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751B1 -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 Google Patents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751B1
KR101180751B1 KR1020067020363A KR20067020363A KR101180751B1 KR 101180751 B1 KR101180751 B1 KR 101180751B1 KR 1020067020363 A KR1020067020363 A KR 1020067020363A KR 20067020363 A KR20067020363 A KR 20067020363A KR 101180751 B1 KR101180751 B1 KR 101180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nail
rod
suppl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328A (ko
Inventor
야스쯔구 우에지마
케이지 야마카와
Original Assignee
제이피에프 워크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피에프 워크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피에프 워크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1Nail feeding devices
    • B25C1/005Nail feeding devices for rows of contiguous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01Nail feeding devices
    • B25C1/003Nail feeding devices for belts of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00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 B25C1/08Hand-held nailing tools; Nail feeding devices operated by combustion pressure

Abstract

가스 연소식 코일 못박는 기계(coil nailer)에 있어서, (a)연소실이 제공되는 메인 바디(1), (b)상기 메인 바디의 전단부 상에 배치되는 헤드부(3), (c)탈부착 되기 쉽도록 헤드부(3)의 하부 면 상에 배치되는 매거진이 제공 된다. 코일 형상의 못 연결 바디는 매거진(4)에 로딩된다. 헤드부(3)에는 (d)로드(17)와 못(n)이 통과하는 가이드 튜브(35)와 (e)공급 모터(47)가 제공된다. 못 연결 바디(N)는 공급 모터(47)에 의해 구동되는 공급 기어에 의해 가이드 튜브(35)에 공급된다. 동력은 배터리로부터 공급 모터(47)에 공급된다. 못이 로드(17)의 구동 능력의 정확성과 신뢰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고 신뢰성있게 공급될 수 있도록, 개별 원동력에 의해 로드(17)는 구동되고 못은 공급된다.

Description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PORTABLE TYPE FASTENER DRIVING TOOL}
본 발명은 축 방향으로 못과 핀 같은 패스너를 박는 것에 의해 작업물에 패스너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는 구동되는 패스너의 종류에 기초하여, 못 구동 디바이스, 핀 구동 디바이스{또는 택(tack) 구동 디바이스}, 그리고 스테이플 구동 디바이스 등등으로 구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는 구동 소스에 기초하여, 압축 공기, 연소압, 화약의 폭발, 전기 등등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로 분류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도, 패스너 구동 공구에는 구동을 위해 사용되는 로드(rod)가 제공되고, 연속한 구동은 패스너들을 하나씩 로드의 전면으로 공급하는 것에 의해 허용된다.
패스너 구동 공구에 사용되는 패스너들은 연결 재료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 바디로 제조된다. 패스너 연결 바디는 매거진(magazine) 내에 수용되고, 패스너는 매거진 내에서 1 피치씩 패스너를 공급하는 것에 의해 로드의 전면에 하나씩 공급된다.
패스너 그룹을 위한 2개의 주요한 형태의 연결방식이 있다. 한 모드에서, 다 수의 패스너는, 패스너 연결 바디가 코일 형태(또는 말리거나 나선과 같이 형성된)로 감길 수 있도록 수지성 테입 및 좁은 와이어(금속 와이어와 같은)와 같이 형태를 바꿀 수 있는 재료로 제조된 연결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패스너들이 서로 평행하도록 연결된다. 이 연결 모드는 종종 못을 위해 사용된다.
패스너 그룹을 위한 다른 연결 모드에서, 패스너는 직선으로 확장하고 기본적으로 단단한 연결 재료에 의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이 모드에서, 패스너 연결 바디는 코일 형태로 감길 수 없다. 수지 및 종이는 종종 이런 종류의 연결 공구를 위해 사용된다.
게다가, (a)패스너가 정렬되는 방향과, (b)각각의 패스너의 샤프트 라인이 서로에 대해 상호 수직인 패스너 연결 바디의 오직 한가지 종류는 코일 형태로 감길 수 있는 것이다. 코일로 감길 수 없는 패스너 연결 바디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c)패스너 그룹이 정렬되는 방향과, (d)각각의 패스너의 샤프트 라인이 서로에 대해 수직인 종류와; (e)패스너 그룹이 정렬된 방향이 (f)각각의 패스너의 샤프트 라인을 향해 기울어진 종류가 있다. 후자의 카테고리에서 2가지의 종류가 있다는 사실은 매거진 위치에서의 차이에 의해 발생된다.
다음으로, 못 및 못 구동 디바이스의 예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패스너 연결 바디와 구동 공구의 구조 사이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직선 형태를 갖는 못 연결 바디는 긴 직선으로 확장하도록 매거진에 로딩된다. 직선 형태를 갖는 못 연결 바디는, 전반적으로 단단한 바디 구조를 갖고, 특별한 원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인장 스프링 또는 압축 스프링을 사용하는 단순한 공급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안정적으로 공급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렇지만, 못 구동 디바이스 사용자가 쉬운 조작과 작동을 유지하기 위한 매거진의 길이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단일 못 연결 바디의 길이에 제한이 있다(단일 못 연결 바디를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못의 개수의 제한). 따라서, 빌딩이 2×4 방식을 사용하여 건설되는 경우와 같이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양의 못을 구동하는 것과 관련된 작업에서, 못 연결 바디가 자주 교체되어야만 한다는 것은 단점이다.
다른 한편으로, 코일 형태로 감길 수 있는 못 연결 바디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개략적으로 원형(round)인 드럼 형태의 매거진에 로딩되어 많은 개수의 못이 매거진 내에 효과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는 점은 유리하다. 즉, 단일 못 연결 바디는 아주 많은 못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많은 개수의 못이 사용되는 건설 작업에 적합하다.
어쨌든, 코일 형태로 감긴 못 연결 바디는 단지 스프링을 누르는(또는 당기는) 것에 의해 공급될 수 없고, 이동가능한 공급 부재를 갖는 공급 매커니즘은 로드 근처의 지점에 설정되어야만 한다.
코일 형태로 감긴 못 연결 바디를 사용하는 못 구동 공구("코일 못박는 기계")에 있어서, 거의 예외 없이, 압축 공기를 구동 소스로 사용하는 "에어 공구"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못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작은 피스톤은 압축 공기에 의해 구동되고, 패스너 연결 바디는 피스톤의 왕복 운동과 연계하여 타원 운동을 하는 레버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공급된다.
그렇지만, 에어 공구는 에어 컴프레서를 요구하여 작업장에서 이동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나타낸다. 추가로, 에어 호스는 공구의 이동에 저항 효과를 갖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큰 부담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많은 부재들로 혼란한 작업장에서 호스를 조작하면서 작업자가 체결 작업을 실시하는 것은 불편하다.
다른 한편으로, 로드를 위한 동력원으로서 가스 연소 압력을 사용하는 "가스 공구"는 특별한 부속 디바이스를 요구하지 않고 뛰어난 이동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결과적으로, 체결 작업은 어떤 곳에서도 실행될 수 있고, 호스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거의 물리적 부담이 없다. 그렇지만, 종래의 가스 공구는, 단지 직선형 못 연결 바디를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못 구동 작업이 실행되는 작업장에서 짧은 시간 내에 못 연결 바디가 자주 교체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가스 공구에서 코일형 못 연결 바디를 사용하는 실험이 행해졌다(즉, 가스 연소식 코일 박는 기계를 개발하는 실험). 이 예는 특허 문서 1에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 못의 공급은 동력원으로서 부분적인 가스 연소 압력을 사용하여 실행되었다. 특히, 이 문서는, 가스 공구에서, (a)못 공급 디바이스에는 코일형 연결 못 에어 공구와 같은 못 공급 피스톤이 장착되고, 연소 가스의 일부는 못 공급 피스톤이 삽입되는 실린더 내로 삽입되는 것을 기술한다.
