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511B1 -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511B1
KR101185511B1 KR1020067026836A KR20067026836A KR101185511B1 KR 101185511 B1 KR101185511 B1 KR 101185511B1 KR 1020067026836 A KR1020067026836 A KR 1020067026836A KR 20067026836 A KR20067026836 A KR 20067026836A KR 101185511 B1 KR101185511 B1 KR 101185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chamber
gas
distributo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6615A (ko
Inventor
요시아키 마쓰이
유지 나가타
사토시 호리사와
도모타카 미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키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89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102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4326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69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34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39391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키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키샤
Publication of KR2007002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6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7/00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a stationary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contacted successively by each heat-exchange medium, e.g. using granular particles
    • F28D17/02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in which a stationary intermediate heat-transfer medium or body is contacted successively by each heat-exchange medium, e.g. using granular particles using rigid bodies, e.g. of por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11/07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with flat sealing 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02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 F16K3/04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16K3/06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 F16K3/08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with circular plates rotatable around their centres
    • F16K3/085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with flat sealing 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in the form of closure plates arranged between supply and discharge passages with circular plates rotatable around their centres the axis of supply passage and the axis of discharge passage being coaxial and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6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23G7/06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F23G7/06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preheating the waste gas by the heat of the combustion, e.g. recuperation type incinerator
    • F23G7/068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preheating the waste gas by the heat of the combustion, e.g. recuperation type incinerator using regenerative heat recovery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3/00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 F23L13/02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pivoted about a single axis but having not other movement
    • F23L13/04Construction of valves or dampers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pivoted about a single axis but having not other movement with axis perpendicular to 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5/00Heating of air supplied for combustion
    • F23L15/02Arrangements of re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4Indirect CO2mitigation, i.e. by acting on non CO2directly related matters of the process, e.g. pre-heating or heat recov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544Reversing valves - regenerative furnace type
    • Y10T137/5689Rotary reversing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928Sequentially progressive opening or closing of plural valves
    • Y10T137/86992With subsequent closing of first opened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Slid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 구조를 간략화하면서 높은 실링(sealing) 기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는,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분배기(10) 측에 형성된 배출 포트(16)의 각각에 대하여 밸브체(11) 측에 형성된 피(被)처리 가스용 공급 포트(33)와 처리 완료 가스용 배출 포트(35)를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시킴으로써, 일단 측이 연소실(6)에 연통된 복수개의 축열실(3)에 대해 피처리 가스 G와 처리 완료 가스 G'를 차례로 통과시키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밸브체(11)를 분배기(10)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기실기(氣室器)(13)에 대해서는 작용하지 않는 것이 설치되어 있다.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밸브체, 분배기, 배출 포트, 공급 포트, 기실기

Description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HEAT STORAGE TYPE GAS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축열재(蓄熱材)를 수용한 복수개의 축열실을 설치하고, 연소 수단을 구비한 연소실에 상기 축열실 각각의 일단을 연통시키고, 분배기와 기실기(氣室器) 사이에, 상기 분배기와 상기 기실기 각각에 대한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축열실 각각의 타단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배출 포트를 상기 밸브체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기 분배기에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는 피처리 가스용 공급 포트와 처리 완료 가스용 배출 포트를, 이들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동일한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밸브체에 형성하고,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공급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배출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연통을 차단하는 분배기 측의 실링(sealing) 부재를,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 공급로로부터 상기 밸브체에 도입(導入)되는 피(被)처리 가스를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서 상기 분배기 측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분배기 측으로부터 상기 배출 포트를 통해서 상 기 밸브체에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를 가스 배출로에 도출(導出)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회전식 전환 밸브(rotation type selector valve)의 실링 구조 및 저항 조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의해 실시하는 축열재층 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및 상기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회전식 전환 밸브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다.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개요)
종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가스 공급로로부터 밸브체에 도입되는 피처리 가스를, 밸브체의 공급 포트 및 그에 대향하여 연통되는 배출 포트를 통해 일부의 축열실에 통과시켜 연소실에 이르게 하고, 이 연소실에 있어서 피처리 가스 중의 오염 물질이나 악취 물질 등을 연소에 의해 처리하고 있다.
또, 처리 완료 가스는 다른 축열실에 통과시켜, 그 축열실의 축열재에 대하여 축열을 행하게 하고, 그 후, 그 축열실에 대한 배출 포트 및 그에 대향하여 연통되는 배출 포트를 통해 밸브체를 통과시켜, 가스 배출구로 도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 처리에 있어서 밸브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체의 공급 포트 및 배출 포트의 각각을 대향시켜 연통시키는 배출 포트를 차례로 전환하고(즉, 피처리 가스를 통과시키는 축열실, 및 처리 완료 가스가 통과되는 축열실을 차례로 전환하 고), 이로써, 처리 완료 가스의 통과에 의해 먼저 축열한 축열재에 의해 피처리 가스를 각 축열실의 통과 과정에서 예열하도록 하여, 열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실링부의 가압 구조)
이 종류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분배기와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의 연통을 실링 부재(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에 의해 차단함으로써, 분배기 측으로부터 밸브체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에 공급 포트를 통과한 피처리 가스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기실기와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가스의 누출을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에 의해 저지함으로써, 밸브체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에 공급 포트로부터 도입된 피처리 가스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고 있다.
종래, 밸브체와 분배기 사이에 개재되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에 의한 연통 차단(즉, 실링)에 대하여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탄성체 등의 가압 도구에 장착한 상태로 분배기 측에 장비하고, 이 가압 도구에 의해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키고, 밸브체와 기실기 사이에 개재되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에 의한 연통 차단에 대하여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탄성체 등의 가압 도구에 장착한 상태로 기실기 측에 장비하고, 이 가압 도구에 의해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키고, 이들 양 실링 부재에 의한 실링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참조).
(회전식 전환 밸브의 실링 구조)
상기와 같은 회전식 전환 밸브는(도 36 참조), 부(副)밸브 포트의 각각에 대하여 대향하는 주(主)밸브 포트를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의 상대 회전에 따라 전환하여, 복수개의 주밸브 포트와 복수개의 부밸브 포트의 대향 연통 관계를 전환함으로써, 복수개의 주유로(主流路)와 복수개의 부유로(副流路)와의 접속 관계를 전환하는 것이며, 주밸브 부재의 주대향면과 그에 근접 대향하는 부밸브 부재의 부대향면 사이에는, 통과시키는 주밸브 포트 및 부밸브 포트를 서로 상이하게 할 유체끼리가 양 대향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가 개재되어 있다.
이 실링 부재의 장비에 대하여는, 부대향면에 설치한 실링 부재를 주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형식과, 이와는 역으로, 주대향면에 설치한 실링 부재를 부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형식이 있다. 실링 부재를 부밸브 부재의 부대향면에 설치하는 형식에서는, 도 36,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의 상대 회전의 회전축심을 둘러싸는 환형 형상이며 부밸브 포트의 줄열(row)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동 도면의 예에서는 내주측 및 외주측)에 위치하여, 주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동 도면의 예에서는 동일하게 내주측 및 외주측)에서 주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환형 실링부와, 회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y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또한 선형(線形) 형상으로 부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내주측 및 외주측)의 환형 실링부에 걸친 상태로 위치하여 주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구분(區分;dividing) 실링부를 구비하는 실링 부재를 부대향면에 설치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었다. … … 종래예 1(하기 특허 문헌 2 참조)
한편, 실링 부재를 주밸브 부재의 주대향면에 설치하는 형식에서는, 도 39,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의 상대 회전의 회전축심을 둘러싸는 환형 형상이며 주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동 도면의 예에서는 내주측 및 외주측)에 위치하여, 부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동 도면의 예에서는 동일하게 내주측 및 외주측)에서 부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환형 실링부와, 회전 방향에 있어서 주밸브 포트 각각의 양 개구 에지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선형 형상으로 주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내주측 및 외주측)의 환형 실링부에 걸친 상태로 위치하여 부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구분 실링부를 구비하는 실링 부재를 주대향면에 설치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었다. … … 종래예 2(하기 특허 문헌 3 참조)
또, 실링 부재를 주밸브 부재의 주대향면에 설치하는 형식에 있어서, 도 43,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의 상대 회전의 회전축심을 둘러싸는 환형 형상이며 주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내주측 및 외주측)에 위치하여, 부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내주측 및 외주측)에서 부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환형 실링부와, 이들 환형 실링부에 걸친 상태에서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 각각의 전체면을 덮는 상태로 위치하여 부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면형(面形)의 구분 실링부를 구비하는 실링 부재 를 주대향면 x에 설치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 … 종래예 3 (하기 특허 문헌 4 참조)
(회전식 전환 밸브의 압력 조정 기구)
또, 종래, 이 종류의 회전식 전환 밸브는, 밸브시트판, 밸브시트판에 대하여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회전 밸브체를 가지는 것이 있다. 밸브시트판에는 복수개의 선택 유로 포트를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하고, 회전 밸브체에는, 그것의 회전에 따라 일단의 선택측 개구가 복수개의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고, 또한 타단의 공통측 개구가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내부유로가 설치되어 있고, 제1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와 제2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와는 동일한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는 배치로 하고 있다.
또, 회전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및 제2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를 별개로 상시 연통시키는 제1 유로실과 제2 유로실을 설치하고, 제1 유로실의 밸브체 회전 방향에서의 일부 개소에 제1 공통 유로 포트를 개구시키고, 또한 제2 유로실의 밸브체 회전 방향에서의 일부 개소에 제2 공통 유로 포트를 개구시키고 있다.
그리고, 이 회전식 전환 밸브는, 예를 들면,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전환 장치로서 사용된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2).
(가스 냉각 장치)
또한, 종래, 이 종류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는, 연소실로의 피처리 가스를 통과시키는 축열재층과 연소실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가 통과되는 축열재층을 전환 수단에 의해 전환함으로써, 연소실로부터의 고온의 처리 완료 가스의 통과에 의해 축열한 축열재층에 다음 행정에서 피처리 가스를 통과시켜 피처리 가스를 예열하고, 그 예열한 피처리 가스를 연소실에 있어서 연소 처리함으로써, 피처리 가스의 연소 처리에 필요한 연소실에서의 가열량을 저감시키는 것이지만, 종래, 이 종류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축열을 위해 축열재층에 통과시킨 연소실로부터의 고온의 처리 완료 가스를 가스 배출 통로에 있어서의 전환 수단의 개재부를 통해서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4, 5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1-74225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개평 10(1998)-61940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국 특개평 7(1995)-305824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국 특개 2001-304531호 공보
특허 문헌 5 : 일본국 특개평 9(1997)-217918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실링부의 가압 구조)
상기와 같이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가압 도구에 장착한 상태로 분배기 측에 장비하는 구조에서는, 분배기 측에 있어서, 분배기와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와의 사이의 기밀성도 유지하면서 밸브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 유닛의 변위를 허락하는 구조가 필요해지고, 그러므로,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장치의 제작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가 유닛으로 변위되므로, 그 변위 동작에 덜거덕거림이 생기기 쉽고, 이에 의해 오히려 실링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도 있었다.
마찬가지로,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가압 도구에 장착한 상태에서 기실기 측에 장비하는 구조에서는, 기실기 측에 있어서, 기실기와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와의 사이의 기밀성도 유지하면서 밸브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 단체의 변위를 허락하는 구조가 필요해진다. 그러므로, 장치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장치의 제작이 어려워져, 그리고,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가 유닛으로 변위되므로, 그 변위 동작에 덜거덕거림이 생기기 쉽고, 이에 의해 오히려 실링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합리적인 개량을 가지고 상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점에 있다.
(회전식 전환 밸브의 실링 구조)
실링 부재를 부대향면에 설치하는 상기 종래예 1(도 36, 도 37)의 구조에서는, 도 38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의 회전 방향 폭θd'가, 부대향면에서의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 θmn' 이상(θd'≥θmn', 엄밀하게는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내법(內法) 간격 이상)이면, 통과시키는 주밸브 포트 및 부밸브 포트를 서로 상이하게 할 유체끼리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 θn'를 작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를 크게 확보(환언하면, 부밸브 포트 각각의 개구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유체 압력 손실의 저감이나 장치의 소형화 등의 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그러나, 실링 부재를 주대향면 x에 설치하는 상기 종래예 2의 구조에서는, 부대향면 y에 있어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폭 θm가 작게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예 2(도 39, 도 40)의 구조에서는, 도 42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의 유체 혼합, 및 도 42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태의 유체 혼합의 양쪽을 방지하기 위해, 도 41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대향면 x에 있어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θd(대략, 폐쇄 부분 Sx의 회전 방향폭)를,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 이상으로 하는 동시에,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의 회전 방향 폭 θn을,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 θd 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θd≥θm 또한, θn≥θd). 이 때문에,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폭 θm(개구 면적)이 작게 제한되지만, 설계 조건 등의 어떠한 사정에 따라 실링 부재를 주밸브 부재의 주대향면에 설치하는 형식을 채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 문제의 해결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 이 종래예 3의 구조에서는, 도 45 (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면형의 구분 실링부의 회전 방향 폭θd가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 이상이면, 통과시키는 주밸브 포트 및 부밸브 포트를 서로 상이하게 할 유체끼리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 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를 작게 할 수 있다(즉, 부밸브 포트(16))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개구면적)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실링 부재를 선형으로 연장하는 실링부만으로는 형성할 수 없으므로,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와 동등한 큰 면적의 면형 구분 실링부를 구비하게 하는 특수 형상이 필요했다.
그러므로, 실링 부재의 제작비가 높아지고, 또 선형으로 연장되는 실링부를 홈에 끼워넣는 형태의 장착 방식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게 되므로, 주대향면에 대한 실링 부재의 장착도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주대향면과 부대향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를 주대향면에 설치하는 형식에 있어서, 상기의 종래예 3과 같은 실링 부재의 형상의 특수화를 회피하면서,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개구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고, 또, 그에 의해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성능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 있다.
(압력 조정 기구)
전술한 종래의 회전식 전환 밸브에서는, 제1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회전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제1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워진 도 46 (a)에 나타낸 위치와, 그 제1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멀어진 도 46 (b)에 나타낸 위치에 교대로 위치했다. 제1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제1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워진 상태에서는, 이들 개구 사이에서의 유체 통과 저항이 작아진다. 한편, 제1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제1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멀어진 상태에 서는, 이들 개구 사이에서의 유체 통과 저항이 커지게 된다. 이 통과 저항의 변동때문에, 회전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제1 내부유로 측의 통과 유체(이전 예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처리 완료 가스)의 유량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문제가 있고, 또, 제2 내부유로 측의 통과 유체(이전 예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피처리 가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이유로 주기적으로 유량 변동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도 46에 나타낸 회전식 전환 밸브와 같이, 제1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제1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워졌을 때 양 개구가 제1 유로실에 있어서 근접하는 면대향 상태로 된다. 한편, 제1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제1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멀어졌을 때 양 개구가 제1 유로실에 있어서의 회전 밸브체 주위의 좁은 유체 경로를 통해서 연통되는 상태로 되는 밸브 구조의 경우에는, 양 개구 사이에서의 유체 통과 저항의 변동폭이 큰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회전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상기와 같은 주기적인 유량 변동이 특히 현저하게 생기고 있었다.
그리고, 이 회전식 전환 밸브를 사용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은 통과 유체의 주기적인 유량 변동(즉, 통과 가스의 풍량 변동) 때문에, 장치 성능의 저하나 운전 트러블 등의 문제를 초래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합리적인 개량에 의해 회전식 전환 밸브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주기적인 유량 변동을 방지하고, 또 그 주기적인 유량 변동에 기인하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성능 저하나 운전 트러블 등을 방지하는 점에 있다.
