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623B1 -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623B1
KR101190623B1 KR1020120048185A KR20120048185A KR101190623B1 KR 101190623 B1 KR101190623 B1 KR 101190623B1 KR 1020120048185 A KR1020120048185 A KR 1020120048185A KR 20120048185 A KR20120048185 A KR 20120048185A KR 101190623 B1 KR101190623 B1 KR 10119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voltage
average
cleaning time
collec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유봉수
강희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남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남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남알앤디
Priority to KR102012004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6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623B1/ko
Priority to PCT/KR2013/005249 priority patent/WO20131690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03C3/68Control system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4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for measuring or calculating parameters, efficiency,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 장치는,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탐지하는 전기 검출부, 상기 전기 검출부로부터 탐지된 소정 기간의 전압 및/또는 전류로부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를 산출하는 평균 전압/전류 검출부 및 집진기가 구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가 기준 전압 및/또는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하는 청소시점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SENSING CLEANI TIME OF DUST-TRAP BOARD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진판에 먼지가 과다하게 축적되면 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하거나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을 이용하여 집진판 청소시기를 판별하는 장치 및 그 방법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기 집진기의 집진판 청소시기를 판별하기 위해, 운전자의 경험에 의존하거나, 센서를 이용하여 집진판의 먼지량에 따른 전압 또는 전류 값들을 센싱하여 청소시기를 결정하였으며, 일예로, 팬히터용 공기청정기내 집진판의 오염상태 표시회로 (한국공개특허 10-1997-0011649)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청소시기의 결정이 부정확하거나, 센서 등의 부가장치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집진판에서 발생하는 스파크 등을 감지하여 먼지량이 과다하게 축적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방전판과 집진판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고전압 발생기의 평균전압 및 평균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집진판의 청소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청소시기를 판별할 수 있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집진시 발생하는 스파크의 횟수를 측정하여, 상기 스파크의 횟수에 따라 청소시기를 판별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오류없는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는,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탐지하는 전기 검출부, 상기 전기 검출부로부터 탐지된 소정 기간의 전압 및/또는 전류로부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를 산출하는 평균 전압/전류 검출부 및 집진기가 구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가 기준 전압 및/또는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하는 청소시점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청소시점 판단부는, 상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가 기준 전압 및/또는 전류를 1회 또는 기설정된 횟수 초과하는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는,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탐지하는 전기 검출부, 상기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또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파크 발생을 탐지하는 스파크 감지부 및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스파크가 발생되는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 시기를 집진판의 청소시점으로 판단하는 청소시점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스파크 감지부는, 전류가 기설정된 값 이상 증가하는 동시에 전압이 기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는 횟수가 기설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기검출부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 내의 고압 전압분배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조절회로를 거쳐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입력한 후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기검출부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 내의 고압 배압회로 및 고압 변압기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 궤한 검출 저항(Current feedback sense resistor)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조절회로를 거쳐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입력한 후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 방법은,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탐지하는 단계, 상기 전기 검출부로부터 탐지된 소정 기간의 전압 및/또는 전류로부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집진기가 구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가 기준 전압 및/또는 전류를 기설정된 횟수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초과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방전판과 집진판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고전압 발생기의 평균전압 및 평균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집진판의 청소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청소시기를 판별할 수 있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집진시 발생하는 스파크의 횟수를 측정하여, 상기 스파크의 횟수에 따라 청소시기를 판별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오류없는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집진판의 구조 및 먼지 축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파크 발생시의 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파크 발생시의 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파크 발생을 탐지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집진판의 구조 및 먼지 축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집진판은 송풍기(130)의 작동에 의해 흡입구(110)에서 유입된 오염공기가 방전판(140)과 집진판(15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토출구(120)로 배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전압 발생기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정 전위는 방전판(140)에 부 전위는 집진판(150)에 인가된다. 이때 방전판(140)과 집진판(150) 사이에 전리장이 형성되고 송풍기(130) 작동에 의해 흡입된 오염공기의 입자들이 전리장에 도달하게 되면, 양 전위를 갖는 먼지 입자들은 음 전위를 가진 집진판(150)에 집진되고 먼지가 없는 공기들은 송풍기(130)에 의해 토출구(120)로 배출된다.
