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956B1 - 차실 내 구조 - Google Patents

차실 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956B1
KR101187956B1 KR1020107011088A KR20107011088A KR101187956B1 KR 101187956 B1 KR101187956 B1 KR 101187956B1 KR 1020107011088 A KR1020107011088 A KR 1020107011088A KR 20107011088 A KR20107011088 A KR 20107011088A KR 101187956 B1 KR101187956 B1 KR 101187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oice
crew
refl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294A (ko
Inventor
다까노부 나까구로
도시히로 쯔에모또
아쯔시 히로시게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4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G10K11/28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reflection, e.g. parabolic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2013/0287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하는 것이다. 차실 내 구조(10)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와,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키기 위한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비한다. 음성 반사 전달부(22)는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24A, 24B)으로 하는 가상 타원(26)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Description

차실 내 구조 {VEHICLE INTERIOR STRUCTURE}
본 발명은 차실 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 차실 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차실 내 구조로서는, 다음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차실 내 음(音) 조정 장치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예에서는 프론트 시트의 헤드레스트 측부에 음향 렌즈가 설치되어 있고, 이 음향 렌즈에 의해 리어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의 목소리가 프론트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에게 잘 들리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공고실용신안 평4-7155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 평11-35574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공개특허 소63-195043호 공보 특허문헌 4 : 일본공개실용신안 소61-151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리어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의 목소리가 프론트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에게 잘 들리도록 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 반대, 즉 프론트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의 목소리가 리어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에게 잘 들리도록 되어 있지는 않다. 따라서, 프론트 시트 및 리어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하여, 한층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함으로써, 한층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는 차실 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실 내 구조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키기 위한 음성 반사 전달부와, 상기 탑승원의 한쪽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기 탑승원의 다른 쪽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탑승원의 다른 쪽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기 탑승원의 한쪽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제1 형태와, 상기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상기 제1 형태보다도 낮은 제2 형태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음성이 발해지면, 이 음성은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되면서 전달된다. 즉, 어느 곳의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라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단순히 반사시켜 전달시킬 뿐만 아니라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한층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절환부에 의해 제1 형태로 절환되었을 때에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절환부에 의해 제2 형태로 절환되었을 때에는,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제1 형태보다도 낮아지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환부에 의해 제1 형태와 제2 형태로 절환됨으로써,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간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음성 반사 전달부는 상기 탑승원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으로 하는 가상 타원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룰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타원을 따른 오목면은 타원의 한쪽의 초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타원의 다른 쪽의 초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한다고 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반사 전달부가 탑승원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으로 하는 가상 타원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가상 타원의 한쪽의 초점에 헤드부가 위치하고 있는 한쪽의 탑승원의 헤드부로부터의 음성을 가상 타원의 다른 쪽의 초점에 위치하는 탑승원의 헤드부로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측에 노출시키는 노출 상태와,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측으로부터 덮는 피복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차폐부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절환부로서의 차폐부가 음성 반사 전달부를 한 쌍의 차량용 시트측에 노출시키는 노출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한편, 절환부로서의 차폐부가 음성 반사 전달부를 한 쌍의 차량용 시트측으로부터 덮는 피복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상술한 노출 상태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폐부를 노출 상태와 피복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제1 형태와,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제1 형태보다도 낮은 제2 형태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권취 부재에 권취 가능한 권취식 커버 부재를 갖는 동시에, 상기 권취식 커버 부재가 상기 권취 부재에 권취됨으로써 상기 노출 상태로 되고, 상기 권취식 커버 부재가 상기 권취 부재로부터 전개됨으로써 상기 피복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권취식 커버 부재가 권취 부재에 권취됨으로써 차폐부를 노출 상태로 할 수 있고, 권취식 커버 부재가 권취 부재로부터 전개됨으로써 차폐부를 피복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차실 내에 있어서의 수납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를 갖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가 상기 수납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노출 상태로 되고, 상기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가 상기 전개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피복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가 수납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차폐부를 노출 상태로 할 수 있고,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가 전개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차폐부를 피복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복수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차폐부는 복수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차폐부 중 일부를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차폐부 전체를 노출 상태와 피복 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폐부 전체를 구동시켜 노출 상태와 피복 상태로 절환하는 경우에 비해, 차폐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는 차실 내에 설치된 차실 부재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음성 반사 전달부를 차실 내에 설치된 차실 부재에 고정적으로 설치한다고 하는 간소한 구성으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는 차실 내에 복수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음성 반사 전달부가 차실 내에 복수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탑승원간의 음성 전달을 하는 경우에 비해, 1개당의 음성 반사 전달부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성 반사 전달부가 차지하는 것에 의한 차실 내 공간의 축소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제1 자세와, 상기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상기 제1 자세보다도 낮은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가변체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절환부로서의 가변체가 제1 자세로 되었을 때에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한편, 절환부로서의 가변체가 제2 자세로 되었을 때에는,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상술한 노출 상태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체를 제1 자세와 제2 자세로 절환함으로써,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제1 형태와,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제1 형태보다도 낮은 제2 형태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가변체를 직접적으로 자세 변화시키므로, 예를 들어 제1 형태와 제2 형태의 절환을 위해 상술한 차폐부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보다 간소한 구성에 의해,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간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차실 내에 슬라이드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절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가변체를 제1 자세와 제2 자세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는 반사면을 구비하여 차실 내에 상기 반사면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변위체가 상기 반사면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절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변위체가 반사면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가변체를 제1 자세와 제2 자세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차실 내에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변형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변형체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절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변형체가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가변체를 제1 자세와 제2 자세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차실 내에 회전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회전체가 상기 회전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절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회전체가 회전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가변체를 제1 자세와 제2 자세로 절환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상기 회전체를 복수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가변체는 회전체를 복수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큰 회전체에 의해 구성된 경우에 비해, 회전체의 1개당의 회전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실 내 공간에 있어서의 회전체의 회전 영역의 확보를 위한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는 