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652A -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652A
KR20230001652A KR1020210084418A KR20210084418A KR20230001652A KR 20230001652 A KR20230001652 A KR 20230001652A KR 1020210084418 A KR1020210084418 A KR 1020210084418A KR 20210084418 A KR20210084418 A KR 20210084418A KR 20230001652 A KR20230001652 A KR 2023000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fluid
crane
shi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엽
강성
박병곤
유혜현
정귀영
최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652A/ko
Publication of KR2023000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는 유체에 압력을 가하여 유동력을 제공하는 고압 펌프, 고압 펌프로부터 제공받은 유동력을 이용하여, 선박 내 설치된 저장 탱크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케이지, 케이지 내에 배치되어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됨에 따라 승강 작동하며, 상부에 크레인이 일체로 구비되는 승강 로드 및 승강 로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케이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승강 로드가 케이지에 공급되는 유체의 상부로 떠오르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RAN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선박의 조타실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을 하역이라고 하며, 하역 작업을 위한 크레인과 같은 장치를 하역장치라고 한다.
하역장치는 선박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로 인해 조타실에서의 시야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안전운행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의 바디를 와이어드럼 혹은 래크-피니언 구조를 이용하여 높이를 조절하는 기술들이 종래에 사용되어 왔으나, 이 경우, 크레인을 이루고 있는 수직 빔들을 동시에 각각 같은 속도로 상하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해야 하므로 크레인의 승강 조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조타실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37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의 조타실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에 압력을 가하여 유동력을 제공하는 고압 펌프, 고압 펌프로부터 제공받은 유동력을 이용하여, 선박 내 설치된 저장 탱크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케이지, 케이지 내에 배치되어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됨에 따라 승강 작동하며, 상부에 크레인이 일체로 구비되는 승강 로드 및 승강 로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케이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승강 로드가 케이지에 공급되는 유체의 상부로 떠오르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지의 측면에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승강 로드의 측면에 제1 통공에 대응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제1 통공과 제2 통공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케이지와 승강 로드를 함께 관통함에 따라, 승강 로드를 케이지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재는, 케이지의 일측으로 인입되어 타측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되며, 케이지와 승강 로드를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제1 부재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케이지와 승강 로드를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승강 로드는 케이지의 내측면과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고, 케이지의 내측면에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며, 승강 로드의 측면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로드의 상단부가 케이지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승강 로드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승강 로드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의 조타실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 롤러부재 및 지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에 유체를 주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살펴볼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는 선박의 조타실에서의 시야 확보를 위해 크레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용 분야는 특히 선박용 크레인의 높이 조절 분야에 적합하나, 본 발명의 적용 분야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물의 승강 작동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100)는 고압 펌프(110), 케이지(120), 승강 로드(130) 및 부력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고압 펌프(110)는 유체에 압력을 가하여 유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의 고압 펌프(110)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 시 기존에 이미 선박에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는 물 펌프로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할 것이다.
이 때, 유체는 본 발명의 일 예로서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어서, 케이지(120)는 고압 펌프(110)로부터 제공받은 유동력을 이용하여, 선박 내 설치된 저장 탱크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구성으로, 후술할 승강 로드(130)가 내부 공간에서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승강 로드(130)의 외부를 가이드 및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케이지(120)의 내부는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케이지(120)의 하단부에는 유체 주입구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지(120)의 유체 주입구는 고압 펌프(110) 및 유체 저장 탱크와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때, 고압 펌프(110), 유체 저장 탱크 및 호스는 선박 내 기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선내에 기 설치된 장비를 연결하여 즉각 구동이 가능하므로, 작업 편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이어서, 승강 로드(130)는, 상부에 크레인(20)이 일체로 구비되어 크레인(20)의 하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승강 로드(130)는 케이지(120) 내에 배치되어 케이지(12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케이지(120)의 내측면과 간극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로드(130)는 케이지(120) 내부 공간에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됨에 따라 승강 작동함으로써, 크레인(20)의 높이 또한 상하로 조절되게 된다.
