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146B1 -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146B1
KR100735146B1 KR1020050112174A KR20050112174A KR100735146B1 KR 100735146 B1 KR100735146 B1 KR 100735146B1 KR 1020050112174 A KR1020050112174 A KR 1020050112174A KR 20050112174 A KR20050112174 A KR 20050112174A KR 100735146 B1 KR100735146 B1 KR 100735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ain body
button
input butt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309A (ko
Inventor
김홍식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146B1/ko
Publication of KR20070054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입력버튼을 포함하되, 입력버튼은 다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입력버튼의 상이한 부위가 가압됨에 따라 각각의 문자가 입력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입력수단이 구비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되고 휴대단말기의 두께가 감소하며, 단일의 입력버튼으로 기호를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입력, 버튼, 휴대단말기

Description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PORTER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IDE INPUT BUTT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우측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입력버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단말기 본체
200 : 디스플레이부
310 : 제1 입력버튼
320 : 제2 입력버튼
330 : 제3 입력버튼
340 : 제4 입력버튼
350 : 제5 입력버튼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바(Bar)형 휴대단말기는 일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문자와 숫자 및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부가 같이 구비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의 휴대성을 위해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되어 구비되고, 키패드부가 다양한 방식으로 개폐되어 휴대단말기의 내부로부터 노출되는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등의 휴대단말기가 개발되었으나 폴더의 회동 및 이동 구조로 인해 휴대단말기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키패드부는 하나의 버튼에 소수의 문자가 대응되기 때문에 문자 메시지의 입력이 신속하지 못하고, 버튼의 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이 용이한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되고 두께가 감소하는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본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입력버튼을 포함하되, 입력버튼은 다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입력버튼의 상이한 부위가 가압됨에 따라 각각의 문자가 입력되는 휴대단말기가 제시될 수 있다.
본체는 입력버튼의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변환버튼을 더 구비하고, 입력버튼은 변환버튼의 동작에 따라 숫자 또는 문자 또는 특수기호에 대응될 수 있다. 입력버튼은 한글의 모음과 자음에 대응될 수 있다.
입력버튼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고, 입력버튼은 본체의 일측면에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입력버튼은 양측면에 각각 동일한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입력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통화를 위한 스피커(110) 및 마이크로폰(130)과 정보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00)가 구비되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이 구비되며, 일면에는 변환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는 폴더형, 스윙형, 슬라이드형 등의 휴대단말기(미도시)일 수 있으나, 바(Bar)형 휴대단말기 본체(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은 문자, 숫자, 특수기호, 특정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으며, 변환수단은 하나 이상의 언어의 상기 문자, 숫자, 특수기호 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전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4 내지 제5 입력버튼(340,350)의 상기 특정기능은 전화를 받기 위한 통화기능,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기능, 선택사항의 확인기능 또는 취소기능 등 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입력버튼(310,320,330)으로 키패드부(미도시)와 동일하게 소정 언어의 문자를 완전하게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본체(100)의 전면에는 종래의 키패드부의 영역까지 확장된 대형의 디스플레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키패드의 역할을 수행하는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이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이 바(Bar) 타입의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구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키패드를 개방하기 위한 종래의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등의 폴더 이동 및 회동구조를 갖는 휴대단말기 본체(100)보다 측면 두께가 감소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은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길이방향 또는 폭의 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구비되거나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을 위하여 오른손 또는 왼손의 검지, 중지 및 엄지 위치에 대응하여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2개 이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은 한 손으로 조작이 용이하도록 일측에 4개가 구비되고, 타측에 1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양측에 모두 5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은 사용자가 휴대단말기 본체(100)를 양손으로 번갈아 파지하는 경우 조작이 용이하도록 양측에 동일한 수로 구비되고, 좌측에 구비된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의 기능과 우측에 구비된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의 기능을 서로 바꾸어 주는 변환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환수단은 별도의 버튼으로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일면에 구비되거나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이 가압되는 횟수 또는 가압되는 시간에 따라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가로가 세로보다 더 넓은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00)의 영상이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90도 회전되어 출력되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 본체(100)를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의 조작이 용이하도록,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이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길이방향의 양측 가장자리에 편향되어 구비되거나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이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폭 방향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 변환수단 및 기능버튼은 사용자가 가압하면 특정신호를 발생시키고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공지의 푸시 타입(Push type)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가압되는 위치에 따라 각기 상이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의 버튼(310,320,330,340,350)으로 상기 문자, 상기 숫자, 상기 특수기호 등을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의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입력버튼(310,320,33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d 및 도 4e에는 특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4 내지 제5 입력버튼(340,35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기호와 상기 특정기능은 단일의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의 각기 상이한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기호는 각국의 언어에 해당하는 문자, 숫자, 특수기호를 총괄하는 개념을 의미하며, 도 4a 내지 도 4c에서의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 등에 해당된다.
제1 내지 제5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은 상하좌우 및 중앙 등의 가압되는 부위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가압되는 회수 또는 가압되는 시간에 따라 문자, 숫자, 특수기호 등과 대응될 수 있어 종래의 키패드에 비해 적은 수의 버튼으로 해당 언어의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은 한글의 자음과 모음 및 영문, 숫자에 대응된다. 제1 입력버튼(310)을 이용하여 숫자 또는 영문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수단을 동작시켜 해당 기호의 입력모드로 변경한 후 입력한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입력버튼(350)의 중앙을 가압하면 상기 기호의 입력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변환명령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입력수단(310,320,330)은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거나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 입력버튼의 단면도이다.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은 원통형의 몸체(400)를 구비하며 몸체(400)의 원주에 따라 해당되는 상기 기호가 표시된 표시부(410)가 구비된다. 표시부(410)는 몸체(400)의 표면일 수 있으며, 몸체(400)로부터 돌출되거나 함몰된 형상일 수 있다.
입력버튼(310,320,330,340,350)은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는 표시부(410)에 입력을 원하는 상기 기호가 나오도록 원통형의 몸체(400)를 회전시킨다. 상기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표시부(410)를 가압하면 몸체 및 회전축이 슬라이딩 되면서 접촉부(450)를 밀게 되고 접촉부(450)는 단자부(470)와 접촉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게 되어 해당되는 기호가 입력된다.
표시부(410)에 입력을 위한 압력이 제거되면 몸체(400)의 회전축(420)의 단부(430)에 접촉되어 있는 탄성체(440)에 의해 몸체(400)가 휴대단말기 본체(100)의 측면으로 밀려나오면서 접촉부(450)는 탄성체(460)에 의해 단자부(470)와 분리된다.
미도시 되었으나, 몸체(400)의 회전에 따라 각기 다른 문자가 대응되도록 몸체(400)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감지수단은 광센서를 포함하여 구비되거나 회전축(420)의 단부(430)에 구비되는 걸림돌기 및 걸림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단일의 입력버튼으로 다수의 기호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의 키패드부보다 적은 수의 버튼으로 기호를 신 속하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입력수단이 구비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가 확장되고 휴대단말기의 두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전면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이상 구비되는 입력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버튼은 다수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입력버튼의 상이한 부위가 가압됨에 따라 각각의 상기 문자가 입력되는 휴대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버튼의 입력모드를 전환하는 변환버튼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변환버튼의 동작에 따라 문자, 숫자, 특수기호, 특수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은 한글의 모음과 자음에 대응되는 휴대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에 각각 동일한 수로 구비되는 휴대단말기.
KR1020050112174A 2005-11-23 2005-11-23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735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174A KR100735146B1 (ko) 2005-11-23 2005-11-23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174A KR100735146B1 (ko) 2005-11-23 2005-11-23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09A KR20070054309A (ko) 2007-05-29
KR100735146B1 true KR100735146B1 (ko) 2007-07-03

