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8263A -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8263A
KR20100088263A KR1020090007369A KR20090007369A KR20100088263A KR 20100088263 A KR20100088263 A KR 20100088263A KR 1020090007369 A KR1020090007369 A KR 1020090007369A KR 20090007369 A KR20090007369 A KR 20090007369A KR 20100088263 A KR20100088263 A KR 20100088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application
mode
terminal devic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90007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88263A/ko
Priority to US12/689,069 priority patent/US20100197342A1/en
Publication of KR2010008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키 모듈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키 모듈부가 위치하는 상기 측면 내 지점과, 상기 지점과 관련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모드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이동 단말기기, 키 모듈부, 슬라이딩, 모드 정보, 자성 센서

Description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음성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장착된 디지털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촬영 기능, 미디어 파일 재생 기능, 위성/지상파방송 수신 기능, 게임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이나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와 같은 이동 단말기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모바일 인터넷 환경이 WCDMA 방식의 3G 환경으로 고속 진화 발전하면서 브라우저가 탑재된 이동 단말기기가 늘어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 영상 통화 서비스 및 자동 로밍 서비스 등의 서비스 이용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 단말기기(100)의 좌/우 측면에는 이동 단말기기(100)의 기능 별로 다양한 키버튼들이 구비되고 있다. 예컨대, 이동 단말기기(100)에는 홀드 키(hold key, 잠금 키, 110), 멀티태스킹 키(120), 영상통 화/카메라 실행 키(130), 음량 조절 키(141, 142), 또는 스테레오 이어마이크/외부 커넥터 연결단자(150) 등의 다양한 기능 동작을 위한 키버튼들이 포함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기의 기능이 갈수록 복잡해 짐에 따라 각각의 기능 동작을 위한 키버튼(예컨대, 사이드 키)들이 많이 필요하게 되었지만, 최근 이동 단말기기는 디자인이 슬림(slim)해지고 심플(simple)해지는 추세이다.
특히, 요즘 대세를 이루고 있는 터치폰(touch phone)의 경우, 대기상태에서 전면터치로 인한 오동작 방지를 위해, 홀드 키(hole key)와 같은 키버튼을 케이스의 측면에 별도로 두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기능 동작을 위한 키버튼들이 구비되기 때문에 디자인이 복잡해지며, 부품수가 많아져 원가 상승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기에서 다양한 기능 동작을 위해 구비되는 각각의 키버튼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최소한의 부품으로 최대한의 기능 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양한 기능 동작을 위해 구비되는 각각의 키버튼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최소한의 부품으로 최대한의 기능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각각의 기능 동작과 연관된 키버튼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각각의 기능 동작과 연관된 키버튼들을 하나의 키버튼으로 통합하여, 디자인을 심플하게 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동작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는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키 모듈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키 모듈부가 위치하는 상기 측면 내 지점과, 상기 지점과 관련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모드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은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키 모듈부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위치하는 상기 측면 내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지점과 관련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기능 동작을 위해 구비되는 각각의 키버튼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최소한의 부품으로 최대한의 기능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기능 동작과 연관된 키버튼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기능 동작과 연관된 키버튼들을 하나의 키버튼으로 통합하여, 디자인을 심플하게 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400)에는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단일의 키 모듈부(410)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기(400)는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키 모듈부(410)가 위치하는 케이스의 측면 내 지점과 관련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400)에서는 종래 다양한 기능 동작과 연관되어 구비된 각각의 키버튼들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단일의 키 모듈부(410)로 통합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400)는 단말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키 모듈부(410)가 위치하는 측면 내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식별하여, 식별된 모드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함으로써, 단일의 키 모듈부(410)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최소한의 부품으로 최대한의 기능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는 데이터베이스(210), 키 모듈부(220), 모드 식별부(230), 및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키 모듈부(200)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기능을 하며, 키 모듈부(200)는 자성체(221)와, 상방향키 및 하방향키로 구성된 조작키(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키 모듈부(22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모듈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기(200)의 좌 또는 우 측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단일의 사이드 키(508)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는 하드웨어인 메인 PCB(501)와, 상기 사이드 키(508)에 포함된 자성체(509)를 감지하는 자성 센서들(502, 503, 504)과, 키 FPCB(505)와, 돔 쉬트(506), 및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PC 쉬트(50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모듈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의 좌 또는 우 측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단일의 사이드 키(60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키(600)의 중심부에는 자성체(630)가 