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4003A -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4003A KR20230134003A KR1020220030009A KR20220030009A KR20230134003A KR 20230134003 A KR20230134003 A KR 20230134003A KR 1020220030009 A KR1020220030009 A KR 1020220030009A KR 20220030009 A KR20220030009 A KR 20220030009A KR 20230134003 A KR20230134003 A KR 202301340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e
- patient
- information
- artificial intelligence
-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919 acquired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81 bystand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118 cerebral infar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106 cerebrovascula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24 data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전국 요양시설 사례관리회의록을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입소자가 지니고 있는 복잡하고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등의 변수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여 가장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치매환자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국 요양시설 사례관리회의록을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입소자가 지니고 있는 복잡하고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등의 변수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여 가장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치매환자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요양시설에 입소한 연세 많은 어르신의 일상생활은 너무도 다양하다. 노환으로 허약해진 육체적 근력과 복수의 만성질환을 지니고 있는 신체적 하위계층자이며, 알츠하이머, 뇌경색, 파킨슨 등 여러 가지 치매증상으로 시설 입소생활 모습은 천차만별이다. 더욱이 암 질환자, 낙상으로 인한 고관절 수술환자, 임종을 앞둔 어르신 등을 케어하는 요양시설에서는 매일 특이한 사건이 복합적으로 발생한다.
이런 상황 속에서 입소자를 케어하는 요양시설 종사자가 대처하는 방법은 피상적이고 다소 방관자적 입장일 수밖에 없으며, 담당 계약의사에게 문의해도 즉각적인 대처방안을 모색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노환으로 발생하는 만성질환자의 경우, 일반 급성기 병원에서도 특별한 처방을 내리기 어렵고, 나아가서 일반 병원 입원도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반면, 요양시설 입소자의 보호자는 직접적으로 봉양하지 않으므로 요양시설 관계자로부터 간접적으로 전해들은 생활정보만으로 올바른 대처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만약, 갑작스러운 생활 속 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요양시설 종사자가 보호자와 적절한 의사소통 및 케어 수행에 대한 동의를 얻지 못했다면 케어 수행에 따른 책임은 전적으로 요양시설에게 부과될 수 있다.
요양시설을 관리 감독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도 입소자의 이러한 생활에 대처하는 매뉴얼이 없고,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요양시설이 각자 알아서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책임도 요양시설이 담보해야만 한다.
요양시설 종사자는 입소자의 과거 병력, 후천적 질환, 신체적 특성, 타고난 성격, 가족환경, 취미생활, 경제적 능력, 심지어는 보호자의 성향까지 고려하여 최적의 판단을 최대한 빠르게 선택하여 입소자를 케어해야만 한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 단순히 요양시설 종사자가 지난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치매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최적의 적절한 케어 방안을 모색하여 상황별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안 강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치매환자의 다양한 사례에 기반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치매환자에 발생한 상황별 케어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요양시설 종사자, 요양 보호사, 치매환자 보호자 등이 치매환자에게 발생한 특이하고 복합적인 상황에 대하여 자신이 지난 경험과 직관에 의존하여 케어 방안을 선택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적절한 케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치매환자 케어 수행에 따른 책임이 요양시설 또는 요양 보호사 등에게 전적으로 인가됨에 따른 부담으로 인해 적극적인 케어 수행이 어려워지는 문제를 해소하고자 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전국 각지에 소재하고 있는 수많은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다양한 케어 방식과 그에 따른 개선 효과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해당 상황별로 해당 환자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 케어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요양시설 종사자, 요양 보호사, 환자 보호자 등이 환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케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사례 분석 장치; 치매환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판단하고, 인공 지능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해당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하여 제공하고, 복수의 관계자 간의 컨센셔스에 따라 선택된 케어 방안에 대한 케어 수행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 지원 장치; 및 복수의 관계자 각각이 보유하여 상기 케어 지원 장치로부터 복수의 케어 방안 정보를 제공받고,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를 지원하는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사례 분석 장치는, 복수의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 정보를 수집하는 사례 수집부; 수집된 사례 정보를 인공 지능을 통해 분석하는 사례 분석부; 분석된 사례 정보를 인공 지능을 통해 분류하는 사례 분류부; 및 분석된 사례 정보를 데이테베이스에 보관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케어 지원 장치는, 환자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환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판단하는 상황 판단부;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이력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공 지능을 통해 발생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케어 방안 판단부; 복수의 케어 방안을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를 통한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에 따라 선택된 케어 방안으로 케어 수행을 지원하도록 케어 