여기서, 양 전위의 오염공기 입자들이 음 전위의 집진판(150)에 집진될 때 스파크가 일어 나는데 이 과정에서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정 시간동안의 평균 전압 또는 전류를 계산하여 평균 전압 또는 전류가 기설정된 기준값과 다른지를 판단하고 이러한 과정을 1회 이상 반복하여 청소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집진판의 청소시기를 판별하기 위한 보다 상세한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는 전기 검출부(220), 평균 전압/전류 검출부(230), 청소시점 판단부(240)를 포함한다.
전기 검출부(220)는 고전압 발생기(210)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탐지할 수 있다.
즉, 전기 검출부(220)가 전압과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탐지함으로써, 고전압 발생기(210)의 전압 및/또는 전류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이는 집진판에 오염물질이 얼마나 부착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기 검출부(220)는 전압 측정을 위한 전압 측정부(221) 또는 전류 측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측정부(221)는 고전압 발생기 내의 고압 전압분배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조절회로를 거쳐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입력한 후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전류 측정부(222)는 고전압 발생기 내의 고압 배압회로 및 고압 변압기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 궤한 검출 저항(Current feedback sense resistor)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조절회로를 거쳐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입력한 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일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파크 발생시의 전압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고전압 발생기(210)로부터 전압 검출 방법은 그림 3과 같이 고압 전압분배기(401)를 사용할 수 있다. 고압 전압분배기(401)는 고전압 발생기(210) 내부에 구현되어 있으며, 고전압 발생기(210)의 출력 핀에서 출력되는 신호(ex. 0 내지 10V)를 전기집진기 컨트롤러(42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Signal conditioning circuit(421)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422) 입력을 위한 전압 레벨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신호는 ADC(422)로 입력되어 전압이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되는 전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집진판의 오염물질 과다축적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집진판에 오염물질이 과다축적되면 스파크가 발생되고 도 5와 같이 전압이 변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파크 발생시의 전류 파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 궤환 검출 저항(Current feedback sense resistor, 401)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고전압 발생기(210)에 구현되어 있으며, 전류를 직접 사용하지 않고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측정한다.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고전압 발생기(210)의 출력 핀에서 출력되는 이 신호(ex. 0 내지 5V)를 전기집진기 컨트롤러(420)에서 수신하고 Signal conditioning circuit(421)에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입력을 위한 전압 레벨로 변환할 수 있고, 변환된 신호는 ADC(422)로 입력되어 전압이 측정될 수 있으며, 측정된 전압은 다시 전류로 환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되는 전류의 변화를 감지하여 집진판의 오염물질 과다축적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집진판에 오염물질이 과다축적되면 스파크가 발생되고 도 7과 같이 전류가 변화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평균 전압/전류 검출부(230)는 전기 검출부(220)로부터 탐지된 소정 기간의 전압 및/또는 전류로부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순간 전압 또는 순간전류는 측정 오류 등으로 다소 부정확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평균 전압 및/또는 전류를 산출하여 측정상의 오류 발생 등을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청소시점 판단부(240)는 집진기가 구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가 기준 전압 및/또는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집진기가 구동된 후 초기 구동시간에는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가 정상 운행시의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와는 상이한 값을 가질 수 있으므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의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를 기준 전압 및/또는 전류와 비교하여 초과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기준 전압 및/또는 전류는 집진기에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쌓여있지 않고 정상 운행할 때의 평균 전압 및/또는 전류값을 고려하여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전압, 즉, 오염물질이 과다하지 않은 운행상태의 소정시간(ex. 5초)동안의 평균 전압값이 5V이고, 집진기 운행 중 측정된 평균 전압 값인 8V라면, 기준 전압값에 비해 측정된 평균 전압값이 크므로, 현재 집진판에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쌓여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판단의 정확성을 위해, 상기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가 기준 전압 및/또는 전류를 1회 이상 반복적으로 기준 전압 또는 전류와 비교하여, 기설정된 횟수(ex. 5회) 이상 초과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그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기준 전압 또는 전류보다 평균 전압 또는 평균 전류가 큰지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은 부정확할 수 있으므로, 기준 전압 또는 전류보다 설정 수치 이상 큰 경우(ex. 기준 전압값보다 평균 전압값이 2V이상 큰 경우)만을 청소시기로 판별하거나, 기준 전압 또는 전류보다 설정 비율 이상 큰 경우(ex. 기준 전압값보다 평균 전압값이 120%이상인 경우)만을 청소시기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염물질이 과다한 경우는 고압발생기에서 측정되는 전압 또는 전류값의 변화가 발생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집진판의 청소시기를 판별해 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는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또는 전류를 탐지하는 전기 검출부(220), 상기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또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파크 발생을 탐지하는 스파크 감지부(330) 및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스파크가 발생되는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 시기를 집진판의 청소시점으로 판단하는 청소시점 판단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파크 감지부(330)는 집진판에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부착된 경우,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에 착안하여 스파크의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집진판의 오염물질 과다부착 여부를 판별하도록 한다. 