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607B1 -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607B1
KR102344607B1 KR1020210062497A KR20210062497A KR102344607B1 KR 102344607 B1 KR102344607 B1 KR 102344607B1 KR 1020210062497 A KR1020210062497 A KR 1020210062497A KR 20210062497 A KR20210062497 A KR 20210062497A KR 102344607 B1 KR102344607 B1 KR 10234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
loading
rail
upper rail
sk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화
이건우
Original Assignee
윤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화 filed Critical 윤상화
Priority to KR102021006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fluids, e.g. having direct contact between fluid and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상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상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레일 승강 구동부와; 상기 상부 레일 상에서 상기 상부 레일의 길이 방향인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케이트와; 상기 스케이트를 상기 상부 레일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를 가지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 PRODUCT LOADING AND TRASFERRING DEVICE USING SKATE AND TRACK }
본 발명은 레일과 레일 안에서 이동 가능한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고중량의 물건을 컨테이너에 적재할 수 있고, 적재한 물건을 컨테이너 내부에서 이송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건을 수동으로 상하역 할 때 이용하는 스케이트 트랙 시스템은, 고중량의 물건을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한 다음, 컨테이너 내부에서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스케이트 트랙 시스템은, 컨테이너 내부의 바닥에 트랙이 설치되고, 트랙 안에 스케이트가 삽입되어, 스케이트가 트랙 안에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스케이트 트랙 시스템에서는, 스케이트 위에 물건을 적재하고, 스케이트에 핸들을 삽입한다. 그리고 핸들을 이용하여 스케이트를 들어 올린 다음, 트랙 안에서 스케이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물건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이 직접 핸들을 잡고 물건을 이동시키므로 인력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핸들을 삽입하여 스케이트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스케이트에 힘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스케이트가 트랙 안에서 상승하지 않게 되면, 물건이 스케이트 위에 적재되지 않아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조로다 스케이트 트랙 시스템 https://www.joloda.com/our-solutions/manual-loading-solutions/skate-track-loading-system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일과 레일 안에서 이동 가능한 스케이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한 물건을 자동으로 이송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상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상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레일 승강 구동부와; 상기 상부 레일 상에서 상기 상부 레일의 길이 방향인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케이트와; 상기 스케이트를 상기 상부 레일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를 가지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진 복수의 캠이, 상기 상부 레일이 상기 하부 레일과 마주하는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삽입구에 회전 축이 지지되는 복수의 제 1 롤러가, 상기 복수의 캠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레일 승강 구동부는, 상기 상부 레일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 레일을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차량에 설치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 받아, 상기 상부 레일을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캠은, 상기 상부 레일이 상기 하부 레일과 마주하는 일면에 제 1 간격 마다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제 1 간격 마다 상기 복수의 캠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1 간격은 상기 스케이트의 길이의 1/3 이하인,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중심에 연결되는 제 1 풀리와; 상기 제 1 풀리의 둘레 일부에 연결되는 체인 또는 벨트와; 상기 제 1 풀리와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체인 또는 벨트가 둘레 일부에 연결되는 제 2 풀리와; 일단이 상기 체인 또는 벨트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스케이트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핀을 포함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회전할 때, 상기 스케이트는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케이트의 측면에 연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홈에 상기 제 2 연결 핀이 고정 결합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제 1 적재부와; 한 쌍의 상기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제 2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적재부와 상기 제 2 적재부는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적재부의 상기 스케이트가 이동하는 방향과, 상기 제 2 적재부의 상기 스케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상기 제 1 적재부의 상기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와, 상기 제 2 적재부의 상기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 승강 구동부와 상기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는, 원격 조종 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량으로부터 전달 받은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하여 상부 레일을 상승시키면서 스케이트를 들어 올리기 때문에, 스케이트가 위에 물건이 적재되어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으로 스케이트가 이동하므로, 인력을 소모하지 않고 물건을 이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설치한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레일과 레일 승강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케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 등에 기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한 각 구성 요소들의 크기와 형태는, 실시 예의 설명을 위해 과장되어 표현한 것 일 수 있으며, 실제로 실시되는 발명의 크기와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특별히 정의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에 설치한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컨테이너(10)는, 직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일면에는 벽이 형성될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내부는 비어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저면(F10-1)과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일면(F10-2)을 열고 닫을 수 있어, 일면(F10-2)을 통해 물건(21, 22)을 적재할 수 있다. 컨테이너(10)의 길이 방향인 제 1 방향(D1)으로의 길이는, 예를 들어 12m일 수 있다.