[특허 문서 1] 미 심사된 실용신안 출원의 출원번호 H5-72380.
상기 특허 문서 1의 못 구동 다바이스는 그 잠재적 수요에도 불구하고 실제 제품으로 아직 시장에 통용되지 않았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a) 연소 가스는 순식간에 생성되기 때문에 연소 가스를 안정한 방식으로 못 공급 피스톤이 삽입된 실린더에 공급하는 것이 힘들다; (b) 못 공급 공정은 로드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 실행되어야 하는 반면에 연소 가스는 로드가 발사될 때(전진 할 때) 생성되어, 연소 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타이밍과 못 공급을 위한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는다; (c) 연소 가스가 못 공급을 위해 사용될 때, 로드 발사력은 감소할 것이고, 못이 보장된 방식으로 구동되었는지가 불확실하다.
본 출원서의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종래 기술을 고려하고 가스 연소식 구동 공구와 폭발형 구동 공구를 위해 코일형 패스너 연결 바디와 함께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출원서의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스너 구동 공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많은 구조의 다양성을 제공하고 안정적인 못 공급 작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패스너 구동 공구가 개발되었을 때, 패스너 연결 바디를 로드 드라이브 소스와는 다른 운동 동력에 의해 공급하는 개념이 없었다. 따라서, 사람들이 특허 문서 1에서 이 기술을 고려할 때 그들은 막다른 종점에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 개념을 수정하고 반복적인 테스트와 실험을 실행하여 본 출원서의 본 발명을 달성할 수 있었다.
이는, 청구범위 제 1항에 나타난 본 발명이 못 구동 공구에 있어서, (a)패스너를 구동하는 로드(rod)를 수용하는 메인 바디, (b)축 방향으로 상기 로드를 전면으로 밀어내는 로드 발사 수단, (c)상기 메인 바디의 전단부 상에 배치되고 패스너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헤드부, (d)다수의 패스너가 서로 평행하도록 연결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패스너를 연결하여 이루어진 패스너 연결 바디를 로딩하는 패스너 유지 수단, 및, 상기 패스너들이 정렬된 방향으로, 상기 패스너 유지 수단 상에 로딩된 상기 패스너 연결 바디를 공급하고, 상기 패스너들을 하나씩 상기 로드의 전면에 공급하는, 동력 작동식 패스너 공급 수단이 제공되고, 본 발명은 상기 패스너 공급 수단의 구동 소스는 상기 로드 발사 수단의 구동 소스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구범위 제 2항의 본 발명에서, 상기 로드 박기 수단은 상기 로드를 연소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진하는 피스톤 상에 배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로드 박기 수단에는, (a)가스 연소실, (b)상기 연소실 내의 가스에서 점화하는 전기 스파크형 점화 플러그, (c)상기 점화 플러그에 전력 공급을 제공하는 배터리가 제공된다. 상기 패스너 공급 수단에는 모터 또는 전자기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에 전력 공급은 상기 로드 박기 수단을 위한 상기 배터리로부터 실행되거나, 상기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위해 독립된 배터리가 전적으로 설치된다.
청구범위 제 3항의 본 발명에서, 상기 패스너는 못과, 코일 형태 또는 롤 형태로 감기는 것이 허용되는 패스너 연결 바디이다. 상기 패스너 유지 수단은 의도에 따라 개폐될 수 있는 커버가 제공되는 매거진이다. 상기 매거진은 못 연결 바디가 코일 형태 또는 롤 형태로 감길 때, 못 연결 바디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단면에서 보았을 때 개략적으로 원형인 드럼처럼 형성된다.
청구범위 제 4항에서 본 발명에는, (a)상기 패스너 연결 바디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모터, (b)상기 로드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센서, (c)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패스너들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센서, (d)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브레이크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센서가 상기 로드가 후방으로 움직인 것을 감지했을 때, 상기 모터는 구동되어 상기 패스너들을 공급하기 시작하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 2 센서가 상기 패스너들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할 때, 상기 브레이크 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의 관성 회전을 멈추도록 설정된다.
본 출원서에서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패스너가 로드에 의해 실행되는 패스너 구동의 안정성과 정확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고 정확하게 패스너가 공급되도록, 패스너 공급은 로드의 구동과는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본 발명의 한 특정한 모드는 청구범위 제2항에 기술된 것처럼 가스 연소식 구동 공구(가스 공구)에서 전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패스너를 공급하는 것과 관련한다. 이는 패스너 연결 바디가 청구범위 제 3항에서 기술된 코일형일지라도, 패스너 연결 바디가 신뢰성 있고 정확하게 공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탁월한 이동성을 갖는 가스 연소식 구동 공구는 코일 못박는 기계로서 시장에서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았다.
본 발명자는 모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보통 사용되는 못 연결 바디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얼마인지 알기 위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못 연결 바디는 적은 양의 전력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가스 연소식 구동 공구는 필수 부재로서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 플러그와 선택 부재로서 모터-회전식 팬을 갖는다. 동력은 배터리에서 점화 플러그와 팬으로 공급된다. 이는 가스 연소식 구동 공구에는 적어도 점화플러그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제공된다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2가지 종류의 배터리가 있다: 충전식과 1회용).
본 발명자는 이점을 주시하고, 점화 플러그와 팬을 위해 사용되는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패스너 공급 모터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대한 실험을 실행하였다. 발명자들이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했을 때, 발명자들은 종래의 가스 구동 공구를 배터리를 한번 충전하는 것에 의해 사용했을 때 처럼, 동일한 구동 빈도에서 연속으로 구동 작동을 실행했다. 결과적으로, 발명자들이 원래 가스 구동 공구에 제공되는 배터리를 사용하여 패스너 구동을 실행했을 때, 발명자들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전용 패스너 공급 배터리는 또한 설치될 수 있다. 헤드와 매거진이 한 유닛으로 제조되고 기존의 가스 공구와 사용되도록 이들을 교환가능하게 할 때, 배선 작업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유닛을 위한 전용 배터리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가로, 전력 공급이 [일본] 미심사된 특허 출원 H8-290370에 기술된 것과 같이 가스 구동 공구를 위한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코드(케이블)를 사용하여 수행될 때, 전기 액추에이터는 이 외부 전력원을 사용하여 구동되어야 한다.
본 출원서에서의 본 발명의 개발의 예는 가스 구동 공구를 사용한 로드 구동과 전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패스너 공급의 결합으로만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발의 다른 예에서, 패스너는 화약이 폭발할 때 로드를 구동하는 화약을 사용한 총 안에 전기 액추에이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공급된다. 에어 공구에서 패스너는 전기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공급 매커니즘의 자유도는 향상될 수 있어서 패스너 구동 공구에서 다양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는 유리함이 있다.
추가로, 종래 기술의 가스 구동 공구가 사용될 때, 패스너들은, 패스너 연결 바디가 전체적으로 튼튼한 구조를 갖도록, 스프링을 사용하여 공급되었다. 그러나 이는 다음의 문제가 있다. 패스너 연결 바디가 튼튼한 구조를 가졌을 때, 연결 재료로부터의 잔유물이 흩어질 수 있어서 어지러운 작업 환경을 조성한다. 추가로, 연결(공구)로 부터의 잔유물은 작업하는 표면 상에 남을 수 있어서 표면의 외관 손상을 야기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출원서에서 본 발명의 한 개발에서, 코일형이 아닌 직선형 패스너 연결 바디는 본 발명의 제 1 실제적인 실시예에 기술 된 것처럼 기어형(스프라켓형) 공급 수단을 사용하여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패스너 연결 바디는 전체 구조가 튼튼하지 않은 바디일지라도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연결 재료의 잔유물에서부터 발생하는 문제가 제거되거나 개선되도록, 패스너 그룹을 유연하고 얇은 박막같은 연결 재료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가능했다.
