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0393B1 - 용적 유량계 및 헤리컬 기어 - Google Patents

용적 유량계 및 헤리컬 기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0393B1
KR101190393B1 KR1020107021867A KR20107021867A KR101190393B1 KR 101190393 B1 KR101190393 B1 KR 101190393B1 KR 1020107021867 A KR1020107021867 A KR 1020107021867A KR 20107021867 A KR20107021867 A KR 20107021867A KR 101190393 B1 KR101190393 B1 KR 101190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curve
tooth
point
elli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108A (ko
Inventor
세이고 오노
가쓰이치 우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바루
Publication of KR20100122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3/00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 G01F3/02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 G01F3/04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 G01F3/06Measuring the volume flow of fluids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meter in successive and more or less isolated quantities, the meter being driven by the flow with measuring chambers which expand or contract during measurement having rigid movable walls comprising members rotating in a fluid-tight or substantially fluid-tight manner in a housing
    • G01F3/10Geared or lobed impeller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기준 랙 치형으로서 타원형 피치 곡선을 이용한 한 쌍의 헤리컬 기어를 갖고, 적은 잇수로도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 한계 치고율 πm/4를 설정 가능하게 하고, 치형 사이의 가둠 현상이 없는 이상적인 용적 유량계를 제공한다. 용적 유량계는, 케이싱(3)내에 한 쌍의 헤리컬 기어(1,2)를 구비하고, 한 쌍의 헤리컬 기어(1,2)는, 2엽 이하의 타원형 피치 곡선을 기준 랙 치형의 곡선으로 하고,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동경은, ρ=a/(1-bcosnθ), (단, ρ는 동경으로 회전 중심으로부터 타원형 피치 곡선까지의 거리, a는 상사계수, b는 편평도, n(n≤2)은 엽수, θ는 편각)으로 표시된다.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를 g0로 하면, 치고율 h는, h=a/(1-b)-g0(단, g0=acosθ0/(1-bcosnθ0))로 표시되고, 치고율 h가 πm/4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거리 g0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용적 유량계 및 헤리컬 기어{Positive Displacement Flowmeter and Helical Gear}
본 발명은, 용적 유량계 및 헤리컬 기어, 보다 상세하게는, 기준 랙 치형 (Reference rack tooth profile)으로서 타원형 피치 곡선(Oval pitch curve)을 이용한 한 쌍의 헤리컬 기어 및 상기 헤리컬 기어를 갖는 용적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헤리컬 기어식 용적 유량계는, 다른 기어형 유량계와 비교해서, 기어의 회전이 등속회전, 같은 유량, 같은 토크이기 때문에, 무맥동(Non-pulsing motion)으로 진동, 소음의 발생이 극히 적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어로서, 비교적 잇수(number of teeth)가 적은 기어(잇수 Z=2~4)에 있어서, 기어 치형의 전체면에 걸쳐 맞물림을 하는 연속 접촉 치형은, 가둠 현상(Confinement phenomenon)이 없고, 유량계의 기어로서 적절하여, 여러 가지 실용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헤리컬 기어식 용적 유량계의 치형은, 기준 랙 치형에 인볼류트 곡선(Involute curve)(공구 압력각 α0≥21.3°)을 이용한 일점 연속 접촉 치형(One-point continuous contact tooth profile)이지만, 통상 상태(단일 곡선의 경우)에서의 치고율(Tooth height ratio)은 h≒0.665m(m은 모듈), 또한,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15°로 하여 피치점 부근을 직선으로 연결한 조합 곡선의 경우에도 치고율은, h≒0.724m이다. 단, 직선의 높이의 최대는, h0=Zsin2α0/2로 하였다.
따라서, 이 치형의 치고율은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한계 치고율인 h=πm/4=0.7854m보다 낮아, 더 이상의 치고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사이클로이드(Cycloid) 치형은, 미끄럼률(Specific sliding)이 일정하다고 하는 특징이 있는 반면, 피치점의 공구 압력각이 제로, 또한, 단일 곡선으로 일점 연속 접촉 치형으로 하기 위해서는, 치고율 h=0.5m이 한계이다. 단,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 제로를 회피하기 위해서 피치점 근방에 직선을 삽입할 수도 있지만, 일점 연속 접촉 치형으로서 성립하기 위해서는, 치고율 h=0.5m이 한계가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노비코프(Novikov) 치형이라고 불리는 원호(Arc) 치형이지만, 피치에 원호의 중심을 둔 경우에는,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최대 치고율 h=πm/4=0.7854m을 얻을 수 있다. 단, 이 때의 피치점의 공구 압력각은 사이클로이드 치형과 같이 제로가 되기 때문에, 원호의 중심을 벗어나게 하는 것에 의해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14.5°로 하면, 이 때의 치고율은 h=0.6081m이 된다. 또한, 피치점 근방에 직선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치고율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직선의 높이의 범위는 0≤h0≤Zsin2α0/2를 만족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 때의 공구 압력각은 약 α0≥21.5°가 된다.