포함되며, 도 5에 도시된 자성 센서들(502, 503, 504)은 상기 자성체(630)를 감지하여, 상기 사이드 키(600)의 현재 위치, 다시 말해, 상기 사이드 키(600)가 케이스의 측면에서 슬라이딩이 정지한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키(600)는 상방향키(610) 및 하방향키(620)로 구성된 조작키(222)를 포함하며, 단말 사용자의 상방향키(610) 또는 하방향키(620)에 대한 푸쉬 조작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는 상기 사이드 키(600)가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된 측면 내 지점과 연관되는 모드 정보에 따라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는 케이스의 측면에서 상기 사이드 키(600)의 위치가 정확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윗부분(710)과 케이스의 아랫부분(720)에 복수의 고정 구조물(73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식별부(230)는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키 모듈부(220)가 위치하는 상기 측면 내 지점과, 상기 지점과 관련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모드 식별부(230)는 상기 측면 내 각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키 모듈부(220)에 포함되는 자성체(221)를 제1 감지하는 자성 센서(231), 및 상기 제1 감지가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제2 감지하여 상기 키 모듈부(220)가 지점에 위치함을 확인하는 시간 센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데이터베이스(210)는 케이스의 측면 내 지점 별로 모드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할 수 있으며, 상기 모드 식별부(230)는 상기 슬라이딩이 정지한 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된 모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데이터베이스(2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의 대기상태에서 전면터치로 인한 오동작 방지를 위한 '잠금 모드'를, 모드 정보로서 케이스의 측면 내 '제1 지점'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상기 잠금 모드는 키 모듈부(220)가 케이스의 측면 내 제1 지점에 위치할 경우, 홀드 어플리케이션(hold application) 구동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홀드 어플리케이션에서 '대기상태의 화면 표시'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상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잠금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키 모듈부(220)의 상방향키를 조작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홀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대기상태에서 전면터치로 인한 오동작 방지를 위해 잠금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220)의 상방향키를 조작 함으로써 대기상태의 화면(예컨대, 날짜, 시간, 배터리 상태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데이터베이스(210)는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하방향키'를 이용한 홀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세부 제어를 추가로 등록할 수도 있고, 잠금 모드 구현을 위해 추가 등록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른 일례로, 데이터베이스(2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의 통화중 상태에서 스피커 음량 조절을 위한 '볼륨 모드'를, 모드 정보로서 케이스의 측면 내 '제2 지점'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상기 볼륨 모드는 키 모듈 부(220)가 케이스의 측면 내 제2 지점에 위치할 경우, 볼륨 어플리케이션(volume application) 구동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볼륨 어플리케이션에서 '스피커 음량 크기 1 증가'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상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하고, '스피커 음량 크기 1 감소'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하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볼륨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키 모듈부(220)의 상방향키를 조작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스피커 음량 크기를 상방향키가 조작된 횟수만큼 증가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220)의 하방향키를 조작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스피커 음량 크기를 하방향키가 조작된 횟수만큼 감소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통화중 상태에서 볼륨 조절을 위한 메뉴 화면 진입이 어려운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220)의 상방향키 또는 하방향키와 같은 조작키(222)를 조작 함으로써 통화 음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가 통화 호 수신 상태일 경우, 키 모듈부(220)가 케이스의 측면 내 제2 지점으로 이동 함에 따라, 볼륨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구동된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통화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는 통화 호 수신 상태에서 통 화중 상태로 자동 변경될 수 있으며, 통화중 상태에서 스피커 음량 조절을 위한 '볼륨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데이터베이스(2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의 카메라 구동 상태에서 이미지 생성을 위한 '촬영 모드'를, 모드 정보로서 케이스의 측면 내 '제3 지점'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상기 촬영 모드는 키 모듈부(220)가 케이스의 측면 내 제3 지점에 위치할 경우, 촬영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촬영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 생성'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상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하고, '생성된 이미지 화면에 표시'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하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참고로, 데이터베이스(210)는 촬영 어플리케이션에서 '전면(前面)'에 대한 이미지 생성인지, 또는 '후면(後面)'에 대한 이미지 생성인지를 설정하는 세부 제어를, 상기 '상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단말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촬영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키 모듈부(220)의 상방향키를 조작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이미지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키 모듈부(220)의 상방향키를 조작 함으로써, 전후면(前後面) 이미지 촬영을 변경시키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는,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 부(220)의 하방향키를 조작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촬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퀵뷰, quick view)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카메라 구동 상태에서 이미지 생성/표시/전후면 촬영 변경 등이 어려운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220)의 상방향키 또는 하방향키와 같은 조작키(222)를 조작 