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2359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2359A KR20230132359A KR1020220185473A KR20220185473A KR20230132359A KR 20230132359 A KR20230132359 A KR 20230132359A KR 1020220185473 A KR1020220185473 A KR 1020220185473A KR 20220185473 A KR20220185473 A KR 20220185473A KR 20230132359 A KR20230132359 A KR 202301323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st collection
- disposed
- contact
- electric dust
- side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2717 electrostatic precipit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045 pre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7—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ion with other proces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3C3/0175—Amassing particles by electric fields, e.g. agglom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8—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other than static mechanical means, e.g. internal ventilator or recyc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팬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1측벽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팬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1측벽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에 장착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또는 실내공간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하여 실내공간으로 공급할 수 있다. 실내공간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바닥면, 실내공간의 벽면, 또는 실내공간의 천장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크기는 실내공간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공기조화기에 형성되는 흡입구와 토출구의 크기도 달라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는,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흡입구에는 프리필터나, 전기집진필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의 경우, 복수의 구성으로 제작되므로,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별도의 제조공정을 통해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로 작용할 수 있다.
공개특허 KR 10-2020-0111571호에서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장착되는 전기집진필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규격화되고 크기가 고정된 전기집진필터를 개시하고 있어, 흡입구의 크기가 달라지면,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구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전기집진필터나 필터핸들 간 구조적으로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기집진필터나 필터핸들가 장착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기집진장치가 하우징으로부터 탈착될 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팬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집진필터를 포함하여,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1측벽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어, 복수의 전기집진필터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가 배치되어, 복수의 전기집진필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홈는, 상기 제1측벽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져, 복수의 전기집진필터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상기 전기집진필터를 고정시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버튼돌기와, 상기 제1버튼돌기의 배치를 복원시키는 복원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로부터 돌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버튼돌기와 함께 이동하는 제2버튼돌기를 포함하여, 복수의 전기집진필터가 서로 연결되거나 연결해제될 수 있다 .
상기 제1결합홈의 일측에는, 상기 제2버튼돌기에 대응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의 일측에는 상기 제1버튼돌기에 대응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 각각은,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이 연장되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기집진필터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가 유동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배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에 상대적으로 저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과,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접점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제2접점브라켓 각각은, 양단이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어, 복수의 전기집진필터가 서로 연결될 때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제2접점브라켓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과 접촉하게 배치되는 접점바디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접촉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접촉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단부가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접촉단부가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와 상이하게 형성되어 서로 간의 결합에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단부는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를 형성하는 측벽보다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2접촉단부는,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을 형성하는 측벽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기집진필름과 제2전기집진필름 사이에는 상기 제1전기집진필름과 상기 제2전기집진필름의 간격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가 더 구비되어, 제1전기집진필름과 제2전기집진필름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일측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팬과,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가 유동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접점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제2접점브라켓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돌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전기집진필터가 서로 연결될 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에는 제1결합돌기와 제1결합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전후방향으로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제2접점브라켓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과 접촉하게 배치되는 접점바디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접촉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접촉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단부는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슬라이딩 결합이 가능하며, 결합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접촉단부는,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을 형성하는 측벽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2개의 필터핸들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집진필터가 서로 대응하는 구조를 가져, 공기조화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전기집진장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전기집진필터와 필터핸들이 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를 가져, 간단하게 서로 조립, 제작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에서, 결합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단부를 배치하여, 복수의 전기집진필터가 연결될 때, 서로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필터핸들 내부에 스위치로 인해, 커넥터간 접촉이 단락되거나 단락해제되어, 전기집진장치가 분리될 때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X’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일부구성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름의 노출단부의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가 제거된 상태의 전기집진필터의 일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가 케이스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도면에서 접점브라켓과 복수의 전기집진필름의 접촉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접점브라켓이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집진필터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핸들의 일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와 필터핸들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전기집진필터와 필터핸들이 결합한 상태에서의 접점브라켓과 제1커넥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전기집진필터와 필터핸들이 결합한 상태에서의 접점브라켓과 제2커넥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핸들과 필터하우징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핸들과 필터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하나의 전기집진필터와 2개의 필터핸들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9는 3개의 전기집진필터와 2개의 필터핸들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로써, 열교환기가 없는 구조의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X’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일부구성이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의 일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타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름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름의 노출단부의 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가 제거된 상태의 전기집진필터의 일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점브라켓과 브라켓홀더가 케이스에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도면에서 접점브라켓과 복수의 전기집진필름의 접촉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접점브라켓이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기집진필터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핸들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핸들의 일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핸들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핸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와 필터핸들 사이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전기집진필터와 필터핸들이 결합한 상태에서의 접점브라켓과 제1커넥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전기집진필터와 필터핸들이 결합한 상태에서의 접점브라켓과 제2커넥터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핸들과 필터하우징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핸들과 필터하우징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8은 하나의 전기집진필터와 2개의 필터핸들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9는 3개의 전기집진필터와 2개의 필터핸들이 결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필터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로써, 열교환기가 없는 구조의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 1, 제 2, …’의 표현은 구성요소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간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 도 1 내지 도 3, 도 26 내지 도 27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공기를 프리필터(34)와 전기집진장치(50)를 거쳐 토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16a)와 토출구(16b)를 형성하는 하우징(10), 하우징(10)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32), 하우징(10)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팬(30), 흡입구(16a)에 배치되는 프리필터(34), 프리필터(34)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50), 토출구(16b)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베인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어퍼하우징(12)과 어퍼하우징(12)의 하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6a)와 토출구(16b)를 형성하는 로어하우징(14)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어퍼하우징(12)에는, 팬(30)을 거쳐 토출구(16b)로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가이더(38)가 배치된다.
로어하우징(14)의 흡입구(16a)에 흡입패널(16)이 배치된다. 흡입패널(16)의 상측에 프리필터(34)와 전기집진장치(50)가 배치된다. 로어하우징(14)의 상측에는 전기집진장치(50)가 장착되는 필터하우징(20)이 배치된다.
