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12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126A
KR20180127126A KR1020170062573A KR20170062573A KR20180127126A KR 20180127126 A KR20180127126 A KR 20180127126A KR 1020170062573 A KR1020170062573 A KR 1020170062573A KR 20170062573 A KR20170062573 A KR 20170062573A KR 20180127126 A KR20180127126 A KR 20180127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filter
sensing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9392B1 (ko
Inventor
문무현
조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2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39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3/16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부 및 토출부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시키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용정원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기; 상기 고전압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고, 대전된 이물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제1 필터부와, 접지에 연결되어 상기 대전된 이물을 집진시키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필터어셈블리로의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되며,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이 구동되어,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공기조화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공간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외기에 구비되는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수행하며, 실내기에 구비되는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에, 공기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조화기는 설치위치에 따라, 직립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직립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에 세워지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이며, 상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벽면에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조화기로 이해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는, 공기 중의 먼지나, 담배 연기 등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정전 분리작용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용전원의 전압을 승압하여 얻어진 고전압을 이용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나, 담배 연기 등의 미립자를 제거할 수 있다.
1. 공개번호 (공개일): 10-2016-0006062 (2016년 1월 18일)
2. 발명의 명칭: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상기 선행기술에 개시되는 전기집진장치에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사이에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제 1 필터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복수개 방전 전극판의 후류에 위치하고, 접지와 연결되어 방전 전극판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여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제 2 필터부를 포함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상기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제 1 필터부의 통로를 통과하여 제 2 필터부에 집진되고, 제 1 필터부와 제 2 필터부 사이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는 제 2 필터부에 집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는 집진부라 이름할 수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제 1 필터부로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필터부로 인가되는 고전압에 의해 제 1 필터부와 제 2 필터부 사이의 전압차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전류가 흐를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 경우 전기집진장치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필터부의 외부에는 도전층을 절연층으로 도포하는 카본페이스트 등을 이용한 필름이 형성되어, 제 1 필터부와 제 2 필터부를 절연시킬 수 있다. 그러나, 필터부에 포집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세척 등과 같은 관리 작업을 수행할 때, 상기 필름이 손상되면서, 도전층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전압의 인가시 제 1 필터부와 제 2 필터부가 도전되어 방전되면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스파크가 발생함에 따라, 필터부가 손상되어 필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스파크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는, 공기조화기 자체의 고장이나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는 사용자의 제품 신뢰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집진장치의 필터어셈블리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전기집진장치의 필터어셈블리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전기집진장치 및 공기조화기의 추가적인 손상이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부 및 토출부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시키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용정원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기; 상기 고전압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고, 대전된 이물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제1 필터부와, 접지에 연결되어 상기 대전된 이물을 집진시키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필터어셈블리로의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시, 상기 감지부로 기설정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감지부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 회로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인가된 전압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을 갖는 감지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노드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로 인가되는 상기 기설정된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감지 노드의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으로 유지하는 전압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 노드와 상기 필터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부 커패시터, 및 상기 감지 노드와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부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상기 감지 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와 상기 필터어셈블리 사이의 전압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전달되고, 상기 감지부 다이오드는, 상기 감지 노드로부터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로 전하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노드의 전압과 기준 전압 사이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파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로의 전압 인가를 차단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전기집진장치의 필터부재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스파크 현상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스파크 현상을 감지함에 따라 전기집진장치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지속적인 스파크 발생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는 스파크 현상 감지시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스파크 발생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손상이나 전원공급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화재의 발생에 따른 2차적인 피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의 V-V'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전원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에 포함된 필터어셈블리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경우, 감지부의 전압 변동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다양한 형태의 공기조화기나 공기청정기 등의 각종 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외관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아니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의 외관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1)에는, 천장에 고정되며,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케이싱(20)이 포함된다.