반사면과, 상기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 가능한 흡수면을 갖고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회전체를 반사면이 탑승원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체를 흡수면이 탑승원측을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면으로 흡수할 수 있어,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는 차실 내의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음성 반사 전달부가 차실 내의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차실 내의 설치물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이 음성을 보다 떨어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실 내 구조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키기 위한 음성 반사 전달부와, 차실 내에 설치된 차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실 부재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여 상기 탑승원의 한쪽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기 탑승원의 다른 쪽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탑승원의 다른 쪽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기 탑승원의 한쪽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제1 변형 상태와, 상기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상기 제1 변형 상태보다도 낮은 제2 변형 상태로 변위 가능한 반사면과, 상기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 가능한 흡수면과, 상기 반사면을 상기 제2 변형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변형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변형부와, 상기 반사면이 상기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한 제1 형태와, 상기 흡수면이 상기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한 제2 형태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부를 갖는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절환부에 의해 제1 형태로 절환되고, 또한 변형부에 의해 반사면이 제1 변형 상태로 변형되었을 때에는, 반사면이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하고 또한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여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이 반사면에 의해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절환부에 의해 제2 형태로 절환되었을 때에는, 흡수면이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하므로,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면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상술한 제1 형태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간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과 상기 흡수면은 무단 벨트에 설치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면의 이면을 상기 흡수면의 이면에 접합시켜 상기 반사면을 상기 제2 변형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변형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접합부로 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형태와 상기 제2 형태로 절환되도록 상기 무단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절환부로서의 회전부를 사용하여 무단 벨트가 회전되어 반사면이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하게 되고, 또한 변형부로서의 접합부에 의해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이 흡수면의 이면에 접합시켰을 때에는, 반사면이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하고 또한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여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이 반사면에 의해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절환부로서의 회전부를 사용하여 무단 벨트가 회전되면, 접합부의 접합 상태가 해제되고, 그 후, 흡수면이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면으로 흡수할 수 있어,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상술한 제1 형태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과 상기 흡수면은 상기 차실 부재의 한쪽의 면과 다른 쪽의 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차실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면의 이면을 상기 흡수면의 이면에 접합시켜 상기 반사면을 상기 제2 변형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변형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접합부로 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형태와 상기 제2 형태로 절환되도록 상기 차실 부재를 차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절환부로서의 회전 지지부를 사용하여 반사면이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하도록 차실 부재를 회전시키고, 또한 변형부로서의 접합부에 의해 차실 부재에 있어서의 반사면의 이면을 흡수면의 이면에 접합시켰을 때에는,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는 반사면이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하고 또한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이 반사면에 의해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한편, 절환부로서의 회전 지지부를 사용하여 흡수면이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하도록 차실 부재를 회전시켰을 때에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면으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상술한 제1 형태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탑승원의 상황을 검출하는 탑승원 상황 검출부와, 상기 제1 형태와 상기 제2 형태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절환부를 구동시키는 절환 구동부와, 상기 탑승원 상황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절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절환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탑승원 상황 검출부에 의해 탑승원의 상황이 검출되면, 절환 제어부가 탑승원 상황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절환 구동부를 제어하고, 이에 의해 절환부가 구동되어 제1 형태와 제2 형태로 절환된다. 따라서, 탑승원의 상황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제1 형태와 제2 형태로 절환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의 상황을 반영한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차실 내 구조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키기 위한 음성 반사 전달부와,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의 위치 및 형상의 적어도 한쪽을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와, 상기 탑승원의 상황을 검출하는 탑승원 상황 검출부와, 상기 변경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경 구동부와, 상기 탑승원 상황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구동부를 제어하는 변경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변경부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탑승원의 위치에 따라서 음성 반사 전달부의 위치 및 형상의 적어도 한쪽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탑승원의 위치가 변화되어도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이 차실 내 구조에 따르면, 탑승원 상황 검출부에 의해 탑승원의 상황이 검출되면, 변경 제어부가 탑승원 상황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 구동부를 제어하고, 이에 의해 변경 구동부에 의해 변경부가 구동된다. 따라서, 탑승원의 상황에 따라서 변경부를 자동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원의 상황을 반영한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함으로써, 한층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도 4a에 있어서의 차폐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4b에 있어서의 차폐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c는 도 15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c는 도 16a에 도시되는 차실 내 구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처음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는, 예를 들어 미니밴 등의 차량에 적절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차량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를 구비하고 있다. 전방측의 차량용 시트(12)는, 예를 들어 운전석 시트로 되어 있고, 후방측의 차량용 시트(14)는, 예를 들어 운전석측의 3열째 시트로 되어 있다.
루프 외판(16)의 내측에는 차실 내의 천장부를 구성하는 천장 부재(18)(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천장 부재(18)에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전달시키기 위한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음성 반사 전달부(22)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24A, 24B)으로 하는 가상 타원(26)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따르면, 음성 반사 전달부(22)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24A, 24B)으로 하는 가상 타원(26)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타원을 따른 오목면은, 타원의 한쪽의 초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타원의 다른 쪽의 초점에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한다고 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있어서, 가상 타원(26)의 제1 초점(24A)에 헤드부가 위치하고 있는 전방측의 탑승원(P1)으로부터 음성이 발해진 경우에는, 이 전방측의 탑승원(P1)으로부터의 음성을 가상 타원(26)의 제2 초점(24B)에 위치하는 후방측의 탑승원(P2)의 헤드부로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상 타원(26)의 제2 초점(24B)에 헤드부가 위치하고 있는 후방측의 탑승원(P2)으로부터 음성이 발해진 경우에는, 이 후방측의 탑승원(P2)으로부터의 음성을 가상 타원(26)의 제1 초점(24A)에 위치하는 전방측의 탑승원(P1)의 헤드부로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단순히 반사시켜 전달시킬 뿐만 아니라 음성 반사 전달부(22)에 의해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으므로, 한층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따르면,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차실 내에 설치된 천장 부재(18)에 고정적으로 설치한다고 하는 간소한 구성으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따르면,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차실 내의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차실 내의 설치물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이 음성을 보다 떨어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있어서, 음성 반사 전달부(22)는 천장 부재(18)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인스트루먼트 패널, 도어 트림 등의 천장 부재(18) 이외의 다른 차실 부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있어서, 음성 반사 전달부(22)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이 가상 타원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예를 들어, 전방측의 차량용 시트(12)에 착석하는 탑승원(P1)에 대해 후방측의 차량용 시트(14)에 착석하는 탑승원(P2)이 차량 폭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상정하는 경우[예를 들어, 전방측의 차량용 시트(12)가 조수석이고, 후방측의 차량용 시트(14)가 운전석측의 3열째 시트로 되는 경우 등]에는, 차량 폭 방향으로 절단한 경우의 단면에 대해서도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으로 하는 가상 타원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차량 폭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을 차량 폭 방향에 이웃하는 탑승원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으로 하는 가상 타원을 따른 오목면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대해, 천장 부재(18)의 구성이 변경된 것이다.
