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630B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630B1
KR101194630B1 KR1020110092795A KR20110092795A KR101194630B1 KR 101194630 B1 KR101194630 B1 KR 101194630B1 KR 1020110092795 A KR1020110092795 A KR 1020110092795A KR 20110092795 A KR20110092795 A KR 20110092795A KR 101194630 B1 KR101194630 B1 KR 101194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orage object
light
glas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김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태 filed Critical 김형태
Priority to KR102011009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6Devices for connecting a suspension wire to a pi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자의 골격을 메인몸체(10)가 형성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전면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의 가장자리에는 전면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전면부(16)에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게 경사측면부(17)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10)는 그 후방이 개방되어 있어 후방으로부터 오는 빛을 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경사측면부(17) 내면에는 반사부(20)가 구비되어 메인몸체(10)의 후방에서 온 광을 상기 개구부(12)로 반사한다.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면에는 체결구(22)가 설치되는데, 상기 체결구(22)가 관통하게 스페이서(24)가 설치되어 보관대상물이 설치되는 보관대상물안착부가 메인몸체(10)의 내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2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액자의 후방에서 온 빛이 반사부(20)에 의해 반사되어 개구부(12)로 전달되어 보관대상물을 조명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액자의 보관대상물을 별도의 조명없이도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자{Frame}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자의 후방에서 오는 빛을 사용하여 액자에 보관되는 보관대상물을 조명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사진, 그림 등 보관대상물을 내부에 넣어 보존, 전시,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로 사각형 형상이다. 액자를 만드는 재료로는 목재뿐만 아니라 경금속이나 유리,플라스틱을 사용하고 종이를 사용하여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액자 표면에 유리를 끼우게 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수채화, 판화, 소묘화, 사진 등을 보관하는 경우에 그러하고 유화의 경우에는 유리를 끼우지 않는 것이 원칙이고, 유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은 액자는 주로 벽에 부착하거나 책상이나 가구 상에 안착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액자는 실내에서 제공되는 조명이 보관대상물을 비추게 되어 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별도의 조명을 사용하지 않으나, 액자의 보관대상물을 비추기 위해 별도의 조명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실내의 액자에 제공되는 조명은 순방향 광선이어서 보관대상물을 단순하게 비추어 밝게 하는 역할만을 할 뿐이다.
한편, 액자의 메인몸체는 일반적으로 불투명 재질로 만들어지고 종래의 액자의 경우는 순방향 광선이 들어오므로 상대적으로 액자의 외관이 단조로운 문제점도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일본공개실용 소50-028097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액자의 내부에 광원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커지고 광원의 사용을 위해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므로 액자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창문에 설치하여 실외에서 들어오는 광을 사용하여 액자의 보관대상물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광을 사용하여 액자의 외관인 메인몸체를 보다 다양하게 꾸며주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전면부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보관대상물을 볼 수 있도록 보관하는 보관대상물안착부와, 상기 메인몸체에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의 후방에 위치되는 유리창의 유리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유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유리창의 유리를 통과하여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로 전달한다.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와 상기 메인몸체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내면과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 사이를 통해 빛이 전달된다.
상기 메인몸체의 내면에는 메인몸체의 후방에서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메인몸체의 경사측면부의 경사진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몸체의 내면에 경사진 반사면이 구비된 반사부가 설치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는 보관대상물이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상에 안착되고 보관대상물의 가장자리를 가려주는 매트판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둘러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메인몸체의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측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몸체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중 최후단의 것의 전면부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보관대상물을 볼 수 있도록 보관하는 보관대상물안착부와, 상기 메인몸체에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의 후방에 위치되는 유리창의 유리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유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유리창의 유리를 통과하여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로 전달한다.