베인모듈(40)은, 아우터베인(42)과, 이너베인(4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베인(42)과 이너베인(44)는 서로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아우터베인(42)과 이너베인(44)은 토출구(16b)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베인모둘(40)은 토출구(16b)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좌우방향으로 안내하는 수직베인(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 내부에는, 열교환기(3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드레인팬(36)이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
이하에서 도 4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50)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25, 도 28 내지 도 29에서는, 전기집진장치의 길이방향(l+, l-), 폭방향(w+, w-), 높이방향(h+, h-)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전기집진장치(50)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집진필터(100)를 포함한다.
전기집진필터(100)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104)과, 제1측벽(104)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1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측벽(104)에는, 제1측벽(104)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104a)가 배치된다. 제2측벽(106)에는, 제1결합돌기(104a)에 대응하는 제2결합홈(106b)이 형성된다.
제1측벽(104)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결합홈(104b)이 형성된다. 제2측벽(106)에는, 제1결합홈(104b)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106a)가 배치된다.
제1결합돌기(104a)와 제1결합홈(104b)은, 제1측벽(104)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2결합돌기(106a)와 제2결합홈(106b)은, 제2측벽(106)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결합돌기(104a)는, 제2결합돌기(106a)와 전후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제1결합돌기(104a)는 제2결합홈(106b)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결합홈(104b)은 제2결합돌기(106a)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기집진필터(100)는, 전기집진필터(100)를 고정시키는 버튼을 포함한다. 버튼()은, 전기집진필터(100)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버튼돌기(162)와, 제1버튼돌기(162)의 배치를 복원시키는 복원플레이트(166)와, 제1결합돌기(104a) 또는 제2결합돌기(106a)로부터 돌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버튼돌기(162)와 함께 이동하는 제2버튼돌기(164)를 포함한다.
전기집진장치(50)는, 전기집진필터(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전기집진필터(100)의 배치를 하우징(10)에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핸들은 전기집진필터(100)와 연결되고, 하우징()에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실시예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기집진장치(50)는, 전기집진필터(10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전기집진필터(100)의 배치를 하우징(10)에 고정하는 제1필터핸들(200a), 전기집진필터(100)의 타측에 배치되고 전기집진필터(100)의 배치를 하우징(10)에 고정하는 제2필터핸들(200b)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핸들은, 전기집진필터(100)의 배치를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터핸들이 구비되지 않고, 전기집진필터(100)가 직접 하우징(1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집진필터(100)의 제1측벽(104)은 제1필터핸들(200a)과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전기집진필터(100)의 제2측벽(106)은 제2필터핸들(200b)과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전기집진필터(100)의 제1측벽(104)은 제2측벽(106)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져, 전기집진필터(100)는 이웃하는 전기집진필터(1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 사이에 복수의 전기집진필터(100a, 100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 사이에 제1전기집진필터(100a)와 제2전기집진필터(100b)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기집진필터(100a)와 제2전기집진필터(100b)는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전기집진필터(100a)와 제2전기집진필터(100b)는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 사이에서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00)의 제1측벽(104)은 제2필터핸들(200b)의 일측벽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00)의 제2측벽(106)은 제1필터핸들(200a)의 일측벽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집진필터(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기집진필터의 높이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개구된 케이스(102), 케이스(102) 내부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고,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 및 케이스(102) 내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 각각을 서로 이격 배치시키는 필름홀더(130a, 130b)를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집진필터(100)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기집진필터(100), 제1필터핸들(200a), 또는 제2필터핸들(200b)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버튼(160a, 160b)을 더 포함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버튼(160a, 160b)은, 케이스(102)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집진필터(100)는 케이스(10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버튼(160a)과 케이스(102)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버튼(160b)을 포함한다.
제1버튼(160a)과 제2버튼(160b) 각각은, 케이스(102)의 상부벽을 향해 돌출되는 제1버튼돌기(162)와, 제1버튼돌기(162)의 배치를 복원시키는 복원플레이트(166)와, 제1버튼돌기(162)와 함께 이동하는 제2버튼돌기(164)를 포함한다. 제2버튼돌기(164)는 제1버튼돌기(16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함께 위치가 변경된다. 복원플레이트(166)는 케이스(102) 내측에 배치되고, 제1버튼돌기(162)의 배치를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제1버튼돌기(162)의 배치가 유지될 수 있다. 별도의 외력이 제1버튼돌기(162)로 가해지지 않을 때, 제1버튼돌기(162)는 케이스(102)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버튼돌기(164)는 이하에서 설명할 케이스(102)의 결합돌기(104a, 106a)에 배치된다. 결합돌기(104a, 106a)가 결합홈(104b, 106b)에 삽입될 때, 제2버튼돌기(164)는 결합홈(104b, 106b)에 형성되는 고정홈(104c, 106c)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버튼돌기(164)는 전기집진필터(100)가 또 다른 전기집진필터(1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2버튼돌기(164)는 전기집진필터(100)가 제1필터핸들(200a) 또는 제2필터핸들(200b)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기집진필터(100)는, 서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접점브라켓(140)과 접점브라켓(140)을 지지하는 브라켓홀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2)는,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홀(103c) 형성한다. 케이스(102)는 내부에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 각각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은 필름홀더(130a, 130b)에 의해 케이스(102) 내부에서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노출단부(126a) 또는 제2노출단부(126b)가 필름홀더(130a, 130b)로부터 돌출된 길이는, 필름홀더(130a, 130b)와 접점브라켓(140a, 140b) 사이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스(102)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전후방향의 길이가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102)는 제1필터핸들(200a)이 장착되는 제1측벽(104)과, 제2필터핸들(200b)이 장착되는 제2측벽(106)을 포함한다. 케이스(102)의 제1측벽(104)이나 제2측벽(106)에는 또 다른 전기집진필터(1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케이스(102)에는 좌측방향으로 제1측벽(104)이 배치되고, 우측방향으로 제2측벽(106)이 배치된다. 제1측벽(104)과 제2측벽(106)은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제1측벽(104)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104a)와,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제1결합홈(104b)이 배치된다. 제2측벽(106)에는 내측으로 홈을 형성하는 제2결합홈(106b)과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106a)가 배치된다.
