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377A -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377A
KR20210076377A KR1020190167499A KR20190167499A KR20210076377A KR 20210076377 A KR20210076377 A KR 20210076377A KR 1020190167499 A KR1020190167499 A KR 1020190167499A KR 20190167499 A KR20190167499 A KR 20190167499A KR 20210076377 A KR20210076377 A KR 20210076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dust collecting
filter uni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기
이주혁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9016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6377A/ko
Publication of KR20210076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3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02System or Device comprising a heat pump as a subsystem, e.g. combined with humidification/dehumidification, heating, natural energy or with hybrid syste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는,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일측면에 장착홀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복수의 필터유닛이 힌지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장착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 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이 상호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가변되는 가변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FILTER DEVICE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에 따라 대기오염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기오염으로부터 건강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조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활동하기에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하며, 나아가 필터장치를 구비하여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실내공기에 포함된 분진 등을 여과집진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이러한 필터장치는 장시간 사용 시 처리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에서 탈거하여 세척후 다시 장착하거나,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를 위한 관리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기계실과 같이 주거공간 또는 생활공간과 분리되어 별도로 격리된 공간 내에 설치되게 되는데, 공기조화기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크기는 보다 넓은 주거공간 확보를 위해 최소한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기계실의 좌우 폭이 좁을 경우 필터장치를 탈거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공기조화기의 일측면으로 필터장치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넣어 장착하거나 빼내어 탈거하게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일측면과 기계실의 벽체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필터장치의 전체 길이만큼 확보되어야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필터장치를 장착 및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필터장치를 장착 및 탈거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계실의 좌우 폭이 좁은 경우에도 필터장치를 용이하게 탈거 및 장착할 수 있으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는,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일측면에 장착홀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복수의 필터유닛이 힌지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장착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 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이 상호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가변되는 가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은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이 뚫려 있으며 일측면에 힌지수단을 구비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수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에 장착되며, 외부 전원의 공급을 통해 상기 공기에 내포된 먼지입자를 집진처리하는 전기집진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필터부는 상기 외부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중의 상기 먼지입자를 하전시키는 방전전극판,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어 상기 방전전극판에 의해 하전된 상기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판과 상기 집진전극판은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격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전전극판은 상기 공기가 불어오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극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장착홀과 연결되어 상기 장착홀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집진필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상기 집진필터부의 수용공간을 구현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 내지 제3공기유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습영역과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생영역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 방출하는 제습로터; 복수의 건채널과 복수의 습채널이 교대로 반복 배치되며,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해 상기 제습영역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냉각기; 냉매가 냉매라인을 따라 순환하며 증발기에서 증발하여 상기 증발냉각기를 통과한 상기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추가로 냉각시키고 응축기로 들어가 상기 흡수한 열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히트펌프; 및 상기 제습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증발냉각기로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집진처리하는 필터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에 의하면, 기계실의 좌우 폭이 좁은 경우에도 필터장치를 용이하게 탈거 및 장착할 수 있으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기계실 내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에 종래의 필터장치가 적용된 경우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필터장치에서 집진필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집진필터부가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부', '상면', '하', '하부', '하면', '측면'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실제로는 소자나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전면(全面)을 둘러싸는 벽체(RW)의 내부공간(S)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벽체(RW)는 공기조화기(1)를 수용하는 기계실(ER)일 수 있다.
벽체(RW)의 일측에는 내부공간(S)과 실외를 연결시키는 외기댐퍼(OAD)가 구비될 수 있다. 외기댐퍼(OAD)는 봄철과 여름철 및 가을철에 열리고, 겨울철에는 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프레임 부재에 해당하는 본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 및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를 구비할 수 있다.