상기 케이싱(20)에는, 천장에 상기 케이싱(20)이 고정되기 위한 천장고정부재(20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이 상기 천장의 상측에 밀착되기 위하여, 상기 천장고정부재(201)는 일례로, 볼트(미도시)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의 내부공간에는 다수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 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 및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송풍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상기 케이싱(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는 전면패널(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이 일례로 석고보드 등의 천장매립부재에 의해 천장에 매립되는 경우, 상기 전면패널(10)은 대략 천장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는 상기 케이싱(20)과, 상기 전면패널(1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03) 및 상기 공기조화기(1)에서 열 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10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상기 흡입부(10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흡입그릴(10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104)은 상기 흡입부(103)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103)는 상기 전면패널(10)의 전방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101)는 상기 전면패널(10)의 후방부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0)에는, 상기 토출부(101)의 일측에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토출베인(10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토출베인(102)은 상기 토출부(101)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의 양 또는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토출베인(102)은, 상기 토출베인(102)의 양단에 구비되는 힌지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공기조화기(1)에서, 상기 송풍팬이 구동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흡입부(103)를 통하여 상기 케이싱(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 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전면패널(10)의 토출부(101)를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전면패널(1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부(103)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흡입공(203)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1)에는, 상기 흡입공(203)에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3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30)는 상기 공기조화기(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대전시키고, 대전된 이물들을 집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기집진장치(30)는 실내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들을 여과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전기집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V-V`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집진장치(30)에는, 상기 케이싱(20)에 설치되는 필터하우징(500),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먼지를 집진시킬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300)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고전압발생기(700)가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방을 바라보는 상방프레임(311a, 351a), 상기 상방프레임(311a, 351a)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상방프레임(311a, 351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b), 상기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b)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방프레임(310c)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방프레임(311a, 351a),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b), 및 하방프레임(310c)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필터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테두리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결합되기 위한 상측걸림돌기(3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돌기(320)는 상기 상방프레임(311a, 351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걸림돌기(320)는 상기 상방프레임(311a, 351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결합되기 위한 상측걸림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돌기는 상기 하방프레임(310c)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걸림돌기는 상기 하방프레임(310c)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홈(3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350)은 상기 하방프레임(310c)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350)은 상기 하방프레임(310c)에서 상기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홈(350)에는 일례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기 위한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 연결되는 제 1 전극(591) 및 접지에 연결되는 제 2 전극(59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591)은 상기 한 쌍의 측방프레임(310b) 중 하나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592)은 상기 한 상의 측방프레임(310b) 중 다른 하나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전극(591)은 상기 필터어셈블리(300)가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극(591)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은 일례로 -7.5[kV]일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0)가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 2 전극(592)은 접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부재(3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380)에는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제1 필터부(380a) 및 대전된 이물들을 집진시키는 제2 필터부(380b)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필터부(380a)는 (-) 전압이 공급되는 방전전극판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필터부(380b)는 접지와 연결되어 제1 필터부(380a)와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여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집진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380a) 및 상기 제2 필터부(380b)는 각각 다수 개씩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제1 필터부(380a) 및 상기 다수 개의 제2 필터부(380b)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되며,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380a)는 제 1 전극(59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필터부(380b)는 제 2 전극(59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380a)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제1 필터부(380a) 및 상기 제2 필터부(380b)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부(380a) 및 상기 제2 필터부(380b) 사이에는 코로나 방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는 상기 제2 필터부(380b)에 집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300)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60)는 상기 필터 테두리부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360)는 상기 삽입홀(34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파지부(360)는 상기 필터 하방프레임(310c)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삽입돌기(570)가 돌출된 방향으로 상기 필터어셈블리(300)를 당기면서 상기 필터하우징(500)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방을 바라보는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 상기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하우징 측방프레임(510b),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측방프레임(510b)의 하단에 배치되는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측방프레임(510b), 상기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필터하우징(500)의 하우징 테두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테두리부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400)에는, 상기 케이싱(20)에 고정되기 위한 하우징 체결홀(520, 5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체결홀(520, 530)에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의 양 측방에 배치되는 제 1 하우징체결홀(520) 및 상기 필터하우징(40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 