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397Y1 -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397Y1
KR200377397Y1 KR20-2004-0035939U KR20040035939U KR200377397Y1 KR 200377397 Y1 KR200377397 Y1 KR 200377397Y1 KR 20040035939 U KR20040035939 U KR 20040035939U KR 200377397 Y1 KR200377397 Y1 KR 200377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kidway
support plate
compressed ai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현
Original Assignee
유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현 filed Critical 유영현
Priority to KR20-2004-0035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6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using fluid at high pressure supplied from an independent source to provide a cushion between load and 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콘크리트케이스,교량,건축물,기계장치등의 고하중을 갖는 대형구조물을 운송하는 고하중물의 수평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육상에서 건조한 선박의 해상으로의 진수시 또는 고하중의 대형 구조물을 윈치등의 당겨주는 장치 또는 별도의 밀어주는 장치를 이용하여 당기거나 밀을때, 구조물을 적은힘으로 수평이동을 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로서, 이동시 구조물(9)의 균형을 유지 하기 위한 유압실린더(1), 하중을 안정하게 지지 및 수평이동을 용이하게 하여주는 이동지지판(2), 상기 이동지지판(2)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이동통로로서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6),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를 공급하는 에어컨트롤 밸브(3), 상기 압축공기등에 의하여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6)의 상부에서 이동시 이동지지판(2)에 가해진 압축공기의 누설을 방지할수 있는 구조의 피스톤 씰(4), 스키드웨이(6)와의 사이에 유막형성을 위하여 실리콘오일등의 액체오일을 도포 하여 주는 오일 도포기(5)등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운송장치(10)를 이용하여, 종래 구조물을 윈치등으로 당기거나 밀어주는 기구를 이용하여 밀을때 구조물과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와의 큰 마찰저항으로 인하여 고하중의 구조물의 이동이 용이 하지 않았으며, 제어가 곤란하고, 이동시 많은 힘이 가해지므로, 이동중 구조물이 균형을 잃어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로부터 이탈되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동시에, 특히 본 고안은 고하중의 구조물을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를 이용하여 이동부가 이동시 바닥면과의 마찰계수를 최소화 하고 구조물을 적은힘을 가하여 용이하게 이동 할수가 있으며, 이동시 구조물의 균형을 유지하게 하여 구조물의 파손 방지등을 할수 있는 구조의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horizontally transport equipment of high load goods}
본 고안은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에서 건조한 선박의 해상으로의 진수시 또는 대형 구조물을 이동을 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운송장치에 있어서, 이송코저 하는 구조물의 하부에 구조물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본 고안의 운송장치를 다수개를 적치후, 윈치등의 당겨주는 장치 또는 별도의 밀어주는 장치를 이용하여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운송장치가 수평으로 이동시, 압축공기 혹은 고압질소를 이용하여 구조물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의 이동부위가 그 하부의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 상부에서 이동시, 상기 이동부위의 저면을 약간 들리게 하여, 이동부위의 저면과 스키드웨이의 바닥면과의 마찰계수를 최소화 시켜 구조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구조물을 적은힘으로 용이하게 수평이동을 시킬수가 있으며, 이동시 구조물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 및 구조물의 균형을 유지하게 하여 구조물의 파손 방지등을 할수 있는 구성의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구조물인 선박을 제작시 구조물이 대형인 관계로 이송상의 문제점으로 해상에 별도의 대형도크를 제작하여 상기 도크내에서 선박을 제작한후,도크에 물을 채워서 해상에 진수가 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도크의 별도 제작에 따른 경비가 막대히 소요되며, 제작기간이 장기간 소요 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최근 선박을 제조시, 별도의 도크가 필요 없게 육상에서 선박을 건조후, 해상으로 이송시켜 진수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 지면에 기둥형태의 다수개의