상기에 있어서, 직선의 공구 압력각을 α0≥21.5°로 하여 어림잡아 계산하면, 직선의 높이는 h0=0.2678이 되어, 직선의 높이의 최대 h0=0.2686을 만족하고 있고, 이 때의 치고율은 h=0.7307m이 된다. 단, 이 경우의 기어 치형은 인볼류트와 원호의 조합 곡선 치형이 되고, 원호 곡선 부분은 연속 접촉이 아니라 일순간의 면접촉이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 3310239호 공보
그러나, 일반 인볼류트 치형의 경우 치고율(전체 치고는 2h로 한다)은, 1.0m(full 치고의 경우)이 표준이며, 용적 유량계나 기어 펌프의 기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맞물림률이나 토출량의 관계로 치고율이 낮은 것은 불리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헤리컬 기어를 조립해 넣은 용적 유량계에 있어서, 기준 랙 치형으로서 타원형 피치 곡선을 이용하면,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 한계인 치고율 0.7854m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용적 유량계에 있어서는, 기준 랙 치형으로서 타원형 피치 곡선을 이용한다고 하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은 없고, 지금까지 실현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준 랙 치형으로서 타원형 피치 곡선을 이용한 한 쌍의 헤리컬 기어를 갖고, 적은 잇수로도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 한계 치고율 πm/4(0.7854m)을 설정 가능하게 하고, 치형 사이의 가둠 현상이 없는 이상적인 용적 유량계 및 헤리컬 기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기술수단은, 케이싱내에 한 쌍의 헤리컬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헤리컬 기어의 회전에 의해 유량을 계측하는 용적 유량계로서, 상기 한 쌍의 헤리컬 기어는, 2엽(葉) 이하의 타원형 피치 곡선을 기준 랙 치형의 곡선으로 하고,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동경(Moving radius)은,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1
(단, ρ는 동경으로 회전 중심으로부터 타원형 피치 곡선까지의 거리, a는 상사계수(Similarity factor), b는 편평도, n(n≤2)은 엽수(number of leaves), θ는 편각(argument))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2 기술수단은, 제 1 기술수단에 있어서, 엽수 n=2의 경우,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 피치점에서의 편각을 θ0, 1/4 기준 피치를 S0,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를 g0, 치고율을 h로 하면,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2
에서, 치고율 h가 πm/4(m은 치형 모듈)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 거리 g0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3 기술수단은, 제 1 기술수단에 있어서, 엽수 n=2,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 g0를 0으로 한 경우,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 피치점에서의 편각을 θ0, 1/4 기준 피치를 S0, 피치선으로부터의 직선의 높이를 h0, 치고율을 h로 하면,
[수식 1]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3
에서, 치고율 h가 πm/4(m은 치형 모듈)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4의 기술수단은, 제 1 기술수단에 있어서, 엽수 n=1의 경우,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 피치점에서의 편각을 θ0, 1/4 기준 피치를 S0,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를 g0, 치고율을 h로 하면,
[수식 2]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4
에서, 치고율 h가 πm/4(m은 치형 모듈)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 거리 g0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5 기술수단은, 제 1 기술수단에 있어서, 엽수 n=1,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 g0를 0으로 한 경우,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 피치점에서의 편각을 θ0, 1/4 기준 피치를 S0, 피치선으로부터의 직선의 높이를 h0, 치고율을 h로 하면,
[수식 3]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5
에서, 치고율 h가 πm/4(m은 치형 모듈)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6 기술수단은, 제 3 또는 제 5 기술수단에 있어서, 상기 거리 g0=0의 경우,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이 피치선상에 있고, 상기 피치선으로부터의 직선의 높이 h0는, 0≤h0≤Z/2sin2α0(Z는 헤리컬 기어의 잇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7 기술수단은, 제 2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기술수단에 있어서, 상기 공구 압력각 α0를 10°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8 기술수단은,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기술수단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헤리컬 기어는, 적어도 일부의 치면(Tooth surface)이 요철의 맞물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제 9 기술수단은, 한 쌍으로 구성된 헤리컬 기어로서, 상기 한 쌍의 헤리컬 기어는, 2엽 이하의 타원형 피치 곡선을 기준 랙 치형의 곡선으로 하고,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동경은,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6
