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297B1 - 차선도포기 - Google Patents

차선도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297B1
KR101181297B1 KR1020110018520A KR20110018520A KR101181297B1 KR 101181297 B1 KR101181297 B1 KR 101181297B1 KR 1020110018520 A KR1020110018520 A KR 1020110018520A KR 20110018520 A KR20110018520 A KR 20110018520A KR 101181297 B1 KR101181297 B1 KR 101181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tirring
shaft
lan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492A (ko
Inventor
최장세
최장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산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산기계
Priority to KR1020110018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29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163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marking-out the location of the markings; Guiding or steering devices for marking apparatus, e.g. s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1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applying or spreading liquid materials, e.g. bitumen slur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된 도로의 표면에 차선이나 각종 지시선 및 안내글을 도색할 때 사용되는 차선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대차에 엔진을 구비하여 운전하게 구성되며, 대차의 상부에 제어부, 압축공기저장통, 비드통 및 비드분사기,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용융조, 가열장치, 차선도색기 등이 구비된 차선도포기에 있어서, 도료용융조의 내부에 저장되는 도료가 굳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주는 도료교반기를 장착하되, 고밀도의 도료를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교반할 수 있도록 하여 동력의 손실을 줄여 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도료교반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엔진(1)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장치(2)의 구동축(4)에 벨트풀리(5)를 고정하며, 도료용융조(10)의 정면에서 후면으로 가로지르는 교반축(12)의 일측 끝에 감속벨트풀리(13)를 고정하여 구동축(4)의 벨트풀리(5)와 벨트(6)로 연결하며, 이 교반축(12)을 도료용융조(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장착하며, 이 교반축(12)에는 고정축관(14)에 한 쌍의 교반프레임(16)을 고정하고, 이 교반프레임(16)의 끝에는 교반날개(15)를 각각 외향으로 절곡되는 "ㄱ" 자 형으로 고정하여 구성하되,
상기 교반날개(15)와 교반프레임(16)은 그 절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회전방향으로 꼭짓점이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교반축(12)이 회전할 때 도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 도료교반기를 구비한 차선도포기를 제공하여, 교반작동시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엔진을 구동하는 연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선도포기{Lane coated devices}
본 발명은 포장된 도로의 표면에 차선이나 각종 지시선 및 안내글을 도색할 때 사용되는 차선도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대차에 엔진을 구비하여 운전하게 구성되며, 대차의 상부에 제어부, 압축공기저장통, 비드통 및 비드분사기,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용융조, 가열장치, 차선도색기 등이 구비된 차선도포기에 있어서, 도료용융조의 내부에 저장되는 도료가 굳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교반하여 주는 도료교반기를 장착하되, 고밀도의 도료를 저항을 적게 받으면서 교반할 수 있도록 하여 동력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선도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선도포기는 포장된 도로의 노면에 각종 안내글이나 지시선 및 차선과 중앙선 등을 도색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균일한 폭과 높이를 가지도록 도료를 도색하는 장치이다.