즉, 천장 부재(18)에는 복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가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천장 부재(18)의 중앙부에 설치된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24A, 24B)으로 하는 제1 가상 타원(26A)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편, 천장 부재(18)의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보다도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설치된 제2 음성 반사 전달부(22B)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24A, 24B)으로 하는, 제1 가상 타원(26A)과 짧은 직경이 다른, 제2 가상 타원(26B)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 및 제2 음성 반사 전달부(22B) 중 한쪽이 반사한 음성이 다른 쪽에 간섭하지 않도록,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와 초점(24A, 24B)을 연결하는 선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제2 음성 반사 전달부(22B)가 배치되는 동시에, 제2 음성 반사 전달부(22B)와 초점(24A, 24B)을 연결하는 선 상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가 차실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복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와 같이, 하나의 큰 음성 반사 전달부(22)에 의해 탑승원(P1, P2) 사이의 음성 전달을 하는 경우에 비해, 1개당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에서는, 제2 음성 반사 전달부(22B)를 설치함으로써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의 양단부측의 부분의 차실 내측으로의 돌출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가 차지하는 것에 의한 차실 내 공간의 축소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는 천장 부재(18)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천장 부재(18) 이외의 다른 차실 부재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도 3b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에 대해, 권취식 커버 부재(32)(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폐부 및 절환부에 상당)가 추가된 것이다.
권취식 커버 부재(32)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와 천장 부재(1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권취식 커버 부재(32)는 차음성이 높은 천 재료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권취 부재(33)에 권취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식 커버 부재(32)가 권취 부재(33)에 권취되어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측에 노출시키는 노출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3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되어 수렴되면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식 커버 부재(32)가 권취 부재(33)로부터 전개되어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를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측으로부터 덮는 피복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3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권취식 커버 부재(32)에 의해 흡수되어,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상술한 노출 상태보다도 낮아진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에 따르면, 권취식 커버 부재(32)를 노출 상태와 피복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에 따르면, 예를 들어 천장 부재(18)를 음성의 반사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한 경우라도, 천장 부재(18)를 권취식 커버 부재(32)에 의해 덮을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끼리의 커뮤니케이션이 없을 때의 천장 부재(18)에 있어서의 소리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음을 억제한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도 4b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a, 도 5b에는 이 차실 내 구조(40)에 구비된 차폐 부재(34)의 전체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에 대해, 권취식 커버 부재(32) 대신에, 차폐 부재(34)(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폐부 및 절환부에 상당)가 구비된 것이다.
차폐 부재(34)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와 천장 부재(18)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차음성이 높은 판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차폐 부재(34)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있고, 복수의 고정식 커버 부재(36) 및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고정식 커버 부재(36) 및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는,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식 커버 부재(36)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는, 도 4a,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 커버 부재(36)와 판 두께 방향으로 겹쳐진 수납 위치와, 도 4b,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식 커버 부재(36)와 평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에 따르면, 도 4a,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가 수납 위치로 슬라이드되면, 차폐 부재(34)가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를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측에 노출시키는 노출 상태로 된다[차실 내 구조(4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이때에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되면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4b,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가 전개 위치로 슬라이드되면, 차폐 부재(34)가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를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측으로부터 덮는 피복 상태로 된다[차실 내 구조(4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이때에는,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차폐 부재(34)에 의해 흡수되어,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상술한 노출 상태보다도 낮아진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에 따르면, 차폐 부재(34)를 노출 상태와 피복 상태로 절환함으로써,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에 따르면, 차폐 부재(34)는 고정식 커버 부재(36) 및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차폐 부재(34) 중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를 구동시키는 것만으로 차폐 부재(34) 전체를 노출 상태와 피복 상태로 절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폐 부재(34) 전체를 구동시켜 노출 상태와 피복 상태로 절환하는 경우에 비해, 차폐 부재(3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에서는, 차폐 부재(34)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각 고정식 커버 부재(36) 및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가 각각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도 6a,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부재(34)가 차량 전후 방향 및 차량 폭 방향으로 각각에 복수로 분할되어, 각 고정식 커버 부재(36) 및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가 각각 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에 있어서, 차폐 부재(34)는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와 고정식 커버 부재(36)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었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에 있어서의 권취식 커버 부재(32)와 고정식 커버 부재(36)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에서는, 천장 부재(18)에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루프 외판(16)에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가 형성되고, 천장 부재(18)가 차폐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7a, 도 7b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5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5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에 대해, 천장 부재(18)(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 절환부, 가변체, 슬라이드체에 상당)가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즉, 천장 부재(18)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위치(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자세에 상당)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위치(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자세에 상당)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5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50)에 따르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부재(18)가 전방측 위치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5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되면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부재(18)가 후방측 위치로 슬라이드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5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초점이 탑승원(P1, P2)의 헤드부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이동되므로,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과 다른 위치로 반사된다. 이에 의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부재(18)가 전방측 위치로 슬라이드되었을 때보다도,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50)에 따르면, 천장 부재(18)를 전방측 위치와 후방측 위치로 절환함으로써,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천장 부재(18)를 직접적으로 슬라이드시키므로, 예를 들어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의 절환을 위해,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30) 및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40)와 같이, 차폐부 등을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보다 간소한 구성에 의해,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50)에서는,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가 천장 부재(18)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이 천장 부재(18)가 슬라이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가 다른 차실 부재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이 차실 부재가 슬라이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도 8b에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6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6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대해, 차실 내에 있어서의 음성 반사 전달부(22)의 설치 개소가 변경된 것이다.
