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386B1 -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4386B1
KR101184386B1 KR1020100045933A KR20100045933A KR101184386B1 KR 101184386 B1 KR101184386 B1 KR 101184386B1 KR 1020100045933 A KR1020100045933 A KR 1020100045933A KR 20100045933 A KR20100045933 A KR 20100045933A KR 101184386 B1 KR101184386 B1 KR 101184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nursing
chart
facility
elder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319A (ko
Inventor
이지아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4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438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4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4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저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요양시설의 행정데이터와 입소자의 케어 데이터에 관한 요양시설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상기 요양시설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며,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를 이루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요양시설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 중에서 출력이 요청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전자기록 출력모듈; 그리고 상기 요양시설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상기 기록차트에 기록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Electronic Documenting/Managing Method of Nursing Home For Elders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 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인터넷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요양시설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규모가 다양한 요양시설의 업무관리 및 데이터 기록의 표준화를 구축할 수 있는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의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노인층의 인구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하고 현대인의 정신질환이나 뇌졸중과 치매 등 기타 다양한 노인성 질환을 케어(care)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노인 요양시설이나 기타 요양시설이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노인요양시설이나 기타 다른 요양시설이 양적으로 급속하게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요양시설의 체계적인 관리나 통합적인 관리 및 질적인 성장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미흡한 실정이다.
다시 말해서, 요양시설 시설의 양적 성장과 함께 시설의 체계적인 관리와 시설의 서비스 관리 또한 병행되어야 하는데, 현재 노인요양시설 기타 다른 요양시설에는 전반적인 서비스의 내용, 관리실태, 및 요양노인 등 요양시설 입소자의 건강상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표준화된 기록체계 및 관리체계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노인요양시설분야에 있어서, 건강보험관리공단은 노인요양시설 서비스가이드라인을 2009년 12월에 배포하였고, 서비스가이드라인에 포함된 기록서식은 장기요양등급평가판정표에 준한 기본적 일상생활기능 영역(13문항), 수단적 일상생활기능 영역(10문항), 인지기능 영역(10문항), 행동변화 영역(16문항), 간호처치 영역(10문항), 재활 영역(10문항), 시력-청력상태(2문항), 질병 및 증상(2문항)을 측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상기 기록서식에 최근 한 달간의 상황을 종합하여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가이드라인의 기록서식만으로는 노인요양시설의 체계적 관리 및 감독이 어려우며, 노인요양시설의 체계화된 관리 및 기록의 부재로 인해 입소노인의 상태나 시설의 관리상태 및 상기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를 객관적 기준하에서 판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입소노인(요양노인)의 건강상태 변화를 예측하여 조기에 치료수행을 제공하는 예방적 케어를 위한 근거마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화된 노인요양시설 기록/관리시스템의 부재로 인하여, 노인요양시설의 기록 수준이나 실태가 천차만별로 다양하고 요양환자에 대한 케어(Care)를 제대로 수행하고도 기록된 내용이 부실하여 요양시설에 대한 평가를 낮게 받거나, 평가를 높게 받기 위하여 기록에 집중한 나머지 실질적인 케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요양시설뿐만 아니라 다른 요양시설에서도 동일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요양시설 데이터의 체계적인 기록 및 요양시설 관리를 위하여, 요양시설들 간에 입소자의 상태를 비교할 수 있고, 입소노인 등 요양대상자(입소자)가 다른 시설로 이주할 때 지속적으로 건강상태의 변화를 연계하여 체크할 수 있는 표준화된 통합적 기록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노인요양시설에 있어서 상술한 장기요양등급판정평가표의 내용 이외에 상기 노인요양시설에 필요한 전자기록 양식을 제공하여 노인요양시설의 업무기록을 체계적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요양시설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기설정된 양식의 요양시설 기록차트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기록되는 요양시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고 기록에 소모되는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는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요양시설이 표준화된 통합적 기록 및 관리체계에 따라 평가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를 이용한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양시설 데이터를 기초로 요양노인 등 입소자의 케어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문제항목을 자동산출하여 제공하는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저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요양시설의 행정데이터와 요양환자의 치료데이터에 관한 요양시설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상기 요양시설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며,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을 제공하다.
