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672Y1 - 면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면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672Y1
KR200210672Y1 KR2020000017179U KR20000017179U KR200210672Y1 KR 200210672 Y1 KR200210672 Y1 KR 200210672Y1 KR 2020000017179 U KR2020000017179 U KR 2020000017179U KR 20000017179 U KR20000017179 U KR 20000017179U KR 200210672 Y1 KR200210672 Y1 KR 2002106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housing
cold cathode
cathode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Original Assignee
김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국 filed Critical 김종국
Priority to KR2020000017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6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6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672Y1/ko
Priority to KR2020010016307U priority patent/KR200261507Y1/ko

Links

Landscapes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전면을 기준으로 일단으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도광판과, 도광판의 일단에 결합되는 반사판과, 반사판 내부에 수납되어 광소오스를 제공하는 램프 어셈블리와, 도광판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양면테이프와, 램프 어셈블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져서, 도광판의 전면이 양면테이프를 통하여 대상물의 전면에 부착되어 광을 공급하는 면발광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면발광장치{SURFACE LIGHT EMITTING DEVICE}
본 고안은 면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악보 등과 같은 대상물에 광을 제공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면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이나 그림이 끼워진 액자에 후방으로부터 광을 공급하는 형태의 백라이트 액자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액자의 기본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광판의 일측에 램프어셈블리를 설치하고 도광판의 전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사진필름이나 실사지를 부착하고 확산시트를 그 위에 부착하며, 도광판의 후면에 반사시트를 부착한 후, 프레임을 덮어 테두리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램프어셈블리의 냉음극형광램프(Cold Cathod Fluorescent Lamp)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도광판으로 입사되어 전면으로 안내된다. 전면으로 안내된 광은 전면에 부착된 사진필름이나 실사지를 통과하여 확산되어 균일화되므로서 필름에 형성된 그림을 인식하기 좋도록 하여 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먼저, 전면에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필름 또는 실사지 및 확산시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필름이나 실사지 및 확산시트는 고가이며, 사용자가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제조단계에서 제조자의 취향대로 선택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그림이 불투명지에 구현된 경우는 원본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필름이나 실사지의 형태로 재가공하여야 하는 부담이 따른다. 또한, 반사시트를 후면에 부착하거나 도광판 자체에 반사를 위한 가공처리를 해야 하므호 원가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음극형광램프의 파손시 사용자가 직접 교체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백라이트 액자에서 램프어셈블리에 냉음극형광램프와 인버터를 함께 설치한다. 따라서, 램프를 교체하려면, 램프전극에 연결된 도선을 제거하기 위해 남땜인두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백라이트 액자는 하나의 세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기존의 액자에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기존의 액자에 적용하려면, 액자를 분해하여 후면에 백라이트를 부착해야 하지만, 구조특성상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백라이트만을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백라이트 액자로부터 백라이트 부분만을 떼어내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대상물이 투명지나 불투명지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면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구조를 전혀 변형하지 않고 광을 공급할 수 있는 면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램프 어셈블리의 교체가 용이한 면발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면발광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램프 어셈블리와 전원공급장치의 커넥터와의 결합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램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면발광장치를 액자에 적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면발광장치를 악보거치대에 적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광이 방출되는 전면을 기준으로 일단으로부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도광판과, 도광판의 일단에 결합되는 반사판과, 반사판 내부에 수납되어 광소오스를 제공하는 램프 어셈블리와, 도광판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부착수단과, 램프 어셈블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지며, 도광판의 전면은 부착수단을 통하여 대상물의 전면에 부착되어 광을 공급한다.
또한, 램프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음극형광램프와, 냉음극형광램프를 수납하는 원통형상의 투명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고 냉음극형광램프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 1 캡과, 냉음극형광램프의 타단과 냉음극형광램프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도선을 지지하고 하우징의 타단을 밀봉하는 제 2 캡과, 제 1 도선, 냉음극형광램프의 타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2 도선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전원단자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캡의 재질은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캡은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내에는 둘 이상의 냉음극형광램프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고, 겹치는 부분은 실리콘 와셔로 고정되며, 냉음극형광램프들의 음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도선으로 인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전원단자들에 대응하는 단자삽입공들이 내부에 형성되고, 하우징의 타단이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그루우브가 형성된 커넥터와, 단자삽입공들에 끼워지는 전원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선 및 전원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광판(30)은 플레이트 형상의 투명 아크릴 소재로, 광이 방출되는 전면(32)을 기준으로 일단으로부터 이에 대향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한다. 