즉, 음성 반사 전달부(22)는 콘솔 박스(42)를 개폐하기 위한 콘솔 도어(44)(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 절환부, 가변체, 변위체에 상당)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콘솔 도어(44)는 한쪽의 면이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오목 곡면 형상의 반사면(44A)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면이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확산시킬 수 있는 볼록 곡면 형상의 확산면(44B)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콘솔 도어(44)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44A)을 상향으로 한 제1 자세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44A)을 하향으로 한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6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60)에 따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도어(44)가 반사면(44A)을 상향으로 한 제1 자세로 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6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음성 반사 전달부(22)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되면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도어(44)가 반사면(44A)을 하향으로 한 제2 자세로 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6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확산면(44B)에 의해 확산되어 상대측의 탑승원과 다른 위치로 반사된다. 이에 의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 도어(44)가 반사면(44A)을 상향으로 한 제1 자세로 되었을 때보다도,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낮아지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60)에 따르면, 콘솔 도어(44)를 뒤집음으로써,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60)에서는,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콘솔 도어(44)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이 콘솔 도어(44)가 뒤집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다른 차실 부재에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이 차실 부재가 뒤집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예를 들어, 도 9a, 도 9b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60)의 변형예에서는, 음성 반사 전달부(22)는 A 필러(46)의 차실 내측에 설치된 트림 부재(48)(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 절환부, 가변체, 변위체에 상당)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트림 부재(48)는 한쪽의 면이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오목 곡면 형상의 반사면(48A)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면이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할 수 있는 볼록 곡면 형상의 흡수면(48B)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트림 부재(48)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44A)을 차실 내측 방향으로 한 제1 자세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44A)을 차실 외측 방향으로 한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트림 부재(48)를 뒤집음으로써,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 트림 부재(48)는 A 필러(46)의 차실 내측에 설치된 필러 트림으로서 구성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어, 도어의 차실 내측에 설치된 도어 트림으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트림 부재(48)는 차실 내에 복수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 도 10b에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7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7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20)에 대해, 차실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의 설치 개소가 변경된 것이다.
즉,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는 선바이저(52)(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 절환부, 가변체, 변위체, 회전체에 상당)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제2 음성 반사 전달부(22B)는 선바이저(5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54)의 저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바이저(52)는 한쪽의 면이 음성 반사 전달부(22A)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오목 곡면 형상의 반사면(52A)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면이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면(52B)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선바이저(52)는 차실 내의 천장부에 회전축부(56)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52A)을 하향으로 한 전개 위치(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자세에 상당)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52A)을 상향으로 한 수납 위치(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자세에 상당)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7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70)에 따르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52)가 반사면(52A)을 하향으로 한 전개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7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음성 반사 전달부(22A)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되면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52)가 반사면(52A)을 상향으로 한 수납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7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선바이저(52)에 의해 음성 반사 전달부(22B)가 덮이는 동시에,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흡수면(52B)에 의해 흡수된다. 이에 의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52)가 전개 상태로 되었을 때보다도,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낮아지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70)에 따르면, 선바이저(52)를 회전시킴으로써,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 도 11b에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8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8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대해, 액추에이터(58)가 추가되는 동시에, 천장 부재(18)(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 절환부, 가변체, 변형체에 상당)가 가요성을 갖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즉, 액추에이터(58)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조작 스위치 등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천장 부재(18)의 중앙부를 차량 상하 방향으로 밀고 당기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천장 부재(18)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8)에 의해 중앙부를 끌어당김으로써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는 제1 자세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58)에 의해 중앙부를 밀어내려 평탄 형상을 이루는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8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80)에 따르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부재(18)가 액추에이터(58)에 의해 중앙부를 끌어당김으로써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는 제1 자세로 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8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음성 반사 전달부(22)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되면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부재(18)가 액추에이터(58)에 의해 중앙부를 밀어내려 평탄 형상을 이루는 제2 자세로 되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8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상대측의 탑승원과 다른 위치로 반사된다. 이에 의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부재(18)가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할 때보다도,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낮아지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80)에 따르면, 천장 부재(18)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80)에서는, 천장 부재(18)의 전체의 형상이 변경됨으로써 천장 부재(18)에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었지만, 천장 부재(18)의 일부의 형상이 변경됨으로써 이 천장 부재(18)의 일부에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80)에서는, 천장 부재(18)의 형상이 변경되어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천장 부재(18)에 구성되도록 되어 있었지만, 천장 부재(18) 이외의 다른 차실 부재의 형상이 변경되어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이 다른 차실 부재에 구성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 도 12b에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대해, 천장 부재(18)(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 절환부, 가변체에 상당)가 복수의 회전판(62)(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전체에 상당)으로 분할되는 동시에, 이 회전판(62)을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64)가 추가된 것이다.
각 회전판(62)은 한쪽의 면이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면(62A)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면이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할 수 있는 흡수면(62B)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회전판(62)은 차실 내의 천장부에 회전축부(66)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 부재(18)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판(62)이 반사면(62A)을 하향으로 함으로써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는 제1 자세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판(62)이 흡수면(62B)을 하향으로 한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 장치(64)는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을 검출하는 센서(72)(본 발명에 있어서의 탑승원 상황 검출부에 상당)와, 회전체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74)(본 발명에 있어서의 절환 구동부에 상당)와, 센서(72)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74)를 제어하는 ECU(76)(본 발명에 있어서의 절환 제어부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72)는, 예를 들어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을 검출할 수 있는 마이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따르면, 센서(72)에 의해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이 검출되어, ECU(76)가 센서(72)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탑승원(P1, P2)의 음성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면 모터(74)를 제어하고, 이에 의해 각 회전판(62)이 반사면(62A)을 하향으로 하도록 회전된다.
그리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판(62)이 반사면(62A)을 하향으로 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9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천장 부재(18)가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므로,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음성 반사 전달부(22)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되면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센서(72)에 의해 탑승원(P1, P2)의 상황이 검출되어, ECU(76)가 센서(72)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탑승원(P1, P2)의 음성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모터(74)를 제어하고, 이에 의해 각 회전판(62)이 흡수면(62B)을 하향으로 하도록 회전된다.