상기 메인몸체 들 사이와 상기 메인몸체와 보관대상물안착부 사이에는 상기 체결구가 관통하는 스페이서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몸체의 사이 또는 상기 메인몸체의 내면과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 사이를 통해 빛이 전달되고,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의 내면에는 메인몸체의 후방에서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메인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둘러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메인몸체의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측면부를 포함하고 선단의 것이 후단의 것에 비해 크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중 최후단의 것을 제외한 나머지에는 다수개의 관통부가 형성되어 후방에서 전달된 빛이 통과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중 최후단의 것에 형성된 안착부고정판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보관대상물을 볼 수 있도록 보관하는 보관대상물안착부와, 상기 안착부고정판에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의 후방에 위치되는 유리창의 유리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유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유리창의 유리를 통과하여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로 전달한다.
상기 메인몸체는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중 최후단의 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서로 겹쳐지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최후단의 메인몸체는 상기 전면부만이 나머지 메인몸체의 전면부와 겹쳐지고 상기 경사측면부는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최후단의 메인몸체와 그 앞의 메인몸체의 경사측면부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의 안착부고정판은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의 전면부 가장자리에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광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의 경사측면부 내면에 구비되는 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광통공을 통해 상기 개구부로 전달된다.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를 제외한 메인몸체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메인몸체의 후방에서 전달된 광이 통과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창문 등 액자의 후방에서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액자에 보관되는 보관대상물을 조명하므로 액자 내의 보관대상물을 별도의 조명없이도 밝게 보이도록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액자의 후방에서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메인몸체 자체를 조명할 수 있어 액자의 외관인 메인몸체를 역광을 사용하여 보다 화려하게 꾸밀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액자를 진공흡착판을 사용하여 유리에 부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액자를 와이어로 달아내려 설치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액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몸체(10)는 전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으로 그 전면에는 전면개구부(12)가 형성되고 배면에는 배면개구부(13)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개구부(12)와 배면개구부(13)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전면과 후면을 각각 개구하게 된다. 상기 전면개구부(12)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보관대상물을 볼 수 있고, 상기 배면개구부(13)를 통해서는 메인몸체(10)의 후방으로부터 오는 빛이 메인몸체(10)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면개구부(13)는 상기 메인몸체(10)의 배면 전체에 해당되는 것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메인몸체(10)의 배면의 일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각종 부품과 보관대상물이 위치된다. 참고로 상기 전면개구부(12)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메인몸체(10)는 전체가 투명재질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는 상기 전면개구부(12)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메인몸체(10)의 부분이 전면부(16)이다. 상기 전면부(16)에서 연장되어 경사측면부(17)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메인몸체(10)는 사각형상이므로 상기 경사측면부(17)는 4 방향으로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다.
참고로, 상기 메인몸체(10) 배면의 배면개구부(13)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메인몸체(10)의 경사측면부(17)에서 상기 전면부(16)와 평행하게 배면부(도시되지 않음)가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배면부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는 메인몸체(10)의 후방에서부터 광을 전달받아 통과시켜 내부공간(14)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에는 반사부(20)가 설치된다. 상기 반사부(20)는 상기 메인몸체(10)와 별개로 만들어지거나, 상기 메인몸체(10)의 자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부(20)는 상기 배면개구부(13)를 통해서 들어온 광을 반사하여 상기 내부공간(14)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부(20)는 상기 경사측면부(17)의 내면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반사부(20)는 예를 들어 상기 경사측면부(17)의 내면에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상기 메인몸체(10)와는 별개로 만들어진 광학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0)에는 체결구(2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22)는 상기 메인몸체(10)와 아래에서 설명될 스페이서(24), 매트판(26), 지지판(28) 및 보강판(30) 등을 일체로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구(22)의 일단부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전면부(16)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물론, 상기 메인몸체(10)의 전면부(16)로 노출되지 않고 전면부(16)에 대응되는 내면에 일단부가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구(22)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볼트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가 결합되어 특정한 위치에 너트가 위치됨에 의해 체결구(22)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너트로는 캡형태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액자의 전면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2)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10)에 체결되는 것으로, 스페이서(24)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24)는 상기 메인몸체(10)의 전면부(16) 내면과 아래에서 설명될 매트판(26)의 사이에 통로를 형성하여 빛이 상기 반사부(20)에서 반사되어 내부공간(14)의 중앙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스페이서(24)는 상기 체결구(22)가 있는 부분에 구비되는 원통형상 또는 사각기둥형상이다. 물론, 상기 전면부(16)의 내면 전체를 둘러 상기 스페이서(24)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스페이서(24)가 상기 메인몸체(10)의 전면부(16) 내면과 매트판(26)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몸체(10)의 전면부(16) 내면과 매트판(26)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상기 스페이서(24)는 투명하여 빛을 잘 통과시키도록 해야 한다.
