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130B1 -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 Google Patents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130B1
KR101183130B1 KR1020110136054A KR20110136054A KR101183130B1 KR 101183130 B1 KR101183130 B1 KR 101183130B1 KR 1020110136054 A KR1020110136054 A KR 1020110136054A KR 20110136054 A KR20110136054 A KR 20110136054A KR 101183130 B1 KR101183130 B1 KR 101183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plate
moving
weight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현
Original Assignee
유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현 filed Critical 유영현
Priority to KR1020110136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1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130B1/ko
Priority to PCT/KR2012/010279 priority patent/WO2013089371A2/ko
Priority to RU2013157246/11A priority patent/RU2588306C2/ru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62Details of hydrostatic bearings independent of fluid supply or direction of load
    • F16C32/0666Details of hydrostatic bearings independent of fluid supply or direction of load of bearing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6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using fluid at high pressure supplied from an independent source to provide a cushion between load and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9/025Hydrostatic or aerosta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03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 F16C32/061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supported by a gas cushion, e.g. an air cushion the gas being supplied under pressure, e.g. aerostat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6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oving member supported by a fluid cushion formed, at least to a large extent, otherwise than by movement of the shaft, e.g. hydrostatic air-cushion bearings
    • F16C32/0662Details of hydrostatic bearings independent of fluid supply or direction of load
    • F16C32/067Details of hydrostatic bearings independent of fluid supply or direction of load of bearings adjustable for aligning, positioning, wear or pla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12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material suspended at cut-off, i.e. for material which is still falling from the feeder when the weigher stops the feed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24Weighing mechanism 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feed or dischar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30Ships, e.g. propelling shafts and bear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50/00Machines or articles related to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콘크리트케이슨,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기계장치의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중량이 이동 전에 사전 점검되며, 수평 이동되는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중량이 이동 전에 사전 점검되어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이 가능하므로, 각종 부품이 조립 취부된 대형구조물의 실제중량과 설계중량을 비교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중량측정 후 별도의 이동시스템을 추가로 장착 또는 설치하지 아니하고 본 발명 구성의 수평운송장치만을 설치 사용 함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는 동시에,
또한,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이 용이하게 수평이동 되고, 수평이동시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균형이 유지되어 파손이 방지되며,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는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horizontally transport equipment use for horizontally transport and measure weight of high load goods}