방안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 방안 제공부; 및 환자에 대한 환자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환자 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어 지원 장치는, 환자의 상황 발생에 따라 연계된 복수의 관계자를 그룹핑하고, 그룹에 속한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로 케어 방안 선택을 위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케어 지원 장치는, 상기 컨센셔스 가상 공간으로 인공 지능이 도출한 복수의 케어 방안과 각 케어 방안에 대한 사례 정보를 제공하며,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방법의 일실시예는, 복수의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 정보를 수집하여 사례 관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례 데이터 획득 단계; 인공 지능을 통해 각 사례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각 사례 정보와 분석 정보에 대한 인공 지능 학습을 수행하는 인공 지능 학습 단계;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치매환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판단하는 환자 상황 판단 단계; 인공 지능을 통해 상기 치매환자의 환자 이력 정보를 분석하고, 발생 상황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각 사례 정보 및 분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치매환자의 발생 상황에 대응하여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케어 방안 도출 단계; 치매환자의 상황 발생에 따라 연계된 복수의 관계자를 그룹핑하고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로 케어 방안 선택을 위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복수의 케어 방안을 제공하는 케어 방안 제공 단계; 상기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통해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기초로 케어 방안을 선택받는 케어 방안 선택 단계; 선택된 케어 방안으로 케어 수행을 지원하도록 케어 방안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 수행 단계; 및 케어 수행에 따른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효과 분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치매환자의 다양한 사례에 기반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치매환자에 발생한 상황별 케어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국 각지에 소재하고 있는 수많은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다양한 케어 방식과 그에 따른 개선 효과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해당 상황별로 해당 환자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 케어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요양시설 종사자, 요양 보호사, 환자 보호자 등이 환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케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치매환자의 상황 발생에 따라 연계된 복수의 관계자를 그룹핑하고 복수의 관계자 간의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제공하여 복수의 케어 방안 중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케어 방안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사례 분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이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분석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케어 지원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이 인공 지능을 통해 상황별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사례 분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이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분석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케어 지원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이 인공 지능을 통해 상황별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전국 요양시설 사례관리회의록을 취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입소자가 지니고 있는 복잡하고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등의 변수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여 가장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치매환자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기술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은 사례 분석 장치(100), 데이터베이스(150), 케어 지원 장치(200), 인공지능(250), 관계자 단말기(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례 분석 장치(100)는 다양한 요양 시설(10)에서 발생된 다양한 사례 관리 정보(20)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50)를 구축할 수 있다.
일례로서, 건강보험공단의 장기요양급여 제공지침에는 사례관리회의라는 의무 규정이 있으며, 사례관리회의란 각 요양 시설(10a, 10b, 10n)의 입소자가 최근에 정신적, 육체적으로 특이한 증상을 보일 경우, 사전에 예방하여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진전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각 부분별 담당자가 모여 문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가장 적합한 케어 방법을 강구한 후 케어 방법을 실행하여 일정 기간 경과 후에 개선 효과를 기록하는 입소자에 대한 생활 개선 대책 회의이다.
전국 중대형 요양시설(30인 이상 시설)은 매월 한명의 입소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회의를 실시해야 하며, 중형 요양시설(29인 이하 시설)은 분기별 1회 이상 사례관리회의를 실시해야한다.
그리고 사례관리회의는 해당 환자의 다양한 상태 정보, 케어 방법, 개선 효과 등을 사례관리회의록(20a, 20b, 20n)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제도적 시스템은 인간의 노화로 진행되는 치매, 만성질환 증상으로 대학병원이나 일반 의원급 의료진들도 진료를 포기하는 상황 속에서 삶의 마지막 여정을 보다 안락하고 고통 없이 지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허나, 전국 요양 시설은 사례관리회의를 통해 도출된 효율적인 처방을 각 시설이 자체적으로 보관하고 있을 뿐으로 이러한 효과적이고 중요한 케어 데이터가 사장되고 있으며, 나아가서 이러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시키지 못하여 해당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시설에서도 과거 자료를 효율적으로 참고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례 분석 장치(100)는 각 요양 시설(10a, 10b, 10n)에서 수행한 사례관리회의록(20a, 20b, 20n)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50)에 보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공 지능(250)을 통해 각 사례를 분석하고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인공 지능(250)이 학습할 수 있다.
