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861B1 - 판유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판유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861B1
KR101195861B1 KR1020110005791A KR20110005791A KR101195861B1 KR 101195861 B1 KR101195861 B1 KR 101195861B1 KR 1020110005791 A KR1020110005791 A KR 1020110005791A KR 20110005791 A KR20110005791 A KR 20110005791A KR 101195861 B1 KR101195861 B1 KR 10119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ing
plate glass
groov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6562A (ko
Inventor
정효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기연
Publication of KR20120066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3Transporting devices for sheet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송롤러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송롤러를 연결하는 이송벨트가 양단에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면이 이송롤러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되 이송롤러의 벨트홈에 깊게 삽입 결합된 상태로 판유리의 저면 양단을 지지하여 판유리를 이송하는 판유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는, 판유리의 이송도중 이송벨트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판유리의 저면을 지지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판유리 지지력이 상승되며, 이송롤러와 이송벨트간에 마찰력이 상승되어 신속하게 판유리를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판유리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of glass panel}
본 발명은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송롤러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송롤러를 연결하는 이송벨트가 양단에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면이 이송롤러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되 이송롤러의 벨트홈에 깊게 삽입 결합된 상태로 판유리의 저면 양단을 지지하여 판유리를 이송하는 판유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 엘시디 피디피(LCD PDP) 등에 사용되는 박판형 판유리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 상에서 판유리를 검사부쪽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다른 공정라인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이송장치로서, 프레임의 양단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연결하는 이송벨트에 판유리가 밀착지지된 상태로 이송되었다.
여기서, 상기 판유리는 상기 프레임 양단에 설치된 이송롤러를 연결하는 이송벨트에 저면 양측부가 밀착지지된 상태로, 이송롤러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이송롤러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벨트를 이송시켜 상기 판유리가 다른 공정라인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를 연결하는 이송벨트는 단면 형상이 원형형상을 갖는 오형 벨트나 혹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을 갖는 평 벨트등이 사용되었으며, 판유리를 이송하는 장치에는 주로 오형 벨트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이송롤러를 오형 벨트로 연결하여 판유리를 이송하는 장치는, 판유리에 가압된 이송벨트가 이송롤러의 회전력과 판유리의 가압력을 동시에 전달받아 비틀림 응력에 의해 이탈됨으로 판유리가 이탈되어 파손될 수 있으며, 이송롤러에 결합된 이송벨트의 마찰력이 약하여 이송롤러가 제자리 회전되면서 이송벨트를 이송시키지 못하여 판유리를 신속하게 이송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송롤러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이송롤러를 연결하는 이송벨트가 양단에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면이 이송롤러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되 이송롤러의 벨트홈에 깊게 삽입 결합된 상태로 판유리의 저면 양단을 지지하여 판유리를 이송하는 판유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송벨트가 이송롤러의 벨트홈에 끼워질 때, 이송벨트의 내주면에서 돌출 형성된 마찰돌부는 이송롤러의 벨트홈 내주면에 형성된 보조홈에 결합되어 마찰력이 상승된 판유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제1 실시예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벨트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이송롤러; 띠 형상으로 상기 이송롤러들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벨트홈에 끼워져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벨트;및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송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이송롤러의 벨트홈에 끼워지는 양단이 상광하협 구조를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판유리가 밀착되는 상면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으로 마찰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돌부가 상기 이송롤러의 보조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 각도가 2도 이상 4도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벨트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홈 내주면으로 보조홈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이송롤러; 띠 형상으로 상기 이송롤러들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벨트홈에 끼워져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벨트;및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송롤러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이송롤러의 벨트홈에 끼워지는 양단이 상광하협 구조를 갖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판유리가 밀착되는 상면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으로 마찰돌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돌부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돌부가 상기 이송롤러의 보조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경사면의 기울기 각도가 2도 이상 4도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홈의 간격이 8mm 내지 10mm이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는, 판유리의 이송도중 이송벨트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판유리의 저면을 지지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있어 판유리 지지력이 상승되며, 이송롤러와 이송벨트간에 마찰력이 상승되어 신속하게 판유리를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이송롤러와 이송벨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이송벨트가 이송롤러에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이송벨트에 판유리가 지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이송벨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이송벨트가 이송롤러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이송롤러와 이송벨트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이송벨트가 이송롤러에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송벨트에 판유리가 지지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레임(10)은 사각틀 형상이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부 양단에는 구동모터(4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이송롤러(20)가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이송롤러(20)로 진입되는 판유리(P)의 중량을 지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이송롤러(20)는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벨트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된다.