(단, ρ는 동경으로 회전 중심으로부터 타원형 피치 곡선까지의 거리, a는 상사계수, b는 편평도, n(n≤2)은 엽수, θ는 편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 랙 치형으로서 타원형 피치 곡선(타원 곡선)을 이용한 한쌍의 헤리컬 기어를 조립해 넣는 것에 의해,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 한계인 치고율 πm/4(0.7854m)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치면이 요철의 맞물림이 되기 때문에, 치면 강도가 높은 기어 치형이 되고, 치형 사이의 미끄럼률도 작기 때문에 마모에도 강한 치형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적은 잇수로도 충분한 치형 강도를 갖고, 피치점에 있어서 공구 압력각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구의 설계 혹은 기어 절단 가공에 유리하게 된다. 특히, 용적 유량계의 기어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치고율을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 한계인 πm/4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가둠 현상이 없는 이상적인 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엽수 n=2의 경우에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구성된 기준 랙 치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피치점 P0를 원점으로 하여, XY좌표를 변환한 기준 랙 치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기준 랙 치형과 기어 치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기어 치형의 맞물림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한 쌍의 기어 치형의 접촉점의 궤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엽수 n=2의 경우에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구성된 기준 랙 치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피치점 P0를 원점으로 하여, XY좌표를 변환한 기준 랙 치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기준 랙 치형과 기어 치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한 쌍의 기어 치형의 접촉점의 궤적이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기어 잇수 Z=4로 한 경우의 한 쌍의 헤리컬 기어의 맞물림 상태의 천이예(Exemplary transition)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엽수 n=1의 경우에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구성된 기준 랙 치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엽수 n=1의 경우에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구성된 기준 랙 치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용적 유량계의 주된 특징 부분은, 하기와 같다. 즉,
(1) 한계 치고율 h=πm/4(m은 치형 모듈)를 실현할 수 있는 것
(2) 공구 제작상 혹은 수명 등에 유리한 피치점에서 공구 압력각을 갖는 것
(3) 유량계 기어로서 가둠 현상이 없는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인 것
(4) 면압강도를 높이기 위해서 맞물림 치면의 적어도 일부가 요철의 맞물림이 되는 것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용적 유량계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중, 1,2는 헤리컬 형상의 한 쌍의 헤리컬 기어(헤리컬 기어라고 한다), 3은 케이싱, 4, 5는 각각 헤리컬 기어(1,2)의 축심, 6은 헤리컬 기어(1)의 피치원(Pitch circle), 7은 헤리컬 기어(1)의 치선원(Addendum circle), 8은 헤리컬 기어(1)의 치저원(Deddendum circle), 9는 헤리컬 기어(2)의 피치원, 10은 헤리컬 기어(2)의 치선원, 11은 헤리컬 기어(2)의 치저원을 도시한다.
한 쌍의 헤리컬 기어(1,2)로서, 비틀림 방향이 다르고, 동일 형상 동일 크기로 구성되며, 잇수를 4(Z=4)로 한 헤리컬 기어를 예시하고, 이 헤리컬 기어(1,2)는, 유량계 본체의 케이싱(3)내에서 축심(4,5)을 중심으로 하여, 유체(F)중에 서로 맞물리면서 도면 중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헤리컬 기어(1,2)는, 2엽 이하의 타원형 피치 곡선을 기준 랙 치형의 곡선으로 한 것으로, 타원형 피치 곡선의 동경은, 하기의 식(1)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7
단, ρ는 동경으로 회전 중심으로부터 타원형 피치 곡선까지의 거리, a는 상사계수, b는 편평도, n은 엽수, θ는 편각{동각(Angle of moving)}이다.
이하, 기준 랙 치형의 궤적을(Xj, Yj)로 표시하고, 이 기준 랙 치형의 곡선으로서 2엽형 타원형 피치 곡선(n=2)을 이용한 경우를 대표예로서 설명한다. 여기서, 피치원 반지름을 R, 기어 잇수를 Z, 치형 모듈을 m, 1/4 기준 피치를 S0으로 하여, 이하의 제원을 부여한다.
피치원 반지름 R=2
기어 잇수 Z=4
치형 모듈 m=2R/Z=1
1/4 기준 피치 S0=πm/4=πR/2Z
기준 랙 치형으로서, 상기 식(1)에서 나타나는 2엽계(n=2)의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좌표(ρ, θ)를 준다. 동경 ρ는 장축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타원형 피치 곡선의 접선각 τ(단, 예각으로 한다)는,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8
상기 식(1)~(3)으로부터,
Figure 112010063122481-pct00009
여기서, 피치점 P0의 공구 압력각을 α0,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의 이동량을 g0, 치고율을 h로 하면, 이하의 조건식이 성립한다. 한편, 극의 이동량 g0는,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이다.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0
단, θ0는 피치점 P0에서의 편각이다.