즉, 이면(33)에 경사가 형성되는 단면 프로파일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면(32)에는 테두리를 따라 양면테이프(35)가 부착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을 공급받는 대상물에 양면테이프(35)를 이용하여 부착된다. 또한, 양면테이프 대신에 매직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즉, 매직테이프의 한쪽은 도광판의 전면에 부착하고, 다른 쪽은 대상물에 부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테두리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나사를 끼워 대상물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외에도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며, 이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고안해낼 수 있는 정도이며, 중요한 것은 광이 방출되는 전면(32)에 부착수단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도광판(30)의 일단에는 반사판(20)이 결합되고 반사판(20)의 내부에는 광소오스를 제공하는 램프 어셈블리(10)가 수납된다. 반사판(20)은 알루미늄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램프 어셈블리(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음극형광램프 (12)와, 냉음극형광램프(12)를 수납하는, 예를 들어, 유리관이나 아크릴관 등의 원통형상의 투명 하우징(11)과, 투명 하우징(11)의 일단을 밀봉하고 냉음극형광램프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 1 캡(15)과, 냉음극형광램프의 타단과 냉음극형광램프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도선(17)과 타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2 도선(18)을 지지하고 하우징(11)의 타단을 밀봉하는 제 2 캡(14)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제 1 및 제 2 캡(14, 15)으로는 내열성 에폭시 수지나 실리콘 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캡(14)은 하우징(11)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3에서는 길이방향으로 램프 어셈블리를 연장하기 위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하우징(11)내에 둘 이상의 냉음극형광램프들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설치하고, 겹치는 부분은 실리콘 와셔(18)로 고정한다. 또한, 냉음극형광램프들의 음극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도선(17)으로 인출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면, 하우징(11)의 타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도선(16, 17)에 대응하는 삽입공들(52)이 내부에 형성되고, 하우징(11)의 타단이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그루우브(54)가 형성된 커넥터(50)와, 삽입공들(52)에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도선(16, 1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선(42) 및 전원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4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면발광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도광판 (30)의 전면(32) 테두리를 따라서 양면테이프(35)를 부착한다. 필요에 따라 양면테이프에 대응하는 이면(33) 부분에는 알루미늄 코팅 등을 하여 양면테이프(35)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어 두께가 가장 두꺼운 측면에 반사판(20)을 결합시키고, 그 내부에 램프 어셈블리(10)를 수납한다.
복수개의 램프를 수납한 램프 어셈블리(10)를 제작하려면, 투명 하우징(11)내에 램프들(12)이 겹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실리콘 와셔(18)를 끼워 설치한다. 램프들을 모두 설치한 후, 음극으로부터 인출되는 도선들을 전기적으로 함께 연결하여 하나의 도선(17)으로 인출하고, 양극으로부터 인출되는 도선들은 각각 인출한다. 따라서, 인출되는 도선의 개수는 설치된 램프들의 수보다 하나다 작게 된다. 이어 하우징(11)의 일단과 타단에 액상의 실리콘 고무나 에폭시 수지를 주입한다. 이때, 가장 최외측에 각각 위치한 램프의 단부가 포함될 정도로 주입량을 조절한다. 주입된 실리콘 고무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경화되어 각각 캡을 형성하고 하우징을 밀봉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도선이 인출되는 단부에는 하우징 내부로 일정 거리 이격하여 캡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램프 어셈블리는 반사판(20) 내부에 수납되어 적절하게 고정되고, 전원공급장치의 커넥터(50)를 이용하여 인출되는 도선에 끼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단부는 커넥터(50)에 형성된 그루우브(54)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하우징(11)과 커넥터(50) 몸체를 결합함으로서 인출되는 도선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아 도선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실제 적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조립된 면발광장치를 기존의 액자(100)에 적용하기 위해 전면(32)에 설치된 양면테이프(35)를 이용하여 액자(100)의 표면에 부착한 후,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램프로부터 방출되는 광은 도광판(30)에 의해 전면(32) 쪽으로 방출되어 액자(100)에 공급되어 조도가 증가된다.
또한, 악보거치대(200)의 악보(220) 위에 본 고안의 면발광장치를 위치시키며,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악보를 밝게 하여 준다. 미설명부호 210은 악보거치대(200)의 다리에 형성된 콘센트를 나타낸다.
상기한 예들 이외에도 많은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족관의 일측면에 적용할 수 있고, 이미 설치된 광고판이나 이정표 등에 변형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화기나 진열품 등의 미적효과를 높이기 위해 받침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 가지의 이점이 있다.
먼저, 액자나 악보와 같이 대상물이 투명지나 불투명지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기존에는 대상물의 후면으로부터 광을 공급하는 방식이어서 반드시 투명지나 반투명지를 이용해야 하지만, 본 고안의 경우는 대상물의 전면에 광을 공급하는 장식이기 때문에 불투명지이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또한, 기존의 대상물의 구조를 전혀 변형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고가의 액자에 백라이트를 적용하기 위해 고가의 액자를 분해하고 그림이나 사진은 별도의 인화과정을 거쳐 실사지로 제작한 후 백라이트를 설치해야 하므로 고가의 액자가 파손되는 일이 많았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를 경우, 단순히 대상물의 전면에 부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어셈블리의 교체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즉, 램프 어셈블리가 완전히 유니트화되어 제작되고 전원공급장치가 램프 어셈블리와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램프 어셈블리 자체를 교체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램프 어셈블리를 구입하여 파손된 것과 물리적으로 교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Claims (9)