제1측벽(104)의 후방에는 제1결합돌기(104a)가 배치되고, 제1측벽(104)의 전방에는 제1결합홈(104b)이 배치된다. 제2측벽(106)의 후방에는 제2결합홈(106b)이 배치되고, 제2측벽(106)의 전방에는 제2결합돌기(106a)가 배치된다.
제1측벽(104)에는 제1필터핸들(200a) 또는 다른 전기집진필터(100)의 제2측벽(106)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측벽(106)에는 제2필터핸들(200b) 또는 다른 전기집진필터(100)의 제1측벽(104)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된다는 의미는, 복수의 전기집진필터(100) 간의 구조적 연결되는 상태 이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00)와 제1필터핸들(200a) 또는 제2필터핸들(200b)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00)는 또 다른 전기집진필터(100)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04a)는 제2결합홈(106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제2결합돌기(106a)는 제1결합홈(104b)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서로 결합되는 복수의 전기집진필터(100)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104a)는 제1측벽(104)에서 ‘T’자형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제2결합홈(106b)은 제2측벽(106)에서 ‘T’자형으로 패인 홈구조를 가진다.
제2결합돌기(106a)는 제2측벽(106)에서 ‘T’자형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제1결합홈(104b)은 제1측벽(104)에서 ‘T’자형으로 패인 홈구조를 가진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결합돌기(104a)와 제2결합돌기(106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결합홈(104b)과 제2결합홈(106b)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전기집진필터(100)는 또 다른 전기집진필터(100)와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00)는 제1필터핸들(200a) 또는 제2필터핸들(200b)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홈(104b)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홈(104c)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홈(106b)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고정홈(106c)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홈(104b)에는 또 다른 전기집진필터(100)의 제2결합돌기(106a)에 배치되는 제2버튼(160b)의 일부구성이 삽입될 수 있다. 제2버튼(160b)을 사용자가 누를 때, 제2버튼(160b)의 일부구성이 제1결합홈(104b)으로부터 인출되고, 전기집진필터(10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결합홈(106b)에는 또 다른 전기집진필터(100)의 제1결합돌기(104a)에 배치되는 제1버튼(160a)의 일부구성이 삽입될 수 있다. 제1버튼(160a)을 사용자가 누를 때, 제1버튼(160a)의 일부구성이 제2결합홈(106b)으로부터 인출되고, 전기집진필터(10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102)에는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가 삽입되는 인렛홀(108a, 110a)이 형성된다. 인렛홀(108a, 110a)을 통해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가 삽입될 수 있다.
케이스(102)의 제1측벽(104)에는 제1인렛홀(108a)이 형성된다. 제1인렛홀(108a)은 제1결합돌기(104a)의 전방에 배치된다. 케이스(102)의 제2측벽(106)에는 제2인렛홀(110a)이 형성된다. 제2인렛홀(110a)은 제2결합돌기(106a)의 후방에 배치된다.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는 제1인렛홀(108a) 또는 제2인렛홀(110a)을 통해 케이스(102)에 장착된다.
케이스(102)의 제2측벽(106)에는 제1인렛홀(108a)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접점브라켓(140)의 일단부가 노출되는 제1아웃렛홀(108b)이 형성된다. 케이스(102)의 제1측벽(104)에는 제2인렛홀(110a)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는 접점브라켓(140)의 일단부가 노출되는 제2아웃렛홀(110b)이 형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결합돌기(104a)의 일측에 제1인렛홀(108a)이 형성되고, 제1결합홈(104b)의 일측에 제1아웃렛홀(108b)이 형성된다.
케이스(102)에는, 제1인렛홀(108a)을 통해 삽입되는 접점브라켓(140)이 배치되는 제1접점공간(103a)과, 제2인렛홀(110a)을 통해 삽입되는 접점브라켓(140)이 배치되는 제2접점공간(103b)이 형성된다. 제1접점공간(103a)과 제2접점공간(103b)은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접점공간(103a)은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제2접점공간(103b)은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접점공간(103a)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120) 각각의 제1노출단부(126a)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접점공간(103b)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120) 각각의 제2노출단부(126b)가 배치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케이스(102)는 어퍼케이스(102a)와 로어케이스(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102a)와 로어케이스(102b)가 결합하여 내측에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어퍼케이스(102a)와 로어케이스(102b)가 결합한 상태에서, 케이스의 양측벽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다.
케이스(102)의 내부에는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 각각은, 전기가 흐르는 도전층을 형성하는 전극(124)과, 전극(124)의 배치를 고정하고, 절연층을 형성하는 필름(122)을 포함한다. 케이스(102) 내부에는,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 각각이 서로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1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극(124)은 필름(12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124)은 필름(122)에 의해 둘러싸여 전기가 흐르는 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극(124)은 전후방향 중 하나의 단부에서 필름(122)에서 노출되게 배치되는 노출단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단부(126)는, 초박형의 두께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으로 변형이 될 수 있다. 노출단부(126)는, 일정두께 이하로 형성되어 접점브라켓(140a, 140b)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태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은 고전압발생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제1전기집진필름(120)과 접지부(미도시)와 연결되는 제2전기집진필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120)과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120) 각각은 서로 교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기집진필름(120)과 제2전기집진필름(120)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전기집진필름(120)과 제2전기집진필름(120) 각각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노출단부가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도 17를 참조하면, 제1전기집진필름(120)의 제1노출단부(126a)는 제1접점공간(103a)에 배치된다. 제2전기집진필름(120)의 제2노출단부(126b)는 제2접점공간(103b)에 배치된다.
