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7515B1 -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 Google Patents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7515B1
KR101197515B1 KR1020100083008A KR20100083008A KR101197515B1 KR 101197515 B1 KR101197515 B1 KR 101197515B1 KR 1020100083008 A KR1020100083008 A KR 1020100083008A KR 20100083008 A KR20100083008 A KR 20100083008A KR 101197515 B1 KR101197515 B1 KR 10119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s
input
button
character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286A (ko
Inventor
강동구
Original Assignee
강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83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7515B1/ko
Application filed by 강동구 filed Critical 강동구
Priority to MX2013002283A priority patent/MX2013002283A/es
Priority to CN2011800412754A priority patent/CN103189818A/zh
Priority to CA2809141A priority patent/CA2809141A1/en
Priority to JP2013525838A priority patent/JP2013539576A/ja
Priority to AU2011294019A priority patent/AU2011294019B8/en
Priority to EP11820215.9A priority patent/EP2610713A2/en
Priority to PCT/KR2011/006332 priority patent/WO2012026788A2/ko
Priority to SG2013015375A priority patent/SG187983A1/en
Priority to US13/818,756 priority patent/US20130154945A1/en
Priority to RU2013113217/08A priority patent/RU2013113217A/ru
Publication of KR2012004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과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입력버튼의 위치를 각 손가락의 움직임 및 동선과 조화시키고 기기를 쥔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도록 하여 효율적이면서 편한 입력이 되도록 하며, 기기를 잡지 않는 손의 자유를 가져오며, 화면과 버튼의 영역을 분리하여 최대의 화면이 확보되며, 자세를 구속하는 컴퓨터키보드의 사용으로부터 해방시켜 입력자의 건강에도 도움을 주는 방법이다.

Description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INPUT APPARATUS USING ALL FINGERS OF ONE HAND}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처음에 음성통신을 주로 하던 때에는 큰 화면이나 문자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았으므로 필요한 버튼의 수량은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버튼과 몇 개의 기능버튼 정도면 충분하였고 화면의 크기도 통신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보여주는 정도면 충분하였기에 버튼과 화면을 같은 면에 함께 배열하여도 별 문제가 없었다.
그러나, 화면의 비중이 점점 커짐에 따라 화면을 최대한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접이형식이나 슬라이드형식으로 버튼이 부착된 별도의 판을 추가하여 화면과 버튼을 따로 별도의 면에 분리하여 두 개의 면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실제의 버튼은 존재하지 않으면서도 화면상에 나타나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입력하는 화면터치버튼방식이 개발되어 필요시 버튼부분을 사라지게하여 최대크기의 화면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많은 종류의 문자들을 보다 빨리 입력할 목적으로 휴대폰 등의 기기의 양쪽 측면에 많은 수의 버튼을 배열하고 양손으로 안아잡은 상태에서 양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법 등도 있으나 아직까지 그러한 방법의 실제사용여부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컴퓨터 등의 기기에서는 주로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을 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양손을 키보드위에 위치시킨후 양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키보드상에 평면적으로 배열된 버튼들을 눌러 입력하는 것이다. 근래에는 단순한 평면배치가 아닌 팔목이나 손목의 꺽임능력등을 인체공학적으로 감안한 물결형의 좌우배열 혹은 높낮이배열의 방법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삭제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앞면에 평면적으로 배열된 문자버튼과 기능버튼을 손가락의 위치상 주로 기기를 쥔 쪽 손의 엄지만으로 또는 다른 쪽 손의 엄지나 검지와 함께 기껏해야 한두 개의 손가락만으로 누르거나 터치하여 조작할 수밖에 없는 종래의 입력방법은 일부 손가락만 바쁘고 그 밖의 다른 손가락들은 전혀 참여하지 못하여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또한 종래의 입력방법은 문자버튼의 수가 적을 경우 손가락의 이동은 빠르고 편하나 하나의 버튼이 여러 문자를 담당하기 때문에 특정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같은 버튼을 여러 번 눌러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같은 버튼에 있는 문자를 연속해서 입력할 경우 앞서 입력한 문자가 처리될 때까지 기다리거나 앞선 입력의 종료를 알리는 버튼을 더 눌러주어야 하기 때문에 입력속도가 상당히 지체된다.