지지대를 여러 군데에 설치후, 그 상부에서 선박을 건조한후, 완성된 선박의 하부면에 레일을 설치하여 레일의 상부에서 구동되는 휠이 장착되어 있는 이동부를 상기 레일의 상부에 설치후, 선박등의 대형구조물의 외부에서 윈치 등의 밀어주는 기구를 이용하여 밀어서, 수평이동을 하여 바지선등에 이동후, 해상에 진수가 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고하중인 선박등의 대형 구조물의 하부에 본 고안의 운송장치를 다수개를 설치한후, 윈치 등의 당겨주는 장치 또는 별도의 밀어주는 장치를 이용하여, 운송장치를 적은힘으로 수평이동을 용이하게 할수가 있으며 이동중 구조물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 할수가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대형 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이동이 안정되게 되는 구성의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 상기 용도로 사용되는 운송장치는 구조물의 하부에 다수개의 레일 및 휠을 설치후, 상기 레일 상부에서 휠이 구동되어 구조물이 수평이동이 되는 운송장치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고하중의 구조물을 이송시 구조물의 하중이 과다한 관계로 휠이 집중하중을 받아 레일이 변형 하는등의 문제점으로 구조물의 이동이 원활 하지 않고, 이동 시키는데 많은 힘이 필요하였으며, 제어가 곤란하고, 특히 구조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 하지 못하여 수평이동이 정확히 되지 않아, 이동중 구조물이 균형을 잃게 되어 외부로 이탈되어 운송상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윈치등의 당겨주는 장치 또는 별도의 밀어주는 장치 및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를 이용하여 상기 스키드웨이 상부에서 이동부를 이동을 시키는 운송장치가 있었으나, 이 또한 상기 이동부가 구조물의 고하중에 의하여 이동시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 밀착, 마찰이 되게 되어 이동이 원활치 않았으며, 이를 방지 하고저 스키드웨이 바닥면에 구리스를 도포하여 바닥면을 미끄럽게 하여 이동부를 이송하고 있으나, 이 또한 상기와 같이 구조물의 고하중에 의하여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 이동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이 되게 되므로, 이동시 구리스의 미끄럼 효과가 별로 없어 이동이 원활치 않았으며, 구리스를 스키드웨이의 바닥면에 고루 도포하기가 곤란 하였으며, 도포작업의 번잡함 및 사용중 구리스가 경화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구조물의 이송이 원활치 않았으며,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 하지 못하여 구조물이 균형을 잃게 되어 외부로 이탈,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 및 운송장치가 파손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인출된 것으로서, 상기 용도의 윈치등의 당기거나 별도의 밀어주는 장치를 사용하여 당기거나 밀어서 수평이동이 되는 운송장치에 있어서, 이송코저 하는 구조물의 하부에 구조물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본 고안의 운송장치를 다수개를 설치,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를 이용하여 구조물이 적재되어 있는 상태의 이동부위가 그 하부의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상부에서 이동시,이동부위의 저면과 스키드웨이의 바닥면과의 마찰계수를 최소화 하여, 구조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구조물을 적은힘으로 용이하게 수평이동 및 이동시 구조물의 하중을 견고히 지지, 구조물이 균형을 유지하게 하여 구조물의 이탈,파손 방지등을 할수 있는 등의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 및 본 고안이 이루고저 하는 기술적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의 구성은;
1)유압실린더
2)이동지지판
3)에어컨트롤밸브
4)피스톤씰
5)오일도포기
6)스키드웨이 등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키로 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이 이에 의하여 국한 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참고단면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의 이동지지판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의 피스톤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오일도포기의 저면을 확대 도시한 참고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상의 구성을 도시한 참고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는 윈치등의 당기거나 별도의 밀어주는 장치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수평이동시, 도 1 에 도시한바와 같이 구조물(9)의 하부에 적치 및 구조물이 적재되어 이동시, 상기 구조물(9)의 하중 지지 및 구조물의 균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하로 이동이 되는 유압실린더(1);