그리고,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판(62)이 흡수면(62B)을 하향으로 했을 때에는[차실 내 구조(9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이 각 회전판(62)의 흡수면(62B)에 의해 흡수된다. 이에 의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전판(62)이 반사면(62A)을 하향으로 했을 때보다도,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낮아지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따르면, 천장 부재(18)를 구성하는 각 회전판(62)의 회전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따르면,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각 회전판(62)을 자동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을 반영한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따르면, 복수의 회전판(62)은 천장 부재(18)를 복수로 분할한 것뿐인 구성이므로, 종래의 천장 부재(18)와 동등한 미관 및 차실 내 공간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따르면, 복수의 회전판(62)은, 흡수면(62B)을 하향으로 한 제2 자세로부터 반사면(62A)을 하향으로 하여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는 제1 자세로 된 경우라도 제2 자세일 때와 전체의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의 회전판(62)이 반사면(62A)을 하향으로 하여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는 제1 자세로 된 경우라도, 흡수면(62B)을 하향으로 한 제2 자세로 된 경우에 비해, 차실 내 공간의 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따르면, 천장 부재(18)는 회전판(62)을 복수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큰 회전판(62)에 의해 구성된 경우에 비해, 회전판(62)의 1개당의 회전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실 내 공간에 있어서의 회전판(62)의 회전 영역의 확보를 위한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서는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회전판(62)이 구동 장치(64)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탑승원(P1, P2)에 의한 조작 스위치 등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판(62)이 구동 장치(64)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조작 핸들 등에 의해 각 회전판(62)을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회전판(62)이 탑승원(P1, P2)의 착석 시트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예를 들어, 회전판이 차량 폭 방향으로 분할되어, 이 중 운전석 시트와 운전석측의 3열째 시트를 음성 전달 가능하게 하는 회전판만이 회전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음).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서는, 복수의 회전판(62)이 하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었지만, 복수의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3a, 도 13b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의 변형예에서는, 천장 부재(18)의 중앙부에 배치된 회전판(62)이, 제1 가상 타원(26A)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는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를 구성하고, 천장 부재(18)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치된 회전판(62)이, 제1 가상 타원(26A)과 짧은 직경이 다른 제2 가상 타원(26B)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루는 제2 음성 반사 전달부(22B)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가 차실 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복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회전판(62)에 의해 하나의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1개당의 음성 반사 전달부(22A, 22B)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제2 음성 반사 전달부(22B)를 설치함으로써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의 양단부측의 부분의 차실 내측으로의 돌출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제1 음성 반사 전달부(22A)가 차지하는 것에 의한 차실 내 공간의 축소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면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서는,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복수의 회전판(62)을 구동 장치(64)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반사하는 상태와 음성을 흡수하는 상태의 절환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다른 부재를 구동 장치(64)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반사하는 상태와 음성을 흡수하는 상태의 절환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64)를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 내지 제8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적용하여, 권취식 커버 부재(32),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38), 천장 부재(18), 콘솔 도어(44)나 트림 부재(48), 선바이저(52) 등을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구동 장치(64)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반사하는 상태와 음성을 흡수하는 상태의 절환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서는, 센서(72)가 마이크 등에 의해 구성되고, ECU(76)가 이 센서(72)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탑승원(P1, P2)의 음성의 발생을 판단한 경우에 각 회전판(62)이 반사면(62A)을 하향으로 하도록 모터(74)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센서(72)가 탑승원(P1, P2)의 존재를 검지하는 탑승원 존재 검지 센서에 의해 구성되고, ECU(76)가 이 센서(72)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탑승원(P1, P2)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에 각 회전판(62)이 반사면(62A)을 하향으로 하도록 모터(74)를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제10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a, 도 14b에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대해, 복수의 회전판(62)(본 발명에 있어서의 변경부에 상당)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64)의 구성이 변경된 것이다.
즉, 구동 장치(64)에 있어서, 센서(82)(본 발명에 있어서의 탑승원 상황 검출부에 상당)는 탑승원(P1, P2)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착석 위치 검출 센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모터(84)(본 발명에 있어서의 변경 구동부에 상당)는 복수의 회전판(62)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ECU(86)(본 발명에 있어서의 변경 제어부에 상당)는 센서(82)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84)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0)에 따르면, 센서(82)에 의해 탑승원(P1, P2)의 위치가 검출되고, ECU(86)가 센서(82)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탑승원(P1, P2)의 위치가 변화되었다고 판단하면 모터(84)를 제어하고, 이에 의해 복수의 회전판(62)에 의해 구성되는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24A, 24B)으로 하는 가상 타원(26)을 따른 형상을 유지하도록, 각 회전판(62)의 회전 각도가 조절된다.
즉,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의 탑승원(P1)에 대해 후방측의 탑승원(P2)의 위치가 멀어졌을 때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의 탑승원(P1)에 대해 후방측의 탑승원(P2)의 위치가 가까워졌을 때 중 어떤 경우라도, 복수의 회전판(62)에 의해 구성되는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탑승원(P1, P2)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24A, 24B)으로 하는 가상 타원(26)을 따른 형상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탑승원(P1, P2)의 위치가 변화되어도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0)에 따르면, 탑승원(P1, P2)의 위치에 따라서 복수의 회전판(62)을 자동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위치를 반영한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0)에서는 천장 부재(18)를 구성하는 각 회전판(6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음성 반사 전달부(22)의 형상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천장 부재(18) 이외의 다른 차실 부재를 구동시킴으로써 음성 반사 전달부(22)의 형상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0)에 있어서, 음성 반사 전달부(22)는 각 회전판(6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형상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각 회전판(6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위치가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각 회전판(62)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형상 및 위치의 적어도 한쪽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0)에서는 탑승원(P1, P2)의 위치에 따라서 회전판(62)의 회전 각도가 구동 장치(64)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되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탑승원(P1, P2)에 의한 조작 스위치 등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판(62)의 회전 각도가 구동 장치(64)에 의해 조절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조작 핸들 등에 의해 각 회전판(62)의 회전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11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a, 도 15b, 도 15c에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1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1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0)에 대해, 천장 부재(18)로부터 음성 반사 전달부(22)가 생략된 대신에, 벨트식 천장 부재(92)(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에 상당)와, 모터(102)가 추가된 것이다.