이러한 단점을 피하기 위해 하나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버튼을 한번만 누르면 되도록 문자버튼의 수를 많이 늘리게 되는데 이 방법은 누르기 전 지체시간은 없으나 많은 수의 버튼을 제한된 면적에 배치하기 때문에 한 개의 버튼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고 인접 버튼간의 간격이 좁으며 손가락의 동선이 길어 상대적으로 큰 손가락으로 원하는 버튼을 빠르고 정확히 누르기가 쉽지 않으며 하나의 손가락이 눌러야 하는 버튼의 수가 너무 많아져 다른 쪽 손의 도움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다른 쪽 손의 도움을 받더라도 버튼을 누를 때의 정확성문제는 그대로 남으며 속도의 개선도 만족스럽지 못하며 양손이 모두 입력작업에 매달리게 되는 문제점이 추가되며 많은 경우 두 눈까지도 이 일에 매달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화면이 버튼 역할을 하도록 만든 화면터치방법은 필요시 버튼부분을 숨겨 최대크기의 화면을 누릴 수는 있으나 어쨌든 같은 화면에서 버튼을 화면에 표시해야 하기 때문에 화면의 상당부분을 버튼화면에 할애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앞서 설명한 문제점들은 그대로 남아 있다.
접이형식이나 슬라이드형식으로 별도의 장치를 추가하여 화면과 버튼을 별도의 면으로 분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앞의 문제점들외에도 기기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별도의 군더더기 장치를 부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휴대폰 등의 기기의 양쪽 측면에 많은 수의 버튼을 배열하고 양손으로 안아잡은 상태에서 양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은 많은 종류의 문자들을 보다 빨리 입력하는 장점은 있으나 양손으로 잡으려면 기기의 길이가 어느 정도 길어야 하는 조건이 따르며 양손이 모두 입력작업에 매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컴퓨터 등의 기기에서 사용하는 키보드는 타자기시대부터 내려오던 평면적 버튼배열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양손을 키보드위에 위치시킨후 양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는데 속도는 빠르나 인체의 자세를 구속하여 불편하며 두손을 모두 사용해야하며 키보드의 크기 또한 작지 않으며 반듯하게 놓을 장소가 필요하다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삭제
전체기기가 한손에 쥐어지는 크기로서 앞면 전체에 해당하는 큰화면을 요구하는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기기에서는, 앞면 전체의 대부분을 화면으로 사용하고,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이 닿기 수월한 기기의 한쪽 측면에 문자버튼을 각 손가락의 움직임과 동선을 고려하여 배치하되 한개의 버튼이 하나의 문자만을 담당하도록 가능한한 한 국가의 알파벳이 한쪽 측면에 모두 배열되도록 하거나 최소한 절반정도는 배열하고 시프트버튼을 활용하여 두개의 배열조합이 사용되도록 하여 한개의 문자버튼이 하나의 문자만을 담당하는 원칙을 지키고, 엄지와 검지가 닿기 수월한 반대쪽 측면과 윗부분 및 기타의 부위에 필요한 시프트버튼과 기능버튼을 엄지와 검지의 움직임과 동선을 고려하여 배치하여, 기기를 잡은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으로 앞의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한다.
본체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별도로 분리된 한손에 쥐어지는 크기의 입력장치로서 화면이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비중이 작은 일반전화기와 텔레비젼리모콘과 기타기기의 리모콘 등과 같은 기기에서는, 앞의 방법을 근간으로 하되 기기 앞면을 화면으로 사용하는 제한조건과 휴대의 용이성을 위한 얇은 직육면체형 외형을 사용하는 제한조건이 없으므로, 기기 전체를 한쪽 손으로 잡기 편하면서도 3차원적인 외형디자인을 도모하며 엄지를 제외한 네손가락이 닿기 수월한 기기의 부위에 문자버튼을 배치하며 엄지와 검지가 닿기 수월한 기타의 부위에 시프트버튼과 기능버튼을 배치하여, (이렇게 만들어진 기기를 2차원 바닥을 기는 입력장치인 '마우스'에 견주어 3차원 공간을 마음대로 움직인다고 하여 일명 '버드'로 부르기로 한다.) 기기를 잡은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방법으로 앞의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한다.
