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6621B1 - 흡인식 보틀 테이블 및 이것을 사용한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흡인식 보틀 테이블 및 이것을 사용한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6621B1
KR101196621B1 KR1020117007982A KR20117007982A KR101196621B1 KR 101196621 B1 KR101196621 B1 KR 101196621B1 KR 1020117007982 A KR1020117007982 A KR 1020117007982A KR 20117007982 A KR20117007982 A KR 20117007982A KR 101196621 B1 KR101196621 B1 KR 101196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up
bottle table
container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7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287A (ko
Inventor
기요하루 나까지마
신야 마자끼
게이이찌 후지모또
Original Assignee
기린 테크노시스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린 테크노시스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기린 테크노시스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6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6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6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8Star-shaped wheels or wheel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suction or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1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2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grip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4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보틀 테이블 본체(21)의 수용실(26a)에 가동체(22)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 그 가동체(22)의 상면측의 컵 설치축(40)을 헤드(34)의 관통 구멍(34b)에 삽입하고, 컵 설치축(40)에는 흡착 컵(23)을 연결하여, 흡착 컵(23)을 코일 스프링(24)에 의해 하방으로 압박한다. 가동체(22)와 헤드(34) 사이에는 상부 감압실(37)을 설치하여, 베이스(32)로부터 안내축(25b)을 연장하여 가동체(22)의 오목부(22a)에 삽입하고, 그들 사이에 하부 감압실(35)을 설치한다. 컵 설치축(40)의 축선(CL) 상에는 하부 감압실(35)을 경유하여 흡착 컵(23)의 내부에 이르는 흡인로(45)를 설치하여, 그 흡인로(45)를 통해 공기를 흡인했을 때에, 가동체(22)를 코일 스프링(24)의 힘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흡인식 보틀 테이블 및 이것을 사용한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검사 장치 {SUCTION TYPE BOTTLE TABLE, AND CONTAINER CONVEYING DEVICE AND CONTAINER INSPECTION DEVICE BOTH USING SAME}
본 발명은 용기의 저부를 흡인하여 그 용기를 보유 지지하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및 이것을 사용한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용기를 반송하면서 그 용기를 자전시키고, 자전하고 있는 용기의 외관을 촬상하여 용기 외관의 이상의 유무를 검사하는 검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검사 장치에서는 용기의 외관을 촬상할 때에 방해로 되지 않도록 보틀 테이블 상에 적재된 용기의 저부를 보유 지지하여 그 용기를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부를 보유 지지하여 용기를 반송하기 위해 스타 휠 장치 등의 반송 장치에 사용되는 보틀 테이블로서, 보틀 테이블의 상단부에 흡착 컵(흡인 컵이나 흡착 패드라고도 불림) 등의 흡착부를 설치하여, 이 흡착부에 흡인력을 작용시키면서 흡착부를 용기의 저부에 접촉시키고 그 저부를 흡인 보유 지지하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보틀 테이블로서, 용기의 저면에 각인 등의 볼록부가 형성된 용기를 흡인 보유 지지하기 위해 선단부의 단면이 V자형이고, 그 V자형의 외주부와 내주부를 용기의 저면에 접촉시키는 흡착 컵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658호 공보
종래의 흡인식 보틀 테이블에서는 흡착 컵이 보틀 테이블 본체에 대해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의 저부의 오목부 형상에 따라서는, 흡착 컵과 용기의 저부의 밀착이 불충분해져, 용기의 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저부 외주를 따라서 요철이 부여된, 소위 페타로이드 형상의 저부를 갖는 용기에 관해서는, 그 요철부에 흡착 컵이 접촉하면, 요철부의 간극을 통해 흡착 컵 내에 공기가 흡입되어 충분한 흡인력이 얻어지지 않아, 용기의 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의 저부가 움푹 패인 중심부에 흡착 컵을 충분히 밀착시켜 용기를 확실히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흡인식 보틀 테이블 및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흡인식 보틀 테이블은 보유 지지 대상인 용기의 저부 외주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면을 상단부에 갖고, 내부에는 주위벽, 상부 격벽 및 하부 격벽으로 둘러싸인 수용실을 갖는 보틀 테이블 본체와, 상기 수용실의 상기 주위벽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상면측에는 상기 상부 격벽의 중심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컵 설치축이 설치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흡착 위치와, 상기 흡착 위치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한 대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컵 설치축과 연결된 흡착 컵과, 상기 흡착 컵을 상기 흡착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와 상기 상부 격벽 사이에는 상기 컵 설치축을 둘러싸도록 하여 상부 감압실이 설치되고, 상기 가동체 또는 상기 하부 격벽의 어느 한쪽에는 상기 컵 설치축과 동축의 안내축이, 다른 쪽에는 상기 안내축이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축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는 하부 감압실이 설치되고, 상기 컵 설치축의 축선 상에는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감압실을 경유하여 상기 흡착 컵의 내부에 이르는 흡인로가 설치되고, 상기 흡인로와 상기 상부 감압실이 접속되고, 상기 흡인로를 통해 상기 흡착 컵의 내부, 상기 상부 감압실 및 상기 하부 감압실로부터 공기를 흡인했을 때에, 상기 가동체를 상기 스프링 부재의 힘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당해 가동체에 작용하도록, 상기 하부 감압실의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상부 감압실의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의 흡인식 보틀 테이블에 있어서는, 흡인로를 통해 흡착 컵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 상부 감압실의 압력이 저하되어 가동체에 상향의 흡인력이 작용한다. 흡인로가 하부 감압실을 경유하고 있으므로, 공기의 흡인에 수반하여 하부 감압실도 감압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가동체에는 하향의 흡인력도 작용한다. 그러나, 가동체를 스프링 부재의 힘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당해 가동체에 작용하도록, 하부 감압실의 단면적이 상부 감압실의 그것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가동체는 스프링 부재의 힘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것에 의해, 가동체와 연결된 흡착 컵이 대기 위치로부터 흡착 위치로 이동한다. 흡착 위치에서는 흡착 컵이 지지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므로, 저부의 중심부가 움푹 패여 있는 형상의 용기라도, 그 외주를 지지면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중심부에 흡착 컵을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용기를 확실히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흡인을 정지한 경우에는, 흡착 컵이 스프링 부재의 힘으로 흡착 위치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한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흡착 컵을 흡착 위치에 고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용기의 지지면으로의 반입 혹은 지지면으로부터의 반출 시에 흡착 컵이 방해로 되기 어려워, 반입 반출 동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흡인식 보틀 테이블에 있어서는, 하부 격벽 또는 가동체의 어느 한쪽에 안내축을, 다른 쪽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그들을 끼워 맞춤으로써, 가동체와 하부 격벽 사이에 하부 감압실을 형성하고, 그 하부 감압실을 경유하여 흡인로를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으로부터 흡착 컵의 설치축의 축선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흡인로를 연장시킬 수 있다. 