2 하우징체결홀(530)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하우징체결홈(520)은 상기 하우징 측방프레임(510b)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하우징체결홈(530)은 상기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0)에는 상기 하우징 체결홀(520, 530)에 대응되는 케이싱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하우징(500)은 일례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상기 하우징 체결홀(520, 530) 및 케이싱 체결홀에 함께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싱(2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상측걸림돌기(320)가 결합될 수 있는 상측걸림홀(5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홀(540)은 상기 필터하우징(500)의 하우징 상방프레임(51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 결합되기 위한 하측걸림홀(5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측걸림홀(550)은 상기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가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5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580)는 상기 하우징 하방프레임(510c)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58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가이드홈(350)에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홈(350)에 대응되는 크기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580)의 내측에는 오목한 홈(58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580a)에는 일례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593, 594)가 삽입될 수 있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593, 594)는 상기 가이드홈(350) 및 가이드돌기(580)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에 상기 필터하우징(5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93, 594)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 및 필터하우징(500)의 제 1 전극(591)측을 고정시키는 제 1 체결부재(59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593)가 상기 가이드홈(350) 및 상기 가이드돌기(580)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 1 체결부재(593)의 일단은 제 1 전극(591)에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체결부재(593)에는 터미널단자(714)가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단자(714)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서 출력전압이 출력되는 전극에 연결된 케이블(713)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극(591)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593, 594)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 및 필터하우징(500)의 제 2 전극(592)측을 고정시키는 제 2 체결부재(59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부재(594)가 상기 가이드홈(350) 및 상기 가이드돌기(580)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된 경우, 상기 제 2 체결부재(594)의 일단은 제 2 전극(592)측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체결부재(593, 594)는 일례로 도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삽입홀(340)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돌기(57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570)에 의해 상기 삽입홀(340)이 끼워짐으로써, 사용자는 정확하고 간편하게 상기 필터어셈블리(300)를 상기 필터하우징(500)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고전압발생기(700)가 배치될 수 있는 장착공간(6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하우징(500)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10, 6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10, 620)는 상기 필터하우징(500)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610, 620)에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양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지지부(610) 및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2 지지부(6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610) 및 상기 제 2 지지부(620)에 의해서 상기 장착공간(600)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 1 지지부(610) 사이의 거리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장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지지부(610) 및 제 2 지지부(620)가 돌출되는 길이는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단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610)의 일단에는 ㄱ형상의 후크(61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의 양 측면에는 양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진 한 쌍의 고정돌기(711)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전압발생기(700)가 상기 장착공간(6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711)는 상기 제 1 지지부(610)를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돌기(711)의 일단이 상기 후크(6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는 상기 장착공간(6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는 내부에 부품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710), 상기 본체(710)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가능도록 결합되는 커버(720), 및 상기 본체(710)에 수용되는 입력전원장치(8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전원장치(800)는 실내기(1)로부터 상용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전원장치(800)는 상기 상용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제1 필터부(380a)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전압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용전원이 승압되어 상기 설정된 고전압에 도달하는 승압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설정된 고전압이 -7.5[kv]이고, 설정된 승압시간이 100초인 경우, 상기 입력전원장치(800)는 상기 제1 필터부(380a)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정된 승압시간인 100초 동안 초기 출력전압인 0[v] 부터 -7.5[kv]까지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구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차적으로 증가되어 상기 입력전원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전압은 상기 제1 필터부(380a)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절연파괴현상이 줄어 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고전압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입력전원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전원장치의 회로도이다.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직류전압을 출력하는 직류전압부(8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직류전압부(810)는 상기 실내기(1)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직류전압부(810)에 상기 실내기(1)로부터 220V의 교류전압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직류전압부(810)는 상기 입력된 교류전압 220V를 정류하여 직류전압 12V로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입력되는 전압을 승압하기 위한 변압기(8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830)에는 직류전압부(810)에 연결되며, 직류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입력단(831) 및 후술되는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 연결되는 제 2 입력단(83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830)에는, 승압된 전압이 출력되기 위한 제 1 출력단(833) 및 제 2 출력단(834)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 의해서 상기 변압기(830)의 입력단(831, 832)에는 펄스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830)는 코일 턴(turn)수 즉, 권선비에 따라 상기 변압기(830)의 1차측에서 입력되는 펄스전압을 상기 변압기(830)의 2 차측으로 승압시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1차측은 상기 변압기(830)의 입력측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2차측은 상기 변압기(830)에 의해 승압된 전압이 출력되는 출력측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권선비가 1:116인 경우, 상기 변압기(830)의 1차측에 입력되는 전압은 116배 승압되어 상기 변압기(830)의 2차측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스위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직류전압부(81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스위칭하여 펄스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칭신호발생부(8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서 생성된 스위칭신호에 의하여 상기 직류전압은 펄스전압으로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펄스전압은 