(냉각 장치)
종래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누출에 의한 처리 완료 가스로의 피처리 가스의 혼입이나 각 가스의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구성의 실링 부재가 전환 수단에 장비되지만, 이 실링 부재의 열손상을 회피하기 위해,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가 제한되었다. 그러므로, 장치에 도입되는 피처리 가스의 온도(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입구 온도)나 연소실에서의 연소 온도에도 제한이 생겨, 처리 가능한 피처리 가스가 한정되어 있었다. 또, 연소실에 있어서 충분한 연소 처리가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합리적인 개량을 가지고 상기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제1 특징적 구성은,
축열재를 수용한 복수개의 축열실을 설치하고, 연소 수단을 구비한 연소실에 상기 축열실 각각의 일단을 연통시키고,
분배기와 기실기 사이에, 상기 분배기와 상기 기실기 각각에 대한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축열실 각각의 타단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배출 포트를 상기 밸브체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기 분배기에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는 피처리 가스용 공급 포트와 처리 완료 가스용 배출 포트를, 이들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동일한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밸브체에 형성하고,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공급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배출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연통을 차단하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 공급로로부터 상기 밸브체에 도입되는 피처리 가스를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서 상기 분배기 측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분배기 측으로부터 상기 배출 포트를 통해서 상기 밸브체에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를 가스 배출로에 도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분배기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기실기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분배기 측으로 가압하는 밸브체용 가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이면, 밸브체용 가압 수단에 의한 분배기 측으로의 밸브체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와 분배기 사이에 개재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나 분배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즉, 상기 실링 부재를 분배기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밸브체에 대하여 압력접촉, 한편, 상기 실링 부재를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분배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의 가압에 의해 실링 부재를 밸브체나 분배기에 압력접촉시킴으로써, 전술한 종래 장치와 같이,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분배기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분배기와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와의 사이의 기밀성도 유지하면서 밸브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 유닛의 변위를 허락하는 구조가 분배기 측에서 필요해지는 경우나, 역으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밸브체와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와의 사이의 기밀성도 유지하면서 분배기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 유닛의 변위를 허락하는 구조가 밸브체 측에서 필요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를 분배기 내지 밸브체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장비하는 간단한 구조를 취하면서, 밸브체용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실링 부재를 밸브체나 분배기에 대하여 적당히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밸브체를 가압하는 구조는 간단해지므로, 전술한 종래 장치와 같은 장치 구조의 복잡화를 회피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부재 유닛에서의 변위를 허락하지 않기 때문에, 실링 부재의 변위 동작에 덜거덕거림이 생기므로 오히려 실링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으므로, 높은 실링성을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밸브체용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실링 부재를 밸브체나 분배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킴으로써, 저탄성의 실링 부재를 이용하면서도 높은 실링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종전에 비해 저탄성으로 내마모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실링 부재나 저탄성으로 열팽창율이 작은 실링 부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그 결과,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의 교환 빈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열대응성의 면으로부터도 실링성을 한층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밸브체용 가압 수단에 의해 밸브체를 분배기에 대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나 분배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킴으로써, 필요한 실링성을 얻는데 필요한 장치의 제작 정밀도도 낮게 할 수 있고, 이 점으로부터도 장치의 제작을 한층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배기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분배기 또는 밸브체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키는 다른 방식으로서는, 가압 수단에 의해 기실기를 밸브체 측으로 가압하여 기실기를 밸브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밸브체를 분배기 측으로 가압하는(즉, 가압 수단이 기실기를 통하여 밸브체를 분배기 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구성에서는, 기실기를 통하기 때문에, 분배기 또는 밸브체에 대하여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적당한 힘으로 압력접촉하도록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러나, 이 제1 특징적 구성이면, 밸브체용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기실기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밸브체를 가압하고 있으므로(환언하면, 밸브체는 기실기를 통하지 않고 밸브체용 가압 수단에 의해 독립적으로 분배기 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기 다른 방식에 비하여, 밸브체 또는 분배기에 대하여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적당한 힘(예를 들면, 충분한 기밀성을 가지면서 내마모성에 대하여 가장 유리하게 되는 힘)으로 압력접촉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그 결과, 보다 한층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의 교환 빈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실링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분배기 측에 장비하는 구조, 또는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구조 중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공급로를 밸브체에 있어서의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조, 또는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배출로를 밸브체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조 중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제2 특징적 구성은, 상기 기실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가스 누출을 저지하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상기 기실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기실기를 상기 밸브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기실기를 상기 밸브체 측으로 가압하는 기실기용의 가압 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 제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기실기용 가압 수단에 의해 기실기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된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기실기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나 기실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상기 실링 부재를 기실기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밸브체에 대하여 압력접촉, 상기 실링 부재를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기실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실기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된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에 대해서도 제1 특징적 구성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밸브체와 기실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가압하므로 기실기용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제1 특징적 구성에서 기술한 다른 방식에 있어서의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비하여, 가압력을 저약화(低弱化)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실기를 저강도로 경량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기실기 측에 장비하는 구조, 또는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구조 중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제3 특징적 구성은,
축열재를 수용한 복수개의 축열실을 설치하고, 연소 수단을 구비한 연소실에 상기 축열실 각각의 일단을 연통시키고,
분배기와 기실기 사이에, 상기 분배기와 상기 기실기 각각에 대한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축열실 각각의 타단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배출 포트를 상기 밸브체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기 분배기에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는 피처리 가스용 공급 포트와 처리 완료 가스용 배출 포트를, 이들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동일한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밸브체에 형성하고,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공급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배출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기실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가스 누출을 저지하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상기 기실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 공급로로부터 상기 밸브체에 도입되는 피처리 가스를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서 상기 분배기 측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분배기 측으로부터 상기 배출 포트를 통해서 상기 밸브체로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를 가스 배출구로 도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기실기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분배기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기실기 측으로 가압하는 밸브체용 가압 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이면, 밸브체용 가압 수단에 의한 기실기 측으로의 밸브체의 가압에 의해, 밸브체와 기실기 사이에 개재된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나 기실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즉,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기실기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밸브체에 대하여 압력접촉, 한편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기실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에 대하여, 제1 특징적 구성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분배기와 기실기 사이에 분배기와 기실기 각각에 대한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밸브체를 설치한 구조에 있어서, 기실기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된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기실기 또는 밸브체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키는 다른 방식에서는, 가압 수단에 의해 분배기를 밸브체 측으로 가압하여 분배기를 밸브체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밸브체를 기실기 측으로 가압하는(즉, 가압 수단이 분배기를 통하여 밸브체를 기실기 측으로 가압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구성에서는, 분배기를 통하기 때문에, 기실기 또는 밸브체에 대하여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적당한 힘으로 압력접촉하도록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조정하는 것이 곤란했다.
그러나, 이 제3 특징적 구성에서는, 밸브체용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분배기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밸브체를 가압하고 있으므로(환언하면, 밸브체는 분배기를 통하지 않고 밸브체용 가압 수단에 의해 독립적으로 기실기 측으로 가압하고 있으므로), 상기 다른 방식에 비하여, 밸브체 또는 기실기에 대하여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적당한 힘(예를 들면, 충분한 기밀성을 가지면서 내마모성에 대하여 가장 유리하게 되는 힘)으로 압력접촉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그 결과, 보다 한층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의 교환 빈도를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실링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기실기 측에 장비하는 구조, 또는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구조 중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공급로를 밸브체에 있어서의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조, 또는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배출로를 밸브체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조 중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제4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제3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연통을 차단하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하고, 상기 분배기를 상기 밸브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상기 분배기를 상기 밸브체 측으로 가압하는 분배기용의 가압 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제4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분배기용 가압 수단에 의해 분배기와 밸브체 사이에 개재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분배기로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나 분배기에 대하여 압력접촉(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분배기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밸브체에 대하여 압력접촉,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경우에는 분배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밸브체와 분배기 각각을 개별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밸브체와 분배기를 1개의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분배기용 가압 수단의 가압력을 저약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분배기를 저강도로 경량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경량화 및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분배기 측에 장비하는 구조, 또는 밸브체 측에 장비하는 구조 중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제5 특징적 구성은, 상기 밸브체용 가압 수단을,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그것을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측으로 가압 작용함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제5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분배기와 기실기 사이에 위치하는 밸브체를 분배기 측 또는 기실기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밸브체용 가압 수단이, 분배기와 기실기의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밸브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그 회전축을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측으로 가압 작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는 기실기에 대하여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밸브체를 분배기 측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제3 및 제4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는 분배기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밸브체를 기실기 측으로 가압하는 구조를, 장치의 대형화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제6 특징적 구성은, 상기 회전축의 신축부를, 상기 회전축에 대한 구동 수단과 상기 밸브체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회전축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체용 가압 수단을, 상기 신축부보다 상기 밸브체 측의 회전축 부분에 대하여 가압 작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제6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회전축의 구동 수단과 밸브체 사이에 배치된 신축부에 의해 축심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흡수할 수 있으므로,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에, 축심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수단에 의해 밸브체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축심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원인으로 하는 구동 수단의 문제의 발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제7 특징적 구성은, 복수개의 상기 밸브체용 가압 수단을, 상기 회전축의 축심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제7 특징적 구성이면, 복수개의 밸브체용 가압 수단이 밸브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가압하므로, 밸브체를 분배기 측 또는 기실기 측에 대하여 치우치지 않고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확실하게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 또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분배기 또는 밸브체 또는 기실기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적 구성은 회전식 전환 밸브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은,
대향면들이 서로 근접한 상태로 상대 회전하는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를 설치하고,
복수개의 부유로 각각의 유로 포트로 하는 복수개의 부밸브 포트를,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축심 주위에서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기 부밸브 부재의 상기 주밸브 부재에 대한 대향면인 부대향면에 형성하는 동시에, 복수개의 주유로 각각의 유로 포트로 하는 복수개의 주밸브 포트를, 상기 상대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부밸브 포트에 대하여 각각 차례로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회전축심 주위에서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고, 또한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주밸브 포트가 동일한 상기 부밸브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주밸브 부재의 상기 부밸브 부재에 대한 대향면인 주대향면에 형성하는 회전식 전환 밸브에 있어서,
상기 주대향면과 상기 부대향면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로서
상기 회전축심을 둘러싸는 환형 형상이며 상기 주밸브 포트의 줄열(row)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부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에서 상기 부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환형 실링부와,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 포트 각각의 양 개구 에지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선형 형상으로 상기 주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의 상기 환형 실링부에 걸친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부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구분 실링부와,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의 각각에서 인접하는 상기 구분 실링부들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선형 형상으로 상기 주밸브 포트의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의 상기 환형 실링부에 걸친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상대 회전에 따라 상기 부대향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보조 구분 실링부를,
구비하는 실링 부재를 상기 주대향면에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예 2(도 39, 도 40)의 구조에서는, 도 42 (a)에 나타낸 형태의 유체 혼합, 및 도 42 (b)에 나타낸 휴대폰의 유체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도 41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 θd(엄밀하게는 외법(外法) 간격)를,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 이상으로 하는 동시에, 부대향면 y에 있어서의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를,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실링부의 배치 간격θd(엄밀하게는 내법 간격)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었다(θd≥θm 또한θn≥θd).
이것에 대하여, 상기한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도 16, 도 17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보조 구분 실링부를 협지하여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θd는, 종래예 2와 마찬가지로(실질적으로는 종래예 1과도 마찬가지로),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θd≥θm). 그러나,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는,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θd 이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 있어서의 구분 실링부와 보조 구분 실링부와의 배치 간격θe 이상으로 하면(θd>θn≥θe), 통과시키는 주밸브 포트 및 부밸브 포트를 상이하게 할 유체 G, G', G"끼리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실링 부재를 주대향면에 설치하는 형식으로 하면서도, 종래예 2의 구조를 채용하는데 비하여,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환언하면, 개구면적)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압력 손실의 저감이나 장치의 소형화 등의 면에서 유리하게 할 수 있다.
또, 제8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구분 실링부 및 보조 구분 실링부의 각각이 선형이며, 환형 실링부도 선형으로 할 수 있으므로, 선형으로 연장되는 실링부만으로 실링 부재를 형성할 수 있어 종래예 3(도 43~도 45)과 같은 실링 부재의 형상의 특수화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링 부재의 제작비의 상승, 및 주대향면에 대한 실링 부재의 장착의 곤란화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제8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의 상대 회전의 회전축심 주위에서 그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일반적으로는 균등하게 배열하여) 부대향면에 형성하는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는, 반드시 동등하게 할 필요는 없다. 회전 방향 폭θm가 서로 상이한 부밸브 포트를 형성하는 경우,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보조 구분 실링부를 협지하여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 θd는,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 중 가장 큰 것 이상이면 된다.
또, 제8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각각과 이들 간의 보조 구분 실링부와의 배치 간격θe도, 반드시 동등하게 할 필요는 없다. 각 구분 실링부와 보조 구분 실링부와의 배치 간격θe를 상이하게 하는 경우에는,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는, 구분 실링부와 보조 구분 실링부와의 배치 간격θe 중 가장 큰 것 이상이면 된다.
제8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의 상대 회전에 대하여는, 부밸브 부재를 고정으로 하여 주밸브 부재를 회전시키는 형태, 또는 역으로, 주밸브 부재를 고정으로 하여 부밸브 부재를 회전시키는 형태, 또는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이한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형태 중 어느 것을 채용해도 된다.
제8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각 실링부의 선형 형상이란, 이들 실링부를 부대향면에 대하여 선(線)접촉 상태로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실링 부재를 부대향면 y에 대하여 면접촉 상태로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형상이라도 되고, 가늘고 긴 정도로 길이 치수에 비해 폭치수가 작은 형상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적 구성은,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보조 구분 실링부를 간격을 둔 상태로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접하는 상기 구분 실링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제9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도 18, 19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대향면에서의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 θd(복수개의 보조 구분 실링부를 협지하여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의 배치 간격)를 복수개의 보조 구분 실링부로 분할한 간격 θe(동 도면의 예에서는 θe= 1/3θd를 대상 간격으로 하여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를, 그 대상 간격θe 이상이면, 통과시키는 주밸브 포트 및 부밸브 포트를 상이하게 할 유체 G, G', G"의 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에 의해, 실링 부재를 주대향면에 설치하는 형식에 있어서, 종래예 3과 같은 실링 부재의 형상의 특수화를 회피하면서, 부대향면에서의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개구면적)를 한층 크게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9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의 각각에 있어서, 간격을 둔 상태로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들 사이에 배치하는 복수개의 보조 구분 실링부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라도 된다.