이때,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해, 전압 및/또는 전류의 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일예로, 전류가 기설정된 값 이상 증가하는 동시에 전압이 기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는 횟수가 기설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스파크 감지를 위한 회로의 일예는 도 8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파크 발생을 탐지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스파크를 검출하기 위해 앞서 도 4 및 도 6에서 설명한 전압, 전류 검출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스파크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으며 두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전기집진기 컨트롤러의 비교기(Comparator, 423)에 입력하며, 비교기(423)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Reference voltage) 보다 높거나 낮으면 스파크로 인식할 수 있다. 스파크의 발생이 소정의 시간동안 다수 번 감지되는 경우 집진판에 오염물질이 과다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스파크의 발생 횟수를 카운터(424)를 통하여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의 일예와 같이 전압 또는 전류가 기준전압 또는 기준전류보다 크거나 작은 경우에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 이외에도, 전류가 기설정된 값 이상 증가하는 동시에 전압이 기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는 횟수가 기설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스파크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고하면, 청소시점 판단부(240)는 스파크의 발생 횟수 등을 고려하여 청소시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일예로, 소정의 기간동안(ex. 10초) 스파크가 발생되는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횟수(5회)를 초과하는 경우,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축적되지 않은 경우에도, 기기 오작동 등 다양한 원인으로 스파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소정기간 동안 기설정된 횟수 이상 스파크가 발생한 경우에 집진판에 오염물질이 과다하게 축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압 또는 전류의 변화만을 이용하여 집진판의 청소시기를 판별하는 방법 이외에도 스파크의 발생을 감지하여 집진판의 청소시기를 판별할 수도 있으며,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취사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단계(910)에서는 집진기를 초기 구동하고 단계(920)에서는 초기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초기값 설정을 위한 값의 일예는 스파크의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변수(ex. 스파크 카운팅 변수 n), 기준 전류, 기준 전압 등 다양한 값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집진기가 집진 동작을 수행하면, 단계(940)에서는 평균 전압 및/또는 평균 전류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950)에서는 평균 전압/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전류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950)에서는 평균 전압/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전류보다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면, 다시 단계 930 내지 950 절차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단계(960)에서 평균 전압/전류가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전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초기 설정된 스파크 카운팅 변수 n값을 1 증가시킬 수 있다.
단계(970)에서는 상기 스파크 카운팅 변수 n값이 기설정된 수(ex. 5)에 도달하면 단계(980)에서는 이 시점을 집진판 청소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970)에서 상기 스파크 카운팅 변수 n값이 기설정된 수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단계 930 내지 970 절차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전압 발생기에서 측정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사용하여 집진판의 청소시기를 판별함으로써, 방전판과 집진판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 고전압 발생기의 평균전압 및 평균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집진판의 청소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청소시기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전압 및 전류만을 측정하는 방법 이외에도, 집진시 발생하는 스파크의 횟수를 측정하여, 상기 스파크의 횟수에 따라 청소시기를 판별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오류없는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 고전압 발생기
220 : 전기 검출부
230 : 평균 전압/전류 검출부
240 : 청소시점 판단부
330 : 스파크 감지부

Claims (7)

  1.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탐지하는 전기 검출부;
    상기 전기 검출부로부터 탐지된 소정 기간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평균 전압 및 평균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평균 전압/전류 검출부; 및
    집진기가 구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평균 전압 및 평균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하는 청소시점 판단부
    를 포함하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시점 판단부는,
    상기 평균 전압 및 평균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1회 또는 기설정된 횟수 초과하는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3.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 전류를 탐지하는 전기 검출부;
    상기 탐지된 전류가 기설정된 값 이상 증가하는 동시에 상기 탐지된 전압이 기설정된 값 이하로 감소하는 횟수가 기설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스파크 감지부; 및
    소정의 기간동안 상기 스파크가 발생되는 횟수가 기설정된 기준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초과 시기를 집진판의 청소시점으로 판단하는 청소시점 판단부
    를 포함하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검출부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 내의 고압 전압분배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조절회로를 거쳐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입력한 후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검출부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 내의 고압 배압회로 및 고압 변압기 사이에 연결되는 전류 궤한 검출 저항(Current feedback sense resistor)을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조절회로를 거쳐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로 입력한 후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7. 고전압 발생기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탐지하는 단계;
    탐지된 소정 기간의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평균 전압 및 평균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집진기가 구동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고, 상기 평균 전압 및 평균 전류 중 적어도 하나가 기준 전압 및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기설정된 횟수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초과 시점을 집진판의 청소 시점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 방법.