이어서, 부력부재(140)는 승강 로드(1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케이지(12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승강 로드(130)가 케이지(120)에 공급되는 유체의 상부로 떠오르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부력부재(140)는 판상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공기를 내포할 수 있는 형태 혹은 다공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100)가 상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경우, 선박 내 기 설치된 저장 탱크를 이용하여 유체를 용이하게 케이지(120) 내로 주입하여 크레인(20)의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크레인(20) 미사용 시에는 크레인(20)의 높이를 낮추어 조타실의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함으로써 안전 운행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선박 내 별도의 중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선박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케이지(120)의 측면에 제1 통공(121)이 형성되고, 승강 로드(130)의 측면에 제1 통공(121)에 대응되는 제2 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공(121) 및 제2 통공(131)의 개수는 도면에서와 같이 다수 개로 제공되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50)는, 상술한 제1 통공(121)과 제2 통공(131)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케이지(120)와 승강 로드(130)를 함께 관통함에 따라, 승강 로드(130)를 케이지(120)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고정부재(150)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핀 혹은 판상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50)는 케이지(120)의 일측으로 인입되어 타측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고정부재(150)는 다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50)가 케이지(120)와 승강 로드(130)를 함께 관통하여 케이지(120)의 반대편으로 인출됨으로써, 케이지(120) 내에서 승강 로드(13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50)는, 케이지(120)와 승강 로드(130)를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부재 및 제1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제1 부재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케이지(120)와 승강 로드(130)를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고정부재(150)가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승강 로드(130)의 하중을 더욱 용이하게 지지하여 케이지(120) 내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 로드(130)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도 2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50)는 케이지(120)를 완전히 관통하여 반대편으로 인출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지(120)와 승강 로드(130)의 각각의 측면만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고정부재(150)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케이지(120) 및 승강 로드(130)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공(121) 및 제2 통공(131)의 내주면과 결합 수단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회전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수단이 제1 통공(121) 및 제2 통공(131)에 단순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케이지(12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고정부재(150)의 단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으며, 이 때, 고정부재(150)의 외주면 및 너트부재의 내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케이지(12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고정부재(150)의 단부에 탄성재질의 끼움부재가 끼움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너트부재 혹은 끼움부재를 체결함에 따라, 고정부재(150)와 케이지(120) 및 승강 로드(13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고정부재(150)가 제1 통공(121) 및 제2 통공(13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재(150)의 형상 및 결합 방식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는 가이드 레일 및 롤러부재의 구성을 더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레일, 롤러부재 및 지지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 로드(130)는 케이지(120)의 내측면과 간극을 갖도록 배치되고, 케이지(120)의 내측면에 가이드 레일(122)이 구비되며, 승강 로드(130)의 측면에 가이드 레일(122)을 따라 이동 가능한 롤러부재(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강 로드(130)와 케이지(120)의 내측면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되며, 롤러부재(132)가 가이드 레일(122)을 따라 이동하므로, 승강 로드(130)의 승강 작동이 안전하게 가이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60)는 승강 로드(130)의 상단부가 케이지(120) 내부로 인입되지 않도록, 승강 로드(130)의 상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승강 로드(130)를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케이지(120) 내부로 유체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승강 로드(130)의 하단부와 케이지(120)의 바닥면이 맞닿지 않고 서로 이격되어 유체가 공급될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함으로써, 승강 로드(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160)가 케이지(120) 상부에서 걸림턱의 기능을 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케이지(120) 내 유체가 모두 배출된 이후에도 지지부재(160)가 케이지(120)의 상단에서 승강 로드(130)를 지지하고 있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크레인 높이를 조절하는 방법을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에 유체를 공급하기 이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에 유체를 주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케이지(120)와 고압펌프 및 유체 탱크를 호스로 연결한 후, 고압 펌프(110)를 사용하여 유체 탱크로부터 유체를 케이지(120) 내부로 주입시킬 수 있다.
케이지(120) 내에서 유체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부력부재(140)가 유체의 상부로 떠오르게 되고, 승강 로드(130)의 높이가 상승됨과 동시에 승강 로드(13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케이지(120)의 높이 또한 함께 상승된다.
이 때, 승강 로드(130) 측면에 구비된 롤러부재(132)가 케이지(120)의 내측면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122)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승강 로드(130)와 케이지(120)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승강 작동을 가이드한다.
이 후, 크레인(20)의 높이가 적절한 높이까지 상승되면 고정부재(150)를 케이지(120)의 제1 통공 및 승강 로드(130)의 제2 통공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승강 로드(130)의 높이를 케이지(12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승강 로드(130)의 상승 작동이 완료된 이후, 유체 펌프의 가동을 중단하고 케이지(120)의 유체 주입부를 폐쇄하여 케이지(120) 내부에서의 유체의 이동을 막는다.
이 후, 크레인(20)을 사용한 작업이 완료되면, 고정부재(150)의 결합을 해제하고 유체 주입부를 다시 개방한 후, 케이지(120) 내에 공급된 유체를 배수시킨다.
유체의 수면이 하강함에 따라 부력부재(140)의 높이도 하강하게 되며, 승강 로드(130) 및 승강 로드(130)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된 크레인(20)의 높이 또한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 때, 케이지(120) 내에서 유체가 모두 배수되더라도 승강 로드(130)의 상단부에 마련된 지지부재(160)에 의해 승강 로드(130)의 상단부가 케이지(120) 내부로 모두 인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승강 로드(130)의 하단부가 케이지(120)의 바닥면과 소정의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를 사용하면, 크레인(20) 작업 시에만 높이를 상승시키고 평상시에는 크레인(20)을 하강시킴에 따라, 조타실의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선박의 안전 운행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에 유압 장비 대신 물 탱크 및 물 펌프를 적용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본 발명이 가지는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선박 특성상 한정된 공간 안에 장비들을 모두 실어야 하므로 공간 활용이 중요한데, 선박용 크레인에 유압식 승강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압탱크 및 유압펌프와 같은 중장비들을 모두 선내에 실어야 하므로 선박 공간 활용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에 유압 장비 대신 물 탱크 및 물 펌프를 적용하는 경우, 선박 내 더욱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선박 특성상 선상에서의 건조 혹은 하역 작업에 사용되는 거의 모든 장비들은 물을 사용하여 구동되고 있으므로, 선박 내에는 기본적으로 다용도로 사용되는 물이 다량 저장되어 있다.