어쨌든, 패스너 구동 공구가 사용될 때, 패스너는 로드가 완전히 후방으로 움직인 이후에 로드의 전면에 공급되어야 한다. 로드가 후방으로 움직이기 전에 또는 전방으로 이동할 때 패스너를 공급하는 것은 사고나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스 연소식 구동 공구가 사용될 때, 방아쇠를 당기는 움직임은 전기 스위치에 의해 감지되고, 이 방아쇠 스위치가 턴온될 때, 점화 플러그는 활성화되고, 가스의 연소(폭발)가 발생한다. (그렇지만, 만일 안전 디바이스가 작동되지 않는다면, 방아쇠 스위치가 턴온된다 하더라도 점화플러그는 활성화될 수 없을 것이라는 것에 주의해야한다).
따라서, 패스너가 전기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공급될 때, 방아쇠 스위치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하는 것은 로드가 후방으로 움직일때 로드를 감지하는 한 방식이다. 이는 방아쇠 스위치가 턴온될 때부터, 로드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복귀가 종료되는 시간을 미리 알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제어 방법으로 생각될 수 있고, 여기서 로드의 후방 운동이 감지되고, 이후에 전기 액추에이터가 패스너를 구동하기 위해 작동된다.
그렇지만, 이 방법이 사용될 때, 로드가 후방으로 움직이는 동안 어떤 형태의 문제로 정지할 때, 패스너는 더 이상 공급될 수 없고 전기 액추에이터가 손상될(타버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추가로, 종래 기술에서, 로드는 패스너가 로드의 전면에 공급되지 못한 경우에도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단지 로드만 전진하는 "불발(mis-shot)"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청구범위 제 4항에 나타난 구성이 사용될 때, 로드의 후방 움직임이 쉽게 관측될 수 있어서, 공급 에러는 방지될 수 있다. 동시에, 단지 로드만 전진하는 "불발"을 방지될 수 있고, 모터는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는 특히 적합하다. 게다가, 제 1 센서와 제 2 센서에는 접촉식 센서 및/또는 비-접촉식 센서가 사용될 수 있지만, 접촉식 센서가 오작동을 방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면에 기초하여 본 출원서에서 본 발명이 못 구동 디바이스로 적용되는 모드에 대해 기술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6은 본 발명의 실용적인 제 1 실시예(주 실시예)이다.
도 1의 (A)는 가스 연소식 못 구동 디바이스의 우측면도.
도 1의 (B)는 못 연결 바디의 사시도.
도 2는 못 구동 디바이스의 정면도.
도 3은 매거진이 개방될 때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못 구동 디바이스를 수직하게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헤드부의 우측면도.
도 6은 기울어져서 정면과 좌측에서 본 헤드부의 사시도.
도 7의 (A)는 헤드부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7의 (B)는 B-B를 따른 도 7의 (A)의 단면도.
도 8은 헤드부와 메인 바디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헤드부와 매거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헤드부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헤드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헤드부의 좌측면도.
도 13은 ⅩⅢ-ⅩⅢ에 따라 보이는 도 5 및 도 7의 (A)의 단면도.
도 14의 (A)는 도 13에 도시된 지점에서 약간 개방된 서브가이드 바디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14의 (B)는 B-B를 따른 도 14의 (A)의 단면도.
도 15는 기어 유닛이 부착된 메인 가이드 바디의 좌측면도.
도 16은 기어 유닛과 못 연결 바디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도 17은 ⅩⅦ-ⅩⅦ에 따라 본 도 12의 단면도.
도 18은 ⅩⅧ-ⅩⅧ에 따라 본 도 12 및 도 13의 단면도.
도 19는 ⅩⅨ-ⅩⅨ에 따라 본 도 5 및 도 21의 단면도.
도 20은 도 19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1은 헤드부의 상부의 우측면도.
도 22는 ⅩⅩⅡ-ⅩⅩⅡ에 따라 본 도 21의 단면도.
도 23은 ⅩⅩⅢ-ⅩⅩⅢ에 따라 본 도 12 및 도 13의 단면도.
도 24는 ⅩⅩⅣ-ⅩⅩⅣ에 따라 본 도 12 및 도 13의 단면도.
도 25는 전기 시스템에서 관계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6은 모터, 브레이크, 센서의 관계를 나타내고 제어를 설명하는 그래프.
도 27은 본 발명을 실행하는 제 2 모드에서 못 연결 바디의 부분 측면도.
도 28은 ⅩⅩⅧ-ⅩⅩⅧ에 따라 본 도 27의 단면도.
도 29의 (A)는 못 공급 바디가 공급될 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9의 (B)는 B-B에 따라 본 도 29의 (A)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을 실행하는 제 3 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1)개관
우선,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한 개관이 제공되고, 기본 작동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의 (A)는 가스 연소식 못(nail) 구동 디바이스(코일 못박는 기계)의 우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의 (B)는 못 구동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못 결합 바디(N)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못 구동 디바이스가 구동 가능 모드일 때 그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매거진이 개방되었을 때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못 구동 디바이스의 수직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헤드부의 우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못 구동 디바이스는 (a)실린더(2)를 수용하는 메인 바디(바디)(1)가 제공된다; (b)메인 바디(1)의 전면 상에 배치된 헤드부(3)와; (c)탈부착 될 수 있도록 헤드부(3)에 부착된 매거진(4)을 구비한다.
도 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못 연결 바디(N)는 못 연결 바디(N)가 2개의 수지성(resinous) 연결 바디(스트립)(S)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못(n)을 연결하고 이 못 연결 바디(N)가 코일 형태로 감는 것에 의해 매거진(4)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게다가, 앞으로의 설명에서는 단일 바디 못과 연결 바디 사이의 구별이 필요하지 않을 때, 용어 "못(n)"이 종종 사용된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매거진(4)은 (a)헤드부(3)에 부착된 고정된 부재(5)와 (b)의도에 따라 열리거나 닫히도록 핀(59)에 의해 이 고정된 부재(5)의 하단부 에 연결된 이동가능한 부재(커버)(6)로 구성된다.
메인 바디(1)에는 (a)속이 비고 메인 바디(1)의 형태를 구성하는 메인 하우징(8), (b)나사에 의해 메인 하우징(8)의 후면에 고정된 후면 커버(9), 속이 비고 상 단부에 방아쇠(10)가 제공되는 (c)그립(핸들)(11), 그리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으로 기울고 그립(11)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위치되는 (d)전면부(12)는 하부로 확장하도록 메인 하우징(8)의 하부 표면 부분 상에 배치된다.
아래를 향하며 캡에 의해 닫히는 개구부를 구비한 연료 셀(fuel cell) 챔버는 전면부(12) 상에 위치된다. 가스 카트리지(가스 실린더)(15)는 이 연료 셀 챔버 내에 수용된다. 가스 카트리지(15)는 캡을 여닫음에 의해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다. 그립(11)의 하부에는 개방된 공간이 있고 충전식 배터리(13)가 이 개방된 공간에 수용된다.
게다가, 그립(11)은 속이 비고, 구동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 유닛(미도시)은 그립(11) 내에 배치된다. 전면부(12)와 그립(11)의 하단부는 이들이 일체를 형성하도록 연결된다. 매거진이 떨어지지 않도록 매거진을 고정하는 지지 브라켓부(16)는 이것이 돌출하도록 전면부(12)의 하단부의 전면 상에 배치된다.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매거진(4) 내에 수용된 못 연결 바디(N)는 1 피치씩 증가하며 헤드부(3)로 공급되고 못(n)은 로드(rod)(17)의 충격에 의해 앞으로 움직이고, 작업물에 박힌다.
