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869Y1 -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 Google Patents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869Y1
KR200238869Y1 KR2019980014822U KR19980014822U KR200238869Y1 KR 200238869 Y1 KR200238869 Y1 KR 200238869Y1 KR 2019980014822 U KR2019980014822 U KR 2019980014822U KR 19980014822 U KR19980014822 U KR 19980014822U KR 200238869 Y1 KR200238869 Y1 KR 200238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rame
light
plat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402U (ko
Inventor
손창민
Original Assignee
손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민 filed Critical 손창민
Priority to KR2019980014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86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4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86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전면공을 형성한 틀(4)과, 상기 틀(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면판(8)과, 상기 틀(4)에 고정핀 (18)에 의하여 결합되는 후면판(16)으로 구성된 액자(2)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8)과 후면판(16) 사이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기재위에 형성된 화상(10)을 설치하고, 상기 화상(10)의 후방에 화상(10)의 전면을 비추고 발광시 열을 적게 방출하거나 방출하지 않는 냉면상 발광수단(14)을 설치한 것으로서, 화상(10)을 골고루 조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질을 향상시키고 종래와 같이 발광수단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하여 화상(10)이 열화되거나 탈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
본 고안은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자의 내측에 사진이나 그림의 후방에서 전면을 비추며 발광시 열이 적게 발생되거나 발생하지 않는 발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화상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질을 향상시키고 화상이 열에 의해 열화 및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액자에 사진이나 그림(이하 "화상"이라고 칭함)의 바로 뒤쪽에 발광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어두운 곳에서도 원하는 화상을 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에 따른 조명효과에 따라 미적효과를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야간조명등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에 가족사진 등을 끼워 자녀방에서 야간조명등으로 활용할 경우에는 부모와 떨어져 자야하는 자녀를 안심시켜 편안하게 잠들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는 종래에는 액자 주변에 할로겐 램프(Halogen Lamp)나 형광등(Fluorescent Lamp)을 설치하거나 액자에 발광 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를 설치함으로써 미적효과를 증진시키거나 야간조명등으로 활용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는 화상에 균일한 조명이 되지 못하여 화질이 저하되고 조명에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발광다이오드 및 활로겐 램프등은 열이 다량 발생하여 사진이나 그림을 열화시켜 화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작은 크기의 화상에 상기와 같은 발광수단을 적용시키기에는 형광등이나 할로겐 램프의 조명시스템이 너무 크거나, 여러개의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액자의 내측에 사진이나 그림의 후방에서 전면을 비추며 발광시 열이 적게 발생되거나 열이 발생하지 않는 발광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진이나 그림의 화상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질을 향상시키고 사진이나 그림이 열에 의해 열화 및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측에 전면공을 형성한 틀과, 상기 틀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면판과, 상기 틀에 고정핀에 의하여 결합되는 후면판으로 구성된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투명 또는 반투명한 기재위에 형성된 화상을 설치하고, 상기 화상의 후방에 화상 전면을 비추고 발광시 열을 적게 방출하거나 방출하지 않는 냉면상 발광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냉면상 발광수단의 제 1 실시예로서 냉음극발광관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냉면상 발광수단의 제 2 실시예로서 전계발광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냉면상 발광수단의 제 3 실시예로서 축광판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액자 4 : 틀
8 : 전면판 10 : 화상
14 : 냉면상 발광수단 16 : 후면판
18 : 고정핀 20 : 광센서
32 : 냉음극발광관 유닛 34 : 냉음극관
36 : 홀더 40 : 프리즘시트
42 : 확산시트 44 : 도광판
46,76 : 전반사판 52 : 전계발광 유닛
54 : 투명전극 56,60 : 유전체 또는 절연체박막
58 : 형광체박막 62 : 금속전극
72 : 축광수단 74 : 축광판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이하 "화상(10)"이라고 칭함.)의 전면을 비추고 열발생이 적거나 없는 냉면상 발광수단(Cold Plane Backlight ; 14)을 액자(2)의 내측에 구비하여 화상(10)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질을 향상시키고 화상(10)이 발광수단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화되거나 탈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상(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를 도 1 그리고 도 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는 틀(4)과, 상기 틀(4)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방의 화상(10)을 보호하는 전면판(8)과, 상기 전면판(8)의 후방에 설치되는 냉면상 발광수단(14)과, 상기 냉면상 발광수단(14)의 후방에 설치되고 틀 (4)의 고정핀(18)에 의하여 틀(4)과 결합되는 후면판(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8)은 액자(2)에 끼워진 화상(10)이 잘 보이도록 투명유리 또는투명필름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화상(10)은 통상의 불투명 인화지나 종이가 아닌 투명 또는 반투명한 기재(유리 또는 투명필름)위에 복사되거나 프린트되거나 인화되거나 그려지거나 전사된다.