유입구(110)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111), 실내공기와 실외공기 중 적어도 하나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112)와 제3유입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유입구(113)는 외기댐퍼(OAD)와 마주하는 구조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120)는 실외공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121), 실내공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일단이 제3유입구(113)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배출구(121)와 연결되는 제1공기유로(131), 일단이 제2유입구(112)와 연결되고 타단이 추후 설명하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과 연결되는 제2공기유로(132), 일단이 증발냉각기(200)의 타측 하부영역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배출구(122)와 연결되는 제3공기유로(1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111)에는 실내와 연결되는 제1공급관(11)이 연결되고, 제2유입구(112)에는 실내와 연결되는 제2공급관(12)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급관(12)은 실외와 연결되는 제3공급관(13)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유입구(111)와 제2유입구(112) 및 제3유입구(113)에는 각각 프리필터(141, 142, 143)가 장착될 수 있고,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는 필터장치(4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1공기유로(131)에는 제3유입구(113)를 통해 실외공기를 유입시키고 제1배출구(121)로 배출시키기 위한 재생송풍기(151) 및 제3유입구(113)를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수단은 추후 설명하는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 및 내부에 온수가 유동하는 온수배관(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공기유로(132)에는 제2유입구(112)를 통해 실내공기과 실외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유입시키고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습송풍기(15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3공기유로(133)에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서 제2배출구(122)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추기송풍기(15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공급관(11)의 일면에는 제1댐퍼(21)가 구비되고, 제2공급관(12)의 내부에는 제2댐퍼(22)가 구비되며, 제3공급관(13)이 제2공급관(12)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3댐퍼(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공기유로(133)의 제2배출구(122) 측에는 제4댐퍼(24)가 구비되고, 제1공기유로(131)의 제1배출구(121) 측에는 제5댐퍼(2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본체(100) 내에 배치되는 제습로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로터(160)는 제1공기유로(131) 상에 구비된 재생영역(161)과 제2공기유로(132) 상에 구비된 제습영역(162)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 제2공기유로(132)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착하고, 흡착된 수분을 제1공기유로(131)를 유동하는 공기로 방출할 수 있다.
제습로터(160)에는 내부에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재가 구비된다. 흡착재는 제습영역(162)에서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하고,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 또는 온수배관(170)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 의해 재생영역(161)에서 수분을 방출함으로써 재생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증발냉각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증발냉각기(200)는 냉각기본체(210)와, 냉각기본체(210)에 물(W)을 분무하기 위한 주수장치(220)로 구성될 수 있다.
냉각기본체(210)는 열교환부(211)와 상부유로가이드부(212) 및 하부유로가이드부(213)로 구성될 수 있다.
열교환부(211)의 내부에는, 복수의 건채널과 습채널이 격판에 의해 격리되어 구획되며 전후방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습채널을 경유하는 제1공기에 주수된 물(W)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건채널을 경유하는 제2공기를 냉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공기는 실내측 환기를 통해 실내로부터 유입되어 실외측 배기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는 실내공기일 수 있다. 그리고, 냉각 대상이 되는 제2공기는 제2공기유로(132)를 따라서 유동하며 제습영역(162)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일 수 있으며, 실내측 급기를 통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부유로가이드부(212)는 습채널로 유입되는 제1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건채널을 통과한 제2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하부유로가이드부(213)는 건채널로 유입되는 제2공기의 유로를 형성함과 아울러 습채널을 통과한 제1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제1공기(실내공기와 추기공기)는 상부유로가이드부(212) 상부의 제1유입구(111)를 통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내부로 유입된 후, 열교환부(211)의 습채널을 경유하여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일측부를 통해 제3공기유로(133)를 따라서 유동하여 실외로 배기된다.
이와 동시에, 제2공기(흡입공기와 공급공기)는 제2유입구(112)를 통해 제2공기유로(132) 안으로 유입되어 제습로터(160)의 제습영역(162)을 통과한 후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서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타측부를 통해 하부유로가이드부(213)의 내부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11)의 건채널을 경유하여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일측부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급기관(14)을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실외공기는 제3유입구(113)를 통해 제1공기유로(131) 안으로 유입되어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 또는 온수배관(170)에 의해 가열된 후 제습로터(160)의 재생영역(161)을 통과하여 제습로터(160)를 재생시키고 제1배출구(131)를 통해 실외로 배기된다.
주수장치(220)는 증발냉각기(200)의 상측에서 습채널로 물(W)을 분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라인(222)을 따라서 물(W) 또는 직수가 냉각기본체(210)의 상측에 위치하는 주수장치(220)로 공급되면, 주수장치(2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분사노즐(221)을 통해 물(W)을 분무수(SW)로 생성하여 상향으로 분무할 수 있다. 공급라인(222)에는 직수밸브(223)와 배수밸브(2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분사노즐(221)을 통해 미세 크기의 분무수(SW)로 생성되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상측 공간으로 분무되면, 상부유로가이드부(212)와 열교환부(211)의 습채널 및 하부유로가이드부(213)를 통과하며 흘러내리는 증발수(EW)는 냉각기본체(210)의 하부에 모여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는 히트펌프(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트펌프(300)는 냉매가 냉매라인(330)을 따라 순환하며 증발기(310)에서 증발하여 증발냉각기(200)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추가로 냉각시키고 응축기(320)로 들어가 흡수한 열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냉각 대상이 되는 공기는 건채널을 경유하는 제2공기일 수 있다.
히트펌프(300)의 증발기(310)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발기(310)는 상부유로가이드부(212)의 일측부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를 추가 냉각시킬 수 있다.