(2) 작동의 기본 구조
다음으로, 도 4를 기초하여 못 구동 디바이스 동작의 기본 구조의 간단한 설명을 제공할 것이다. 피스톤(19)은 필요시에 미끄러지도록 실린더(2) 내에 삽입된다. 로드(17)(드라이버 블레이드 또는 해머 블레이드로 불릴 수 있다)는 이 피스톤(19)에 부착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이 모드에서, 로드(17)는 나사식으로 피스톤(19)에 부착된다. 로드(17)는 또한 피스톤(19)과 일체 구조를 형성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구조와 표기된 방향이 "상 및 하", "좌 및 우", "전방 및 후방", "좌 및 우"와 같은 용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경우는 사용자가 주시하는 관점(로드가 앞으로 움직이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에 기초한 것이다. "전면 및 후면"은 로드(17)가 전면 또는 후면으로 움직이는 방향에 기초한다. "상 및 하"는 사용자가 로드(17)가 수평인 위치에서 못 구동 디바이스를 유지하는 상태에 기초한다. 결과적으로, 헤드부(3)는 메인 바디(1)의 상부에 위치되고, 매거진(4)은 헤드부(3)의 하부에 위치된다.
팬 모터(20)에 의해 구동되는 팬(21)은 실린더(2)의 후면에 배치된다. 팬 모터(20)는 실린더 헤드(23)에 고정된다. 실린더(2)의 후단부와 실린더 헤드(23) 사이의 공간은 연소실(24)이다.
결과적으로, 팬(21)은 연소실(24) 내에 배치된다. 팬(21)은, 주로 연소 가스와 공기를 함께 섞고, 연소 가스를 배기하고, 연소실(24)을 둘러싸는 부재를 냉각하기 위해 사용되는 메인 부분이다. 연소실을 향하는 점화 플러그(25)는 실린더 헤드(23) 상에 배치된다. 게다가, 실린더(2)는 연소실(24) 내에 만들어질 수 있다.
실린더(2)의 개략적인 후면의 절반은 속이 비고 로드(17)의 축 방향으로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밸브 슬리브(26)에 의해 둘러싸인다. 밸브 슬리브(26)는 후면부 직경이 더 큰 외경을 갖도록 안정 디바이스의 부분을 형성한다. 이후에, 노우즈(nose) 부재(27)(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가 작업물과 접촉할 때, 밸브 슬리브(26)의 후면부가 실린더 헤드(23)와 완벽하게 함께 맞물릴 때, 밸브 슬리브(26)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직경이 실린더(2)의 외곽보다 작은 밸브 슬리브(26)의 전면부는 실린더(2)의 외곽에 완벽하게 맞물린다. 따라서, 연소실(24)은 밀봉됨과 동시에 방아쇠(10)가 당기는 경우 점화 플러그(25)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가스 카트리지(15)를 채우는 연소 가스는 공급 노즐(dosing nozzle)(미도시)과 제어 밸브를 통해 연소실로 공급된다. 흡기구(28)는 또한 공기와 연소 가스를 섞기 위해 후면 커버(9) 상에 위치된다. 후면부 팬(22)과 실린더 헤드(23)의 후면부는, 공기가 연소실(24)로 적합하게 흐를 수 있도록 가이드 부재(29)에 의해 둘러싸인다. 가이드 부재(29)와 슬리브(26) 사이에 틈이 또한 위치된다. 전면부를 개방하는 개구부는 메인 하우징(8)과 실린더(2) 사이에 위치된다.
밸브 슬리브가 후진할 때, 방아쇠(10)는 당겨지고, 팬(21)이 회전하여 연소실(24) 내의 연료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고, 동시에 점화 플러그(25)가 활성화되어, 혼합된 가스는 점화되고 이 가스는 탄다(폭발한다). 결과적으로, 피스톤(19)과 로드(17)는 전진하고, 못이 발사된다. 피스톤(19)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버퍼 부재(30)는 실린더(2)의 전단부 상에 배치된다.
메인 바디(1)의 전단면을 형성하는 보조 전단면 부재(31)는 나사(미도시)에 의해 실린더(2)의 전단면(전면단부)에 고정된다. 로드(17)의 상부 및 하부 상에 배치된 돌출부(32)는 전단면 부재(31) 상에 형성되고, 헤드부(3)를 이 돌출부(32) 상에 고정한다{헤드부(3)는 실린더(2)의 전면 또는 메인 하우징(8)의 전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6과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는 것에 의해 헤드부(3)와 매거진(4)에 대해 설명한다.
(3). 헤드부와 매거진의 개관
도 6은 전면 및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바라본 헤드부(3)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전면 및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바라본 헤드부(3)가 매거진(4)에 부착된 경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B-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헤드부(3)와 메인 바디부(1)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9는 헤드부(3)와 매거진(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헤드부(3)를 형성하는 메인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헤드부(3)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이 부분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을 도울 것이다. 헤드부(3)에는 (a)못(n)과 로드(17)의 전방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튜브(35)를 구비한 메인 가이드 바디(36); (b)메인 가이드 바디(36)의 우측면과 겹치는 개략적인 판과 같은 형상의 서브가이드(subguide) 바디(37)(이는 또한 커버 부재로도 칭함); (c)메인 가이드 바디(36)의 좌측면과 겹치는 기어 커버(38); 그리고 (d)나사(39)에 의해 기어 커버(38)에 부착되는 모터 케이스(40)가 제공된다.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메인 바디부는 블록 판 형태로 형성된다. 길이 방향 으로 전면 및 후면의 가이드 튜브(35)는 메인 안내 바디(36)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일체를 형성한다. 가이드 튜브(35)의 전단부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메인 바디부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전면을 향하는 돌출부(35a)가 된다. 그리고, 우측과 좌측 폭 방향의 부착부(41)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후단부 상에 배치되고, 부착부(41)는 나사(42)로 돌출부(32, 33)에 고정된다.
힌지부(36a, 37a)는 이것이 돌출되도록 (a)메인 가이드 바디(36)와 (b)서브가이드 바디(37)의 상단부 상에 배치된다. 이런 힌지부(36a, 37a)는 길이 방향으로 전면에서 후면으로 힌지 핀(43)에 의해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서브가이드 바디(37)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샤프트(43)를 중심으로 올려지고 회전될 수 있다.
서브가이드 바디(37)가 닫혔을 때, 매거진(4)의 상부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서브가이드 바디(37) 사이의 하단부에 클램핑되어 고정된다. 동시에,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서브가이드 바디(37) 사이의 가이드 튜브(35)의 하단부는 네일(n)을 가이드 튜브(35)에 공급하기 위해 네일 가이드 공간(44)으로서 형성된다. 추가로, 가이드 튜브는 네일 가이드 공간(44)쪽으로 아래 방향으로 개방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튜브(35)의 전면부와 후면부만이 튜브 형상이다.
섹션으로된 개략적으로 반원형의 기어 챔버(45)는 이것이 전면으로 그리고 후면으로 확장하도록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좌측면의 상부에 오목부로서 형성된다. 기어 유닛(46)은 이것이 의도시에는 회전할 수 있고 제 위치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기어 챔버(45)와 기어 커버(38)에 의해 고정된다. 이후에, 기어 유닛(46)은 회전하고, 못 연결 바디(N)가 1 피치씩 증가되어 공급되도록 모터 케이스(40)에 수 용된 공급 모터(47)에 의해 간헐적으로 구동된다.
직류 펄스 모터(스텝 모터)는 공급 모터(47)로 사용될 수 있다. 브레이크는 공급 모터가 반대로 회전하도록 하는 전류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공급 모터(47)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 브레이크와 같은 기계적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헤드부(3)에는 도 7의 (A) 및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안전 디바이스의 부분을 형성하는 노우즈 부재(27)가 제공된다. 노우즈 부재(27)는 이것이 전면 및 후면으로 확장하도록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상부 상에 형성된다. 노우즈 부재의 전단부(전면부)는 가이드 튜브(35) 상의 전면을 향하는 돌출부(35a)에 느슨하게 삽입되는 튜브부(27a)를 형성한다. 추가로, 노우즈 부재(27)의 후방부는 볼트(50)에 의해 금속 판인 중간 맞물림부(49)에 고정된다.