그리고 상기 냉면상 발광수단(14)은 발광시 적은 열이 발생하거나 열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서 화상(10)의 전면을 비출 수 있도록 상기 화상(10)과 같은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면상 발광수단(14)은 화상(10)에 자연스러운 색상이 나타나도록 백색광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전면 화상을 원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색상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10)의 명도나 채도가 부족할 경우에는 화상(10)과 냉면상 발광수단(14) 사이에 종이 또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제작된 백색의 반투명판(12)을 설치함으로써, 밝은 장소에서는 외부광이 투명기재상의 화상(10)을 통과한 후에 충분히 반사되어 화상(10)이 잘 보이게 되고 어두운 곳에서는 냉면상 발광수단(14)으로부터 발생된 광이 화상(10)에 충분히 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판(16)은 화상(10)을 전면판(8)과 함께 보호하면서 유지하도록 하고, 두꺼운 종이나 금속판의 재질로 제작되고 후부에는 거울역할을 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번호 ' 6 '은 받침대를 표시한 것이고 본 고안에 의한 액자(2)가 벽걸이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별도의 받침대(6)가 필요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는 냉면상 발광수단(14)에서 적은 열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빛이 방출되면 상기 빛이 냉면상 발광수단(14)의 전방에 설치된 화상(10)에 도달된다. 그러면 상기 화상(10)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기재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빛이 투과되어 야간에도 상기 화상(10)을 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냉면상 발광수단(14)을 도 3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실시예로서 냉음극발광관 유닛(Cold Cathod Fluorescent Tube Unit ; 32)을 도 3과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냉음극발광관 유닛(32)은 냉열광원으로서의 냉음극관(34)과, 상기 냉음극관(34)을 보호고정시켜주는 홀더(36)와, 상기 광원의 빛을 전도시키기 위한 매질이 되는 도광판(44)과, 상기 냉음극관(34)에서 방출되는 빛을 전반사시키는 전반사판(46)과, 광원으로부터의 빛이 도광판(44)을 거쳐서 화상(10) 모든 면에 골고루 퍼지게 분배시켜 주는 프리즘시트(40) 및 확산시트(42)와, 전압/전류 조정수단과,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수단과,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음극관(34)은 화면이 대면적일 경우 냉음극관(34)을 도광판(44)의 4군데 각변에 2개이상을 적절히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압/전류 조정수단은 냉음극관(34)이 발광하도록 충분한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약한 전압을 강한 전압으로, 직류교류(DC)를 교류전류(AC)로 전환해 주는 인버터(38)가 사용된다. 상기 인버터(38)는 DC 5V∼12V가 입력되면 AC300Vrms∼700Vrms와 약 45KHz의 주파수로 출력시켜 냉음극관(34)이 발광되도록 한다.