상기 식(5)에 있어서, 공구 압력각 α0를 14.5°로 설정하고, 편평도 b를 파라미터로 하여 시뮬레이션을 행한 결과, 편평도 b가 0.2850, 편각 θ0가 46.1033°일 때에, 식(6)~(8)에 의해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상의 한계치인 치고율 h=πm/4=0.7854m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식(6)에 의해 상사계수 a가 1.1019, 식(7)에 의해 극의 이동량 g0가 0.7557로 구해진다.
n=2, g0≠0, h0=0의 경우에서, 상기에 의해 구한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구성된 기준 랙 치형의 예를 도 2에 도시한다. 도면 중, 20은 기준 랙 치형을 나타내고, 이 기준 랙 치형(20)은, 치고율 h=0.7854m, 공구 압력각 α=14.5°, 극의 이동량(거리) g0=0.7557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곡선 P1P0는 기준 랙의 어덴덤(Addendum) 치형, 곡선 P0P2는 기준 랙의 디덴덤(Dedendum) 치형이고, 피치점 P0에 대해서 점대칭이 되어 있다. 직선 Q1Q2는 피치선을 나타낸다. 점 K1, K2는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을 나타내고, 피치선 Q1Q2로부터 거리 g0만큼 시프트하고 있다.
여기서, 실제의 기준 랙 치형의 공구 좌표는, 중심에 위치하는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을 포함한 측을 공구의 실질예라고 생각하고, 우측의 피치점 P0를 원점으로 하여, XY좌표를 변환한 기준 랙 치형의 예를 도 3에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기준 랙 치형 위의 점 Pj에서의 접선의 법선과 피치선Q1Q2가 교차하는 점을 Cj로 하면, 원점 P0-점 Cj-점 Pj가 이루는 각도 φj는,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1
또한, 점 Pj로부터 점 Cj까지의 거리 rj은,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2
또한, 원점 P0로부터 점 Cj까지의 거리 Sj는,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3
이것으로부터, 기준 랙 치형(20)의 좌표(Xj, Yj)는,
[수식 4]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4
로서 구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기준 랙 치형과 기어 치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면 중, 21은 기어 치형을 도시한다. 본 예에서는, 공구 치형이 되는 기준 랙 치형(20)과 기어 치형(21)과의 대략 직각 단면을 도시한다. 한편, 기준 랙 치형(20)을 피치원을 따라서 굴렸을 때에 생기는 곡선군의 포락선(Envelop)이 기어 치형(21)의 윤곽이 된다. 헤리컬 기어의 어덴덤 좌표계에 있어서, 기어 치형의 궤적을(Xk, Yk)로 표시하고, 헤리컬 기어의 축심 O로부터 기어 치형(21)상의 점까지의 동경을 rk, 그 회전각을 θk로 한다. 동경 rk 및 회전각 θk는, 이하의 식으로 구할 수 있다. 한편, R은 헤리컬 기어의 피치원 반지름이다.
rk 2=R2+rj 2-2Rrjcos(π/2+φj)로부터,
[수식 5]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5
또한, θk=-{Sj/R-cos-1((R2+rk 2-rj 2)/2Rrk)}로부터,
[수식 6]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6
단, S1P0를 기어 치형의 어덴덤측, P0S2를 기어 치형의 디덴덤측으로 한다.
따라서, 기어 치형의 윤곽 좌표(Xk, Yk)는, 하기의 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7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기어 치형의 맞물림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기어 치형(21)은 축심 O1를 갖는 헤리컬 기어의 치형, 기어 치형(22)은 축심 O2를 갖는 헤리컬 기어의 치형을 나타낸다. 기준 랙 치형(20)을 공구 치형으로 하는 한 쌍의 헤리컬 기어 치형은, 치고율 h=0.7854m, 공구 압력각 α0=14.5°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한 쌍의 기어 치형의 접촉점의 궤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피치점을 원점으로 하는 극좌표(r, θ)에 의해서 한 쌍의 헤리컬 기어의 접촉점의 궤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피치점 P0를 원점, 또한, 한 쌍의 헤리컬 기어의 축심을 O1, O2로 하고, O1P0O2를 기선(Base line)으로 정한다. 접촉점(r, θ)은, 시시각각 위치를 바꾸고, 그 궤적은 r과 θ와의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8
도 6에 있어서, 한 쌍의 헤리컬 기어 치형의 접촉점의 궤적(I1, I2)을 도시한다. 이 궤적(I1, I2)은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122481-pct00019
접촉점의 궤적(I1, I2)은, 완전한 렘니스케이트(Lemniscate) 형상이 되어 있고, 한 쌍의 기어 치형(21,22)은, 어덴덤측이 볼록하고, 디덴덤측이 오목한 맞물림이 되는 완전한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의 기준 랙 치형은, 극의 이동량 g0=0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기준 랙 치형과 달리,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이 피치선상에 있고, 기준 랙 치형의 피치점 근방에 직선 부분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하, 기준 랙 치형의 궤적을 (Xj, Yj)로 표시하고, 이 기준 랙 치형의 곡선으로서 2엽형 타원형 피치 곡선(n=2)을 이용한 경우를 대표예로서 설명한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피치원 반지름을 R, 기어 잇수를 Z, 치형 모듈을 m, 1/4 기준 피치를 S0으로 하여, 이하의 제원을 부여한다.