케어 지원 장치(200)는 요양시설이나 치매환자 가정 등에서 치매환자에게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상황을 분석하여 파악하고 인공 지능(25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50)에 구축된 다양한 사례 정보를 기초로 해당 상황에 적합한 케어 방안에 대한 정보를 관계자 단말기(50)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어 지원 장치(200)는 인공 지능(250)을 통해 해당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하여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a, 50b, 50c, 50d, 50e)로 제공하며, 복수의 관계자 간의 컨센셔스가 수립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유의미한 사례관리회의 내용을 축적하여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인공지능을 통해 여러 요양 시설 또는 치매환자 가정 등에서 치매환자에게 상황 발생시에 인공지능을 통해 해당 상황에 적합한 케어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즉각적으로 효과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사례 분석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이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분석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사례 분석 장치(100)는 사례 수집부(110), 사례 분석부(120), 사례 분류부(130), 데이터 관리부(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례 수집부(110)는 복수의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례 수집부(110)는 건강보험공단 시스템을 통해 각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관리회의록(20) 등의 다양한 사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사례 수집부(110)는 복수의 요양 시설에 구비된 요양 시설 단말기(50a), 치매환자의 보호자 단말기(50b), 치매환자가 보유한 환자 단말기(50c), 치매환자의 요양 보호사 단말기(50d), 관련 의료진 단말기(50e) 등을 통해 다양한 사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례 분석부(120)는 사례 수집부(110)가 수집한 다양한 사례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례 분석부(120)는 인공 지능(250)과 연계하여 수집된 사례 정보에서 발현 증상, 과거 병력, 환자의 성격이나 취미, 환자의 케어 방안, 환자의 치료 참여, 치료에 따른 개선 효과 등 다양한 요소별로 사례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310)를 생성할 수 있다.
사례 분류부(130)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수집된 사례 정보와 분석된 분석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공 지능(250)을 통해 사례 정보와 분석 정보를 상호 연계시키면서 데이터 구조화시킬 수 있도록 분류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부(140)는 사례 분류부(130)에서 정리하고 분류한 사례 정보와 분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보관하고 데이터베이스(150)에 보관된 다양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례 분석 장치(100)는 사례관리회의록(20) 등의 다양한 사례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310)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정리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인공 지능(250)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50)를 통해 다양한 사례 정보와 분석 정보에 대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의 케어 지원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이 인공 지능을 통해 상황별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일례를 도시한다.
케어 지원 장치(200)는 상황 판단부(210), 케어 방안 판단부(220), 케어 방안 제공부(230), 환자 정보 관리부(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황 판단부(210)는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면서 치매환자에게 발생한 상황(350)을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상황 판단부(210)는 치매환자가 장착한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치매환자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는 상황 판단부(210)는 요양 시설 단말기(50a), 보호자 단말기(50b), 치매환자 단말기(50c), 요양 보호사 단말기(50d), 의료진 단말기(50e) 등을 통해 입력되는 해당 환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여 실시간 해당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상황 판단부(210)는 치매환자의 낙상 사고, 신체 이상 상황, 일정 이동 범위 이탈 상황 등 다양한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이상 상황 발생을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황 판단부(210)는 치매환자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를 환자 정보 관리부(240)로 제공하여 환자 이력 정보로 관리할 수 있다.
케어 방안 판단부(220)는 상황 판단부(210)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파악한 치매환자의 상황(350)에 대응되는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어 방안 판단부(220)는 치매환자에게 상황(350) 발생시 환자 정보 관리부(240)에 누적적으로 보관된 환자 이력 정보(360)를 추출하고 인공 지능(250)을 통해 환자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상황이 발생된 환자의 과거 발현 증상, 과거 병력, 성격이나 취미, 과거 케어 방안, 환자의 치료 참여, 치료에 따른 개선 효과 등을 분석하여 환자 분석 정보(370)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케어 방안 판단부(220)는 인공 지능(250)을 통해 데이터베이스(150)에 보관된 정보에서 해당 상황(350) 및 환자 분석 정보(370)와 동일 유사한 사례 정보 및 분석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치매환자에게 적합한 복수의 케어 방안(410)을 도출할 수 있다.