컨테이너(10)는 차량에 탑재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컨테이너(10)는, 선박용 드라이 컨테이너, 항공기용 컨테이너, 냉장 및 냉동 컨테이너, 오픈 탑 컨테이너, 사이드 오픈 컨테이너, 탱크 컨테이너, 플랫폼 컨테이너, 자동차 운반용 컨테이너, 가축 수송용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컨테이너(10)에는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은 컨테이너(10)의 저면(F10-1)에서 제 1 방향(D1)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직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홈은 제 1 방향(D1)과 직교하는 제 3 방향(D3)으로, 서로 간격을 두면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100)는, 컨테이너(10)의 홈 안에 설치될 수 있다.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100)는, 컨테이너(10)에 적재한 물건(21, 22)을 제 1 방향(D1) 또는 제 1 방향(D1)과 반대되는 제 2 방향(D2)으로 이송할 수 있다.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100)는, 하부 레일과, 상부 레일과, 레일 승강 구동부와, 스케이트와,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를 가지는 이송 유닛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레일은, 상부 레일과 스케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 하부 레일의 일면은 컨테이너(10)의 홈과 접하거나, 이송 유닛을 감싸는 하우징과 접할 수 있다. 하부 레일의 내부는 상부 레일의 일부를 수용하면서, 상부 레일을 지지할 수 있다. 하부 레일은 복수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는 상부 레일과 접하면서, 캠 팔로워(cam follow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부 레일은, 하부 레일 상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상부 레일은 복수의 캠(cam)을 포함할 수 있다. 캠은 하부 레일의 롤러와 접할 수 있다. 상부 레일은 하부 레일 위에서,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부 레일의 캠과 하부 레일의 롤러 사이의 상대적인 운동에 의해, 상부 레일이 하부 레일 위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레일 승강 구동부는, 상부 레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레일 승강 구동부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상부 레일과 연결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선형 운동하면서, 상부 레일도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선형 운동할 수 있다.
스케이트는, 상부 레일 상에서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케이트의 길이는 상부 레일의 길이 보다 작을 수 있다. 스케이트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는 상부 레일 위에서 상부 레일과 접하며 위치할 수 있다. 롤러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케이트가 상부 레일 상에서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는, 스케이트를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는 스케이트와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가 회전하면서 체인 또는 벨트가 이동할 수 있고, 스케이트도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레일 승강 구동부와 스케이트 구동부는 원격 조종 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이송 유닛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우징, 케이스 커버 등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적재부는 한 쌍의 이송 유닛을 구비할 수 있고, 컨테이너(10)에 적재한 물건(21, 22)을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적재부가 구비하는 한 쌍의 이송 유닛은, 제 3 방향(D3)으로 서로 간격을 두면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적재부는 물건(21, 22)을 균형 있게 지지하면서 이송할 수 있다.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100)는, 복수의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적재부는 제 3 방향(D3)으로 서로 간격을 두면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적재부(LM1)는 제 1 이송 유닛(TU1)과 제 2 이송 유닛(TU2)을 구비할 수 있고, 물건(21)을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적재부(LM2)는 제 3 이송 유닛(TU3)과 제 4 이송 유닛(TU4)을 구비할 수 있고, 물건(22)을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송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적재부는 한 쌍이 아닌 1개 또는 3개 이상의 이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이송 유닛은, 제 3 방향(D3)으로 서로 간격을 두면서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각각의 적재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적재부(LM1)의 스케이트가 이동하는 방향과, 제 2 적재부(LM2)의 스케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제 1 적재부(LM1)의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와, 제 2 적재부(LM2)의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레일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하부 레일(110)은, 제 1 보디(111)와 복수의 제 1 롤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디(111)는 직육면체에서 3면이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3면에 벽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보디(111)는, 단면이 'ㄷ'자 또는 '凹'자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제 1 보디(111)의 제 1 측면(F111-1)과 제 2 측면(F111-2)에는 각각 복수의 제 1 삽입 구(11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방향(D3)에서 바라 볼 때, 제 1 측면(F111-1)에 형성된 제 1 삽입 구(111a)와 제 2 측면(F111-2)에 형성된 제 1 삽입 구(111a)는 완전히 중첩되어 보일 수 있다. 제 1 보디(111)의 저면(F111-3)은, 컨테이너(도 1의 10)의 홈 또는 이송 유닛의 일부를 감싸는 하우징과 접할 수 있다.
