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777B1 -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777B1
KR101196777B1 KR1020090108700A KR20090108700A KR101196777B1 KR 101196777 B1 KR101196777 B1 KR 101196777B1 KR 1020090108700 A KR1020090108700 A KR 1020090108700A KR 20090108700 A KR20090108700 A KR 20090108700A KR 101196777 B1 KR101196777 B1 KR 101196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vehicle
touch
pair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888A (ko
Inventor
강석호
한정영
Original Assignee
한정영
강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영, 강석호 filed Critical 한정영
Priority to KR102009010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67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with locking and release means, e.g. providing parking brake appl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한 두번 밟는 작동에 따라 차량의 파킹상태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간편성을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너의 일단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나사부와, 일단은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제1원형고리가 형성되며, 타단은 타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체와, 일단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체결되는 제1수나사 돌기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2나사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수나사 돌기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수나사 돌기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조절부;와, 일단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암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체의 제1원형고리에 억지끼움되는 홀더;와, 상기 원통 브라켓트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제2원형고리;와, 일단은 상기 제2원형고리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 형상의 제1연결고리가 형성되며, 타단면은 평평한 평면을 갖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자동차 양산하는 조립과정뿐만 아니라 현재 운행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일반인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108700
원터치 방식, 자동브레이크, 범용성, 홀더, 고정패널, 조절볼트

Description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A vehicle automatic brake device of the method which is established easily to one touch}
본 발명은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양산하는 조립과정뿐만 아니라 현재 운행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일반인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주정차시 차량의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주차브레이크인 파킹브레이크가 장착되어있으며, 이러한 파킹브레이크는 차량의 한정된 실내공간에서 보다 넓은 실내공간 및 파킹브레이크의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되는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등록번호:10-0380932)"가 제안되었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3)(등록번호:10-0380932)"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연결되어 아우터(4)내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인너(5)와, 이 인너(5)의 자유단에 형성된 선단톱니부(6)를 관통하여 링(7)을 매개로 끼워 장착되면서 상기 아우터(4)의 장홈(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로우터(9), 이 로우터(9)에 부세력을 부여하여 인너(5)와 로우터(9)를 결합시키는 탄발스프링(10), 상기 인너(5)를 감싸면서 원통 브라켓트(11)에 연결되고 여러개의 장홈(8)과 삼각형 단홈(12)들이 형성된 아우터(4) 및, 이 아우터(4)를 감싸면서 본체(13)와 힌지(14)연결되는 원통 브라켓트(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3)(등록번호:10-0380932)"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결합 고정되는 구조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일단은 인너(5)를 통하여 브레이크 페달(1)의 암(2)과 결합 고정되며, 타단은 원통 브라켓트(11)의 끝단에 형성된 힌지(14)를 통하여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결합고정되는 본체(13)에 힌지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결합고정되는 본체(13)는, 차량의 실내와 엔진룸을 격리하는 대시보드(17:Dashboard)를 기준으로 자동차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조작하기 어려운 엔진룸이 안치되는 공간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3)(등록번호:10-0380932)"의 구조나 설치되는 위치를 보면, 자동차 양산하는 조립과정에서 전문가에 의해서 설치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으므로, 현재 운행되고 있는 자동차에 일반인 장착하기에는 매우 어렵고, 장착하더라도 자동차를 전문적으로 조작하는 전문가에 의해서 장착해야함으로 소요시간 및 비용의 지출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품으로써 범용성을 낮추게 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 양산하는 조립과정뿐만 아니라 현재 운행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일반인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는 아우터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인너와, 이 인너의 자유단에 형성된 선단톱니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면서 상기 아우터의 장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로우터와, 이 로우터에 부세력을 부여하여 인너와 로우터를 결합시키는 탄발스프링과, 상기 인너를 감싸면서 원통 브라켓트에 연결되고 여러개의 장홈과 삼각형 단홈들이 형성된 아우터와, 이 아우터를 감싸는 원통 브라켓트과, 상기 아우터의 장홈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인너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측면안내돌기 및 상기 인너의 선단톱니부와 맞물려 접촉되되, 상기 선단톱니부의 경사면들을 따라 비스듬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로우터의 밀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한번, 두번 밟는 동작에 따라 차량의 파킹상태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간편성을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너의 일단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나사부와, 일단은 내부에 구멍이 형성된 제1원형고리가 형성되며, 타단은 타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되는 연결체와, 일단에는 