또,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 있어서의 한쪽의 구분 실링부와 그에 인접하는 보조 구분 실링부와의 배치 간격, 인접하는 보조 구분 실링부끼리의 배치 간격, 주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x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구분 실링부와 그에 인접하는 보조 구분 실링부와의 배치 간격은, 반드시 동등하게 할 필요는 없지만, 이들 간격을 상이하게 할 경우에는, 부대향면 y에 있어서의 부밸브 포트들 사이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를, 상기의 각 간격 중 가장 큰 것 이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적 구성은, 제8 또는 제9의 특징적 구성의 회전식 전환 밸브를 사용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은,
축열재를 수용한 복수개의 축열실을 설치하고, 연소 수단을 구비한 연소실에 대하여 상기 축열실 각각의 일단을 풍로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축열실 각각의 타단을 상기 부유로로서의 풍로를 통해서 상기 주밸브 부재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부밸브 포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접속하고, 피처리 가스의 공급로와 처리 완료 가스의 배출로를, 상기 주유로로서의 풍로를 통해서 상기 부밸브 부재와는 반대측으로부터 가스 공급용의 상기 주밸브 포트와 가스 배출용의 상기 주밸브 포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제10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부밸브 포트 각각의 회전 방향 폭(개구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장치 내에서의 피처리 가스 및 처리 완료 가스의 통과 저항을 작게 하여 가스의 반송에 필요한 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치를 소형화하여 설치성 및 제작비면에서 우수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적 구성은, 밸브시트판에 대하여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시트판에 복수개의 선택 유로 포트를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일단의 선택측 개구가 복수개의 상기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고, 또한 타단의 공통측 개구가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내부유로를 상기 밸브체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대하여 상기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를 상시 연통시키는 유로실을 설치하고, 이 유로실의 밸브체 회전 방향에서의 일부 개소에 공통 유로 포트를 개구시키고 있는 회전식 전환 밸브로서, 상기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상기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워졌을 때, 상기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에 대하여 대향하여 연통 상태에 있는 상기 선택 유로 포트와 상기 공통 유로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에 유체 통과 저항을 부여하는 작용 상태로 되고, 또한 상기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상기 공통 유로로 부터 멀어졌을 때, 그 저항 부여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되는 저항 조정 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상기 제11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워졌을 때, 저항 조정 수단이 작용 상태로 되어,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에 대향하고 있는 선택 유로 포트와 공통 유로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즉, 밸브 내의 유체 경로)에 유체 통과 저항이 부여된다. 한편,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멀어졌을 때, 저항 조정 수단이 해제 상태로 되어, 밸브 내의 유체 경로에 대한 저항 부여가 해제된다. 그 결과,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와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 사이의 유로 길이의 변화에 관계없이, 유체 통과 저항(즉,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에 대향하여 연통되어 있는 선택 유로 포트와 공통 유로 포트 사이의 유체 통과 저항)을 균일화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통과 저항의 균일화에 따라,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와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와의 사이의 유로 길이 변화에 기인하여 생기고 있던 통과 유체의 주기적인 유량 변동(환언하면, 유속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회전식 전환 밸브에 비해 유량 안정성이나 유속 안정성이 우수한 회전식 전환 밸브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1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 저항 조정 수단은 어떠한 방식?구조에 의해 유체 경로에 유체 통과 저항을 부여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 저항 조정 수단은 그 작용 상태에 있어서,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에 대향하여 연통되어 있는 선택 유로 포트와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와의 사이의 유체 경로에 있어서의 어느 개소(예를 들면, 유로실이나 내부유로)로 유체 통과 저항을 부여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 제11 특징적 구성의 실시에 있어서, 밸브 각 부의 구체적 구조는,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워졌을 때에 있어서의 양 개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나,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멀어졌을 때에 있어서의 양 개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등의 면에서, 도 20~도 23에 나타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저항 조정 수단으로서, 상기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상기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워졌을 때, 그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상기 밸브체 측으로 멀어진 개소에서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에 대하여 면대향하는 상태로 되는 고정 저항판을 상기 유로실에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제12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워졌을 때, 저항 조정 수단의 작용 상태로서, 상기 고정 저항판이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에 대하여 면대향하는 상태로 되므로, 그 고정 저항판에 의해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와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 사이에 있어서 유체 통과 저항이 부여된다.
또,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멀어졌을 때는, 저항 조정 수단의 해제 상태로서,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고정 저항판의 면대향으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공통 유로 포트와 고정 저항판 사이의 이격 간극을 통해서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와 공통 유로 포트가 연통되는 상태로 되므로, 유체 통과 저항의 부여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 제12 특징적 구성에,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의 밸브체 회전 방향에서의 이동 위치에 따라 작용 상태와 해제 상태로 되는 저항 조정 수단을, 유로실에 대한 고정 저항판의 배치만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로써, 밸브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제작비를 염가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저항 조정 수단을, 상기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상기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와질 수록 부여 저항을 점차적으로 증대시키고, 또한 상기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상기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멀어질 수록 부여 저항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제13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의 회전에 있어서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에 가까와질 수록 부여 저항을 점차적으로 증대시키고, 또한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유로실의 공통 유로 포트로부터 멀어지는만큼 부여 저항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므로, 저항 조정 수단을, 단지 일정한 유체 통과 저항을 부여하는 작용 상태와 그 저항 부여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상태 변화할 뿐인 구성으로 하는데 비하여,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가 밸브체 회전 방향에서의 각 이동 위치에 있을 때의 유체 통과 저항을 한층 효과적으로 균일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량 안정성이나 유속 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회전식 전환 밸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4 특징적 구성은, 상기 내부유로로서 제1 및 제2 내부유로를 상기 밸브체에 설치하여, 제1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와 제2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를, 동일한 상기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는 배치 조건으로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는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밸브체에 형성하고, 상기 유로실로서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제1 및 제2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를 별개로 상시 연통시키는 제1 및 제2 유로실을 설치하고, 상기 공통 유로 포트로서 상기 제1 유로실의 밸브체 회전 방향에서의 일부 개소에 제1 공통 유로 포트를 개구시키고, 또한 상기 제2 유로실의 밸브체 회전 방향에서의 일부 개소에 제2 공통 유로 포트를 개구시키고, 상기 저항 조정 수단을, 상기 제1 내부유로 측의 유체 경로와 상기 제2 내부유로 측의 유체 경로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장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제14 특징적 구성에,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제1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가 복수개의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함으로써, 제1 내부유로와 그것의 공통측 개구와 제1 유로실을 통해 제1 공통 유로 포트에 대하여 연통시키는 선택 유로 포트가 차례로 전환된다. 또, 이와 병행하여,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제2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가 복수개의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함으로써, 제2 내부유로와 그것의 공통측 개구와 제2 유로실을 통해 제2 공통 유로 포트에 대하여 연통시키는 선택 유로 포트가 차례로 전환된다.
즉, 복수개의 선택 유로 포트의 각각에 대하여 제1 공통 유로 포트와 제2 공통 유로 포트를 교대로 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와 제2 내부유로의 선택측 개구가 동일한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으므로, 제1 내부유로 측의 통과 유체와 제2 내부유로 측의 통과 유체의 혼합도 방지되고, 이와 같은 전환을 필요한 용도의 밸브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4 특징적 구성에 있어서, 저항 조정 수단을 제1 내부유로 측의 유체 경로에 대하여 장비한 경우에는, 제1 유체실의 제1 공통 유로 포트와 제1 유로 포트의 공통측 개구와의 사이의 유로 길이 변화에 관계없이, 제1 내부유로 측의 유체 경로의 유체 통과 저항을 균일화할 수 있다. 또, 저항 조정 수단을 제2 내부유로 측의 유체 경로에 대하여 장비한 경우에는, 제2 내부유로 측의 유체 경로의 유체 통과 저항을 균일화할 수 있다.
그 결과, 유량 안정성이나 유속 안정성이 우수한 회전식 전환 밸브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저항 조정 수단을 제1 내부유로 측의 유체 경로와 제2 내부유로 측의 유체 경로와의 양쪽에 대하여 장비하면, 제1 내부유로 측의 통과 유체의 주기적 유량 변동과 제2 내부유로 측의 통과 유체의 주기적 유량 변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유량 안정성이나 유속 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회전식 전환 밸브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5 특징적 구성은, 축열재를 수용한 복수개의 축열실을 설치하고, 연소 수단을 구비한 연소실에 대하여 상기 축열실 각각의 일단을 풍로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축열실 각각의 타단을 상기 밸브체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복수개의 상기 선택 유로 포트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풍로 접속하고,
처리 완료 가스의 배출로를 상기 제1 유로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 공통 유로 포트에 접속하는 동시에, 피처리 가스의 공급로를 상기 제2 유로실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2 공통 유로 포트에 접속하고 있는 점에 있다.
상기 제15 특징적 구성에, 제1 공통 유로 포트와 제1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와의 사이의 유로 길이 변화에 기인하여 생기는 통과 가스의 주기적인 풍량 변동이나, 제2 공통 유로 포트와 제2 내부유로의 공통측 개구와의 유로 길이 변화에 기인하여 생기는 통과 가스의 주기적인 풍량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풍량 변동에 기인하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성능 저하나 운전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6 특징적 구성은,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특징은,
연소실에 대한 복수개의 가스 출입구부의 각각에 통기성을 가지는 축열재층을 배치하고,
이들 축열재층 중 앞의 행정에서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처리 완료 가스가 통과된 축열재층에, 다음 행정에서 상기 연소실로 보내는 피처리 가스를 통과시키는 형태이며,
상기 연소실로의 피처리 가스를 통과시키는 축열재층과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 통과시키는 축열재층을 차례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이, 상기 연소실에 대한 가스 배출 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 통로 중, 상기 축열재층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로부터 상기 전환 수단에 이르는 풍로 부분, 또는 상기 전환 수단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입구 부분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상기 구성이면, 가스 공급 중, 축열재층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로부터 전환 수단에 이르는 풍로 부분, 또는 전환 수단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입구 부분에 있어서 고온의 처리 완료 가스가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된다.
그 결과, 고온의 처리 완료 가스가 전환 수단에서의 실링 부재의 개재 개소를 통과하기 전에 냉각되므로, 열손상을 일으키기 쉬운 고온 분위기 하에 실링 부재가 존재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장치에 도입하는 피처리 가스의 온도나 연소실에서의 연소 온도의 제한이 완화되므로, 처리 가능한 피처리 가스의 한정이 완화되어 장치의 범용성 및 처리 성능이 향상된다. 또, 전환 수단에 장비된 실링 부재의 열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링 부재의 교환 등의 유지보수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고, 또한 실링면에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7 특징적 구성은, 대향면들이 서로 근접한 상태로 상대 회전하는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를 설치하고, 그 부밸브 부재의 상기 주밸브 부재에 대한 대향면부에, 상기 가스 출입구부의 각각과 별개로 연통되는 복수개의 통기구를, 상기 상대 회전의 회전축심 주위에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하고, 상기 주밸브 부재에 피처리 가스 풍로와 처리 완료 가스 풍로를 구획한 상태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주밸브 부재의 상기 부밸브 부재에 대한 대향면부에, 상기 피처리 가스 풍로의 풍로 포트인 급기용 개구와 상기 처리 완료 가스 풍로의 풍로 포트인 배기용 개구를, 이들 급기용 개구와 배기용 개구가 상기 상대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통기구에 대해로 차례로 대향하고, 또한 동일한 상기 통기구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회전축심 주위에 회전 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하고, 이들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를, 이들 대향면부 사이에 실링 부재를 개재시킨 상태로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열재층 각각을, 상기 연소실로의 피처리 가스가 통과되는 상태와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가 통과되는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들 주밸브 부재 및 부밸브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회전식 전환 밸브를 상기 전환 수단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전환 수단으로서 상기의 회전식 전환 밸브를 채용하면, 복수개의 축열재층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환 밸브를 설치하여, 이들 복수개의 전환 밸브에 의해 피처리 가스를 통과시키는 축열재층과 처리 완료 가스가 통과되는 축열재층을 전환하는 다밸브식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비하여,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를 상대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피처리 가스를 통과시키는 축열재층과 처리 완료 가스가 통과되는 축열재층을 차례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장치 전체를 간소한 구조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컴팩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회전식 전환 밸브이면, 주밸브 부재에 구획 형성되어 있는 피처리 가스 풍로와 처리 완료 가스 풍로에 있어서의 풍로 내 온도 차이에 의해 주밸브 부재에 불균일이 생기고, 그에 따라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의 대향면부 간(즉, 실링 부재의 개재부)에 있어서의 실링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이 구성이면, 냉각 수단에 의해 냉각된 처리 완료 가스를 주밸브 부재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 풍로에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주밸브 부재 내의 피처리 가스 풍로와 처리 완료 가스 풍로의 풍로 내의 온도 차이에 의한 주밸브 부재의 불균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회전식 전환 밸브를 사용하는 것의 이점을 살리면서, 장치의 실링면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8 특징적 구성은,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에 대해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처리 완료 가스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고온의 처리 완료 가스를 냉각시키기 위해, 현열(顯熱;sensible heat)만아니고, 잠열(潛熱;latent heat)(물의 기화열)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냉풍을 내뿜는 공냉 장치나, 처리 완료 가스와 냉각용 열매체(熱媒)를 전열벽(傳熱壁)을 통하여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등의 다른 구성의 냉각 수단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 완료 가스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을 분사할 뿐인 간단한 구성이므로, 그 제조 비용이나 유지비의 면에 있어서도 유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9 특징적 구성은,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배기용 개구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실링 부재를 향해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와 함께 배기용 개구 근방의 상기 실링 부재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이면, 냉각 수단이, 냉각수를 분사하여 고온의 처리 완료 가스를 냉각하면서, 실링 부재에도 직접 냉각수를 걸치는 형태로 냉각 작용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실링 부재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링 부재의 교환 등의 유지보수의 부담을 한층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실링면에 있어서의 장치의 신뢰성도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0 특징적 구성은, 상기 냉각 수단이, 상기 주밸브 부재의 처리 완료 가스 풍로 내에서 상기 배기용 개구를 향해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연소실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이면, 냉각수의 분사에 의해 처리 완료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을, 항상, 처리 완료 가스가 통과하는 주밸브 부재의 처리 완료 가스 풍로 내로부터 배기용 개구를 향해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축열재층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로부터 전환 수단(회전식 전환 밸브)에 도달하는 병렬 상태의 풍로 부분(즉, 통과하는 가스가 차례로 전환되는 개소)의 각각에 냉각 수단을 장비하는 등에 비교하여, 냉각 수단의 장비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제조 비용면에서 유리한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 특징적 구성은, 상기 축열재층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 상기 전환 수단에 이르는 병렬 상태의 상기 풍로 부분의 각각에, 또는 상기 축열재층에 대하여 별개로 장비된 복수개의 상기 전환 수단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 입구 부분의 각각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냉각 수단을,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한 가스 통과 상태의 전환에 따라 전환 작동시키는 연동(連動) 수단을 설치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축열재층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로부터 전환 수단에 이르는 병렬 상태의 풍로 부분의 각각에, 또는 각 축열재층에 대하여 별개로 장비된 복수개의 전환 수단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 입구 부분의 각각에 냉각 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 이들 냉각 수단 중 냉각 작동시키는 것을 전환 수단에 의한 가스 통과 상태의 전환에 따라 연동 수단에 의해 차례로 전환하므로, 그 전환 조작을 수동에 의해 행하는데 비하여, 처리 완료 가스가 비통과의 상태에 있는 개소의 냉각 수단을 낭비에 냉각 작동시켜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역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는 개소의 냉각 수단을 조심성없이 비작동 상태로 하여 버리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에너지 절약면 및 운전 비용면에서 보다 유리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열손상의 방지면에서 장치의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2 특징적 구성은,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를,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한 냉각 개소보다 처리 완료 가스 흐름 방향의 상류측으로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그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 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에 의하면, 냉각 수단에 의한 냉각 개소보다 처리 완료 가스 흐름 방향의 상류측으로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에 따라 냉각 수단을 작동시키므로, 처리 완료 가스가 냉각을 필요로 하지 않는 온도 상태에 있을 때는 냉각 수단을 비작동으로 하고, 또한 처리 완료 가스가 냉각을 필요한 온도 상태에 있을 때는 냉각 수단을 냉각 작동시키는 것을 자동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피처리 가스의 풍량 변화나 VOC 농도(휘발성 유기 화합물 농도)의 변화 등을 원인으로 하여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가 변화하는 것에 대하여, 실링 부재의 열손상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냉각 수단의 냉각 작동이 필요해졌을 때는, 냉각 수단을 자동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냉각 작동시킬 수 있다.
또, 냉각 수단의 냉각 작동이 불필요하게 되었을 때는, 냉각 수단을 자동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비작동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열손상의 방지면에서 장치의 신뢰성을 높게 확보하면서, 에너지 절약면 및 운전 비용면에서 보다 유리한 장치로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축열재층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로부터 전환 수단에 이르는 병렬 상태의 풍로 부분의 각각에, 또는 각 축열재층에 대하여 별개로 장비된 복수개의 전환 수단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 입구 부분의 각각에 냉각 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에 있어서, 이들 냉각 수단과 함께 온도 센서를 각 냉각 수단에 의한 냉각 개소보다 처리 완료 가스의 흐름 방향의 상류측에 위치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풍로 부분의 각각, 또는 상기 처리 완료 가스 입구 부분의 각각에 설치하고, 그리고, 각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에 따라 대응하는 냉각 수단을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상기 연동 수단의 기능도 맞추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3 특징적 구성은, 상기 연소실로부터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를,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한 냉각 개소보다 처리 완료 가스 흐름 방향의 상류측으로 검출하는 온도 센서를 설치하고, 그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에 따라 상기 냉각 수단에 의한 냉각량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점에 있다.