그것에 의해, 흡인로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하고, 그것에 의해 보틀 테이블 내부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인식 보틀 테이블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의 하면측에는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의 연락 구멍을 통해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의 외부로 통하는 대기 개방실이 상기 안내축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부 감압실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면, 상부 감압실과 대기 개방실 사이의 압력차에 따른 비교적 큰 상향의 구동력이 가동체에 작용한다. 따라서, 하부 감압실의 감압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하향의 흡인력의 영향을 작게 억제하여 가동체를 확실히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연락 구멍은 상기 수용실로부터 상기 주위벽의 외주로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에는 상기 연락 구멍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외주측의 단부가 상기 주위벽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위벽의 외주에는 상기 돌기부의 상면측과의 접촉부를 갖는 조정 부재가, 상기 접촉부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를 가장 하방에 위치시켰을 때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연락 구멍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조정 부재의 접촉부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함으로써, 가동체가 상승했을 때의 정지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유 지지 대상의 용기의 저부 중심부에 있어서의 오목부량의 대소에 대응시켜 흡착 컵의 흡착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흡인식 보틀 테이블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안내축과 동축이고 또한 상기 하부 격벽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축은 상기 지지축의 일부로서 상기 하부 격벽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로는 상기 지지축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감압실로 통하고 있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부 격벽을 관통하도록 하여 지지축을 수용실의 내외로 연장하여, 그 지지축을 축선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면서, 지지축의 수용실 내로의 돌출 부분에 가동체의 오목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하부 감압실과,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으로부터 그 하부 감압실로 통하는 흡인로의 일부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축의 하방으로의 돌출 부분은 보틀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를 상기 지지축의 축선의 주위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 전달 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이에 의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보틀 테이블을 외부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흡인식 보틀 테이블의 일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흡인로와 상기 상부 감압실이 상기 컵 설치축에 설치된 접속로를 통해 접속되어도 좋다. 하부 감압실로부터 가동체를 관통하여 흡착 컵 내까지 흡인로가 연장되어 있으므로, 컵 설치축의 내부로부터 그 컵 설치축의 외주까지 접속로를 설치함으로써, 상부 감압실을 흡인로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감압실 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상부 감압실은 가동체와 주위벽과 상부 격벽에 둘러싸이기 때문에, 그 내부에 스프링 부재를 압축 상태로 배치하면, 압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가동체에 하방으로의 스프링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는, 안내축이 오목부에 삽입되어 그들 사이에 하부 감압실이 설치되는 한편, 가동체의 상면측의 중심부에서 흡착 컵과 가동체가 연결되므로, 상부 감압실은 그들 연결 부분의 외주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체에 작용하는 상향의 흡인력이 하향의 흡인력과 스프링 부재의 힘의 합력보다도 커지도록, 상부 감압실측의 흡인력 작용면의 면적을 하부 감압실측의 흡인력 작용면의 면적보다도 용이하게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가동체의 상하에 감압실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하부 감압실을 경유하면서 안내축의 축선을 따라서 가동체를 관통하도록 흡인로를 설치함으로써, 케이스 외부로부터 흡착 컵에 이르기까지의 흡인로의 레이아웃이 용이하다. 그로 인해, 보틀 테이블의 내부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에는 상기 상부 격벽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캡이 설치되고,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면이 설치되고, 상기 캡의 중심부에는 상기 흡착 컵이 통과하는 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하면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에는 상기 컵 구멍보다도 외측의 영역을 일주하도록 하여 시일링이 설치되어도 좋다. 이 형태에 따르면, 가동체의 컵 설치축과 상부 격벽의 관통 구멍의 미끄럼 이동 부분에, 공기가 통과 가능한 간극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상부 격벽과 캡 사이를 시일링으로 폐쇄함으로써, 컵 구멍 이외로부터의 공기의 침입 경로를 폐쇄하여 상부 감압실로의 공기의 흡입을 억제하고, 그것에 의해 용기의 흡인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흡인식 보틀 테이블과, 상기 흡인식 보틀 테이블을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용기 반송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혹은, 그 용기 반송 장치와, 상기 용기 반송 장치의 상기 흡인식 보틀 테이블에 보유 지지된 용기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용기의 화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검사를 실시하는 용기 검사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착 컵 내로부터 흡인로를 통해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가동체가 상방으로 구동되어 흡착 컵이 지지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된 흡착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저부의 중심부가 움푹 패여 있는 형상의 용기라도, 그 외주를 지지면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면서, 중심부에 흡착 컵을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용기를 확실히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흡인을 정지한 경우에는, 흡착 컵이 스프링 부재의 힘으로 흡착 위치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한 대기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흡착 컵을 흡착 위치에 고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용기의 지지면으로의 반입 혹은 지지면으로부터의 반출 시에 흡착 컵이 방해로 되기 어려워, 반입 반출 동작의 원활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으로부터 흡착 컵의 설치축의 축선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흡인로를 연장시킬 수 있으므로, 흡인로의 레이아웃을 간소화하고, 그것에 의해 보틀 테이블 내부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 반송 장치의 일 형태가 내장된 용기 검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용기 검사 장치로 검사되는 용기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휠식 반송 장치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보틀 테이블의 일 형태의 축선 방향 단면도.