상기 변압기(830)의 권선비에 따라서 고전압으로 유기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스위칭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821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에는 제 1 PWM신호 및 제 2 PWM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PMW신호는 상기 제 2 PWM신호의 일 주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PWM신호의 전류가 흐르는 구간에는 상기 제 2 PWM신호가 포함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PWM신호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간에는 신호발생부(821a)의 출력단으로부터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PWM신호 및 상기 제 2 PWM신호의 주기 및 듀티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2 PWM신호의 전류가 흐르는 구간은 온 되는 구간으로, 상기 제 1, 2 PWM신호의 전류가 흐르지 않는 구간은 오프 되는 구간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스위칭신호의 듀티비가 조절되는 시점을 설정하는 타이머(821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펄스전압을 승압시키기 위하여, 상기 타이머(821b)는 상기 설정된 듀티비를 조절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821b)는 제 1, 2 PWM신호의 듀티비가 가변되는 시점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821b)는 일 례로 스위칭신호가 발생되는 시점을 제 1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지난 시점을 제 2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제어부는 상기 제 1 시점에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1%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제 2 시점에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2%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 및 상기 타이머(821b)를 제어하는 제어부(8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70)는 설정된 고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신호발생부(821a) 및 상기 타이머(821b)를 제어하여 제 1, 2 PWM신호의 듀티비 및 상기 제 1, 2 PWM신호의 듀티비가 가변되는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870)는 상기 타이머(821b)에 의하여 설정된 시점에 도달하면, 상기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70)는 설정된 승압시간동안 상기 듀티비를 증가시켜, 상기 변압기에 의하여 출력된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에서 출력되는 스위칭신호를 기초로 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직류전압부(810)에서 출력된 직류전압을 펄스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치부(823, 82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823, 824)에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에서 입력되는 PWM신호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치부(823) 및 제 2 스위치부(824)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에는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에는 MOSFET(Metal-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베이스(B)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으로써, 상기 신호발생부의 출력측 및 후술되는 제 1 전압분배부(825)의 출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에미터(E)는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콜렉터(C)는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단으로써 후술되는 제 2 스위치부(824)의 입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베이스(B)에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되는 신호를 콜렉터(C)로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상기 승압 신호가 온되는 구간에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상기 스위칭신호가 오프되는 구간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에서,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PWM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위치부(823)가 온되는 경우,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에서 출력된 신호는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게이트(G)는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으로써,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콜렉터(C) 및 후술되는 제 2 전압분배부(826)의 출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에미터(E)는 접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드레인(D)은 상기 변압기(830)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게이트(G)에 0[V]가 인가될 때, 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온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게이트(G) 및 소스(S) 사이의 전압이 0[V]보다 큰 경우 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를 통과한 신호가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오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스위치부(823) 및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상기 스위칭신호에 의해 번갈아가면서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한편,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제 1 스위치부(823) 및 상기 제 2 스위치부(824)가 스위칭모드로 동작되기 위해 배치된 전압분배부(825, 8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압분배부(825, 826)에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의 출력단, 직류전압부(810)의 출력단 및 제 1 스위치부(823)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전압분배부(82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압분배부(825)에는 두개 이상의 분배저항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 1 전압분배부(825)에는 제 1 분배저항(825a) 및 제 2 분배저항(825b)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배저항(825a) 및 제 2 분배저항(825b)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부(810)로부터 상기 제 1 전압분배부(825)에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압분배부(825)는 상기 직류전압부(8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제 1 스위치부(823)가 스위칭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압분배부(825)로부터 분배된 전압은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베이스(B)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는 스위칭신호의 일 주기 중 전류가 흐르는 시간에 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스위치부(823)를 통과한 신호는 제 2 스위치부(824)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전압분배부(825, 826)에는, 상기 제 1 스위치부(823)의 출력단, 상기 직류전압부(810)의 출력단 및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전압분배부(82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에는 두 개 이상의 분배저항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 2전압분배부(825, 826)에는 제 3 배저항(826a) 및 제 4 분배저항(826b)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배저항(826a) 및 제 4 분배저항(826b)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부(810)로부터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에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는 상기 직류전압부(81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제 2 스위치부(824)가 온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로부터 분배된 전압은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게이트(G)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전압분배부(826)에는 승압커패시터(8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는 일정 전압이 충전될 수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에 충분한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상기 스위치부(823, 824)의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되는 승압커패시터(82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승압커패시터(827)는 일 단이 상기 제 2 스위치부(824)의 드레인(D) 및 변압기(830)의 입력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의 타단은 접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스위치부(824)가 상기 스위칭신호에 의해 온되는 경우,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는 상기 변압기(830)를 통과한 전류가 유입되고,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는 전압이 충전될 수 있다. 