케어 방안 제공부(230)는 케어 방안 판단부(220)가 도출한 복수의 케어 방안을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로 제공하고,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를 통한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에 따라 선택된 케어 방안으로 케어 수행을 지원하도록 케어 방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케어 방안 제공부(230)는 치매환자의 상황 발생에 따라 연계된 복수의 관계자를 파악하여 그룹핑하고 그룹에 속한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로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케어 방안 제공부(230)는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통해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로 인공 지능(250)이 도출한 복수의 케어 방안(410)에 대한 사례 정보와 분석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부가 정보는 환자 분석 정보(370), 해당 환자에 대한 과거 컨센셔스 이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는 컨센셔스 가상 공간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어떤 케어 방안이 적절할지 논의할 수 있으며, 필요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통해 환자 보호자의 케어 방안에 대한 동의, 환자의 의견, 관계자 의견 등을 통해 컨센셔스(420)에 도달할 수 있다.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통해 해당 치매환자에 대한 케어 방안이 선택되면, 케어 방안 제공부(230)는 선택된 케어 방안으로 해당 환자에 대한 케어 수행을 지원할 수 있도록 케어 방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가령, 케어 방안 제공부(230)는 해당 관계자 단말기(50) 등으로 선택된 케어 방안에 대한 각 과정별 수행 정보, 유의 사항, 조치 사항, 확인 사항 등 해당 케어 방안에 대한 부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관계자는 케어 방안 제공부(230)를 통해 제공되는 케어 방안 정보를 기초로 케어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서 케어 방안 제공부(230)는 해당 상황에 대한 선택된 케어 방안으로 환자에 대한 케어를 수행하는 도중 또는 수행 완료 후 해당 케어에 대한 개선 효과 검증 및 데이터 분석에 대한 케어 수행 결과 정보(450)를 생성할 수 있으며, 케어 수행 결과 정보(45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환자 정보 관리부(240)는 치매환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보관할 수 있다.
가령, 환자 정보 관리부(240)는 해당 환자의 과거 발현 증상, 과거 병력, 성격이나 취미, 과거 도출된 케어 방안, 환자의 치료 참여, 치료에 따른 개선 효과 등 다양한 환자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는 치매환자 케어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방법을 앞서 살펴본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치매환자 케어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사례 분석 장치(100)는 요양 시설별 사례관리 데이터를 획득(S110)할 수 있다. 일례로서, 사례 분석 장치(100)는 각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관리회의록(20) 등의 다양한 사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례 분석 장치(100)는 인공 지능(250)을 통해 수집된 사례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150)를 구축(S120)할 수 있다.
가령, 사례 분석 장치(100)는 인공 지능(250)과 연계하여 수집된 사례 정보에서 발현 증상, 과거 병력, 환자의 성격이나 취미, 환자의 케어 방안, 환자의 치료 참여, 치료에 따른 개선 효과 등 다양한 요소별로 사례 정보를 분석하고 사례 정보와 분석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인공 지능(25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150)를 기초로 학습(S130)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케어 방안 도출을 위한 기본 과정이 수행된 상황에서 특정 치매환자에게 상황이 발생(S140)하는 경우, 케어 지원 장치(200)는 환자의 상황 발생을 인식(S140)한다.
가령, 케어 지원 장치(200)는 치매환자가 장착한 각종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치매환자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거나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를 통해 입력되는 상황 정보를 종합하여 실시간 해당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면서 치매환자에게 상황이 발생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환자에게 상황 발생시 케어 지원 장치(200)는 인공 지능(250)을 통해 해당 환자에 대한 환자 이력 정보를 분석(S150)하고, 데이터베이스(150)를 기초로 인공 지능(250)을 통해 환자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S160)할 수 있다.
가령, 케어 지원 장치(200)는 상황이 발생된 환자의 과거 발현 증상, 과거 병력, 성격이나 취미, 과거 케어 방안, 환자의 치료 참여, 치료에 따른 개선 효과 등을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150)에 보관된 정보에서 해당 상황 및 환자 분석 정보와 동일 유사한 사례 정보 및 분석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치매환자에게 적합한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케어 지원 장치(200)는 도출된 복수의 케어 방안을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로 제공(S170)할 수 있다.
일례로서, 케어 지원 장치(200)는 치매환자의 상황 발생에 따라 연계된 복수의 관계자를 파악하여 그룹핑하고 그룹에 속한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50)로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통해 복수의 케어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관계자는 케어 지원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케어 방안에 대하여 컨센셔스를 수립하고 적합한 케어 방안을 선택(S180)할 수 있다.
