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527B1 - 이동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527B1
KR101160527B1 KR1020060000355A KR20060000355A KR101160527B1 KR 101160527 B1 KR101160527 B1 KR 101160527B1 KR 1020060000355 A KR1020060000355 A KR 1020060000355A KR 20060000355 A KR20060000355 A KR 20060000355A KR 101160527 B1 KR101160527 B1 KR 10116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main body
keypa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2959A (ko
Inventor
김기현
민경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0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527B1/ko
Publication of KR2007007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전환 센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문자 입력 중 신속한 문자 전환을 통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체의 앞면에 키패드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 뒷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문자 전환 센서가 설치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특히 한 쌍의 문자 전환 센서의 센싱 조합을 통하여 한글/영문 소문자/영문 대문자/숫자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엄지손가락으로는 키패드를 조작하고 검지손가락으로는 문자 전환 센서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패드의 조작없이 입력 문자를 신속하게 전환시켜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키패드, 이동 통신 단말기, 뒷면, 문자 전환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전환 센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뒷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문자 전환 센서를 보여주는 확대도,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앞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전환 센서를 이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전환 센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뒷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문자 전환 센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앞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본체 13 : 키패드
14a, 14b : 문자 전환 센서 15 : 배터리팩
16 : 카메라 모듈 18 : 요부
20 : 커버 21 : 표시창
22 : 네비게이션 패드 30 : 양손
31 : 엄지손가락 32 : 검지손가락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자 전환이 용이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단말기는 사무용이나 가정용 전화기가 대표적이고, 무선 통신 단말기는 PCS, 셀룰러폰 또는 PDA가 대표적인 예이다. 통상 무선 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휴대 및 이동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그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음성 정보만을 전달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문자 정보, 화상 정보, MP3,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는 바 타입(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 타입(flip type), 폴더 타입(folder type) 및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표시창과, 표시창 아래에 설치되는 키패드를 포함한다. 이때 키패드는 문자나 숫자 등의 입력에 사용되며, 표시창과 키패드 사이에 특수 기능 실행을 위한 네비게이션 패드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와 같은 문자를 입력할 때 키패드를 주로 활용하며, 문자 전환이 필요한 경우 네비게이션 패드(navigation pad)를 사용한다.
그런데 키패드와 네비게이션 패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키패드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다가 키패드에서 네비게이션 패드로 이동하여 네비게이션 패드를 조작하는 것이 번거롭다. 즉 적어도 한 쪽의 엄지손가락으로 키패드를 눌러 문자를 입력하다가 키패드와 떨어진 네비게이션 패드로 엄지손가락을 이동시켜 네비게이션 패드를 조작하는 것이 번거롭다.
특히 키패드와 네비게이션 패드가 일정 간격 떨어져 있기 때문에, 키패드에서 네비게이션 패드로의 이동에 따른 시간 손실로 문자 입력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속한 문자 전환을 통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앞면에 설치된 키패드와, 뒷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된 문자 전환 센서를 갖는 본체와; 상기 키패드가 노출되게 상기 본체의 앞면에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창을 갖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문자 전환 센서의 센싱 조합을 통하여 한글/영문 소문자/영문 대문자/숫자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전환 센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본체는 뒷면의 상단부 아래에 결합된 배터리팩을 포함한다. 이때 문자 전환 센서는 본체 뒷면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전환 센서의 주위에는 요부 또는 철부 중에서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문자 전환 센서로는 광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 1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전환 센서(14a, 14b)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뒷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문자 전환 센서(14a)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앞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 기(100)는 본체(10)와, 본체(10)에 결합된 커버(20)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이다. 본체(10)는 앞면(12a)에 키패드(13)가 설치되어 있고, 뒷면(12b)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문자 전환 센서(14a, 1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20)는 본체(10) 앞쪽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본체 앞면(12a)의 키패드(13)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별도로 구비된 문자 전환 센서(14a, 14b)를 이용한 신속한 문자 전환을 통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는 앞면(12a)에 키패드(13)가 설치되고, 뒷면(12b)에 탈착할 수 있도록 결합된 배터리팩(15)을 포함하며, 배터리팩(15)은 본체(10)의 상단부 아래에 설치된다. 그리고 문자 전환 센서(14a, 14b)는 본체 뒷면(12b)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키패드(13)는 종래의 키패드와 동일한 배열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문자 전환 센서(14a, 14b)는 본체 뒷면(12b)의 상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본체 뒷면(12b)의 상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이 검지손가락으로 문자 전환 센서(14a, 14b)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즉 본체(10)를 양손으로 잡았을 때, 검지손가락이 본체 뒷면(12b)의 상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문자 전환 센 서(14a, 14b) 사용시 양쪽의 검지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로 본체(1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양쪽의 엄지손가락은 본체(10)의 앞면(12a)에 위치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본체(10)의 뒷면(12b)에 위치하여 본체(10)를 지지한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문자 전환 센서(14a, 14b)를 조작한다.