반대로, 제 2 스위치부(824)가 상기 스위칭신호에 의해 오프되는 경우,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 충전된 전압은 방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스위치부(824)는 상기 제 1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에서 온 또는 오프되는 제 2 PWM신호에 의해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의 충전되는 시간 및 방전되는 시간은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에 의해 각각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전원장치(800)는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긴 경우에,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 저장된 전압은 상기 변압기(830)의 입력측으로 전달되면서 승압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PWM신호의 일 주기가 35[us]이고, 상기 제 2 PMW신호의 듀티비가 74%인 경우, 상기 승압커패시터(827)는 제 2 PWM신호의 일 주기 중 [26]us동안 충전될 수 있고, 9us동안 방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의 충전시간이 방전시간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승압커패시터(827)에 충전된 전압은 상기 변압기(830)측으로 전달되어 승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PWM의 일 주기동안 일정전압이 승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에 의해서 상기 제 2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PWM이 온되는 구간에서, 상기 제 2 PWM신호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의해 전압은 승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PWM신호의 온되는 구간은 전압이 승압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승압되는 구간에 의해 승압되는 전압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변압기(830)의 1차측에는 직류전압이 12V가 인가되고, 제 1 PWM신호의 일 주기가 10[ms]이며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가 13.7%일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예와 같이, 상기 제 2 PWM신호의 일 주기가 35[us]이고, 상기 제 2 PMW신호의 듀티비가 74%일 수 있다. 상기 제 2 PWM신호는 상기 제 1 PWM신호의 온 되는 구간에서, 40개가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에 의해 승압은 40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에 의해, 상기 제 1 PWM신호가 온되는 구간이 1.37[msec]이므로, 상기 1.37[msec]동안 상기 변압기(830)의 1차측 전압은 약 -2.5[kV]로 승압되어 상기 변압기(830)의 2차측으로 출력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어부(870)는 상기 신호발생부(821a)에서 생성되는 스위칭신호, 즉,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 및 상기 제 2 PWM신호의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승압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870)는 상기 타이머(821b)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점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70)가 제 1 PWM신호의 듀티비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PWM신호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의해 전압이 승압되는 구간이 줄어들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압기(830)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는 작아 질 수 있어서, 상기 변압기(830)에 의해 승압되는 전압의 크기는 감소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870)가 상기 제 1 PMW신호의 듀티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제 2 PWM신호의 온 또는 오프 동작에 의해 전압이 승압되는 구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압기(830)에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가 커질 수 있어서, 상기 변압기(830)에 의해 승압되는 전압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70)가 상기 타이머(821b) 및 상기 신호발생부(821a)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PWM신호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서, 상기 실내기(1)의 제1 필터부(380a)에 인가되기 위한 고전압에 도달하는 전압의 승압시간을 늦출 수 있다. 상기 고전압에 도달하는 전압의 승압시간이 늦춰짐으로써, 상기 제2 필터부(380b)측에 있는 공기의 절연파괴현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의 절연파괴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위칭신호발생부(820)에는,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과전압으로부터 상기 입력전원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회로부(8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안전회로부(828)에는 보호다이오드(828b) 및 상기 보호다이오드(828b)에 인가되는 전압을 줄이기위한 보호저항(828a)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호저항(828a)은 상기 보호다이오드(828b)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다이오드(828b)가 한계 전압내에서 동작하게 됨으로써, 상기 보호다이오드(828b)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다이오드(828b)는 일례로 TVS다이오드(Transient Voltage Suppression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 과전압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보호다이오드(828b)는 높은 임피던스에서 낮은 임피던스로 전환되어 과전압이 우회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과전압이 우회된 이후에, 상기 보호다이오드(828b)는 자동으로 높은 임피던스로 전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 외부의 요인인 일례로 번개, 정전기 등에 의하여 고전압이 일시적으로 흐르는 경우, 상기 안전회로부(828)에 의해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변압기(830)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체배시키기 위한 체배기(Voltage Multipliers: 8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체배기(840)는 상기 변압기(830)의 출력측에 배치되어, 상기 변압기(8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설정된 배수만큼 체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압기(830)의 전체 외형 크기가 줄어들 수 있어서, 고전압발생기(700)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전압발생기(700)가 작은 크기로 제작가능해짐으로써, 작은 크기의 공기조화기에도 장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변압기(830)의 승압비율을 낮출수 있어서, 승압비율에 따른 절연소요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로부터 안정된 고전압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체배기(840)는 상기 변압기(830)의 제 1 출력단(833) 및 제 2 출력단(83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배기(840)에는, 일단이 상기 제 2 출력단(83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 1 체배커패시터(84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변압기(830)에서 출력된 전류는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체배기(840)에는, 애노드측이 상기 제 1 노드(N1)에 연결되고, 캐소드측이 제 2 노드(N2)에 연결되는 제 1 체배다이오드(84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노드(N2)는 상기 제 1 출력단(83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 충전된 전하는 상기 제 1 체배다이오드(842)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체배기(840)에는, 일단이 상기 제 2 노드(N2)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3 노드(N3)에 연결되는 제 2 체배커패시터(84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배다이오드(842)를 통과한 전류는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는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는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 충전된 전화와 동일한 양의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는, 상기 변압기(830)로부터 전류가 유입되어,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체배기(840)에는, 애노드측이 상기 제 3 노드(N3)에 연결되고, 캐소드측이 제 4 노드(N4)에 연결되는 제 2 체배다이오드(844) 및 애노트측이 제 5노드(N5)에 연결되며 캐소드측이 제 4 노드에 연결되는 제 3 체배다이오드(84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로부터 출력된 전류는 상기 제 2 체배다이오드(844)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서도 전류가 출력되며, 상기 출력된 전류는 상기 제 2 체배다이오드(844)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체배기(840)에는, 일단이 상기 제 4 노드(N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5 노드(N5)에 연결되는 제 3 체배커패시터(8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서 방전된 전하는 상기 제 2 체배다이오드(844)를 통과하여 상기 제 3 체배커패시터(845)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체배커패시터(845)에는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 충전된 전하와 동일한 양의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에는 상기 변압기(830)로부터 전류가 유입되어 전하가 충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체배커패시터(843)에는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로부터 이동된 전하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체배기(840)의 출력전압은 상기 제 1 체배커패시터(841) 내지 상기 제 3 체배커패시터(845)의 전압의 합으로, 상기 변압기(83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에 대하여 3체배될 수 있다.