상기 제1나사부와 체결되는 제1수나사 돌기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2나사부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수나사 돌기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수나사 돌기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가 형성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조절부;와, 일단에는 브레이크 페달의 암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체의 제1원형고리에 억지끼움되는 홀더;와, 상기 원통 브라켓트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는 제2원형고리;와, 일단은 상기 제2원형고리에 억지끼움되도록 반원체 형상의 제1연결고리가 형성되며, 타단면은 평평한 평면을 갖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고정판부의 타단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또는 상기 고정판부의 타단면에 접착되는 박리지가 형성된 접착테이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더는 내부에 제1삽입 홈을 갖는 "ㄷ"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된 한 쌍의 제1조절공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체의 제1원형고리의 구멍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의 제2연결고리가 형성되되, 상기 제1조절공의 내주면에는 나사 산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제1고정부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결합 홈과, 상기 한 쌍의 제1결합 홈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고정패널과, 상기 한 쌍의 제1조절공에 각각 삽입되어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조절공에 형성된 나사 산과 대응되는 나사 산이 형성되는 조절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 홀더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갖는 제1측면판부와, 상기 제1측면판부 하부에 수직되게 연장되는 바닥판부와, 상기 바닥판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송 홈과, 상기 바닥판부와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이송 홈을 타고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이송돌기가 형성된 제2측면판부로 구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내부에 제2삽입 홈이 형성되는 "ㄷ"형상을 갖는 제2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의 제1원형고리의 구멍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의 제3연결고리와, 상기 제1측면판부와 제2측면판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조절공과, 상기 제1측면판부와 제2측면판부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결합 홈과, 상기 한 쌍의 제2결합 홈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고정패널과, 상기 한 쌍의 제2조절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측면판부를 견고히 결속하는 결속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고정패널은 고무 또는 섬유재질의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 양산하는 조립과정뿐만 아니라 현재 운행되고 있는 차량에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 일반인도 간편히 조 립 장착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길이조절부의 조절나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체길이를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길이조절부의 조절나사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체길이를 늘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를,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100)는, 아우터(4)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인너(5)와, 이 인너(5)의 자유단에 형성된 선단톱니부(6)를 관통하여 장착되면서 상기 아우터(4)의 장홈(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로우터(9)와, 이 로우터(9)에 부세력을 부여하여 인너(5)와 로우터(9)를 결합시키는 탄발스프링(10)과, 상기 인너(5)를 감싸면서 원통 브라켓트(11)에 연결되고 여러개의 장홈(8)과 삼각형 단홈(12)들이 형성된 아우터(4)와, 이 아우터(4)를 감싸는 원통 브라켓트(11)과, 상기 아우터(4)의 장홈(8)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인너(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측면안내돌기(15) 및 상기 인너(5)의 선단톱니부(6)와 맞물려 접촉되되, 상기 선단톱니부(6)의 경사면들을 따라 비스듬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로우터(9)의 밀대돌기(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한번, 두번 밟는 동작에 따라 차량의 파킹상태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간편성을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길이조절부(110)와, 홀더(120)와, 제2원형고리(130)와, 고정판부(140)와, 접착부재(15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110)는 상기 인너(5)의 일단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나사부(111)와, 일단은 내부에 구멍(112a')이 형성된 제1원형고리(112a)가 형성되며, 타단은 타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나사부(112b)가 형성되는 연결체(112)와, 일단에는 상기 제1나사부(111)와 체결되는 제1수나사 돌기(113a)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2나사부(112b)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수나사 돌기(113b)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수나사 돌기(113a,113b)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113c)가 형성되는 조절나사(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길이조절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100)의 전체길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나사(113)를 시계방향이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조절나사(113)의 수나사 돌기(113a,113b)가 상기 제1,2나사부(111,112b)에 삽입되거나 삽출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길이로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조절나사(113)의 회전돌기(113c)는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육각 기둥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20)는 일단에는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체(112)의 제1원형고리(112a)에 억지끼움되는 것으로,