즉, 이 구성이면,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에 따라 냉각 수단에 의한 냉각량(즉, 처리 완료 가스에 대한 냉각량)을 조정하는 것으로,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 변화에 의할 필요 냉각량의 변화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피처리 가스의 풍량 변화나 VOC 농도(휘발성 유기 화합물 농도)의 변화 등에 의해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가 상승하여, 실링 부재의 열손상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냉각 수단의 냉각량이 크게 되었을 때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에 따라 처리 완료 가스에 대한 냉각 수단의 냉각량을 자동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또, 처리 완료 가스의 온도가 저하되어, 실링 부재의 열손상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냉각 수단의 냉각량이 작게 되었을 때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검출 온도에 따라 처리 완료 가스에 대한 냉각 수단의 냉각량을 자동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열손상의 방지면에서 장치의 신뢰성을 높게 확보하면서, 에너지 절약면 및 운전 비용면에서 보다 유리한 장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4 특징적 구성은, 상기 연소실에서 가열한 정화용(淨化用) 가스의 통풍에 의해 상기 축열재층에 있어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측 부분의 온도를 소정의 정화 온도로 유지하는 상태로 하여, 축열재층에 있어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측 부분에 축적된 피(被)정화물을 연소 또는 증발시키는 점에 있다.
종래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축열재층 정화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연소실에서 가열한 정화용 가스의 통풍에 의해 축열재층에 있어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 부분의 온도를 소정의 정화 온도로 유지하는 상태로 하여, 축열재층에 있어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측 부분에 축적된 지방 성분 등의 피정화물을 연소 또는 증발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피정화물을 연소 또는 증발시키는 정화 온도는 고온이므로, 정화 대상의 축열재층을 통과시킨 정화 작용 후의 정화용 가스(즉, 정화 온도 이상의 고온 가스)는 실링 부재의 열손상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환 수단에 통과시킬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종래 장치에서는, 정화 작용 후의 아직도 고온인 정화용 가스를 전환 수단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정화 운전을 실시할 때 정화용 가스 방출 풍로를 별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러나, 이 축열재층 정화 방법에 의해, 연소실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를 냉각시키는 상기 냉각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냉각 수단을 이용하여 정화 작용 후의 고온의 정화용 가스를 축열재층 각각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출구로부터 전환 수단에 도달하는 풍로 부분, 또는 전환 수단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의 입구 부분에 있어서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정화 작용 후의 정화용 가스를 통상 운전시의 처리 완료 가스와 마찬가지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가스 배출 통로에 있어서의 전환 수단의 개재부를 통과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종래 장치와 같이 정화 운전할 때마다 별도로, 정화용 가스 방출 풍로를 설치하는 부담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5 특징적 구성은, 상기 정화용 가스를 상기 축열재층에 통풍하는 정화 운전을,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한 가스 통과 상태의 전환에 의해 복수개의 상기 축열재층에 대하여 차례로 실시하는 점에 있다.
즉, 전술한 제24 특징적 구성에, 정화 작용 후의 정화용 가스를 전환 수단의 개재부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정화 운전시에도 전환 수단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착안하여, 상기 제25 특징적 구성에서는, 정화용 가스를 축열재층에 통풍하는 정화 운전을 전환 수단에 의한 가스 통풍 상태의 전환에 의해 복수개의 축열재층에 대하여 차례로 실시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별도로 설치하는 상기 정화용 가스 방출 풍로를 복수개의 축열재층에 대하여 차례로 접속 전환하면서, 이들 축열재층에 대하여 정화용 가스를 통풍시키는 정화 운전을 차례로 실시하는데 비하여, 정화 운전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축열실 부분에서의 평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배기 부분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전환 장치 부분의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 이다.
도 5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전환 장치 주요부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6은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전환 장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밸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회전축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장치 기능 설명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장치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전환 장치 부분의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낸 회전축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 1에 관한 회전식 전환 밸브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예 1에 관한 회전식 전환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 1에 관한 회전식 전환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 1에 관한 실링 부재와 각 밸브 포트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 1에 관한 실링 부재의 실링 기능을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 1에 관한 실링 부재와 각 밸브 포트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 1에 관한 실링 부재의 실링 기능을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 2에 관한 전환 밸브 부분의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 2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기능 설명도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 2에 관한 전환 밸브 부분의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다른 실시예 2에 관한 고정 저항판의 기능을 설명하는 평면에서 볼때의 설명도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예 3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5는 다른 실시예 3에 관한 축열실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예 3에 관한 전환 밸브 부분의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다른 실시예 3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기능 설명도이다.
도 28은 다른 실시예 3에 관한 전환 밸브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29은 다른 실시예 3에 관한 전환 밸브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예 3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기능 설명도이다.
도 31은 다른 실시예 4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다른 실시예 4에 관한 축열실 부분에서의 평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다른 실시예 4에 관한 축열실 부분에서의 평면에서 볼 때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4는 다른 실시예 4에 관한 칸막이벽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35는 다른 실시예 5에 관한 전환 장치 부분의 측면에서 볼 때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종래예 1에 관한 실링 부재의 장비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종래예 1에 관한 실링 부재와 각 밸브 포트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종래예 1에 관한 실링 부재의 실링 기능을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39은 종래예 2에 관한 실링 부재의 장비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종래예 2에 관한 실링 부재와 각 밸브 포트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1은 종래예 2에 관한 실링 부재의 실링 기능을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42는 종래예 2에 관한 실링 부재에서의 유체 혼합의 발생을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43은 종래예 3에 관한 실링 부재의 장비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4는 종래예 3에 관한 실링 부재와 각 밸브 포트와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5는 종래예 3에 관한 실링 부재의 실링 기능을 설명하는 전개도이다.
도 46은 통과 저항 변화를 설명하는 평면에서 볼 때의 설명도이다.
3; 축열실 5a; 축열재 6; 연소실
7; 연소 수단 10; 분배기 11; 밸브체
13; 기실기 17,25; 실링 부재 33; 공급 포트
35; 배출 포트 39; 가스 공급로 40;가스 배출로
44A; 밸브체용 가압 수단
44B; 기실기용 가압 수단, 분배기용 가압 수단 신축부
E; 회전축 X; 피처리 가스
G'; 처리 완료 가스 P; 축심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도 1, 도 2 및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장치 상부에 배치한 하우징(1)의 내부를 칸막이벽(2)에 의해 나눔으로써, 축열실(3)의 실군(室群)으로서 평면에서 볼 때 병렬 배치의 8실의 축열실(3)을 하우징(1) 내에 형성하고 있다. 이 하우징(1)의 아래쪽에는, 각 축열실(3)에 대하여 연통시키는 풍로(風路)의 전환을 행하는 전환 장치(4)가 배치되어 있다.
각 축열실(3)에는 축열재(5a)의 축열재층(5)을 수용하고 있으므로, 축열 실(3) 각각의 상단은 하우징(1) 내의 상부에 형성한 연소실(6)에 개구 연통시키고, 이 연소실(6)에는 버너(7)를 장비하고 있다.
전환 장치(4)는, 도 3~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환형 배치의 8개의 공급실(8)을 칸막이벽(9)에 의해 내부에 형성한 8각(角) 통형의 분배기(10)와, 밸브체(11)를 내장한 원통형의 밸브 장치(12)와, 피처리 가스 G를 받아들이는 원통형의 기실기(13)로 이루어진다. 설치 가대(架臺)(14)의 상부에 밸브 장치(12)를 고정적으로 장착하는 동시에, 분배기(10)를 밸브 장치(12)의 위쪽에 동심형으로 배치하여 밸브 장치(1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연결하고, 기실기(氣室器;gas chamber device)(13)는, 밸브 장치(12)의 아래쪽에 동심형으로 배치하여 밸브 장치(12)의 환형 바닥판(12a)에 매달린 상태로 연결하는 동시에, 설치 가대(14)의 하부 프레임(14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8실의 축열실(3)은, 이들 하단을 상단 폐색의 분배기(10)에 있어서의 8개의 공급실(8)에 대하여 배출 통로(15)를 통해서 개별적으로 연통시키고 있다. 밸브 장치(12)의 천정판을 겸하는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는, 8개의 선형(線形)의 배출 포트(16)를 각 공급실(8)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대응 위치시킨 환형 배치(즉, 후술하는 밸브체(11)의 회전 방향으로 정렬된 배치)로 형성하고 있다. 또, 그 바닥판(10a)의 하면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 실링부(17a, 17b)와 8개의 구분 실링부(17c)로 되어 배출 포트(16)를 별개로 둘러싸는 형태의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를 부설하고 있다.
또, 분배기(10)의 중앙부에는, 퍼지용 가스 G"를 받아들이는 중앙실(18)을 구획 파이프(19)에 의해 형성하고, 이 중앙실(18)에는 분배기(10)의 상단 측으로부터 퍼지용 가스 공급로(20)를 연통시키고 있다.
밸브 장치(12)에 내장하는 밸브체(11)는, 도 4~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주위벽(21)과 밸브 천정판(22)과 밸브 바닥판(23)과 세로 자세의 통형 회전축(24)을 구비하는 역(逆)원추대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밸브 천정판(22)을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대하여 슬라이드 접촉(엄밀하게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에 대하여 슬라이드 접촉)시키고, 또한 밸브 바닥판(23)을 기실기(13)의 상단 개구의 둘레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접촉(엄밀하게는, 그 둘레부에 장비한 환형의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에 대하여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형태로, 밸브 장치(12) 내에 있어서 회전축심 P 주위에서 도면 중 화살표 R에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밸브체(11)의 내부는, 밸브 주위벽(21)과 통형 회전축(24)에 걸친 2개의 칸막이벽(26)에 의해 평면에서 볼 때 공급실(27)과 배출실(28)로 구획되어 있다. 또, 밸브체(11) 내의 상부에 있어서 한쪽의 칸막이벽(26)의 인접 개소에는, 중앙 바닥판(29)과 상부 칸막이벽(30)에 의해 퍼지용 챔버(31)를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밸브체(11)의 상부에서는, 내부 구획실의 환형 열(烈)로서 공급실(27)과 퍼지용 챔버(31)와 배출실(28)이, 그 순서로 밸브체(11)의 회전 위쪽으로부터 아래로 정렬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32)는 실내 연통용의 연통 포트(32a)를 형성하고 있는 보강 리브판이며, 상부 칸막이벽(30)의 아래쪽으로 이어지는 부분도 마찬가지의 보강 리브판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천정판(22)에는,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분배기(10) 측의 배출 포트(16)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는 피처리 가스용 공급 포트(33)와 퍼지용 포트(34)와 처리 완료 가스용 배출 포트(35)를, 공급실(27), 퍼지용 챔버(31), 배출실(28)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대응 위치시킨 환형 배치로, 또한 분배기(10) 측에 있어서의 동일한 배출 포트(16)(엄밀하게는 동일한 배출 포트(16)에 대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의 둘러싸인 영역)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는 배치로 형성하고 있다.
또, 축 상단을 분배기(10)의 중앙실(18) 내에 위치시키는 통형 회전축(24)에는, 그 내부 공간을 퍼지용 챔버(31)에 연통시키는 퍼지용 연통 포트(36)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바닥판(23)에는, 기실기(13)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공급실(27)을 상시 연통시키는 기실기용의 연통 포트(37)를 형성하고 있다. 밸브 주위벽(21)에는, 밸브 장치(12) 내에서의 밸브체(11) 주위의 기내 공간(12r)에 대하여 배출실(28)을 상시 연통시키는 밸브 장치용의 연통 포트(38)를 형성하고 있다. 이 구성에 있어서, 기실기(13)에는, 그 기실기(13)에 피처리 가스 G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로(39)를 접속하고, 한편, 밸브 장치(12)에는, 그 밸브 장치(12)로부터 처리 완료 가스 G'를 배출하는 가스 배출로(40)를 접속하고 있다.
즉, 이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가스 공급로(39)로부터 기실기(13) 및 기실기용의 연통 포트(37)를 통해서 밸브체(11)의 공급실(27)에 도입되는 피처리 가스 G(예를 들면,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도장(塗裝) 부스로부터의 배출 공기)를,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에 형성하는 공급 포트(33), 그 공급 포트(33)에 대 향하여 연통되는 분배기(10) 측의 배출 포트(16), 그 배출 포트(16)에 연통되는 공급실(8), 및 그 공급실(8)에 연통되는 배출 통로(15)를 통하여, 일부의 축열실(3)에 통과시켜 연소실(6)에 이르게 하고, 이 연소실(6)에 있어서 피처리 가스 G 중 오염 물질이나 악취 물질 등을 연소에 의해 처리한다.
또, 처리 완료 가스 G'는, 연소실(6)로부터 다른 축열실(3)에 통과시켜, 그 축열실(3)에 수용된 축열재(5a)에 대하여 축열을 행하게 하고, 그 후, 그 축열실(3)에 연통되는 배출 통로(15), 그 배출 통로(15)에 연통되는 분배기(10) 측의 공급실(8), 그 공급실(8)에 연통되는 배출 포트(16), 및 그 배출 포트(16)에 대향하여 연통되는 밸브체(11) 측의 배출 포트(35)를 통하여, 밸브체(11)의 배출실(28)에 안내하는 동시에, 거기에 계속되어, 밸브체(11)의 밸브 주위벽(21)에 형성된 밸브 장치용 연통 포트(38), 및 밸브 장치(12) 내에서의 밸브체(11)의 주위의 기내(器內) 공간(12r)을 통해서, 가스 배출로(40)에 도출한다.
또한, 퍼지용 가스 공급로(20)로부터 분배기(10)의 중앙실(18)에 도입하는 퍼지용 가스 G"는, 밸브체(11)에 있어서의 통형 회전축(24)의 상단부에 형성된 연통공(24a), 통형 회전축(24)의 내부, 및 그 통형 회전축(24)에 형성된 퍼지용 연통 포트(36)를 통해서 밸브체(11)의 퍼지용 챔버(31)에 안내한다. 그에 계속되어,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에 형성된 퍼지용 포트(34), 그 퍼지용 포트(34)에 대향하여 연통되는 분배기(10) 측의 배출 포트(16), 그 배출 포트(16)에 연통되는 공급실(8), 및 그 공급실(8)에 연통되는 배출 통로(15)를 통하여, 또다른 축열실(3)에 통과시켜 연소실(6)에 이르게 하고, 그 후에는 처리 완료 가스 G'에 합류시킨 다.
그리고, 이 처리에 있어서 밸브체(11)를 회전시킴으로써,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에 형성된 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의 각각을 대향하여 연통되는 분배기(10) 측의 배출 포트(16)를 차례로 전환한다. 이 전환에 의해, 피처리 가스 G를 통과시키는 축열실(3), 퍼지용 가스 G"를 통과시키는 축열실(3), 처리 완료 가스 G'를 통과시키는 축열실(3)을 차례로 전환한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축열실(3)을 피처리 가스 G의 통과 상태, 퍼지용 가스 G"의 통과 상태, 처리 완료 가스 G'의 통과 상태로, 그 순서로 차례로 전환한다. 이로써, 처리 완료 가스 G'를 통과시킴으로써 먼저 축열한 축열재(5a)에 의해, 피처리 가스 G를 각 축열실(3)의 통과 과정에 있어서 예열한다.
또, 피처리 가스 G의 통과 후, 다음에, 처리 완료 가스 G'를 통과시키기에 앞서 각 축열실(3)에 퍼지용 가스 G"을 통과시킨다. 이로써, 축열실(3) 내에 남는 피처리 가스 G를 다음의 처리 완료 가스 G'의 통과 전에 연소실(6)로 배출하여, 다음에, 그 축열실(3)을 통과하는 처리 완료 가스 G'에 잔류하는 피처리 가스 G가 혼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퍼지용 가스 공급로(20)는 가스 배출로(40)로부터 분기된 풍로이며, 이 풍로 분기에 의해, 가스 배출로(40)로의 배출 처리 완료 가스 G'의 일부를 퍼지용 가스 G"로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전환 장치의 실링부에 대한 가압 구조)
밸브체(12)에 내장된 밸브체(11)는, 밸브체(11)의 통형 회전축(24)로 연결한 구동 회전축(41), 및 감속기(42)를 통하여 모터(43)에 의해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밸브체(11)의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과의 사이(즉,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X)에, 밸브체용 가압 수단으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44A)가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44A)의 설치 위치에서,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을 스플라인 커플링(45)으로 연결함으로써 회전축 X의 신축부 E로 하고 있다. 모터(43)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회전축(41)의 회전 동작을 통형 회전축(24)에 전달하여, 밸브체(11)를 밸브 장치(12) 내에 있어서 세로축심 P주위에서 도면 중 화살표 R에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회전축 X(구체적으로는 통형 회전축(24))에 있어서의 축심 P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흡수하고 있다.