상기한 노면에 차선 표시 방법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단은 고온에서 페인트가루를 녹여서 에폭시 수지 등의 원료와 융합해서 사용하는 융착식 도색수단이 통상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아울러 야간이나 우천시에 식별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도료의 표면에 입자형태의 유리비드를 도색 된 도료 표면에 부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융착식 도색장치는 특허등록 제10-0930075호에 잘 나타나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도색장치에 서술되어 있는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바퀴가 달린 대차, 상기 대차 위에 버너와 버너용 연료저장용기, 간접가열방식으로 내부에 수용된 도료를 용융 및 유지시키도록 된 이중 구조의 용기로 되고 교반기가 제공되며 도료를 용융 및 저장하는 도료 용융조와, 글라스 비드 저장용기와 글라스 비드 살포기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에 제공된 엔진의 출력에 의해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대차의 앞쪽에 설치된 두개의 전륜들을 회전시켜 대차를 구동함과 함께 압축공기 발생을 위한 에어콤프레셔와 상기 도료 용융조의 교반기를 구동하며, 대차의 후륜을 대차의 이동방향을 일직선상으로 유지하는 잠금위치와 측방향으로의 방향전환을 위해 자유로운 회전가능한 해제위치로 제어하는 후륜잠금수단을 구비하여 엔진에 의해 이동하면서 도료용융조의 저류실로 부터 용융 도료를 배출하여 노면표시를 도색하는 동력식 노면표시 도색장치가 선행하는 기술로 하고,
상기 엔진의 출력으로 대차의 전륜과 도료 용융조의 교반기를 구동하도록 제공되는 구동축은 대차의 하부에 브라켓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일단부에 제공된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전륜측에 제공된 트랜스미션을 구동하도록 연결되며, 중간부에 풀리가 도료 용융조의 상면에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부에 장착된 풀리와 벨트로 연결되어 도료 용융조 내의 교반기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료용융조의 용기의 내외벽체 사이에 수용된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가 용기에 설치된 구조의 도료용융조가 제안된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도료용융조는, 교반기를 도료용융조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장착하여 구성한 것으로, 동력전달을 위한 각 회전축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을 위한 각 구성부품이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는 것이고, 도료용융조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결합 된 교반기에 의해 상부를 개폐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즉, 도료용융조의 상면에 교반기의 회전축을 고정하여야 하므로, 중앙부에 고정된 고정베어링을 피해서 개폐뚜껑을 장착하여야 하므로 개폐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것이며, 개폐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 도료용융조에 도료를 투입하는 작업이 불편해지는 것이다.
또한, 도료용융조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결합된 교반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으로서 엔진과 연결된 대차의 차륜을 구동하는 구동축에 벨트풀리와 벨트를 연결하여 상기 교반기를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교반기가 도료용융조에서 회전하면서 교반작업을 진행할 때 고점도의 도료에 의해 상당한 저항을 받게 되는바, 이러한 저항은 회전축과 연결된 구동축에 전달되고, 이 저항은 엔진에 전달된다.
따라서 도료교반기가 받는 저항은 모두 엔진에 전달됨에 따라 엔진의 출력효율이 저하되는 것이다.
이러한 엔진의 출력효율 저하는 결과적으로 엔진을 구동하는 연료의 과소비를 초래하는 것은 예측 가능한 문제점이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도료용융조의 도료교반기를 구동하되, 도료교반기가 도료용융조 내에서 회전 작동할 때 받는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엔진의 출력감소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도료교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료교반기의 교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색장치가 장착된 이동대차를 엔진의 힘으로 구동하되, 전?후진 운전수단을 구비한 차선도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을 포함하는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된 이동대차; 와, 상기 이동대차에 장착되어 도료를 보관 및 가열하면서 일정량 배출하도록 된 도료용융조; 와, 상기 도료용융조의 배출구측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도료를 한번 더 가열하고, 가열된 도료를 일정한 폭과 높이로 노면으로 배출하여 도색하도록 하는 도색기; 와, 비드저장통에 저장된 비드를 도색기에서 배출되는 도료 상면에 분사하는 비드분사기; 와, 상기 도료용융조를 가열하기 위한 원료를 적재하는 가스적재함; 으로 구성하되,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구동축에 벨트풀리를 고정하며, 상기 도료용융조의 정면에서 후면으로 가로지르는 교반축의 일측 끝에 감속벨트풀리를 고정하여 구동축의 벨트풀리와 벨트로 연결하며, 이 교반축이 횡방향으로 통과되는 도료용융조의 내부에는 고정축관에 한 쌍의 교반프레임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고정하고, 이 교반프레임의 끝에는 교반날개를 각각 외향으로 절곡되는 "ㄱ" 자 형으로 고정하여 구성하는 도료교반기를 구비한 도료용융조를 제공하며, 이동대차를 구동하는 기어박스의 회전전환수단을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전환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은, 도료용융조에 투입된 도료를 횡방향으로 회전하는 교반날개로 교반하여 줌으로써 외부에 교반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축이 노출되지 