참고로 상기 스페이서(24)의 역할을 상기 체결구(22)가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구(22)의 중간쯤에 돌출구조가 있어 매트판(26) 등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22)에 의해 매트판(26), 지지판(28) 및 보강판(30) 등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매트판(26)은 보관대상물의 가장자리를 가려주는 부분으로 그 중앙에 소정의 크기로 보관대상물을 노출시키는 매트개구부(도면부호 부여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28)은 보관대상물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보강판(30)은 상기 지지판(28)의 배면을 지지하여 주는 부분으로, 상기 체결구(22)에 의한 체결력이 직접 지지판(28)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판(28)이 2장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보관대상물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라면 한 장만 있어도 된다. 상기 보강판(30)도 상기 지지판(28)의 두께가 충분하다면 별도로 없어도 된다.
참고로, 상기 매트판(26), 지지판(28) 그리고 보강판(30)은 보관대상물을 보관하는 기능을 하는 부분이다. 이를 보관대상물안착부라고 부르기로 한다. 그리고, 이들 구성은 반드시 도시된 실시예의 것과 동일할 필요는 없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즉, 최소한 상기 매트판(26)과 지지판(28)만 있으면 보관대상물의 보관이 가능하므로, 이들만 있어도 상관은 없다. 또한, 보관대상물에 따라서는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 전체를 투명재질로 만들어 액자를 더욱 화려하게 만들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메인몸체(110)가 판형상이다. 즉,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와는 달리 메인몸체(110)에 내부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판으로 메인몸체(110)가 만들어지고 중앙에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개구부(112)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이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타원형 등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110)의 내면에는 반사부(120)가 구비된다. 상기 반사부(120)는 상기 개구부(112)의 가장자리와 대응되는 위치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120)는 상기 메인몸체(110)의 후방에서 온 빛을 상기 개구부(112)쪽으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부(120)에는 반사면(1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반사면(120')은 상기 메인몸체(110)의 내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된다. 이는 상기 반사면(120')에 의해 빛이 상기 개구부(112)쪽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메인몸체(110)에는 체결구(122)가 설치된다.상기 체결구(122)는 본 실시예에서 일단부가 상기 메인몸체(110)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타단부가 메인몸체(1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체결구(122)의 일단부는 상기 메인몸체(110)의 전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110)의 내면에 고정되어 타단부가 메인몸체(11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메인몸체(110)의 후면에는 스페이서(124)가 상기 체결구(122)가 관통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124)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110)의 후면과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보관대상물안착부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124)는 좋기로는 상기 체결구(122)가 있는 부분에만 구비되는 원통 또는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의 것이다. 하지만, 투명하여 빛의 통과가 자유로운 것이라면 상기 개구부(112)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의 구성은 매트판(126), 지지판(128) 및 보강판(130)으로 되는데, 구체적인 설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되므로 생략한다.
한편, 도 5에서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몸체(210,210',210")가 다수개가 겹쳐지게 구비되어 구성된다. 물론, 상기 메인몸체(210,210',210")는 모두가 배면이 개방되어 있다. 하지만 앞에 있는 것에서 부터 뒤로 갈수록 크기가 작아져서 최선단의 메인몸체(210)에 의해 뒤에 있는 메인몸체(210',210")가 가려져서 전방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몸체(210,210',210')를 측면에서 보면 가장 선단의 메인몸체(210)만이 보이고 배면에서 보면 상기 메인몸체(210,210',210')의 후단 가장자리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된다.