상기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은: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를 이루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요양시설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차트출력단계;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기록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요양시설의 원무 데이터, 입소자의 건강사정 데이터, 처방치료 데이터와 재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요양시설의 질관리 데이터와 통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는 기설정된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질관리 기록차트를 포함하며; 상기 차트출력단계는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질관리 기록차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은;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소자의 치료나 관리를 위한 문제항목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문제항목 출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 형태로서 본 발명은: 입소 노인에 대한 상담과 건강사정을 수행하며 상기 입소 노인의 케어 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입소 노인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 요양시설에 적용되며, 유저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요양시설의 행정데이터와 입소 노인의 케어 데이터에 관한 요양시설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복수의 노인 요양시설들에 대해 통합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를 이루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요양시설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 중에서 출력이 요청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전자기록 출력모듈;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기록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상기 노인 요양시설의 원무 데이터, 입소 노인의 건강사정 데이터, 처방치료 데이터, 재활 데이터, 요양시설의 질관리 데이터 및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는, 체크 항목들에 대한 사정결과를 터치패드 방식으로 선택하는 기록 양식을 갖는 터치스크린 기록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 기록차트와 상기 체크 항목들에 대한 사정결과에 따라 자동 추출된 문제 항목들이 기록된 문제 요약지를 출력이 요청되는 유저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기록차트와 상기 문제 요약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체크 항목들에 대한 분야별 총점이 표시되며; 상기 입소 노인에 대한 사정결과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기록차트와 상기 문제 요약지는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에 의해 상기 유저단말 중에서 현장 기록인의 무선 단말기에 출력 가능하게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는 기설정된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질관리 기록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은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질관리 기록차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입소자의 치료나 관리를 위한 문제항목을 산출하는 연산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접근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인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에 적용되는 상기 유저단말은 현장기록을 위해 휴대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양시설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전자기록 및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ASP(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자) 통신망을 통해 임대하여 복수의 요양시설들이 통일화 및 표준화된 양식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양시설의 기록이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어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어 요양시설에 관한 데이터 및/또는 요양환자에 관한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확인/열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요양시설의 평가나 관리가 체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양시설 기록의 표준화가 가능하므로 정부기관이나 감독기관에 의한 전체 요양시설의 통합적이고 객관적인 관리 및 평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요양시설 기록차트를 표시하는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현장기록이 가능하므로 기록의 누락이나 오류를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데이터 기록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패드(터치스크린) 입력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전자문서양식의 기록차트를 유저단말에 제공하므로, 데이터의 기록과 사용이 편리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의 주기적인 기록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구축이 가능하며, 건강사정 기록챠트에 입력되는 건강사정 데이터를 기초로 입소노인 등 입소자의 문제항목이 자동으로 산출되므로 예방적 케어 및 케어계획이 수립이 가능하고 케어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을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요양시설 데이터로 기록되는 업무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요양시설 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전체 메뉴를 표시한 터치패드 방식의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입소자의 개인정보의 기록을 위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유저단말에 출력되는 기록차트를 통한 데이터 기록방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제공기록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입소자의 감염관리를 위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입소자의 낙상위험 측정도구에 관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입소자의 통증사정도구에 대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요양시설의 시설관리에 대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 및 이에 의한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을 설명하며, 본 발명이 적용된 구체적인 예로서 노인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이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하나 또는 복수의 요양시설들(10, 20, 30, 40)로부터 입력되는 요양시설 데이터를 통신망(100), 예를 들면 인터넷망을 통해 전송받아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시스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웹서버와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구획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이하 IDC라 약칭함)를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상기 IDC 그 자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이므로 부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상기 IDC를 통하여 전국에 산재하는 요양시설들 각각의 요양시설 데이터가 통합적으로 관리됨으로써, 장소나 시간을 불문하고 신속하게 특정 요양시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노인요양시설에 적용되는 경우에 이를 통해 정부기관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통해 급여를 제공하는 노인요양시설들의 정보를 총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인요양시설들 사이의 데이터 교류가 실시간으로 가능해지므로 요양노인이 다른 요양시설로 이주하는 경우에도 종전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정보를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노인요양시설 데이터의 기록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설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데, 이는 노인요양시설뿐만 아니라 다른 요양시설의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각 요양시설은 애플리캐이션 서비스 제공자(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즉 애플리캐이션 임대 서비스를 이용하여 소프트 웨어를 사용함으로써 고가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때 각 요양시설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인터넷을 통해 접속하여 해당 소프트웨어를 일정한 요금을 지불하고 사용하게 된다.