가령, 케어 지원 장치(200)가 제공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 상에서 보호자, 환자, 요양 시설 관계자, 요양 보호사, 의료진 등은 해당 환자에 대한 어떤 케어 방안이 적절할지 논의할 수 있으며, 필요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통해 환자 보호자의 케어 방안에 대한 동의, 환자의 의견, 관계자 의견 등을 통해 컨센셔스에 도달할 수 있다.
보다 효과적인 컨센셔스 도달을 위해 케어 지원 장치(200)는 환자 분석 정보, 해당 환자에 대한 과거 컨센셔스 이력 정보 등의 부가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도 있다.
케어 방안이 선택되면, 케어 지원 장치(200)는 해당 관계자가 효과적으로 케어를 수행(S190)할 수 있도록 선택된 케어 방안에 대한 각 과정별 수행 정보, 유의 사항, 조치 사항, 확인 사항 등 해당 케어 방안에 대한 부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서 케어 지원 장치(200)는 해당 상황에 대한 선택된 케어 방안으로 환자에 대한 케어를 수행하는 도중 또는 수행 완료 후 해당 케어에 대한 개선 효과 검증 및 데이터 분석에 대한 케어 수행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케어 수행 결과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5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통해 치매환자의 다양한 사례에 기반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치매환자에 발생한 상황별 케어 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국 각지에 소재하고 있는 수많은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다양한 케어 방식과 그에 따른 개선 효과 등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인공 지능을 통해 해당 상황별로 해당 환자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 케어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요양시설 종사자, 요양 보호사, 환자 보호자 등이 환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케어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치매환자의 상황 발생에 따라 연계된 복수의 관계자를 그룹핑하고 복수의 관계자 간의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제공하여 복수의 케어 방안 중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케어 방안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치매환자 등은 자신의 케어 방안에 대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어 본인이 추구하는 삶의 질과 존엄성을 반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사례 분석 장치,
110 : 사례 수집부,
120 : 사례 분석부,
130 : 사례 분류부,
140 : 데이터 관리부,
150 : 데이터베이스,
200 : 케어 지원 장치,
210 : 상황 판단부,
220 : 케어 방안 판단부,
230 : 케어 방안 제공부,
240 : 환자 정보 관리부,
250 : 인공지능.
110 : 사례 수집부,
120 : 사례 분석부,
130 : 사례 분류부,
140 : 데이터 관리부,
150 : 데이터베이스,
200 : 케어 지원 장치,
210 : 상황 판단부,
220 : 케어 방안 판단부,
230 : 케어 방안 제공부,
240 : 환자 정보 관리부,
250 : 인공지능.
Claims (6)
- 복수의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분류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사례 분석 장치;
치매환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판단하고, 인공 지능을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해당 상황에 대응되는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하여 제공하고, 복수의 관계자 간의 컨센셔스에 따라 선택된 케어 방안에 대한 케어 수행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 지원 장치; 및
복수의 관계자 각각이 보유하여 상기 케어 지원 장치로부터 복수의 케어 방안 정보를 제공받고,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를 지원하는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례 분석 장치는,
복수의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 정보를 수집하는 사례 수집부;
수집된 사례 정보를 인공 지능을 통해 분석하는 사례 분석부;
분석된 사례 정보를 인공 지능을 통해 분류하는 사례 분류부; 및
분석된 사례 정보를 데이테베이스에 보관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지원 장치는,
환자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환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판단하는 상황 판단부;
상기 환자에 대한 환자 이력 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인공 지능을 통해 발생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케어 방안 판단부;
복수의 케어 방안을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를 통한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에 따라 선택된 케어 방안으로 케어 수행을 지원하도록 케어 방안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 방안 제공부; 및
환자에 대한 환자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환자 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지원 장치는,
환자의 상황 발생에 따라 연계된 복수의 관계자를 그룹핑하고, 그룹에 속한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로 케어 방안 선택을 위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 지원 장치는,
상기 컨센셔스 가상 공간으로 인공 지능이 도출한 복수의 케어 방안과 각 케어 방안에 대한 사례 정보를 제공하며,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 복수의 요양 시설에서 수행한 사례 정보를 수집하여 사례 관리 데이터를 획득하는 사례 데이터 획득 단계;
인공 지능을 통해 각 사례 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각 사례 정보와 분석 정보에 대한 인공 지능 학습을 수행하는 인공 지능 학습 단계;
치매환자를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치매환자에게 발생한 상황을 판단하는 환자 상황 판단 단계;
인공 지능을 통해 상기 치매환자의 환자 이력 정보를 분석하고, 발생 상황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보관된 각 사례 정보 및 분석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치매환자의 발생 상황에 대응하여 복수의 케어 방안을 도출하는 케어 방안 도출 단계;