중간 맞물림부(49)는 이것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2개의 갈라진 포크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후면을 향하는 다리부(49a)는 메인 바디(1)의 전면부(31)를 통과하여 메인 하우징(8)으로 확장하고 나사 등을 사용하여 밸브 슬리브(26)에 고정된다. 중간 맞물림부(49)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전면 방향으로 밀어진다.
노우즈 부재(27)가 전진할 때, 안전 디바이스가 고정되어 방아쇠(10)는 당겨질 수 없다. 결과적으로, 이는 못(n)이 실수로 대기로 발사되는 "허공에 발사"를 방지한다.
이후에, 노우즈 부재(27)가 작업물(W)과 접촉할 때, 노우즈 부재(27)는 헤드 부(3)와 메인 바디(1)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슬리브(26)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연소실(24)(도 4에 도시됨)은 밀봉된다. 동시에, 점화 플러그(25)는 방아쇠(10)를 당기는 것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안전 디바이스의 고정이 해제되어 이로써 못이 작업물(W)을 향해 발사될 수 있다.
게다가, 실제 제품이 사용될 때, 도 1에서 점선 사슬로 표기된 것처럼, 노우즈 부재(27)를 덮는 전면 커버(51)는 사용자가 노우즈 부재(27)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없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전면 커버(51)는 서브 가이드 바디(37)의 개폐가 방해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야하고, 나사에 의해 메인 바디(1)의 전면에 고정되어야 한다.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중간 맞물림부(49) 상의 볼트 삽입 홀(hole)(52)은 이것이 전면 방향과 후면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확장하도록 길게 제조된다. 결과적으로, 노우즈 부재(27)의 전면 및 후면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못(n)의 박기 깊이는 노우즈 부재(27)의 전면 및 후면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헤드부(3)를 형성하는 각 부재의 구조는 필요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튜브(35)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고, 이 모두는 또한 나사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4) 서브가이드 바디의 개폐 구조와 매거진의 닫기 구조
다음으로,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서브가이드 바디의 개폐 구조와 매거진의 닫기 구조를 설명할 것이다. 도 13은 ⅩⅢ-ⅩⅢ를 따라 도 5 및 도 7의 (A)의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도 13에 나타낸 상태에서 약간 개방된 서브가이드 바디(37)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의 (B)는 B-B를 따라 도 14의 (A)의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서브가이드 바디(37)의 측면을 향해 돌출하는 고정된 갈퀴(pawl)(54)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후방 및 하향 부분 상에 배치된다. 상부 및 하부로부터의 고정된 갈퀴(54)를 둘러싸는 제 1 브라켓부(55)는 서브가이드 바디(37)의 후방 및 하향 부분 상에 배치된다. 상술한 고정된 갈퀴(54)에 래치되고 래치해제되는 이동가능한 갈퀴(56)는 상부 및 하부로 길이 방향으로 이어지는 핀(57)을 사용하여 제 1 브라켓(55)에 부착된다. 칼라(collar)는 핀(57)에 삽입된다.
고정된 갈퀴(54) 상의 걸이부(hooking part)는 전면으로 돌출한다. 이동가능한 갈퀴(56) 상의 걸이부는 후면으로 돌출한다. 개방부(56a)는 이동가능한 갈퀴(56)에 배치된다. 도 13은 갈퀴(54, 56)가 맞물렸을 때를 나타낸다. 이동가능한 갈퀴(56)는 칼라 주위에 감긴 회전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이동가능한 갈퀴(56)가 고정된 갈퀴(54)와 맞물리는 위치로 밀어진다. 이동가능한 갈퀴(56)가 고정된 갈퀴(54)로부터 래치해제되었을 때, 서브가이드 바디(37)는 못 연결 바디(N)가 교체될 수 있고 헤드부(3)의 내부가 검사될 수 있도록 밀어 올려지고 회전될 수 있다.
도 9는 매거진(4)의 전체를 도시한다. 매거진은 반 드럼 형태의 고정된 부재(5)와 이동가능한 부재(6)로 형성된다. 이 모두는 이들의 하단부에 배치된 힌지부 (5a, 6a)와 핀(59)(다른 연결 구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에 의해 연결된다. 추가로, 돌출부(5b, 6b)는 힌지부(5a, 6a)에 대향하여 돌출되도록 고정된 부재(5)와 이동가능한 부재(6) 상에 형성된다. 돌출부(5b, 6b)가 서로에 대해 대향하는 표면은 못(n)을 안내하는데 사용되는 평평한 표면(60)이다.
매거진(4)의 고정된 부재(5)와 이동가능한 부재(6)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하는 에지부(5c, 6c)의 위치에서 정확히 겹친다. 에지부(5c, 6c)가 겹칠 때, 못(n)이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못 공간(44)은 평평한 표면(60) 사이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평평한 평면(60)과 에지부(5c, 6c) 사이의 레벨에 차이가 있다. 돌출 스트립(61)과 오목 스트립(62)을 형성하는 한 쌍이 고정된 부재(5)와 이동가능한 부재(6)의 에지부(5c, 6c) 상에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못(n)의 헤드(a1)가 통과하는 제 1 가이드 그루브(63)와 연결 재료(S)가 통과하는 제 2 가이드 그루브(64)는 고정된 부재(5)와 이동가능한 부재(6)의 평평한 부분의 대향하는 표면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모드에서 못 연결 바디(N)는 2개의 연결 재료(S)에 의해 연결되고, 2개의 연결 재료(S)는 제 2 가이드 그루브(64)로 맞물리도록 제조된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고정된 부재(5)와 이동가능한 부재(6)의 돌출부의 단부 표면은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서브가이드 바디(37)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도록 제조된다. 추가로,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서브가이드 바디(37) 사이에 맞물리는 삽입부(66, 67)는 고정된 부재(5)와 이동가능한 부재(6)의 돌출하는 부분 상에 형성된다.
고정된 부재(5)의 삽입부(66)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개략적인 원형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아래를 향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또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인 그루브(68)는 메인 가이드 바디(36) 상에 형성된다. 이는 매거진(4)이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없도록 고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도 7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이동가능한 부재(6)를 향해 개방된 계단부(66a)는 고정된 부재(5)의 돌출부(66)의 상단부 상에 형성된다. 상술한 계단부(step part)(66a)와 맞물리는 얇은 부분(68a)은 메인 가이드 바디(36) 상에 배치된다. 이는 고정된 부재(5)가 이동가능한 부재(6)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고정된 부재(5)의 맞물림부(66)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서브가이드 바디(37) 사이에 간격이 유지될 수 있고 못 가이드 공간(44)이 형성될 수 있도록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서브가이드 바디(37)의 하단부 사이에 개재된다. 즉, 고정된 부재(5)는 못 가이드 공간(44)을 형성하는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추가로, 고정된 부재(5)의 돌출부(66)는 제어 회로 보호 커버(69)(이후에 설명된다)의 확장부(69a)를 사용하여 메인 가이드 바디(36) 위를 압착하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고정된 부재(5)는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좌 또는 우의 어떤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없도록 고정된다. 추가로, 래치부(70)가 떨어질 수 없도록 메인 바디(1)의 지지 브라켓부(16)에 맞물리는 래치부(70)는 고정된 부재(5)의 후면 및 하부 단부 상에 형성된다.