피치원 반지름 R=2
기어 잇수 Z=4
치형 모듈 m=2R/Z=1
1/4 기준 피치 S0=πm/4=πR/2Z
기준 랙 치형으로서, 상술한 식(1)에서 나타나는 2엽계(n=2)의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좌표(ρ, θ)를 부여한다. 동경 ρ는 장축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타원형 피치 곡선의 접선각 τ(단, 예각으로 한다)는, 상술한 식(2)~(4)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치고율 h로서,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한계인 h=πm/4, 피치점 P0의 공구 압력각을 α0로 하면, 그 범위는,
α0≥21.4°
또한, 피치선으로부터의 직선의 높이를 h0로 하면, 그 범위는,
0≤h0≤Z/2sin2α0
여기에서는, 최대가 되는 h0=Z/2sin2α0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사계수 a는,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수식 7]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0
여기서,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의 이동량을 g0=0으로 하고, 공구 압력각 α0를 파라미터로 하여, 상술한 식(5)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공구 압력각 α0가 26.3000°, 편평도 b가 0.0712, 상사계수 a가 0.7294일 때에, 상술한 식(8), 즉, h=a/(1-b)에 의해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상의 한계치인 치고율 h=πm/4=0.7854m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피치점의 편각 θ0는,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1
n=2, g0=0 h0≠0의 경우에서, 상기에 의해 구한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구성된 기준 랙 치형의 예를 도 7에 도시한다. 기준 랙 치형(20)은, 치고율 h=0.7854m, 공구 압력각 α0=26.3000°, 극의 이동량 g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에 있어서, 곡선 P1P0는 기준 랙의 어덴덤 치형, 곡선 P0P2는 기준 랙의 디덴덤 치형이고, 피치점 P0에 대해서 점대칭이 되어 있다. 직선 Q1Q2는 피치선을 도시한다. 점 K1, K2는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으로 피치선 Q1Q2상에 설치된다.
여기서, 실제의 기준 랙 치형의 공구 좌표는, 중심에 위치하는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을 포함한 측을 공구의 실질측이라고 생각하고, 우측의 피치점 P0를 원점으로 하여, XY좌표를 변환한 기준 랙 치형의 예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8에 있어서, 기준 랙 치형 위의 점 Pj에서의 접선의 법선과 피치선 Q1Q2가 교차하는 점을 Cj로 하면, 원점 P0-점 Cj-점 Pj가 이루는 각도 φj는, 상술한 식(9)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점 Pj로부터 점 Cj까지의 거리 rj는,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2
또한, 원점 P0로부터 점 Cj까지의 거리 Sj는, 상술한 식(11)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직선부(20a)를 제외한 기준 랙 치형(20)의 좌표(Xj, Yj)는,
[수식 8]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3
로서 구할 수 있다.
피치점 P0의 근방에 삽입하는 직선부(20a)에 대해서는, 직선의 높이 h0를 파라미터로서 분할하면,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4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기준 랙 치형과 기어 치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예에서는, 공구 치형이 되는 기준 랙 치형(20)과 기어 치형(21)과의 대략 직각 단면을 나타낸다. 헤리컬 기어의 어덴덤 좌표계에 있어서, 기어 치형의 궤적을(Xk, Yk)로 표시하고, 헤리컬 기어의 축심 O로부터 기어 치형(21)상의 점까지의 동경을 rk, 그 회전각을 θk로 한다. 동경 rk 및 회전각 θk는, 상술한 식(14), (15)에 의해 구할 수 있다. 한편, R은 헤리컬 기어의 피치원 반지름이다.
따라서, 기어 치형의 윤곽 좌표(Xk, Yk)는, 상술한 식(6), (17), 즉, Xk=rkcosθk-R, Yk=rksinθk로 표시된다. 단, S1P0를 기어 치형의 어덴덤측, P0S2를 기어 치형의 디덴덤측으로 한다.
