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7194B1 -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 Google Patents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7194B1
KR101187194B1 KR1020120047284A KR20120047284A KR101187194B1 KR 101187194 B1 KR101187194 B1 KR 101187194B1 KR 1020120047284 A KR1020120047284 A KR 1020120047284A KR 20120047284 A KR20120047284 A KR 20120047284A KR 101187194 B1 KR101187194 B1 KR 10118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olyester fabric
lining material
high tension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원
Original Assignee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71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7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칠렌 필름과 부직포 사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사가 개재된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lining material for water pipe reinforement}
본 발명은 폴리에칠렌 필름과 부직포 사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사가 개재된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1)로는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1)는 경화성 수지를 흡착하는 수지흡착재인 부직포(2)의 일면에 폴리에칠렌 필름(3)이 피복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부직포(2)는 다수의 실을 불규칙하게 적층하여 만드는 소재(2A')가 도 2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의 속도로 반송되면서 도 2와 같이 니들 펀칭 가공기(6)의 헤드부(6a)와 함께 규칙적으로 상하운동하는 복수의 니들(6b)을 갖추고 있고, 이들 니들(6b)이 소재(2A')를 위쪽으로부터 차례차례 들어가는 것에 의해 소정 두께의 허리띠형 부직포(2A)가 얻어진다.
이러한 부직포(2A)에 수지를 흡착시킨 관 라이닝재(1)가 보수할 상수도관에 시공되고 경화시키면 상수도관 내벽에 달라붙게 된다.
그러나, 상수도관에는 높은 수압과 와류에 따른 워터 해머가 경화된 라이닝재에 계속 가해진다.
경화된 라이닝재는 마치 말랑말랑한 엿이 굳은 상태와 같아서 큰 수압이나 워터 해머에 의해 충격을 받을 경우 깨져 보수공사를 다시 해야할 위험성이 매우 크다.
한편, 재봉을 한 재봉면의 외면(상면)에는 보강재(23)로 코팅되거나, 아니면 소잉하기 전에 재봉면의 내면(하면)에 보강 접착제(25)를 붙인 후 소잉을 행하여 접합면의 취약을 보강한다.
그러나, 보강재(23)로 코팅을 하는 경우에는 위와 마찬가지로 수압이나 워터 해머에 의해 깨질 우려가 크고, 보강 접착제(25)를 붙여 재봉을 행하는 경우 그 공정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하여 경제성이 매우 나쁘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998-07186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큰 수압이나 워터 해머에 의한 충격에 대해 깨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외면에 결합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과, 상기 부직포의 외면에 피복되어 상기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덮는 폴리에칠렌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1의 구성에 의하면,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에 의해 경화된 라이닝재라도 수압이나 워터 해머 등에 의해 깨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는,
상기 부직포는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상기 복수 개의 층 사이에 더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2의 구성에 의하면, 상수도관의 유체 흐름이 큰 곳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는,
상기 복수 개의 층 사이에 배치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에는 아라미드사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3의 구성에 의하면, 수압이나 워터 해머 등의 값이 매우 큰 곳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는,
상기 복수 개의 층 사이에 배치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상기 부직포의 외면에 형성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보다 제직밀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부직포를 니들펀칭을 행할 때 제직밀도가 적은 직물로 침투가 용이하여 서로의 결합이 확고히 행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부직포를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 위에 놓고 니들 펀칭을 행하기 때문에 부직포의 외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결합되어, 그 위에 피복된 폴리에칠렌 필름을 통해 수압이나 워터 해머가 작용하여도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깨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관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2는 부직포의 니들 펀칭 가공을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본형 관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3a는 도 3의 A을 확대한 도.
도 4는 도 3a에서 부직포의 내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더 결합된 관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복수의 부직포 층 사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결합된 관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3의 B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본형 관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3의 A을 확대한 도이고, 도 4는 도 3a에서 부직포의 내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더 결합된 관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복수의 부직포 층 사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결합된 관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본형인 라이닝재(10)는 부직포(2)와, 부직포(2)의 외면에 결합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과, 부직포(2)의 외면에 피복된 폴리에칠렌 필름(3)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 위에 부직포 소재를 올려놓고 니들 펀칭을 행하면 부직포(2)의 외면에 직물(11)이 결합된다.
부직포(2)도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과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재질로 하여 이질적인 요소를 제거하여 서로 잘 결합되게 한다.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은 고장력 폴리에스테르사를 경사와 위사로 직조한 직물로서, 1인치 안에 경사와 위사의 정도에 따라 성하거나 조밀한 밀도를 갖게 직조될 수 있다.
부직포(2)의 외면에 위치하는 직물은 성긴 것이 조밀한 것보다 좋다.
이것은 부직포(2)가 니들 펀칭할 때 성긴 직물로 소재가 잘 파고들어 서로 결합을 확고히 하기 위함이다.
폴리에칠렌 필름(3)은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이 결합된 부직포(2)의 외면에 코팅재로 피복 형성된다. 따라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은 폴리에칠렌 필름(3)에 의해 완전히 덮이게 된다.
이처럼, 부직포(2)와 폴리에칠렌 필름(3) 사이에 외면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이 융착 개재됨으로써,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이 폴리에칠렌 필름(3)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수압이나 워터 해머 등에 의한 충격에도 깨지기 않게 된다.
한편, 도 4는 도 3a에서 부직포(2)의 내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3)이 더 결합된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즉, 상수도관의 내벽에 밀착되는 부직포(2)의 내면에는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3)이 더 결합되어, 보다 깨지기 쉬운 환경의 상수도관에 적용 가능하다.
내면측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3)도 외면측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과 마찬가지로 성긴 조직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도 5 및 도 6은 복수의 부직포 층 사이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이 더 결합된 라이닝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에 배치되는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 위에 부직포 소재(2a' 또는 2a'')를 올려놓고, 다시 부직포 소재(2a' 또는 2a'') 위에 다른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5' 또는 15'')을 놓은 후 다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5' 또는 15'') 위에 부직포 소재(2b' 또는 2b'')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니들 펀칭을 행하여 만든 복수 개의 부직포층(2' 또는 2'')의 외면에 폴리에칠렌 필름(3)이 코팅된 라이닝재이다.
도 5의 부직포(2')는 도 3의 부직포(2)와 그 두께가 거의 같거나 약간 두꺼운 경우 중간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5')은 외면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에 비해 밀한 조직의 직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의 경우에는 중간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5')을 직조할 때 아라미드사(미도시)가 소정간격 포함되어 인장 강도를 보충하여도 좋다.
한편, 도 6의 부직포(2'')가 도 5의 부직포(2')의 두께보다 매우 두꺼울 때 중간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5'')은 외면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과 같은 성긴 조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라이닝재(10)는 양단을 맞대어 내ㆍ외면을 상하에서 재봉한 재봉면을 형성하여 관 형상의 관라이닝재로 만든다.
관라이닝재의 재봉면에는 도 7과 같이 보강을 위해 동일 재질인 폴리에칠렌 필름으로 피복을 행하는 데, 이때 피복 내부에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35)이 배치되게 피복을 행한다.
재봉면에 형성되는 재봉면 피복층(30)은 1차 피복층(31), 2차 피복층(32), 3차 피복층(33)으로 적층하되, 2차 피복층(32)을 형성한 후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35)을 압착하면서 3차 피복층(33)을 형성한다.
폭의 크기는 1차 피복층(31)〈2차 피복층(32)〈3차 피복층(33)의 순서로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재봉면 피복층(30)의 내부에도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35)이 배치됨으로써, 수압이나 워터 해머에 의한 충격으로 매우 취약한 재봉면이 쉽게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사용 목적에 따라서 재봉면 피복층(30)에만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35)만 형성하고, 부직포(2)에 결합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11)은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10 : 라이닝재 2,2'2'' : 부직포
3 : 폴리에칠렌 필름
11 : 외면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
13 : 내면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
15',15'' : 중간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
30 : 재봉면 피복층 31~33:1차~3차 피복층
35 : 재봉면측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