즉, 압축 코일 스프링(44A)을, 신축부 E보다 밸브체 측의 회전축 부분(즉, 통형 회전축(24))에 대하여 회전축 X를 신장시키는 측으로 가압 작용시킴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44A)의 가압력을 기실기(13)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밸브체(11)를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를 가능하게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신축부 E의 커플링(45)에 의해 통형 회전축(24)의 축심 P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흡수하여, 회전축 X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에 축심 P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 기실기(13) 및 밸브체(11)의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밸브체(11)에 있어서의 통형 회전축(14)의 상단부는, 회전축 X의 축심 P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허락하는 상부 베어링(46)을 통하여 분배기(10)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또한, 기실기(13)의 하부와 통형 회전축(24) 사이에는, 통형 회전축(24)의 축심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허락하고, 또한 기실기(13)와 통형 회전축(24)과의 간극을 통해서 피처리 가스 G가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를 구비한 하부 베어링(47)을 통하여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기실기(13)를 연결하는 밸브 장치(12)의 환형 바닥판(12a)에는, 강인하고 가요성(可撓性)이 양호한 금속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 가요성에 의해, 기실기(13)는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즉, 밸브체(11)에 대한 원근 방향으로의 변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기실기(13)를 설치 가대(14)의 하부 프레임(14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할 때, 단면 ㄷ자형의 하부 프레임(14a)의 내부에, 기실기용 가압 수단으로서 기실기(13)를 탄성적으로 위쪽으로 가압(즉,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44B)이 축심 P주위에서 등간격의 4개소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기실기(13)의 하단 플랜지부(13)지하부 프레임(14a)을 연결하는 연결축(48)이, 인장 코일 스프링(44B) 각각의 중심을 삽통하도록 설치되고, 연결축(48)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48)은, 그 일단이 기실기(13)의 하단 플랜지부(13f)에 있어서 고착되고, 타단이 하부 프레임(14a)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기실기(13)와 하부 프레임(14a)을 연결하고 있다. 단면 ㄷ자형의 하부 프레임(14a)의 내부에 있어서의 연결축(48)의 하단부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44B)의 인장 가압력을 받아 기실기(13)를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너트(49)가 인장 코일 스프링(44B)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밸브체용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44A)에 의해 밸브체(11)를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분배기(10)와 밸브체(11) 사이에 있어서,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장비의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를, 밸브체(11)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분배기(10)의 바닥판(10a)과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 사이의 간극을 통한 공급 포트(33)와 배출 포트(35)의 연통, 및 공급 포트(33)와 퍼지용 포트(34)와의 연통을, 밸브 천정판(22)에 대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의 슬라이드 접촉에 의해 차단하고, 이로써, 그 간극 연통에 의한 처리 완료 가스 G'중으로의 피처리 가스 G의 혼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실기용 가압 수단인 인장 코일 스프링(44B)과 기실기(13)를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기실기(13)와 밸브체(11) 사이에서, 기실기(13)의 상단 개구 둘레부에 장비의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를, 기실기(13)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11)의 밸브 바닥판(23)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기실기(13)로부터의 밸브 장치(12)의 내부로의 피처리 가스 G의 누출을 저지하여, 처리 완료 가스 G' 중으로의 피처리 가스 G의 혼입을 방지하고, 이들 혼입 방지에 의해, 피처리 가스 G 중에 포함되는 오염 물질이나 악취 물질이 미처리인 채로 처리 완료 가스 G'와 함께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체(11)에 대한 압축 코일 스프링(44A)의 가압력(환언하면,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대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의 압력접촉력), 및 기실 기(13)에 대한 인장 코일 스프링(44B)의 인장 가압력(환언하면, 밸브체(11)의 밸브 바닥판(23)에 대한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의 압력접촉력)은, 각자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 요컨대, 본 가압 구조에서는, 밸브체(11)를 분배기(10)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밸브체용 가압 수단(압축 코일 스프링(44A)에 의해 기실기(13)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장비의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를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에 대하여 적절한 압력접촉력으로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체(11)를 가압하는 밸브체용 가압 수단(압축 코일 스프링(44A)과는 별도로 기실기용 가압 수단(인장 코일 스프링(44B)을 설치하여, 기실기(13)를 밸브체(11)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기실기용 가압 수단(인장 코일 스프링(44B)에 의해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기실기(13)의 상단 개구 둘레부에 장비의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를 밸브체(11)의 바닥판(23)에 대하여 적절한 압력접촉력으로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11)와 기실기(13) 각각이 압축 코일 스프링(44A)과 인장 코일 스프링(44B)에 의해 별개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밸브체(11) 및 기실기(13)의 강도를 압축 코일 스프링(44A) 및 인장 코일 스프링(44B) 각각의 가압력에 견딜 수 있는 강도로 하면 되고, 이로써, 장치 전체로서의 경량화 및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보다 도모할 수 있다.
또, 밸브체(11)와 기실기(13) 각각이 압축 코일 스프링(44A)과 인장 코일 스프링(44B)에 의해 별개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밸브체(11)의 중량(자중)이 기실기(13)에 걸리지 않으므로, 기실기(13)의 강도를 보다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장치 전체적으로의 경량화 및 제조 비용의 저렴화를 보다 한층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개량을 행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이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분배기(10)와 밸브 장치(12)와 기실기(13)와의 세트를 상하 반전시켜 장비(즉, 위로부터 기실기(13), 밸브 장치(12), 분배기(10)의 순서로 하여 장비)하고, 고정된 기실기(13)에 대하여 밸브체(11)의 상하 방향(원근 방향)로의 변위가 가능하게 하고, 분배기(10)를 밸브체(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원근 방향)로의 변위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밸브 장치(12)에 내장된 밸브체(1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밸브체(11)의 통형 회전축(24)와 연결한 구동 회전축(41), 및 감속기(42)를 통하여 모터(43)에 의해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밸브체(11)의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의 사이(즉,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X)에, 밸브체용 가압 수단으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44A)을 설치하여, 통형 회전축(24)을 탄성적으로 위쪽으로 가압한다. 또한, 그 압축 코일 스프링(44A)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을 스플라인 커플링(45)으로 연 결함으로써 회전축 X의 신축부 E으로 하고, 모터(43)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회전축(41)의 회전 동작을 통형 회전축(24)에 전달하면서 회전축 X(구체적으로는 통형 회전축(24))에 있어서의 축심 P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흡수하고 있다.
즉, 압축 코일 스프링(44A)을, 신축부 E보다 밸브체 측의 회전축 부분(즉, 통형 회전축(24)에 대하여 회전축 X를 신장시키는 측으로 가압 작용시킴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44A)의 가압력을 분배기(10)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밸브체(11)를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를 가능하게 기실기(13) 측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신축부 E의 스플라인 커플링(45)에 의해 통형 회전축(24)의 축심 P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흡수하여, 회전축 X를 회전시키는 구동 수단에 축심 P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분배기(10)는, 설치 가대(14)의 하부 프레임(14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단면 ㄷ자형의 하부 프레임(14a)의 내부에, 분배기용 가압 수단으로서 분배기(10)를 탄성적으로 위쪽으로 가압(즉,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44B)이 축심 P주위에서 등간격의 4개소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분배기(10)의 하단 플랜지부(10f)와 하부 프레임(14a)을 연결하는 연결축(48)이, 인장 코일 스프링(44B) 각각의 중심을 삽통하도록 설치되고, 연결축(48)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48)은, 그 일단이 분배기(10)의 하단 플랜지부(10f)에 있어서 고착되고, 타단이 하부 프레임(14a)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분배기(10)와 하부 프레임(14a)을 연결하고 있다. 단면 ㄷ자형의 하부 프레 임(14a)의 내부에 있어서의 연결축(48)의 하단부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44B)의 가압력을 받아 분배기(10)를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너트(49)가 인장 코일 스프링(44B)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분배기(10)와 축열실(3)을 연통되는 배출 통로(15)에 있어서의 분배기(10)와의 접속부(15a)는, 분배기(1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변위에 대응하여 신축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밸브체용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44A)에 의해 분배기(10)에 대하여는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밸브체(11)를 기실기(13)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기실기(13)의 개구 둘레부에 장비의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를, 밸브체(11)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11)의 밸브 바닥판(23)(실질적으로는 천정판)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키고 있다. 또한, 분배기용 가압 수단인 인장 코일 스프링(44B)에 의해 분배기(10)를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분배기(10)의 바닥판(10a)(본 제2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는 분배기(10)의 천정판)에 장비의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를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실질적으로는 밸브체(11)의 바닥판)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제2 실시예에서는, 분배기(10)와 밸브체(11)와 기실기(13) 세트를, 하우징(1)의 옆쪽(즉, 축열실(3)의 실군의 옆쪽)에 배치하고, 이로써, 장치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하여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옥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제1 실시예에서 기재 한 구성 부분과 동일 구성 또는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예〕
도 5,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서 나타낸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개량을 행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이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밸브체(11)의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과의 연결 부분의 각각에 플랜지부(24f, 41f)를 형성한다. 통형 회전축측 플랜지부(24f)에 있어서 축심 P 주위에 등간격으로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을 연결하는(즉, 통형 회전축(24)과 구동 회전축(41)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축 X를 형성하는) 연결용 볼트(50)를 나사 결합 삽입하기 위한 나사공이 4개소 형성되고, 축심 P 방향(상하 방향)에 있어서 이들 4개소의 나사공(24b)에 서로 대향하는 구동 회전축측 플랜지부(41f)의 4개소에는, 연결용 볼트(50)의 선단부(50a)가 삽통하는 삽통공(41a)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용 볼트(50)는, 그 선단부(50a)가 삽통공(41a)에 삽통한 상태로 됨으로써 모터(43)에 의한 회전 동작을 구동 회전축(41)으로부터 통형 회전축(24)에 전달하여, 밸브체(11)를 밸브 장치(12) 내에 있어서 회전축심 P주위에서 도면 중 화살표 R에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통형 회전축 측 플랜지부(24f)와 구동 회전축 측 플랜지부(41f) 사이에는, 밸브체용 가압 수단으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44A)이 각 연결용 볼트(50)에 권취한 상태에서, 통형 회전축(24)을 위쪽으로 가압(즉, 밸브체(11)를 분배기(10) 또는 기실기(13) 측으로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제3 실시예에서는, 밸브체용 가압 수단으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44A)이 밸브체(11)를 분배기(10) 또는 기실기(13)의 측(즉, 통형 회전축(24)에 대하여 회전축 X을 신장시키는 측)으로 힘을 가하여 가압하여,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장비의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 또는 기실기(13)의 개구 둘레부에 장비의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를 밸브체(11)에 대하여 압력접촉시킨다. 또한, 구동 회전축(41)의 플랜지부(41f)에 형성된 삽통공(41a)에 의해 연결용 볼트(50)의 선단부(50a)가 상하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지고, 이로써, 회전축 X의 신축을 허락하는 신축부 E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기실기(13)를 설치 가대(14)의 하부 프레임(14a)에 의해 하방, 들 지지하기 위해, 단면 ㄷ자형의 하부 프레임(14a)의 내부에, 기실기용 가압 수단으로서 기실기(13)를 탄성적으로 위쪽으로 가압(즉,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44B)이 축심 P주위에서 등간격의 4개소에 개재되어 있다. 또, 기실기(13)의 하단 플랜지부(13f)와 하부 프레임(14a)을 연결하는 연결축(48)이, 인장 코일 스프링(44B) 각각의 중심을 삽통하도록 설치되고, 연결축(48)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축(48)은, 그 일단이 기실기(13)의 하단 플랜지부(13f)에 고착되고, 타단이 하부 프레임(14a)의 상면을 관통하고 상하 방향으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기실기(13)와 하부 프레임(14a)을 연결하고 있다. 단면 ㄷ자형의 하부 프레임(14a)의 내부에 있어서의 연결축(48)의 하단부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44B)의 가압력을 받아 기실기(13)를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너트(49)가 인장 코일 스프 링(44B)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밸브체(11)를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이와 같이 밸브체용 가압 수단으로서 복수개(4개)의 압축 코일 스프링(44A)을 축심 P주위에 등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밸브체(11)를 분배기(10)에 대하여 치우치지 않고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를 분배기(10)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가 변형되어도,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의 변형 개소에 있어서의 밸브체(11)의 분배기(10)에 대한 가압 정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켜, 변형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를 분배기(10)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의 기밀성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기실기(13)를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기실기용 가압 수단으로서 복수개(4개)의 인장 코일 스프링(44B)을 축심 P주위에 등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의 변형에 대하여 기실기(13)의 밸브체(11)에 대한 가압 정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켜, 변형된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를 밸브체(11)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17)의 변형에 의해 밸브체(11)의 분배기(10)에 대한 가압 정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켜 밸브체(11)가 분배기(10)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로 되어도, 밸브체(11)의 경사에 따라 기실기(13)도 경사진 자세로 밸브체(11) 측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를 밸브체(11)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의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제1 실시예에서 기재한 구성 부분과 동일 구성 또는 동일 기능을 가지는 구성 부분에는 동일 번호를 부기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 제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실시예와 같이 위로부터 기실기(13), 밸브 장치(12), 분배기(10)의 순서로 장비한 구성이라도 되고, 그 경우, 밸브체용 가압 수단인 압축 코일 스프링(44A)에 의해 밸브체(11)는 기실기(13) 측으로 가압되고, 분배기용 가압 수단인 인장 코일 스프링(44B)에 의해 분배기(10)는 밸브체(11) 측으로 가압되게 된다.
〔그 외의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를 열기한다.
제1 및 제3 실시예에서는, 밸브체(11)를 분배기(10)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밸브체용 가압 수단에 의해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밸브체용 가압 수단을 기실기(13) 측에 설치하고, 밸브체용 가압 수단의 신장하는 측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체(11)를 분배기(10)의 측으로 누르도록 가압하고 있었지만, 이에 대신하여, 밸브체용 가압 수단을 분배기(10) 측에 설치하여, 밸브체용 가압 수단의 단축(短縮)하는 측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체(11)를 분배기(10) 측으로 인장시키도록 가압시키도록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서는, 밸브체(11)를 기실기(13)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밸브체용 가압 수단에 의해 기실기(13)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밸브체용 가압 수단을 분배기(10) 측에 설치하고, 밸브체용 가압 수단의 신장하는 측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체(11)를 기실기(13)의 측으로 누르도록가압하여시키고 있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밸브체용 가압 수단을 기실기(13) 측에 설치하여, 밸브체용 가압 수단의 단축하는 측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체(11)를 기실기(13) 측으로 인장시키도록 가압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제1 ~ 제3 실시예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분배기(10), 밸브체(11)를 내장한 밸브 장치(12), 기실기(13)를 그 순서로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장비하고 있었지만, 밸브체(11)의 회전축 X를 옆쪽으로 하여, 이들 분배기(10), 밸브 장치(12), 기실기(13)를 그 순서로 가로 방향으로 배열하여 장비해도 된다.
회전축 X의 신축부 E는, 구동 수단(42, 43)으로부터의 회전 동작을 밸브체(11)에 전달하면서, 회전축 X의 축심 방향의 움직임이 구동 수단(42, 43)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되고, 또, 밸브체용 가압 수단과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도, 회전축 X의 축심 방향의 움직임이 구동 수단(42, 43)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위치이면, 회전축 X의 어떤 위치에 설치해도 된다.
제1 및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기실기용 가압 수단(44B), 및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분배기용 가압 수단(44B)은, 설치 가대(14)의 단면 ㄷ자형의 하부 프레임(14a)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기실기용 가압 수단 또는 분배기용 가압 수단인 인장 코일 스프링(44B)은, 기실기(13) 또는 분배기(10)를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는 구조이면 그 설치 위치는 어느 쪽의 위치라도 된다.
또, 이들 기실기용 가압 수단(44B) 및 분배기용 가압 수단(44B)은, 이들 가 압 수단을 기실기(13) 또는 분배기(10)를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을 구비한 가압 수단으로 해도 된다.