도 9에 있어서, 기어 치형(21) 중, 직선으로 창성(創成)되는 인볼류트 곡선 (21a)과,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창성되는 곡선(21b)을 도시하고, 피치점 P0의 근방은 인볼류트 곡선(21a)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용적 유량계에 이용되는 한 쌍의 기어 치형의 접촉점의 궤적이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피치점을 원점으로 하는 극좌표(r, θ)에 의해서 한 쌍의 헤리컬 기어의 접촉점의 궤적을 도시하는 것으로 한다. 피치점 P0를 원점, 또한, 한 쌍의 헤리컬 기어의 축심을 O1, O2로 하고, O1P0O2를 기선으로 정한다. 접촉점(r, θ)은, 시시각각 위치를 바꾸어, 그 궤적은 r과 θ와의 관계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10에 있어서, 한 쌍의 헤리컬 기어 치형의 접촉점의 궤적(I1, I2)을 도시한다. 이 궤적(I1, I2)은 상술한 식(19), (20)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준 랙 치형으로서 타원형 피치 곡선(타원 곡선)을 이용한 한 쌍의 헤리컬 기어를 조립해 넣는 것에 의해,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 한계인 치고율 πm/4(0.7854m)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치면이 요철의 맞물림이 되기 때문에, 치면 강도가 높은 기어 치형이 되고, 치형 사이의 미끄럼률도 작기 때문에 마모에도 강한 치형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적은 잇수로도 충분한 치형 강도를 갖고, 피치점에 있어서 공구 압력각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공구의 설계 혹은 기어 절단 가공에 유리하게 된다. 특히, 용적 유량계의 기어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치고율을 일점 연속 접촉 치형의 이론 한계의 πm/4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가둠 현상이 없는 이상적인 기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기어 잇수 Z=4로 한 경우의 한 쌍의 헤리컬 기어(1,2)의 맞물림 상태의 천이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로부터 도 11(F)의 순서로, 헤리컬 기어(1,2)가 0°에서 45°까지, 회전할 때의 맞물림 상태의 천이를 도시한다. 헤리컬 기어(1,2)는 축심(4,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케이싱(3)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케이싱(3)의 기재는 생략한다.
도 11(A)는 헤리컬 기어(1)의 각도 θ를 0°의 경우를 도시하고, 도 11(B)는 헤리컬 기어(1)의 각도 θ를 10°의 경우를 도시하고, 도 11(C)는 헤리컬 기어(1)의 각도 θ를 20°의 경우를 도시한다.
게다가, 도 11(D)는 헤리컬 기어(1)의 각도 θ를 30°의 경우를 도시하고, 도 11(E)는 헤리컬 기어(1)의 각도 θ를 40°의 경우를 도시하고, 도 11(F)는 헤리컬 기어(1)의 각도 θ를 45°의 경우를 도시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준 랙 치형으로서 2엽계(n=2)의 타원형 피치 곡선을 이용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1엽계(n=1)의 타원형 피치 곡선(즉, 타원 곡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1엽계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서 마찬가지로 해석한 경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을 피치선상으로부터 이동시키는 제 1 실시형태(g0≠0, h0=0)에서는, 하기의 조건식에 기초하여, 치고율 h=πm/4(단, 공구 압력각 α0=14.5°로 한다)를 실현할 수 있다.
[수식 2]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5
n=1, g0≠0, h0=0의 경우에서, 상기에 의해 구한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구성된 기준 랙 치형의 예를 도 12에 도시한다. 기준 랙 치형(20)은, 치고율 h=0.7854m, 공구 압력각 α0=14.5°, 극의 이동량 g0=1.4223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있어서, 곡선 P1P0는 기준 랙의 어덴덤 치형, 곡선 P0P2는 기준 랙의 디덴덤 치형이고, 피치점 P0에 대해서 점대칭이 되어 있다. 직선 Q1Q2는 피치선을 도시한다. 점 K1, K2는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을 도시하고, 피치선 Q1Q2로부터 거리 g0만큼 시프트하고 있다.
이 때의 각 파라미터는, 상사계수 a가 0.5690, 편평도 b가 0.7422, 편각 θ0가 28.9068°로 구할 수 있다.
또한,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을 피치선상에 두는 제 2 실시형태(g0=0, h0≠0)에서는, 하기의 조건식에 기초하여, 치고율 h=πm/4(단, 공구 압력각 α0=29.1°로 한다)를 실현할 수 있다.
[수식 3]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6
단, 0≤h0≤Z/2sin2α0(Z는 헤리컬 기어의 잇수)
n=1, g0=0, h0≠0의 경우에서, 상기에 의해 구한 타원형 피치 곡선으로 구성된 기준 랙 치형의 예를 도 13에 도시한다. 기준 랙 치형(20)은, 치고율 h=0.7854m,공구 압력각 α0=29.1°, 극의 이동량 g0=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3에 있어서, 곡선 P1P0는 기준 랙의 어덴덤 치형, 곡선 P0P2는 기준 랙의 디덴덤 치형이고, 피치점 P0에 대해서 점대칭이 되어 있다. 직선 Q1Q2는 피치선을 도시한다. 점 K1, K2는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으로 피치선 Q1Q2상에 설치된다.