본 발명은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기계장치의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중량이 이동 전에 사전 점검되며, 수평 이동되는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구조물의 고하중물인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해양구조물의 해상 진수를 위한 육상에서 해상으로의 이동 또는 해상에서 육상으로의 이동시에, 고하중물인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해양구조물의 중량이 이동 전에 사전 점검되어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이 가능하므로, 각종 부품이 조립 취부된 대형구조물의 실제중량과 설계중량을 비교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중량측정 후 별도의 이동시스템을 추가로 장착 또는 설치하지 아니하고 본 발명 구성의 수평운송장치만을 설치 사용 함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는 동시에,
수평이동시에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균형이 유지되어 파손이 방지되고,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며;
또한, 윈치 또는 푸시풀디바이스(PUSU PULL DEVICE)와 같은 밀거나 당겨서 대형구조물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 또는 본 발명의 수평운송장치를 당기거나 밀어서 이동시에 최소한의 힘으로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이 용이하게 수평이동 되는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에 관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구조물의 고하중물인 선박을 제작시에 이송상의 문제점으로 해상에 별도의 대형도크를 제작하여 상기 도크내에서 선박을 제작한 후, 도크에 물을 채워서 해상에 진수가 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도크의 건설비용이 과다하고 장기간의 공사기간이 소요 되며, 설치면적이 필요한 등의 문제점으로, 최근 선박을 제조시, 별도의 도크가 필요 없이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 후, 해상으로 이송시켜 진수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지면에 기둥형태의 다수개의 지지대를 여러 군데에 설치 후, 상기 다수개의 지지대 상부에서 선박을 건조한 후, 완성된 선박의 하부면에 다수개의 레일 또는 스키드웨이를 설치 및, 상기 레일 또는 스키드웨이의 상부에 고하중물인 선박이 이동되는 이동부와, 고하중물인 선박의 하중이 지지되는 용도의 다수개의 유압잭이 설치된 구성의 운송장치를 이용하여;
윈치 또는 푸시풀디바이스(PUSU- PULL DEVICE)와 같은 이동장치로 고하중물인 선박을 밀거나 당겨서 바지선으로 수평이동 후, 해상에 진수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해상에 부상중인 고하중물인 선박의 육상 이송시에도 상기 방식의 역순서 방식으로 해상에 부상중인 고하중물인 선박이 육상에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기술의 운송장치는;
대형구조물의 고하중물인 선박의 하부에 다수개의 레일을 설치후, 상기 레일 상부에서 이동부의 휠이 구동되어 고하중물인 선박이 수평이동 됨으로서, 대형구조물의 고하중물인 선박의 하중이 과다한 관계로 휠이 집중하중을 받아 레일이 변형 하는 문제점으로 고하중물의 수평이동이 원활치 않고, 수평이동 시키는데 많은 힘이 필요하였으며, 제어가 곤란하고, 이동부가 고하중물인 선박의 하중을 지지하지못하여 수평이동이 곤란하였으며, 이동중 선박이 균형을 잃게 되어 외부로 이탈,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윈치등의 당겨주는 장치 또는 푸시풀디바이스(PUSU- PULL DEVICE)등의별도의 밀어주는 장치 및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 유압잭, 이동부로 구성된 운송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스키드웨이 상부에 설치된 유압잭에 의하여 고하중물인 선박의 하중을 지지 및 이동부를 수평이동을 시키는 운송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 또한, 상기 이동부가 대형구조물인 선박의 고하중에 의하여 이동시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 밀착, 마찰이 됨으로서 이동이 원활치 않았으며,
이를 방지 하고저, 스키드웨이 바닥면에 구리스를 도포하여 바닥면을 미끄럽게 하여 이동부를 이송하고 있으나, 고하중물인 선박의 고하중에 의하여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 이동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구성으로, 이동이 원활치 않았으며, 고하중물인 선박의 하중을 지지 하지 못하여 이동중 선박이 균형을 잃게 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다수개의 수평운송장치에 각기 적층된 고하중물인 선박을 구성하는 각구성품의 중량 측정이 불가하고, 이동전 선박을 구성하는 각 구성품이 조립, 취부된 상태에서 중량측정을 위하여 별도의 중량 측정 시스템을 설치하여 중량측정 후, 중량측정 시스템을 제거한 다음, 이동을 위한 별도의 이동시스템을 설치하여 이동대상물을 이동하는 기존의 이동방식은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대폭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국부적인 침하로 인한 육상구간의 지반이 평탄치 않을 경우, 상기 스키드웨이 또는 레일의 처짐현상 발생으로 인하여 고하중물인 선박의 수평이동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고하중물인 선박의 중량이 유압잭의 중앙부에 집중되어, 집중하중에 의한 유압잭이 하중을 미지지 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기계장치의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중량이 이동 전에 사전 점검 및 중량 측정이 가능하여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설계중량(설계 톤수)에 부합되는 각종부품이 조립, 취부된 실제중량(실제 톤수)의 대형구조물의 중량 측정이 가능한 동시에,
별도의 이동장치를 설치 및 사용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 구성의 수평운송장치로 수평이동 시킴으로서,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으며;
수평이동시에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균형이 유지되어 파손이 방지되며,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며;
또한,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대형구조물 또는 본 발명의 수평운송장치를 이동시에 최소한의 힘으로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이 용이하게 수평이동 되는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를 제공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 및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코저 한다.