하중을 지지 및 수평이동이 되는 이동지지판(2);
압축공기 또는 고압 질소를 공급하는 에어컨트롤밸브(3);
상기 압축공기등에 의하여 하중을 지지하고, 이동지지판(2)에 가해진 압축공기의 누설 방지 및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6)의 상부에서 마찰계수를 최소화하여 상기 이동지지판(2)과 같이 이동이 되는 구조의 피스톤 씰(4);
상기 피스톤 씰(4)과 스키드웨이(6)와의 사이에 미끄럼운송을 보조하는 유막 형성을 위하여 실리콘오일등의 액체오일을 도포 하여 주는 오일도포기(5);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미끄럼판 이동통로인 스키드웨이(6); 등으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는 유압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되는 구조의 본체(11)가 그 저면의 이동지지판(2)의 본체(21)상단의 고정유지부
(21a)내에 체결되어 고정유지부(21a)의 내,외부로 이동이 되게 되어 있고, 상기본체(11)의 측면에 유압유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압밸브(12,13)가 장착되어 있어, 구조물(9)의 이송시 다수개의 지지대(8)에 적층되어 있는 상태의 구조물(9)의 하부에 적치되어 본체(11)가 상향 이동 되는 구조로, 유압유를 유압밸브(12)로 공급하여 유압밸브(13)로 배출하여 발생되는 유압에 의하여 본체(11)의 상향 이동거리 만큼 상방향으로 지지하게 하여, 본체(11)의 상향 이동후 구조물(9)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본체(11)가 유동이 되지 않으며, 반대로 본체(11)가 하향시에는 유압유가 유압밸브(13)로 공급되어 유압밸브(12)로 배출되어 발생된 유압에 의하여 본체(11)가 하향 이동이 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11)의 상부면에 구조물(9)을 적재 할수 있는 적재판(8)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a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1)의 하부에 구조물(9)의 하중을 지지 및 수평 이동이 되는 원판 형태의 본체(21) 및 상기 본체(21)
의 측면 및 내면에 유로(22,23)가 형성되어 있는 이동지지판(2)이 위치되어 있어, 상기 유로(22)를 통하여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등이 공간부(26)로 유입되어, 그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피스톤씰(4)의 상부면(42)에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면 본체(21)가 상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조물(9)의 하중을 추가로 상방향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소정압력 도달후, 압축공기 공급이 차단되게 되며,차단후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상기 유로(23)를 통하여 별도로 유입 되며;
도 2 및 도 3b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유로(23)를 통하여 별도로 유입된 압축공기등이 원판형태의 피스톤씰(4)의 본체(41)내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43,44,
45)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이동지지판(2)과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6)의 사이에 에어쳄버(46)가 형성되고,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을 밀어주게 되어 상기 피스톤씰(4)의 본체(41)를 상방향으로 밀어주어,피스톤씰(4)의 저면과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간에 소정의 간격을 생성하게 됨으로서, 공기부양 효과를 얻을수 있으므로, 구조물(9)의 하중을 추가로 지지 및 상기 이동지지판(2) 및 피스톤씰(4)이 이동통로인 스키드웨이(6)의 상부에서 이동시 마찰계수를 최소한으로 줄여 이동이
원활이 되도록 구성 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이동지지판(2)의 본체(21)의 상단 일측면에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등을 주입할수 있는 본체(31) 및 주입구(32),연결관(33,33a)으로 구성된 에어컨트롤밸브(3)의 본체(31)를 설치할수 있는 장착대(34) 가 설치 되어 있고, 상기 본체(31)내에 연결관(33a)이 내장 및 연결관(33)을 고정할수 있는 고정구(35)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장착대(34)에 에어컨트롤밸브(3)의 본체(31)를 장착후, 연결관(33)을 고정구(35)로 고정하게 구성 되어 있으며,상기 주입구(32)를 통하여 압축공기등을 외부에서 주입하여,상기 연결관(33,33a)을 통하여 이동지지판의 유로(22,23)로 압축공기등이 유입이 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21)의 타측면에 적정 공기압을 유지 하기 위한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24) 및 에어배출부(25)가 고정구(36)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에어배출부(25)를 통하여 필요이상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되어 있으며,상기 본체(21)의 양측면에 스키드웨이(6)의 내측벽(63,64)에서 구동이 되어 이동지지판(2)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보조역활을 하는 롤형태의 가이드롤러(27,28)가 장착 