이 때의 각 파라미터는, 상사계수 a가 0.5820, 편평도 b가 0.2590, 편각 θ0가 47.8224°, 직선의 높이 h0가 0.4730으로 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헤리컬 기어를 용적 유량계에 적용한 경우를 대표예로서 설명했지만, 이 헤리컬 기어를 기어펌프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2 : 헤리컬 기어
3 : 케이싱
4, 5 : 축심
6, 9 : 가상의 피치원
7, 10 : 치선원
8, 11 : 치저원

Claims (9)

  1. 케이싱내에 한 쌍의 헤리컬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헤리컬 기어의 회전에 의해 유량을 계측하는 용적 유량계로서,
    상기 한 쌍의 헤리컬 기어는, 2엽 이하의 타원형 피치 곡선을 기준 랙 치형의 곡선으로 하고,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동경은,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7

    (단, ρ는 동경으로 회전 중심으로부터 타원형 피치 곡선까지의 거리, a는 상사계수, b는 편평도, n(n≤2)은 엽수, θ는 편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 유량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엽수 n=2의 경우,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 피치점에서의 편각을 θ0, 1/4 기준 피치를 S0,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를 g0, 치고율을 h로 하면,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8

    에서, 치고율 h가 πm/4(m은 치형 모듈)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 거리 g0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 유량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엽수 n=2,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 g0를 0으로 한 경우,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 피치점에서의 편각을 θ0, 1/4 기준 피치를 S0, 피치선으로부터의 직선의 높이를 h0, 치고율을 h로 하면,
    [수식 1]
    Figure 112010063122481-pct00029

    에서, 치고율 h가 πm/4(m은 치형 모듈)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 유량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엽수 n=1의 경우,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 피치점에서의 편각을 θ0, 1/4 기준 피치를 S0,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를 g0, 치고율을 h로 하면,
    [수식 2]
    Figure 112010063122481-pct00030

    에서, 치고율 h가 πm/4(m은 치형 모듈)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 거리 g0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 유량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엽수 n=1,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과 피치선과의 거리 g0를 0으로 한 경우, 피치점에서의 공구 압력각을 α0, 피치점에서의 편각을 θ0, 1/4 기준 피치를 S0, 피치선으로부터의 직선의 높이를 h0, 치고율을 h로 하면,
    [수식 3]
    Figure 112010063122481-pct00031

    에서, 치고율 h가 πm/4(m은 치형 모듈)가 되도록, 상사계수 a, 편평도 b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 유량계.
  6. 제 3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g0=0의 경우,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극이 피치선상에 있고,
    상기 피치선으로부터의 직선의 높이 h0는, 0≤h0≤Z/2sin2α0(Z는 헤리컬 기어의 잇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 유량계.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압력각 α0를 10°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 유량계.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헤리컬 기어는, 적어도 일부의 치면이 요철의 맞물림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적 유량계.
  9. 한 쌍으로 구성된 헤리컬 기어로서,
    상기 한 쌍의 헤리컬 기어는, 2엽 이하의 타원형 피치 곡선을 기준 랙 치형의 곡선으로 하고, 상기 타원형 피치 곡선의 동경은,
    Figure 112010063122481-pct00032

    (단, ρ는 동경으로 회전 중심으로부터 타원형 피치 곡선까지의 거리, a는 상사계수, b는 편평도, n(n≤2)은 엽수, θ는 편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리컬 기어.