벨트식 천장 부재(92)에는 반사면(94A)과 흡수면(94B)이 설치된 무단 벨트(94)가 구비되어 있다. 무단 벨트(94)의 내측에는 무단 벨트(94)에 있어서의 반사면(94A)의 이면을 흡수면(94B)의 이면에 접합시키기 위한 면 형상 파스너(96)(본 발명에 있어서의 변형부 및 접합부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반사면(94A)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형상 파스너(96)에 의해 무단 벨트(94)에 있어서의 반사면(94A)의 이면이 흡수면(94B)의 이면에 접합되었을 때에는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는 제1 변형 상태로 되고, 도 15a,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형상 파스너(96)의 접합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는 평탄 형상을 이루는 제2 변형 상태로 된다.
또한, 무단 벨트(94)는 한 쌍의 풀리(98)(본 발명에 있어서의 절환부 및 회전부에 상당)에 설치되어 있고, 이 풀리(98)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풀리(98)는 모터(102)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1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10)에 따르면, 모터(102)에 의해 무단 벨트(94)가 회전됨으로써,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94A)이 탑승원(P1, P2)의 헤드부측을 향하게 된다[차실 내 구조(11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그리고, 탑승원(P1, P2)이 반사면(94A)을 누름으로써,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 벨트(94)에 있어서의 반사면(94A)의 이면이 면 형상 파스너(96)에 의해 흡수면(94B)의 이면에 접합되었을 때에는, 반사면(94A)이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여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형상(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변형 상태에 상당)으로 된다.
따라서, 이 반사면(94A)에 의해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모터(102)에 의해 무단 벨트(94)가 회전되면, 면 형상 파스너(96)의 접합 상태가 해제되어 반사면(94A)이 흡수면(94B)으로부터 이격되어 평탄 형상(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변형 상태에 상당)을 이루고, 그 후,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면(94B)이 탑승원(P1, P2)의 헤드부측을 향하게 된다[차실 내 구조(11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따라서,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면(94B)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94A)이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할 때보다도,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10)에 따르면,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10)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64)를 적용하여,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무단 벨트(94)가 모터(102)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됨으로써,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 벨트(94)에 있어서의 반사면(94A)의 이면이 면 형상 파스너(96)에 의해 흡수면(94B)의 이면에 접합된 상태로부터,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면(94B)이 탑승원(P1, P2)의 헤드부측을 향하게 되는 상태로 절환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10)에서는, 면 형상 파스너(96)에 의해 무단 벨트(94)에 있어서의 반사면(94A)의 이면을 흡수면(94B)의 이면에 접합시키기 위해 탑승원(P1, P2)이 반사면(94A)을 누를 필요가 있었지만, 도시하지 않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반사면(94A)이 흡수면(94B)측으로 끌어들여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반사면(94A)을 흡수면(94B)측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포함시켜,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단 벨트(94)에 있어서의 반사면(94A)의 이면이 면 형상 파스너(96)에 의해 흡수면(94B)의 이면에 접합된 상태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면(94B)이 탑승원(P1, P2)의 헤드부측을 향하게 되는 상태의 절환이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제1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a, 도 16b, 도 16c에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20)의 전체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10)에 대해, 벨트식 천장 부재(92) 및 모터(102) 대신에, 선바이저(112)(본 발명에 있어서의 차실 부재에 상당)가 구비된 것이다.
즉, 선바이저(112)에 있어서, 한쪽의 면은 반사면(112A)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면은 흡수면(112B)으로 되어 있다.
반사면(112A)은,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형상 파스너(116)(본 발명에 있어서의 변형부 및 접합부에 상당)에 의해 선바이저(112)에 있어서의 반사면(112A)의 이면이 흡수면(112B)의 이면에 접합되었을 때에는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는 제1 변형 상태로 되고, 도 16a,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 형상 파스너(116)의 접합 상태가 해제되었을 때에는 평탄 형상을 이루는 제2 변형 상태로 된다.
또한, 선바이저(112)는 차실 내의 천장부에 회전축부(118)(본 발명에 있어서의 절환부 및 회전 지지부에 상당)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 16a,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112A)이 탑승원(P1, P2)의 헤드부측을 향한 전개 위치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면(112B)이 탑승원(P1, P2)의 헤드부측을 향한 수납 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20)에 따르면, 이하의 특유한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20)에 따르면, 탑승원(P1, P2)이 선바이저(112)를, 회전축부(118)를 지지점으로 하여 전개 위치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바이저(112)가 반사면(112A)을 탑승원(P1, P2)의 헤드부측을 향한 전개 위치로 회전된다[차실 내 구조(12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형태에 상당함].
그리고, 탑승원(P1, P2)이 반사면(112A)을 누름으로써,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12)에 있어서의 반사면(112A)의 이면이 면 형상 파스너(116)에 의해 흡수면(112B)의 이면에 접합되었을 때에는, 반사면(112A)이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하여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형상(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변형 상태에 상당)으로 된다.
따라서, 이 반사면(112A)에 의해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탑승원(P1, P2)이 면 형상 파스너(116)의 접합 상태를 해제하면, 반사면(112A)이 흡수면(112B)으로부터 이격하여 평탄 형상(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변형 상태에 상당)을 이루고, 그 후, 선바이저(112)를, 회전축부(118)를 지지점으로 하여 수납 위치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12)가 흡수면(112B)을 탑승원(P1, P2)의 헤드부측을 향한 수납 위치로 회전된다[차실 내 구조(120)에 있어서의 이 상태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형태에 상당함].
따라서, 탑승원(P1, P2)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면(112B)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112A)이 음성 반사 전달부(22)를 구성할 때보다도, 탑승원(P1, P2)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을 낮게 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차량용 시트(12, 14)에 착석하는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20)에 따르면, 탑승원(P1, P2)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을 취하기 쉬운 차실 내 공간과, 탑승원(P1, P2) 사이의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차실 내 공간을 양립할 수 있으므로, 탑승원(P1, P2)의 의사에 맞춘 쾌적한 차실 내 공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120)에 있어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한 차실 내 구조(90)에 있어서의 구동 장치(64)를 적용하여,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선바이저(112)가 구동 장치(64)에 의해 자동적으로 회전됨으로써,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위치와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위치로 절환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 구동 장치(64)의 액추에이터(58)를 추가하여, 탑승원(P1, P2)의 음성 발생 상황에 따라서 선바이저(112)가 구동 장치(64)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개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에, 이 액추에이터(58)에 의해 반사면(112A)을 흡수면(112B)측으로 끌어들이도록 하여 반사면(112A)의 이면을 면 형상 파스너(116)에 의해 흡수면(112B)의 이면에 접합하도록 해도 좋다.