이때 문자 전환 센서(14a, 14b)는 광 센서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문자 전환 센서(14a, 14b)는 검지손가락에 의한 개폐여부를 센싱하고, 이를 조합하여 표시창(21)에 입력되는 문자를 한글/영문 소문자/영문 대문자/숫자로 전환시킨다. 예컨대, 양쪽의 문자 전환 센서(14a, 14b)가 모두 개방된 경우 한글, 왼쪽 문자 전환 센서(14a)가 가려진 경우 영문 소문자, 오른쪽 문자 전환 센서(14b)가 가려진 경우 영문 대문자 그리고 양쪽 문자 전환 센서(14a, 14b)가 가려진 경우 숫자가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체(10)의 뒷면(12b)에 설치된 문자 전환 센서(14a, 14b)의 위치를 검지손가락으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문자 전환 센서(14a, 14b) 주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부(18) 또는 철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요부(18)가 문자 전환 센서(14a, 14b)의 상부에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커버(20)는 앞면의 위쪽에 키패드(13)를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창(21)이 설치되고, 표시창(21) 아래에 네비게이션 패드(22)가 설치된다.
그 외 음성 통화를 위한 음향 신호가 입력되는 마이크(17)가 본체(10)의 키 패드(13) 아래에 설치되고, 음향 신호가 출력되는 이어피스(23)가 커버(20)의 표시창(21) 위에 설치된다.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6)이 본체(10) 또는 커버(20)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본체(10)에 카메라 모듈(16)이 설치된 예를 개시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문자 입력을 하는 일 예가 도 3a 내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키패드(13)를 이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문자 전환 센서(14a, 14b)를 이용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먼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를 본체(10)에 대해서 상부로 이동시켜 본체 앞면(12a)의 키패드(13)를 노출시킨다. 다음으로 양손(30)의 엄지손가락(31)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33)으로 본체(10)의 뒷면(12b)을 지지한 상태에서, 양쪽 엄지손가락(31)으로 키패드(13)를 조작한다. 이때 검지손가락(32)은 문자 전환 센서(14a, 14b)에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한글이 입력되는 예를 개시하였다.
키패드(13) 사용 중 문자 전환, 예컨대 한글에서 영어 대문자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뒷면(12b)에 위치한 오른손의 검지손가락(32)을 문자 전환 센서(14b)로 이동시켜 현재 사용 중인 한글을 영어 대문자로 바로 전환시킨다. 즉 문자 전환 센서(14a, 14b)를 엄지손가락 (31)이 아닌 검지손가락(32)으로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때 문자 전환시 본체(10)의 뒷면(12b)에 설치된 문자 전환 센서(14a, 14b)를 직접 보지 않더라도, 문자 전환 센서(14a, 14b)의 상부에 형성된 요부(18)를 엄지손가락(32)의 감각으로 인지함으로써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네비게이션 패드(22)의 사용없이 문자 전환 센서(14a, 14b)의 조작을 통하여 신속하게 문자를 전환시켜 문자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및 제 3 실시예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슬라이딩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 타입(bar type), 덮개를 구비한 플립 타입(flip type) 및 폴더 타입(folder type)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전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는 폴더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문자 전환 센서(114a, 114b)가 적용된 예가 개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바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문자 전환 센서(214a, 214b)가 적용된 예가 개시되어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더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본체(110)의 뒷면(112b)에 문자 전환 센서(114a, 11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본체(110)와 커버(120)의 접하는 양단이 힌지(140)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특히 문자 전환 센서(114a, 114b)는 본 체 뒷면(112b)의 상단부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110)의 앞면에는 키패드가 설치되어 있고, 키패드의 상부에 네비게이션 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앞면과 마주보는 커버(120)의 일면에 표시창이 설치되어 있다.