않아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교반을 위한 교반날개와 교반프레임이 받는 저항을 줄여줌으로써 엔진을 가동하는 연료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선도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를 표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를 나타낸 일부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교반날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6 (a),(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a),(b)는 본 발명의 이동대차 전후진 조절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엔진(1)을 포함하는 구동장치(2)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된 이동대차(3);,
상기 이동대차(3)에 장착되어 도료를 보관 및 가열하면서 일정량 배출하도록 된 도료용융조(10);,
상기 도료용융조(10)의 배출구측(11)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도료를 한번 더 가열하고, 가열된 도료를 일정한 폭과 높이로 노면으로 배출하여 도색하도록 하는 도색기(20);,
비드저장통(30)에 저장된 비드를 도색기(20)에서 배출되는 도료 상면에 미세한 입자의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기(40);,
상기 도료용융조(10)를 가열하기 위한 원료를 적재하는 가스적재함(50);,
이동대차(3)를 구동하는 기어박스(64)로 구성되는 차선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융조(10)에 투입되는 도료를 균일하게 교반하여 주는 교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대차(3)를 구동하는 기어박스(64)에 정역회전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이동대차를 전?후진 작동하도록 하는 이동대차 전후진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차선도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수단은,
엔진(1)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장치(2)의 구동축(4)에 벨트풀리(5)를 고정하며,
상기 도료용융조(10)의 정면에서 후면으로 가로지르는 교반축(12)의 일측 끝에 감속벨트풀리(13)를 고정하여 구동축(4)의 벨트풀리(5)와 벨트(6)로 연결하며, 이 교반축(12)이 횡방향으로 통과되는 도료용융조(10)의 내부에는 고정축관(14)에 한 쌍의 교반프레임(16)을 고정하고, 이 교반프레임(16)의 끝에는 교반날개(15)를 각각 외향으로 절곡되는 "ㄱ" 자 형으로 고정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교반날개(15)와 교반프레임(16)은 그 절단면 모양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이 삼각형의 교반프레임(16)과 교반날개(15)는 회전방향으로 꼭짓점이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회전할 때 꼭짓점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도료가 분산되도록 하여 도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동시에, 교반날개(15)와 도료의 접촉면적을 확장하여 교반효과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상기 교반날개(15)와 교반프레임(16)은 유선형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프레임(16)의 중간부에 보조교반날개(15')를 장착하여 교반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보조교반날개(15')는 교반날개(15)의 장착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동대차 전후진 조절수단은,
구동축(4)의 끝에 이동대차(3)의 전후진 작동을 조절하는 차동장치(60)를 장착하되, 이 차동장치(60)는 차축(61)에 고정된 한 쌍의 베벨기어(62)(62') 사이에 구동축(4)의 끝에 고정된 베벨기어(63)의 접동 방향에 의해 회전방향을 결정되는 것이며, 상기 차축(61)에 고정된 한 쌍의 베벨기어(62)(62')를 수평작동시키는 수단으로 기어박스(64)의 내부에 포크(65)를 상기 한 쌍의 베벨기어(62)(62') 사이에 결합하고, 이 포크(65)를 작동축(66)에 고정하여 좌우 회전에 따라 포크(65)를 좌우로 회동시켜 베벨기어(62)(62')를 이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작동축(66)을 기어박스(64)의 외부로 연장하여 회동디스크(67)를 고정하고, 이 회동디스크(67)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작동간(68)(68')을 연장형성하며,
상기 작동간(68)(68')에는 에어실린더(70)(70')에서 연장된 로드(71)(71')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로드(71)(71')에는 장공(72)(72')를 형성하여 로드(71)(71')의 수직작동과 회동디스크(67)의 회동작동에 따른 편차를 극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에어실린더(70)(70')의 작동은 컨트롤러(1a)에 의해 각각 조절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도료용융(10)의 작동을 설명하기에 앞서 차선도포기의 전반적인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조절장치를 통해 이동대차(3)에 장착된 엔진(1)을 구동하면, 엔진(1)에서 발생 된 동력은 압축기(6)를 구동하여 압축공기를 실린더(7)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엔진(1)의 동력은 구동장치(2)를 통해 이동대차(3)의 구동바퀴(8)를 구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이동대차(3)를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대차(3)의 구동장치(2)는 컨트롤러(1a)에서 조절이 가능하여 가속 및 감속과 정지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이동대차(3)의 손잡이(3')를 이용해 진행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차선도포기를 이용하여 노면에 차선을 도색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료용융조(10)에 충분한 양의 도료를 주입하고, 도료용융조(10)의 저면에 장착된 가열버너(51)를 점화하여 도료용융조(10)의 저면을 가열한다.