컴퓨터 등과 같은 기기에서는 입력장치로서 키보드대신 본체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되는 앞서 명명한 '버드'를 사용하는 방법 및 동일한 기는 혹은 보완의 기능을 가진 각각의 '버드'를 양쪽 손에 쥐고 사용하는 방법으로 앞의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기기를 쥔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효율적이며, 각 손가락의 활동영역이 달라 각 손가락간의 간섭이 적으며 각 손가락이 담당하는 버튼수가 몇개 되지 않고 각 손가락의 동선거리는 짧고 단순하여 입력의 정확성과 속도가 매우 증대된다. 또한 손가락과 버튼의 조화로운 배치덕분에 손가락의 움직임이 편하며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므로 일부 손가락의 과용문제나 나머지 손가락들의 운동부족문제 등을 해소하며, 한쪽손만을 사용하므로 인체의 움직임이 훨씬 수월해져 건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남은 손이 자유를 얻게된다.
한편,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는 화면이 있는 앞면을 벗어난 측면이나 윗부분등에 문자버튼이나 기능버튼을 주로 두게 되므로 종래방식의 두통거리인 화면과 버튼간의 자리다툼문제도 자연히 해소되며, 종래의 접이형식이나 슬라이드형식과 같은 별도장치가 사라지게 되어 기기의 무게와 부피 및 그에 따른 원가도 줄일 수 있다.
삭제
도 1은 화면이 있는 앞면도(왼손기준)
도 2는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의 활동영역인 우측면도(왼손기준)
도 3은 엄지의 활동영역중의 하나인 좌측면도(왼손기준)
도 4는 엄지와 검지의 활동영역인 윗면도(왼손기준)
도 5는 뒷면도(왼손기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국가의 알파벳이 한쪽 측면에 모두 배열되도록 하거나 최소한 절반정도는 배열하고 시프트버튼을 활용하여 두개의 배열조합이 사용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는데 사용하는 상황에 따르므로 그 우열은 가릴수 없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형태는 후자의 방법이다.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이 닿기 수월한 기기의 우측면에 각 손가락마다 몇 개씩 문자버튼(A1~A14)을 배치한다. (도 2 우측면도와 도 1 앞면도 및 도 5 뒷면도 참조) 이들 각 문자버튼은 시프트버튼과 조합을 이루어 해당문자로 전환된다.
엄지와 검지가 닿기 수월한 기기의 윗부분에는 다수의 시프트버튼(B1~B10)과 제1종기능버튼(C1~C10)을 배치하고 기타 적절한 곳에 제2종기능버튼(D1~D17)을 배치한다. (도 1 앞면도와 도 4 윗면도와 도 2 우측면도와 도 3 좌측면도 및 도 5 뒷면도 참조)
시프트버튼(B1~B10)에는 제1문자군, 제2문자군, 대문자, 소문자, 숫자, 연산, 제1언어, 제2언어, 제3언어 및 특수문자 시프트버튼이 있다.
제1종기능버튼(C1~C10)에는 ENTER, CONTROL, SPACE, BACKSPACE, INSERT, TAB, DELETE, ALT, FUNCTION 및 ESC 버튼이 있다.
제2종기능버튼(D1~D16)에는 메뉴, 통화, 메시지, 전화번호부, 확인, 취소, 매너모드, 전원, 사용자세팅 및 촬영 버튼이 있으며 이들과는 별개로 상하좌우이동버튼과 음량조절버튼이 있다.
각 부분의 버튼의 종류와 수량 및 위치는 필요와 디자인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며, 제2종기능버튼중에 사용자세팅버튼을 두어 각 버튼의 역할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설명은 왼손사용자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오른손사용자는 도 1의 가로대칭축을 기준으로 화면과 버튼을 위아래대칭이 되도록 바꾸거나, 도 1의 세로대칭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이 되도록 버튼을 바꾸면 된다. 또한 왼손사용자의 버튼과 오른손 사용자의 버튼을 모두 두게 되면 때에 따라 왼손을 사용하기도 하고 오른손을 사용하기도 하는 양손겸용사용이 가능하다.
