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339B1 - 선박 추진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추진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339B1
KR101186339B1 KR1020100026827A KR20100026827A KR101186339B1 KR 101186339 B1 KR101186339 B1 KR 101186339B1 KR 1020100026827 A KR1020100026827 A KR 1020100026827A KR 20100026827 A KR20100026827 A KR 20100026827A KR 101186339 B1 KR101186339 B1 KR 10118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engine
input
steering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612A (ko
Inventor
김정환
이영진
김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린디지텍
Priority to KR102010002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339B1/ko
Publication of KR2011010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hand, foot, or like operator controlled initi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추진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는 선박에 장착된 엔진, 상기 선박의 조타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1 명령 및 상기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조타실측 조종장치 및 상기 선박의 엔진 제어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 명령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2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엔진 제어에 대한 정보를 조타실의 승무원과 엔진 제어실의 엔지니어 간에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공유시킬 수 있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 추진 조정 장치{PROPULSION CONTROL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 추진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선박의 엔진 제어에 대한 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조타실의 승무원과 엔진 제어실의 엔지니어 간에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공유시킬 수 있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엔진을 조타실에서 원격 조종하기 위한 선박 추진 제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러한 선박 추진 제어 시스템의 일부 구성으로서 선박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엔진의 출력 즉, 엔진의 RPM(Rotation Per Minute)을 조절하기 위한 조종장치가 조타실과 엔진 제어실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조타실과 엔진 제어실은 공간적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를 상호 간에 공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엔진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가 조타실의 승무원과 엔진 제어실의 엔지니어 간에 서로 공유되지 않으면, 선박의 운항 안전성과 효율성 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엔진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를 조타실과 엔진 제어실에서 서로 공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조타실측 조종장치와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를 상호 연동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이 방식의 구체적인 내용 및 문제점을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 엔진의 출력 즉, RPM을 제어하기 위한 조종장치에는 RPM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레버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조종장치는 조타실과 엔진 제어실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바 있지만, 이 조종장치를 통한 명령 즉, 엔진 제어 명령에 대한 정보가 조타실과 엔진 제어실 간에 서로 공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조종장치에 막대 게이지를 설치하고, 이 막대 게이지를 이용하여 조타실과 엔진 제어실 간의 정보 공유가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조타실과 엔진 제어실에 설치되어 있는 조종장치에는 RPM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레버, 이 레버를 통한 입력명령정보 표시하기 위한 좌측 막대 게이지 및 레버의 현재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우측 막대 게이지가 구비되어 있다.
조타실에 설치되어 있는 조타실측 조종장치의 레버를 동작시켜 RPM 제어 명령을 입력하면, 이 입력명령이 좌측 막대 게이지의 움직임을 통해 조타실측 조종장치에 아날로그적으로 표시된다. 이때, 조타실측 조종장치의 좌측 막대 게이지를 구동시키기 위해 좌측 막대 게이지 구동용 DC 모터가 사용되어야 한다.
한편, 조타실측 조종장치의 레버를 통해 입력된 명령은 엔진 제어실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의 좌측 막대 게이지에 표시된다. 이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의 좌측 막대 게이지를 통해 엔진 제어실에서도 조타실측 조종장치를 통해 입력된 입력명령을 알 수 있게 된다. 이때에도,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의 좌측 막대 게이지를 구동시키기 위해 DC 모터가 사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엔진 제어실에서는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의 좌측 막대 게이지에 표시된 정보를 기초로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의 레버의 상태를 조타실측 조종장치의 레버의 상태에 동기화시키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 동기화 작업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자동으로 수행되는 경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에는 좌측 막대 게이지를 구동하기 위한 DC 모터 외에 추가적으로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의 레버의 현재상태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우측 막대 게이지를 구동하기 위한 DC 모터가 필요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막대 게이지를 이용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엔진 제어에 관한 정보를 막대 게이지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DC 모터가 요구되고 이 DC 모터들을 구동하기 위한 기능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엔진 제어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요구되는 부품의 수가 많아지고, 이 부품들 중의 어느 하나라도 고장나는 경우 승무원이나 엔지니어에게 잘못된 정보가 제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엔진 제어에 대한 정보가 막대 게이지를 통하여 아날로그적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표시되는 정보에 일정 정도의 오차가 포함되며, 이 오차는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의 엔진 제어에 대한 정보를 조타실의 승무원과 엔진 제어실의 엔지니어 간에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공유시킬 수 있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는 선박에 장착된 엔진, 상기 선박의 조타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1 명령 및 상기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조타실측 조종장치 및 상기 선박의 엔진 제어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 명령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2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는 상기 제1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 레버 및 상기 제1 명령과 상기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동일한 화면 내에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는 상기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 레버 및 상기 제1 명령과 상기 제2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동일한 화면 내에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를 통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상기 제2 명령의 입력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표시부와 제2 표시부는 LCD 또는 LED 타입의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 제어실은 상기 엔진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표시부와 상기 제2 표시부는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은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상기 