함으로써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전후면 촬영을 변경하거나, 또는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가 측면 내 제1 지점에 위치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모드 식별부(230)는 자성 센서(231)를 이용하여 키 모듈부(810)에 포함된 자성체(221)의 위치(즉, 키 모듈부(810)의 위치)를, 케이스의 측면 내 제1 지점으로 확인한 경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상기 제1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잠금 모드'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정보를 '잠금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상기 '잠금 모드' 설정을 위한 홀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810)에 포함되는 조작키(811, 812)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홀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잠금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810)의 상방향키(811)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홀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대기상태에서 전면터치로 인한 오동작 방지를 위해 잠금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810)의 상방향키(811)를 조작 함으로써 대기상태의 화면(예컨대, 날짜, 시간, 배터리 상태)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하방향키(812)를 이용한 홀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세부 제어가 데이터베이스(210)에 추가로 등록되지 않을 경우, 하방향키(812)가 조작되는 경우에도 잠금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가 측면 내 제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모드 식별부(230)는 키 FPCB에 삽입되어 있는 자성 센서(231)를 통해,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자성체(221)의 위치(즉, 측면 내 제1 지점)를 감지하여,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를 대기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키 모듈부(220)의 하방향키는 케이스의 윗부분(710)과 케이스의 아랫부분(720)에 의해 홀드(hold) 되어 있으며, 키 모듈부(220)의 상방향키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가 측면 내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일례로, 모드 식별부(230)는 자성 센서(231)를 이용하여 키 모듈부(810)에 포함된 자성체(221)의 위치(즉, 키 모듈부(1010)의 위치)를, 케이스의 측면 내 제2 지점으로 확인한 경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상기 제2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볼륨 모드'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정보를 '볼륨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상기 '볼륨 모드' 설정을 위한 볼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1010)에 포함되는 조작키(1011, 1012)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스피커 음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상기 볼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볼륨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1010)의 상방향키(1011)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스피커 음량 크기를 상방향키(1011)가 조작된 횟수만큼 증가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1010)의 하방향키(1012)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스피커 음량 크기를 하방향키(1012)가 조작된 횟수만큼 감소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통화중 상태에서 볼륨 조절을 위한 메뉴 화면 진입이 어려운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1010)의 상방향키(1011) 또는 하방향키(1012)와 같은 조작키(222)를 조작 함으로써 통화 음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가 통화 호 수신 상태일 경우, 키 모듈부(1010)가 케이스의 측면 내 제2 지점으로 이동 함에 따라, 볼륨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구동된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통화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는 통화 호 수신 상태에서 통화중 상태로 자동 변경될 수 있으며, 통화중 상태에서 스피커 음량 조절을 위한 '볼륨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가 측면 내 제3 지점으로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다른 일례로, 모드 식별부(230)는 자성 센서(231)를 이용하여 키 모듈부(810)에 포함된 자성체(221)의 위치(즉, 키 모듈부(810)의 위치)를, 케이스의 측면 내 제3 지점으로 확인한 경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상기 제3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촬영 모드'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정보를 '촬영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상기 '촬영 모드' 설정을 위한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220)에 포함되는 조작키(222)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촬영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1110)의 상방향키(1111)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촬영 어플리케이 션을 제어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전후면(前後面) 이미지 촬영을 변경시키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1110)의 하방향키(1112)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촬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카메라 구동 상태에서 이미지 생성/표시/전후면 촬영 변경 등이 어려운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1110)의 상방향키(1111) 또는 하방향키(1112)와 같은 조작키(222)를 조작 함으로써 손쉽게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전후면 촬영을 변경하거나, 또는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에서는 종래 다양한 기능 동작과 연관되어 구비된 각각의 키버튼들을,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단일의 키 모듈부로 통합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는 단말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키 모듈부가 위치하는 측면 내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식별하여, 식별된 모드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함으로써, 단일의 키 모듈부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최소한의 부품으로 최대한의 기능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기능 동작과 연관된 키버튼들을 하나로 통합 함에 따라, 부품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기능 동작과 연관된 키버튼들을 하나의 키버튼으로 통합하여, 디자인을 심플하게 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도 12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도 12를 설명하여 발명의 이해를 도모한다.