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컨트롤밸브(3)는 주입구(32)를 통하여 압축공기등을 외부에서 주입하여 상기 연결관(33a)을 통하여 이동지지판(2)의 유로(22)로 압축공기를 유입, 소정압력이 되면 압축공기 공급이 차단되고, 차단후 이동지지판(2)의 유로(23)로 압축공기가 연결관(33)을 통하여 소정의 압력이 될때까지 별도로 공급되는 구조로, 상기 이동지지판(2)이 이동시 필요압력이 유지되도록 구성 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씰(4)의 양측면에 스키드웨이(6)의 상부에서 이동지지판(2)이 이동시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보조역활을 하는 본체(51,52) 및 주입구(53,54),배출구(55,56)로 구성되어 있는 오일도포기(5)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주입구(53,54)를 통하여 실리콘오일등의 액체 오일을 주입하여,도 4에 도시한바와 같이 본체(51)
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55,56)를 통하여 실리콘오일등의 액체오일을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으로 배출하여, 피스톤씰(4)이 이동됨으로서,피스톤씰(4)과 이동통로인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과의 사이에 유막을 형성하여 이동시 피스톤씰(4)과 스키드웨이(6)의 접촉면과의 간격을 최소화가 되게하여 압축공기와 고압 질소의 누설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60)는 본체
(61)의 양 측면에 측벽(63,64)을 형성하여, 운송장치의 이동중 외부이탈을 방지 및 이동지지판(2)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27,28)의 구동을 시킬수가 있으며 윈치등의 끌거나 별도의 밀어주는 장치를 고정하여 사용 할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이동시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
(62)을 청결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피스톤씰(4)의 본체(41) 내부에 청소기 역활의 흡입구(7)를 다수개를 설치하여,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에 있는 이물질이나 먼지등을 흡입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고안은 윈치등의 당기거나 별도의 밀어주는 기구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수평이동시, 이송코저 하는 구조물(9)의 하부에 본 고안의 운송장치(10)를 구조물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다수개를 적치하여, 유압실린더(1)의 유압에 의하여 본체(11)의 상향 이동거리 만큼 상방향으로 본체(11)를 지지하게 하여, 본체(11)의 상향 이동후 구조물(9)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본체(11)가 유동이 되지 않아 이동시 구조물(9)이 수평을 계속 유지되게 되어, 이동중 구조물(9)의 균형이 유지되게 되어 있으며, 이동시 에어컨트롤밸브(3)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 등이 이동지지판(2)의 유로(22,23) 및 그 하부의 피스톤씰
(4)의 유로(43,44,45)로 유입되어,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으로 유입,에어쳄버
(46)를 형성하여 구조물(9)의 하중을 추가로 지지 및 상기 피스톤씰(4)의 저면을 상방향으로 약간 들리게 하여, 그 하부의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과의 마찰계수를 최소화 하여, 윈치등의 당기거나 별도의 밀어주는 기구를 이용하여 밀어줌으로서, 구조물(9)의 고하중에 관계없이 구조물(9)이 적은힘으로 용이하게 수평이동이 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구조물(9)의 하중지지에 있어서, 하나의 지지부가 아닌 유압실린더(1),이동지지부(2),피스톤씰(4),에어쳄버(46)등의 여러부위를 통하여 지지를 하게 되므로, 구조물의 하중을 견고히 지탱할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고하중물의 수평운송장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윈치등의 밀어주는 기구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수평 이동시, 상기 구조물의 고하중에 의하여 하중지지 및 이동이 원활 하지 않으며, 제어가 곤란하고, 이동시 많은 힘이 필요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한 동시에, 스키드웨이내에서 이동부가 이동시, 바닥면과의 마찰계수를 최소화하여 고하중의 구조물의 하중에 관계없이 구조물을 적은힘으로 용이하게 수평이동을 할수가 있으며, 이동시 구조물에서 전달되는 고하중을 견고히 지탱 및 구조물의 균형을 수평으로 유지하게 하여 구조물을 안정적이고 안전하게 수평 운송을 할수가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운송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이동지지판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의 피스톤씰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오일도포기의 저면을 확대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상의 구성을 도시한 참고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수평 운송장치
1 : 유압실린더
11 : 본체 12,13 : 유압밸브