도 5는 흡인로로부터 공기를 흡인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보다도 흡착 컵의 돌출량을 크게 설정하여 흡인로로부터 공기를 흡인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상부 격벽으로서의 헤드와 캡 사이에 시일링을 설치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용기 검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용기 검사 장치(1)는 도 2에 일례를 도시한 용기(100)에 대해 검사를 행하는 것이다. 용기(100)는 PET제의 용기, 소위 패트병으로, 음료 등의 내용물이 충전되어 밀폐되는 주지의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00)의 저부(101)의 외주부(101a)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예를 들어, 5개)의 볼록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02)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용기(100)의 저부(101)는 외주부(101a)에 대해 중심부(101b)가 오목하고, 또한 외주부(101a)에 둘레 방향으로 요철이 교대로 설치된 형상, 소위 페타로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 검사 장치(1)는 이 용기(100)를 소정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면서 그 반송 중인 용기(100)에 대해 다양한 검사를 행하는 것이다. 검사로서는, 예를 들어 용기(100) 외관의 이상의 유무를 검사하는 외관 검사가 행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검사 장치(1)는 용기(100)를 소정 경로를 따라서 반송시키기 위해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스크류식 반송 장치(2), 제1 스타 휠식 반송 장치(3), 용기 반송 장치로서의 휠식 반송 장치(10) 및 제2 스타 휠식 반송 장치(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용기 검사 장치(1)는 반송되고 있는 용기(100)의 외관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으로서의 복수의 카메라(5)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스타 휠식 반송 장치(4)로부터 배출된 용기(100)는 배출 컨베이어(6)에 의해 하류의 공정으로 반송된다. 제1 스타 휠식 반송 장치(3) 및 제2 스타 휠식 반송 장치(4)는 스타 휠(3a, 4a)의 외주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포켓(도시하지 않음)에 용기(100)를 도입하여 반송하는 주지의 것이다. 또한, 스크류식 반송 장치(2)는 스크류(2a)에 의해 용기(100)의 간격을 하류의 제1 스타 휠식 반송 장치(3)의 포켓 사이의 피치로 정렬시키는 주지의 것이다. 그로 인해, 이들의 반송 장치(2, 3, 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용기 검사 장치(1)에 의한 검사는 복수의 카메라(5)로 용기(100)를 촬상하여, 얻어진 화상에 기초하여 용기(100)의 외관의 이상의 유무 등의 소정의 검사를 실시하는 주지의 검사라도 좋다. 따라서, 검사를 위한 기구의 상세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휠식 반송 장치(10)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휠식 반송 장치(10)는 보틀 테이블(20)의 상단부의 지지면(20a) 상에 적재된 용기(100)를 보틀 테이블(20)에 보유 지지시켜, 이 보틀 테이블(20)에 보유 지지시킨 용기(100)를 자전시키면서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하는 것이다. 휠식 반송 장치(10)는 가대(11)에 복수의 베어링(1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13)과, 회전축(1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13)과 일체 회전하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원반 형상의 휠(14)과, 휠(14)의 외주에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보틀 테이블(20)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13)의 하단부에는 기어(15)가 일체 회전 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기어(15)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의 회전이 전달됨으로써 회전축(13) 및 휠(14)이 회전 구동된다. 또한, 휠식 반송 장치(10)는 보틀 테이블(20)에 의한 용기(100)의 보유 지지 및 그 보유 지지의 해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밸브(16)를 구비하고 있다. 전환 밸브(16)는 흡인 수단으로서의 흡인 펌프(17)와 보틀 테이블(20) 사이의 공기 흡인 경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휠식 반송 장치(10)에서 용기(100)를 반송해야 할 구간에 있어서 보틀 테이블(20)에 흡인력이 작용하도록 흡인 펌프(17)와 보틀 테이블(20)의 접속 및 차단을 전환하는 주지의 것이다. 그로 인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보틀 테이블(20)의 축선 방향 단면도이다. 보틀 테이블(20)은 보틀 테이블 본체(21)와, 가동체(22)와, 흡착 컵(23)과, 스프링 부재로서의 복수의 코일 스프링(24)을 구비하고 있다. 보틀 테이블 본체(21)는 지지축으로서의 회전축(25)과, 그 회전축(25)에 설치되는 케이스(26)와, 케이스(26)의 상방에 배치되는 캡(27)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25)은 베어링(29)을 통해 홀더(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30)는 휠(14)의 보틀 테이블 설치 구멍(14a)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볼트 등의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휠(14)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25)은 그 축선(CL)을 상하 방향을 향한 상태로 휠(14)의 외주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25)의 하단부에는 회전 전달 부재로서의 풀리(31)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풀리(31)에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가 권취되어 있다. 그 벨트가 주행함으로써, 풀리(31)를 통해 회전축(25)이 축선(CL)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된다.
