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8846B1 -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8846B1
KR101188846B1 KR20100074510A KR20100074510A KR101188846B1 KR 101188846 B1 KR101188846 B1 KR 101188846B1 KR 20100074510 A KR20100074510 A KR 20100074510A KR 20100074510 A KR20100074510 A KR 20100074510A KR 101188846 B1 KR101188846 B1 KR 10118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opening bracket
bracket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4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2524A (ko
Inventor
신상조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20100074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884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884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면서 강도가 높은 새로운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따르면, 오프닝브라켓(A)에는 지지편(4)이 상향연장되고, 패스너(C)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되므로, 오프닝브라켓(A)을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용접결합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패스너(C)의 강도가 높아 패스너(C)의 변형 등에 따른 유동이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opening bracket combine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작이 용이하면서 강도가 높은 새로운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오프닝브라켓은 선루프용 개구부가 형성된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부에는 패스너(C)가 구비되어 상기 패스너(C)를 루프패널의 하부면에 구비된 지지브라켓(B)에 끼워 결합하므로써, 헤드라이닝을 루프패널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위해, 상기 오프닝브라켓(A)과 지지브라켓(B)에는 각각 결합공(1,5)이 형성되며, 상기 패스너(C)의 하단과 상단에는 상기 결합공(1,5)에 걸리는 걸림턱(6,7)이 형성되어, 패스너(C)를 오프닝브라켓(A)과 지지브라켓(B)의 결합공(1,5)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스너(C)는 형태가 복잡하므로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제작된다. 또한, 상기 오프닝브라켓(A)의 결합공(1)은 오프닝브라켓(A)의 둘레부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2)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패스너(C)를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따르면, 상기 패스너(C)가 강도가 낮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패스너(C)가 손상되거나 변형되기 쉬우며, 이에따라 공차가 발생되어 설치완료된 헤드라이닝이 유동되거나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결합공(1)을 형성할 때 버르가 발생되어 패스너(C)를 결합하기 어렵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었다.
특히, 상기 오프닝브라켓(A)은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강도가 낮으므로, 돌출부(2)의 하부면에 별도의 보강부재(3)를 용접하여 강도를 보강하여야 한다. 따라서, 작업공수가 증가되어 작업효율이 떨어지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작이 용이하면서 강도가 높아서, 코스트를 절감하고 헤드라이닝에서 유동이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구비된 오프닝브라켓과, 상기 오프닝브라켓에 고정되며 루프패널의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브라켓에는 오프닝브라켓을 상측으로 접어 구성된 지지편이 구비되며,
상기 패스너는 상기 지지편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된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는 금속판을 U자형으로 접어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고정부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부를 상하방향의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후 구부려 제작된 복수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편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고정부의 금속판을 절개 및 절곡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는 결합편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탄성편은 고정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하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결합공이 걸리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하단에서 외측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따르면, 오프닝브라켓에는 지지편이 상향연장되고, 패스너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되므로, 오프닝브라켓을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구조물을 용접결합할 필요가 없어서 작업효율을 높이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패스너의 강도가 높아 패스너의 변형 등에 따른 유동이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를 도시한 측단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스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구비된 오프닝브라켓(A)과, 상기 오프닝브라켓(A)에 고정되며 루프패널의 지지브라켓(B)에 형성된 결합공(5)에 끼움결합되는 패스너(C)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오프닝브라켓(A)의 둘레부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편(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패스너(C)는 상기 지지편(4)에 끼워지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B)의 결합공(5)에 결합되는 결합부(20)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편(4)은 오프닝브라켓(A)의 둘레부를 상측으로 절곡하여 제작되며, 중앙부에는 사각형의 고정공(4a)이 양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10)는 탄성이 있는 금속판(D)을 U자형으로 구부려 상단이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한쌍의 고정패널(11,12)을 갖도록 제작된 것으로, 상기 지지편(4)의 상부에 고정부(10)를 끼우면 고정패널(11,12)이 지지편(4)의 양측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공(4a)에 결합되는 결합편(13)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13)은 일측의 고정패널(11,12)의 중간부를 프레스로 가압 절단 및 절곡하여 상기 고정공(4a)쪽으로 돌출되도록 한 것으로, 고정부(10)를 지지편(4)에 끼우면 상기 결합편(13)이 고정공(4a)에 결합되어 고정부(1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결합부(20)는 복수개의 탄성편(2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편(22)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를 구성하는 금속판(D)의 일부를 상하방향의 절개선(21)을 따라 절개한 후 구부려 제작된 것으로, 고정부(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23)와, 지지부(23)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24)과, 상기 경사면(24)의 하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B)의 결합공(5)이 걸리는 오목부(25)와, 오목부(25)의 하단에서 외측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26)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편(22)은 3개로 구성되어, 2개의 탄성편(22)은 경사면(24)과 오목부(25)가 좌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 1개의 탄성편(22)은 경사면(24)과 오목부(25)가 우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금속판(D)에 상하방향으로 여러개의 절개선(21)을 형성하고(도 5의 (a)),금속판(D)의 전후단을 U자형으로 절곡하여 고정부(10)를 제작하고(도 5의 (b)), 상기 절개선(21)에 의해 잘려진 부분을 상기 탄성편(22)의 형태로 절곡하여 결합부(20)를 제작할 수 있다(도 5의 (c)). 그리고, 후공정에서 프레스로 상기 고정부(10)의 고정패널(11,12) 중앙부에 상기 결합편(13)을 성형하여 패스너(C)를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패스너(C)의 고정부(10)를 지지편(4)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0)의 결합편(12)이 지지편(4)의 고정공(4a)에 끼워져 고정부(10)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패스너(C)의 결합부(20)를 결합공(5)에 끼워 넣으면, 상기 결합공(5)의 둘레부가 오목부(25)에 끼워져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헤드라이닝을 루프패널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따르면, 상기 오프닝브라켓(A)은 둘레부가 상부로 절곡된 지지편(4)이 구비되어, 상기 지지편(4)에 패스너(C)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패스너(C)가 결합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돌출부(2)가 형성되어 별도의 작업을 통해 오프닝브라켓(A)을 보강하여야 하는 종래의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와는 달리, 오프닝브라켓(A)을 보강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스너(C)는 금속판(D)을 U자형으로 접어 고정부(1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0)의 일부를 절개하여 결합부(20)를 형성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강도가 높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코스트를 더욱 많이 절감할 수 있으며, 패스너(C)의 치수오차나 변형 등에 의해 오프닝브라켓(A)과 헤드라이너가 유동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4)에는 고정공(4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0)에 형성된 결합편(13)을 이용하여 패스너(C)를 지지편(4)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결합방법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패스너(C)를 지지편(4)에 매우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작동 신뢰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0)의 탄성편(22)은 지지부(23)와, 경사면(24), 오목부(25), 및 연장부(26)로 구성되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너(C)를 지지브라켓(B)의 결합공(5)에 끼운 상태에서 패스너(C)에 외력이 가해지면, 연장부(26)가 지지브라켓(B)의 하측에 밀착가압되어 탄성편(22) 전체가 외측으로 벌어져, 패스너(C)가 지지브라켓(B)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편(4)은 오프닝브라켓(A)의 둘레면을 상측으로 접어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오프닝브라켓(A)의 중간부를 절개한 후 상측으로 접어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A. 오프닝브라켓 B. 지지브라켓
C. 패스너 10. 고정부
11,12. 고정패널 13. 결합편
20. 결합부 22. 탄성편