가열되는 도료용융조(10)는 내부에 투입된 도료를 일정한 온도로 예열하게 되는 것이다.
예열 된 도료는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되어 도색기(20)로 투입되며, 이 도색기(20)에서 도료를 노면에 도색할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2차 가열하고, 가열된 도료를 노면에 일정한 폭으로 배출하여 도색하는 것이다.
상기 도색기(20)에서 배출되는 도료의 배출량과 배출주기는 개폐핸들(21)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도색기(20)의 후방측에는 비드분사기(40)가 장착되어 있고, 이 비드분사기(40)는 압축기(6)와 비드저장통(30)이 연결되어 일정한 양과 일정한 폭으로 노면에 도색 된 도료의 상면에 비드를 분사하여 고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노면에 차선을 도색하면서 반사체인 비드를 동시에 분사하여 고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일련의 과정에서 도료용융조(10)에 투입된 도료가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버어너(5')에 의해 예열 되는 도료를 균일하게 예열하기 위한 수단으로 교반기가 내장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도료용융조(10)를 투입한 후, 엔진(1)이 가동되면 구동장치(2)가 구동하면서 구동축(4)이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축(4)에 고정된 벨트풀리(5)와 벨트(6)로 연결된 감속벨트풀리(13)가 회전하여 교반축(12)을 회전시켜 준다.
회전하는 교반축(12)에 고정축관(14)으로 고정된 교반프레임(16)과 교반날개(15)가 회전하면서 도료용융조(10) 내부에 투입된 도료를 골고루 교반하여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프레임(16)과 교반날개(15)는 그 단면모양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회전하는 방향으로 꼭짓점이 위치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점액질 상태의 도료에서 회전할 때 전면으로 받는 저항을 양측으로 밀어내면서 회전 및 교반하게 되므로, 교반날개(15)와 교반프레임(16)이 받는 저항이 분산되는 것이다.
또한, 삼각형상의 꼭짓점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도료가 접촉되면서 분산되므로 교반효과가 상승하는 특징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교반축(12)이 받는 저항도 감소함으로 교반축(12)을 구동하는 구동장치(2)와 엔진(1)에 가해지는 저항도 감소하고, 결과적으로 엔진(1)이 받는 부하를 감소시켜 연료의 소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교반프레임(16)과 교반날개(15) 사이에 단면모양이 삼각형을 이루는 보조교반날개(15')를 동일 또는 반대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도료용융조(10)에 투입된 도료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교반시켜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한 보조교반날개(15')는 도료를 도료용융조(10) 내부의 외부와 내부를 동시에 교반하여 줌으로써, 도료용융조(10)의 하부에서 가해지는 가열버어너(5')에 의한 도료의 가열속도가 빨라지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도료용융조(10)의 가열과 교반작업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이동대차(3)를 전진시키면서 도로에 차선을 도색하게 되는데, 이 이동대차(3)의 전진과 후진은 컨트롤러(1a)에서 전 후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동대차(3)를 전진시키고자 하는 경우, 컨트롤러(1a)를 조작하여 에어실린더(7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면, 로드(71)가 전진하여 회동디스크(67)에 고정된 작동간(68)을 하부로 밀어주어 회동디스크(67)를 소폭으로 회동시켜 준다.