도 4로 돌아가, 회전축(25)에는 베어링(29)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플랜지(25a)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25a)의 상방에는 안내축(25b)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6)는 컵형의 베이스(32)와, 그 베이스(32)의 상면(32a)에 포개어지는 원통 형상의 케이스 본체(33)와, 케이스 본체(33)의 상면(33a)에 포개어지는 개략 원반 형상의 헤드(34)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32), 케이스 본체(33) 및 헤드(34)는 서로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볼트 등의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베이스(32)는 그 하면측이 회전축(25)의 플랜지(25a)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회전축(25)에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26)는 회전축(25)의 축선(CL)을 중심으로 회전축(25)과 일체 회전 가능하다.
케이스 본체(33)의 내부에는 수용실(26a)이 설치되어 있다. 수용실(26a)의 하단부는 베이스(32)에 의해, 상단부는 헤드(34)에 의해 각각 덮여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32)는 하부 격벽으로서, 케이스 본체(33)는 주위벽으로서, 헤드(34)는 상부 격벽으로서 각각 기능한다. 회전축(25)의 안내축(25b)은 베이스(3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수용실(26a) 내에 돌출된다. 가동체(22)는 수용실(26a) 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가동체(22)에는 그 하면측으로 개방되는 오목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그 오목부(22a) 내에 안내축(25b)이 삽입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안내축(25b)의 상단부와 오목부(22a)의 천장면(22b) 사이에는 하부 감압실(35)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축(25b)의 외주면과 오목부(22a)의 내주면 사이에는 슬리브(36)가 설치되어 있다. 슬리브(36)는 오목부(22a)의 내주면에 압입 등의 끼워 맞춤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슬리브(36)가 안내축(25b)을 따라서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슬리브(36)와 안내축(25b) 사이에는 미소한 간극이 존재한다. 그 간극을 통해 베이스(32)의 오목부(32b)와 가동체(22)의 하면 사이에 둘러싸인 공간(32c)으로부터 하부 감압실(35)로 공기가 누설되지만, 그 누설 유량은 하부 감압실(35)의 감압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제한된다.
한편, 수용실(26a)의 가동체(22)보다도 상방의 스페이스가 헤드(34)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가동체(22)의 상면(22c)과 헤드(34)의 하면(34a) 사이에는 상부 감압실(37)이 설치되어 있다. 그 상부 감압실(37)에 코일 스프링(24)이 수용되어 있다. 각 코일 스프링(24)의 하단부는 가동체(22)의 상면측으로 개방되는 스프링 수용 구멍(22d)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각 코일 스프링(24)은 헤드(3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상부 감압실(37) 내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각 코일 스프링(24)의 압축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가동체(22)에는 하방으로의 압입력이 작용하고 있다. 가동체(22)의 하단부에는 외주를 향해 복수의 돌기부(22e)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6)의 케이스 본체(33)의 하단부에는 돌기부(22e)와 동수의 홈부(3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들 홈부(33b)와 베이스(32)의 상면(32a)에 의해 수용실(26a)로부터 케이스 본체(33)의 외주로 통하는 연락 구멍(26b)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2e)는 연락 구멍(26b)의 각각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돌기부(22e)의 외주측의 단부는 케이스 본체(33)의 외주보다도 돌출된다. 가동체(22)는 코일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돌기부(22e)가 베이스(32)의 상면(32a)[즉, 연락 구멍(26b)의 하단부]에 충돌한 위치(도 4에 도시하는 위치)로 압박된다. 또한, 가동체(22)의 외주면과 케이스 본체(33)의 내주면 사이에도, 가동체(22)를 원활하게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미소한 간극이 존재한다. 그 간극을 통해 연락 구멍(26b)으로부터 상부 감압실(37)로 공기가 누설되지만, 그 누설 유량은 상부 감압실(37)의 감압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제한된다.