전기집진필터(100)에는 한 쌍의 접점브라켓(140)과 한 쌍의 브라켓홀더(150)를 포함한다. 전기집진필터(100)는 제1접점공간(103a)에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제1브라켓홀더(150a)를 포함한다. 전기집진필터(100)는 제2접점공간(103b)에 배치되는 제2접점브라켓(140b)과 제2브라켓홀더(150b)를 포함한다.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제2접점브라켓(140b)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브라켓홀더(150a)와 제2브라켓홀더(150b)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접점브라켓(140)의 구조는,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제2접점브라켓(140b) 각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되는 브라켓홀더(150)는 제1브라켓홀더(150a)과 제2브라켓홀더(150b) 각각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접점브라켓(140)은,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120) 또는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120) 각각과 접촉하는 접점바디(142)와, 접점바디(142)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1아웃렛홀(108b) 또는 제2아웃렛홀(110b)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1접촉단부(144)와, 접점바디(142)의 타측에 배치되고 제1인렛홀(108a) 또는 제2인렛홀(110a)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제2접촉단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점바디(142)는, 케이스(102) 내측에서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접점바디(142)는, 케이스(102) 내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에 교차되게 배치된다. 접점바디(142)는,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과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17를 참조하면, 접점바디(142)는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점바디(142)는 이하에서 설명할 브라켓홀더(150)의 홀더바디(152)의 일측에 배치된다. 접점브라켓(140)이 브라켓홀더(1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브라켓(140)의 양단이 브라켓홀더(150)에 고정된다. 접점브라켓(140)이 브라켓홀더(150)에 장착된 상태란, 제1접촉단부(144)가 브라켓홀더(150)의 제1이격돌기(154)에 고정되고, 제2접촉단부(146)가 브라켓홀더(150)의 제2이격돌기(156)에 고정되어,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접점브라켓(140)이 브라켓홀더(1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가 케이스(102)의 제1인렛홀(108a) 또는 제2인렛홀(110a)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접촉단부(144)와 제2접촉단부(146)는, 접점바디(142)로부터 브라켓홀더(15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접점바디(14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제1접촉단부(144)와 제2접촉단부(146)는, 접점바디(14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내측방향과, 외측방향은, 접점바디(142)가 배치되는 방향을 내측으로, 브라켓홀더(150)의 홀더바디(152)가 배치되는 방향을 외측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접촉단부(144)와 제2접촉단부(146)는 접점바디(142)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접촉단부(144)는, 접점바디(14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밴딩되고 접점바디(142)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접촉단부(144)는, 접점바디(14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접점바디(142)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이격돌기(154)는, 접점바디(14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접점바디(142)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접점바디(142)와 연결되는 제1접촉단부(144)는 제1이격돌기(154)의 둘레를 따라 밴딩되어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이격돌기(154)와 제1접촉단부(144)의 구조로 인해, 접점브라켓(140)이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이나 전기집진장치의 폭방향(w+, w-)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제2접촉단부(146)는, 제2이격돌기(156)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2접촉단부(146)는, 접점바디(14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밴딩되고 접점바디(142)와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접촉단부(146)는, 접점바디(142)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접점바디(142)에 반대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이격돌기(156)는, 접점바디(142)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접점바디(142)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접점바디(142)의 타측으로 연결되는 제2접촉단부(146)는 제2이격돌기(156)의 둘레를 따라 밴딩되어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이격돌기(156)와 제2접촉단부(146)의 구조로 인해, 접점브라켓(140)이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이나 전기집진장치의 폭방향(w+, w-)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제2접촉단부(146)의 길이는 제1접촉단부(14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촉단부(144)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브라켓홀더(150)의 제1이격돌기(154)가 형성되는 부분까지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접촉단부(146)는, 제2이격돌기(156)가 형성되는 부분보다 길게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접촉단부(146)는 제2이격돌기(156)를 지나는 영역에서 내측방향으로 밴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접점브라켓(140)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접점바디(142)는 복수의 전기집진필름(120) 각각과 접촉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접점브라켓(140)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란, 접점브라켓(140)의 제1접촉단부(144)가 제1아웃렛홀(108b) 또는 제2아웃렛홀(110b)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접점브라켓(140)이 케이스(102)에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접점브라켓(140)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촉단부(144)는 제1아웃렛홀(108b) 또는 제2아웃렛홀(110b)을 관통하여 케이스(102)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2접촉단부(146)는 제1인렛홀(108a) 또는 제2인렛홀(110a)을 관통하여 케이스(102)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제2접촉단부(146)의 길이는 제1접촉단부(144)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접촉단부(146)는 제2이격돌기(156)를 지나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브라켓홀더(150)는 접점브라켓(140)의 접점바디(14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접점바디(142)의 일측을 지지하는 홀더바디(152), 홀더바디(152)의 일측단부에 배치되고 접점브라켓(140)의 일측단부를 고정시키는 제1이격돌기(154)와, 홀더바디(152)의 타측단부에 배치되고 접점브라켓(140)의 타측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이격돌기(156)와, 홀더바디(152)의 타측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홀더그립(158)과, 브라켓홀더(150)를 케이스(102)에 고정시키는 체결부(159)를 포함한다.
홀더바디(152)는, 접점바디(142)의 일측에 배치되고, 접점바디(142)의 형태를 지지할 수 있다. 접점바디(142)는 얇은 두께의 판형상의 구조를 가져, 형태의 변형이 용이할 수 있다. 홀더바디(152)는 접점바디(142)의 외측방향에 배치되고, 접점바디(142)와 접촉되게 배치된다. 홀더바디(152)는, 복수의 필름(122)과 접촉하며 케이스(102) 내부로 삽입되는 접점바디(142)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홀더바디(152)는,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연장되는 제1바디(152a), 제1바디(152a)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1바디(152a)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바디(152b), 및 제1바디(152a)와 제2바디(152b) 사이에서 제1바디(152a)와 제2바디(152b)를 연결하는 연결리브(152c)를 포함한다. 홀더바디(152)는 제1바디(152a)와 제2바디(152b)가 연결리브(152c)로 연결되는 구조로 인해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바디(152a)는 일측면에서 접점바디(142)와 접촉하게 배치된다. 제2바디(152b)는 제1바디(152a)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바디(152)는 복수의 연결리브(152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리브(152c)는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이격배치된다.