본 발명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에 의하여;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 및;
특히,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중량이 이동 전에 사전 점검 및 중량 측정이 가능하여,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설계중량(설계 톤수)에 부합되는 각종부품이 조립, 취부된 실제중량(실제 톤수)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이 가능한 효과와;
별도의 이동장치를 설치 및 사용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 구성의 수평운송장치로 수평이동 시킴으로서,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 효과와;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는 동시에,
수평이동시에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균형이 유지되어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와;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는 효과와;
이동장치로, 대형구조물 또는 본 발명의 수평운송장치를 당기거나 밀어서 이동시에, 최소한의 힘으로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이 용이하게 수평이동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를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의 이동지지부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의 다른 실시상태를 도시한 참고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를 도시한 참고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의 이동지지부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의 다른 실시상태를 도시한 참고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바와 같이;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기계장치의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하부에 설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구성의, 본 발명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100)는;
1) 본체(11) 상부에 구비된 대형구조물(300)이 적재되는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적재판(14) 또는 본체(11) 상부면의 외부에, 대형구조물(300)의 중량이 점검되는 로드셀(LOAD CELL)이 고정되는 로드셀 플레이트(151:LOAD-CELL PLATE)와, 로드셀(152:LOAD-CELL)로 구성된 중량측정부(15)가 적층 또는 일체로 장착된 유압실린더(10) 및;
2) 상기 유압실린더의 본체(11) 하부에 구비된, 육상구간인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전,후,좌,우로 기울어지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유압실린더(10)를 수직방향으로 유지하여 대형구조물(300)이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반달형 베어링(221)과 반달형 요홈(222),체결구(223)로 구성된 수평유지부(22)가 구비된 이동지지판(20)과;
3)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중앙부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0)에서 전달되는 대형구조물(300)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는 집중중량지지부(23)와;
4)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양측면에 구비된, 스키드웨이(40)의 양측벽(43,44)에서 구동되는 내장형 휠(24)과;
5)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일측면에 구비된, 에어컨트롤 밸브(26)로 본체(21)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드레인 밸브(27)와;
6)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지지판 본체(21)에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에 의하여 본체(31)가 스키드웨이(40)의 바닥면(42)과 마찰계수가 최소화 되어, 상기 이동지지판(20)과 동시에 이동이 되는 피스톤씰(30)과;
7) 상기 피스톤씰(30)의 본체(31) 하부에 구비된, 대형구조물(3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미끄럼판인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상부면인 바닥면(42)의 양측면에 측벽(43,44)이 각기 구비된 스키드웨이(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 미기재된 구성의 유압실린더, 이동지지판, 에어컨트롤 밸브는, 본 출원인이 특허 출원 제 2004-0107870호로 2004. 12. 17. 선출원하여,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0628695호로 2006. 09. 20. 선등록된 선등록분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요부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상기 선등록된 특허 등록 제 0628695호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에 부합 및 발명의 효과에 기재된 효과가 충족되도록 개량한 개량 특허"로서;
특히, 유압실린더(10)의 본체(11) 상부에 구비된 대형구조물(300)이 적재되는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적재판(14) 또는 본체(11) 상부면의 외부에, 대형구조물
(300)의 중량이 점검되는 로드셀(LOAD CELL)이 고정되는 로드셀 플레이트(151:LOAD