케이스 본체(33)의 외주에는 조정 부재로서의 조정 링(38)이 설치되어 있다. 조정 링(38)은 케이스 본체(33)에 대해 축선(CL)의 주위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 불능인 상태로 케이스 본체(33)에 설치되어 있다. 조정 링(38)의 하면(38a)측에는 돌기부(22e)를 수납 가능한 홈부(38b)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 링(38)의 하면(38a)은 연락 구멍(26b)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홈부(38b)의 바닥(하방으로부터 올려 보았을 때의 상단부면)은 케이스 본체(33)의 연락 구멍(26b)의 상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동일 높이이다. 조정 링(38)을 그 하면(38a)이 돌기부(22e)와 대향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로 가동체(22)를 코일 스프링(24)의 힘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돌기부(22e)가 조정 링(38)의 하면(38a)과 충돌하여 그 이상의 가동체(22)의 상승이 저지된다(도 5 참조). 한편, 조정 링(38)을 그 홈부(38b)가 돌기부(22e)와 대향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 상태로 가동체(22)를 코일 스프링(24)의 힘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돌기부(22e)가 케이스 본체(33)의 홈부(33b) 및 조정 링(38)의 홈부(38b)의 각각의 바닥과 충돌하여 그 이상의 가동체(22)의 상승이 저지된다(도 6 참조). 즉, 가동체(22)가 상승했을 때의 정지 위치는 조정 링(38)의 둘레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2단계로 변화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서는 조정 링(38)의 하면(38a) 또는 홈부(38b)의 바닥이 돌기부(22e)에 대한 접촉부로서 선택적으로 기능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4)의 외주는 케이스 본체(33)보다도 돌출되고, 그 돌출 부분에 캡(27)이 설치되어 있다. 캡(27)은 헤드(34)를 상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캡(27)의 상면은 축선(CL)과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상면이 보틀 테이블(20)의 지지면(20a)으로서 기능한다. 캡(27)의 중심부에는 컵 구멍(27a)이 관통하고 있다. 가동체(22)의 상면(22c)측의 중심부에는 컵 설치축(4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컵 설치축(40)과 안내축(25b)은 동축이다. 헤드(34)의 중심부에는 그 헤드(34)를 축선(CL)을 따라서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34b)이 형성되어 있다. 컵 설치축(40)은 그 관통 구멍(34b)에 부시(41)를 통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가동체(22)가 그 이동 범위의 하단부에 위치할 때(도 4의 상태), 컵 설치축(40)의 상단부는 부시(41)의 상면과 대략 동일 평면의 위치에 있다. 따라서, 상부 감압실(37)은 컵 설치축(40)을 둘러싸도록 하여, 가동체(22)와 헤드(34) 사이에 형성된다. 흡착 컵(23)은 컵 구멍(27a)에 통과되어 컵 설치축(40)의 상단부에 동축적으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흡착 컵(23)은 내부의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흡착 작용을 발생하는 탄성체(일례로서 고무, 엘라스토머)제의 부품이다. 흡착 컵(23)의 상단부의 직경은 도 2에 도시한 용기(100)의 저부(101)의 오목 부분[중심부(101b)에 상당함]의 직경(RB)보다도 작다.
가동체(22)가 베이스(32)에 충돌할 때까지 하강하고 있는 경우, 흡착 컵(23)은 그 상단부가 캡(27)의 지지면(20a)과 동일 높이, 또는 지지면(20a)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다. 이때의 흡착 컵(23)의 위치가 대기 위치이다. 한편, 가동체(22)가 베이스(32)로부터 이격되어 상승하면, 흡착 컵(23)은 지지면(20a)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 돌출되었을 때의 흡착 컵(23)의 위치가 흡착 위치이다. 단, 가동체(22)가 상승했을 때의 정지 위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위치 존재한다. 따라서, 흡착 컵(23)의 흡착 위치도 2단계로 변화된다. 바꿔 말하면, 지지면(20a)으로부터의 흡착 컵(23)의 돌출량은, 도 5에 도시하는 소돌출량(A)과, 도 6에 도시하는 대돌출량(B)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흡착 컵(23)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기 위해, 보틀 테이블(20)에는 흡인로(45)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로(45)는 회전축(25)의 내부를 그 축선(CL)을 따라서 관통하는 제1 통로(46)와, 가동체(22)의 컵 설치축(40)의 내부를 축선(CL)을 따라서 관통하는 제2 통로(47)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통로(46)와 제2 통로(47) 사이에는 하부 감압실(35)이 위치한다. 그것에 의해, 하부 감압실(35)도 흡인로(45)의 일부로서 이용되고 있다. 이에 의해, 흡인로(45)는 보틀 테이블 본체(21)의 하면측으로부터 하부 감압실(35)을 경유하여 흡착 컵(23)의 내부에 이르도록 컵 설치축(40)의 축선(CL)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가동체(22)에는 컵 설치축(40)을 축선(CL)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접속로(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들 접속로(48)를 통해 제2 통로(47)와 상부 감압실(37)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 컵(23)의 내부, 하부 감압실(35) 및 상부 감압실(37)은 공통의 흡인로(45)와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로(46)의 하단부에는 조인트(18)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18)와 전환 밸브(16)는 튜브(19)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전환 밸브(16)를 통해 흡인 펌프(17)와 흡인로(45)를 접속함으로써, 흡착 컵(23)의 내부, 하부 감압실(35) 및 상부 감압실(37)의 각각으로부터 공기가 흡인되어 그들의 내압이 저하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 컵(23) 등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흡인했을 때, 하부 감압실(35)의 압력 저하에 수반하여 가동체(22)에는 하향의 흡인력(F1)이 작용한다. 한편, 상부 감압실(37)의 압력 저하에 수반하여 가동체(22)에는 상향의 흡인력(F2)이 작용한다. 감압실(35, 37)은 공통의 흡인로(45)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양실(35, 37)의 압력은 서로 동등하다. 