단계 S1210에서 이동 단말기기는 케이스의 측면 내 지점 별로 모드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한다.
일례로, 데이터베이스(2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의 대기상태에서 전면터치로 인한 오동작 방지를 위한 '잠금 모드'를, 모드 정보로서 케이스의 측면 내 '제1 지점'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홀드 어플리케이션에서 '대기상태의 화면 표시'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상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데이터베이스(2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의 통화중 상태에서 스피커 음량 조절을 위한 '볼륨 모드'를, 모드 정보로서 케이스의 측면 내 '제2 지점'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볼륨 어플리케이션에서 '스피커 음량 크기 1 증가'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상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하고, '스피커 음량 크기 1 감소'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하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데이터베이스(2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의 카메라 구동 상태에서 이미지 생성을 위한 '촬영 모드'를, 모드 정보로서 케이스의 측면 내 '제3 지점'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촬영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미지 생성'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상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하고, '생성된 이미지 화면에 표시'에 관한 세부 제어를,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하방향키'에 대응하여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1220에서 이동 단말기기는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기 키 모듈부(220)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위치하는 상기 측면 내 지점을 확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키 모듈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의 좌 또는 우 측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한 단일의 사이드 키(60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키(600)의 중심부에는 자성체(630)가 포함되며, 도 5에 도시된 자성 센서들(502, 503, 504)은 상기 자성체(630)를 감지하여, 상기 사이드 키(600)의 현재 위치, 다시 말해, 상기 사이드 키(600)가 케이스의 측면에서 슬라이딩이 정지한 지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식별부(230)는 상기 측면 내 각 지점에 구비되는 자성 센서(231)를 통해 상기 키 모듈부(220)에 포함되는 자성체(221)를 제1 감지하고, 시간 센서(232)를 통해 상기 제1 감지가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제2 감지하여 키 모듈부(220)가 측면 내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1230에서 이동 단말기기는 상기 확인된 측면 내 지점과 관련한 모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식별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드 식별부(230)는 자성 센서(231)를 이용하여 키 모듈부(810)에 포함된 자성체(221)의 위치(즉, 키 모듈부(810)의 위치)를, 케이스의 측면 내 제1 지점으로 확인한 경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상기 제1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잠금 모드'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모드 식별부(230)는 자성 센서(231)를 이용하여 키 모듈부(810)에 포함된 자성체(221)의 위치(즉, 키 모듈부(1010)의 위치)를, 케이스의 측면 내 제2 지점으로 확인한 경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상기 제2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볼륨 모드'로 식별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모드 식별부(230)는 자성 센서(231)를 이용하여 키 모듈부(810)에 포함된 자성체(221)의 위치(즉, 키 모듈부(810)의 위치)를, 케이스의 측면 내 제3 지점으로 확인한 경우,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상기 제3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촬영 모드'로 식별할 수 있다.