KR1020107021867A 2008-03-03 2008-05-23 용적 유량계 및 헤리컬 기어 KR101190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2117A JP4252614B1 (ja) 2008-03-03 2008-03-03 容積流量計及びヘリカル歯車
JPJP-P-2008-052117 2008-03-03
PCT/JP2008/059504 WO2009110108A1 (ja) 2008-03-03 2008-05-23 容積流量計及びヘリカル歯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108A KR20100122108A (ko) 2010-11-19
KR101190393B1 true KR101190393B1 (ko) 2012-10-11

Family

ID=40612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867A KR101190393B1 (ko) 2008-03-03 2008-05-23 용적 유량계 및 헤리컬 기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425212B2 (ko)
EP (1) EP2256468A4 (ko)
JP (1) JP4252614B1 (ko)
KR (1) KR101190393B1 (ko)
CN (1) CN101960265B (ko)
TW (1) TW200938813A (ko)
WO (1) WO20091101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2785B2 (en) * 2008-06-20 2012-11-20 Graco Minnesota Inc. Involute gear teeth for fluid metering device
JP4599454B1 (ja) * 2009-09-07 2010-12-15 株式会社オーバル 容積式気液二相流量計及び多相流量計測システム
CN103883705A (zh) * 2014-04-10 2014-06-25 王榕生 非等模齿轮副及其扫描数控加工模板
JP2015218892A (ja) 2014-05-21 2015-12-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歯車装置
DE102014115663A1 (de) * 2014-10-28 2016-04-28 Kem Küppers Elektromechanik Gmbh Spindeldurchflussmesser
PL3337979T3 (pl) 2015-08-17 2022-05-0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rofil hybrydowy do wirników superładowarki
US10527149B2 (en) 2015-12-11 2020-01-07 Gear Innovations Llc Conjugate gears with continuous tooth flank contact
US11255700B2 (en) * 2018-08-06 2022-02-22 Allegro Microsystems, Llc Magnetic field sensor
HUE055648T2 (hu) * 2018-09-11 2021-12-28 Common Spolka Akcyjna Forgókerekes áramlásmérõ gázáramlás mérésére
KR102475876B1 (ko) * 2020-11-26 2022-12-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렘니스케이트 곡선을 이용한 오일펌프의 치형 설계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오일펌프의 치형 설계 시스템
CN114719053B (zh) * 2021-03-02 2023-12-12 中国石油大学(华东) 连续波发生器旋转阀阀口结构的设计方法及旋转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4015A (en) * 1977-01-19 1980-09-23 Oval Engineering Co., Ltd. Positive displacement flow meter with helical-toothed rotors
JPS5473305A (en) * 1977-11-22 1979-06-12 Tokico Ltd Positive displacement rotary machine
US4210410A (en) * 1977-11-17 1980-07-01 Tokico Ltd. Volumetric type flowmeter having circular and involute tooth shape rotors
FR2430602A1 (fr) * 1978-07-03 1980-02-01 Oval Eng Co Ltd Debitmetre volumetrique
JPS6213866A (ja) * 1985-07-08 1987-01-22 Hasegawa Haguruma:Kk インボリュート基準ラック歯形による転位wn歯車
JP3620997B2 (ja) * 1999-06-09 2005-02-16 株式会社オーバル 非円形歯車の改良及びそれを用いた非円形歯車式流量計
JP3310239B2 (ja) * 1999-07-14 2002-08-05 株式会社オーバル ヘリカルギヤ式容積流量計
JP3827655B2 (ja) * 2003-06-24 2006-09-27 株式会社オーバル 非円形歯車及び非円形歯車を用いた容積式流量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52614B1 (ja) 2009-04-08
US20100307234A1 (en) 2010-12-09
TWI368729B (ko) 2012-07-21
WO2009110108A1 (ja) 2009-09-11
US8425212B2 (en) 2013-04-23
EP2256468A1 (en) 2010-12-01
CN101960265A (zh) 2011-01-26
EP2256468A4 (en) 2011-05-25
TW200938813A (en) 2009-09-16
JP2009210329A (ja) 2009-09-17
KR20100122108A (ko) 2010-11-19
CN101960265B (zh) 201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393B1 (ko) 용적 유량계 및 헤리컬 기어
EP2206923B1 (en) Internal gear pump rotor, and internal gear pump using the rotor
CN110081148B (zh) 一种基于共轭曲线的凸-凸接触的对构齿轮
WO2020133650A1 (zh) 基于线面共轭的对构齿轮啮合副及其设计方法
US10871213B2 (en) Strain wave gearing with compound meshing that involves congruity of tooth surfaces
US8887592B2 (en) Spherical involute gear coupling
US8282371B2 (en) Screw pump
EP2469092B1 (en) Rotor for pump and internal gear pump using same
US20030175141A1 (en) Wave tooth gears using identical non-circular conjugating pitch curves
TWI257476B (en) Non-circular gear and positive displacement flow meter using it
JP5542873B2 (ja) 歯車及び歯車設計方法
CN103147976B (zh) 内齿轮泵
US20100317483A1 (en) High performance differential
CN109711098B (zh) 渐开弧面齿廓的直齿锥齿轮的设计方法及齿轮啮合副
EP2320201A1 (en) Axial flow positive displacement flowmeter
CN108488360B (zh) 一种锥面包络锥蜗杆副的制造方法
JP2009174986A (ja) 容積流量計
US11662006B2 (en) Differential gear mechanism and method for designing the same
JP3068699U (ja) ギヤポンプ用歯車
CN106574615A (zh) 内齿轮泵
CN105202151A (zh) 内啮合摆线齿轮的重合度的提高方法
CN118088648A (zh) 一种鼓形人字齿锥齿轮副及其设计方法和应用
JPH09145443A (ja) 容積型流量計
JPS62223485A (ja) 内接歯車型流体ポンプ用多点連続接触歯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