회동디스크(67)가 회동하면 작동축(66)도 함께 회동하여 포크(65)를 일측방으로 소폭 회동시키면서 한 쌍의 베벨기어(62)(62') 중 전진에 해당하는 베벨기어(62)와 구동축(4)에 고정된 베벨기어(63)를 치합하여 줌으로써 전진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후진의 경우, 다른 에어실린더(7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작동축(66)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포크(65)에 의해 후진에 해당하는 베벨기어(62')를 구동축(4)에 고정된 베벨기어(63)와 치합하여 줌으로써 이동대차(3)의 후진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1; 엔진, 2; 구동장치, 3; 이동대차, 4; 구동축, 5; 벨트풀리, 6; 벨트, 10; 도료용융조, 11; 배출구, 12; 교반축, 13; 감속벨트풀리, 14; 고정축관, 15; 교반날개, 16; 교반프레임, 15'; 보조교반날개, 20; 도색기, 30; 비드저장통, 40; 비드분사기, 50; 가스적재함, 60; 차동장치, 61; 차축, 62,62',63; 베벨기어, 64; 기어박스, 65; 포크, 66; 작동축, 67; 회동디스크, 68,68'; 작동간, 70,70'; 에어실린더, 71,71'; 로드

Claims (4)

  1. 엔진(1)을 포함하는 구동장치(2)에 의해 이동가능하도록 된 이동대차(3);,
    상기 이동대차(3)에 장착되어 도료를 보관 및 가열하면서 일정량 배출하도록 된 도료용융조(10);,
    상기 도료용융조(10)의 배출구측(11)에 장착되어 배출되는 도료를 한번 더 가열하고, 가열된 도료를 일정한 폭과 높이로 노면으로 배출하여 도색하도록 하는 도색기(20);,
    비드저장통(30)에 저장된 비드를 도색기(20)에서 배출되는 도료 상면에 미세한 입자의 비드를 분사하는 비드분사기(40);,
    상기 도료용융조(10)를 가열하기 위한 원료를 적재하는 가스적재함(50);,
    이동대차(3)를 구동하는 기어박스(64)로 구성되는 차선도포기에 있어서,
    상기 도료용융조(10)에 투입되는 도료를 균일하게 교반하여 주는 교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대차(3)를 구동하는 기어박스(64)에 정역회전 조절수단을 구비하여 이동대차를 전?후진 작동하도록 하는 이동대차 전후진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차선도포기를 제공하며,
    상기 교반수단은,
    엔진(1)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장치(2)의 구동축(4)에 벨트풀리(5)를 고정하며,
    상기 도료용융조(10)의 정면에서 후면으로 가로지르는 교반축(12)의 일측 끝에 감속벨트풀리(13)를 고정하여 구동축(4)의 벨트풀리(5)와 벨트(6)로 연결하며, 이 교반축(12)을 도료용융조(10)의 내부에 횡 방향으로 장착하며, 이 교반축(12)에는 고정축관(14)에 한 쌍의 교반프레임(16)을 고정하고, 이 교반프레임(16)의 끝에는 교반날개(15)를 각각 외향으로 절곡되는 "ㄱ" 자 형으로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도료용융조(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교반날개(15)와 교반프레임(16)은, 그 절단면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구성하며, 회전방향으로 꼭짓점이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교반축(12)이 회전할 때 도료에 의한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포기.
  3. 제 1항에 있어서,
    도료용융조(10)의 내부에는 교반프레임(16)의 중간부에 보조교반날개(15')를 장착하여 구성하되, 이 보조교반날개(15')는 교반날개(15)의 장착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포기.