-CELL PLATE)와, 로드셀(152:LOAD-CELL)로 구성된 중량측정부(15)가 적층 또는 일체로 장착된 유압실린더(10)에 의하여,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중량을 사전 점검 및 중량 측정이 가능하여,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설계중량(설계 톤수)에 부합되는 각종부품이 조립, 취부된 실제중량(실제 톤수)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이 가능한 동시에, 별도의 이동장치를 설치 및 사용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 구성의 수평운송장치로 수평이동 시킴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량측정부(15)가 적재판(14) 또는 본체(11)상부면의 외부에 적층시에는 대형구조물(300)의 중량을 사전 점검 후, 중량측정부(15)를 외부로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유압실린더(10)의 구성과;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이 지면이 경사진 구간을 이동할 경우,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기울어지게 되지만, 반달형 베어링
(221)과 반달형 요홈(222), 체결구(223)로 구성된 수평유지부(22)에 의하여 유압실린더(10)가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외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됨으로서, 상기 유압실린더(10)의 상부에 적재된 대형구조물(300)이 180°수평각도인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의, 반달형 베어링(221)과 반달형 요홈(222), 체결구(223)으로 구성된 수평유지부(22)가 구비된 이동지지판(20)에 의하여,
수평이동시에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균형이 수평으로 유지되어 파손이 방지되고;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 중앙부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0)에서 전달되는 대형구조물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는 지지부인 집중중량지지부(23)에 의하여,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며;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 양측면에 구비된, 스키드웨이(40)의 양측벽(43,
44)에서 구동되는 내장형 휠(24)에 의하여, 내장형 휠(24)이 스키드웨이(40)의 양측벽(43,44)에서 용이하게 구동되는 동시에, 휠 장비의 부피 축소와 휠장비의 취급이 편이하고;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상부에 구비된, 에어컨트롤 밸브(26)로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드레인 밸브(27)에 의하여,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기계장치의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을 수평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대형구조물의 하부에 설치 사용되는 수십 또는 수백개의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100)의 에어컨트롤 밸브(26)를 통하여 이동지지판 본체(21) 내부와 피스톤 씰의 본체(31)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를 제거 할 경우, 상기 에어드레인 밸브(27)를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 됨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된 이동지지판(20)의 구성과;
상기 언급된 중량측정부(15)가 구비된 유압실린더(10) 및, 수평유지부(22)와 집중중량지지부(23), 내장형 휠(24), 에어드레인 밸브(27)가 구비된 이동지지판
(20), 피스톤씰(30), 스키드웨이(4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수평운송장치(100)에 의하여,
윈치 또는 푸시풀디바이스(PUSU PULL DEVICE)와 같은 이동장치로 대형구조물
(300)인 고하중물 또는 본 발명의 이동지지판(20)을 밀거나 당겨서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40)의 상부에서 본 발명의 수평운송장치(100)를 이동시에, 최소한의 힘으로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이 용이하게 수평이동되는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100)에 관한 기술사상을, 본 발명의 요부 및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100)는;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기계장치의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 대형구조물(300)의 수평이동시에 하중 지지와, 대형구조물(300)의 수평이동 후 해체가 되는 구성의, 본 출원인이 선등록받은 유압실린더 본체(11)의 상부에 구비된 대형구조물(300)이 적재되는 사각플레이트 형태의 적재판(14) 또는 본체(11) 상부면의 외부에,
대형구조물(300)의 중량이 점검되는 로드셀(LOAD CELL)이 고정되는 철판이 취부된 로드셀 플레이트(151:LOAD-CELL PLATE)와, 상기 로드셀 플레이트(151)의 내부에 로드셀(152:LOAD-CELL)이 고정된 중량측정부(15)가 적층 또는 일체로 장착된 유압실린더(10)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중량측정부(15)가 적층 또는 일체로 장착된 유압실린더(10)에 의하여;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중량을 사전 점검 및 중량 측정이 가능하여,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설계중량(설계 톤수)에 부합되는 각종부품이 조립, 취부된 실제중량(실제 톤수)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이 가능한 동시에, 별도의 이동장치를 설치 및 사용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 구성의 수평운송장치(100)로 수평이동 시킴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량측정부(15)가 적재판(14) 또는 유압실린더 본체(11)의 외부에 적층시에는 대형구조물(300)의 중량을 사전 점검 후, 중량측정부(15)를 용이하게 외부로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기술구성의, 로드셀 플레이트
(151)와 로드셀(152)로 구성된 중량측정부(15)가 구비된 유압실린더(10)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이동지지판(20)은;
상기 유압실린더(10)의 본체(11) 하부에 구비되어,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하중을 지지 및 윈치 또는 푸시풀디바이스(PUSU PULL DEVICE)와 같은 이동장치로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 또는 본 발명의 수평 운송장치(100)를 밀거나 당겨서 이동시에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40)의 상부에서 수평 이동이 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본체(21)와;