밸브체용 가압 수단 및 기실기용 가압 수단 또는 분배기용 가압 수단에는, 스프링, 실린더, 모터 등 각종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축열실(3)의 구체적 구조, 및 복수개의 축열실(3)과 분배기(10) 사이의 구체적 풍로 구조는 각종 구성 변경이 가능하다. 또, 피처리 가스 G를 안내하는 가스 공급로(39), 및 처리 완료 가스 G'를 안내하는 가스 배출로(40)의 각각을 분배기(10) 측에 형성된 배출 포트(16) 및 그에 대향하여 연통되는 밸브체(11) 측의 공급 포트(33)나 배출 포트(35)를 통해서 복수개의 축열실(3)에 대하여 차례로 연통시키는 밸브체(11)나 분배기(10)의 구체적 구조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구성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밸브체(11)의 회전에 병행하여, 가스 공급로(39)로부터 밸브체(11)에 피처리 가스 G를 도입하는 동시에 밸브체(11)로부터 가스 배출로(40)에 처리 완료 가스 G'를 도출하기 위한 구조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기실기(13)나 밸브 장치(12)에 의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구성 변경이 가능하다.
피처리 가스 G는 도장 설비의 배기가스 등에 한정되지 않고, 연소실(6)에서의 연소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가스이면, 어떠한 가스라도 되고, 처리 목적도 정화나 탈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연소실(6)에 장비하는 연소 수단은 버너(7)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히터 등이라도 되고, 또한 각 축열실(3)에 있어서 축열재(5a)보다 연소실(6) 측에 촉매 를 설치하여, 촉매 연소에 의해 피처리 가스 G를 처리하도록 해도 된다.
[다른 실시예 1]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전환 장치(4)는 도 13 내지 19에 나타낸 실링 구조를 구비한 회전식 전환 밸브라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언급하지 않는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분배기(10)와 밸브체(11) 사이에는, 밸브시트판을 겸하는 분배기의 바닥판(10a)의 하면 y와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피처리 가스 G가 처리 완료 가스 G'나 퍼지용 가스 G"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 부재(17)가 개재되어 있다. 또, 밸브체(11)와 기실기(13) 사이에는, 밸브 바닥판(23)의 하면과 기실기(11)의 상단 개구 주위 둘레부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기실기(13) 내의 피처리 가스 G가 밸브 장치(12) 내의 처리 완료 가스 G'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실기용의 실링 부재(25)가 개재되어 있다. 이들의 혼입 방지에 의해, 피처리 가스 G 중에 포함되는 오염 물질이나 악취 물질이 미처리인 채로 처리 완료 가스 G'와 함께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분배기(10)와 밸브체(11) 사이의 실링 부재(17)에 대하여는,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에 실링 부재(17)를 장착하여, 그 실링 부재(17)를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밸브시트판을 겸하는 분배기의 바닥판(10a)의 하면 y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실링 부재(17)는, 다음의 (가)~(다)의 3개의 실링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도 16, 도 17 참조)
(가) 밸브체 회전축심 P를 둘러싸는 환형 형상이며 3개의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의 줄열의 내주측과 외주측(환언, 주밸브 포트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에 위치하여,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의 줄열의 내주측과 외주측(환언하면, 부밸브 포트 줄열의 열 폭방향에서의 양 외측)으로 바닥판(10a)의 하면 y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2개의 환형 실링부(17a, 17b).
(나)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 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 각각의 양 개구 에지의 외측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형상으로 2개의 환형 실링부(17a, 17b)끼리에 걸친 상태로 위치하여,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바닥판(10a)의 하면 y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구분 실링부(17c).
(다) 밸브체 회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끼리 간의 폐쇄 부분 Sx의 각각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17c)끼리 간의 중앙에 위치하고, 또한 회전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형상으로 2개의 환형 실링부(17a, 17b)끼리에 걸친 상태로 위치하여,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바닥판(10a)의 하면에 슬라이드 접촉하는 보조 구분 실링부(17dD).
그리고, 구분 실링부(17c) 및 보조 구분 실링부(17d)와 배출 포트(16)와의 배치 관계는, 도 16,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에 있어서의 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끼리 간의 폐쇄 부분 Sx에 있어서 보조 구분 실링부(17d)를 협지하는 상태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17c)의 배치 간격θd를, 배출 포트(16)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 이상으로 하고 있다. 또, 바닥 판(10a)의 하면 y에 있어서의 배출 포트(16)끼리 간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을, 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끼리 간의 폐쇄 부분 Sx에 있어서의 구분 실링부(17c)와 보조 구분 실링부(17d)와의 배치 간격θe(=1/2θd) 이상으로 하고 있다(즉, θd≥θm, 또한θn≥θe).
또, 실링 부재(17)는,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에 형성한 홈 z에 선형의 각 실링부(17a)~(17d)를 끼워넣는 형태로 밸브 천정판(22)에 장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나타낸 전환 장치(4)인 회전식 전환 밸브의 경우, 실링 부재(17)에 있어서의 구분 실링부(17c) 및 보조 구분 실링부(17d)와 배출 포트(16)와의 배치 관계의 구체적 일례로서는, 다음의 예를 들 수 있다.
가스 공급용의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를 협지하는 구분 실링부(17c)의 배치 간격θa= 131˚
퍼지용의 주밸브 포트(퍼지용 포트(34))를 협지하는 구분 실링부(17c)의 배치 간격θb= 8˚
가스 배출용 주밸브 포트(35)를 협지하는 구분 실링부(17c)의 배치 간격θc= 131˚
보조 구분 실링부(17d)를 협지하는 구분 실링부(17c)의 배치 간격θd= 30˚
구분 실링부(17c)와 보조 구분 실링부(17d)의 배치 간격θe= 15˚
배출 포트(16)의 회전 방향 폭θm= 30˚
배출 포트(16)끼리 간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 15˚(그리고, 본 예에 있어서 간격θa~θe는 각각, 중심 간격)
한편, 기실기용의 실링 부재(25)에 대하여는, 기실기(11)의 상단 개구 주위 둘레부에 실링 부재(25)를 장착하여, 그 실링 부재(25)를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밸브 바닥판(23)의 하면에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형식이며, 기실기(11)의 상단 개구 주위둘레부에 형성한 환형 홈에 실링 부재(25)를 끼워넣는 형태로 기실기(11)의 상단 개구 주위 둘레부에 기실기용의 실링 부재(25)를 장비하고 있다.
이상 요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과 분배기(10)의 바닥판(10a)은 근접 면대향 상태로 상대 회전하는 주밸브 부재와 부밸브 부재를 구성한다. 또,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는 주밸브 부재의 부밸브 부재에 대한 대향면인 주대향면을 구성하고, 바닥판(10a)의 하면 y는 부밸브 부재의 주밸브 부재에 대한 대향면인 부대향면을 구성한다.
또, 가스 공급용의 접속 포트(13s), 기실기(13)의 내부 공간(13r), 가스 공급용의 연통 포트(37), 및 밸브체(11)의 가스 공급용의 내부유로(공급실(27))는,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주대향면)에 형성한 가스 공급용의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를 유로 포트로 하는 가스 공급용의 주유로를 구성한다. 또, 밸브체(11)의 가스 배출용의 내부유로(배출실(28)), 가스 배출용의 연통 포트(38), 밸브 장치(12)에 있어서의 밸브체(11) 주위의 기내(器內) 공간(12r), 및 가스 배출용의 접속 포트(12s)는,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주대향면)에 형성한 가스 배출용의 주밸브 포트(배출 포트(35)를 유로 포트로 하는 가스 배출용의 주유로(가스 배출로(40))를 구성한다. 또한, 분배기(10)의 중앙실(18), 통형 회전축(24)의 상단부의 연통 포트(24a), 통형 회전축(24)의 내부, 통형 회전축(24)에 형성된 퍼지용 연통 포트(36), 밸브체(11)의 퍼지실(31)은,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주대향면)에 형성한 퍼지용의 주밸브 포트(퍼지 포트(34))를 유로 포트로 하는 퍼지용의 주유로를 구성한다. 분배기(10)에 있어서의 복수개의 공급실(8) 및 복수개의 배출 통로(15)는, 바닥판(10a)의 하면 y(부대향면)에 형성한 복수개의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의 각각을 유로 포트로 하는 부유로(배출 통로(16)를 구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주대향면)와 바닥판(10a)의 하면 y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17)를, 상기 환형 밀봉(17a, 17b), 구분 실링부(17c), 및 보조 구분 실링부(17d)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도 17 (a)~(c) 참조), 주대향면 x에 있어서의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끼리 간의 폐쇄 부분 Sx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17c)의 배치 간격θd를, 부대향면 y에 있어서의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 이상으로 하는 동시에(θd≥θm), 부대향면 y에 있어서의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끼리 간의 폐쇄 부분 Sy의 회전 방향 폭θn를,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끼리 간의 폐쇄 부분 Sx에 있어서의 구분 실링부(17c)와 보조 구분 실링부(17d)와의 배치 간격θe 이상(θd >θn≥θe), 통과시키는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 및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를 상이하게 할 피처리 가스 G, 처리된 가스 G', 퍼지용 가스 G"끼리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실링 부재(17)를 주대향면 x에 설치하는 형식을 취하면서도, 실링 부재(17)의 형상의 특수화를 회피하면서, 부대향면 y에 있어서의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 각각의 회전 방향 폭θm(환언하면, 개구면적)를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를 밸브 천정판(22)에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8개의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를 바닥판(10a)에 형성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주밸브 부재의 주대향면에 형성하는 복수개의 주밸브 포트의 포트수, 및 부밸브 부재의 부대향면에 형성하는 복수개의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의 포트수는 각각, 3개 및 8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밸브 천정판(22)의 상면 x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끼리 간의 폐쇄 부분 Sx의 각각에서,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17c)끼리의 사이에 1개의 보조 구분 실링부(17d)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대신하여 도 18,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대향면 x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끼리 간의 폐쇄 부분 Sx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개의 보조 구분 실링부(17d)를 간격을 둔 상태로 주밸브 부재(22)와 부밸브 부재(10a)와의 상대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인접하는 구분 실링부(17c)끼리의 사이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주밸브 부재(22), 부밸브 부재(10a), 주밸브 포트(공급 포트(33), 퍼지용 포트(34), 배출 포트(35))를 유로 포트로 하는 복수개의 주유로, 각 부밸브 포트(배출 포트(16)를 유로 포트로 하는 복수개의 부유로 각각의 구체적 형상?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형상?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서로 근접 상태로 면대향하는 주대향면 x(밸브 천정판(22)의 상면) 및 부대향면 y(바닥판(10a)의 하면)를 원형의 면으로 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대신하여 주대향면 x 및 부대향면 y를 원통형의 면으로 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전환 밸브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가스로의 전환에 한정되지 않고, 유로의 전환을 필요한 각종의 용도에 적용할 수 있고, 대상으로 하는 유체도 기체, 액체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다른 실시예 2]
본 발명에 관한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 장치(4)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저항 조정 기구를 가지는 회전식 전환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언급하지 않는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처리 완료 가스 G'의 가스 배출로(40)를 접속하는 제1 공통 유로 포트(접속 포트(12s))를 밸브 장치(12)의 주위에 있어서의 밸브체 회전 방향의 일부 개소에 형성하는 것에 대하여, 밸브 장치(12) 내에서의 밸브체(11) 주위의 제1 유로실(기내 공간(12r))에는, 밸브체 회전 방향에 있어서 접속 포트(12s)의 상부측 및 하부측에 걸친 소정 각도 범위α에서 밸브체(11)의 밸브 주위벽(21)에 대하여 따르는 상황으로 배치한 호형(弧形)의 고정 저항판(51)이 설치되어 있고, 밸브체(11)에 있어서의 제1 내부유로(배출실(28))의 밸브 장치용의 공통측 개구(연통 포트(38)가 도 22 및 도 23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접속 포트(12s)에 가까워졌을 때, 이 고정 저항판(51)을 접속 포트(12s)로부터 밸브체(11) 측으로 멀어진 개소에서 제1 내부유로(배출실(28))의 공통측 개구(연통 포트(38))에 대하여 면대향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이 고정 저항판(51)은, 저항 조정 수단 r로서 기능한다. 배출실(28)의 연통 포트(38)가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밸브 장치(12)의 접속 포트(12s)에 가까워졌을 때(도 22, 도 23 (a)), 배출실(28)의 선택측 개구(배출 포트(35)에 대하여 대향하여 연통 상태에 있는 바닥판(10a) 측의 배출 포트(16)와 접속 포트(12s) 사이의 가스 경로에 가스 통과 저항을 부여하는 작용 상태로 된다.
밸브체(11)에 있어서의 배출실(28)의 연통 포트(38)가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밸브 장치(12)의 접속 포트(12s)로부터 멀어졌을 때(도 20, 도 23 (c)), 그 저항 부여를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된다. 즉, 배출실(28)의 연통 포트(38)가 접속 포트(12s)에 가까워졌을 때는, 고정 저항판(51)이 연통 포트(38)에 대하여 면대향하는 상태로 되므로, 그 고정 저항판(51)에 의해 연통 포트(38)와 접속 포트(12s) 사이에 있어서 가스 통과 저항이 부여된다. 한편, 연통 포트(38)가 접속 포트(12s)로부터 멀어졌을 때는, 배출실(28)의 연통 포트(38)가 고정 저항판(51)의 면대향으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되어, 접속 포트(12s)와 고정 저항판(51) 사이의 이격 간극 S를 통해 배출실(28)의 연통 포트(38)와 접속 포트(12s)가 연통되는 상태로 되어, 가스 통과 저항의 부여가 해제된다.
또, 이 고정 저항판(51)에 의한 가스 저항의 부여 및 그 해제에서는, 도 23 (a)~(d)의 순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 포트(38)가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접속 포트(12s)에 가까와질 수록, 연통 포트(38)에 대한 고정 저항판(51)의 대향 면적이 커져, 부여 저항이 점차적으로 증대한다. 한편, 연통 포트(38)가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른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접속 포트(12s)로부터 멀어질 수록, 연통 포트(38)에 대한 고정 저항판(51)의 대향 면적이 작아져, 부여 저항이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통 포트(38)가 접속 포트(12s)에 가까워졌을 때, 배출실(28)의 공통측 개구 연통 포트(38)와 접속 포트(12s)와의 사이의 가스 경로에 대하여 가스 통과 저항을 부여하고, 한편, 배출실(28)의 연통 포트(38)가 접속 포트(12s)로부터 멀어졌을 때, 그 저항 부여를 해제함으로써, 접속 포트(12s)와 연통 포트(38) 사이의 유로 길이 변화에 기인하여 생기는 통과 가스(처리 완료 가스 G' 및 피처리 가스 G)의 주기적인 풍량 변동을 방지한다. 그 결과, 풍량 변동에 기인하는 장치 성능의 저하나 운전 트러블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51a)는 접속 포트(12s) 사이에 이격 간극 S를 확보한 상태로 고정 저항판(51)을 밸브 장치(12)의 주위벽에 연결 지지하는 다리 부재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유로실(기내 공간(12r)) 측의 고정 저항판(51)만을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대신하여 제2 내부유로(공급실(27))의 기실기(13)용의 공통측 개구(연통 포트(37))가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밸브체 회전 방향으로의 이동에 있어서 제2 유로실(내부 공간(13r))의 제2 공통 유로 포트(접속 포트(13s))에 가까워졌을 때, 그 내부 공간(13r)으로부터 밸브체(11) 측으로 멀어진 개소에서 연통 포트(37)에 대하여 면대향하는 상태로 되는 도면 중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유로실(내부 공간(13r)) 측의 고정 저항판(52)만을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된다. 또는, 이들 제1 유로실(기내 공간(12r)) 측의 고정 저항판(51)과 제2 유로실(내부 공간(13r)) 측의 고정 저항판(52)의 양쪽을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저항 조정 수단 r을 구성하기 위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고정 저항판(51)(또는 (52))을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저항 조정 수단 r의 구체적 구성은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밸브체(11)의 회전과 연계하여 작용 상태와 해제 상태로 전환 동작하는 밸브 등이라도 된다.