제 1 측면(F111-1)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삽입 구(111a)는, 서로 제 1 간격(I1)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측면(F111-2)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삽입 구(111a)도, 서로 제 1 간격(I1)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제 1 측면(F111-1)에 형성된 제 1 삽입 구(111a)와, 이와 마주하는 제 2 측면(F111-2)에 형성된 제 1 삽입 구(111a)에는, 제 1 롤러(112)의 회전 축이 지지되며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제 1 롤러(112)는, 서로 제 1 간격(I1)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상부 레일(120)은, 제 2 보디(121)와, 복수의 캠(122)과, 제 1 연결 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보디(121)는 직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다. 스케이트는 제 2 보디(121)의 상면(F121-1)에 위치할 수 있다. 스케이트는 보디(121)의 상면(F121-1)에서,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부 레일(120)이 하부 레일(110)과 마주하는 제 2 보디(121)의 저면(F121-2)에는, 복수의 캠(122)이 위치할 수 있다. 캠(122)은, 제 1 방향(D1)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고, 제 2 방향(D2)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또는 캠(122)은, 제 1 방향(D1)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고, 제 2 방향(D2)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는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하나의 캠(122)은 하나의 제 1 롤러(112)와 서로 대응하며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캠(122)은, 서로 제 1 간격(I1)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캠 팔로워인 제 1 롤러(112)가 경사진 캠(122)과 맞닿아 있으므로, 상부 레일(120)이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선형 운동을 할 때, 상부 레일(120)은 하부 레일(110)을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제 2 보디(121)의 측면(F121-3)에는, 제 1 연결 핀(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결 핀(123)은 레일 승강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레일(120)은 레일 승강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선형 운동을 할 수 있다.
제 1 간격(I1)은, 스케이트의 길이의 1/3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이트가 상부 레일(120) 상에서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때, 스케이트는 3개 이상의 제 1 롤러(112)에 의해 지지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레일과 레일 승강부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레일 승강 구동부(130)는, 리니어 액추에이터(131)와 고정 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31)는 피스톤 로드(131a)와 실린더 튜브(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31)는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 받아, 피스톤 로드(131a)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피스톤 로드(131a)에는 그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 공(13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레일(120)의 제 1 연결 핀(123)은 관통 공(131c)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니어 액추에이터(131)는 상부 레일(120)을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31)가, 차량에 설치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 받아 피스톤 로드(131a)를 왕복 운동시키면, 피스톤 로드(131a)와 연결된 상부 레일(120)의 제 1 연결 핀(123)에 의해, 상부 레일(120)도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레일(120)이, 제 1 방향(D1)과 제 2 방향(D2) 사이를 반복적으로 선형 운동하게 된다.
고정 판(132)은 컨테이너(도 1의 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 판(132)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커넥터(132a)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터(132a)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는 결합 공(132b)이 형성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31)는 결합 공(132b)과 연결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31)는 서로 마주보는 결합 공(132b)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레일(120)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에 대응하여, 피스톤 로드(131a)와 컨테이너(도 1의 10)의 저면(도 1의 F10-1) 사이의 각도가 변하도록, 피스톤 로드(131a)가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케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케이트(140)는, 제 3 보디(141)와 복수의 제 2 롤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보디(141)는 직육면체에서 3면이 개방되어 있고, 나머지 3면에 벽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보디(141)는, 단면이 'ㄷ'자 또는 '凹'자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제 3 보디(141)의 제 1 측면(F141-1)과 제 2 측면(F141-2)에는 각각 복수의 제 2 삽입 구(14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 3 방향(D3)에서 바라 볼 때, 제 1 측면(F141-1)에 형성된 제 2 삽입 구(141a)와 제 2 측면(F141-2)에 형성된 제 2 삽입 구(141a)는 완전히 중첩되어 보일 수 있다. 컨테이너(도 1의 10)에 적재할 물건(도 1의 21, 22)은, 제 3 보디(141)의 상면(F141-3)에 놓일 수 있다.
제 2 롤러(142)의 회전 축은, 제 1 측면(F141-1)에 형성된 제 2 삽입 구(141a)와, 이와 마주하는 제 2 측면(F141-2)에 형성된 제 2 삽입 구(141a)에 걸쳐 위치하며, 제 3 보디(141)를 지지할 수 있다.