상기 입력전원장치(800)에는, 서지 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서지보호부(850) 및 상기 서지보호부(850)의 출력측에 배치되어 고전압을 출력하는 출력전극(8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지보호부(850)는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지보호부(850)는 상기 체배기(840)의 출력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지보호부(850)는 상기 변압기(830)의 출력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전극(860)은 상기 서지보호부(850)의 출력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서지보호부(850)는 상기 출력전극(86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가 상기 출력전극(860)에 접촉되더라도, 상기 서지보호부(850)에 의해 상기 출력전극(86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가 제한됨으로써, 감전사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상기 고전압발생기(700)에 대한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출력전극(860)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300)의 제1 필터부(380a)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전압발생기(700)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은 상기 제1 필터부(380a)에 인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고전압발생기(700)는, 출력전극(860)에 연결된 필터부재(380)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8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880)는 변압기(830) 및 체배기(840) 사이의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감지부(880)는 체배기(840)와 서지보호부(850) 사이의 노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지부(880)는 서지보호부(850) 및/또는 체배기(840)를 통해 출력전극(8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880)는 감지부(880)로 기설정된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881)와, 감지부(881)의 감지 노드(VD)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88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전압 인가부(881)와 전압 측정부(889)가 제어부(870)와 별개의 구성 요소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870)는 전압 인가부(881)와 전압 측정부(889)를 포함하는 구성에 해당할 수 있다.
전압 인가부(881)에 의해 감지부(880)로 인가되는 전압은 제3전압분배부(882b, 888b)에 의해 분배될 수 있다. 예컨대, 감지부(880)로 인가되는 전압이 5V이고, 제3 전압분배부(882b, 888b)에 의해 분배됨에 따른 감지 노드(VD)의 전압은 3.7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전압분배부(882b, 888b)는 제5분배저항(882b) 및 제6분배저항(88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압분배부는 감지부(880)로 인가되는 전압을 분배함으로써, 감지 노드(VD)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해 줄 수 있다.
감지부(880)는 감지부 커패시터(8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 커패시터(884)는 출력전극(860)과 감지 노드(V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감지부 커패시터(884)는 체배기(840)와 감지 노드(VD)의 사이, 또는 서지보호부(850)와 감지 노드(V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출력전극(860), 즉 필터부재(380)의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 감지부 커패시터(884)를 기준으로 양 단의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노드(VD)의 전압과 감지부 커패시터(884)와 체배기(840) 사이의 노드(V2)의 전압은 일정할 수 있다. 특히, 필터부재(380)의 상태가 정상 상태일 때에는, 노드(V2)의 전압이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양 단의 전압 변화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감지부 커패시터(884)는 감지 노드(VD)와 노드(V2)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880)는 감지 노드(VD)와 감지부 커패시터(884)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부 다이오드(88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재(380)의 제1 필터부(380a)로 (-) 크기를 갖는 전압이 공급(예컨대, -7.5kV)되는 경우, 감지부 다이오드(887)의 애노드는 감지 노드(VD)와 연결되고, 감지부 다이오드(887)의 캐소드는 감지부 커패시터(884), 즉 출력전극(860)과 연결될 수 있다.
감지부 커패시터(884)와 감지부 다이오드(887)는, 필터부재(380)의 상태에 기초하여 감지 노드(VD)와 출력전극(860) 사이의 전류의 흐름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필터부재(380)의 제1 필터부(380a)에는 제2 필터부(380b)와의 절연거리를 늘리기 위해 외부를 둘러싸는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재(380)의 세척 등으로 인해 필름이 손상되거나 벗겨지는 경우, 제1 필터부(380a)와 제2 필터부(380b) 사이의 절연거리가 감소할 수 있다. 제1 필터부(380a)로 고전압이 공급되는 경우, 제1 필터부(380a)와 제2 필터부(380b)가 도전되어 방전되면서, 스파크 현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스파크가 발생함에 따라, 필터부재(380)가 손상되어 전기집진장치(30)의 필터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파크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공기조화기(1) 자체가 고장 또는 손상될 수 있고, 심각한 경우에는 화재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필터부재(380)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경우, 즉 제1 필터부(380a)와 제2 필터부(380b)가 순간적으로 도전되는 경우, 제2 필터부(380b) 단의 전압이 순간적으로 (-)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재(3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부(880)의 노드(V2)의 전압이 감소하게 될 수 있다.