상기 본체(21)의 중앙부위에 구비된 본체(21)의 중앙부위가 반달 형태로 본체(21)의 내면으로 요홈진 요홈부인 반달형 요홈(222)과, 상기 반달형 요홈의 내부에 삽입된 반달형베어링(221)과, 상기 반달형 요홈(222)의 양측면에 구비된 유압실린더 본체(11) 하부에 일체로 장착된 체결구(223)로 구성된 수평유지부(22)가 구비되어,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이 지면이 경사진 구간을 이동할 경우,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지만, 상기 전,후,좌,우로 기울어진 본체(21)가 반달형베어링(221)의 전,후, 좌,우 부위에 접촉되어 고정 됨으로서 기울어진 본체(21)가 지지되고,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11) 하부에 일체로 장착된 체결구(223)에 체결, 고정된 반달형베어링(221)에 의하여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외부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0)가 본체(21)의 외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유지되어, 상기 유압실린더(10)의 상부에 적재된 대형구조물(300)이 180°수평각도인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의 수평유지부(22)와;
유압실린더(10)에서 본체(21)의 중앙부로 전달되는 대형구조물(300)의 집중하중이 더욱 지지되는 용도의,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중앙부에 구비된 본체(21)의 측면부 두께에 비하여 본체(21)의 중앙부가 더욱 두꺼운 두께로 보강된 지지부인 집중중량지지부(23)와;
스키드웨이(40)의 측벽(43,44)에서 용이하게 구동되는 동시에 휠 장비의 부피 축소와 휠장비의 취급이 편이한 용도의, 이동지지판 본체(21) 상,하부의 양측면에 각기 구비된 휠삽입홀(25)에 휠인 본체 전면적의 2/3 또는 3/4에 해당된 면적이 삽입된 본체(241) 및, 상기 휠삽입홀(25)의 외부에 각기 구비된 체결홀(25')과 상기 본체(241)에 구비된 휠체결홀(242)에 체결구가 체결, 스키드웨이(40)의 양측벽(43,44)에서 본체가 구동되는 내장형 휠(24)과;
에어컨트롤 밸브(26)로 본체(21)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용도의, 상기 본체(21)의 일측면에 구비된 에어컨트롤 밸브(26)의 연결관(264)에 일체로 연장, 장착된 배출관(271)과, 상기 배출관(271)의 외부에 개폐조절밸브(272)가 구비된 에어드레인 밸브(270)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씰(30)은;(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 하부에 구비되어,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40)의 상부에서 이동지지판 본체(21)와 동시에 수평이동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에 다수개의 유로(33)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가 유로(33)로 유입, 스키드웨이(40)의 바닥면(42)과 상기 본체(31)의 하부에 에어쳄버(34)가 형성되어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하중을 추가로 지지 및,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가 스키드웨이(40)의 바닥면에 부딪치는 공기압에 의하여 본체(31)의 저면이 스키드웨이(40)의 바닥면(42)에서 상방향으로 들뜨게 되는 공중부양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본체(31)가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40)에서 수평이동시에 본체(31)와 스키드웨이(40)의 바닥면(42)과의 마찰계수가 최소화 됨으로서,
윈치 또는 푸시풀디바이스(PUSU PULL DEVICE)와 같은 이동장치로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 또는 본 발명의 수평운송장치(100)를 밀거나 당겨서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40)의 상부에서 이동시에, 최소한의 힘으로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이 용이하게 수평이동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키드웨이(40)는; (도 1 및 도 2 참조)
상기 피스톤씰(30)의 본체(31) 하부에 구비되어,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미끄럼판인 본체(41)와, 상기 이동지지판(20)에 구비된 내장형 휠(24)이 구동되는 용도의 상기 본체(41)의 상부면인 바닥면(42)과상기 바닥면(42)의 양 측면에 측벽(43,44)이 구비되어;
이동지지판(20)에 구비된 내장형 휠(24)이 측벽(43,44)에서 각기 구동되고,
윈치 또는 푸시풀디바이스(PUSU PULL DEVICE)와 같은 이동장치가 측벽(43,44)의 외부에 설치, 고정되어,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이 용이하게 수평이동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받은 특허 등록 제 호의 운송장치의 유압실린더와 이동지지판, 에어컨트롤밸브에 대하여 설명키로 하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재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앞서 언급된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에 부합 및 발명의 효과에 기재된 효과가 충족되도록 개량한 개량 특허 임을 분명히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0)는,
유압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되는 구조의 본체(11)가, 본체의 저면에 구비된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상단의 고정유지부(21a)내에 체결되어 고정유지부(21a)의 내,외부로 이동 되며,
상기 본체(11)의 측면에, 유압유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압밸브(12,13)가 장착되어,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300)의 이송시 하중이 지지되는 기둥 형태의 다수개의 지지물인 지지대(200)에 적층된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하부에 적치되어, 본체(11)가 상향 이동 되는 구조로;