그로 인해, 가동체(22)에 작용하는 흡인력의 대소 관계는, 상부 감압실(37)의 축선(CL)과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과, 하부 감압실(35)의 축선(CL)과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의 대소 관계에 의해 정해진다. 또한, 가동체(22)에는 코일 스프링(24)의 압입력(F3)이 하방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32)와 가동체(22) 사이의 공간(32c)은 연락 구멍(26b)을 통해 보틀 테이블 본체(21)의 외부,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본체(33)의 외주로 통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간(32c)은 대기압으로 유지되어 대기 개방실로서 기능한다. 그것에 의해, 가동체(22)에는 대기압에 의한 밀어 올림력(F4)이 작용한다. 따라서, 하향의 힘의 합력(F1+F3)보다도 상향의 합력(F2+F4)이 커지도록 하부 감압실(35)의 단면적을 상부 감압실(37)의 단면적보다도 작게 제한하면, 감압에 수반하여 가동체(22)에는 상향의 구동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면적을 설정함으로써, 흡인로(45)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수반하여 가동체(22)를 상승시키고, 그것에 의해 흡착 컵(23)을 대기 위치로부터 흡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흡착 컵(23)을 지지면(20a)보다도 돌출된 흡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보틀 테이블(20)의 지지면(20a)에 의해 용기(100)의 저부(101)의 외주부(101a)를 지지하면서, 그 중심부(101b)에 흡착 컵(23)을 충분히 밀착시켜 용기(100)를 확실히 보유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용기(100)의 흡착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환 밸브(16)를 통해 흡인로(45)를 대기 중에 개방함으로써, 감압실(35, 37)을 대기압까지 승압시켜, 코일 스프링(24)의 힘으로 흡착 컵(23)을 대기 위치로 복귀시키면 된다. 대기 위치에서는 흡착 컵(23)이 지지면(2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므로, 보틀 테이블(20)에 대해 용기(100)를 반입 또는 반출할 때에 흡착 컵(23)이 방해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엄밀하게는 흡착 컵(23)이 용기(100)를 흡착한 경우, 용기(100)가 하방으로 끌어 당겨져, 그 반력으로 흡착 컵(23)으로부터 가동체(22)의 컵 설치축(40)으로 상향으로 끌어 들여진다. 가동체(22)에 작용하는 상향의 구동력에는 그 반력도 가미된다.
본 형태의 보틀 테이블(20)에 있어서는, 가동체(22)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감압실(35, 37)을 형성하여, 가동체(22)의 양 실(35, 37)의 단면적을 차별화함으로써, 가동체(22)에 상향의 구동력을 작용시켜 흡착 컵(23)을 대기 위치로부터 흡착 위치로 상승시키고 있다. 하부 감압실(35)을 폐지하여 가동체(22)의 하면측을 그 전체면에 걸쳐서 대기 개방실로 한 경우에는, 그 대기 개방실을 우회하도록 하여 흡착 컵(23) 및 상부 감압실(37)로 통하는 흡인로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 흡인로의 레이아웃이 복잡화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32)로부터 케이스 본체(33)를 경유하여 상부 감압실(37)에 이르도록 흡인로를 레이아웃할 필요가 발생해, 그 레이아웃이 복잡화되고 보틀 테이블(20)의 내부 구조도 복잡화된다. 이에 대해, 본 형태의 보틀 테이블(20)에서는 회전축(25)으로부터 가동체(22)를 거쳐서 흡착 컵(23)에 이르기까지, 그들의 축선(CL)을 따라서 흡인로(45)를 설치하면서, 그 흡인로(45)로부터 상부 감압실(37)을 향해 접속로(48)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33)측에 흡인로를 배치하는 등의 우회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흡인로(45)의 레이아웃이 간소화되고, 나아가서는 보틀 테이블(20)의 내부 구조가 간소화된다.
본 형태의 보틀 테이블(20)에 따르면, 조정 링(38)을 둘레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흡착 컵(23)의 지지면(20a)으로부터의 돌출량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용기(100)의 저부(101)의 중심부(101b)의 오목부량에 따라서 흡착 컵(23)의 상승 시의 정지 위치, 즉 흡착 위치를 전환하여, 저부(101)를 보다 확실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흡착 위치를 2단계로 전환 가능하게 하였지만, 깊이가 다른 복수 종류의 홈부(33b)를 형성함으로써, 흡착 위치를 3단계 또는 그 이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혹은, 케이스 본체(33)의 외주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조정 링(38)의 내주에 암나사부를 형성하여 그들을 맞물리도록 하면, 조정 링(38)의 하면(38a)의 높이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흡착 위치를 무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
흡착 컵(23)을 대기 위치로부터 흡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 흡착 위치에 접근할수록 코일 스프링(24)의 압축량이 증가하여 그들의 복원력이 커진다. 그로 인해, 흡착 컵(23)이 용기(100)의 중심부(101b)에 접근하는 것에 따라서 흡착 컵(23)의 상승의 기세가 약화되어, 흡착 컵(23)이 용기 중심부(101b)에 접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한편, 흡착 컵(23)을 흡착 위치로부터 대기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는, 코일 스프링(24)의 복원력이 최대의 상태로부터 흡착 컵(23)의 하강이 개시되므로, 흡착 컵(23)의 초기 가속도가 커, 흡착 컵(23)에 의한 용기(100)의 보유 지지를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형태에서는 안내축(25b)을 하부 격벽으로서의 베이스(32)측에, 오목부(22a)를 가동체(22)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들과 반대로, 가동체(22)의 하면측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안내축을 돌출시키고, 그 안내축이 삽입되는 오목부를 베이스(32)에 설치하여 그들 사이에 하부 감압실을 설치해도 좋다. 컵 설치축을 가동체와는 별도 부품으로서 형성하여, 가동체의 상면에 컵 설치축 및 흡착 컵을 설치해도 좋다. 스프링 부재는 상부 감압실 내로 한정되지 않고, 가동체에 하향의 힘을 부여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적절한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코일 스프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스프링, 혹은 고무,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체를 스프링 부재로서 이용해도 좋다.