감지부(880)의 노드(V2)의 전압이 감소함에 따라, 소정 크기의 전류가 감지 노드(VD)로부터 감지부 다이오드(887)와 감지부 커패시터(884)를 통해 노드(V2)로 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 커패시터(884)에 충전된 전하의 적어도 일부가 방전되어 노드(V2)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감지 노드(V2)로부터 감지부 다이오드(887)를 통해 감지부 커패시터(884)로 전하가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전류가 감지 노드(VD)로부터 노드(V2)로 흐르게 될 수 있다.
노드(V2)로 흐르는 전류의 적어도 일부는, 누설 전류(LI)로서 필터부재(38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소정 크기의 전류가 감지 노드(VD)로부터 노드(V2)로 흐를 때, 감지 노드(VD)의 전압은 순간적으로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감지 노드(VD)의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순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전압 측정부(889)는 감지 노드(VD)와 연결되어 감지 노드(VD)의 전압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870)는 측정된 감지 노드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필터어셈블리(300)의 필터부재(380)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870)는 측정된 감지 노드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필터부재(380)에 스파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870)가 필터어셈블리(300)의 필터부재(380)에 스파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동작 및 감지 결과에 따른 처리 동작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1)의 실내기가 동작될 수 있다(S100).
실내기가 동작됨에 따라, 공기조화기(1)의 흡입부(103)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후, 토출부(101)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870)는 열 교환된 공기가 토출되기 전,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해, 필터어셈블리(300)의 제1 필터부(380a)로 고전압을 인가하도록 직류 전압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전기집진장치(30)의 필터어셈블리(300)에 스파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 감지부(880)에 기설정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S110).
제어부(870)는 필터어셈블리(300)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기 위해, 기설정된 전압을 감지부(880)에 인가하도록 전압 인가부(881)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전압 인가부(881)는 5V의 전압을 감지부(880)에 공급할 수 있으나, 공급 전압의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조화기(1)는 감지부(880)에 전압이 인가된 후, 감지부(880)의 전압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S120).
제어부(870)는 감지부(880)의 감지 노드(VD)와 연결된 전압 측정부(889)를 통해, 감지 노드(VD)의 전압을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감지부(880)의 전압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전기집진장치(30)의 필터어셈블리(300)에 스파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130).
제어부(870)는 측정된 전압과 기준 전압의 차이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필터어셈블리(300)에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한 일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공기조화기의 필터어셈블리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경우, 감지부의 전압 변동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870)는 감지부(880)의 감지 노드(VD)와 연결된 전압 측정부(889)를 통해, 감지 노드(VD)의 전압을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집진장치(30)가 정상 동작하는 경우, 감지부(880)의 감지 노드(VD)의 전압은 기준 전압(REFV)을 나타낼 수 있다. 즉, 전압 측정부(889)를 통해 측정되는 감지 노드(VD)의 전압이 기준 전압(REFV)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870)는 전기집진장치(30)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반면, 시점 T에서 필터어셈블리(300)에 포함된 필터부재(380)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경우,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 노드(VD)로부터 필터부재(380)로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 노드(VD)의 전압이 순간적으로 변동하여, 기준 전압(REFV)과 기준값(TH) 이상 차이나는 전압(VT)을 갖게 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노드(VD)의 전압은 펄스 형태로 변동할 수 있다. 이는 감지부 커패시터(884)에 의해 전류가 소정 시간 이상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제어부(870)는 전압 측정부(889)를 통해 측정된 감지 노드의 전압과 기준 전압(REFV)의 차이가 기준값(TH) 이상인 경우, 필터부재(380)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870)는 감지부(880)를 이용하여, 필터부재(380)에서 발생하는 순간적인 스파크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설명한다.