유압유가 유압밸브(12)로 공급, 유압밸브(13)로 배출되어, 발생된 유압에 의하여 본체(11)의 상향 이동 및, 상기 본체의 이동거리 만큼 본체가 상방향으로 하중이 지지되게 됨으로서, 본체(11)의 상향 이동 후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지지되어 본체(11)가 유동 되지 않으며;
반대로, 본체(11)가 하향시에는 유압유가 유압밸브(13)로 공급, 유압밸브(12)로 배출되어, 발생된 유압에 의하여 본체(11)가 하향 이동이 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1)의 상부면에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300)이 적재되는 표면이 평탄한 판 형태의 적재판(14)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동지지판(20)은,
본체(21)의 상단 일측면에 압축공기 또는 고압가스 형태의 고압질소가 주입되는 본체(261) 및 주입구(262),연결관(263,264)으로 구성된 에어컨트롤밸브(26)의 본체(261)를 설치할수 있는 장착대(265)가 설치 되어 있고, 상기 장착대(265)에 에어컨트롤밸브(26)의 본체(261)를 장착후, 상기 본체(261)내에 연결관(263,264)이 내장 및 상기 연결관(263,264)이 장착대(265)에 연결되어, 주입구(262)를 통하여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외부에서 컴퓨레샤로 주입되어, 상기 연결관(263,264)을 통하여 이동지지판의 유로(211,212)로 압축공기 또는 고압가스 형태의 고압질소가 유입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에어컨트롤밸브(26)는,
주입구(262)를 통하여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외부에서 컴퓨레샤로 주입되어, 상기 연결관(264)을 통하여 이동지지판(20)의 유로(211)로 압축공기 또는 고압가스 형태의 고압질소가 유입, 공간부(213)가 진공 상의 압력이 되면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 공급이 차단되고;
차단 후, 상기 연결관(263)을 통하여 이동지지판(20)의 유로(212)로 압축공기 또는 고압가스 형태의 고압질소가 이동지지판(20)의 저면과 피스톤씰(40)의 상부면 사이의 내부공간이 진공 상의 압력이 될때까지 추가로 공급되는 구조로, 상기 이동지지판(20)의 이동시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300)의 하중이 추가로 지지되는 진공상의 압력이 유지되게 구성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100)가;
상기 피스톤씰(30)의 본체(31) 양측면에, 스키드웨이(40)의 상부에서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가 이동시에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용도의, 본체(51,52) 및 상기 본체(51,52)의 상부에 구비된 주입구(53,54)와 상기 본체(51,52)의 하부에 구비된 배출구(55,56)로 구성된 오일도포기(50)가 장착되어;
상기 주입구(53,54)를 통하여 실리콘오일과 같은 액체 오일이 주입되어, 상기 배출구(55,56)를 통하여 실리콘오일과 같은 액체오일이 스키드웨이(40)의 바닥면(42)으로 배출, 피스톤씰(30)과 이동통로인 스키드웨이(40)의 바닥면(42)과의 사이에 유막이 형성되어, 피스톤씰(30)의 이동시 피스톤씰(30)의 본체(31) 저면과 스키드웨이(40)의 접촉면과의 간격이 최소화 되어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의 누설이 최소화 되는 구성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100)로 구성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100)는;
특히, 대형구조물의 중량이 점검되는 중량측정부(15)가 적층 또는 일체로 장착된 구성의 유압실린더(10)에 의하여,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중량을 사전 점검 및 중량 측정이 가능하여, 대형구조물인 고하중물의 설계중량(설계 톤수)에 부합되는 각종부품이 조립, 취부된 실제중량(실제 톤수)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이 가능한 동시에, 별도의 이동장치를 설치 및 사용할 필요가 없이 본 발명 구성의 수평운송장치(100)로 수평이동 시킴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고,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절감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량측정부(15)가 적재판(14) 또는 유압실린더 본체(11)의 상부면의 외부에 적층시에는 대형구조물(300)의 중량을 사전 점검 후, 중량측정부
(15)를 용이하게 외부로 해체가 가능하여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 기술구성과;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이 지면이 경사진 구간을 이동할 경우, 이동지지판(20)의 본체(21)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지만, 상기 전,후,좌,우로 기울어진 본체(21)가 반달형베어링(221)의 전,후, 좌,우 부위에 접촉되어 고정 됨으로서 기울어진 본체(21)가 지지되고,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11) 하부에 일체로 장착된 체결구(223)에 체결, 고정된 반달형베어링(221)에 의하여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외부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0)가 본체(21)의 외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유지되어, 상기 유압실린더(10)의 상부에 적재된 대형구조물(300)이 180°수평각도인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구성의 수평유지부(22)가 구비된 이동지지판(20)에 의하여,
수평이동시에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균형이 수평으로 유지되어 파손이 방지되는 기술구성과;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중앙부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0)에서 전달되는 대형구조물(300)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는 집중중량지지부(23)에 의하여,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집중하중이 지지되는 기술구성과;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양측면에 구비된, 스키드웨이(40)의 양측벽(43,44)에서 구동되는 내장형 휠(24)에 의하여, 내장형 휠(24)이 스키드웨이(40)의 측벽(43,