14 : 적재판 15,16 : 볼트
2 : 이동지지판
21 : 본체 21a : 고정유지부
22,23,24 : 유로 25 : 에어배출부
26 : 공간부 27,28 : 가이드롤러
3 : 에어컨트롤밸브
31 : 본체 32 : 주입구
33,33a : 연결관 34 : 장착대
35,36 : 고정구
4 : 피스톤씰
41 : 본체 42 : 상부면
43,44,45 : 유로 46 : 에어쳄버
5 : 오일도포기
51,52 : 본체 53,54 : 주입구
55,56 : 배출구
6 : 스키드웨이
61 : 본체 62 : 바닥면
63,64 : 측벽
7 : 흡입구
8 : 지지대
9 : 구조물

Claims (6)

  1. 선박등의 대형 구조물의 하부에 구조물의 크기 및 중량에 따라 운송장치를 다수개를 적치하여, 윈치등의 당기거나 별도의 밀어주는 기계를 이용하여, 운송장치를 당기거나 밀어서,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의 상부에서 구조물이 수평 이동되는 운송 장치에 있어서;
    운송장치가 구조물(9)의 하부에서 상,하로 이동이 되는 유압실린더(1),수평이동을 하는 이동지지판(2), 압축공기 또는 고압 질소를 공급하는 에어컨트롤 밸브(3), 상기 이동지지판(2)과 같이 이동이 되는 피스톤 씰(4), 미끄럼판인 스키드웨이(6)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1)의 유압에 의하여 구조물(9)의 하중을 지지하여 구조물(9)이 유동이 되지 않으며, 상기 에어컨트롤밸브(3)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 이동부위인 이동지지판(2)의 본체(2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23) 및 그 하부의 피스톤씰(4)의 본체(41)에 형성되어 있는 유로(43,44,45)로 유입되어 에어쳄버(46)를 형성, 이동통로인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을 밀어주게 되어, 상기 피스톤씰(4)의 본체(41)저면을 상방향으로 들리게 하여,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과의 마찰계수를 최소화, 윈치등의 이동장치로 외부에서 당기거나 밀을시, 구조물(9)이 고하중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수평이동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구조물(9)의 하중지지에 있어서, 하나의 지지부가 아닌 상기 유압실린더(1),이동지지부(2),피스톤씰(4),에어쳄버(46)를 통하여 지지를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가 유압에 의하여 상하 이동이 되는 구조의 본체(11)로서, 이동지지판(2)의 본체(21)상단의 고정유지부(21a)내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11)의 측면에 유압유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유압밸브(12,13)가 장착되어 있어, 구조물(9)의 이송시 구조물(9)의 하부에 적치되어 본체(11)가 상향 이동 되는 구조로, 유압유를 유압밸브(12)로 공급하여 유압밸브(13)로 배출하여 유압에 의하여 본체(11)의 상향 이동거리 만큼 상방향으로 지지하게 되어, 본체
    (11)의 상향 이동후 구조물(9)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지지하여 본체(11)가 유동이 되지 않으며, 반대로 본체(11)가 하향시에는 유압유가 유압밸브(13)로 공급되어 유압밸브(12)로 배출되어 유압에 의하여 본체(11)가 하향 이동이 되는 구조로,본체
    (11)의 상부면에 구조물(9)을 적재 할수 있는 적재판(8)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판(2)이 구조물(9)의 하중을 지지 및 수평이동이 되는 본체(21) 및 상기 본체(21)의 일측면에 에어컨트롤밸브(3)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 또는 고압 질소가스등이 유입되는 공간부(26)가 형성되어 있어,상기 유로(22)를 통하여 공간부(26)로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하여 구조물(9)의 하중을 추가로 지지 할수가 있으며, 상기 본체(21)의 타측면에 적정 공기압을 유지 하기 위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유로(24) 및 에어배출부(25)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에어배출부(25)를 통하여 필요이상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본체(21)의 양측면에 본체(21)가 이동시 스키드웨이(6)의 측벽(63,64)내부에서 구동이 되어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롤형태의 가이드롤러(27,28)가 장착되어 있으며,상기 본체
    (21)의 내부에 흡입구(7)를 다수개 설치하여,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에 있는 이물질이나 먼지등을 흡입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컨트롤밸브(3)가 압축공기 또는 고압질소가스등을 주입할수 있는 본체(31) 및 주입구(32),연결관(33,33a)으로 구성되어,상기 주입구(32)를 통하여 압축공기등을 외부에서 주입하여 연결관(33a)를 통하여 상기 이동지지판(2)의 유로(22)로 압축공기를 유입, 소정압력이 되면 압축공기 공급이 차단되고 차단후, 상기 이동지지판(2)의 유로(23)로 압축공기가 연결관(33)을 통하여 소정의 압력이 될때 까지 공급되어, 이동지지판(2)이 이동시 필요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지지판(2)의 본체(21)의 상단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대