(5)못 공급 메커니즘
다음으로,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못 공급 메커니즘의 상세한 설명을 제공할 것이다. 도 15는 기어 유닛(46)이 부착된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좌측면도이다. 도 16은 기어 유닛(45)과 못 연결 바디(N)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다. 도 17은 ⅩⅦ-ⅩⅦ을 따라 도 12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8은 ⅩⅧ-ⅩⅧ을 따라 도 12 및 도 12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9는 ⅩⅨ-ⅩⅨ를 따라 도 5 및 도 2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헤드부(3) 상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ⅩⅩⅡ-ⅩⅩⅡ를 따라 도 21의 단면을 도시한다.
기어 유닛(46)에는-앞에서부터 시작해서-(a)피동 기어(72); (b)3개의 공급 기어(73); 그리고 (c)회전 감지 기어(74)가 제공된다. 이들은 나사 등에 의해 단일한 중심 샤프트(75)에 고정된다. 중심 샤프트(75)의 양 단부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76)에 의해 지지된다. 기어(72, 73, 74) 각각은 이들이 축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3개의 공급 기어(73)는 단일 샤프트와 일체를 형성하도록 형성된다(이는 또한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피동 기어(72)는 기어 톱니가 샤프트 라인을 따라 기울어짐을 야기하는 비틀어진 기어(헬리컬 기어)이다. 공급 모터(47)의 메인 샤프트(77)에 부착된 구동 기어(78)는 이 피동 기어(72)와 맞물린다. 구동 기어(78)는 또한 기어 톱니가 샤프트 라인을 따라 기울어짐을 야기하는 비틀어진 기어이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모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동 기어(72)와 구동 기어(78)의 샤프트 라인이 교차할 때, 레 벨 기어와 웜 기어로 구성된 맞물림 메커니즘과 한 쌍의 베벨기어로 구성된 맞물림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공급 기어(73)는 못(n)을 위한 못 가이드 공간(44)에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못 가이드 공간에 공급 기어(73)를 노출하기 위해 사용된 제 1 윈도우 홀(79)은 도 18 및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메인 가이드 바디(36) 상에 형성된다.
공급 기어(73)의 톱니 프로파일(profile)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다. 못 연결 바디(N)는 못(n)의 샤프트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1 피치씩 증가하여 공급된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이 모드에서, 10개의 기어 톱니(73a)가 공급 기어(73) 상에 형성되지만, 기어 톱니(73a)의 개수는 외경과의 관계에 따라 어떤 개수로도 설정될 수 있다. 추가로, 기어 톱니(73a)의 각각은, 회전 방향을 향해 후방 표면이 원형 아크 형태일 때, 회전 방향을 향한 전면부가 개략적으로 직선으로 확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못(n)을 빼기 쉽게 한다.
도 1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2개의 연결 재료(S)를 클램핑 하는 양단 상의 못(n)에 2개의 공급 기어(73)가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이는 2개의 연결 재료(S)가 공급 기어(73)에 의해 동시에 빼어지는 상태이다. 따라서, 못이 가이드 튜브(35)의 샤프트 라인에 평행하고 못 연결 바디(N)가 정확하게 공급하도록, 못이 고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6)못 공급을 안정화하기 위한 수단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못 연결 바디(N)는 압착 수단의 예로서 2 개의 상부 및 하부 압착 롤러(80)에 의해 기어 유닛(46)을 향해 압착된다. 이는 못(n)이 가이드 튜브(35)에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못 연결 바디(N)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압착 롤러(8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이 없는 박스와 같이 보이는 베어링 공구(82) 상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로 연결된 샤프트에 의해 부착된다. 압축 롤러(80)는 서브가이드 바디(37) 상에 형성된 홀더부(81)에 맞물리고 스프링(83)에 의해 압착된다. 스프링(83)은 스프링 케이스(84)와 맞물린다. 스프링 케이스(84)는 나사(85)에 의해 홀더부(81)에 고정된다.
이후에, 홀더부(81) 상의 홀(hole)은 압축 롤러(80)가 수평인 위치에 고정되도록 사각형 홀이 되게 제조된다. 추가로 상부 및 하부 팽창부(82b)는 베어링 장치(82)의 후면부(82a) 상에 형성되고, 반면에, 계단부(step part)(86)(카운터보어 홀)는 슬라이드 되기 쉽도록 베어링 장치(82) 상의 팽창부(82b)를 수용하는 홀더부(81) 상에 형성된다. 압축 롤러(80)는 스프링(83)에 저항하도록 어느 정도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이 허용된다.
따라서, 압축 롤러(80)는 공급 공정이 방해받지 않도록 못 연결 바디(N)가 움직이지 않는 지점에 못 연결 바디(N)가 고정되도록 스프링(83)에 저항하여 기어 유닛(46)으로부터 멀어지고 가까워지게 이동한다. 추가로, 못(n)의 그룹은 그것이 공급 기어(73)와 안정적으로 맞물리게 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못 연결 바디(N)를 위한 압력 수단은 압착 롤러에만 제한되지 않고 레버 형상의 부재와 같은 부재의 다른 형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판 스프링 압착 부재는 또한 사용 될 수 있다. 압착 롤러(80)는 도 18에서 생략되었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못(n)의 위치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위치 유지 레버(87)는 서브가이드 바디(37)의 전면부에 인접한 지점에 부착된다. 이 위치 유지 레버(87)는 서브가이드 바디(37) 상에서 개방하는 제 2 윈도우 홀(88)로부터의 못 가이드 공간에 노출된다.
이 위치 유지 레버(87)에는 1개의 못(n)이 가이드 튜브(35)로 이동하기 바로 전에 이 위치에 1개의 못(n)을 지지하는 지지부(87a)가 제공된다. 동시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못(n)의 헤드(a1)의 외경보다 약간 더 곡률반경을 갖는 가이드 표면(87b)으로서 형성된다. 이후에, 위치 유지 레버(87)의 하단부는 길이 방향으로 전면과 후면 모두에서 길게 핀(90)으로 서브가이드 바디(37)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브라켓부(89)에 연결된다.
따라서, 위치 유지 레버(87)는 그 하단부에 중심을 두고 좌우로 회전한다. 추가로, 비틀림 스프링(92)을 사용하여, 위치 유지 레버(87)는 메인 가이드 바디(36)를 향해 기울고 회전 방향으로 눌려진다. 결과적으로, 위치 유지 레버(87)는 스프링에 저항하여 회전하여, 못 연결 바디(N)의 공급을 허용한다. 추가로, 위치 유지 레버(87)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을 향해 기우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서브가이드 바디(37)의 경사진 정지부(91)와 접촉하게, 회전 중심보다 약간 높은 지점을 가져간다.
비록 추가적인 설명일지라고, 위치 유지 레버(87)가 메인 가이드 바디(36)를 향해 완전히 기울었을 때, 위치 유지 레버(87)의 상단부의 가이드 표면(87b)은 전 면에서 보았을 때 가이드 튜브(35)에 동심원 상에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발사되는 못의 헤드(a1)는 이것이 가이드 표면(87b)을 통과할 때 안내되고, 직접 전진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87a)를 사용하여 이어지는 못을 지지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 튜브(35)에 평행한 위치는 못(n)이 길다 하더라도 공급 기어(73) 각각과 협력하여 유지될 수 있다.