치매환자의 상황 발생에 따라 연계된 복수의 관계자를 그룹핑하고 복수의 관계자 단말기로 케어 방안 선택을 위한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생성하여 복수의 케어 방안을 제공하는 케어 방안 제공 단계;
상기 컨센셔스 가상 공간을 통해 복수의 관계자 간 컨센셔스 수립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기초로 케어 방안을 선택받는 케어 방안 선택 단계;
선택된 케어 방안으로 케어 수행을 지원하도록 케어 방안 정보를 제공하는 케어 수행 단계; 및
케어 수행에 따른 개선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효과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0009A KR20230134003A (ko) | 2022-03-10 | 2022-03-10 |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0009A KR20230134003A (ko) | 2022-03-10 | 2022-03-10 |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4003A true KR20230134003A (ko) | 2023-09-20 |
Family
ID=8819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0009A KR20230134003A (ko) | 2022-03-10 | 2022-03-10 |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4003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6319A (ko) | 2010-05-17 | 2011-11-2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KR20210021875A (ko) | 2019-08-19 | 2021-03-02 | 주식회사 비지팅엔젤스코리아 | 요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 |
-
2022
- 2022-03-10 KR KR1020220030009A patent/KR2023013400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26319A (ko) | 2010-05-17 | 2011-11-2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요양시설 전자기록 및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시스템 |
KR20210021875A (ko) | 2019-08-19 | 2021-03-02 | 주식회사 비지팅엔젤스코리아 | 요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요양 서비스 제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evin et al. | Tracking workloa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
CN111125061A (zh) | 一种规范和促进健康医疗大数据的方法 | |
Ganesh et al. | SVM-based Predictive Modeling of Drowsiness in Hospital Staff for Occupational Safety Solution via IoT Infrastructure | |
Degenholtz et al. | Development of an applied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in nursing homes | |
CN112466446A (zh) | 一种基于医疗系统的智能随访管理系统 | |
Cho et al. | Development of ICNP‐based inpatient falls prevention catalogue | |
Nuriyanto et al. | Family Nursing as an Improvement Strategy of Family Health Index in Indonesia: A Literature Review | |
Yarborough et al. | Challenges of population-based measurement of suicide prevention activities across multiple health systems | |
Debono et al. | Using workaround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resilience in action | |
Pollack et al. | Use of employer administrative databases to identify systematic causes of injury in aluminum manufacturing | |
Sellers et al. | Using patient safety reporting systems to understand the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a content analysis | |
CN117194802A (zh) | 医防协同平台关于居民健康画像和服务推荐系统及方法 | |
US20050055245A1 (en) | Hospital and clinic emergency preparedness optimization system | |
Mojibian et al. | The role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risk and safety management of patient (case study: Dr. Mojibiyan Hospital, Yazd) | |
Buldakova et al. | Network services for interaction of the telemedicine system users | |
Mitchell et al. |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the role of surveillance | |
KR20230134003A (ko) | 인공지능을 이용한 치매환자 케어 시스템 및 방법 | |
Urquhart Wilbert | The Effectiveness of a Fall Prevention/Management Program In Reducing Patient Falls: A Retrospective Study. | |
KR102112695B1 (ko) | 의료복지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
Pokorná et al. | A new online software tool for pressure ulcer monitoring as an educational instrument for unifi | |
Astivia-Chávez et al. | Exploratory Data Analysis for Preventive and Corrective Maintenance for Medical Equipment in a General Hospital from the Health Institute of the State of Mexico | |
CN114242193A (zh) | 一种为阿尔茨海默病患者提供健康管理服务的平台 | |
Raghavan et al. | Assessing the needs of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mental illness: development of the Learning Disability version of the Cardinal Needs Schedule | |
Oppermann et a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aps in Intersectoral healthcare processes for dementia patients | |
Kjærup et al. | Collaborative symptoms interpretation for cardiac patients as diagnostic ag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