제 3 보디(141)의 제 1 측면(F141-1) 또는 제 2 측면(F141-2)에는 복수의 연결 홈(141b)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홈(141b)에는 제 2 연결 핀이 결합될 수 있다. 제 2 연결 핀은 연결 홈(141b)에 고정 결합 될 수 있다. 또는 제 2 연결 핀은 연결 홈(141b)에 탈부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는, 모터와, 제 1 풀리와, 제 2 풀리와, 체인 또는 벨트, 제 2 연결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의 구동 축은 제 1 풀리의 중심에 연결될 수 있다. 모터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제 1 풀리의 둘레 일부에는 체인 또는 벨트가 연결될 수 있다. 제 2 풀리는 제 1 풀리와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고, 제 2 풀리의 둘레 일부에는 체인 또는 벨트가 연결될 수 있다. 체인 또는 벨트에는 제 2 연결 핀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구동 축이 회전할 때 제 1 풀리도 같이 회전하게 되고, 제 1 풀리의 둘레 일부에 걸친 체인 또는 벨트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둘레 일부에 체인 또는 벨트가 걸친 제 2 풀리도 회전하면서, 체인 또는 벨트가 이동하게 된다. 체인 또는 벨트와 결합된 제 2 연결 핀이 이동하면서, 제 2 연결 핀의 다른 일단과 결합된 스케이트(140)도 제 1 방향(D1) 또는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5와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의 단면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레일 승강 구동부(도 3의 130)의 리니어 액추에이터(131)는, 파이프(133)와 연결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31)는 파이프(133)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 받을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31)가 파이프(133)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 받기 전에는, 도 6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스톤 로드(131a)가 정지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스케이트(140)를 제 2 방향(D2)으로 이동시켜, 컨테이너(도 1의 10)에 적재된 물건(도 1의 21, 22) 밑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131)가 파이프(133)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 받은 후에는, 도 6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스톤 로드(131a)가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131a)와 제 1 연결 핀(123)을 통해 연결된, 상부 레일(120)의 제 2 보디(121)도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레일(110)의 제 1 롤러(112)가 상부 레일(120)의 캠(1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 레일(12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부 레일(120)의 위에 놓인 스케이트(140)도 같이 상승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스케이트(140)에 핸들을 삽입하여 들어 올릴 필요가 없다.
스케이트(140)가 상승하면서, 그 위에 놓인 물건(도 1의 21, 22)을 컨테이너(도 1의 10)의 저면(도 1의 F10-1)으로부터 들어 올리게 된다. 이때 물건(도 1의 21, 22)과 컨테이너(도 1의 10)의 저면(도 1의 F10-1)은 서로 맞닿지 않으므로, 스케이트(140)가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면, 물건(도 1의 21, 22)도 제 1 방향(D1)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컨테이너(도 1의 10) 안에서 물건(도 1의 21, 22)을 이송한 다음, 파이프(133)를 통해 공압 또는 유압을 제거하면, 다시 도 6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피스톤 로드(131a)가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 로드(131a)와 제 1 연결 핀(123)을 통해 연결된, 상부 레일(120)의 제 2 보디(121)도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 레일(110)의 제 1 롤러(112)가 상부 레일(120)의 캠(1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부 레일(122)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스케이트(140)를 제 2 방향(D2)으로 다시 이동시켜, 컨테이너(도 1의 10)에 적재된 다른 물건 밑에 놓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부 레일(120)이 하강한 다음 스케이트(140)가 제 2 방향(D2)으로 이동하여 물건(도 1의 21, 22) 밑에 놓이는 단계와, 상부 레일(120)이 상승하면서 스케이트(140)가 물건(도 1의 21, 22)을 들어 올리는 단계와, 스케이트(140)가 제 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상부 레일(120)이 하강하는 단계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하나 이상의 물건을 컨테이터(도 1의 10) 안에서 이송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실시 예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컨테이너
F10-1 : 컨테이너의 저면
F10-2 : 컨테이너의 일면
21, 22 : 물건
100 :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110 : 하부 레일
111 : 제 1 보디
111a : 제 1 삽입구
F111-1 : 제 1 보디의 제 1 측면
F111-2 : 제 1 보디의 제 2 측면
F111-3 : 제 1 보디의 저면
112 : 제 1 롤러
120 : 상부 레일
121 : 제 2 보디
F121-1 : 제 2 보디의 상면
F121-2 : 제 2 보디의 저면
F121-3 : 제 2 보디의 측면
122 : 캠
123 : 제 1 연결 핀
130 : 레일 승강 구동부
131 : 리니어 액추에이터
131a : 피스톤 로드
131b : 실린더 튜브
131c : 관통 공
132 : 고정 판
132a : 커넥터
132b : 결합 공
133 : 파이프
140 : 스케이트
141 : 제 3 보디
141a : 제 2 삽입구
141b : 연결 홈
F141-1 : 제 1 보디의 제 1 측면
F141-2 : 제 1 보디의 제 2 측면
F141-3 : 제 1 보디의 상면
142 : 제 2 롤러

Claims (10)

  1. 하부 레일과;
    상기 하부 레일 상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상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레일 승강 구동부와;