상기 이송롤러(20)는 상기 벨트홈(21)의 내주면으로 보조홈(22)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벨트(30)의 마찰돌부(33)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이송롤러(20)는 외주면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벨트홈(21)을 형성하고, 상기 벨트홈(21)에 상기 이송벨트(30)를 교차 연결하여 판유리(P)를 이송할 수 있다.
이송벨트(30)는 띠 형상으로 상기 이송롤러(20)들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벨트홈(21)에 끼워져 상기 이송롤러(20)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이송롤러(20)의 벨트홈(21)에 끼워지는 양단이 상광하협 구조를 갖는 경사면(31)을 형성하고, 판유리(P)가 밀착되는 상면(32)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으로 마찰돌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돌부(33)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경사면(31)의 기울기 각도가 2도 이상 4도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40)는 이송롤러(3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이송롤러(30)중 어느 하나에 선택되어 연결되거나 혹은 각각의 상기 이송롤러(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프레임(10) 상부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이송롤러(20)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롤러(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0)가 연결 설치되며, 상광하협 구조로 경사면(31)을 형성하고 있는 이송벨트(30)가 상기 이송롤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벨트홈(21)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이송롤러(20)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40)를 작동하면, 상기 이송롤러(20)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벨트(30)를 전, 후로 이송시키고, 판유리(P)의 저면 양단부가 상기 이송벨트(30) 상면에 밀착지지되어 전, 후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는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판유리(P)가 진입되는 곳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20)는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벨트홈(21)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벨트(30)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20)는 본원 발명에서 2개의 벨트홈(21)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벨트홈(21)에 상기 이송벨트(30)가 교차 연결되어 상기 판유리(P)가 이송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20)는 외주면에 적어도 3개 이상의 벨트홈(21)을 형성하여 상기 벨트홈(21)에 상기 이송벨트(30)가 교차연결 및 중복연결되어 판유리(P) 이송거리 연장 및 구동력을 상승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20)는 상기 벨트홈(21)의 내주면으로 보조홈(22)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벨트(30)의 마찰돌부(33)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과 상기 이송벨트(30)의 마찰돌부(33) 사이에 마찰력이 상승되어 상기 이송롤러(20)가 상기 이송벨트(30)에서 미끄러져 제자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31)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롤러(20)의 벨트홈(21)에 깊게 삽입되되 상면(32)이 상기 이송롤러(20)의 외주면으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31)의 각도는 2도~4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이송롤러(20)의 외주면으로 노출된 상면(32)에 판유리(P)의 저면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판유리(P)를 이송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30)는 내주면으로 돌출 형성된 마찰돌부(33)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30)의 마찰돌부(33)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 사이에는 마찰력이 상승되어 상기 이송롤러(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30)가 상기 이송롤러(20)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이송롤러(20)중 어느 하나에 선택되어 연결되거나 혹은 각각의 상기 이송롤러(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이송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의 이송벨트가 이송롤러에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송벨트(30')는 띠 형상으로 상기 이송롤러(20)들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벨트홈(21)에 끼워져 상기 이송롤러(20)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이송롤러(20)의 벨트홈(21)에 끼워지는 양단이 상광하협 구조를 갖는 경사면(31)을 형성하고, 판유리(P)가 밀착되는 상면(32)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으로 마찰돌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돌부(33')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돌부(33')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경사면(31)의 기울기 각도가 2도 이상 4도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홈(34)의 간격이 8mm 내지 10mm이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마찰돌부(33')가 상기 홈(34)에 의해 수축 및 이완작용된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마찰돌부(33')가 이완되어 있다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을 타고 이동시 상기 홈(34)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된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마찰돌부(33')가 수축됨에 따라 구부러짐이 유연해져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밀착되는 밀착력이 상승된다.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마찰돌부(33')가 수축 및 이완됨으로써, 상기 판유리(P)가 밀착되는 외주면이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 도1 내지 도4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제1 실시예의 이송벨트(30) 대신 제2 실시예의 이송벨트(30')가 사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프레임(10) 상부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이송롤러(20)가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롤러(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0)가 연결 설치되며, 상광하협 구조로 경사면(31)을 형성하고 있는 이송벨트(30)가 상기 이송롤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벨트홈(21)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이송롤러(20)를 연결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40)를 작동하면, 상기 이송롤러(20)가 회전되면서 상기 이송벨트(30')를 전, 후로 이송시키고, 판유리(P)의 저면 양단부가 상기 이송벨트(30) 상면에 밀착지지되어 전, 후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는 지면에서 정해진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판유리(P)가 진입되는 곳에 위치된다.