또, 저항 조정 수단 r은, 밸브체(11)의 회전에 따라 부여 저항을 점차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식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지 않고, 부여 저항을 단계적으로 변화시키는 방식의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작용 상태에서 일정한 저항을 부여하여 해제 상태에서는 그 저항 부여를 해제할 뿐인 것으로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서는, 밸브 장치(12)의 내부 공간(12r)을 처리 완료 가스 G'측의 제1 유로실로 하고, 기실기(13)의 내부 공간(13r)을 피처리 가스 G 측의 제2 유로실로 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의 실시에 있어서는, 이와는 역으로, 밸브 장치(12)의 내부 공간(12r)을 피처리 가스 G 측의 제2 유로실로 하고, 기실기(13)의 내부 공간(13r)을 처리 완료 가스 G'측의 제1 유로실로 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전환 밸브는, 내부유로로서 제1 및 제2의 2개의 내부유로를 밸브체(11)에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내부유로만을 밸브체에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 그 용도도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가스 통과 경로의 전환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분야에 있어서의 각종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대상 유체도 기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의한 회전식 전환 밸브의 실시에 있어서, 밸브시트판, 밸브체, 내부유로, 유로실 등의 각 부의 구체적 구조도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구성 변경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 3]
본 발명에 관한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는, 도 24 내지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 기구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각 축열재층(5)의 처리 완료 가스 출구(즉, 축열재층(5)의 하단부)로부터 전환 장치(4)인 회전식 전환 밸브에 이르는 풍로 부분 중 축열실(3) 각각에서의 축열재층(5)의 하부에는, 축열재층(5)을 통과하는 가스의 온도 t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 축열재층 통과 후의 처리 완료 가스 G'에 대하여 냉각수 W를 분사하여 처리 완료 가스 G'를 냉각시키는 분수(噴水) 노즐(54)이, 그 순서로 처리 완료 가스 흐름 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냉각수 W는 펌프(53)에 의해 급수로(54A)를 통해서 각 분수 노즐(54)에 대하여 공급된다.
각 분수 노즐(54)에 대한 급수로(54A)에는, 각 분수 노즐(54)에 있어서의 냉각수 W의 분사를 작동 및 정지하기 위한 개폐 밸브(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개폐 밸브(55)는, 각 온도 센서 s에 의한 검출 온도 t 및 설정 온도 ts에 따라 제어 장치 C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상세하게는,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 s에 의한 검출 온도 t가 설정 온도 ts 이상으로 되었을(t≥ts) 때, 그 온도 센서 s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55)를 열어, 대응하는 분수 노즐(54)로부터 냉각수 W를 분사한다. 한편, 어느 하나의 온도 센서 s에 의한 검출 온도 t가 설정 온도 ts 미만으로 되었을(t<ts) 때, 그 온도 센서s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55)를 닫아서, 대응하는 분수 노즐(54)로부터 냉각수 W의 분사를 정지한다.
분수 노즐(54)로부터의 냉각수 분사에 있어서의 상기 설정 온도 ts로서 적당한 온도를 설정함으로써, 각 축열실(3)에 대하여 고온의 처리 완료 가스 G'가 통과할 때는, 그 축열실(3)의 분수 노즐(54)로부터 냉각수 W를 분사시켜, 처리 완료 가스 G"을 냉각시키고, 그 고온의 처리된 가스 G'에 의한 실링 부재(17, 25)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축열실(3)에 설치한 온도 센서 s의 검출 온도 t에 따라 대응하는 분수 노즐(54)을 작동시킴으로써, 처리 완료 가스 G'가 통과하는 축열실(3)이 차례로 전환되는 것에 대응하여, 냉각수 W를 분사시키는 분수 노즐(54)도 차례로 전환된다.
가스 냉각 기구는 전술한 구성에 대신하여, 도 9 ~ 도 12에 나타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냉각 수단인 분수 노즐(54)을 밸브체(11)의 가스 배출용의 내부유로(배출실(28) 내에 설치하고 배출 포트(35)를 향해 냉각수 W를 분사하여, 바닥 판(10a)의 배출 포트(16)를 통해서 분배기(10) 내의 처리 완료 가스 G'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분사 노즐(54), 급수로(54A), 개폐 밸브(55), 펌프(53), 온도 센서 s 및 제어 장치 C는 냉각 수단을 구성한다. 또, 온도 센서 s 및 제어 장치 C는 연동 수단을 구성한다.
냉각 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신하여 이하의 형태라도 된다.
도 28 내지 도 30, 분수 노즐(54)은, 밸브체(11)의 배출실(28)에 있어서 통형 회전축(24)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3개 연장되어 있으므로, 통형 회전축(24) 내에 설치된 급수로(54A)와 접속되고, 급수로(54A)를 통해서 공급되는 냉각수 W를 배기용 개구(35)의 전역으로부터 분배기(10) 내에 냉각수 W가 진입하도록 분사하여, 분배기(10) 내의 처리 완료 가스 G'를 냉각시킨다.
분수 노즐(54) 및 급수로(54A)는, 밸브체(1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냉각수 W는, 기실기(13)의 하방 위치의 통형 회전축(24)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권취되어 있는 공급부(54B)에 펌프(53)에 의해 공급된다. 그 공급부(54B)로부터 통형 회전축(24)의 공급부 설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급수로(54A)의 유입 포트(5a)를 통해서 급수로(54A)에 유입되어, 분수 노즐(54)로부터 분사된다.
펌프(53)는, 각 축열실(3)에 있어서의 축열재층(5)의 아래쪽에 설치된 온도 센서 s에 의한 검출 온도 t에 따라 제어 장치 C에 의해 냉각수 W의 배출 작동이 제어되고 있다. 제어 장치 C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 s 중 적어도 1개의 온도 센서 s의 검출 온도 t가, 설정 온도 ts 이상일 때(즉, 실링 부재(17, 25)의 열손상을 초 래할 우려가 있는 온도의 처리 완료 가스 G'가 어느 하나의 축열실(3)을 통과하고 있을 때), 펌프(53)를 작동하여 냉각수 W를 분수 노즐(54)로부터 분사시킨다. 한편, 모든 온도 센서 s의 검출 온도 t가, 설정 온도 ts 미만일 때, 펌프(53)를 정지시켜 분수 노즐(54)로부터의 냉각수 W의 분사를 정지한다.
이 구성이면, 소수의 분수 노즐(54), 급수관(54a) 및 개폐 밸브(55)에 의해, 실링 부재(17, 25)가 열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 온도 ts에 적당한 온도를 설정하면, 피처리 가스 G나 퍼지용 가스 G"가 축열실(3)을 통과할 때의 분수 노즐(54)로부터의 불필요한 냉각수 분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실링 부재(17, 25)의 열손상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온도의 처리 완료 가스 G'가 축열실(3)을 통과할 때의 분수 노즐(54)로부터의 불필요한 냉각수 분사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소실(6)로부터의 처리 완료 가스 G'를 냉각시키는 냉각 수단으로서 분수 노즐(54)을 채용하고, 분수 노즐(54)로부터 냉각수 W를 처리 완료 가스 G'에 대하여 분사하여, 처리 완료 가스 G'를 냉각하고 있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냉풍을 분사하는 공냉 장치나, 처리 완료 가스와 냉각용 열매체를 전열벽(傳熱壁)을 통하여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등의 그 외의 냉각 수단을 채용하여 처리 완료 가스 G'를 냉각시키는 구성이라도 되고, 또, 냉각 수단으로서 냉각수 W를 분사하는 노즐(54)을 채용하는 경우, 냉각수 W의 분사 형태는 분무형나 샤워형 등, 어떠한 형태를 채용해도 된다.
또, 냉각 수단으로서 냉각수 W를 분사하는 노즐(54)을 채용하는 경우, 분사 한 냉각수 W를, 전환 수단에서의 실링 부재(특히 배출 포트(35)의 근방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17))에 직접 걸치도록 하여, 처리 완료 가스 G'와 함께 실링 부재를 직접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냉각 수단으로서의 분수 노즐(54)을 각 축열실(3)에 있어서의 축열재층(5)의 하부에 설치하고, 제2 실시예에서는 분수 노즐(54)을 회전식 전환 밸브에 있어서의 밸브체(11)의 배출실(28)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었지만, 냉각 수단의 설치 위치는, 연소실(6)에 대한 가스 배출 통로 중, 축열재층(5)의 각각에서의 축열실(3)의 처리 완료 가스 G'의 출구로부터, 회전식 전환 밸브에 이르는 풍로 부분(배출 통로(15) 및 공급실(8)), 또는 전환 수단에서의 처리 완료 가스 G'의 입구 부분(배기용 개구(35)의 부분)이면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온도 센서 s에 의한 검출 온도 t에 따라 냉각 수단을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전환하고 있었지만, 냉각 수단을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전환하는 구성은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또, 연소실(3)로부터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 G'의 온도를, 냉각 수단에 의한 냉각 개소보다 처리 완료 가스 흐름 방향의 상류측으로 온도 센서 s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 온도 t에 따라 냉각 수단의 처리 완료 가스 G'에 대한 냉각량(예를 들면, 분수 노즐(54)로부터의 분사 수량)을 조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또, 복수개의 냉각 수단을 전환 수단에 의한 가스 통과 상태의 전환에 따라 전환 작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장비하는 경우, 그 연동 수단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 검출에 따른 냉각 수단의 전환 작동에 한정 되지 않고, 각종의 전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축열재층(5)의 정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피처리 가스 G를 연소실(6)에서의 연소에 의해 처리하여 처리 완료 가스 G'를 배출로(40)에 배출하는 가스 처리 운전을 어느 기간 실시하면, 각 축열재층(5)에 있어서의 아래쪽 부분(즉, 처리 완료 가스 G'의 출구측 부분)에 레진(resin)형의 연소 부생물이나 먼지 등이 축적되고, 이 축적에 의해, 축열재층(5)의 통과 저항이 커지게 되는 등에 의해, 가스 처리 능력이 저하되어 버리므로, 이들 레진형의 연소 부생물(副生物)이나 먼지 등의 퇴적물을 피정화물로서 연소나 증발에 의해 축열재층(5)로부터 제거하는 정화 운전을 정기적으로 실행하지만, 그 정화 운전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가스 처리 운전시에 있어서의 처리 완료 가스 G'에 대신하여, 연소실(6)에서 가열한 정화용 가스 g를 일부의 축열재층(5)(회전 밸브체(11)의 배기용 개구(35)에 통과하는 축열재층(5))에 대하여, 가스 처리 운전시에 있어서의 피처리 가스 G나 처리 완료 가스 G'의 통과시간보다 장시간에 걸쳐 통풍하고, 이 정화용 가스 g의 통풍에 의해, 이들 축열재층(5)에 있어서의 처리 완료 가스 G'의 출구측 부분의 온도를 소정의 정화 온도로 유지함으로써, 그 출구 부분에 있어서의 피정화물(레진형의 연소 부생물이나 먼지)을 연소 또는 증발시키고, 이들 연소 또는 증발시킨 피정화물을 정화 작용 후의 정화용 가스 g'와 함께 가스 처리 운전시에 있어서의 처리 완료 가스 G'와 동일 경로에서 전환 장치(4)를 통해서 배출로(40)에 배출함으로써, 축열재층(5)을 정화한다.
그리고, 전환 장치(4)에 의한 가스 통과 상태의 전환에 의해, 정화용 가스 g를 통풍하는 축열재층(5)을 전환함으로써, 각 축열재층(5)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정화 운전을 차례로 실시하고, 이로써, 모든 축열재층(5)을 정화한다.
또, 이 정화 운전에 있어서는, 가스 처리 운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온도 센서 s의 검출 온도 t에 따른 분수 노즐(54)로부터의 냉각수 분사를 제어 장치 C에 실행시키고, 이로써, 정화 작용 후의 정화용 가스 g'에 의한 실링 부재(17) 및 실링 부재(25)의 열손상을 방지한다.
이상, 본 실시예의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가스 처리 운전시 및 정화 운전시의 어딘가에 있어서도, 전환 장치(4)에 있어서의 실링 부재(17) 및 실링 부재(25)의 열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 처리 운전시에 있어서 처리 완료 가스 G'에 의한 실링 부재(17, 25)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에 도입하는 피처리 가스 G의 온도나 연소실(6)에서의 연소 온도의 제한이 완화되어, 장치의 범용성 및 연소 처리의 처리 성능도 향상되고, 또한 양 실링 부재(17, 25)의 교환 등의 유지보수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실링면에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정화 운전시에 있어서 정화 작용 후의 정화용 가스 g'에 의한 실링 부재(17, 25)의 열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정화 작용 후의 정화용 가스를 배출하는 전용의 정화용 가스 방출 풍로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도, 정화 작용 후의 정화용 가스를 전환 장치(4)를 통해서 배출할 수 있고, 그 전환 장치(4)에 의한 전환에 의해, 각 축열재층(5)에 대한 정화 운전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4]
본 발명의 축열식 배기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1) 및 칸막이벽(2)은, 도 32 내지 도 34에 나타낸 구성이라도 된다.
하우징(1)은, 외측의 스테인레스판(1a)과 내측의 내화 단열 블록(1b)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의 내측에는, 칸막이벽(2)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 F가 형성되어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축열실(3)을 나누는 칸막이벽(2)은, 벽의 주재료로서 비금속성 무기 재료인 세라믹스 섬유재를 판형으로 성형한 세라믹스 섬유 보드(2a)와 박막형 금속재인 대략 0.05mm 두께의 호일(foil)형의 스테인레스재(2b)로 형성되어 있다. 그 칸막이벽(2)의 구조는 1개의 세라믹스 섬유 보드(2a)의 일면에 1개의 호일형 스테인레스재(2b)를 접착하고 있는 2개의 벽재(2A)를, 호일형 스테인레스재(2b)끼리가 서로 대향하여 맞닿도록 중첩된 상태에서, 하우징(1)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홈 F에 끼워맞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세라믹스 섬유 보드(2a)는, 벽의 주재료로서 수축율이 극히 작고, 또한 강성을 구비하고, 내열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여 경량이므로 취급성이 양호하다.
또, 박막 상태 금속재로서 내열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여 비교적 염가인 호일형 스테인레스재(2b)를 사용함으로써, 칸막이벽(2)의 비용면 및 제작면에서 유리하게 할 수 있다. 또, 스테인레스재는 내식성도 우수하므로, 부식성 가스를 취급하는 경우에도 양호한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5]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실링부의 가압 구조는 전술한 구조에 대신하여 도 35에 나타낸 구조로 할 수 있다.
기실기(13)를 설치 가대(14)의 하부 프레임(14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해, 하부 프레임(14a)와 기실기(13) 사이에는, 지지구로서 기실기(13)를 탄성적으로 위쪽으로 가압(즉,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44C)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기실기(13) 및 밸브체(11)의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를 허락하는 지지 상태 하에서, 이 코일 스프링(44C)에 의해 기실기(13)를 위쪽으로 가압함으로써, 기실기(13)를 통하여 밸브체(11)를 코일 스프링(44C)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즉,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한다.
즉, 이와 같이 밸브체(11)를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장비의 실링 부재(17)를, 밸브체(11)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킨다. 이로써, 분배기(10)와 밸브체(11) 사이에서 실링 부재(17)를 확실하게 실링 기능시켜, 분배기(10)의 바닥판(10a)과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 사이의 간극을 통한 공급 포트(34)로 배출 포트(35)의 연통, 및 공급 포트(34)와 퍼지용 포트(34)와의 연통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실기(13)를 코일 스프링(44C)에 의해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기실기(13)를 통하여 밸브체(11)를 분배기(12) 측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장비의 실링 부재(17)를 상기와 같이 밸브체(11) 의 밸브 천정판(22)에 압력접촉시키는 동시에, 기실기(13)의 상단 개구 둘레부에 장비의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25)도, 기실기(13)에 의해 가압하는 형태로 밸브체(11)의 밸브 바닥판(23)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킨다. 이로써, 기실기(13)로부터의 밸브 장치(12) 내로의 피처리 가스 G의 누출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중(49')는, 코일 스프링(44C)에 대한 베어링 시트(48')의 위치를 조정하는 더블 너트기구이다. 베어링 시트(48')의 위치 조정에 의해, 기실기(13) 및 밸브체(11)에 대한 코일 스프링(44C)의 가압력(환언하면,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대한 실링 부재(17)의 압력접촉력, 및 밸브체(11)의 밸브 바닥판(23)에 대한 실링 부재(25)의 압력접촉력)을 조정한다.