상기 메인몸체(210,210',210")는 각각 개구부(212)가 중앙에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각 메인몸체(210,210',210')에 형성된 것이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몸체(210,210',210")는 상기 개구부(212)의 가장자리를 둘러 구비되는 전면부(216)와 상기 전면부(216)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측면부(217)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부(216)는 상기 개구부(212)를 둘러 구비되는 사각형의 평면이다. 물론 상기 메인몸체(210,210',210")가 반드시 본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형상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면부(216)와 경사측면부(217)가 일체로 된 곡면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210,210')들에는 각각 관통부(218)들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18)들은 액자의 후방에서 온 빛이 상기 메인몸체(210,210',210")를 통과해서 전방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관통부(218)들은 각각이 메인몸체(210,210')에서 서로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고, 앞쪽에 있는 것이 클수록 좋다. 이는 선단의 메인몸체(210)의 관통부(218)의 영역 내에 상대적으로 후단에 있는 관통부가 위치되어 소정의 무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메인몸체(210,210',210")들은 모두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는 것이 좋으나, 선단의 메인몸체(210)는 불투명으로 되는 것이 좋다. 이는 메인몸체(210)의 관통부(218)를 보다 선명하고 화려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후단의 메인몸체(210")의 내면에는 반사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반사부(220)는 액자의 후방에서 온 빛이 상기 개구부(212)쪽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반사부(220)는 모든 메인몸체(210,210',210")에 있을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반사부(220)는 메인몸체가 투명인 재질로 된 경우에는 메인몸체(210,210',210")를 전방에서 볼 때 표시가 날 수 있고 빛이 투과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나, 최소한의 영역에 형성하여 빛을 반사하도록 하면 된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210,210',210")들을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하고 아래에서 설명될 보관대상물안착부를 고정하기 위해서 체결구(22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222)는 최선단의 메인몸체(210)의 전면으로 일단부가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222)의 구성은 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것들과 거의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체결구(222)가 각각 관통하게 상기 메인몸체(210,210',210")의 내면에는 각각 스페이서(224)가 설치된다. 상기 스페이서(224)는 메인몸체(210,210',210")들의 사이와 메인몸체(210")와 보관대상물안착부와의 사이의 간격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224)의 구성 또한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의 구성도 본 실시예의 것이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것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부호는 도 2에 도시된 것의 200단위로 한다.
다음으로,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몸체(310,310',310")는 역시 내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메인몸체(310,310',310")는 다수개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앞의 2개의 메인몸체(310,310')는 서로 겹쳐져 있고, 최후단의 메인몸체(310")는 일부만이 상기 메인몸체(310,310')들과 밀착되어 결합되어 있다. 참고로 앞의 두 개의 메인몸체(310,310')는 전면부(316,316')만 겹쳐지고 경사측면부(317)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310,310',310")는 모두 개구부(312)를 가지는데, 이들 개구부(312)는 각각의 메인몸체(310,310',310")의 것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앞쪽의 개구부(312)에 비해 뒤쪽의 개구부(312)가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되면, 후단의 메인몸체의 개구부(312)를 앞쪽의 메인몸체가 가려줄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메인몸체(310,310',310")들은 상기 개구부(312)의 가장자리를 둘러 전면부(316,316")를 가진다. 이들 전면부(316,316')들은 모두 상기 개구부(312)를 향해 소정의 경사지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316,316")에서 각각 연장되어 경사측면부(317,317")가 형성되는데, 앞의 두 개의 메인몸체(310,310')의 경사측면부(317)와 최후단의 메인몸체(310")의 경사측면부(317")는 서로 각도가 다르게 연장된다. 따라서, 앞의 두 개의 메인몸체(310,310')의 경사측면부(317)와 최후단의 메인몸체(310')의 경사측면부(317")는 그 후단에서 가장 넓은 간격을 가지도록 벌어진다. 이 사이를 통해 상기 앞의 두 개의 메인몸체(310,310')의 경사측면부(317) 내면으로 빛이 전달된다. 상기 최 후단의 메인몸체(310')의 경사측면부(317") 내면으로도 빛이 전달되어 상기 개구부(312)로 빛이 전달된다.