상기한 형태에서는, 컵 설치축(40)과 부시(41)의 미끄럼 이동 부분에 간극이 존재하므로, 그 간극으로부터 상부 감압실(37)로 공기가 흡입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간극량이 미소하면, 상부 감압실(37)의 감압에는 지장이 없다. 무엇보다, 용기(100)의 흡인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27)의 하면과 헤드(34)의 상면 사이에, 컵 구멍(27a)보다도 외측의 영역을 일주하도록 시일링(50)을 설치하여 캡(27)과 헤드(34) 사이를 시일해도 좋다. 그 시일링(50)에 의해, 캡(27)과 헤드(34)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상부 감압실(37)에 이르는 공기의 침입 경로(C)를 폐쇄하여 상부 감압실(37)로의 공기의 흡입을 억제하고, 그것에 의해 용기(100)의 흡인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7의 형태에서는, 헤드(34)의 상면측에, 컵 구멍(27a)의 내주와 끼워 맞추어지는 원통부(34c)가 설치되고, 그 원통부(34c)의 외측에 시일링(50)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케이스(26)에는 복수의 플런저(52)와, 그들 플런저(52)를 상방으로 밀어내는 스프링(53)이 설치되어 있다. 플런저(52)는 헤드(34)를 관통하여 캡(27)에 압박되어 있다. 그 압박력에 의해, 캡(27)의 하부 플랜지(27b)가 헤드(34)의 외주에 하방으로부터 압박되어 캡(27)이 헤드(34)에 구속된다.
대기 위치에 있어서의 흡착 컵의 상단부는 용기의 원활한 반입 반출 동작의 실현에 지장이 없는 한에 있어서, 지지면보다도 다소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흡착 위치에 있어서의 흡착 컵의 지지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일정하면 되는 경우, 조정 부재를 이용한 흡착 위치의 전환 구조는 생략 가능하다. 가동체의 하면측의 대기 개방실은 상부 감압실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에 수반하여 가동체를 상승시킬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이것을 생략해도 좋다. 즉, 가동체의 하면측에 있어서 안내축의 주위를 외부에 대해 폐쇄된 공간으로 한 경우라도, 상부 감압실을 감압함으로써 가동체의 상하의 압력에 차를 발생시키고, 그 압력차를 이용하여 가동체를 상승시킬 수 있다. 본 형태에서는, 보틀 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해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에 지지축으로서의 회전축을 돌출시키고 있지만, 하부 격벽 그 자체를 지지할 수 있는 한에 있어서, 지지축을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조를 생략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보틀 테이블을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보틀 테이블을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라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흡인식 보틀 테이블은 용기 검사 장치에 조립되는 용기 반송 장치의 일부로서 이용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각종 장치에 있어서 용기의 저부를 보유 지지하기 위한 보틀 테이블로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유 지지 대상의 용기는 페타로이드 형상의 저부를 갖는 PET 보틀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보틀 테이블」의 개념은, 「보틀」이라고 호칭되는 용기의 보유 지지로 한정하여 사용되는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저부의 중심부가 움푹 패여 있는 용기이면, 페타로이드 형상의 유무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흡인식 보틀 테이블에 의해 보유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0)

  1. 보유 지지 대상인 용기의 저부 외주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면을 상단부에 갖고, 내부에는 주위벽, 상부 격벽 및 하부 격벽으로 둘러싸인 수용실을 갖는 보틀 테이블 본체와,
    상기 수용실의 상기 주위벽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상면측에는 상기 상부 격벽의 중심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되는 컵 설치축이 설치된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지지면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흡착 위치와, 상기 흡착 위치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한 대기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컵 설치축과 연결된 흡착 컵과,
    상기 흡착 컵을 상기 흡착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하는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체와 상기 상부 격벽 사이에는 상기 컵 설치축을 둘러싸도록 하여 상부 감압실이 설치되고,
    상기 가동체 또는 상기 하부 격벽 중 어느 한쪽에는 상기 컵 설치축과 동축의 안내축이, 다른 쪽에는 상기 안내축이 끼워 맞추어지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안내축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는 하부 감압실이 설치되고,
    상기 컵 설치축의 축선 상에는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감압실을 경유하여 상기 흡착 컵의 내부에 이르는 흡인로가 설치되고,
    상기 흡인로와 상기 상부 감압실이 접속되고,
    상기 흡인로를 통해 상기 흡착 컵의 내부, 상기 상부 감압실 및 상기 하부 감압실로부터 공기를 흡인했을 때에, 상기 가동체를 상기 스프링 부재의 힘에 저항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당해 가동체에 작용하도록, 상기 하부 감압실의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상기 상부 감압실의 상기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의 하면측에는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의 연락 구멍을 통해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의 외부로 통하는 대기 개방실이 상기 안내축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 구멍은 상기 수용실로부터 상기 주위벽의 외주로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에는 상기 연락 구멍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또한 외주측의 단부가 상기 주위벽보다도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주위벽의 외주에는 상기 돌기부의 상면측과의 접촉부를 갖는 조정 부재가, 상기 접촉부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접촉부를 가장 하방에 위치시켰을 때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연락 구멍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격벽의 하단부측에는 상기 안내축과 동축이고 또한 상기 하부 격벽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지지축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축은 상기 지지축의 일부로서 상기 하부 격벽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인로는 상기 지지축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의 하면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감압실로 통하고 있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를 상기 지지축의 축선의 주위로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회전 전달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로와 상기 상부 감압실이 상기 컵 설치축에 설치된 접속로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상부 감압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틀 테이블 본체에는 상기 상부 격벽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캡이 설치되고, 상기 캡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면이 설치되고, 상기 캡의 중심부에는 상기 흡착 컵이 통과하는 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캡의 하면과 상기 상부 격벽 사이에는 상기 컵 구멍보다도 외측의 영역을 일주하도록 하여 시일링이 설치되어 있는, 흡인식 보틀 테이블.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인식 보틀 테이블과, 상기 흡인식 보틀 테이블을 소정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구비한, 용기 반송 장치.