또, 기실기(13) 및 밸브체(11)의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밸브체(11)에 있어서의 통형 회전축(14)의 상단부는, 대상축(對相軸)의 축심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허락하는 베어링(47)을 통하여 분배기(10)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 구동축(41)은 대상축의 축심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을 허락하는 커플링(45')를 통하여 감속기(42)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 요컨대, 밸브체(11)를 분배기(10)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여 가압 수단에 의해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분배기(10)의 바닥판(10a)에 장비의 실링 부재(17)를 밸브체(11)의 밸브 천정판(22)에 대하여 확실하게 압력접촉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밸브체(11)를 분배기(10)와 기실기(13) 사이에 배치한 구성에 있어서, 밸브체(11)를 가압 수단에 의해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하기 위해, 기실기(13)를 가압 수단에 의해 밸브체(11)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기실기(13)를 통하여 밸브체(11)를 가압 수단에 의해 분배기(10) 측으로 가압하는 구조로 하고, 그리고, 가압 수단으로서는 코일 스프링(44C)을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 또 회전식 축열 장치로 사용하는 전환 장치용의 회전식 전환 밸브 및 그 외의 용도에 사용하는 회전식 전환 밸브로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26)

  1. 축열재(蓄熱材)를 수용한 복수개의 축열실을 설치하고, 연소 수단을 구비한 연소실에 상기 축열실 각각의 일단을 연통시키고,
    분배기와 기실기(氣室器; gas chamber device) 사이에 상기 분배기와 상기 기실기 각각에 대한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축열실 각각의 타단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배출 포트를 상기 밸브체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기 분배기에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는 피처리 가스용 공급 포트와 처리 완료 가스용 배출 포트를 이들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동일한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밸브체에 형성하고,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공급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배출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연통을 차단하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기실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가스 누출을 저지하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상기 기실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 공급로로부터 상기 밸브체에 도입되는 피처리 가스를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서 상기 분배기 측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분배기 측으로부터 상기 배출 포트를 통해서 상기 밸브체로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를 가스 배출구에 도출(導出)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분배기에 대한 원근(遠近) 방향에서의 변위를 자유롭게 하는 밸브체 지지용의 부재를 상기 밸브체와 장치의 설치 가대 사이에 개재시키고, 또한 상기 기실기의 상기 밸브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를 자유롭게 하는 기실기 지지용의 부재를 상기 기실기와 상기 설치 가대 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밸브체와 상기 기실기 각각을 변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설치 가대에 장비하고,
    상기 기실기에 대해서는 비작용의 상태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분배기의 측으로 가압하는 밸브체용의 가압 수단을 상기 밸브체와 상기 설치 가대 사이에 설치하고, 또한 상기 기실기를 상기 밸브체의 측으로 가압하는 기실기용의 가압 수단을 상기 기실기와 상기 설치 가대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체용의 가압 수단 및 기실기용의 가압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와 상기 기실기 각각을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2. 삭제
  3. 축열재를 수용한 복수개의 축열실을 설치하고, 연소 수단을 구비한 연소실에 상기 축열실 각각의 일단을 연통시키고,
    분배기와 기실기 사이에 상기 분배기와 상기 기실기 각각에 대한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회전되는 밸브체를 설치하고, 상기 축열실 각각의 타단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배출 포트를 상기 밸브체의 회전 방향으로 배열하여 상기 분배기에 형성하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차례로 대향하여 연통되는 피처리 가스용 공급 포트와 처리 완료 가스용 배출 포트를 이들 공급 포트와 배출 포트가 동일한 상기 배출 포트에 대하여 동시에 대향하여 연통되지 않는 상태로 배치하여 상기 밸브체에 형성하고,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공급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공급 포트에 연통시키거나, 또는 상기 기실기를 통하여 가스 배출로를 상기 밸브체에 있어서의 상기 배출 포트에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기실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가스 누출을 저지하는 기실기 측의 실링 부재를 상기 기실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밸브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스 공급로로부터 상기 밸브체에 도입되는 피처리 가스를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서 상기 분배기 측에 공급하고, 또한 상기 분배기 측으로부터 상기 배출 포트를 통해서 상기 밸브체로 배출되는 처리 완료 가스를 가스 배출로에 도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로서,
    상기 밸브체의 상기 기실기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를 자유롭게 하는 밸브체 지지용의 부재를 상기 밸브체와 장치의 설치 가대 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밸브체를 변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설치 가대에 장비하고,
    상기 분배기에 대해서는 비작용의 상태로 상기 밸브체를 상기 기실기의 측으로 가압하는 밸브체용의 가압 수단을 상기 밸브체와 상기 설치 가대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체용의 가압 수단에 의하여 상기 밸브체를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의 간극을 통한 상기 공급 포트와 상기 배출 포트의 연통을 차단하는 분배기 측의 실링 부재를 상기 분배기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분배기의 상기 밸브체에 대한 원근 방향에서의 변위를 자유롭게 하는 분배기 지지용의 부재를 상기 분배기와 장치의 설치 가대 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분배기를 변위 가능한 상태로 상기 설치 가대에 장비하고,
    상기 분배기를 상기 밸브체의 측으로 가압하는 분배기용의 가압 수단을 상기 분배기와 상기 설치 가대 사이에 개재시키고, 상기 분배기용의 가압 수단에 의하여 상기 분배기를 상기 밸브체용 가압 수단에 의한 상기 밸브체의 가압과는 별도로 가압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5.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용 가압 수단은 상기 밸브체의 회전축에 대하여 이를 신장 또는 단축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신축부를, 상기 회전축에 대한 구동 수단과 상기 밸브체 사이에 배치하여 상기 회전축에 설치하고,
    상기 밸브체용 가압 수단은 상기 신축부보다 상기 밸브체 측의 회전축 부분에 대하여 가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밸브체용 가압 수단은 상기 회전축의 축심(軸心) 주위에 등간 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KR1020067026836A 2004-06-28 2005-06-28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KR1011855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9497 2004-06-28
JP2004189497A JP2006010247A (ja) 2004-06-28 2004-06-28 回転式切換弁、及び、それを用いた蓄熱式ガス処理装置
JP2004284326A JP4526912B2 (ja) 2004-09-29 2004-09-29 蓄熱式ガス処理装置の運転方法、及び、その運転方法に用いる蓄熱式ガス処理装置
JPJP-P-2004-00284326 2004-09-29
JP2004373449A JP4439391B2 (ja) 2004-12-24 2004-12-24 蓄熱式ガス処理装置
JPJP-P-2004-00373449 2004-12-24
PCT/JP2005/011793 WO2006001437A1 (ja) 2004-06-28 2005-06-28 蓄熱式ガス処理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009A Division KR101185512B1 (ko) 2004-06-28 2005-06-28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KR1020127012008A Division KR101220126B1 (ko) 2004-06-28 2005-06-28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6615A KR20070026615A (ko) 2007-03-08
KR101185511B1 true KR101185511B1 (ko) 2012-09-24

Family

ID=357818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009A KR101185512B1 (ko) 2004-06-28 2005-06-28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KR1020127012008A KR101220126B1 (ko) 2004-06-28 2005-06-28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KR1020067026836A KR101185511B1 (ko) 2004-06-28 2005-06-28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009A KR101185512B1 (ko) 2004-06-28 2005-06-28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KR1020127012008A KR101220126B1 (ko) 2004-06-28 2005-06-28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40026B2 (ko)
KR (3) KR101185512B1 (ko)
CN (2) CN101603604B (ko)
WO (1) WO20060014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90B1 (ko) * 2014-03-28 2014-11-04 유문하 레일구동형 댐퍼가 구비된 축열식 연소산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4704B2 (ja) * 2006-06-20 2011-11-16 株式会社大気社 蓄熱式ガス処理装置
DE102007024644A1 (de) 2007-05-24 2008-11-27 Deere & Company, Moline Vorrichtung zum Übertragen elektrischer Energie von einem landwirtschaftlichen Arbeitsfahrzeug auf ein an das Arbeitsfahrzeug ankoppelbares Anbaugerät
ITMI20080115A1 (it) * 2008-01-25 2009-07-26 Polaris Srl Apparecchio e metodo per distribuire una pluralita' di correnti di fluido attraverso una pluralita' di camere, in particolare per attuare processi di adsorbimento.
IT1398847B1 (it) * 2010-02-18 2013-03-21 Ostini Impianto per depurare gas di scarico industriale
US9228785B2 (en) 2010-05-04 2016-01-05 Alexander Poltorak Fractal heat transfer device
US10852069B2 (en) * 2010-05-04 2020-12-01 Fractal Heatsink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efficiency of a fractal heat sink
US9557115B2 (en) * 2010-10-28 2017-01-31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Orifice plate for controlling solids flow, methods of us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US9617087B2 (en) 2010-10-28 2017-04-11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Control valve and control valve system for controlling solids flow,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and articles comprising the same
CN101986036B (zh) * 2010-11-08 2012-05-09 北京神雾环境能源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蓄热体旋转换热装置
CN102486312A (zh) * 2010-12-01 2012-06-06 上海同利环境科技有限公司 蓄热式热力燃烧净化装置
CN102330994A (zh) * 2011-09-08 2012-01-25 林杰 旋转型蓄热式热交换器
CN102829485B (zh) * 2012-09-24 2015-01-14 中南大学 一种卧式蓄热式高效热交换器
US20150211805A1 (en) * 2014-01-29 2015-07-30 Kunshan Jue-Chung Electronics Co., Ltd. Thermostat module
CN105509072B (zh) * 2016-02-03 2018-02-13 广东环葆嘉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旋转换向阀和旋转蓄热式废气焚烧装置
WO2018005592A1 (en) 2016-06-28 2018-01-04 University Of Iowa Research Foundation Medical devices including rotary valve
KR101754758B1 (ko) * 2017-01-12 2017-07-10 주식회사 이엠솔루션 축열식 연소 산화 장치
CN107191628B (zh) * 2017-07-06 2018-12-04 西安昱昌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旋转式蓄热氧化炉的换向阀
CN107143669B (zh) * 2017-07-06 2018-12-04 西安昱昌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蓄热式燃烧装置用旋转阀
CN107166049B (zh) * 2017-07-12 2023-05-16 江苏中科机械有限公司 蓄热燃烧装置的旋转自动清洁式切换阀
CN107192516B (zh) * 2017-07-16 2023-04-21 江苏中科机械有限公司 蓄热燃烧系统旋转式换向阀的气环密封检测装置
CN108211785A (zh) * 2018-03-23 2018-06-29 云汇环保科技南通有限公司 一种蓄热式催化氧化装置
US11181267B2 (en) * 2019-12-10 2021-11-23 Dustex Llc Regenerative oxidizer arrangement
US20230359230A1 (en) * 2022-05-03 2023-11-09 Electra Ae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luid Flow
KR102526051B1 (ko) * 2022-09-30 2023-04-26 (주)에어릭스 로터리 밸브 및 그 밸브를 사용하는 축열식 연소 산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940A (ja) * 1996-08-22 1998-03-06 Chugai Ro Co Ltd 蓄熱式燃焼設備の分配弁装置
JP2001074225A (ja) * 1999-09-03 2001-03-23 Fueroo:Kk 蓄熱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3018A (en) * 1925-08-24 1928-06-12 William Robert Wilson Valve for reversing furnaces
US4578918A (en) * 1983-09-01 1986-04-01 Combustion Engineering, Inc. Insulation anchor
JPS6075898A (ja) 1983-09-30 1985-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単語音声認識装置
JPS6139598A (ja) 1984-07-30 1986-02-25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レジストパタ−ン形成法
JPH06257349A (ja) 1993-03-04 1994-09-13 Itoki Crebio Corp 耐火断熱壁
JP3312055B2 (ja) 1993-06-03 2002-08-05 株式会社大氣社 回転吸脱着式ガス処理装置
JPH07305824A (ja) 1994-05-11 1995-11-21 Daikin Ind Ltd 蓄熱式触媒燃焼装置の運転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3310503B2 (ja) 1994-10-14 2002-08-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工業用炉および蓄熱燃焼用バーナ
TW278124B (ko) * 1994-10-14 1996-06-11 Toyota Motor Co Ltd
JPH0953888A (ja) 1995-08-14 1997-02-25 Chugai Ro Co Ltd 炉内断熱構造
JPH09217918A (ja) 1996-02-14 1997-08-19 Taikisha Ltd 蓄熱型気体処理装置
JP3711191B2 (ja) 1997-06-17 2005-10-26 大阪瓦斯株式会社 蓄熱式交番燃焼炉の金属蒸着防止方法
DE19747905C1 (de) 1997-10-30 1999-01-28 Chemisch Thermische Prozestech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schadstoffhaltigem Abgas
JP2001007425A (ja) 1999-06-17 2001-01-12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増幅器
CN2418322Y (zh) * 2000-03-21 2001-02-07 西安力利科技产业总公司 用于平面旋转阀的组合密封装置
JP4215375B2 (ja) 2000-04-26 2009-01-28 株式会社大気社 蓄熱型の燃焼式ガス処理装置
CN2449025Y (zh) * 2000-10-27 2001-09-19 浙江新圣机械有限公司 一种旋转分配阀
US6669472B1 (en) * 2002-08-28 2003-12-30 Megtec Systems, Inc. Dual lift system
CN2567414Y (zh) * 2002-08-29 2003-08-20 王信发 流体控制阀的流道切换改良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1940A (ja) * 1996-08-22 1998-03-06 Chugai Ro Co Ltd 蓄熱式燃焼設備の分配弁装置
JP2001074225A (ja) * 1999-09-03 2001-03-23 Fueroo:Kk 蓄熱式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390B1 (ko) * 2014-03-28 2014-11-04 유문하 레일구동형 댐퍼가 구비된 축열식 연소산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03603B (zh) 2011-06-15
CN101603604B (zh) 2011-11-16
KR20120065448A (ko) 2012-06-20
US20080029001A1 (en) 2008-02-07
KR101185512B1 (ko) 2012-09-24
KR20120065447A (ko) 2012-06-20
CN101603604A (zh) 2009-12-16
WO2006001437A1 (ja) 2006-01-05
US7740026B2 (en) 2010-06-22
KR20070026615A (ko) 2007-03-08
CN101603603A (zh) 2009-12-16
KR101220126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511B1 (ko) 축열식 가스 처리 장치
CN100554781C (zh) 蓄热式气体处理装置
US8621883B2 (en) Rotating valve and heat pump
US6892750B2 (en) Switching valve
AU738814B2 (en) Consolidated poppet valve assembly
KR20010005847A (ko) 회전 재생식 산화장치
JP4150596B2 (ja) 切換弁シール
KR100196029B1 (ko) 연소장치용 열교환기
KR101091136B1 (ko) 진공펌프 열을 이용한 질소가스 분사장치
CA2316211C (en) Catalytic gas treatment device
KR100954736B1 (ko) 상부 연소장치와 직결되고 열팽창에 의한 간극 변형량을 흡수할 수 있는 분리조립형 로터리 밸브를 구비한 축열식연소장치
KR100936692B1 (ko) 열팽창에 의한 분리조립형 로터리 밸브와의 간극 변형량을 조절하는 디퓨저플레이트를 구비한 축열식연소장치
PL202601B1 (pl) Zespół zaworowy i regeneracyjny utleniacz cieplny
CN210165395U (zh) 蓄热式高温氧化设备
JP4204499B2 (ja) 回転式切換弁、及び、それを用いた蓄熱式ガス処理装置
US20140230919A1 (en) Valve seal for a diverter assembly
CN112013405A (zh) 蓄热式高温氧化炉
JP2006177638A (ja) 蓄熱式ガス処理装置
JPH11230382A (ja) フラッパ式三方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