상기 경사측면부(317")의 내면에는 반사부(320)가 형성된다. 상기 반사부(320)는 액자의 후방에서 온 빛을 상기 개구부(312)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부(320)의 구성은 앞에서도 잘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310")의 전면부(316") 내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게 안착부고정판(321)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고정판(321)은 상기 전면부(316")와의 연결이 연결부(32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21')는 상기 안착부고정판(321)과 전면부(316")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321')에는 광통공(3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통공(321")은 액자의 후방에서 전달된 빛이 상기 반사부(320)를 거쳐 상기 개구부(312)로 전달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연결부(321')는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아치형상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안착부고정판(321)의 전면에는 액자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개구부(312)를 통해 보관대상물이 보일수 있도록 보관대상물안착부가 설치된다.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부호는 300단위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액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의 유리(34)에 진공흡착판(32)을 사용하여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진공흡착판(32)은 유연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져 유리(34)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기가 없도록 하여 진공흡착되는 것이다. 상기 진공흡착판(32)은 상기 체결구(22)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10에는 와이어(36)를 사용하여 액자를 유리창의 유리(34) 앞에 설치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36)의 일단은 유리창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이나 상기 프레임이 설치되는 벽체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액자의 체결구(22)에 고정되면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액자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액자는 액자의 후방에서 빛이 액자의 내부로 들어와서 보관대상물을 비추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도 1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가 유리(34)의 앞에 설치되면 후방에서 전달된 빛이 도 2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메인몸체(10)의 내부공간(14)으로 액자의 후방을 통해 들어가고, 상기 반사부(20)에서 반사되어 상기 개구부(12)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개구부(12)측으로 전달된 빛은 상기 개구부(12) 전방 및 내부공간(14)의 내측인 매트판(26)의 내측에 있는 보관대상물로 전달된다. 따라서, 보관대상물안착부에 있는 보관대상물이 조명되어 밝게 보이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메인몸체(10)의 전면부(16)에 비해 상기 개구부(12)가 밝게 되면서 보관대상물을 사람들이 보다 쉽게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인몸체(110)가 판상으로 되어 있고 그 내면에 반사부(120)가 설치되어 액자의 후방에서 오는 빛이 반사부(120)의 반사면(120')에 의해 반사되어 보관대상물안착부의 전방에 대응되는 개구부(112)근처로 전달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빛이 보관대상물 쪽으로 전달되는 것은 화살표로 잘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자의 후방에서 온 빛이 액자의 메인몸체(210,210',210")의 내면에서 반사되어 전달된다.