단계 S1240에서 이동 단말기기는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정보를 '잠금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상기 '잠금 모드' 설정을 위한 홀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810)에 포함되는 조작키(811, 812)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홀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잠금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어 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810)의 상방향키(811)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홀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대기상태에서 전면터치로 인한 오동작 방지를 위해 잠금 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810)의 상방향키(811)를 조작 함으로써 대기상태의 화면(예컨대, 날짜, 시간, 배터리 상태 등)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키 모듈부(220)에 포함된 조작키 중 하방향키(812)를 이용한 홀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세부 제어가 데이터베이스(210)에 추가로 등록되지 않을 경우, 하방향키(812)가 조작되는 경우에도 잠금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정보를 '볼륨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상기 '볼륨 모드' 설정을 위한 볼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1010)에 포함되는 조작키(1011, 1012)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스피커 음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상기 볼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볼륨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1010)의 상방향키(1011)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스피커 음량 크기를 상방향키(1011)가 조작된 횟수만큼 증가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1010)의 하방향키(1012)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 기(200)에서 구동되는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스피커 음량 크기를 하방향키(1012)가 조작된 횟수만큼 감소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통화중 상태에서 볼륨 조절을 위한 메뉴 화면 진입이 어려운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1010)의 상방향키(1011) 또는 하방향키(1012)와 같은 조작키(222)를 조작 함으로써 통화 음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200)가 통화 호 수신 상태일 경우, 키 모듈부(1010)가 케이스의 측면 내 제2 지점으로 이동 함에 따라, 볼륨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고, 구동된 볼륨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동으로 통화연결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는 통화 호 수신 상태에서 통화중 상태로 자동 변경될 수 있으며, 통화중 상태에서 스피커 음량 조절을 위한 '볼륨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정보를 '촬영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상기 '촬영 모드' 설정을 위한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220)에 포함되는 조작키(222)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가 촬영 모드로 식별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1110)의 상방향키(1111)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전후면(前後面) 이미지 촬영을 변경시 키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240)는 키 모듈부(1110)의 하방향키(1112)가 단말 사용자에 의해 조작 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200)에서 구동되는 촬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세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카메라 구동 상태에서 이미지 생성/표시/전후면 촬영 변경 등이 어려운 경우에도, 단말 사용자는 키 모듈부(1110)의 상방향키(1111) 또는 하방향키(1112)와 같은 조작키(222)를 조작 함으로써 손쉽게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전후면 촬영을 변경하거나, 또는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에서는 종래 다양한 기능 동작과 연관되어 구비된 각각의 키버튼들을,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단일의 키 모듈부로 통합하여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기는 단말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키 모듈부가 위치하는 측면 내 지점과 연관된 모드 정보를 식별하여, 식별된 모드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구동 함으로써, 단일의 키 모듈부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최소한의 부품으로 최대한의 기능 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기능 동작과 연관된 키버튼들을 하나로 통합 함에 따라, 부품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기능 동작과 연관된 키버튼들을 하나의 키버튼으로 통합하여, 디자인을 심플하게 하면서도 다양한 기능이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 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단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가 측면 내 제1 지점에 위치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가 측면 내 제1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가 측면 내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의 키 모듈부가 측면 내 제3 지점으로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이동 단말기기
210: 데이터베이스
220: 키 모듈부
221: 자성체
222: 조작키
230: 모드 식별부
231: 자성 센서
232: 시간 센서
24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Claims (12)

  1.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키 모듈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키 모듈부가 위치하는 상기 측면 내 지점과, 상기 지점과 관련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모드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내 지점 별로 모드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식별부는,
    상기 슬라이딩이 정지한 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식별부는,
    상기 측면 내 각 지점에 구비되어, 상기 키 모듈부에 포함되는 자성체를 제1 감지하는 자성 센서; 및
    상기 제1 감지가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제2 감지하여 상기 키 모듈부가 지점에 위치함을 확인하는 시간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잠금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상기 '잠금 모드' 설정을 위한 홀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에 포함되는 조작키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홀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볼륨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상기 '볼륨 모드' 설정을 위한 볼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에 포함되는 조작키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스피커 음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상기 볼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촬영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는,