제1이격돌기(154)는 제1바디(152a)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이격돌기(154)는 제1바디(152a)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이격돌기(154)와 제1바디(152a) 사이로 접점바디(142)로부터 연장되는 제1접촉단부(14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이격돌기(156)는 제1바디(152a)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2이격돌기(156)는 홀더바디(152)를 기준으로 제1이격돌기(154)와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제2이격돌기(156)는 제1바디(152a)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이격돌기(156)와 제1바디(152a) 사이로 접점바디(142)로부터 연장되는 제2접촉단부(146)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그립(158)은, 제2바디(152b)로부터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연장된다. 홀더그립(158)은 제2이격돌기(156)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홀더그립(158)과 제2이격돌기(156) 사이로 제2접촉단부(146)가 배치될 수 있다.
홀더그립(158)은 제2바디(152b)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가 케이스(102) 내부에 삽입될 때, 홀더그립(158)은 케이스(102)와 접촉한다. 홀더그립(158)이 케이스(102)의 일측과 접촉할 때, 브라켓홀더(150)가 케이스(102)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체결부(159)는 홀더그립(158)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케이스(102)의 일측에 브라켓홀더(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부(159)는 별도의 체결나사(미도시)를 통해 브라켓홀더(150)를 케이스(10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가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체결나사를 통해 브라켓홀더(150)가 케이스(102)에 고정될 수 있다.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가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란, 접점브라켓(140)과 브라켓홀더(150)가 케이스(102) 내측으로 더 이상 삽입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케이스(102) 내측에는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제1브라켓홀더(150a)가 배치되는 제1접점공간(103a)과, 제2접점브라켓(140b)과 제2브라켓홀더(150b)가 배치되는 제2접점공간(103b)이 형성된다.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제1브라켓홀더(150a)는 케이스(102)에 형성되는 제1인렛홀(108a)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제1브라켓홀더(150a)는 케이스(102)에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제1브라켓홀더(150a)가 케이스(102) 내측으로 삽입될 때,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제1전기집진필름(120)의 제1노출단부(126a)가 접촉될 수 있다. 도 11를 참조하면, 제1노출단부(126a)는 제1접점브라켓(140a)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도 17를 참조하면, 제1노출단부(126a)는 제1접점브라켓(140a)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제1노출단부(126a)는 제1접점브라켓(140a)에 의해 형태가 변형된 상태에서 제1접점브라켓(140a)과 접촉되게 배치된다.
제2접점브라켓(140b)과 제2브라켓홀더(150b)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2접점공간(103b)에 배치되는 제2전기집진필름(120)의 제2노출단부(126b)와 접촉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접점브라켓(140a)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1접촉단부(144)는 제1아웃렛홀(108b)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1접점브라켓(140a)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1접촉단부(144)는, 제2결합홈(106b)에 삽입되는 구성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접점브라켓(140a)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1접촉단부(144)는, 제2측벽(106)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106b)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접점브라켓(140a)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1접촉단부(144)는 제2결합홈(106b)을 형성하는 벽면보다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홀더(150a)가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홀더(150a)의 제1이격돌기(154)는, 제1아웃렛홀(108b)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홀더(150a)가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홀더(150a)의 제1이격돌기(154)는, 제2결합홈(106b)을 형성하는 벽면보다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접점브라켓(140a)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2접촉단부(146)는 제1인렛홀(108a)으로부터 케이스(102)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접점브라켓(140a)이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2접촉단부(146)는, 제1측벽(104)에 형성되는 제1결합돌기(104a)보다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홀더(150a)가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홀더(150a)의 제2이격돌기(156)는, 제1인렛홀(108a)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브라켓홀더(150a)가 케이스(102)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홀더(150a)의 제2이격돌기(156)는, 제2결합돌기(106a)을 형성하는 벽면보다 전기집진필터의 길이방향(l+, l-)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접점브라켓(140b)과 제2브라켓홀더(150b)도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핸들과 제2필터핸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집진장치(50)는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을 포함한다.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은 좌우방향으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 각각에 포함되는 구성은 일부 배치가 달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제2필터핸들(200b)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필터핸들(200b)은, 전기집진필터(100)와 마주하는 벽면을 형성하는 이너커버(202), 이너커버(2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0)에 걸리는 고정돌기(214)가 배치되는 아우터커버(210), 제2필터핸들(200b)을 하우징(10)에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하는 핸들버튼(240), 이너커버(202)의 일측에 형성되는 대응돌기(204a)의 일측에 배치되고 전기집진필름(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220), 이너커버(202)의 타측에 형성되는 대응홈(204b)의 일측에 배치되고 전기집진필름(1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커넥터(230), 및 제1커넥터(220)와 제2커넥터(230)를 서로 단락 또는 단락해제시키는 스위치(250)를 포함한다.
이너커버(202)는, 전기집진필터(100)와 마주하는 대응벽(204)을 포함한다, 이너커버(202)의 대응벽(204)에는, 전기집진필터(100)의 결합홈(104b, 106b)에 삽입되는 대응돌기(204a)와 전기집진필터(100)의 결합돌기(104a, 106a)가 삽입되는 대응홈(204b)이 형성된다.
이너커버(202)에는, 제1커넥터(2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커넥터홈(206a), 제2커넥터(23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커넥터홈(206b), 스위치(25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스위치홈(206c)이 형성된다.
아우터커버(210)는, 이너커버(202)의 대응벽(204)을 제외한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커버(210)와 이너커버(202)는 결합될 수 있다. 별도의 체결수단을 통해 아우터커버(210)와 이너커버(202)는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커버(210)는 이너커버(202)의 대응벽(204)의 반대면을 향하는 외측벽(2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212)은, 필터핸들(200a, 200b)이 장착되는 필터하우징(20)에 마주하게 배치되는 벽면일 수 있다. 외측벽(212)에는, 필터하우징(20)에 필터핸들(200a, 200b)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214)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돌기(214)는 전기집진장치의 폭방향(w+, w-)으로 핸들버튼(240)과 이격되게 배치도될수 있다.
아우터커버(210)의 상부면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커넥터(220)의 일부구성이 노출되는 제1커넥터홀(216a), 이하에서 설명할 제2커넥터(230)의 일부구성이 노출되는 제2커넥터홀(216b), 스위치(250)의 일부구성이 노출되게 배치되는 스위치홀(216c)이 형성된다.