상기 냉음극관(34)에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수단은 전지 또는 일반전기(100∼200V)를 이용할 수 있도록 어댑터(도시안됨)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틀(4)의 일측에는 전지를 끼우는 전지홀더(36)를 형성하고 상기 전지홀더(36)의 일측에는 어댑터접속부(2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은 일반 전원 스위치 또는 광센서(20)가 사용된다. 상기 광센서(20)를 사용하게 되면 주간에는 광센서(20)가 태양빛이나 일반 전등의 빛을 감지함으로써 냉음극발광관 유닛(32)에 전기에너지를 차단하고 야간에는 광센서(20)가 태양빛이나 일반 전등의 빛을 감지하지 못함으로써 자동적으로 냉음극발광관 유닛(32)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럴 경우, 야간에 집안이나 사무실에 사람이 없을 때도 야간조명 역할을 하므로 방범등으로서도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음극발광관 유닛(32)은 광센서(20)가 빛이 없음을 감지하거나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전지 또는 어댑터에 의하여 DC 5V∼12V가 공급되면 상기 인버터(38)에 의하여 입력된 DC 5V∼12V가 AC 300Vrms∼700Vrms와 약 45KHz의 주파수로 출력되어 냉음극관(34)이 발광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냉음극관(34)에서 적은 열을 수반하는 빛이 방출되면 상기 빛이 도광판(44),프리즘시트(40) 그리고 확산시트(42)를 통하여 화상(10)을 투과함으로써 야간에 액자(2)에 끼워진 화상(10)을 볼 수 있게 되며, 상기 도광판(44)의 후방에는 전반사판(46)이 설치되어 냉음극관(34)에서 방출되는 빛이 손실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냉면상 발광수단(14)의 제 2 실시예로서 전계발광 유닛 (Electroluminescent Unit ; 52)을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계발광 유닛(52)은, 화상(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투명전극(54)과, 상기 투명전극(54) 후방에 설치되는 유전체 또는 절연체박막(56)과, 광원으로서의 형광체박막(58)과, 상기 형광체박막(58) 후방에 설치되는 유전체 또는 절연체박막 (60)과, 상기 유전체 또는 절연체박막(60) 후방에 설치되는 금속전극(62)이 필름사이에 차례로 적층되어 일체화 된다.
그리고 상기 전계발광 유닛(52)의 전압과 전류를 조정하는 수단과,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수단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은 냉음극발광관 유닛(32)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전계발광 유닛(52)은 광센서(20)가 빛이 없음을 감지하거나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전지 또는 어댑터에 의하여 DC 5V∼12V가 공급되면 상기 인버터 (38)에 의하여 입력된 DC 5V∼12V가 AC 300Vrms∼700Vrms와 약 45KHz의 주파수로 출력시켜 투명전극(54)과 금속전극(62)으로 통하게 되어 형광체박막(58)에서 열을 수반하지 않는 빛이 방출된다.
상기와 같이 형광체박막(58)에서 열을 수반하지 않는 빛이 방출되면 상기 빛이 상기 투명전극(54)을 통하여 화상(10)을 투과함으로써 야간에 액자(2)에 끼워진 화상(10)을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금속전극(62)이 형광체박막(58)에서 방출되는 빛을 전반사시킴으로써 빛이 손실되지 않는다.
또한, 냉면상 발광수단(14)의 제 3 실시예로서 축광수단(Stored Light ; 72)을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의 빛이 저장될 수 있거나 야광되는 재질의 광체가 코팅되어 분산설치되어진 축광층인 축광판(74)과, 상기 축광판(72)에서 유출되는 광선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전반사판(76)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광판(74)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및 종이의 재질로 되고, 전반사판 (76)은 보통 거울 특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은이나 수은이 도금된 유리, 금속박 및 필름이 사용된다.