엔진 제어실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예비 조종장치를 통하여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의 상태정보는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와 상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와 상기 예비 제어장치중 적어도 하나로 피드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엔진 제어에 대한 정보를 조타실의 승무원과 엔진 제어실의 엔지니어 간에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공유시킬 수 있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조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에 포함된 조타실측 조종장치와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조타실에서 내리는 조타실 모드에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엔진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엔진 제어실에서 내리는 엔진 제어실 모드에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에 포함된 조타실측 조종장치와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는 엔진(40), 조타실측 조종장치(10) 및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엔진(40)은 선박에 장착되어 선박을 추진하기 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조타실측 조종장치(10)는 선박의 조타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명령을 입력하고, 제1 명령 및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하나의 예로, 이러한 조타실측 조종장치(10)는 제1 입력 레버(12) 및 제1 표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 레버(12)는 제1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제1 입력 레버(12)를 매개로 입력되는 제1 명령을 엔진(40)의 분당회전수 즉, RPM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다. 예를 들어, 조타실의 승무원이 제1 입력 레버(12)를 조작하면 도시하지 않은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이 변화하고, 이 저항값 변화가 엔진(40)의 RPM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엔진(40)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기(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됨으로써, 엔진(40)의 출력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4)는 제1 명령과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동일한 화면 내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제1 명령은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입력 레버(12)에 입력된 명령이다. 제1 표시부(14)에는 이 제1 명령과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가 동일한 화면에 나란히 디지털화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이에 따라, 승무원은 제1 명령 및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1 표시부(14)는 LCD 또는 LED 타입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14)는 승무원이 표시되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용이하도록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표면 여러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레버(12)의 아래쪽에 설치되거나(도면부호 14-1 참조), 제1 입력 레버(12)의 손잡이 부분에 설치되거나(도면부호 14-2 참조),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프레임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도면부호 14-3 참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는 엔진(40)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엔진 제어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조타실측 조종장치(10)와 연동되어 조타실측 조종장치(10)를 통해 입력된 제1 명령을 표시하고,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을 입력하고, 제2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조타실측 조종장치(10)와 마찬가지로,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도 제2 입력 레버(22) 및 제2 표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입력 레버(22)는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2 표시부(24)는 제1 명령과 제2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동일한 화면 내에 표시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2 표시부(24)도 LCD 또는 LED 타입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의 기타 구성은 조타실측 조종장치(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추진 조정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조타실에서 내리는 조타실 모드에서의 동작 흐름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10에서,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제1 입력 레버(12)를 통하여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명령이 입력된다. 앞서 설명한바 있지만, 제1 입력 레버(12)를 통한 제1 명령의 입력은 제1 입력 레버(12) 내에 구비되어 있는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변화시키고, 이 저항값 변화가 엔진(40)의 RPM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0에서,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제1 표시부(14)에 제1 명령과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가 디지털화되어 하나의 화면 내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계 S30에서, 제1 명령이 선박 내에 구축되어 있는 통신망을 통해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단계 S40에서, 제1 명령이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에 구비되어 있는 제2 표시부(24)에 표시된다. 이 단계 S40은 생략되고, 단계 S30에서 후술하는 단계 S50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0에서, 동기화 작업이 수행된다. 즉,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의 제2 입력 레버(22)를 통하여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이 입력된다.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를 통하여 수행되는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의 입력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60에서,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에 구비되어 있는 제2 표시부(24)에 제1 명령과 제2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가 디지털화되어 하나의 화면 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제2 표시부(24)에는 조타실에서 입력된 제1 명령과 엔진 제어실에서 입력된 제2 명령에 따른 상태정보가 하나의 화면 내에 디지털화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조타실과 공간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해 있는 엔진 제어실에서 근무하는 엔지니어들이 조타실에서 입력된 명령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획득하고 비교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을 엔진 제어실에서 내리는 엔진 제어실 모드에서의 동작 흐름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70에서, 엔진 제어실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예비 조종장치(30)를 통하여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 입력된다. 이 명령을 제3 명령으로 정의한다. 단계 S70이 실행되기 전에는, 앞서 상세히 설명한 조타실 모드가 실행중이다. 이 조타실 모드의 실행 중에 특정한 선박 운항중의 특정한 필요에 따라 예비 조종장치(30)를 통하여 제3 명령이 입력되면 조타실 모드가 종료되고, 엔진 제어실 모드의 실행이 개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80에서,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의 제2 표시부(24)에 제3 명령과 제3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가 디지털화되어 표시된다.
다음으로 단계 S90에서, 선박 내에 구축되어 있는 통신망을 통하여 제3 명령이 조타실측 조종장치(10)로 전송된다.
다음으로 단계 S100에서, 제3 명령이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제1 표시부(14)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단계 S110에서,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제1 입력 레버(12)를 통하여 제3 명령과 동기화된 제4 명령이 입력된다.