제1커넥터홀(216a)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커넥터(220)의 제1노출플레이트(224)가 배치된다. 제2커넥터홀(216b)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커넥터(230)의 제2노출플레이트(234)가 배치된다.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전기집진장치(50)가 필터하우징(20)에 장착될 때, 제1커넥터(220)는 필터하우징(20)에 배치되는 제1접점스위치(22)에 접촉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7을 참조하면, 전기집진장치(50)가 필터하우징(20)에 장착될 때, 제2커넥터(230)는 필터하우징(20)에 배치되는 제2접점스위치(24)에 접촉될 수 있다.
스위치홀(216c)에는 스위치(250)의 일부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집진장치(50)가 필터하우징(20)에 장착될 때, 스위치(250)의 단락플레이트(254)가 필터하우징(20)의 프레스돌기(26)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경우, 단락플레이트(254)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단락플레이트(254)와 제1커넥터(220) 및 제2커넥터(230)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아우터커버(210)에는, 아우터커버(210)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핸들버튼(240)의 일부구성을 노출시키는 제1버튼홀(218a)과 아우터커버(210)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핸들버튼(240)의 다른 구성을 노출시키는 제2버튼홀(218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버튼홀(218a)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핸들버튼(240)의 프레스바디(24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버튼홀(218b)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핸들버튼(240)의 후크(242)가 배치될 수 있다.
핸들버튼(240)은, 필터핸들(200a, 200b)을 필터하우징(20) 일측에 고정시키는 후크(242), 외부의 압력에 의해 배치가 변경되고 후크(242)의 걸림을 해제시키는 프레스바디(244), 및 프레스바디(244)로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프레스바디(244)의 배치를 복원시키는 탄성바디(246)를 포함한다.
프레스바디(244)와 후크(242)는 동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프레스바디(244)와 후크(242)는 전기집진장치의 폭방향(w+, w-)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레스바디(244)에 별도의 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탄성바디(246)에 의해 프레스바디(244)와 후크(242)의 배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탄성바디(246)는 아우터커버(210)의 일측에 배치되고, 프레스바디(244)와 후크(242)의 배치를 일정하기 유지시킬 수 있다. 탄성바디(246)만이 프레스바디(244)에 힘을 가할 때, 후크(242)는 필터하우징(20)의 일측에 걸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집진장치(50)는 필터하우징(20) 내측에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등이 프레스바디(244)를 가압하는 경우, 후크(242)의 배치가 변경될 수 있다. 프레스바디(244)가 탄성바디(246)의 탄성력에 반대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후크(242)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집진장치(50)의 일측이 필터하우징(20)으로부터 고정해제될 수 있다.
제1커넥터(220)와 제2커넥터(230)는 전기집진필터(100)와 고전압부 또는 접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1커넥터(220)와 제2커넥터(230)는 스위치(25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넥터(220)와 제2커넥터(230) 각각의 단부는 스위치(250)의 단락플레이트(254)에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넥터(220)는, 전기집진필터(100)의 전기집진필름(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연결플레이트(222), 아우터커버(210)에 형성되는 제1커넥터홀(216a)에 배치되는 제1노출플레이트(224), 스위치(250)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1접촉플레이트(226), 및 제1커넥터(220)를 이너커버(202)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제1체결플레이트(228)를 포함한다.
제1연결플레이트(222)는, 대응돌기(204a)의 일측에 배치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연결플레이트(222)는 대응돌기(204a)가 형성하는 측벽보다 돌출되게 배치된다.
제1체결플레이트(228)는 별도의 체결나사(228a)를 통해 이너커버(20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커넥터(230), 전기집진필터(100)의 전기집진필름(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연결플레이트(232), 아우터커버(210)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홀(216b)에 배치되는 제2노출플레이트(234), 스위치(250)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제2접촉플레이트(236), 및 제2커넥터(230)를 이너커버(202)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제2체결플레이트(238)를 포함한다.
제2연결플레이트(232)는, 대응홈(204b)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2연결플레이트(232)는 대응홈(204b)에 형성되는 측벽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된다. 제2체결플레이트(238)는 별도의 체결나사(238a)를 통해 이너커버(202)에 고정될 수 있다.
스위치(250)는, 스위치바디(252)와, 제1커넥터(220)와 제2커넥터(230)를 연결시키는 단락플레이트(254)와, 스위치바디(252) 내측에 배치되고 단락플레이트(254)의 배치를 복원시키는 탄성체(256)를 포함한다.