내부에 제1삽입 홈(121a)을 갖는 "ㄷ"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된 한 쌍의 제1조절공(121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체(112)의 제1원형고리(112a)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의 제2연결고리(121c)가 형성되되, 상기 제1조절공(121b)의 내주면에는 나사 산(121b')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121)와, 상기 제1고정부(121)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결합 홈(122)과, 상기 한 쌍의 제1결합 홈(122)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고정패널(123)과, 상기 한 쌍의 제1조절공(121b)에 각각 삽입되어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조절공(121b)에 형성된 나사 산(121b')과 대응되 는 나사 산(124a)이 형성되는 조절볼트(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20)의 제1삽입 홈(121a)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삽입되도록 한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121)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조절볼트(124)를 회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1고정패널(123)이 상기 암(2)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고정패널(123)을 압착함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상기 홀더(120)의 내부에서 견고히 결속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패널(123)은 상기 홀더(120)의 양 내측면에 각각 접착되어 견고히 결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 쌍의 고정패널(123)은 브레이크 페달(1)의 암(2)과 접촉되어 상호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마찰력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견고하게 결속하는 것으로,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섬유재질의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여, 상기 홀더(120)의 제1삽입 홈(121a)에 삽입되는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상기 고정패널(123)의 높은 마찰력으로 견고히 결속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원형고리(130)는 상기 원통 브라켓트(1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멍(131)이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부(140)는 일단은 상기 제2원형고리(130)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 형상의 제1연결고리(141)가 형성되며, 타단면은 평평한 평면(142)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판부(140)의 타단면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시보드(17)의 평평한 평면에 용이하게 접촉되도록 평평한 평판(142)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부재(150)는 상기 고정판부(140)의 타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부(140)가 상기 대시보드(17)에 견고히 접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판부(140)의 타단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또는 상기 고정판부(140)의 타단면에 접착되는 박리지가 형성된 접착테이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100)의 접착부재(150)로 강력접착제로 사용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상기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100)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이므로 일반인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자동차 양산하는 조립과정에서도 간단히 장착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갖는 제1측면판부(211)와, 상기 제1측면판부(211) 하부에 수직되게 연장되는 바닥판부(212)와, 상기 바닥판부(2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송 홈(213)과, 상기 바닥판부(212)와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부(211)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이송 홈(213)을 타고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이송돌기(214a)가 형성된 제2측면판부(214)로 구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내부에 제2삽입 홈(215)이 형성되는 "ㄷ"형상을 갖는 제2고정부(210)와, 상기 제2고정부(210)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112)의 제1원형고리(112a)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의 제3연결고리(220)와, 상기 제1측면판부(211)와 제2측면판부(214)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조절공(230)과, 상기 제1측면판부(211)와 제2측면판부(214)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결합 홈(240)과, 상기 한 쌍의 제2결합 홈(240)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고정패널(250)과, 상기 한 쌍의 제2조절공(2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볼트(261)와, 상기 볼트(261)에 체결되는 너트(262)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측면판부(211,214)를 견고히 결속하는 결속체(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홀더(120)는 상기 제2측면판부(214)가 상기 이송 홈(213)을 타고 좌·우 슬라이드 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상기 제2측면판부(214)의 좌·우 이송에 의해 상기 홀더(120)의 제2삽입 홈(215)의 간격조절이 용이하여 상기 홀더(12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브레이크 페달(1) 암(2) 두께에 적절히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20)의 제2삽입 홈(215)에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삽입되도록 한 후,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측면판부(214)를 이송하여 상기 암(2)이 압착되도록 형성하고,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261)가 상기 제2조절공(230)을 관통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볼트(261)를 너트(262)로 결속하여 상기 제2측면판부(230)가 상기 암(2)을 압착하도 록 함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상기 홀더(120)의 내부에서 견고히 결속되어 고정되도록 작용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패널(211,214)은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섬유재질의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1) 암(2)에 장착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200)의 제1삽입 홈(121a)에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런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20) 내부에 삽입된 암(2)이 견고히 결속되도록, 상기 홀더(120)의 양측에 형성된 조절볼트(124)를 회동한다.
그러면, 상기 조절볼트(124)가 조이면서 상기 홀더(120)의 내부에 형성된 제1고정패널(123)이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에 밀착되어, 상기 암(2)을 상기 홀더(120) 내부에 견고히 결속하게 된다.
그런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조절부(110)를 통해서 본 발명의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100)의 전체길이를 적절히 조절한다.