  1. 광이 방출되는 전면을 기준으로 일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도광판;
    상기 도광판의 일단에 결합되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 내부에 수납되어 광소오스를 제공하는 램프 어셈블리;
    상기 도광판의 전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부착수단;
    상기 램프 어셈블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광판의 전면은 상기 부착수단을 통하여 대상물의 전면에 부착되어 광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음극형광램프;
    상기 냉음극형광램프를 수납하는 원통형상의 투명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을 밀봉하고 상기 냉음극형광램프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 1 캡;
    상기 냉음극형광램프의 타단과 상기 냉음극형광램프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도선과 상기 타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2 도선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을 밀봉하는 제 2 캡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캡의 재질은 내열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캡은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타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및 제 2 도선들에 대응하는 삽입공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이 끼워지는 일정 깊이의 그루우브가 형성된 커넥터;
    상기 삽입공들에 끼워지는 제 1 및 제 2 도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선;
    상기 전원공급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내에는 둘 이상의 냉음극형광램프들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설치되고, 상기 겹치는 부분은 실리콘 와셔로 고정되며, 상기 냉음극형광램프들의 음극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도선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양면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매직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상기 도광판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발광장치.
KR2020000017179U 2000-06-16 2000-06-16 면발광장치 KR2002106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79U KR200210672Y1 (ko) 2000-06-16 2000-06-16 면발광장치
KR2020010016307U KR200261507Y1 (ko) 2000-06-16 2001-06-01 면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179U KR200210672Y1 (ko) 2000-06-16 2000-06-16 면발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672Y1 true KR200210672Y1 (ko) 2001-01-15

Family

ID=73066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179U KR200210672Y1 (ko) 2000-06-16 2000-06-16 면발광장치
KR2020010016307U KR200261507Y1 (ko) 2000-06-16 2001-06-01 면발광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307U KR200261507Y1 (ko) 2000-06-16 2001-06-01 면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106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61B1 (ko) * 2006-09-06 2008-05-27 희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접속 장치 및 측면형 백라이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061B1 (ko) * 2006-09-06 2008-05-27 희성전자 주식회사 전원 접속 장치 및 측면형 백라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507Y1 (ko) 2002-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3421B (zh) 背光總成及具有該背光總成之液晶顯示裝置
KR100774581B1 (ko) 램프고정부,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2006066359A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液晶表示装置
US7090387B2 (en) Back light illuminating unit
JP2009129901A (ja) ランプソケット、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JP2008047528A (ja) ランプアセンブリ、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20090057573A (ko)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KR100363010B1 (ko) 백라이트
US6966686B2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JP2007080627A (ja) 照明装置
KR101318254B1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210672Y1 (ko) 면발광장치
KR100690503B1 (ko) 램프홀더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백라이트 유니트
KR0183755B1 (ko) 액정표시소자용 백라이트 및 그 배선방법
KR20050026779A (ko) 액정표시장치용 지지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액정표시장치
CN217153891U (zh) 带液晶显示器的窄边框led面板灯
KR100530950B1 (ko) 직하발광형 평면광원
JPH07270786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H0829749A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0545101B1 (ko) 백라이트 유니트
CN210662573U (zh) 一种明月吊灯模组
KR100774570B1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200244860Y1 (ko) 조명장치
KR2006004264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KR20030094691A (ko) 직하 발광형 백라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