 US20120139285A1 (en) 2010-12-06 2011-08-16 Roof apparatus for convertible car
DE102011053298A DE102011053298A1 (de) 2010-12-06 2011-09-06 Dachvorrichtung für ein Cabrio
CN2011102741743A CN102485519A (zh) 2010-12-06 2011-09-09 用于敞篷轿车的车篷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819A KR101199146B1 (ko) 2010-12-06 2010-12-06 오픈카용 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522A KR20120062522A (ko) 2012-06-14
KR101199146B1 true KR101199146B1 (ko) 2012-11-12

Family

ID=46083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819A KR101199146B1 (ko) 2010-12-06 2010-12-06 오픈카용 루프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139285A1 (ko)
KR (1) KR101199146B1 (ko)
CN (1) CN102485519A (ko)
DE (1) DE1020110532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3502B2 (ja) * 2012-12-25 2016-12-27 株式会社東洋シート 車両ルーフ構造及び着脱式ルー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203A (ja) 2003-02-28 2004-09-16 Toyo Seat Co Ltd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用ロック装置
US7407201B2 (en) 2004-09-23 2008-08-05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Cover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6945A (en) * 1971-12-02 1973-02-20 Gen Motors Corp Closure operator
DE7700651U1 (de) * 1976-01-16 1979-08-02 Belimo Automation, Gossau, Zuerich (Schweiz) Stellantrieb fuer luft- und drosselklappen, mischhaehne u.dgl. in heizungs- und lueftungsanlagen
US5301987A (en) * 1992-09-04 1994-04-12 Asc Incorporated Convertible top stack latch
US5772274A (en) * 1995-01-31 1998-06-30 Asc Incorporated Motorized drive system for a convertible roof of an automotive vehicle
DE102006042203A1 (de) * 2006-09-08 2008-03-27 Dr.Ing.H.C. F. Porsche Ag Fahrzeugdach
DE102006042201A1 (de) * 2006-09-08 2008-03-27 Dr.Ing.H.C. F. Porsche Ag Cabriolet
DE102006042259B4 (de) * 2006-09-08 2021-08-1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deck für ein Cabriolet
DE102008000472A1 (de) 2008-02-29 2009-09-24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7203A (ja) 2003-02-28 2004-09-16 Toyo Seat Co Ltd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用ロック装置
US7407201B2 (en) 2004-09-23 2008-08-05 Dr. Ing. H.C.F. Porsche Aktiengesellschaft Cover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85519A (zh) 2012-06-06
US20120139285A1 (en) 2012-06-07
DE102011053298A1 (de) 2012-06-06
KR20120062522A (ko) 201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64471A1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JP4566037B2 (ja) ドアラッチ装置
US20090121500A1 (en) Double latch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CN203755854U (zh) 用于开锁的伺服机构
JP5143388B2 (ja) 貨物船のハッチの作動機構
JP2007263219A (ja) リンク機構
KR101199146B1 (ko) 오픈카용 루프장치
JP6921187B2 (ja) 回路遮断器を開閉するための機構
US11174662B2 (en) Driving apparatus and door lock
JP4743567B2 (ja) 格納スペース内に移送可能なサイドメンバを備えた車両ルーフ構造体
JP5649871B2 (ja) 貨物船の装荷ハッチの動作機構
KR20120000913A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구조
EP2112306B1 (en) Vehicle door latch apparatus
CN107869284A (zh) 滑动门控制单元
KR200474646Y1 (ko) 좌우 개폐 방식의 열림판을 갖는 절첩식 컨테이너
JP5495007B2 (ja) ラッゲージリッド開閉装置
KR100899008B1 (ko) 도어 잠금장치용 래치부
KR20120062528A (ko) 컨버터블 차량용 루프장치
JP4738098B2 (ja) 車両用開閉体の駆動装置
JP4417164B2 (ja)
JP2005330724A (ja) ドア開閉装置
CN110485829B (zh) 推拉锁
JPH08177284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009132203A (ja) ルーフ開閉装置
EP3765690A1 (fr) Système d'accouplement/désaccouplement motoris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