상기 요양시설이나 정부기관은 유저단말(11, 21, 31, 41)을 이용하여 각각 상기 요양시설 기록 및 관리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유저단말을 사용하는 유저의 접속권한이나 등급을 유저의 직책이나 업무영역 또는 소속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르게 부여하여 해당 유저의 데이터의 검색 및 확인 범위에 제한을 둘 수 있다.
상기 유저단말(11, 21, 31, 41)의 예로는 데이터 기록인이 요양시설을 이동하면서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현장기록이 가능하도록 휴대용 무선 단말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애플사의 아이패드(iPad)가 상기 유저단말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유저단말은, 터치패드 입력방식, 즉 터치스크린 기록방식으로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에 속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기설정된 양식의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기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데이터의 기록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저단말(11, 21, 31, 41)을 통해 입력되는 요양시설의 행정데이터와 입소자의 케어 데이터(Care Data)에 관한 요양시설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100)을 통해 전송받아 상기 요양시설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선택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100)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원하는 유저에게 제공하는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이다.
상기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록 출력 모듈(210)와 데이터 저장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22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210)은,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를 이루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요양시설 기록차트, 예를 들면 전자문서양식의 전자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챠트출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40)에 저장된 요양시설 데이터 중에서 유저의 요청에 의해 출력이 요구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40)은, 상기 요양시설의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기록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100)을 통해 전송받아 저장한다.
도 4 및 아래 [표 1]을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20)에 저장되는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요양시설의 원무 데이터, 요양노인 등 입소자의 건강사정 데이터, 처방치료 데이터와 재활 데이터 등 복수 업무영역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요양시설의 질관리 데이터와 통계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20)이 상술한 복수영역의 요양시설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는 기설정된 양식의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질관리 기록차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210)은 상기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질관리 기록차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11, 21, 31, 41)에 출력하고, 상기 유저(기록인)는 상기 기록차트의 항목과 양식에 맞춰서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그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통신망(100)을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40)에 저장된다.
Figure 112010031429082-pat00001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노인요양시설이 적용된 구체적 실시예가 설명되나, 노인요양시설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요양시설에도 본 발명을 이용하여 해당 시설의 현황에 적합한 데이터 기록차트들과 그에 대한 체크항목들을 개발/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상술한 [표 1]에 기재된 6가지의 업무영역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각 업무영역은 다시 복수의 세부 관리분야들 또는 체크분야들로 세분될 수 있다.
상기 각 업무영역의 데이터는 해당분야에 대한 전문능력이나 소양을 갖춘 기록요원이나 해당분야의 직원에 의해 기록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원무분야의 데이터는 노인요양시설 원무과 직원에 의해 기록되고, 건강사정은 간호사나 사회복지사 등과 같이 전문소양을 갖춘 요원에 의해 기록되며, (식이)재활에서 식이관리는 영양사에 의해 물리치료는 물리치료사에 의해 기록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건강사정 업무영역에 표기된 입주시 다학제간 초기사정은 입소자(입소노인)가 상기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할 때 여러 업무분야의 요원들이 상기 입소노인에 대한 초기 전체사정을 실시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낙상위험측정도구는 입소자의 낙상사고 발생 위험성에 대한 정도를 사정(조사)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전자기록차트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접근권한을 인증/부여하기 위한 인증모듈(2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유저단말(11, 21, 31, 41)을 이용한 데이터의 수정/기록 권한 및 범위가 유저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고, 데이터의 확인이나 평가에 대한 권한도 유저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유저단말에 데이터의 기록이나 확인을 위해 전체 업무영역을 표시한 터치패드 방식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요양시설 데이터의 기록이나 열람 또는 확인 등을 위해 상기 유저(기록인)는 원무, 건강사정, 처방치료, (식이)재활, 질관리, 통계로 구분되는 업무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해당되는 버튼을 터치(클릭)하여 해당 영역의 기록차트에 접근할 수 있다.