필터어셈블리(300)의 필터부재(380)에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면, 공기조화기(1)는 필터부재(380)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S140).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380)의 제1 필터부(380a)에는 절연성을 높이기 위한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이 손상되는 경우, 제1 필터부(380a)의 절연성이 저하되어, 제1 필터부(380a)로 고전압이 공급될 때 인접한 제2 필터부(380b) 등과 도전되어 방전되면서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870)는 필터부재(380)에 스파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필터부재(380)로의 고전압 공급을 차단하도록 고전압발생기(70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870)는 공기조화기(1) 자체의 동작을 중지하거나, 사용자에게 에러음을 출력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기집진장치(30)에 이상이 발생하였음을 알릴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조화기(1)는 전기집진장치(30)의 필터부재(380)에서 발생하는 스파크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1)는 스파크 현상을 감지함에 따라 전기집진장치 또는 공기조화기(1)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연속적인 스파크 발생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손상이나 화재의 발생 등과 같은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실내기 2: 토출패널
3: 흡입그릴 4: 송풍기
5: 열교환기 7,8,9,10: 송풍통로
21,22,23,24: 입구 25: 출구
26: 연결유로

Claims (10)

  1. 흡입부 및 토출부를 갖는 케이싱; 및
    상기 흡입부에 배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시키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용정원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기;
    상기 고전압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고전압을 인가받고, 대전된 이물이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되는 제1 필터부와, 접지에 연결되어 상기 대전된 이물을 집진시키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상기 필터어셈블리로의 전압 인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조화기의 동작시, 상기 감지부로 기설정된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감지부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감지 회로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인가된 전압에 기초하여 기준 전압을 갖는 감지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노드의 전압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로 인가되는 상기 기설정된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감지 노드의 전압을 상기 기준 전압으로 유지하는 전압분배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 노드와 상기 필터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부 커패시터; 및
    상기 감지 노드와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 사이에 배치되는 감지부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다이오드의 애노드는 상기 감지 노드와 연결되고,
    상기 감지부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와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와 상기 필터어셈블리 사이의 전압이 감소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로 전달되고,
    상기 감지부 다이오드는,
    상기 감지 노드로부터 상기 감지부 커패시터로 전하를 전달하는 공기조화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노드의 전압과 기준 전압 사이의 차이가 기준값보다 큰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스파크 발생을 감지하는 공기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파크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로의 전압 인가를 차단하도록 상기 고전압발생기를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로 인가되는 상기 고전압은 (-)값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70062573A 2017-05-19 2017-05-19 공기조화기 KR10233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573A KR102339392B1 (ko) 2017-05-19 2017-05-1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573A KR102339392B1 (ko) 2017-05-19 2017-05-1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126A true KR20180127126A (ko) 2018-11-28
KR102339392B1 KR102339392B1 (ko) 2021-12-15

Family

ID=64561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573A KR102339392B1 (ko) 2017-05-19 2017-05-1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3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407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제이엔텍 공기조화기 일체형 열교환기
KR102121202B1 (ko) * 2019-01-03 2020-06-10 주식회사 유니솔렉 이상 상태 감지에 따른 출력 조절이 가능한 고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상 상태 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554A (ko) * 2022-02-21 2023-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32359A (ko)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096Y1 (ko) * 1995-05-12 1998-07-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1190623B1 (ko) * 2012-05-07 2012-11-13 주식회사 우남알앤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9599A (ko) * 2012-08-28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096Y1 (ko) * 1995-05-12 1998-07-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1190623B1 (ko) * 2012-05-07 2012-11-13 주식회사 우남알앤디 집진판 청소시기 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29599A (ko) * 2012-08-28 2014-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이의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5407A (ko) 2018-11-30 2020-06-09 주식회사 제이엔텍 공기조화기 일체형 열교환기
KR102121202B1 (ko) * 2019-01-03 2020-06-10 주식회사 유니솔렉 이상 상태 감지에 따른 출력 조절이 가능한 고전압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상 상태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392B1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392B1 (ko) 공기조화기
US7833322B2 (en) Ai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voltage control device responsive to current sensing
RU2508582C2 (ru) Установка, генерирующая ионы, и электриче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ее использующее
US4290788A (en) Electrostatic air cleaner and mounting means therefor
US7517505B2 (en) Electro-kinetic air transporter and conditioner devices with 3/2 configuration having driver electrodes
CA2657506C (en) Air cleaner including constant current power supply
US66114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tering voltage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4410934A (en) DC Power supply for an air filter
JP5301957B2 (ja) イオン化電源の計器の自己較正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2990911A (en) Means to indicate shorting of precipitator by collected material
JP3472555B2 (ja) 電気集塵機
JP2008059795A (ja) イオン発生装置
JP2009039593A (ja) 電気集塵機
KR101979948B1 (ko) 고전압발생기 및 공기조화기
JP3529595B2 (ja) 空気調和機
CN110768394B (zh) 遥控器和车载空调器
KR20170020102A (ko) 이온발생장치
KR200162325Y1 (ko) 전기집진기
JP3271593B2 (ja) 空気調和機
CN220042974U (zh) 一种保护电路及排插
JP3234722U (ja) 接地回路および電極
CN211623767U (zh) 带净化功能的风扇
CN114963340A (zh) 一种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1923784B1 (ko) 출력가변형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2856704A (zh) 带净化功能的风幕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