    (34)에 본체(31)가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씰(4)의 본체(41) 양측면에 이동지지판(2)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한 보조역활을 하는 본체(51,52) 및 주입구(53,54), 배출구(55,56)로 구성되어 있는 오일도포기(5)가 장착되어, 상기 스키드웨이(6)의 바닥면(62)에 실리콘오일등의 액체오일을 배출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키드웨이(6)의 본체(61) 양측면에 측벽(63,64)을 형성하여, 운송장치의 이동중 외부이탈을 방지할수 있으며 이동지지판(2)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가이드롤러(27,28)의 구동 및 윈치등의 끌거나 별도의 밀어주는 장치를 고정하여 사용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KR20-2004-0035939U 2004-12-17 2004-12-17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KR200377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939U KR200377397Y1 (ko) 2004-12-17 2004-12-17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939U KR200377397Y1 (ko) 2004-12-17 2004-12-17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870A Division KR100628695B1 (ko) 2004-12-17 2004-12-17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397Y1 true KR200377397Y1 (ko) 2005-03-14

Family

ID=43679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939U KR200377397Y1 (ko) 2004-12-17 2004-12-17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3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695B1 (ko) 2004-12-17 2006-09-29 유영현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WO2010085016A1 (ko) * 2009-01-23 2010-07-29 Yoo Yung Hyun 고하중물 이동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하중물 이동방법
CN115643715A (zh) * 2022-11-10 2023-01-24 尤洛卡(山东)矿业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安全定位巡检机器人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695B1 (ko) 2004-12-17 2006-09-29 유영현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WO2010085016A1 (ko) * 2009-01-23 2010-07-29 Yoo Yung Hyun 고하중물 이동 지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고하중물 이동방법
CN115643715A (zh) * 2022-11-10 2023-01-24 尤洛卡(山东)矿业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安全定位巡检机器人装置及使用方法
CN115643715B (zh) * 2022-11-10 2023-09-22 尤洛卡(山东)矿业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安全定位巡检机器人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2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substrates
US75471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containers
KR100628695B1 (ko)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KR20100103266A (ko) 펌프 타워
KR101183130B1 (ko) 고하중물의 중량 측정 및 수평이동이 가능한 수평운송장치
KR200377397Y1 (ko)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KR100984267B1 (ko) 진공상태로 흡입하고 압축상태로 배출하는 슬러지 이송차량
CN110721943A (zh) 一种板材清洗设备
KR101710031B1 (ko) 랙모듈 상하차용 리프트 및 상차 방법
JP5895020B2 (ja) 燃料要素の搬送の為の搬送装置
KR101069780B1 (ko)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시의 이송 방법
KR20230001652A (ko)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KR20090043028A (ko) 컨테이너 리프팅 장치
KR102498854B1 (ko) 이젝터 효과를 이용한 자원 절감형 수배관 시스템
JP2003020125A (ja) ドライコンテナへの搬送物の搬出入システム及び搬出入構造体
KR101251473B1 (ko) 육상건조선박의 이송장치
US6318489B1 (en) Ground effect machine
CN206446626U (zh) 物流手推车
KR102513685B1 (ko) 탈부착 가능한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JP3653690B2 (ja) 搬送物の搬送方法及び搬送物底面の摩擦低減構造
JP3676634B2 (ja) 重量構造物の段差部における移動方法
JP2021103787A5 (ja) 基板を搬送する方法
JP2006123372A (ja) 管ライニング材の密閉容器及びその管ライニング材の反転方法
JP2017190174A (ja) キャスター付きパレット
JP2003020124A (ja) 搬送物搬出入用のドライコンテナ移送装置及び搬出入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