KR1020120048185A 2012-05-07 2012-05-07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10119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85A KR101190623B1 (ko) 2012-05-07 2012-05-07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PCT/KR2013/005249 WO2013169089A1 (ko) 2012-05-07 2013-06-15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8185A KR101190623B1 (ko) 2012-05-07 2012-05-07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0623B1 true KR101190623B1 (ko) 2012-11-13

Family

ID=4756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8185A KR101190623B1 (ko) 2012-05-07 2012-05-07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90623B1 (ko)
WO (1) WO2013169089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5059A (zh) * 2016-05-30 2016-08-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集尘清洁装置、电器设备及集尘清洁方法
KR20180127126A (ko) * 2017-05-19 2018-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9109677A (zh) * 2017-06-22 2019-01-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非接触电功率传输系统
CN114165892A (zh) * 2021-12-15 2022-03-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清洁提示方法、装置及空气净化器
WO2023158282A1 (ko) * 2022-02-21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9579B (zh) * 2015-03-23 2019-05-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集尘组件、空气净化装置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6419U (ko) * 1995-05-31 1996-12-16 공기청정기의 집진판 청소시기 표시장치
KR200216600Y1 (ko) * 1996-12-26 2001-04-02 이구택 저항 검출법을 이용한 먼지레벨 측정장치
KR200377890Y1 (ko) * 2004-12-23 2005-03-14 주식회사세모 공기청정기 전기집진장치의 청소시기 통보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55059A (zh) * 2016-05-30 2016-08-1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集尘清洁装置、电器设备及集尘清洁方法
KR20180127126A (ko) * 2017-05-19 2018-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339392B1 (ko) * 2017-05-19 2021-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9109677A (zh) * 2017-06-22 2019-01-0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非接触电功率传输系统
CN114165892A (zh) * 2021-12-15 2022-03-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清洁提示方法、装置及空气净化器
CN114165892B (zh) * 2021-12-15 2022-09-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清洁提示方法、装置及空气净化器
WO2023158282A1 (ko) * 2022-02-21 2023-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9089A1 (ko)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623B1 (ko)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CN105744871B (zh) 空气过滤器监测
KR101950491B1 (ko) 기능성 에어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219713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unction of detecting degrad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
KR101982566B1 (ko)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필터 잔여 수명시간 예측방법
KR101540913B1 (ko) 공기 흐름 내의 전기적으로 충전된 공기 중 입자들의 크기 분포를 특징화하기 위한 장치
CN108983060A (zh) 避雷器检测装置及系统
WO2007056222A2 (en) Monitor device for monitoring the exposure of circuits to current and voltage from a tool
JP4756904B2 (ja) 波形測定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保安器の劣化検出装置
CN102175283A (zh) 静电式油烟净化器净化能力的检测方法及检测系统
JP5301957B2 (ja) イオン化電源の計器の自己較正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2018522224A (ja) 粒子センサ及び検知方法
JP2007086064A (ja) 粒子検出装置及び粒子検出方法
JP5734924B2 (ja) イオン生成装置、及び放電電極取付状態監視方法
JP2013007716A (ja) 埃検知装置
KR20220026060A (ko) 수직 흡입형 베타레이 미세먼지 측정 장치
CN208833872U (zh) 避雷器检测装置及系统
CN109211844B (zh) 空气过滤耗材寿命检测系统与空气净化设备
KR20120031821A (ko) 고장 확인 기능을 가진 이온 발생 장치,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청정기
JPH0596114A (ja) 空気清浄装置
JP6530483B2 (ja) 閉ループ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インターリーブサンプリングによるアクティブイオン化制御
KR200377890Y1 (ko) 공기청정기 전기집진장치의 청소시기 통보장치
JPH0668398U (ja) 除電装置における放電監視装置
KR20120031820A (ko) 고장 확인 기능을 가진 이온 발생 장치, 그 방법 및 이를 포함한 공기 청정기
JP4627650B2 (ja) 放射線測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