외기가 높은 하절기 또는 혹서기에는 주수장치(220)를 이용한 증발냉각기(200)로 충분히 냉기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열교환부(211)로 분무하는데 사용되는 물(W)은 온도가 낮아야 열교환이 잘 이루어져 충분한 냉기를 제공할 수 있는데, 하절기에는 분무되는 물(W)의 온도가 높아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추가적으로 히트펌프(300)를 작동시켜 증발기(310)를 통해 냉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증발기(310)는 건채널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건채널을 통과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증발기(310)는 히트펌프(300)의 가동에 의해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응축수는 대략 15℃이하의 온도로 차가운 상태이며, 증발기(310)의 하측으로 낙하하여 외부로 배수된다.
히트펌프(300)의 응축기(320)는 가열수단으로서 제1공기유로(131)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제습로터(160)를 재생시키는데 사용된다.
한편, 필터장치(400)는 증발냉각기(200)의 일측 하부영역에 장착되어 제습영역(162)을 통과하여 증발냉각기(200)로 공급되는 공기를 집진처리할 수 있다.
증발냉각기(200)를 거쳐 냉각된 공기는 바로 실내로 공급되기 때문에 먼저 집진처리를 거쳐 깨끗하게 처리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필터장치(4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1)는 기계실(ER)과 같이 주거공간 또는 생활공간과 분리되어 별도로 격리된 공간 내에 설치되게 되는데, 공기조화기(1)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크기는 보다 넓은 주거공간 확보를 위해 최소한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기계실의 벽체(RW)와의 간격이 좁아서 필터장치(400)를 교체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공기조화기(1)의 일측면으로 필터장치(400)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넣어 장착하거나 빼내어 탈거하게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조화기(1)의 일측면과 벽체(RW) 사이의 간격이 필터장치(400)의 전체 길이만큼 확보되어야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필터장치(400)를 장착 및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필터장치(400)를 장착 및 탈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에 적용되는 필터장치(400)는 접철식으로 가변되는 구조를 통해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필터장치(400)는 프레임(410), 전기집진필터부(420), 집진필터부(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410)은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대략 사각형상의 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일측면에 장착홀(41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410)은 내측면에 장착홀(411)과 연결되어 전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412)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홈(412)은 장착홀(411)을 통해 삽입되는 집진필터부(43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며, 프레임(410) 내에 장착되는 집진필터부(430)의 수용공간을 구현할 수 있다.
프레임(410)은 전면이 제2공기유로(132)와 연결되고, 후면이 증발냉각기(200)를 향하도록 공기조화기(1)에 설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부(420)는 프레임(41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부(420)는 외부 전원의 공급을 통해 공기에 내포된 먼지입자를 집진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부(420)는 외부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공기중의 먼지입자를 하전시키는 방전전극판(421), 외부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어 방전전극판(421)에 의해 하전된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판(422)을 포함할 수 있다.
방전전극판(421)과 집진전극판(422)은 공기가 통과하는 격자 형상을 가지며, 방전전극판(421)은 공기가 불어오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극침(423)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410)의 전면에는 하우징(440)이 장착되어 전기집진필터부(420)를 커버할 수 있다. 하우징(440)은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441)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440)은 전기집진필터부(42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개구(441)를 통해 제2공기유로(132)와 연결되어 제2공기유로(132)를 따라서 공급되는 공기만 전기집진필터부(420)를 통과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집진필터부(430)는 장착홀(411)을 통해 프레임(410) 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되어 전기집진필터부(420)를 통과한 공기를 추가로 집진처리할 수 있다.