    상기 상부 레일 상에서 상기 상부 레일의 길이 방향인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며, 측면에 연결 홈이 형성되는 스케이트와;
    상기 스케이트를 상기 상부 레일의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를 가지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는 :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중심에 연결되는 제 1 풀리와;
    상기 제 1 풀리의 둘레 일부에 연결되는 체인 또는 벨트와;
    상기 제 1 풀리와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체인 또는 벨트가 둘레 일부에
    연결되는 제 2 풀리와;
    일단이 상기 체인 또는 벨트와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스케이트 측면의 연결 홈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연결 핀을 포함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커지고 상기 제 2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경사진 형태를 가진 복수의 캠이, 상기 상부 레일이 상기 하부 레일과 마주하는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레일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삽입구에 회전 축이 지지되는 복수의 제 1 롤러가, 상기 복수의 캠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레일 승강 구동부는, 상기 상부 레일과 연결되고, 상기 상부 레일을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차량에 설치된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공압 또는 유압을 전달 받아, 상기 상부 레일을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캠은, 상기 상부 레일이 상기 하부 레일과 마주하는 일면에 제 1 간격 마다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롤러는 상기 제 1 간격 마다 상기 복수의 캠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1 간격은 상기 스케이트의 길이의 1/3 이하인,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축이 회전할 때, 상기 스케이트는 상기 제 1 방향 또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제 1 적재부와;
    한 쌍의 상기 이송 유닛을 구비하는 제 2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적재부와 상기 제 2 적재부는 이격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 1 적재부의 상기 스케이트가 이동하는 방향과, 상기 제 2 적재부의 상기 스케이트가 이동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되도록, 상기 제 1 적재부의 상기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와, 상기 제 2 적재부의 상기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 승강 구동부와 상기 스케이트 이송 구동부는, 원격 조종 장치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KR1020210062497A 2021-05-14 2021-05-14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KR10234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97A KR102344607B1 (ko) 2021-05-14 2021-05-14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497A KR102344607B1 (ko) 2021-05-14 2021-05-14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607B1 true KR102344607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497A KR102344607B1 (ko) 2021-05-14 2021-05-14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6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053A (ja) * 2008-03-12 2009-09-24 Ashimori Ind Co Ltd ローダ
KR20100113879A (ko) * 2009-04-14 2010-10-22 박성환 운송차량 적재함의 화물이동적재장치
JP2016196362A (ja) * 2015-04-06 2016-11-24 有限会社矢島製作所 ロー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053A (ja) * 2008-03-12 2009-09-24 Ashimori Ind Co Ltd ローダ
KR20100113879A (ko) * 2009-04-14 2010-10-22 박성환 운송차량 적재함의 화물이동적재장치
JP2016196362A (ja) * 2015-04-06 2016-11-24 有限会社矢島製作所 ロー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loda Hydraroll, what are skate & track loading solutions?, url: https://www.joloda.com/our-solutions/manual-loading-solutions/skate-track-loading-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11263A1 (zh) 货物运载系统、货物运载箱及用于货物集中装卸的装置
CN109650287A (zh) 一种具有横向纵向移载平台的rgv及工作方法
CN205151174U (zh) 一种牛奶包装盒自动抓取装置
KR100807793B1 (ko) 마그네트를 이용한 판재 이송장치
JP2023540634A (ja) 搬送装置、倉庫物流システム及びパレット搬送方法
CN107640542A (zh) 一种智能型上料装置
KR101960731B1 (ko) 컨테이너 내부 화물 푸쉬아웃장치
KR102344607B1 (ko)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CN203048073U (zh) 集装箱地板铺装设备
KR102513685B1 (ko) 탈부착 가능한 스케이트와 레일을 이용한 물건 적재 및 이송 장치
CN206359193U (zh) 一种升降输送装置
CN107161192B (zh) 一种箱柜的运输手推车
CN110328652A (zh) 一种用于工业搬运的机械机器人及状态切换方法
CN211619015U (zh) 一种输送带抬高设备
CN205891851U (zh) 货物运载系统、货物运载箱及用于货物集中装卸的装置
CN110817451B (zh) 一种货物移动装置及集装箱码垛机
CN215286568U (zh) 一种板材用自动化立体仓库
JP4723126B2 (ja) ドライコンテナへの搬送物の搬出入システム
CN211308680U (zh) 推车和运输装置
CN208439496U (zh) L式送箱包装输送机
CN210557728U (zh) 多向重载输送机
CN208843313U (zh) 一种玻璃窗扇自动码垛装置
CN107933406B (zh) 一种车载式传输设备和运输车
CN206842555U (zh) 一种托盘仓装置
CN114034212B (zh) 一种发射箱垂直装填机构和装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