그런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부(140)의 타단면이 대시보드(15)의 평판에 접촉되도록 위치시키며, 이때 상기 고정판부(140)의 타단면에 도포된 강력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고정판부(140)와 대시보드(17)가 강력한 접착력으로 서로 견고히 접착되도록 하여, 제품의 장착을 완료한다.
즉,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100)는 일반인도 간편히 조립 장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자동차 양산하는 조립과정에서도 간단히 장착할 수 있어 제품의 범용성을 확보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던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길이조절부의 조절나사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체길이를 줄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길이조절부의 조절나사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전체길이를 늘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홀더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브레이크 페달 2. 암
3.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
4. 아우터 5. 인너
6. 선단톱니부 7. 링
8. 장홈 9. 로우터
10. 탄발스프링 11. 원통 브라켓트
12. 단홈 13. 본체
14. 힌지 15. 측면안내돌기
16. 밀대돌기 17. 대시보드
100.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110. 길이조절부 111. 제1나사부
112. 연결체 112a. 제1원형고리
112a', 131. 구멍 112b. 제2나사부
113. 조절나사 113a. 제1수나사 돌기
113b. 제2수나사 돌기 113c. 회전돌기
120. 홀더
121. 제1고정부 121a. 제1삽입 홈
121b. 제1조절공 121b', 124a. 나사산
121c. 제2연결고리 122. 제1결합 홈
123. 제1고정패널 124. 조절볼트
130. 제2원형고리 140. 고정판부
141. 제1연결고리 142. 평면
150. 접착부재 210. 제2고정부
211. 제1측면판부 212. 바닥판부
213. 이송 홈 214. 제2측면판부
214a. 이송돌기 215. 제2삽입 홈
220. 제3연결고리 230. 제2조절공
240. 제2결합 홈 250. 제2고정패널
260. 결속체 261. 볼트
262. 너트

Claims (6)

  1. 아우터(4)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되는 인너(5)와, 이 인너(5)의 자유단에 형성된 선단톱니부(6)를 관통하여 장착되면서 상기 아우터(4)의 장홈(8)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로우터(9)와, 이 로우터(9)에 부세력을 부여하여 인너(5)와 로우터(9)를 결합시키는 탄발스프링(10)과, 상기 인너(5)를 감싸면서 원통 브라켓트(11)에 연결되고 여러개의 장홈(8)과 삼각형 단홈(12)들이 형성된 아우터(4)와, 이 아우터(4)를 감싸는 원통 브라켓트(11)과, 상기 아우터(4)의 장홈(8)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인너(5)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측면안내돌기(15) 및 상기 인너(5)의 선단톱니부(6)와 맞물려 접촉되되, 상기 선단톱니부(6)의 경사면들을 따라 비스듬하게 접촉되도록 하는 로우터(9)의 밀대돌기(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한번, 두번 밟는 동작에 따라 차량의 파킹상태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간편성을 가지는 원터치 방식의 제동페달 파킹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너(5)의 일단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나사부(111)와,
    일단은 내부에 구멍(112a')이 형성된 제1원형고리(112a)가 형성되며, 타단은 타단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2나사부(112b)가 형성되는 연결체(112)와,
    일단에는 상기 제1나사부(111)와 체결되는 제1수나사 돌기(113a)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제2나사부(112b)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2수나사 돌기(113b)가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상기 수나사 돌기(113a,113b)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돌기(113c)가 형성되는 조절나사(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조절부(110);
    일단에는 브레이크 페달(1)의 암(2)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체(112)의 제1원형고리(112a)에 억지끼움되는 홀더(120);
    상기 원통 브라켓트(1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구멍(131a)이 형성되는 제2원형고리(130);
    일단은 상기 제2원형고리(130)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 형상의 제1연결고리(141)가 형성되며, 타단면은 평평한 평면(142)을 갖는 고정판부(140); 및
    상기 고정판부(142)의 끝단면에 형성되는 접착부재(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착부재(150)는 상기 고정판부(140)의 타단면에 도포되는 접착제 또는 상기 고정판부(140)의 타단면에 접착되는 박리지가 형성된 접착테이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20)는,
    내부에 제1삽입 홈(121a)을 갖는 "ㄷ" 형상을 가지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된 한 쌍의 제1조절공(121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체(112)의 제1원형고리(112a)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의 제2연결고리(121c)가 형성되되, 상기 제1조절공(121b)의 내주면에는 나사 산(121b')이 형성되는 제1고정부(121)와,
    상기 제1고정부(121)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결합 홈(122)과,
    상기 한 쌍의 제1결합 홈(122)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고정패널(123)과,