상기 축광수단(72)은 제 1 실시예인 냉음극발광관 유닛(32)이나 제 2 실시예인 전계발광 유닛(52)과는 달리 별도의 전압과 전류를 조정하는 수단과, 전기에너지를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상기 축광판(74)은 주간에 빛을 저장하였다가 야간이나 어두울 때 빛을 방출하는데, 방출된 빛은 상기 전반사판(76)에 의하여 반사되어 상기 축광판(74)의 전방에 설치된 화상(10)을 투과함으로써 특히 야간에 상기 화상(10)을 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는 액자(2)의 내측에 화상(10)의 전면을 비추고 방출되는 열이 적거나 열을 방출하지 않는 냉면상 발광수단(14)을 구비함으로써 화상(10)을 골고루 조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질을 향상시키고 종래와 같이 발광수단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하여 화상이 열화되거나 탈색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상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측에 전면공을 형성한 틀(4)과, 상기 틀(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면판(8)과, 상기 틀(4)에 고정핀(18)에 의하여 결합되는 후면판(16)사이에 화상(10)이 설치되며 화상(10)을 조명하는 광원이 설치되는 액자(2)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냉열광원으로 설치되는 냉음극과(34)과,
    상기 틀(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음극관(34)을 온오프시키는 광센서 (20)와,
    상기 냉음극관(34)이 홀더(36)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냉음극관(34)의 광을 전도시키는 매질이 되는 도광판(44)과,
    상기 도광판(44)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음극관(34)의 광을 전반사시키는 전반사판(46)과,
    상기 도광판(44)의 상면에 설치되어 광원의 빛을 균등하게 확산시키는 확산시트(42)와,
    상기 확산시트(42)와 상기 화상(10)사이의 반투명판(12) 사이에 설치되어 광원의 빛을 상기 화상(10)의 전면으로 광의 손실을 방지하며 확산시키기 위한 프리즘시트(40)으로 구성된 냉음발광관 유닛(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면 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
  2. 내측에 전면공을 형성한 틀(4)과, 상기 틀(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면판(8)과, 상기 틀(4)에 고정핀(18)에 의하여 결합되는 후면판(16)사이에 화상(10)이 설치되며 화상(10)을 조명하는 광원이 설치된 액자(2)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냉열광원으로 설치되는 형광체박막(58)과,
    상기 틀(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형광체박막(58)을 온오프시키는 광센서 (20)와,
    상기 형광체박막(58)의 전후방에 설치되는 절연체박막(56,60)과,
    상기 일측의 절연체박막(56)과 상기 화상(10)사이에 설치되는 투명전극(54)과,
    상기 타측의 절연체박막(60) 후방에 설치되는 금속전극(62)로 구성된 전계발광유닛(5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
  3. 내측에 전면공을 형성한 틀(4)과, 상기 틀(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면판(8)과, 상기 틀(4)에 고정핀(18)에 의하여 결합되는 후면판(16)사이에 화상(10)이 설치되며 화상(10)을 조명하는 광원이 설치되는 액자(2)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냉열광원으로 설치되어 빛이 저장되거나 야광되는 축광체가 코팅되어 분산되는 축광층인 축광판(74)과,
    상기 축광판(74)의 후방에 설치되는 전반사판(76)으로 구성된 축광수단(7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면상 발광수단을 구비한 액자.
KR2019980014822U 1998-08-06 1998-08-06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KR200238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22U KR200238869Y1 (ko) 1998-08-06 1998-08-06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22U KR200238869Y1 (ko) 1998-08-06 1998-08-06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02U KR20000004402U (ko) 2000-03-06
KR200238869Y1 true KR200238869Y1 (ko) 2002-04-22

Family

ID=69516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822U KR200238869Y1 (ko) 1998-08-06 1998-08-06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8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30B1 (ko) 2011-09-15 2012-10-29 김형태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630B1 (ko) 2011-09-15 2012-10-29 김형태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402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1388B1 (en) Illumination apparatus for edge lit signs and display
US4779166A (en) Illuminating apparatus
US7273308B2 (en) Internal illumination based sign device
JPWO2007032187A1 (ja) Led照明光源および停電時自動点灯ledスタンド
WO1998041971A1 (en) Illuminated trash receptacle
KR200430853Y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 액자
KR200238869Y1 (ko) 냉면상발광수단을구비한액자
KR200296222Y1 (ko) 거울 겸용 이미지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01183A (ko) 패시브 인광 광원을 가진 조명시스템
JPH0660830U (ja) 液晶表示装置
JPH10119669A (ja) 字光式ナンバープレート
KR101848709B1 (ko) 간판용 led형광등
KR200305912Y1 (ko) 윈도우 부착용 초슬림 양면 광고 판넬
KR200326014Y1 (ko) 발광시계거울
KR200244860Y1 (ko) 조명장치
KR200297701Y1 (ko) 액자용 발광후면판
KR200202558Y1 (ko) 프로그램 연출형 광고판
CN109147562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3520711B2 (ja) 高輝度誘導灯
KR200210672Y1 (ko) 면발광장치
KR100593730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반사형 조명시트
KR200216418Y1 (ko) 이엘시트를 이용한 액자
KR100534004B1 (ko) 백라이트가 구비된 시계
JP3617241B2 (ja) 照明装置
JP2004171975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