다음의 버튼명과 동반된 괄호안의 내용은, 제1언어를 한글로 제2언어를 영어로 선택할 경우 각 버튼과 그 버튼의 기능이나 표시하는 바를 조합해본 실시예이다.
제1언어 제1문자버튼 조합 : A1(ㄱ), A2(ㄴ), A3(ㄷ), A4(ㄹ), A5(ㅁ), A6(ㅂ), A7(ㅅ), A8(ㅇ), A9(ㅈ), A10(ㅊ), A11(ㅋ), A12(ㅌ), A13(ㅍ), A14(ㅎ).
제1언어 제2문자버튼 조합 : A1(ㅏ), A2(ㅓ), A3(ㅗ), A4(ㅜ), A5(ㅑ), A6(ㅕ), A7(ㅛ), A8(ㅠ), A9(ㅐ), A10(ㅔ), A11(ㅚ), A12(ㅟ), A13(ㅡ), A14(ㅣ).
제2언어 제1문자버튼 조합 : A1(A), A2(B), A3(C), A4(D), A5(E), A6(F), A7(G), A8(H), A9(I), A10(J), A11(K), A12(L), A13(Y), A14(Z).
제2언어 제2문자버튼 조합 : A1(M), A2(N), A3(O), A4(P), A5(Q), A6(R), A7(S), A8(T), A9(U), A10(V), A11(W), A12(X), A13(Y), A14(Z).
숫자버튼 조합 : A1(1), A2(2), A3(3), A4(4), A5(5), A6(6), A7(7), A8(8), A9(9), A10(0), A11(0), A12(0), A13(.), A14(,).
연산버튼 조합 : A1(+), A2(-), A3(*), A4(/), A5(=), A6(ROOT), A7((), A8()), A9({), A10(}), A11([), A12(]), A13(C), A14(AC). (연산버튼을 매번 더 누를 때마다 또 다른 14개의 연산버튼 조합이 가능하고 해당 연산버튼 조합이 화면에 뜨게 한다.)
특수부호버튼 조합 :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A11($), A12(%), A13(₩), A14(&). (특수부호버튼을 매번 더 누를 때마다 또 다른 14개의 특수부호버튼 조합이 가능하고 해당 특수부호버튼 조합이 화면에 뜨게 한다.)
시프트버튼 조합 : B1(제1문자), B2(제2문자), B3(대문자), B4(소문자), B5(숫자), B6(연산부호), B7(제1언어), B8(제2언어), B9(제3언어), B10(특수부호).
제1종기능버튼 조합 : C1(ENTER), C2(CONTROL), C3(SPACE), C4(BACKSPACE), C5(INSERT), C6(TAB), C7(DELETE), C8(ALT), C9(FUNCTION), C10(ESC).
제2종기능버튼 조합 : D1(통화), D2(메시지), D3(확인), D4(취소), D5(전화번호부), D6(매너모드), D7(UP), D8(DOWN), D9(RIGHT), D10(LEFT), D11(HIGH), D12(LOW), D13(매뉴), D14(), D15(전원), D16(사용자세팅), D17(촬영).
A1 ~ A14 : 문자버튼
B1 ~ B10 : 시프트버튼
C1 ~ C10 : 제1종기능버튼
D1 ~ D17 : 제2종기능버튼

Claims (6)

  1. 한 손으로 쥐고 입력하는 기기로서,
    기기 본체의 양 측면중 일 측면에 배열된 복수의 문자버튼을 포함하고, 양 측면 중 타 측면과 윗부분에 복수의 시프트버튼과 기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문자버튼은 한 국가의 알파벳의 전체 개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문자버튼으로 배열되거나 상기 시프트버튼중 특정 시프트버튼에 의해 전환되는 한 국가의 알파벳의 전체 개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개수의 문자버튼으로 배열되되, 상기 복수의 문자버튼은 그 문자버튼이 포함되는 측면의 일측 모서리부와 타측 모서리부 및 상기 두 모서리부 사이의 중간부분에 나누어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문자버튼은 엄지를 제외한 네 손가락이 입력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상기 시프트버튼과 기능버튼은 엄지가 입력할 수 있도록 배열되며, 상기 윗부분에 위치한 버튼중 일부의 시프트버튼과 기능버튼은 검지가 입력할 수 있도록 배열되는
    기기.