물론, 입소자(요양노인, 입소노인)의 이름을 클릭하여 해당영역별 기록차트에 접근하여 일일기록이나 주간기록 또는 월간기록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패드 화면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정전식이나 감압식 터치 스크린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이터 기록인이나 데이터 열람자는 원터치 방식으로 기록차트나 요양시설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상기 기록차트의 서식에 기입된 상태로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되는 것을 개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입소자의 개인정보, 즉 입소노인 개인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차트가 유저단말에 표시된 도면으로서, 상기 원무분야에 속하는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복수 분야의 기록차트들은 문자나 숫자 등의 기록이 필요한 경우에 자판을 이용한 입력방식으로 데이터가 입력되며, 그 외의 경우에는 전술한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으로 체크되도록 구성되어 기록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아래 [표 2]는 터치스크린 기록방식의 인지사정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인지사정을 위한 항목의 사정결과에 해당되는 버튼을 터치함으로써 사정결과에 따른 데이터가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240)에 입력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설명하면, 도 7의 (a)에서와 같이 각 항목의 사정결과 버튼을 1차적으로 클릭하면 (b)에서와 같이 (예)와 (아니오)의 버튼이 활성화되고, 그 중에서 사정결과에 해당되는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항목에 대한 사정결과가 기록완료된다.
Figure 112010031429082-pat00002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210)에 의해 상기 유저단말(11, 21, 31, 41)에 출력되는 요양시설 기록차트는 기록의 편의성을 위하여 터치스크린 기록방식의 기록차트, 즉 터치스크린 기록차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물론 기록차트의 특정 항목에 대한 데이터 기록을 위하여 자판의 이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항목에 대한 데이터가 자판기록방식으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항목별로 자판기록방식과 터치스크린 기록방식 중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지사정을 수행한 결과는 점수로 연산되어 해당 기록차트상에 총점으로 자동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표 2]의 인지사정 기록차트에 의하면 총점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아래 [표 3]은 건강사정용 기록차트의 일 예로서, 건강사정영역에 속하는 복수의 세부분야에 해당되는 항목들을 체크하기 위한 기록차트에 해당된다.
Figure 112010031429082-pat00003
상기 건강사정용 기록차트의 항목들에 대한 체크가 완료되면, 입소자의 케어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표 4]와 같이 문제요약지 형태의 기록차트가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되는데, 상기 문제요약지는 입소시, 입소후 한 달, 매 주기(예를 들면 3개월 단위), 중대 변화 발생시, 주간평가, 월간평가 등 운영자가 입소자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는 기간단위로 출력될 수 있다.
Figure 112010031429082-pat00004
상기 문제요약지에는 상기 건강사정용 기록차트의 항목들 중에서 상기 건강사정의 대상이 된 입소노인의 문제항목들이 자동으로 산출되어 표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건강사정용 기록차트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입소자의 치료나 관리를 위한 문제항목을 산출하는 연산모듈(2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입소자의 문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문제항목들은 코드분류에 따른 코드로 표시될 수도 있다.그리고 상기 문제항목을 기초로 해당 입소노인에 대한 케어 목표, 특히 장기 목표와 단기 목표에 따른 케어 계획을 수립한다.
상기 장기 목표와 단기 목표도 코드분류에 따라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표 4]에서와 같이 코드 버튼(P)을 클릭하면 복수의 코드가 나열되고 이들 중에서 하나의 코드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목표란에 특정의 코드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어 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계획 및 수행 내용을 체크하고, 그 결과에 대한 평가와 재사정을 시행한다.