다음으로 단계 S120에서,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제1 표시부(14)에 제3 명령과 제4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가 디지털화되어 표시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제어에 대한 정보들이 디지털 방식으로 동일한 디스플레이 화면 내에서 제공되기 때문에, 조타실의 승무원과 엔진 제어실의 엔지니어가 엔진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엔진 정보가 디지털화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제공되는 정보의 오차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에는 엔진정보를 표시하는 게이지를 구동하기 위해 DC 모터들이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제공되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필요한 부품의 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조타실측 조종장치
12: 제1 입력 레버
14, 14-1, 14-2, 14-3: 제1 표시부
20: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
22: 제2 입력 레버
24: 제2 표시부
30: 예비 조종장치
40: 엔진

Claims (8)

  1. 선박에 장착된 엔진(40);
    상기 선박의 조타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1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1 명령 및 상기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조타실측 조종장치(10); 및
    상기 선박의 엔진 제어실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와 연동되어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1 명령을 표시하고 상기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을 입력하고 상기 제2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표시하기 위한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는
    상기 제1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1 입력 레버(12); 및
    상기 제1 명령과 상기 제1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동일한 화면 내에 표시하기 위한 제1 표시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는
    상기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제2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입력 레버(22); 및
    상기 제1 명령과 상기 제2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를 디지털화하여 동일한 화면 내에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는 명령은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를 통하여 입력되거나 상기 엔진 제어실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예비 조종장치(30)를 통하여 입력되고,
    상기 엔진(40)의 상태정보는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와 상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와 상기 예비 제어장치중 적어도 하나로 피드백되고,
    상기 예비 조종장치(30)를 통하여 상기 엔진(40)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3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를 통한 명령의 입력은 종료되고,
    상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의 제2 표시부(24)에 상기 제3 명령과 상기 제3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가 디지털화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3 명령이 상기 선박 내에 구축되어 있는 통신망을 통하여 조타실측 조종장치(10)로 전송되어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제1 표시부(14)에 디지털화되어 표시되고,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제1 입력 레버(12)를 통하여 상기 제3 명령과 동기화된 제4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조타실측 조종장치(10)의 제1 표시부(14)에 제3 명령 및 상기 제4 명령의 입력에 따른 상태정보가 디지털화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실측 조종장치(20)를 통하여 수행되는 상기 제1 명령과 동기화된 상기 제2 명령의 입력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14)와 제2 표시부(24)는 LCD 또는 LED 타입의 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실은 상기 엔진(40)과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시부(14)와 상기 제2 표시부(24)는 각각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추진 조정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00026827A 2010-03-25 2010-03-25 선박 추진 조정 장치 KR10118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27A KR101186339B1 (ko) 2010-03-25 2010-03-25 선박 추진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27A KR101186339B1 (ko) 2010-03-25 2010-03-25 선박 추진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12A KR20110107612A (ko) 2011-10-04
KR101186339B1 true KR101186339B1 (ko) 2012-09-26

Family

ID=4502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827A KR101186339B1 (ko) 2010-03-25 2010-03-25 선박 추진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3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63537B (zh) * 2020-09-16 2023-10-17 广东逸动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电子式油门控制装置、控制方法及船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774A (ja) 2001-08-30 2005-01-20 ノースロップ、グラマン、コーポレーション 柔軟性があり、配線が少なく、故障に耐え、かつ、ネットワーク化された操舵システム
JP2006512244A (ja) 2002-12-30 2006-04-13 マリン・サイバネティクス・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船舶用の制御システムを試験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1774A (ja) 2001-08-30 2005-01-20 ノースロップ、グラマン、コーポレーション 柔軟性があり、配線が少なく、故障に耐え、かつ、ネットワーク化された操舵システム
JP2006512244A (ja) 2002-12-30 2006-04-13 マリン・サイバネティクス・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船舶用の制御システムを試験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12A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6092B2 (ja) 複数のロボット機構部を備えたロボットシステム
JP5982716B2 (ja) 船舶推進制御装置、船舶推進装置および船舶
JP5414185B2 (ja) ビルディングマシン、特に道路ビルディングマシン
JP6418763B2 (ja) 工作機械の手動操作用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US20150239120A1 (en) Robot system including plurality of robot control devices
CN104176242A (zh) 飞行器的控制系统和控制方法
JP2007261361A (ja) 船舶
KR101186339B1 (ko) 선박 추진 조정 장치
KR101280568B1 (ko) 선박 추진제어 원격운용장치
CN110406561B (zh) 道岔控制系统和轨道系统
JP2013230797A (ja) 表示装置
JP2011009823A (ja) 遠隔制御用作業機械の画像表示方法
EP3037613A1 (en) Power window device
JP2002128463A (ja) 建設機械のモニタ装置
KR101275027B1 (ko) 철도차량용 이중화 인간기계인터페이스 장치
JP2018122696A (ja) 船舶における表示システム、及び船外機用の表示装置
WO2015104840A1 (ja) 数値制御装置および工作機械
JP7112240B2 (ja) 電力変換システム及び電力変換方法
CN107621794B (zh) 控制驱动装置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系统
JP2020204160A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センサ自動特定システム及び特定方法
JP2007217081A (ja) エレベータ表示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装置
KR200410358Y1 (ko) 선박용 디지털 텔레그래프 시스템
JP2023178015A (ja) フォークリフトの遠隔操作システム
CN115562098B (zh) 控制方法、单/双操控装置、水域可移动设备及操控系统
CN115465434B (zh) 控制方法、单/双操控装置、水域可移动设备及操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