  2. 한 손으로 쥐고 입력하는 기기로서,
    기기 본체의 양 측면과 윗면에 각각 복수로 마련되는 입력버튼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입력 버튼 그룹은 그 입력버튼 그룹이 속하는 면과 앞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마련되는 제1열의 복수의 입력버튼과, 상기 입력버튼 그룹이 속하는 면과 뒷면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마련되는 제2열의 복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입력버튼 그룹을 구성하는 입력버튼은 각각 문자, 기호 또는 기능을 담당하도록 역할이 부여되는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과 제2열의 입력버튼 사이의 중간에 마련되는 제3열의 복수의 입력버튼을 더 포함하는
    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 본체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더 마련되는 복수의 입력버튼 그룹을 더 포함하는
    기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전화기, 리모콘이거나, 컴퓨터 또는 기구의 유무선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전화기, 리모콘이거나, 컴퓨터 또는 기구의 유무선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기기.
KR1020100083008A 2010-08-26 2010-08-26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KR10119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008A KR101197515B1 (ko) 2010-08-26 2010-08-26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CN2011800412754A CN103189818A (zh) 2010-08-26 2011-08-26 使用一只手的所有手指的输入方法
CA2809141A CA2809141A1 (en) 2010-08-26 2011-08-26 Input method using all of the fingers of one hand
JP2013525838A JP2013539576A (ja) 2010-08-26 2011-08-26 片手全ての指を使用する入力方法
MX2013002283A MX2013002283A (es) 2010-08-26 2011-08-26 Aparato para alimentacion con el uso de todos los dedos de una mano.
AU2011294019A AU2011294019B8 (en) 2010-08-26 2011-08-26 Input apparatus using all of the fingers of one hand
EP11820215.9A EP2610713A2 (en) 2010-08-26 2011-08-26 Input method using all of the fingers of one hand
PCT/KR2011/006332 WO2012026788A2 (ko) 2010-08-26 2011-08-26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는 입력방법
SG2013015375A SG187983A1 (en) 2010-08-26 2011-08-26 Input method using all of the fingers of one hand
US13/818,756 US20130154945A1 (en) 2010-08-26 2011-08-26 Input apparatus using all fingers of one hand
RU2013113217/08A RU2013113217A (ru) 2010-08-26 2011-08-26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использующее все пальцы на одной рук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008A KR101197515B1 (ko) 2010-08-26 2010-08-26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286A KR20120041286A (ko) 2012-05-02
KR101197515B1 true KR101197515B1 (ko) 2012-11-12

Family

ID=45723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008A KR101197515B1 (ko) 2010-08-26 2010-08-26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30154945A1 (ko)
EP (1) EP2610713A2 (ko)
JP (1) JP2013539576A (ko)
KR (1) KR101197515B1 (ko)
CN (1) CN103189818A (ko)
AU (1) AU2011294019B8 (ko)
CA (1) CA2809141A1 (ko)
MX (1) MX2013002283A (ko)
RU (1) RU2013113217A (ko)
SG (1) SG187983A1 (ko)
WO (1) WO201202678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3259A (zh) * 2015-03-08 2016-10-19 郑建锋 掌上设备的输入法
CN110377154A (zh) * 2019-07-03 2019-10-25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鼠标指针控制装置、方法及工程机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714A (ja) 2004-03-30 2005-10-13 Nec Corp 携帯電話機
KR100735146B1 (ko) 2005-11-23 2007-07-03 엠텍비젼 주식회사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JP2008294542A (ja) 2007-05-22 2008-12-04 Nec Mobiling Ltd 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1408A (en) * 1987-05-14 1988-12-13 Ted Scudder Keyboard for one-hand operation