Claims (4)

  1.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구비된 오프닝브라켓과, 상기 오프닝브라켓에 고정되며 루프패널의 지지브라켓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움결합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프닝브라켓에는 오프닝브라켓을 상측으로 접어 구성된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패스너는 상기 지지편에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금속판을 U자형으로 접어 상기 지지편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고정부를 구성하는 금속판의 일부를 상하방향의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후 구부려 제작된 복수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상기 지지편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고정부의 금속판을 절개 및 절곡하여 구성되어 상기 고정공에 결합되는 결합편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고정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하향경사진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하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브라켓의 결합공이 걸리는 오목부와, 오목부의 하단에서 외측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KR20100074510A 2010-08-02 2010-08-02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KR10118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510A KR101188846B1 (ko) 2010-08-02 2010-08-02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510A KR101188846B1 (ko) 2010-08-02 2010-08-02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24A KR20120012524A (ko) 2012-02-10
KR101188846B1 true KR101188846B1 (ko) 2012-10-08

Family

ID=4583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4510A KR101188846B1 (ko) 2010-08-02 2010-08-02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88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605U (ko) 1986-10-22 1988-05-06
JP2001065524A (ja) 1999-08-25 2001-03-16 Togo Seisakusho Corp クリップ
KR200338334Y1 (ko) 2003-10-16 2004-01-13 최병두 차량용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6605U (ko) 1986-10-22 1988-05-06
JP2001065524A (ja) 1999-08-25 2001-03-16 Togo Seisakusho Corp クリップ
KR200338334Y1 (ko) 2003-10-16 2004-01-13 최병두 차량용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24A (ko) 201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3005B1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JP4009153B2 (ja) 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
JP6889567B2 (ja) 車両用ドアの外装構造
JP5011216B2 (ja) ルーフレールの取付構造
JP5994646B2 (ja) 車両の内装部材の取付け構造
JP4722611B2 (ja) フェンダカバー構造
JP5540990B2 (ja) 車両用内装材の連結構造
KR101188846B1 (ko) 오프닝브라켓 결합구조
JP2008085757A (ja) 車両用アンテナ装置
JP5122373B2 (ja) 組立式カウルトップカバー
JP5485829B2 (ja) 建築用支持具
CN214331086U (zh) 摩托车覆盖件的连接结构
JP2018535073A (ja) 洗濯機筐体及び洗濯機
JP4689351B2 (ja) エンドキャップとカウルとの連結構造
KR101150519B1 (ko) 유동방지 파스너
KR20060033509A (ko) 리어범퍼커버의 측면부 조립구조
KR102259785B1 (ko) 차량용 테일게이트 구조
CN203637536U (zh) 一种b柱密封条与车门窗框的安装结构
KR101501905B1 (ko)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KR100941504B1 (ko) 자동차용 외장 몰딩 및 그 제조방법
KR100854150B1 (ko) 판상의 수지재 물품 간의 결합구조 및 그 구조로 결합된디스플레이 기기
JP5216755B2 (ja)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の取付構造及び固定用クリップ
KR200434440Y1 (ko) 프레임 하이브리드 결합 구조
WO2011070659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
KR101916072B1 (ko) 차량용 도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