    상기 '촬영 모드' 설정을 위한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키 모듈부에 포함되는 조작키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7. 케이스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키 모듈부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위치하는 상기 측면 내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지점과 관련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내 지점 별로 모드 정보를 대응시켜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된 지점과 관련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슬라이딩이 정지한 지점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드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에 의해 위치하는 상기 측면 내 지점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측면 내 각 지점에 구비되는 자성 센서를 통해, 상기 키 모듈부에 포함되는 자성체를 제1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성 센서와 연관된 시간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감지가 설정된 유효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제2 감지하여 상기 키 모듈부가 지점에 위치함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잠금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모드' 설정을 위한 홀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키 모듈부에 포함되는 조작키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대기상태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홀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볼륨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볼륨 모드' 설정을 위한 볼륨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키 모듈부에 포함되는 조작키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스피커 음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상기 볼륨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정보를 '촬영 모드'로 식별하는 경우,
    상기 식별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 모드' 설정을 위한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단계; 및
    상기 키 모듈부에 포함되는 조작키와 연관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상응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생성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촬영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KR1020090007369A 2009-01-30 2009-01-30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KR20100088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369A KR20100088263A (ko) 2009-01-30 2009-01-30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US12/689,069 US20100197342A1 (en) 2009-01-30 2010-01-18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369A KR20100088263A (ko) 2009-01-30 2009-01-30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263A true KR20100088263A (ko) 2010-08-09

Family

ID=4239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369A KR20100088263A (ko) 2009-01-30 2009-01-30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197342A1 (ko)
KR (1) KR2010008826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788A3 (ko) * 2010-08-26 2012-04-19 Kang Dong-Koo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는 입력방법
KR101245922B1 (ko) * 2011-01-20 2013-03-20 김덕승 프로그램 자동 실행용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무터치 방식의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US9521232B2 (en) 2010-11-23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0755B2 (en) * 2013-06-14 2016-01-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witch assembly for a mobile device
EP2999213A1 (en) * 2013-08-23 2016-03-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image playback apparatus and method
WO2022034941A1 (ko) * 2020-08-12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1360A (en) * 1994-09-22 1995-10-24 Guim; Raul Key sensor alarm for door locks
JP2001352380A (ja) * 2000-06-08 2001-12-21 Minolta Co Ltd 携帯端末
JP2002007016A (ja) * 2000-06-21 2002-01-11 Pioneer Electronic Corp 携帯情報端末機
JP4082188B2 (ja) * 2002-11-20 2008-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交通車両利用案内システム、交通車両利用案内方法及び交通車両利用案内プログラム
KR100844072B1 (ko) * 2007-06-20 2008-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26788A3 (ko) * 2010-08-26 2012-04-19 Kang Dong-Koo 한쪽 손의 모든 손가락을 사용하는 입력방법
US9521232B2 (en) 2010-11-23 2016-1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US9838524B2 (en) 2010-11-23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obile terminal
KR101245922B1 (ko) * 2011-01-20 2013-03-20 김덕승 프로그램 자동 실행용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액정 무터치 방식의 프로그램 자동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7342A1 (en) 201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01551B1 (en) Electronic device for identifying touch
US9571630B2 (en) Mobile terminal
US8078232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US9600163B2 (en) Mobile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US114746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 sensing
US9538681B2 (en) Mobile terminal
KR20100088263A (ko) 이동 단말기기 및 이동 단말기기 제어 방법
EP36867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interface
KR200901073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제어방법
KR20100028862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KR2009002400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의 터치 인식 방법
JP5629180B2 (ja) 携帯端末装置
EP3598724B1 (en) Front assembly sliding structure, and terminal having same
US9473605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displaying status of electronic device
KR101468304B1 (ko) 단말기 케이스,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어셈블리
EP3343884A1 (en) Mobile terminal
CN108829532B (zh) 指纹检测的方法、装置和可读存储介质
KR2010012497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의 이동 단말기
EP3809401A1 (en) Display control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7530430A (ja) モバイル支払方法および装置
KR20100050102A (ko) 맵과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CN112134992B (zh) 终端设备及其控制方法
JP5709565B2 (ja) 携帯端末装置
CN111538450B (zh) 主题背景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10013286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스처 입력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