  4. 제 1항에 있어서,
    이동대차 전후진 조절수단은,
    구동축(4)의 끝에 이동대차(3)의 전후진 작동을 조절하는 차동장치(60)를 장착하되, 이 차동장치(60)는 차축(61)에 고정된 한 쌍의 베벨기어(62)(62') 사이에 구동축(4)의 끝에 고정된 베벨기어(63)의 접동 방향에 의해 회전방향을 결정되는 것이며, 상기 차축(61)에 고정된 한 쌍의 베벨기어(62)(62')를 수평작동시키는 수단으로 기어박스(64)의 내부에 포크(65)를 상기 한 쌍의 베벨기어(62)(62') 사이에 결합하고, 이 포크(65)를 작동축(66)에 고정하여 좌우 회전에 따라 포크(65)를 좌우로 회동시켜 베벨기어(62)(62')를 이동시키도록 하며,
    상기 작동축(66)을 기어박스(64)의 외부로 연장하여 회동디스크(67)를 고정하고, 이 회동디스크(67)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각각 작동간(68)(68')을 연장형성하며,
    상기 작동간(68)(68')에는 에어실린더(70)(70')에서 연장된 로드(71)(71')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로드(71)(71')에는 장공(72)(72')를 형성하여 로드(71)(71')의 수직작동과 회동디스크(67)의 회동작동에 따른 편차를 극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에어실린더(70)(70')의 작동은 컨트롤러(1a)에 의해 각각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도포기.

KR1020110018520A 2011-03-02 2011-03-02 차선도포기 KR101181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20A KR101181297B1 (ko) 2011-03-02 2011-03-02 차선도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20A KR101181297B1 (ko) 2011-03-02 2011-03-02 차선도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713 Division 2010-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92A KR20120000492A (ko) 2012-01-02
KR101181297B1 true KR101181297B1 (ko) 2012-09-10

Family

ID=4560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520A KR101181297B1 (ko) 2011-03-02 2011-03-02 차선도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6753A (zh) * 2021-09-16 2021-12-14 陈卓 一种浓稠液体搅拌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20B1 (ko)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KR100930075B1 (ko)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820B1 (ko) 2000-10-25 2003-10-10 하스라인기계건설 주식회사 차선도포기
KR100930075B1 (ko) 2008-10-01 2009-12-08 (주)선광라인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92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075B1 (ko) 콤팩트화된 동력식 노면 표시 도색장치
KR101273438B1 (ko) 횡단보도용 차선도색장치
KR101524746B1 (ko) 5 내지 45cm 폭의 횡단보도 도색이 가능한 광폭 가변형 노면표시장비용 도색모듈
JP2021032072A (ja) 市政専用の路面標示塗装装置
AU2015287578B2 (en) Device for melting and applying thermoplastic material to surfaces
JP3957879B2 (ja) 路面表示線塗布装置
KR101181297B1 (ko) 차선도포기
KR100700037B1 (ko) 전동식 요철형 노면의 도색장치
JP3999770B2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KR101509321B1 (ko) 3차원적인 입체 기능성 차선을 시공하기 위한 포장도로의 차선 도색장치
KR20100056592A (ko)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KR101483848B1 (ko) 차선 도색용 도료용융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선 도색기
KR101329801B1 (ko) 반자동식 차선 도색장치
KR101985697B1 (ko) 이액형 상온 경화형 차선 도색차량 및 그 차선 도색차량을 이용한 차선 도색방법
KR101878703B1 (ko) 차선도색기용 도료분사장치
KR200264287Y1 (ko) 수동식 요철형 차선 도색장치
CN211815396U (zh) 一种公路养护用沥青铺设装置
KR101747371B1 (ko)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용 승강장치
CN212801154U (zh) 一种公路工程用的划线装置
CN216379079U (zh) 划线斗及划线机
KR102138236B1 (ko) 횡단 보도용 도색장비
CN219772669U (zh) 一种通用热熔型电动双组份划线机
CN221029551U (zh) 一种绘画路面指示线的设备
CN213740545U (zh) 一种公路施工用划线机
CN211922239U (zh) 复合高效手推划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