또한, 선박 내에 폐수탱크, 고장 발생 및 수리에 대비하여 비상시 사용할 수 있는 여분의 물 탱크를 다수 구비하고 있으며, 물에 원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수의 물 펌프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선내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은 여분의 물 탱크 및 물 펌프를 활용하면, 본 발명의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를 즉각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즉, 케이지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물 탱크, 물 펌프 및 케이지를 호스를 통해 연결하기만 하면 되므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선박 내 별도의 유압식 중장비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서 선내 공간 활용도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군다나, 선박용 크레인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에 작동이 멈춰 있는데, 단시간의 크레인 가동을 위해 중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이와 더불어, 유체로서 기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크레인 작업 완료 후에도 유체를 저장 탱크 내부에 계속 저장하여야 하며 선외로의 배출이 불가능하나, 상기와 같이 물을 사용하는 경우 필요 시 선외로 배출이 용이하며, 배출에 따른 환경 오염의 우려가 없는 이점을 가진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110 : 고압 펌프
120 : 케이지
130 : 승강 로드
140 : 부력부재
150 : 고정부재
160 : 지지부재
20 : 크레인

Claims (3)

  1. 유체에 압력을 가하여 유동력을 제공하는 고압 펌프;
    상기 고압 펌프로부터 제공받은 유동력을 이용하여, 선박 내 설치된 저장 탱크로부터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케이지;
    상기 케이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유체가 유입 및 배출됨에 따라 승강 작동하며, 상부에 크레인이 일체로 구비되는 승강 로드; 및
    상기 승강 로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지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승강 로드가 상기 케이지에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상부로 떠오르도록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측면에 제1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로드의 측면에 상기 제1 통공에 대응되는 제2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통공과 상기 제2 통공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케이지와 상기 승강 로드를 함께 관통함에 따라, 상기 승강 로드를 상기 케이지 내부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케이지의 일측으로 인입되어 타측으로 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케이지와 상기 승강 로드를 제1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제1 부재와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상기 케이지와 상기 승강 로드를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KR1020210084418A 2021-06-29 2021-06-29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KR20230001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18A KR20230001652A (ko) 2021-06-29 2021-06-29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18A KR20230001652A (ko) 2021-06-29 2021-06-29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652A true KR20230001652A (ko) 2023-01-05

Family

ID=84925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18A KR20230001652A (ko) 2021-06-29 2021-06-29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6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806B1 (ko) 2023-05-16 2023-12-05 주식회사 오리엔탈정공 선박 크레인의 비상 구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47Y1 (ko) 2010-11-11 2011-05-27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기어높이조절식 갠트리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747Y1 (ko) 2010-11-11 2011-05-27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기어높이조절식 갠트리 크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806B1 (ko) 2023-05-16 2023-12-05 주식회사 오리엔탈정공 선박 크레인의 비상 구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25147B2 (en) Thruster system and vessel including the same
JP5119346B2 (ja) 昇降式スラスタ装置
KR20120120216A (ko) 유니버설 인양 및 진수 시스템과 작동 방법
KR20230001652A (ko) 선박용 크레인 높이 조절 장치
NL2024729B1 (en) Ship cradle elevating/lowering apparatus
CN103510459B (zh) 一种垂直升降式开启桥的升降开合机构
KR200438055Y1 (ko) 선박용 크레인
CN105041007A (zh) 闭环控制的双驱动浮筒式水中升降舞台
CN108330837B (zh) 架设钢梁的施工方法
CN113955042A (zh) 一种海洋结构物通用安装平台
JP2013123936A (ja) 自己昇降式台船の支持脚補強装置及び支持脚補強方法
CN105109632A (zh) 一种定点浮式的起重施工平台
WO2023006711A1 (en) Device and method for offshore arranging of a wind turbine or components thereof
KR101639213B1 (ko) 리프팅이 용이한 레그파이프를 구비하는 바지선의 승하강장치
KR20130023879A (ko) 상부모듈의 설치유도설비가 마련된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설비
CN208965495U (zh) 一种游艇码头的升降装置
CN112357815A (zh) 一种船用升降平台
CN103950845A (zh) 一种水力插板可浮式起重机
CN110939117B (zh) 一种船舶登陆定位装置
JP6694640B1 (ja) 液圧シリンダ装置
CN214653302U (zh) 一种船用升降平台
CN219821715U (zh) 一种船用可升降式底墩结构
KR200377397Y1 (ko) 고하중물의 수평 운송장치
JP6694639B1 (ja) 昇降装置および該昇降装置を備える作業台船
JP7044278B1 (ja) 船舶用の架台昇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