집진필터부(430)는 복수의 필터유닛(430a, 430b)이 힌지연결되어 구성되며, 복수의 필터유닛(430a, 430b)이 상호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가변되는 가변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필터유닛(430a, 430b)이 상호 힌지연결되어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가변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유닛(430a, 430b)은 두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각 필터유닛(430a, 430b)은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이 뚫려 있으며 일측면에 힌지수단(432)을 구비하는 필터케이스(431), 필터케이스(431) 내에 장착되는 필터(4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수단(432)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필터유닛 중 어느 하나는 필터케이스(431)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434)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434)를 파지한 상태로 집진필터부(430)를 장착홀(411)을 통해 프레임(410) 내로 삽입하면, 복수의 필터유닛(430a, 430b)은 가이드홈(41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일직선으로 펼쳐져 연장된 상태로 프레임(410) 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434)를 파지한 상태로 집진필터부(430)를 장착홀(411)을 통해 빼내면, 복수의 필터유닛(430a, 430b)은 가이드홈(412)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프레임(410)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필터유닛(430a, 430b)은 상호 힌지연결되어 접혀질 수 있으므로, 먼저 탈거된 필터유닛(430a)이 접힌 상태로 나머지 필터유닛(430b)을 탈거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기계실 벽체(RW)와의 간격이 좁더라도 필터유닛(430a, 430b)을 탈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400)는 집진필터부(430)와 전기집진필터부(420)가 일체형 구조가 아닌 상호 분리된 구조로 제공되므로, 집진필터부(430)만 프레임(410)으로부터 탈거하여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공기조화기 11: 제1공급관
12: 제2공급관 13: 제3공급관
14: 급기관 100: 본체
112: 제2유입구 113: 제1유입구
120: 배출구 121: 제1배출구
122: 제2배출구 131: 제1공기유로
132: 제2공기유로 133: 제3공기유로
141, 142, 143: 프리필터 151: 재생송풍기
152: 제습송풍기 153: 추기송풍기
160: 제습로터 161: 재생영역
162: 제습영역 200: 증발냉각기
210: 냉각기본체 211: 열교환부
212: 상부유로가이드부 213: 하부유로가이드부
220: 주수장치 221: 분사노즐
222: 공급라인 223: 직수밸브
224: 배수밸브 300: 히트펌프
310: 증발기 320: 응축기
330: 냉매라인 400: 필터장치
410: 프레임 420: 전기집진필터부
430: 집진필터부

Claims (9)

  1. 공기가 통과하여 흐르도록 전면과 후면이 개구된 구조를 가지며, 일측면에 장착홀을 구비하는 프레임; 및
    복수의 필터유닛이 힌지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장착홀을 통해 상기 프레임 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필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필터부는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이 상호 일직선으로 연장된 상태와 접힌 상태 사이에서 가변되는 가변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유닛은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이 뚫려 있으며 일측면에 힌지수단을 구비하는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수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유닛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필터케이스의 상기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에 장착되며, 외부 전원의 공급을 통해 상기 공기에 내포된 먼지입자를 집진처리하는 전기집진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집진필터부는 상기 외부 전원의 음극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중의 상기 먼지입자를 하전시키는 방전전극판,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양극과 연결되어 상기 방전전극판에 의해 하전된 상기 먼지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전극판과 상기 집진전극판은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격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방전전극판은 상기 공기가 불어오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전극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장착홀과 연결되어 상기 장착홀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집진필터부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며 상기 프레임 내에 장착되는 상기 집진필터부의 수용공간을 구현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9.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 공기가 유동하는 제1공기유로 내지 제3공기유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제2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습영역과 상기 제1공기유로 상에 구비된 제생영역을 포함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2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상기 제1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로 방출하는 제습로터;
    복수의 건채널과 복수의 습채널이 교대로 반복 배치되며,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해 상기 제습영역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냉각기;
    냉매가 냉매라인을 따라 순환하며 증발기에서 증발하여 상기 증발냉각기를 통과한 상기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추가로 냉각시키고 응축기로 들어가 상기 흡수한 열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히트펌프; 및
    상기 제습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증발냉각기로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집진처리하는 필터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장치는 제1항에 따른 필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167499A 2019-12-16 2019-12-16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210076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499A KR20210076377A (ko) 2019-12-16 2019-12-16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499A KR20210076377A (ko) 2019-12-16 2019-12-16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377A true KR20210076377A (ko) 2021-06-24

Family

ID=7660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499A KR20210076377A (ko) 2019-12-16 2019-12-16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63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16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16A1 (ko) * 2022-03-0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308347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and ventilation apparatus
KR20160100055A (ko) 제습기
US7096684B2 (en) Air conditioner
CN102589054A (zh) 空调器
US20190063777A1 (en)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7043104A1 (ja) 除加湿装置
KR200415004Y1 (ko) 실내 온도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1957240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01334A (ko) 선택적으로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
KR20210076377A (ko) 공기조화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0659013B1 (ko) 조습 장치
CN108885023B (zh) 空调及其控制方法
JP4325716B2 (ja) 調湿装置
KR101454660B1 (ko) 선박건조용 집진기 겸용 제습장치
CN202648009U (zh) 空调器
KR101957682B1 (ko) 제가습 장치
JP2006090572A (ja) 空気調和機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150068840A (ko) 제습기
KR10250602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5042A (ko) 공기조화기 제어방법
KR102335411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CN107949750B (zh) 除加湿装置
KR20220090825A (ko) 운전 중 퍼지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제어 방법
CN118176387A (zh) 空气调节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