44)에서 용이하게 구동되는 동시에, 휠 장비의 부피 축소와 휠장비의 취급이 편이한 기술구성과;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상부에 구비된, 에어컨트롤 밸브(26)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드레인 밸브(27)에 의하여,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기계장치의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을 수평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대형구조물의 하부에 설치 사용되는 수십 또는 수백개의 본 발명 수평운송장치(100)의 에어컨트롤 밸브(26)를 통하여 이동지지판 본체(21) 내부와 피스톤 씰의 본체(31)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 형태의 고압 질소를 제거 할 경우, 상기 에어드레인 밸브(27)를 통하여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 됨으로서, 작업성이 향상되는 기술구성과;
상기 언급된 중량측정부(15)가 구비된 유압실린더(10) 및, 수평유지부(22)와 집중중량지지부(23), 내장형 휠(24), 에어드레인 밸브(27)가 구비된 이동지지판
(20), 피스톤씰(30), 스키드웨이(40)로 구성된 본 발명의 수평운송장치(100)에 의하여,
윈치 또는 푸시풀디바이스(PUSU PULL DEVICE)와 같은 이동장치로 대형구조물
(300)인 고하중물 또는 본 발명의 이동지지판(20)을 밀거나 당겨서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40)의 상부에서 본 발명의 수평운송장치(100)를 이동시에, 최소한의 힘으로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이 용이하게 수평이동되는 기술구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100 : 수평 운송장치
10 : 유압실린더
11 : 본체 12,13 : 유압밸브
14 : 적재판
15 : 중량측정부
151 : 로드셀 플레이트(LOAD-CELL PLATE) 152 : 로드셀(LOAD-CELL)
20 : 이동지지판
21 : 본체
211,212: 유로
213: 공간부
22 : 수평유지부
221: 반달형 베어링 222: 반달형 요홈
223: 체결구
23: 집중중량지지부
24: 내장형 휠
241: 본체(휠) 242: 휠체결홀
25: 휠삽입홀
26: 에어컨트롤 밸브
261: 본체 262: 주입구
263,264: 연결관 265: 장착대
27: 에어드레인 밸브
271: 배출관 272: 개폐밸브
30 : 피스톤씰
31 : 본체
32 : 유로
33 : 에어쳄버
40 : 스키드웨이
41 : 본체 42 : 바닥면
43,44 : 측벽
50 : 오일도포기
51,52 : 본체 53,54 : 주입구
55,56 : 배출구
200 : 지지대
300 : 대형구조물(고하중물, 선박)

Claims (10)

  1. 선박 또는 콘크리트케이슨, 교량, 건축물, 해양구조물, 기계장치의 대형구조물(300)인 고하중물의 하부에 설치,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본체(11) 상부에 구비된 적재판(14) 또는 본체(11) 상부면의 외부에, 대형구조물(300)의 중량이 점검되는 로드셀 플레이트(151)와 로드셀(152)로 구성된 중량측정부(15)가 적층 또는 일체로 장착된 유압실린더(10) 및;
    상기 유압실린더 본체(11)의 하부에 구비된,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중앙부에 집중중량지지부(23)와,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일측면에 에어드레인 밸브(27)가 구비된 이동지지판(20)과;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하부에 구비된 피스톤씰(30)과;
    상기 피스톤씰(30)의 본체(31) 하부에 구비된 미끄럼판인 본체(41)와, 상기 본체(41)의 상부면인 바닥면(42)의 양측면에 측벽(43,44)이 각기 구비된 스키드웨이(40)로 구성된,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판(20)이,
    유압실린더(10)의 본체(11) 하부에 구비된 육상구간인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전,후,좌,우로 기울어지는 이동지지판 본체(21) 및;
    상기 본체(2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유압실린더(10)를 수직방향으로 유지하여 대형구조물(300)이 수평상태로 유지되는 본체(21)의 중앙부위가 반달 형태로 본체(21)의 내면으로 요홈진 요홈부인 반달형 요홈(222)과, 상기 반달형 요홈의 내부에 삽입된 반달형베어링(221)과, 상기 반달형 요홈(222)의 양측면에 구비된 유압실린더 본체(11) 하부에 일체로 장착된 체결구(223)로 구성된 수평유지부(22)와;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의 양측면에 스키드웨이(40)의 양측벽(43,44)에서 구동되는 내장형 휠(24)이; 구비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휠(24)이;
    상기 이동지지판 본체(21) 상,하부의 양측면에 각기 구비된 휠삽입홀(25)에 휠인 본체 전면적의 2/3 또는 3/4에 해당된 면적이 삽입된 본체(241) 및, 상기 휠삽입홀(25)의 외부에 각기 구비된 체결홀(25')과 상기 본체(241)에 구비된 휠체결홀(242)에 체결구가 체결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100).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36054A 2011-12-16 2011-12-16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KR101183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054A KR101183130B1 (ko) 2011-12-16 2011-12-16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PCT/KR2012/010279 WO2013089371A2 (ko) 2011-12-16 2012-11-30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RU2013157246/11A RU2588306C2 (ru) 2011-12-16 2012-11-30 Горизонтально 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веса тяжелого объекта и горизонтальной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яжелого объект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054A KR101183130B1 (ko) 2011-12-16 2011-12-16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3130B1 true KR101183130B1 (ko) 2012-09-19

Family