Claims (23)

  1. 한 쌍의 차량용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키기 위한 음성 반사 전달부와,
    상기 탑승원의 한쪽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기 탑승원의 다른 쪽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탑승원의 다른 쪽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기 탑승원의 한쪽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제1 형태와, 상기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상기 제1 형태보다도 낮은 제2 형태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부를 구비한, 차실 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는 상기 탑승원의 헤드부의 위치를 각각 초점으로 하는 가상 타원을 따른 오목면 형상을 이룰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측에 노출시키는 노출 상태와,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측으로부터 덮는 피복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차폐부로 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권취 부재에 권취 가능한 권취식 커버 부재를 갖는 동시에, 상기 권취식 커버 부재가 상기 권취 부재에 권취됨으로써 상기 노출 상태로 되고, 상기 권취식 커버 부재가 상기 권취 부재로부터 전개됨으로써 상기 피복 상태로 되는, 차실 내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차실 내에 있어서의 수납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를 갖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가 상기 수납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노출 상태로 되고, 상기 슬라이드식 커버 부재가 상기 전개 위치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피복 상태로 되는, 차실 내 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복수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는 차실 내에 설치된 차실 부재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는 차실 내에 복수 설치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부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가 일체적으로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제1 자세와, 상기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상기 제1 자세보다도 낮은 제2 자세를 취할 수 있는 가변체로 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차실 내에 슬라이드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체의 슬라이드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절환되는, 차실 내 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는 반사면을 구비하여 차실 내에 상기 반사면의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변위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변위체가 상기 반사면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절환되는, 차실 내 구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차실 내에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변형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변형체가 상기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절환되는, 차실 내 구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차실 내에 회전 각도를 변경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를 갖는 동시에, 상기 회전체가 상기 회전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1 자세와 상기 제2 자세로 절환되는, 차실 내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체는 상기 회전체를 복수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는 반사면과,
    상기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 가능한 흡수면을 갖는, 차실 내 구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는 차실 내의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18. 한 쌍의 차량용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키기 위한 음성 반사 전달부와,
    차실 내에 설치된 차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차실 부재는,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를 구성하여 상기 탑승원의 한쪽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기 탑승원의 다른 쪽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탑승원의 다른 쪽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에 의해 상기 탑승원의 한쪽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킬 수 있는 제1 변형 상태와, 상기 탑승원끼리의 음성의 전달률이 상기 제1 변형 상태보다도 낮은 제2 변형 상태로 변위 가능한 반사면과,
    상기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흡수 가능한 흡수면과,
    상기 반사면을 상기 제2 변형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변형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변형부와,
    상기 반사면이 상기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한 제1 형태와, 상기 흡수면이 상기 탑승원의 헤드부측을 향한 제2 형태로 절환하기 위한 절환부를 갖는, 차실 내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과 상기 흡수면은 무단 벨트에 설치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무단 벨트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면의 이면을 상기 흡수면의 이면에 접합시켜 상기 반사면을 상기 제2 변형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변형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접합부로 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형태와 상기 제2 형태로 절환되도록 상기 무단 벨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부로 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면과 상기 흡수면은 상기 차실 부재의 한쪽의 면과 다른 쪽의 면에 설치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차실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면의 이면을 상기 흡수면의 이면에 접합시켜 상기 반사면을 상기 제2 변형 상태로부터 상기 제1 변형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접합부로 되고,
    상기 절환부는 상기 제1 형태와 상기 제2 형태로 절환되도록 상기 차실 부재를 차실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로 되어 있는, 차실 내 구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원의 상황을 검출하는 탑승원 상황 검출부와,
    상기 제1 형태와 상기 제2 형태로 절환하기 위해 상기 절환부를 구동시키는 절환 구동부와,
    상기 탑승원 상황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절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절환 제어부를 구비한, 차실 내 구조.
  22. 삭제
  23. 한 쌍의 차량용 시트와,
    상기 한 쌍의 차량용 시트에 각각 착석하는 탑승원으로부터 발해진 음성을 상대측의 탑승원으로 반사하여 수렴시키면서 전달시키기 위한 음성 반사 전달부와,
    상기 음성 반사 전달부의 위치 및 형상의 적어도 한쪽을 변경시키기 위한 변경부와,
    상기 탑승원의 상황을 검출하는 탑승원 상황 검출부와,
    상기 변경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변경 구동부와,
    상기 탑승원 상황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 구동부를 제어하는 변경 제어부를 구비한, 차실 내 구조.
KR1020107011088A 2007-10-23 2008-10-17 차실 내 구조 KR101187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74966 2007-10-23
JP2007274966A JP4311487B2 (ja) 2007-10-23 2007-10-23 車室内構造
PCT/JP2008/068864 WO2009054323A1 (ja) 2007-10-23 2008-10-17 車室内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294A KR20100074294A (ko) 2010-07-01
KR101187956B1 true KR101187956B1 (ko) 2012-10-04

Family

ID=4057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088A KR101187956B1 (ko) 2007-10-23 2008-10-17 차실 내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62099B2 (ko)
EP (1) EP2206629A4 (ko)
JP (1) JP4311487B2 (ko)
KR (1) KR101187956B1 (ko)
CN (1) CN101835660B (ko)
WO (1) WO20090543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8018A (ja) * 2009-05-12 2010-11-25 Sony Corp スピーカー装置及び電子機器
MX2013001115A (es) * 2010-07-30 2013-06-05 Fraunhofer Ges Forschung Vehículo con reflector de ondas de sonido.