아래 [표 5]는 입소노인에 대한 서비스 제공계획의 기록을 위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케어 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의 종류와 세부내용과 서비스 제공기간 및 주기를 입력하기 위한 기록차트이다.
Figure 112010031429082-pat00005
한편, 상기 통계 분야에 관련되는 요양시설 데이터로는 노인요양시설의 월간 및/또는 년간 수익현황, 등급별 노인 급여비용 현황, 응급상황발생율 등이 있다. 상기 통계 데이터는 노인요양시설 자체에서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를 분석하여 산출될 수도 있고, 상기 시스템 서버(2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IDC에서 상기 통계 데이터가 산출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복수 분야의 요양시설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연산모듈(250)이 상기 통계 데이터를 자동으로 산출하고 상기 제어모듈(22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210)이 상기 통계 데이터를 상기 유저단말(11, 21, 31, 4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요양시설, 특히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제공기록을 기록하기 위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노인요양시설의 서비스 제공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양식이며, 여기서 각 항목의 체크는 코드화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입소자, 특히 입소노인의 감염관리를 위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입소노인의 낙상위험 측정도구에 관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입소노인의 통증사정도구에 대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는 요양시설의 시설관리에 대한 기록차트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다양한 종류의 기록차트를 이용하여 각 노인요양시설은 요양시설의 관리 데이터나 입소자 케어 데이터 등의 요양시설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으며,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시스템 서버(200), 즉 IDC에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유저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요양시설의 행정데이터와 입소자의 케어 데이터에 관한 요양시설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상기 요양시설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며,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이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를 이루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요양시설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차트출력단계,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기록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단계,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 저장된 요양시설 데이터는 유저의 요청에 따라 해당 유저의 단말로 출력되는데, 이 때 상기 유저가 열람할 수 있는 데이터의 범위나 종류는 등급이나 권한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는, 기설정된 양식의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질관리 기록차트를 포함하며; 상기 차트출력단계에서는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질관리 기록차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록차트가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기록차트에 기록되는 데이터는 스키마 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의 테이블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입소자의 케어계획 수립을 위하여,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입소자의 치료나 관리를 위한 문제항목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문제항목 출력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20, 30, 40: 요양시설 11, 21, 31, 41: 유저단말
100: 통신망 200: 서버(IDC)
210: 전자기록 출력모듈 220: 제어모듈
240: 데이터 저장모듈 240: 연산모듈
250: 인증모듈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입소 노인에 대한 상담과 건강사정을 수행하며 상기 입소 노인의 케어 계획을 수립하고 상기 입소 노인에게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노인 요양시설에 적용되며, 유저단말을 통해 입력되는 요양시설의 행정데이터와 입소 노인의 케어 데이터에 관한 요양시설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복수의 노인 요양시설들에 대해 통합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추출하여 상기 통신망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하는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를 이루는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요양시설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 중에서 출력이 요청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해당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전자기록 출력모듈; 그리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기록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는, 상기 노인 요양시설의 원무 데이터, 입소 노인의 건강사정 데이터, 처방치료 데이터, 재활 데이터, 요양시설의 질관리 데이터 및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는, 체크 항목들에 대한 사정결과를 터치패드 방식으로 선택하는 기록 양식을 갖는 터치스크린 기록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은, 상기 터치스크린 기록차트와 상기 체크 항목들에 대한 사정결과에 따라 자동 추출된 문제 항목들이 기록된 문제 요약지를 출력이 요청되는 유저단말에 출력하고; 상기 기록차트와 상기 문제 요약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체크 항목들에 대한 분야별 총점이 표시되며; 상기 입소 노인에 대한 사정결과가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상기 기록차트와 상기 문제 요약지는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에 의해 상기 유저단말 중에서 현장 기록인의 무선 단말기에 출력 가능한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무 데이터와 입소 노인의 건강사정 데이터와 처방치료 데이터와 재활 데이터와 요양시설의 질관리 데이터는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 중 기설정된 양식의 원무 기록차트, 건강사정 기록차트, 처방치료 기록차트, 재활 기록차트 및 질관리 기록차트를 통해 각각 기록되며; 상기 전자기록 출력모듈은 상기 원무 기록차트와 건강사정 기록차트와 처방치료 기록차트와 재활 기록차트와 질관리 기록차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기록차트를 상기 유저단말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소 노인의 치료나 관리를 위하여, 상기 요양시설 기록차트에 따라 입력되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문제항목을 산출하는 연산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양시설 데이터에 대한 유저의 접근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인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를 이용하여 복수의 요양시설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시스템.