그 외 커버(120)는 표시창이 설치된 면에 반대되는 면에 보조 표시창(124)이 설치되거나, 표시창을 가로 방향으로 돌려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타입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본체(210)의 뒷면에 문자 전환 센서(214a, 21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앞면(212a)과 뒷면을 갖는 본체(210)를 포함한다. 표시창(221)은 본체 앞면(212a)의 상부에 설치된다. 키패드(213)는 표시창(221) 아래의 본체(210)의 앞면(212a)에 설치된다. 문자 전환 센서(214a, 214b)는 본체(210)의 뒷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표시창(221)과 키패드(213) 사이에 네비게이션 패드(222)가 설치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검지손가락에 근접한 본체 뒷면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문자 전환 센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으로 키패드를 조작하고 검지손가락으로 문자 전환 센서를 조작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네비게이션 패드의 조작없이 문자 전환 센서를 조작하여 입력 문자를 신속하게 전환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체의 앞면에 설치된 키패드;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창;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를 타 문자로 전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검지 손가락에 의한 개폐 여부를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표시창에 입력되는 문자를 한글/영문대문자/영문소문자/숫자 중 어느 하나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양손으로 잡았을 때, 사용자의 검지 손가락이 위치하는 상기 본체의 뒷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의 주위에는 요부 또는 철부 중에서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 센서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고, 이를 조합하여 상기 표시창에 입력되는 문자를 한글/영문대문자/영문소문자/숫자 중 어느 하나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본체의 앞면에 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커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본체와 접하는 양단이 힌지로 결합되는 커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키패드가 설치된 상기 본체 앞면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60000355A 2006-01-03 2006-01-03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16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355A KR101160527B1 (ko) 2006-01-03 2006-01-03 이동 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0355A KR101160527B1 (ko) 2006-01-03 2006-01-03 이동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959A KR20070072959A (ko) 2007-07-10
KR101160527B1 true KR101160527B1 (ko) 2012-06-28

Family

ID=3850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355A KR101160527B1 (ko) 2006-01-03 2006-01-03 이동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5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14A (ko) * 2001-05-18 2002-11-27 (주)도움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KR20040042466A (ko) * 2002-11-14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111414A (ko) * 2004-05-20 200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14A (ko) * 2001-05-18 2002-11-27 (주)도움 슬라이드 모듈이 적용된 휴대폰 단말기
KR20040042466A (ko) * 2002-11-14 2004-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50111414A (ko) * 2004-05-20 200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959A (ko) 200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607B1 (ko) 양쪽 키패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EP1665737B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keypads
KR100996646B1 (ko) 촉각적 피드백을 가진 터치 감응성 키이패드
US20050185788A1 (en) Keypad adapted for use in dual orientations
US20050091431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20050125570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US8886264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10079442A (ja) 携帯端末
EP2352076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CN101611616A (zh) 具有可动壳体部件的电子装置
JP2011049805A (ja) 携帯端末
US8711099B2 (en)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KR1011605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US1006139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pad with keys having a ridged surface profile
JP5229212B2 (ja) 携帯端末および携帯端末の操作方法
TW200925947A (en) Conjoined input keys adjacent a navigation tool o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2013013038A (ja) 携帯電話機の表示入力方法
KR100735146B1 (ko) 측면 입력 버튼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KR200346381Y1 (ko) 휴대폰의 키버튼 배치 구조
JP5114706B2 (ja) 移動体通信装置
KR101351488B1 (ko) 이동통신단말기
KR200389271Y1 (ko) 휴대폰 버튼 부의 위치 재배치
JP2004096494A (ja) 携帯電話機
JP2004112431A (ja) 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