US5432510A (en) * 1993-03-22 1995-07-11 Matthews; Walter S. Ambidextrous single hand chordic data management device
JPH07240776A (ja) * 1994-02-28 1995-09-12 Nippondenso Co Ltd 携帯電話機
JP2957507B2 (ja) * 1997-02-24 1999-10-04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小型情報処理機器
JP2000267787A (ja) * 1999-03-18 2000-09-29 Canon Inc 入力装置及び携帯情報処理装置
JP2001265490A (ja) * 2000-03-23 2001-09-28 Sony Corp 片手で入力操作可能な携帯情報端末
US7439957B2 (en) * 2001-01-25 2008-10-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universal keyboard
US20020163504A1 (en) * 2001-03-13 2002-11-07 Pallakoff Matthew G. Hand-held device that supports fast text typing
US7522937B2 (en) * 2001-08-29 2009-04-21 Katsuzo Tanaka Super-high rate letter input device for a cell phone
KR100628976B1 (ko) * 2001-09-25 2006-09-27 가츠조 다나카 휴대용 통신기기
CN2704977Y (zh) * 2003-09-25 2005-06-15 周亚新 侧按键手机
WO2007046567A1 (en) * 2005-10-21 2007-04-26 Iksoo Eun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JP2010026879A (ja) * 2008-07-22 2010-02-04 Takahashi Hiroyuki 情報処理装置
KR20100088263A (ko) * 2009-01-30 2010-08-09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6714A (ja) 2004-03-30 2005-10-13 Nec Corp 携帯電話機
KR100735146B1 (ko) 2005-11-23 2007-07-03 엠텍비젼 주식회사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JP2008294542A (ja) 2007-05-22 2008-12-04 Nec Mobiling Ltd 携帯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89818A (zh) 2013-07-03
KR20120041286A (ko) 2012-05-02
WO2012026788A2 (ko) 2012-03-01
AU2011294019B2 (en) 2014-12-11
WO2012026788A3 (ko) 2012-04-19
AU2011294019A1 (en) 2013-03-28
SG187983A1 (en) 2013-03-28
AU2011294019B8 (en) 2014-12-18
EP2610713A2 (en) 2013-07-03
MX2013002283A (es) 2014-02-27
US20130154945A1 (en) 2013-06-20
CA2809141A1 (en) 2012-03-01
RU2013113217A (ru) 2014-10-10
JP2013539576A (ja)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10433B2 (ja) 入力方法、入力装置、および端末機器
KR101979666B1 (ko) 표시부에 출력되는 입력 영역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EP25844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CN106775423A (zh) 一种移动终端外设输入装置及移动终端
CN101644970A (zh) 通信装置的输入方法
CN101266533A (zh) 用于触摸屏的输入法
JP201452117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付き端末によるドキュメント処理方法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付き端末
KR101197515B1 (ko)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CN102238258A (zh) 摇杆qwert手机全键盘
KR101046660B1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CN101661346B (zh) 智能型触控装置及方法
CN101741943A (zh) 一种移动终端的键盘
CN203311371U (zh) 一种移动终端外设输入装置及移动终端
US10423328B2 (en) Portable terminal for controlling two cursors within a virtual keyboard according to setting of movement by a single key at a time or a plurality of keys at a time
CN2935718Y (zh) 手持信息终端设备
CN102193647B (zh) 形状码及触摸屏的区位汉字输入法
JP2015043560A (ja) ソフトウエアキーボードプログラム、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WO2013026257A1 (zh) 移动终端
US20100289738A1 (en) Stone, Portable Hand Held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to a Computer, Cell Phone, or any Programmable Device
WO2011081570A2 (ru) Дисплей вы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в электронном устройстве
KR20110043427A (ko) 한글 자음 입력을 위한 문자 배열 방법 및 한글 입력 방법
KR20130012590A (ko) 스마트폰에서 한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1192098A (zh) 一种智能手机或掌中电脑的键盘设计技术方案
JP3081503U (ja) パソコン用キ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