먼저, 최선단의 메인몸체(210)와 그 후방의 메인몸체(210')의 내면으로 전달된 빛은 주로 상기 관통부(218)를 통해 전달되어 메인몸체(210)가 전방에서 볼 때 화려하게 보이도록 한다. 상기 메인몸체(210,210')가 투명인 경우에는 마치 불을 켠 듯한 느낌을 주고, 상기 관통부(218)를 통해 빛이 전방으로 전달되면서 색다른 느낌을 준다. 한편 메인몸체(210)가 불투명인 경우에는 주로 상기 관통부(218)를 통해 빛이 나오면서 액자의 외관을 화려하게 만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210")의 내면으로 전달된 빛은 주로 상기 개구부(212)로 전달되어 상기 보관대상물을 조명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보관대상물이 조명됨으로 인해 보관대상물을 잘 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선단에 겹쳐진 메인몸체(310,310')를 통해서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빛이 역할을 한다. 물론, 설명은 하지 않았지만, 상기 메인몸체(310,310')에도 관통부가 서로 전체가 겹쳐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310,310')가 투명인 경우와 불투명인 경우에 각각 다양한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310")의 내면으로 온 빛이 상기 반사부(32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광통공(321")을 통해 개구부(312)쪽으로 전달되어 보관대상물을 조명하게 된다. 따라서, 보관대상물을 사람이 보다 잘 볼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메인몸체 12: 개구부
14: 내부공간 16: 전면부
17: 경사측면부 18: 배면부
20: 반사부 22: 체결구
24: 스페이서 26: 매트판
28: 지지판 30:보강판
32: 진공흡착판 34: 유리
36: 와이어 110: 메인몸체
112: 개구부 120: 반사부
120': 반사면 122: 체결구
124: 스페이서 126: 매트판
128: 지지판 130: 보강판
210,210',210": 메인몸체 212: 개구부
216: 전면부 217: 경사측면부
218: 관통부 220: 반사부
222: 체결구 224: 스페이서
226: 매트판 228: 지지판
230: 보강판 310,310',310": 메인몸체
312: 개구부 316, 316": 전면부
317, 317": 경사측면부 320: 반사부
322: 체결구 321: 안착부고정판
321': 아치형연결부 321": 광통공
326: 매트판 328: 지지판

Claims (15)

  1.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부에 개구부(12,120)가 형성되는 메인몸체(10,110)와,
    상기 메인몸체(10,110)의 전면부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12,112)를 통해 보관대상물을 볼 수 있도록 보관하는 보관대상물안착부와,
    상기 메인몸체(10,110)에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체결구(22,122)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10,110)의 후방에 위치되는 유리창의 유리(34)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유리(3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유리창의 유리(34)를 통과하여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로 전달하는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와 상기 메인몸체(10,110)의 내면과의 사이에는 상기 체결구(22,122)가 관통하는 스페이서(24,124)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몸체(10,110)의 내면과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 사이를 통해 빛이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10,110)의 내면에는 메인몸체(10,110)의 후방에서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20,12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20,120)는 상기 메인몸체(10)의 경사측면부(17)의 경사진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몸체(110)의 내면에 경사진 반사면(120')이 구비된 반사부(120)가 설치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는 보관대상물이 지지되는 지지판(28,128)과 상기 지지판(28,128)상에 안착되고 보관대상물의 가장자리를 가려주는 매트판(26,126)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10)는 상기 개구부(12)의 가장자리를 둘러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부(16)와 상기 전면부(16)에서 메인몸체(10)의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측면부(17)를 포함하는 액자.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110)는 판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8.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부(216)에 개구부(212)가 형성되며 다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메인몸체(210,210',210")와,
    상기 메인몸체(210,210',210")중 최후단의 것의 전면부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212)를 통해 보관대상물을 볼 수 있도록 보관하는 보관대상물안착부와,
    상기 메인몸체(210,210',210")에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체결구(222)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210,210',210")의 후방에 위치되는 유리창의 유리(34)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유리(3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유리창의 유리(34)를 통과하여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로 전달하는 액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210,210',210") 들 사이와 상기 메인몸체(212")와 보관대상물안착부 사이에는 상기 체결구(222)가 관통하는 스페이서(224)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몸체(210,210',210")의 사이 또는 상기 메인몸체(210")의 내면과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 사이를 통해 빛이 전달되고,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210")의 내면에는 메인몸체(210")의 후방에서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쪽으로 반사하는 반사부(20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210,210',210")는 상기 개구부(212)의 가장자리를 둘러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부(216)와 상기 전면부(216)에서 메인몸체(210,210',210")의 후방을 향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측면부(217)를 포함하고 선단의 것이 후단의 것에 비해 크게 형성되는 액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210,210',210")중 최후단의 것을 제외한 나머지에는 다수개의 관통부(218)가 형성되어 후방에서 전달된 빛이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2. 배면이 개방되고 전면부(316,316")에 개구부(312)가 형성되며 다수개가 설치되는 메인몸체(310,310',310")와,