US8971946B2 (en) * 2011-05-11 2015-03-03 Tikl, Inc. Privacy control in push-to-talk
CN103112407B (zh) * 2013-02-01 2015-05-2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吸声量可调的汽车驾驶室吸声装置
US9051734B2 (en) * 2013-02-13 2015-06-09 Rudolph Dupuy Acoustic sound reflector
US10149058B2 (en) 2013-03-15 2018-12-04 Richard O'Polka Portable sound system
EP2971393A4 (en) 2013-03-15 2016-11-16 Richard O'polka PORTABLE SOUND SYSTEM
USD740784S1 (en) 2014-03-14 2015-10-13 Richard O'Polka Portable sound device
DE102016222425A1 (de) * 2016-11-15 2018-05-1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innenraum
JP6516893B1 (ja) * 2018-03-20 2019-05-22 株式会社ジェイアール西日本新幹線テクノス 会話補助装置
CN114667739A (zh) * 2019-12-04 2022-06-24 索尼集团公司 扬声器系统和声音输出方法
FR3116297B1 (fr) * 2020-11-19 2023-11-17 Thales Sa Dispositif de prot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251Y1 (ko) * 1999-09-30 2000-03-15 최근섭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US20020066618A1 (en) * 2000-12-02 2002-06-06 Davies Dafydd Geraint Passive system for speech enhancement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0858A (en) * 1913-03-17 1914-12-15 Friedrich Stallforth Concert-hall and like edifice.
US2643727A (en) * 1950-01-31 1953-06-30 Elipson S A Sound transmitting device with an ellipsoidal reflector
JPS611515U (ja) 1984-06-11 1986-01-08 松下電工株式会社 内装パネル
JPS611515A (ja) 1984-06-13 1986-01-07 Horikiri Bane Seisakusho:Kk 車高調整装置
JPS63195043A (ja) 1987-02-10 1988-08-12 Mazda Motor Corp 車両の室内音制御構造
JPH02113494U (ko) * 1989-01-17 1990-09-11
US5268539A (en) * 1989-08-04 1993-12-07 Hiroshi Ono Acoustic apparatus
JP3038826B2 (ja) 1990-07-12 2000-05-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浴槽用ジェット噴流装置
JPH0471558U (ko) * 1990-11-05 1992-06-24
JPH05265472A (ja) * 1992-03-24 1993-10-15 Hitachi Ltd 音声情報処理装置
EP0713378A4 (en) * 1993-08-12 1997-12-17 Noise Cancellation Tech ACTIVE FOAM FOR MITIGATION OF NOISE AND VIBRATION
US5532438A (en) * 1993-11-04 1996-07-02 Brown; Kevin Acoustic imaging sound dome
US5569888A (en) * 1994-05-26 1996-10-29 Otis Elevator Company Ultrasonic elevator door safety system
JP4388603B2 (ja) * 1997-02-07 2009-12-24 エス アール アイ・インターナショナル 弾性誘電体ポリマフィルム音波アクチュエータ
US5850060A (en) * 1997-04-08 1998-12-15 Gerber; Allen Acoustic lens device
JPH11355748A (ja) 1998-06-12 1999-12-24 Nissan Motor Co Ltd 各席乗員情報呈示システム
FR2799873B1 (fr) * 1999-10-18 2002-02-08 Comptoir De La Technologie Dispositif actif d'attenuation de l'intensite sonore
US6520280B2 (en) * 2001-01-31 2003-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workspace sound regulation
AU2002323407A1 (en) * 2001-08-24 2003-03-10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Reversible shape memory multifunctional structural designs and method of using and making the same
EP1665880B1 (en) * 2003-09-03 2012-12-05 SRI International Surface deformation electroactive polymer transducers
US7252313B2 (en) * 2004-03-12 2007-08-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On demand morphable automotive body moldings and surfaces
US20050201567A1 (en) * 2004-03-12 2005-09-15 Browne Alan L. Tunable exhaust system
WO2006104595A2 (en) * 2005-02-19 2006-10-05 General Motors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anels having active material based fold lines
US7705522B2 (en) * 2008-06-06 2010-04-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djustable sound panel with electroactive actuators
CA2729744C (en) * 2008-06-30 2017-01-03 Constellation Production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acoustic environment characterization
JP2010268018A (ja) * 2009-05-12 2010-11-25 Sony Corp スピーカー装置及び電子機器
GB2472238B (en) * 2009-07-29 2011-12-28 Sounds Forms Plc Sound she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251Y1 (ko) * 1999-09-30 2000-03-15 최근섭 자동차용 햇빛가리개
US20020066618A1 (en) * 2000-12-02 2002-06-06 Davies Dafydd Geraint Passive system for speech enhanc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06629A1 (en) 2010-07-14
EP2206629A4 (en) 2013-07-03
KR20100074294A (ko) 2010-07-01
WO2009054323A1 (ja) 2009-04-30
CN101835660A (zh) 2010-09-15
US8162099B2 (en) 2012-04-24
JP4311487B2 (ja) 2009-08-12
JP2009101829A (ja) 2009-05-14
US20100289301A1 (en) 2010-11-18
CN101835660B (zh)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7956B1 (ko) 차실 내 구조
US7503616B2 (en) Motor vehicle having a microphone
JP3771877B2 (ja) ルーフ機構格納部のカバー装置
US8141930B2 (en) Vehicle seat
JP5177220B2 (ja) 車両用座席間エアバッグ装置
JP4376936B2 (ja) 乗物用シート装置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JP2007238074A (ja) 車両用ルーフ自動開閉装置
JP2002509049A (ja) 乗物のドア
JP2009107603A (ja) 車室内乗員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
US7661749B2 (en) Interior trim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0384566B2 (en) Vehicle seat assembly
JP5311902B2 (ja) 乗用車のための可動のルーフ
US11505103B2 (en) Vehicle privacy screen
JP5285870B2 (ja) 車両の衝突エネルギー吸収装置
KR20220140922A (ko) 스윙 시트 유닛
CN111712378A (zh) 用于敞篷车的车顶元件和车顶和敞篷车
JP4210967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US20050073179A1 (en) Selective automotive top
WO2022255470A1 (ja) 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
JP4478523B2 (ja) コンバーチブルトップ車のトノカバー構造
JP2018192898A (ja) 車室内会話補助装置
JP2012086614A (ja) 車両の可動ルーフ構造
JP2021008229A (ja) ドアヒンジカバー
KR200473159Y1 (ko) 폴딩 앤 다이브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