  10. 제9항에 기재된 용기 반송 장치와, 상기 용기 반송 장치의 상기 흡인식 보틀 테이블에 보유 지지된 용기를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촬상 수단이 촬상한 용기의 화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검사를 실시하는, 용기 검사 장치.
KR1020117007982A 2008-09-18 2009-09-16 흡인식 보틀 테이블 및 이것을 사용한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검사 장치 KR101196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39674 2008-09-18
JP2008239674 2008-09-18
JP2008333686A JP5196174B2 (ja) 2008-09-18 2008-12-26 吸引式壜台、並びにこれを用いた容器搬送装置及び容器検査装置
JPJP-P-2008-333686 2008-12-26
PCT/JP2009/066126 WO2010032735A1 (ja) 2008-09-18 2009-09-16 吸引式壜台、並びにこれを用いた容器搬送装置及び容器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87A KR20110051287A (ko) 2011-05-17
KR101196621B1 true KR101196621B1 (ko) 2012-11-02

Family

ID=4203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7982A KR101196621B1 (ko) 2008-09-18 2009-09-16 흡인식 보틀 테이블 및 이것을 사용한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96174B2 (ko)
KR (1) KR101196621B1 (ko)
CN (1) CN102159475B (ko)
WO (1) WO2010032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11321A1 (de) * 2011-08-26 2013-02-28 Khs Gmbh Füllvorrichtung
EP3202692A4 (en) 2014-09-30 2018-05-30 Toyo Seikan Co., Ltd. Conveyance device
EP3798621B1 (en) 2019-09-27 2022-11-23 SCHOTT Schweiz AG Apparatus for inspecting a pharmaceutical container
EP3797883B1 (en) 2019-09-27 2022-06-08 SCHOTT Schweiz AG Apparatus for inspecting a pharmaceutical contai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872A (ja) 2003-06-30 2005-01-27 Emhart Glass Sa 容器検査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4114A (en) * 1978-09-19 1980-03-28 Diesel Kiki Co Ltd Actuator
JPH10153201A (ja) * 1996-11-22 1998-06-09 Ckd Corp 流体圧シリンダ
JP2001002240A (ja) * 1999-06-22 2001-01-09 Kirin Techno-System Corp 壜の移送装置
JP2003206025A (ja) * 2002-01-11 2003-07-22 Kirin Techno-System Corp 容器のガイド機構及びこの機構を備えた容器搬送用ロータ
JP4385606B2 (ja) * 2003-01-29 2009-12-16 株式会社コオエイ 壜等の容器の側面検査装置
JP4241439B2 (ja) * 2003-06-18 2009-03-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型電子部品の取扱い装置
JP4448939B2 (ja) * 2003-12-26 2010-04-14 キリンテクノシステム株式会社 吸引式壜台及びその吸引ヘッ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2872A (ja) 2003-06-30 2005-01-27 Emhart Glass Sa 容器検査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287A (ko) 2011-05-17
CN102159475A (zh) 2011-08-17
CN102159475B (zh) 2013-09-04
WO2010032735A1 (ja) 2010-03-25
JP2010095385A (ja) 2010-04-30
JP5196174B2 (ja)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621B1 (ko) 흡인식 보틀 테이블 및 이것을 사용한 용기 반송 장치 및 용기 검사 장치
KR101659880B1 (ko) 용기 본체와 커버체와의 결합 방법
KR100284355B1 (ko) 진공밸브제어장치 및 제어밸브
JP2015040586A (ja) スプリット弁
CN110817400A (zh) 吸附装置
JP5272153B2 (ja) プリフォーム用吸着ヘッド、並びにこれを用いたプリフォーム搬送装置及び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KR20150001625A (ko) 처리 설비
EP2258641A2 (en) Paper sheet takeout device
CA2889454A1 (en) Leveling valve
CN106572629A (zh) 部件安装装置
CN115571423A (zh) 一种一体式果仁包装机
JP4725097B2 (ja) プレスラインの素材移送装置
CN214584822U (zh) 用于注射器法兰缺陷的检测机构
KR101042233B1 (ko) 부품이송용 흡착식 픽커
CN113410174B (zh) 吸附机构及吸附系统
JP6268634B2 (ja) 部品実装装置
JP2009161268A (ja) プリフォーム用吸着ヘッド、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フォーム搬送装置並びに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4770301B2 (ja) キャッピング装置
JP5401691B2 (ja) 容器搬送装置
JP3772372B2 (ja) ツールヘッド
JP5194228B2 (ja) 吸引式壜台、及びこれを用いた容器搬送装置並びに容器検査装置
KR102511021B1 (ko) 실장 헤드
CN108293320A (zh) 安装轴装置、安装头、表面安装机
KR102134126B1 (ko) 흡착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 시스템
CN107499978A (zh) 一种活动式真空吸盘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