한편, 상기 이송롤러(20)는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벨트홈(21)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벨트(30')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20)는 본원 발명에서 2개의 벨트홈(21)을 형성하고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벨트홈(21)에 상기 이송벨트(30')가 교차 연결되어 상기 판유리(P)가 이송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20)는 외주면에 적어도 3개 이상의 벨트홈(21)을 형성하여 상기 벨트홈(21)에 상기 이송벨트(30')가 교차연결 및 중복연결되어 판유리(P) 이송거리 연장 및 구동력이 상승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20)는 상기 벨트홈(21)의 내주면으로 보조홈(22)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벨트(30')의 마찰돌부(33')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과 상기 이송벨트(30')의 마찰돌부(33') 사이에 마찰력이 상승되어 상기 이송롤러(20)가 상기 이송벨트(30')에서 미끄러져 제자리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31)을 형성하여 상기 이송롤러(20)의 벨트홈(21)에 깊게 삽입되되 상면(32)이 상기 이송롤러(20)의 외주면으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경사면(31)의 각도는 2도~4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이송롤러(20)의 외주면으로 노출된 상면(32)에 판유리(P)의 저면 양단을 지지하여 상기 판유리(P)를 이송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30')는 내주면으로 돌출 형성되되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홈(34)을 형성하고 있는 마찰돌부(33')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30')의 마찰돌부(33')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 사이에는 마찰력이 상승되어 상기 이송롤러(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이송벨트(30')가 상기 이송롤러(20)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마찰돌부(33')가 상기 홈(34)에 의해 수축 및 이완작용되어, 상기 이송벨트(30')가 이완되어 있다가 상기 이송롤러(30')의 보조홈을 타고 이동시 상기 마찰돌부(33')가 상기 홈(34)에 의해 수축되어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마찰돌부(33')가 수축됨에 따라 구부러짐이 유연해져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밀착되는 밀착력이 상승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마찰돌부(33')가 수축 및 이완됨으로써, 상기 판유리(P)가 밀착되는 외주면이 아치형으로 볼록하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홈(34)의 간격이 8mm 내지 10mm이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이송롤러(20)중 어느 하나에 선택되어 연결되거나 혹은 각각의 상기 이송롤러(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송벨트(30)의 상면(32)이 넓은 폭을 갖도록 상광하협 구조의 경사면(31)을 형성하되 이송롤러(20)의 벨트홈(21)에 깊게 삽입되어 상면(32)이 이송롤러(20)의 외주면으로 노출되는 구조는, 판유리(P) 이송도중 이송벨트(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판유리(P) 지지력이 상승되며, 이송롤러(20)와 이송벨트(30)간에 마찰력이 상승되어 신속하게 판유리(P)를 이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판유리 이송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프레임 20 : 이송롤러
21 : 벨트홈 22 : 보조홈
30 : 이송벨트 31 : 경사면
32 : 상면 33 : 마찰돌부
34 : 홈 40 : 구동모터
P : 판유리

Claims (5)

  1.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벨트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홈(21) 내주면으로 보조홈(22)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이송롤러(20);
    띠 형상으로 상기 이송롤러(20)들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벨트홈(21)에 끼워져 상기 이송롤러(20)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벨트(30);및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송롤러(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0);를 포함하는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이송롤러(20)의 벨트홈(21)에 끼워지는 양단이 상광하협 구조를 갖되, 기울기 각도가 2도 이상 4도 이하로 형성된 경사면(31)을 형성하고, 판유리(P)가 밀착되는 상면(32)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으로 마찰돌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돌부(33)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2. 삭제