KR1020100045933A 2010-05-17 2010-05-17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184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33A KR101184386B1 (ko) 2010-05-17 2010-05-17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933A KR101184386B1 (ko) 2010-05-17 2010-05-17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19A KR20110126319A (ko) 2011-11-23
KR101184386B1 true KR101184386B1 (ko) 2012-09-19

Family

ID=4539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933A KR101184386B1 (ko) 2010-05-17 2010-05-17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43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974A (ko) 2020-04-13 2021-10-21 (주)피오텍 노인장기요양보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243B1 (ko) * 2019-06-10 2021-05-31 장봉석 수급자별 서비스 기록지
KR102553942B1 (ko) * 2020-10-12 2023-07-10 새샘사회적협동조합 노인장기요양기관용 통합 솔루션
KR20230134003A (ko) 2022-03-10 2023-09-20 원종성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391A (ja) * 1998-06-12 2000-01-07 Ntt Data Corp ケア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JP2009211470A (ja) * 2008-03-05 2009-09-17 Koufukai Corp 看護介護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3391A (ja) * 1998-06-12 2000-01-07 Ntt Data Corp ケア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JP2009211470A (ja) * 2008-03-05 2009-09-17 Koufukai Corp 看護介護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974A (ko) 2020-04-13 2021-10-21 (주)피오텍 노인장기요양보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20043105A (ko) 2020-04-13 2022-04-05 (주)피오텍 노인장기요양보험 통합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19A (ko) 201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1859B2 (en) Patient-interactive healthcare management
Castle et al.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urvey instruments used to collect data on hospital patients' perceptions of care
CA2837188C (en) Patient-interactive healthcare system and database
US75329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 technologist quality assurance scorecard
US7979286B2 (en) Patient-interactive healthcare management
JP2019105913A (ja) 健康情報総合管理システム、健康情報総合管理方法、および、健康情報総合管理プログラム
Morgan et al. Missing in action: care by physician assistants and nurse practitioners in national health surveys
KR101184386B1 (ko) 노인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Sockolow et al. Advice for decision makers based on an electronic health record evaluation at a program for all-inclusive care for elders site
Jenkins et al. Review of hospital preparedness instruments for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System compliance
Nützi et al.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job matching: developing an occupation-specific job matching tool for reintegrating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into the labor market
US81267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selection of benefit options
JP2007066155A (ja) 医療安全集中管理システム
JP4280086B2 (ja) 介護予防支援システム
US20210241919A1 (en) System for an epidemiological approach to musculoskeletal risk determination and prediction of ergonomic risks, physical demand performance levels, occupational health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health, safety & sustainability modeling
JP2002259566A (ja) 地域介護サービス関連情報システム
Shaw et al. Integrating patient-generated digital health data into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in ambulatory care settings: EHR vendor survey and interviews
Chang et al. A study of RFID application impacts on medical safety
KR20210074103A (ko) 노인 요양시설의 기록과 관리를 위한 시스템
Dyson et al. A shortage of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professionals: how would we know?
Kramer et al. Survey questions for EHR adoption and use in nursing homes
Marete Effect of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s on the delivery of hospital services in Kenya: an operational efficiency perspective
Jenkins et al. Adapting job analysis methodology to improve evaluation practice
Ongalo Influence of computerized health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on service delivery: a case of health institutions within Nairobi, Kenya
JP2002236751A (ja) 介護支援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介護支援システムとして動作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同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