ID=4711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054A KR101183130B1 (ko) 2011-12-16 2011-12-16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3130B1 (ko)
WO (1) WO2013089371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3716B1 (ko) * 2015-05-26 2015-08-11 주식회사 우람 슬라이드 타입 중량측정장치
WO2016006965A1 (ko) * 2014-07-10 2016-01-14 송길봉 베어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장치
KR101615904B1 (ko) 2014-10-17 2016-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스템발판의 이동형 하중측정 장치
KR101636747B1 (ko) * 2015-08-27 2016-07-06 유영현 로드셀이 베어링에 내재되고, 하중지지부에 의하여 하중지지력이 강화된 수평운송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11684164A (zh) * 2018-02-06 2020-09-18 蒂森克虏伯罗特艾德德国有限公司 具有自调节的和对干扰不敏感的力元件的轴承装置
KR102318282B1 (ko) * 2020-09-28 2021-10-27 주식회사 케이엠 티엘에스 운반용 에어 캐스터 제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9627A (zh) * 2019-09-24 2021-04-09 格洛瑞亚株式会社 倾斜曲折的区间的水平移动与能够预先测定重量的重物水平运送装置及其驱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886A (ja) 1996-12-20 1998-07-07 Shinko Techno Kk 混練製品製造設備におけるバケットコンベヤ
KR200225806Y1 (ko) * 2000-12-22 2001-06-01 주식회사디케이에스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KR100628695B1 (ko) * 2004-12-17 2006-09-29 유영현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221B1 (ko) * 2009-01-23 2011-02-10 유영현 고하중물 이동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하중물 이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1886A (ja) 1996-12-20 1998-07-07 Shinko Techno Kk 混練製品製造設備におけるバケットコンベヤ
KR200225806Y1 (ko) * 2000-12-22 2001-06-01 주식회사디케이에스 중량측정 벨트 컨베이어
KR100628695B1 (ko) * 2004-12-17 2006-09-29 유영현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965A1 (ko) * 2014-07-10 2016-01-14 송길봉 베어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전장치
KR101615904B1 (ko) 2014-10-17 2016-04-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스템발판의 이동형 하중측정 장치
KR101543716B1 (ko) * 2015-05-26 2015-08-11 주식회사 우람 슬라이드 타입 중량측정장치
KR101636747B1 (ko) * 2015-08-27 2016-07-06 유영현 로드셀이 베어링에 내재되고, 하중지지부에 의하여 하중지지력이 강화된 수평운송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WO2017034069A1 (ko) * 2015-08-27 2017-03-02 유영현 로드셀이 베어링에 내재 및 하중지지력이 강화된 수평운송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N111684164A (zh) * 2018-02-06 2020-09-18 蒂森克虏伯罗特艾德德国有限公司 具有自调节的和对干扰不敏感的力元件的轴承装置
CN111684164B (zh) * 2018-02-06 2022-04-01 蒂森克虏伯罗特艾德德国有限公司 具有自调节的和对干扰不敏感的力元件的轴承装置
KR102318282B1 (ko) * 2020-09-28 2021-10-27 주식회사 케이엠 티엘에스 운반용 에어 캐스터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9371A3 (ko) 2013-08-08
RU2013157246A (ru) 2016-02-10
WO2013089371A2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130B1 (ko)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JP5053339B2 (ja) 締切用止水壁体
RU2668854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оставки материалов нефтяного промысла
RU2583170C2 (ru) Структурная несущая система трубопровода
US9366002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blocking settlement of ground
KR101230356B1 (ko) 이중 부체형 해상 주상체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주상체 운송 설치 공법
CN107777262B (zh) 一种高层建筑多维度物料输送系统及其安装方法
US20080115715A1 (en) Floating module and modular floating structure with variable configuration
KR20130056372A (ko) 철근 콘크리트 계량대와 그 콘크리트의 성형방법
CN109083173B (zh) 直立配重式轻质移动围堰
TW201632699A (zh) 圓筒型槽的建構方法
KR101636747B1 (ko) 로드셀이 베어링에 내재되고, 하중지지부에 의하여 하중지지력이 강화된 수평운송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0851934B2 (en) Mobile pump house
US20110067761A1 (en) Storage Tank Containment Apparatus
CN105275027A (zh) 水袋静载荷试验装置
CN105780797A (zh) 气膜建筑及其基础
KR100628695B1 (ko)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CN112944513B (zh) 超重大体积蓄冰盘管装置的拖运与安装工法
CN204435443U (zh) 可拆卸式管桩抗弯试验装置
CN209702146U (zh) 一种龙门架
KR200377397Y1 (ko)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KR101069777B1 (ko) 고하중물 이동장치
CN101985839B (zh) 一种大吨位桩基静载试验压重平台反力装置及安装方法
KR100893055B1 (ko) 구조물 이동 및 선적용 스키드 슈
US20120251279A1 (en) System for transferring large load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