    상기 한 쌍의 제1조절공(121b)에 각각 삽입되어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제1조절공(121b)에 형성된 나사 산(121b')과 대응되는 나사 산(124a)이 형성되는 조절볼트(1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1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을 갖는 제1측면판부(211)와, 상기 제1측면판부(211) 하부에 수직되게 연장되는 바닥판부(212)와, 상기 바닥판부(212)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송 홈(213)과, 상기 바닥판부(212)와 수직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부(211)와 대향되게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이송 홈(213)을 타고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이송돌기(214a)가 형성된 제2측면판부(214)로 구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내부에 제2삽입 홈(215)이 형성되는 "ㄷ"형상을 갖는 제2고정부(210)와,
    상기 제2고정부(210)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체(112)의 제1원형고리(112a)에 억지끼움되는 반원체의 제3연결고리(220)와,
    상기 제1측면판부(211)와 제2측면판부(214)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2조절공(230)과,
    상기 제1측면판부(211)와 제2측면판부(214)의 양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되,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결합 홈(240)과,
    상기 한 쌍의 제2결합 홈(240)에 삽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고정패널(250)과,
    상기 한 쌍의 제2조절공(23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볼트(261)와, 상기 볼트(261)에 체결되는 너트(262)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측면판부(211,214)를 견고히 결속하는 결속체(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 2 항을 인용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패널(123)은 고무 또는 섬유재질의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청구항 제 3 항을 인용하는 경우 상기 제2고정패널(250)은 고무 또는 섬유재질의 패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90108700A 2009-11-11 2009-11-11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KR101196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700A KR101196777B1 (ko) 2009-11-11 2009-11-11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8700A KR101196777B1 (ko) 2009-11-11 2009-11-11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88A KR20110051888A (ko) 2011-05-18
KR101196777B1 true KR101196777B1 (ko) 2012-11-05

Family

ID=44362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700A KR101196777B1 (ko) 2009-11-11 2009-11-11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67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836A (ja) 1999-05-20 2000-11-28 Honda Motor Co Ltd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レバーのロック装置
KR100805637B1 (ko) 2007-06-19 2008-02-20 정호순 주차 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6836A (ja) 1999-05-20 2000-11-28 Honda Motor Co Ltd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レバーのロック装置
KR100805637B1 (ko) 2007-06-19 2008-02-20 정호순 주차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888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0997A2 (de) Elektromotorisch betreibbares trommelbremsmodul
CN213008073U (zh) 驻车制动装置
DE102010052926B4 (de) Scheibenbremse
DE102018001328A1 (de) Elektronische Scheibenbremse
JPH0118899Y2 (ko)
US11754180B2 (en) Parking lock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8746418B2 (en) Disc brake
KR101196777B1 (ko) 간편히 설치되는 원터치 방식의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KR101092061B1 (ko) 간편히 설치되는 차량용 자동브레이크 장치
DE19622707A1 (de) Betätigungsvorrichtung
KR20200084553A (ko) 차량용 드럼 브레이크장치
US8733514B2 (en) Electronic wedge brake apparatus
JP2008520915A (ja) 機械式ディスクブレーキ構造体
JPH04500847A (ja) 急速着脱式ヨーク組立体
TWI530629B (zh) 停放車輛用碟式剎車
US20040206585A1 (en) Parking brake for a motor vehicle
EP3167202A1 (de) Führungssystem für einen bremskolben einer kraftfahrzeugscheibenbremse
DE102010054298A1 (de) Kupplungsdruckplatte mit Lasche
KR101964596B1 (ko) 차량용 주차 브레이크장치
CN216467280U (zh) 一种汽车遮阳板用弹簧卡夹
CN215214467U (zh) 车辆的制动钳总成以及车辆
CN217784083U (zh) 制动器及车辆
JPS60151431A (ja) 内側シユードラムブレーキ
JP3750824B2 (ja) ケーブル式ドラムブレーキのケーブル接続装置及びケーブル接続に用いる治具
CN216951616U (zh) 一种一体化驻车制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