심지어 정확한 위치에 긴 못(n)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공급 기어(73)를 넓은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한 방법이지만,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이 모드와 같이 공급 모터(47)가 헤드부(3)의 전면을 접근하는 지점에 배치될 때, 공급 기어(73)는 헤드부(3)의 전면을 접근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을 실행하는 모드에서 나타낸 것처럼, 공급 기어(73)의 그룹이 헤드부(3)의 후방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위치 유지 레버(87)가 헤드부(3)가 인접한 헤드부(3)의 측면 상에 있는 지점에 설치되고, 공급 모터(47)를 배치하는 자유도는 보장될 수 있고, 긴 못은 유리한 정확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모터(47)는 헤드부(3)의 상부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 배치에서는 노우즈 부재(27)를 설계하는 것이 어렵고 작동자가 작동 도중에 가공되는 표면을 보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이 모드에서 나타낸 것처럼, 헤드부(3)의 좌우측 표면부 중 하나 상에 위치될 때, 이것은 노우즈 부재(27)와 간섭하는 것과 같은 오기능과 가공되는 표면을 보기 어려운 점과 같은 것이 피해질 수 있어서 적합하다. 추가로, 모터(47)와 기어 유닛(46)과 같은 공급 디바이스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같은 고정된 부재 상에 배치되어야 한다.
(7) 못 공급의 추가 설명
예를 들어, 도 22에서 쉽게 보일 수 있는 것처럼, 못 가이드 공간(44)에 있는 기어 유닛(46)의 반경의 외곽부는 기어 유닛(46)의 샤프트 중심{공급 기어(73)의 회전 샤프트 중심}에 원점을 갖는 완만한 곡률을 갖는 원형의 그루브(44a) 상에 형성된다. 직선부(44b)는 이 원형의 그루브(44a)의 상단부로부터 못 가이드 튜브(35)를 향해 확장한다. 이 구성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그러나, 두 말할 필요도 없이, 못 가이드 공간(44)이 매거진(4)에서부터 직선 방향으로 확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공급 기어(73)와 못의 맞물림(래칭)은 샤프트 중심에 정확하게 수평한 부분에서 가장 강하고, 못(n)과의 맞물림 작용은 수평면에서부터 상부 및 하부로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이후에, 못 가이드 공간(44)이 상하로 직선 방식으로 확장하도록 단순한 형태인 경우, 공급 기어(73)의 샤프트 중심은 못 가이드 공간(44)으로부터 이격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기어 톱니(73a) 상에서의 못(n)을 잡는 작용은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공급 기어(73)와 못 그룹의 충분한 맞물림을 보장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못 가이드 공간(44)이 공급 기어(73) 바로 옆의 위치에서 원형으로 확장하는 것처럼 형성된 경우, 못의 그룹과 공급 기어(73)가 맞물린 길이는 못의 그룹과 공급 기어(73)의 맞물림 깊이가 보장되어 못의 그룹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더 길게 제조될 수 있다.
추가로, 공급 기어(73)와 못의 그룹의 맞물림이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압착 롤러(80)에서의 설정은 적합하다.
(8) 못 공급의 제어
다음으로, 주로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못(n)의 공급이 어떻게 제어되는지 설명할 것이다. 도 23은 ⅩⅩⅢ-ⅩⅩⅢ을 따라, 도 12 및 도 13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4는 ⅩⅩⅣ-ⅩⅩⅣ을 따라, 도 12 및 도 13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5는 전기적 시스템에서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공급 모터(47), 브레이크 회로(48), 그리고 센서의 제어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이 모드에서, 못(n)을 발사하기 위한 제어 수단에는 (a)로드(17)의 움직임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1 센서(93); (b)못(n)이 공급될 때 못(n)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제 2 센서(94); (c)공급 모터(47) 뿐만 아니라 이들 센서(93, 94)의 움직임에 기초한 차단 회로(48)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가 제공된다.
도 15 및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 회로에는 회로 기판(95)이 제공된다. 회로 기판(95)은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좌측 표면에 부착된다. 추가로, 회로 기판(95)은 보호 커버(65)로 덮힌다. 보호 커버(69)는 나사(96)에 의해 메인 가이드 바디(36)에 고정된다. 보호 커버(69)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의 전단부로까지 확장하는 확장부(69a)를 갖는다. 상술한 것처럼, 매거진(4)의 고정된 부재(5)는 압착되어 이 확장부(69a)에 의해 고정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센서(93)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와 기어 커버(38)가 서로 연통하도록 이들의 후방부 상에 형성되는 포켓부(97) 상에 배치된다. 제 1 센서(93)는 이동가능한 접촉부(93a)가 제공되는 제한 스위치(마이크로스위치)를 사용한다. 이 이동가능한 접촉부(93a)는 후방 지점에 위치된 로드(17)의 약간 전면에 배치된다.
제 1 센서(93)의 메인 바디는 메인 가이드 바디(36) 또는 기어 커버(38)에 고정된다. 단자(98)는 홀을 통해 기어 커버(38)의 외측에 노출된다. 단자(98)와 회로 기판(95)은 플러그(99)가 제공되는 케이블(100)에 의해 연결된다. 이 단자는 도 24에서 생략되었다.
도 15 및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센서(94)는 메인 가이드 바디(36)에 고정되고 기어 커버(38) 상의 속이 빈 부분(97a)에 의해 덮힌다. 이 제 2 센서(94)는 접촉부(94a)가 제공되는 제한 스위치(마이크로스위치)를 사용한다. 접촉부(94a)는 회전 감지 기어(74)의 외곽 표면과 접촉하게 된다.
회전 감지 기어(74)의 톱니의 각각의 프로파일은 완만하게 기울어진 원추형으로서 형성된다. 이는 제 2 센서(94)의 접촉부(94a)의 움직임이 부드럽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두 말할 필요도 없이, 회전 감지 기어(74)의 기어 톱니의 개수는 공급 기어(73)의 기어 톱니의 개수와 일치한다. 제 2 센서(94)의 신호 케이블(100)은 또한 회로 기판(95)에 연결된다.
게다가,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이 모드에서, 못의 감지는 회전 감지 기어(74)에 의해 대신해서 실행되지만, 가이드 튜브(35)에 가장 가까운 못은 제 2 센서(94)에 의해 직접 감지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것처럼, 못의 발사를 제어하는 구동 시스템(101)과 못(n)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 시스템(102)은 전기적 시스템으로서 못 구동 디바이스에 존재한다. 구동 시스템(101)에는 배터리(13), 점화 플러그(25), 팬 모터(20), 방아쇠(10)가 당겨질 때 턴온되는 방아쇠 스위치(104), 그리고 제어 회로(미도시)가 제공된다.
다른 한편으로, 공급 시스템(102)에는 공급 모터(47), 차단 회로(48), 제 1 센서(93), 제 2 센서(94), 제어 회로(105)가 제공된다. 이후에, 전력이 구동시스템에서 공급 시스템(102)을 위한 동력원으로서 배터리(13)로부터 제공된다. 제어 회로에는 마이크로컴퓨터가 제공된다. 차단 회로(48)는 제어 외로의 한 부분이지만, 도 25에서, 설명을 촉진하기 위해 제어 회로(105)로부터 분리되어 도시된다.
도 26은 연속된 시간에 따라 공급 모터(47) 및 차단 회로(48), 그리고 센서(93, 94)가 어떻게 공급 시스템(102)에서 연관되는지를 나타낸다. 공급 모터(47)와 차단 회로(48)의 에너지 상태는 온(ON)이다.
제 1 센서(93)에서, 접촉부(93a)가 로드(17)와 접촉하지 못하는 상태{즉, 로드(17)가 완전히 후퇴된 상태)는 온으로 감지된다. 추가로, 제 2 센서(94)에서, 접촉부(94a)가 회전 감지 기어(74)의 구유(trough)에서 구유로 이동하는 상태{즉, 2배로 일하는 회전 기어(74)가 1 피치당 회전하는 상태)는 온으로 감지된다.
게다가, 센서(93, 94) 모두에서 온과 오프는 활성화 상태가 있던지 없던지 간에 관련이 없지만, 전력 소모를 보존하기 위해, 제 1 센서(93)에서 활성화 차단 상태를 온 신호로 처리하고, 활성 상태를 오프 신호로 처리되어야 한다. 제 2 센서 (94)는 활성화 상태가 온이 되도록 처리된다.