  3.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벨트홈(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벨트홈(21) 내주면으로 보조홈(22)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있는 이송롤러(20);
    띠 형상으로 상기 이송롤러(20)들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벨트홈(21)에 끼워져 상기 이송롤러(20)의 회전력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벨트(30');및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이송롤러(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0);를 포함하는 판유리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이송롤러(20)의 벨트홈(21)에 끼워지는 양단이 상광하협 구조를 갖되, 기울기 각도가 2도 이상 4도 이하로 형성된 경사면(31)을 형성하고, 판유리(P)가 밀착되는 상면(32)의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면으로 마찰돌부(3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돌부(33') 내주면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찰돌부(33')가 상기 이송롤러(20)의 보조홈(22)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30')는 상기 홈(34)의 간격이 8mm 내지 10mm이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유리 이송장치.
KR1020110005791A 2010-12-14 2011-01-20 판유리 이송장치 KR101195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127323 2010-12-14
KR1020100127323 2010-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62A KR20120066562A (ko) 2012-06-22
KR101195861B1 true KR101195861B1 (ko) 2012-10-30

Family

ID=4668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791A KR101195861B1 (ko) 2010-12-14 2011-01-20 판유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985A (ko) 2018-01-31 2019-08-08 강구만 유리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79254A (zh) * 2014-06-03 2014-08-13 南通市苏中纺织有限公司 一种自动络筒机的空管输送装置
CN109823775B (zh) * 2019-01-17 2024-03-19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头部加宽式皮带输送机及其工作方法
CN112340450B (zh) 2020-10-27 2022-08-23 中国建材国际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平板玻璃生产线立体输送装置及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985A (ko) 2018-01-31 2019-08-08 강구만 유리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562A (ko) 201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5861B1 (ko) 판유리 이송장치
US7900768B2 (en) Split-level singulator
RU2592759C2 (ru) Лента с роликами поперечного вращ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ер
JP2011016595A (ja) シート反転装置
TW200410888A (en) Conveyor of sheet body
WO2015174524A1 (ja) ガラス基板搬送装置
KR200441595Y1 (ko) 이동안내장치가 구비된 계란이송장치
KR100966480B1 (ko) 수직 이송장치
JP6541156B2 (ja) コンベア装置
JP6122582B2 (ja) フック式搬送コンベヤ
JP4217975B2 (ja) 搬送装置
JP2009107764A (ja) コンベヤ乗り継ぎ装置
CN105129320A (zh) 立式连续型循环载运助力货运电梯
JP5444585B2 (ja) 搬送装置
JP2014091587A (ja) 移載装置を備える搬送装置
KR20150010933A (ko) 벨트 컨베이어
KR101853798B1 (ko) 기판 이송 장치
CN109051051B (zh) 一种应用于导光板的输送装置
JP2003300615A (ja) 搬送装置
KR20110095012A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기판 처리 장치
TW201515969A (zh) 具有漸斜面滾軸的輸送系統
KR102224868B1 (ko) 벨트컨베이어 장치
KR101497956B1 (ko) 롤러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시스템
KR101077485B1 (ko) 기판 이송용 아이들 롤러 장치
CN207618409U (zh) 一种带有围边的皮带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