Claims (4)

  1. 삭제
  2.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의 외면에 결합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과,
    상기 부직포의 외면에 피복되어 상기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덮는 폴리에칠렌 필름을 포함하되,
    상기 부직포는 복수 개의 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상기 복수 개의 층 사이에 더 결합되는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층 사이에 배치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에는 아라미드사가 포함된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층 사이에 배치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은 상기 부직포의 외면에 형성된 고장력 폴리에스테르 직물보다 제직밀도가 큰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KR1020120047284A 2012-05-04 2012-05-04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KR101187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284A KR101187194B1 (ko) 2012-05-04 2012-05-04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284A KR101187194B1 (ko) 2012-05-04 2012-05-04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7194B1 true KR101187194B1 (ko) 2012-10-02

Family

ID=47287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284A KR101187194B1 (ko) 2012-05-04 2012-05-04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719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77012A1 (en) Reinforcing Liner
US8616243B2 (en) Method of lining a conduit using a scrim-reinforced pipe liner
JP4344354B2 (ja) パイプライン用ライニング材料
JP5279375B2 (ja) 強化繊維糸シートを有する補強用不織基布
JP2009068185A (ja) 繊維系又は樹脂系ジオグリッド
JP2010084372A (ja) 織成繊維強化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5492A (ja) 補強用不織基布
JP6599320B2 (ja) 流体搬送配管設備用のライニングホース
KR101187194B1 (ko) 상수도관 보강용 라이닝재
KR101217779B1 (ko) 상수도관 보강용 관라이닝재
JP2011104786A (ja) ライニング材
JP2016053405A (ja) エネルギー吸収部材
KR102457749B1 (ko) 코팅 펠트를 적용한 비굴착 보수·보강용 튜브 및 그 제조방법
JPS59225920A (ja) 管路の内張り材
JP2018140562A (ja) 繊維集成材及び繊維集成材の製造方法
JP4496656B2 (ja) 内張り材用基材、内張り材、及び管のライニング方法
KR20230059468A (ko) 라이너 튜브 및 그 제조방법
JP5947660B2 (ja) ライニング材
JP2012254530A (ja) ライニング材
JP2005069258A (ja) 更生材
KR101964527B1 (ko) 다층 구조 방탄재 및 그 제조방법
JP4321201B2 (ja) 土木資材用シート
JP3661181B2 (ja) 不織布、布筒及び内張り材を管内部に形成する方法
JP4896835B2 (ja) 軟弱地盤の表層処理材
CN114174063B (zh) 包含连结在一起的单向层的防弹层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