Family

ID=3827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174A KR100735146B1 (ko) 2005-11-23 2005-11-23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515B1 (ko) 2010-08-26 2012-11-12 강동구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613A (ja) * 1999-11-15 2001-05-25 Sharp Corp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613A (ja) * 1999-11-15 2001-05-25 Sharp Corp 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7515B1 (ko) 2010-08-26 2012-11-12 강동구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여 입력하는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309A (ko) 200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4556A (ko) 키이입력장치
US20060030375A1 (en) Ultra high-speed character input device of cellular telephone
KR100735146B1 (ko)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US20060061556A1 (en) Electronic apparatus
KR200202131Y1 (ko) 정보 처리 단말기
KR101368770B1 (ko) 학습용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008632B1 (ko) 문자 입력장치
KR100404752B1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KR101129689B1 (ko) 2개국 겸용 속기 키보드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JP4395177B2 (ja) キーボード
KR100451191B1 (ko) 휴대단말기용 키 패드의 한글 문자 배열 구조
JP2006025386A (ja) 省スペースの文字入力装置
KR20060026830A (ko)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
JP2002140148A (ja) キーボード
JP3109642U (ja) 携帯韓国語入力装置
KR200289579Y1 (ko) 휴대폰 키패드의 숫자키 여백을 활용한 추가 보조 키버튼설치 및 문자 배열 시스템
JP2002342007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文字入力システム
KR1011605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WO2003009119A1 (fr) Dispositif d&#39;entree de caracteres d&#39;un telephone portable
KR20080020759A (ko) 문자 및 기호 입력장치
KR200412641Y1 (ko) 숫자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12방향키 입력장치
JP2000222105A (ja) キーボード
KR20010064214A (ko) 휴대폰에서의 문자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