단락플레이트(254)는 전기집진장치의 높이방향(h+, h-)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탄성체(256)는 단락플레이트(254)에 하측방향으로 압력을 가한다. 따라서, 단락플레이트(254)에 별도의 외력이 없는 경우, 탄성체(256)의 탄성력만이 작용하여 단락플레이트(254)의 배치를 하측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단락플레이트(254)는 탄성체(256)에 의해 하측으로 배치가 고정될 때, 제1커넥터(220) 및 제2커넥터(230) 각각과 접촉할 수 있다. 외력으로 단락플레이트(254)의 배치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단락플레이트(254)는 제1커넥터(220) 및 제2커넥터(230) 각각과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제1필터핸들(200a)은 제2필터핸들(200b)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필터핸들(200a)에 포함된 구성과 제2필터핸들(200b)에 포함된 구성의 배치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필터핸들(200b)은 전방으로 대응돌기(204a)가 배치되고, 대응돌기(204a)의 후방으로 대응홈(204b)이 배치된다. 또한, 제2필터핸들(200b)은 전기집진필터(100)와 마주하는 대응벽(204)이 우측면에 배치된다. 제2필터핸들(200b)는 대응돌기(204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커넥터(220)가 전방에 배치되고, 대응홈(204b)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커넥터(230)가 제1커넥터(22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1필터핸들(200a)은 전방으로 대응홈(204b)이 배치되고, 대응홈(204b)의 후방으로 대응돌기(204a)이 배치된다. 또한, 제1필터핸들(200a)은 전기집진필터(100)와 마주하는 대응벽(204)이 좌측면에 배치된다. 제1필터핸들(200a)는 대응홈(204b)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커넥터(230)가 전방에 배치되고, 대응돌기(204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커넥터(220)가 제2커넥터(230)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결합관계>
전기집진필터(100)는 또 다른 전기집진필터(100)나 필터핸들(200a, 200b)과 연결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00)는 또 다른 전기집진필터(100)나 필터핸들(200a, 200b)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결합될 수 있다. 도 6과 도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50)는 제1전기집진필터(100a)와 제2전기집진필터(10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기집진필터(100b)의 제1측벽(104)에 배치되는 제1결합돌기(104a)와 제1결합홈(104b)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1전기집진필터(100a)의 제2측벽(106)에 배치되는 제2결합홈(106b)과 제2결합돌기(106a)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기집진필터(100a)의 제1측벽(104)은, 제1전기집진필터(100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필터핸들(200a)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2전기집진필터(100b)의 제2측벽(106)에 배치되는 제2결합돌기(106a)와 제2결합홈(106b)은, 제2필터핸들(200b)의 대응벽(204)에 배치되는 대응돌기(204a)와 대응홈(204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전기집진필터(100a)의 제2측벽(106)에 배치되는 제2결합돌기(106a)와 제2결합홈(106b)은,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2전기집진필터(100b)의 제1측벽(104)에 배치되는 제1결합홈(104b)과 제1결합돌기(104a)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기집진필터(100b)의 제2측벽(106)은, 제2전기집진필터(100b)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필터핸들(200b)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전기집진필터(100b)의 제2측벽(106)에 배치되는 제2결합돌기(106a)와 제2결합홈(106b)은, 제2필터핸들(200b)의 대응벽(204)에 배치되는 대응돌기(204a)와 대응홈(204b)에 연결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00a, 100b)가 필터핸들(200a, 200b)과 연결될 때, 접점브라켓(140)은, 필터핸들(200a, 200b)의 제1커넥터(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2전기집진필터(100b)가 제2필터핸들(200b)과 연결될 때,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1접촉단부(144)는, 제2필터핸들(200b)에 배치되는 제1커넥터(220)의 제1연결플레이트(222)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2접촉단부(146)는, 제1필터핸들(200a)에 배치되는 제2커넥터(230)의 제2연결플레이트(232)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도 25를 참조하면, 제2전기집진필터(100b)가 제2필터핸들(200b)과 연결될 때, 제2접점브라켓(140b)의 제2접촉단부(146)는, 제2필터핸들(200b)에 배치되는 제2커넥터(230)의 제2연결플레이트(232)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으나, 제2접점브라켓(140b)의 제1접촉단부(144)는, 제1필터핸들(200a)에 배치되는 제1커넥터(220)의 제1연결플레이트(222)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전기집진필터(100)와 다른 하나의 전기집진필터(100)가 서로 연결될 때, 하나의 전기집진필터(100)에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1접촉단부(144)는 다른 하나의 전기집진필터(100)에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2접촉단부(146)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전기집진필터(100a)와 제2전기집진필터(100b)가 서로 연결될 때, 제1전기집진필터(100a)에 배치되는 제2접점브라켓(140b)의 제2접촉단부(146)는 제2전기집진필터(100b)에 배치되는 제2접점브라켓(140b)의 제1접촉단부(144)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기집진필터(100a)와 제2전기집진필터(100b)가 서로 연결될 때, 제1전기집진필터(100a)에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1접촉단부(144)는 제2전기집진필터(100b)에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140a)의 제2접촉단부(146)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집진필터(100)의 개수를 공기조화기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28을 참조하면,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 사이에 하나의 전기집진필터(10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면, 제1필터핸들(200a)과 제2필터핸들(200b) 사이에 3개의 전기집진필터(100a, 100b, 100c)가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0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전기집진필터에 필터핸들이 장착되어 하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기집진장치(50)는, 제1전기집진필터(100a)와 제2전기집진필터(100b)를 포함한다.
제1전기집진필터(100a)는, 제1측벽(105)에서 하우징(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전기집진필터(100a)의 제1측벽(105)에는, 하우징(10)에 걸리는 고정돌기(21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전기집진필터(100a)는, 제2측벽(106)에서 제2전기집진필터(100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전기집진필터(100a)의 제2측벽(106)에는, 제2체결돌기(미도시)와 제2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제1전기집진필터(100a)의 제2측벽(106)의 제2체결돌기(미도시)와 제2체결홈(미도시)는 도 15에서 도시된 구조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전기집진필터(100b)는, 제2측벽(107)에서 하우징(1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전기집진필터(100b)의 제2측벽(107)에는, 하우징(10)에 걸리는 고정돌기(21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기집진필터(100b)는, 제1측벽(104)에서 제1전기집진필터(100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전기집진필터(100b)의 제1측벽(104)에는, 제2체결돌기(104a)와 제2체결홈(104b)이 형성된다. 제2체결돌기(104a)는 제1체결홈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체결홈(104b)은 제1체결돌기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가 없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는, 내부에 프리필터(34), 전기집진장치(50)가 배치되고,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팬(30)이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50)는 앞에서 설명한 구조를 포함하고,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베인(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하우징
20 : 필터하우징
50 : 전기집진장치 100 : 전기집진필터
102 : 케이스 104 : 제1측벽
106 : 제2측벽 120a : 제1전기집진필름
120b : 제2전기집진필름 130a, 130b : 필름홀더
140a : 제1접점브라켓 140b : 제2접점브라켓
150a : 제1브라켓홀더 150b : 제2브라켓홀더
160a, 160b : 버튼 200a : 제1필터핸들
200b : 제2필터핸들 202 : 이너커버
210 : 아우터커버 220 : 제1커넥터
230 : 제2커넥터 240 : 핸들버튼
250 : 스위치
50 : 전기집진장치 100 : 전기집진필터
102 : 케이스 104 : 제1측벽
106 : 제2측벽 120a : 제1전기집진필름
120b : 제2전기집진필름 130a, 130b : 필름홀더
140a : 제1접점브라켓 140b : 제2접점브라켓
150a : 제1브라켓홀더 150b : 제2브라켓홀더
160a, 160b : 버튼 200a : 제1필터핸들
200b : 제2필터핸들 202 : 이너커버
210 : 아우터커버 220 : 제1커넥터
230 : 제2커넥터 240 : 핸들버튼
250 : 스위치
Claims (17)