    상기 메인몸체(310,310',310")중 최후단의 것에 형성된 안착부고정판(321)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312)를 통해 보관대상물을 볼 수 있도록 보관하는 보관대상물안착부와,
    상기 안착부고정판(321)에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가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체결구(322)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310,310',310")의 후방에 위치되는 유리창의 유리(34)의 표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유리(34)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유리창의 유리(34)를 통과하여 온 빛을 상기 보관대상물로 전달하는 액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310,310',310")는 상기 개구부(312)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전면부(316,316")와 상기 전면부(316,316")에서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측면부(317,317")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몸체(310,310',310")중 최후단의 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서로 겹쳐지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최후단의 메인몸체(310")는 상기 전면부(316")만이 나머지 메인몸체(310,310')의 전면부(316)와 겹쳐지고 상기 경사측면부(317")는 다른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최후단의 메인몸체(310")와 그 앞의 메인몸체(310')의 경사측면부(317,317") 사이에 틈새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대상물안착부의 안착부고정판(321)은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310")의 전면부 가장자리에 연결부(321')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321')에는 광통공(321")이 형성되어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310")의 경사측면부(317") 내면에 구비되는 반사부(320)에 의해 반사된 광이 상기 광통공(321")을 통해 상기 개구부(312)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단의 메인몸체(310")를 제외한 메인몸체(310,310')에는 관통부(312)가 형성되어 메인몸체(310")의 후방에서 전달된 광이 통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1020110092795A 2011-09-15 2011-09-15 액자 KR101194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95A KR101194630B1 (ko) 2011-09-15 2011-09-15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2795A KR101194630B1 (ko) 2011-09-15 2011-09-15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4630B1 true KR101194630B1 (ko) 2012-10-29

Family

ID=4728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2795A KR101194630B1 (ko) 2011-09-15 2011-09-15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3904A1 (fr) * 2019-03-18 2020-09-25 Guillaume Albouy Objet decoratif retro-eclai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739Y1 (ko) 2001-01-19 2001-09-29 정재권 액자 조명
KR200238869Y1 (ko) 1998-08-06 2002-04-22 손창민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JP2008119055A (ja) 2006-11-08 2008-05-29 Tenyo Co Ltd 額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869Y1 (ko) 1998-08-06 2002-04-22 손창민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KR200237739Y1 (ko) 2001-01-19 2001-09-29 정재권 액자 조명
JP2008119055A (ja) 2006-11-08 2008-05-29 Tenyo Co Ltd 額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3904A1 (fr) * 2019-03-18 2020-09-25 Guillaume Albouy Objet decoratif retro-eclai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2206A1 (en) Display Device
JP6323559B2 (ja) 音響構造体
TW200703167A (en) Multiple reflection panel
US7661216B1 (en) Illuminated picture frame
JP2019088850A (ja) 照明付き鏡および洗面化粧台
KR101525236B1 (ko) 양면형 광고 간판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하는 간판
JP7174448B2 (ja) 照明付き鏡
KR101194630B1 (ko) 액자
US5251391A (en) Illuminant photo frame
US11067232B2 (en) Modular ceiling kit
JP2009082303A (ja) 遊技機
KR200425571Y1 (ko) 진열장 조명장치
US20050117330A1 (en) Light illuminated photo frame
US20170184279A1 (en) Diffusing reflector for linear arrays of finite point light sources
JP7224059B2 (ja) 側壁構造及びエントランス
JP2013114183A (ja) 看板
KR20090070654A (ko) 등 기구
JP6375432B2 (ja) 照明装置
KR200342257Y1 (ko) 장식용 액자
KR101531219B1 (ko) 조명장치
JP5193081B2 (ja) 面発光建築用パネル
JP2010010032A (ja) 電子機器の照明構造
KR20090067268A (ko) 벽면형 조명기구
JP5491121B2 (ja) 洗面カウンター
USD570985S1 (en) Combination ceiling fan and light fix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