- 일측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팬;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에는, 상기 제1측벽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결합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제1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삽입되는 크기를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홈는, 상기 제1측벽에서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홈에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결합홈은 상기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상기 전기집진필터를 고정시키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상기 전기집진필터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버튼돌기와,
상기 제1버튼돌기의 배치를 복원시키는 복원플레이트와,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로부터 돌출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버튼돌기와 함께 이동하는 제2버튼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의 일측에는,
상기 제2버튼돌기에 대응되는 제1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홈의 일측에는 상기 제1버튼돌기에 대응되는 제2고정홈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홈과 상기 제2고정홈 각각은,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이 연장되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가 유동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배치되며 고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에 상대적으로 저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접점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제2접점브라켓 각각은, 양단이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노출되는 공기조화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제2접점브라켓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과 접촉하게 배치되는 접점바디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접촉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접촉단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단부가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2접촉단부가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된 길이와 상이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단부는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를 형성하는 측벽보다 돌출되게 배치되고,
제2접촉단부는,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을 형성하는 측벽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기집진필름과 제2전기집진필름 사이에는 상기 제1전기집진필름과 상기 제2전기집진필름의 간격을 유지하는 세퍼레이터가 더 구비되는 공기조화기. - 일측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타측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유동을 형성시키는 팬;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기집진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필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공기가 유동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1접점브라켓;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 각각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제2접점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일측에 배치되는 제1측벽과,
상기 제1측벽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제2접점브라켓 각각의 일단부는 상기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측벽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결합돌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에는 제1결합돌기와 제1결합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홈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는 상기 제2결합돌기와 전후방향으로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점브라켓과 상기 제2접점브라켓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1전기집진필름 또는 상기 복수의 제2전기집진필름과 접촉하게 배치되는 접점바디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접촉단부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접촉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촉단부는 상기 제1결합돌기 또는 상기 제2결합돌기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제2접촉단부는, 상기 제1결합홈 또는 상기 제2결합홈을 형성하는 측벽보다 돌출되지 않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29673 | 2022-03-08 | ||
KR20220029673 | 2022-03-08 | ||
KR1020220137908A KR20230132348A (ko) | 2022-03-08 | 2022-10-25 | 공기조화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37908A Division KR20230132348A (ko) | 2022-03-08 | 2022-10-25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2359A true KR20230132359A (ko) | 2023-09-15 |
Family
ID=85510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5473A KR20230132359A (ko) | 2022-03-08 | 2022-12-27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30288083A1 (ko) |
EP (1) | EP4242534A1 (ko) |
KR (1) | KR20230132359A (ko) |
WO (1) | WO202317201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1694292S (ja) * | 2020-09-25 | 2021-09-06 | 空気清浄機 | |
USD1030022S1 (en) * | 2021-03-11 | 2024-06-04 | Biowair Total Systems, S.L. | Air treatment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54387B2 (ja) * | 1997-09-22 | 2006-12-06 | ミドリ安全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JP2004218990A (ja) * | 2003-01-17 | 2004-08-05 | Fujitsu General Ltd | 空気調和機 |
JP6328321B2 (ja) * | 2015-03-06 | 2018-05-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KR102339392B1 (ko) * | 2017-05-19 | 2021-1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JP2018204890A (ja) * | 2017-06-07 | 2018-12-27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空気清浄機 |
CN209763352U (zh) * | 2019-02-26 | 2019-12-10 | 深圳市诺百纳科技有限公司 | 一种回风口净化器 |
KR102245799B1 (ko) | 2019-03-19 | 2021-04-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210076377A (ko) * | 2019-12-16 | 2021-06-24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KR20210129887A (ko) * | 2020-04-21 | 2021-10-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필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
KR102369101B1 (ko) * | 2021-11-15 | 2022-02-28 | 김은애 | 공기정화시스템용 필터설비 |
-
2022
- 2022-12-27 KR KR1020220185473A patent/KR202301323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03-07 WO PCT/KR2023/003072 patent/WO2023172016A1/ko unknown
- 2023-03-07 EP EP23160468.7A patent/EP4242534A1/en active Pending
- 2023-03-08 US US18/118,843 patent/US20230288083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242534A1 (en) | 2023-09-13 |
WO2023172016A1 (ko) | 2023-09-14 |
US20230288083A1 (en) | 2023-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132359A (ko) | 공기조화기 | |
CN107407497B (zh) | 空调机 | |
JP6956714B2 (ja) | 空気清浄装置 | |
JP6351825B2 (ja) | 空気調和機 | |
CN109028531A (zh) | 后框体和空气处理装置 | |
KR20190101349A (ko) | 공기청정장치 | |
KR20230132348A (ko) | 공기조화기 | |
KR20230132308A (ko) | 공기조화기 | |
JP2604304B2 (ja) | 空気清浄機 | |
CN109028305B (zh) | 空气处理装置 | |
CN208567080U (zh) | 空气处理装置 | |
JP2004218990A (ja) | 空気調和機 | |
CN116734339A (zh) | 空调机 | |
CN109028379B (zh) | 空气处理装置 | |
CN109028381A (zh) | 空气处理装置 | |
CN109028382B (zh) | 空气处理装置 | |
CN212299222U (zh) | 净化除湿一体机 | |
CN208567036U (zh) | 空气处理装置 | |
JP6305624B2 (ja) | 空気清浄装置及び機器 | |
JPH0636408Y2 (ja) |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 |
US20230324076A1 (en) | Air conditioner | |
CN214254814U (zh) | 供电组件、空气净化装置和空调器 | |
KR200180837Y1 (ko) | 벽걸이형공기조화기용실내기의콘트롤박스고정장치 | |
KR100225635B1 (ko) |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 |
CN109028380B (zh) | 高压包组件及空气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