이후에, 제 1 센서(93)가 오프에서 온으로 되고 공급 모터(47)가 구동하기 시작할 때, 약간의 시간 지연 이후에, 제 2 센서(94)는 온이 된다{회전 감지 기어(74)는 공급 모터(47)가 회전할 때 회전하지만, 접촉부(94a)의 움직임이 신호로 변하는 동안의 약간의 시간 지연이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센서(94)의 온 작동은 공급 모터(47)의 시동 이후에 약간 지연된다.
이후에, 각각의 기어(72, 73, 74)가 못 연결 바디(N)가 1 피치씩 이동되는 각도에서 회전할 때, 제 2 센서(94)는 온에서 오프로 스위치된다. 공급 모터(47)는 제 2 센서(94)로부터의 온에서 오프로 신호 변화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정지하고, 약간의 시간(예를 들어 200 또는 300 마이크로 초)이 경과한 후에, 차단 회로(48)가 온이 되고, 공급 모터(47)의 관성 회전은 방지된다.
제 1 센서(93)의 오프 신호는, 공급 모터(47)는 로드(17)가 완전히 후퇴하지 않고서는 회전하지 않도록 공급 모터(47)의 회전을 위해 필수적이어서, 공급 모터(47)의 연소 및 다른 종류의 고장이 방지된다.
그렇지만, 공급 모터(47)의 활성화와 차단 회로(48)의 활성화가 중첩될 때, 이는 공급 모터(47)의 연소와 과도한 전력 소비를 야기한다. 추가로, (a)접촉부의 회전 시작 단자 및 회전 종료 단자(b)와 제 2 센서(94)로 신호를 보내는 것 사이에는 매우 짧은 시간 지연이 있다. 제 2 센서(94)의 접촉부(94a)는 회전 감지 기어(74)의 [피크(peak)]를 통과하고, 회전 감지 기어(74)의 구유로 완전히 들어가기 전에{즉, 각각의 기어(72, 73, 74)가 미리 정해진 각도로 회전하기 전에}, 오프 신 호는 제 2 센서(94)에 나타난다.
따라서, 제 2 센서(94)의 오프 신호가 보내진 때와 동시에 각각의 기어(72, 73, 74)가 회전을 멈춘다면, 실제 회전 각도는 못 연결 바디(N)를 1 피치 공급하는데 필요한 각도보다 약간 더 작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한편으로, 공급 모터(47)가 턴 오프되는 시간에서 차단 회로(48)가 턴 온되는 시간까지 약간의 시간 차이가 설정될 경우, 본 발명을 실행하는 모드에서 나타낸 것처럼, 공급 모터(47)와 차단 회로(48)를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것은 방지된다. 동시에, 접촉부(94a)의 회전과 보내진 신호 사이의 시간 지연은 흡수되고, 각각의 기어(72, 73, 74)는 표준 각도의 정도에 따라 정확하게 회전될 수 있다.
추가로, 공급이 공급 기어(73)가 회전하는 정도로 제어될 때, 못이 반복적으로 구동되는 동안 에러들이 축적될 것이고, 못(n)을 정확하게 공급하는 것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이 모드에서, 공급 모터(47)는 제 2 센서(94)를 오프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각각 또는 매번 안정적으로 정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어(72, 73, 74)의 회전에서의 약간의 시간 차이는 매번 조정(재설정)될 수 있어서, 공급 모터(47)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한 인코더를 설치하는 것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 모드는 유리하고 실용적이다.
만일 허용된 것보다 더 큰 부하가 공급 모터(47)에 걸릴 시에 활성화 공정을 정지시키는데 사용되는 안전회로는, 과도한 부하가 못이 걸리는 것과 같은 어떤 이유 때문에 공급 모터(47)에 걸리게 될 때 공급 모터(47)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 회로 내에 배치된다.
게다가, 만일 로드(17)가 못(n)이 가이드 튜브(35)에 공급되지 않았을 때에도 전진한다면, 연료는 낭비된다. 따라서, (a)방아쇠 스위치(104)의 온에 의해 점화 플러그(25)의 점화를 위해, (b)안전 스위치(103)의 온 상태와 (c)제 2 센서(94)의 온 상태는 선행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전형적인 예는 도 25의 개략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다.
못(n)이 공급 기어(73)를 사용하여 공급될 때,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이 모드의 경우에서처럼, 공급 기어(73)의 회전 토크는 공급 모터(47)의 부하가 일정하도록 일정하다. 결과적으로 공급 기어(73)가 안정되고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은 유리하다.
(10).본 발명을 실시하는 제 2 모드 (도 27 내지 도 29)
본 발명을 실행하는 제 2 모드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다. 도 27은 못 연결 바디(N)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8은 ⅩⅩⅧ-ⅩⅩⅧ을 따른 도 27의 단면도이다. 도 29의 (A)는 못 연결 바디(N)가 공급될 때 이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9의 (B)는 B-B에 따른 도 29의 (A)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행하는 이 모드에서, 연결 재료(S)에는 벨트 또는 밴드 형태로 멀리 확장하는 기판(S1)이 제공된다. 못(n)을 고정하는 측면 조각(S2)의 다수의 그룹은 기판(S1)의 길이 방향으로 양 측면 에지 상에 배치된다. 추가로, 기판(S1)의 외측 표면과 측면 조각(S2)의 전단부는 이들이 못(n)의 헤드의 외곽 상에 배열되도록 정해진다. 결과적으로, 못 연결 바디(N)는 손실 없이 코일 형태로 정확하게 감 길 수 있다.
이후에, 래치하기 위한 홀(S3)은 기판(S1) 상에 일정한 피치로 위치되고, 공급 기어(스프라켓)(73)은 래치 홀(S3)과 맞물린다. 연결 재료(S)는 수지 판 또는 종이와 같은 시트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두 말할 필요도 없이, 연결 재료(S)는 사출 성형을 통해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못(n)이 더 쉽게 떨어지도록 측면 조각(S2)상에 슬릿이 또한 배치될 수 있다.
(11).본 발명을 실시하는 제 3 모드 (도 30)
공급 수단의 다른 예인 본 발명을 구현하는 제 3 모드는 도 30에 도시된다. 이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이 모드가 사용될 때, 진동형 폴(pawl)(106)이 못 공급 수단으로 사용되고, 크랭크 보드(crank board)(107)가 회전할 때 진동형 폴(106)은 왕복 운동으로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크랭크 보드(107)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제 1 모드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12). 기타
본 출원서에서 발명은 다양한 다른 모드들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개의 부재의 구조와 형상은 본 발명의 목적인 기능에 나쁜 영향을 끼지치 않는 범위 내에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헤드부는 단일 구조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헤드부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부재는 메인 바디와 일체를 형성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이는 메인 바디의 요소 부재와 헤드부의 요소 부재가 동일하게 제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노우즈 부재를 작업물에 압착하는 것에 의해 전력을 생성하는 압전 요소(piezo-electric element)는 또한 헤드부나 메인 바디 상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압전 요소에 의해 생성되는 전력은 공급 수단을 위한 구동 소스로 사용될 수 있다. 공급 디바이스는 커플링 없이 직접 구동되는 방식이거나 로터리형 전자기 솔레노이드 일 수 있다.
매거진과 헤드부와 같은 패스너 유지 수단으로 구성된 일체 구조가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을 활용하여, 연소식 못 구동 공구에 사용되는 휴대성이 증가되고 안정성이 향상된 못 공급 디바이스의 제작이 가능하다.

Claims (4)

  1.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에 있어서,
    (a) 상기 패스너를 구동하는 로드(rod)를 수용하는 메인 바디,
    (b) 축 방향으로 상기 로드를 전면으로 밀어내는 로드 박기 수단,
    (c) 상기 메인 바디의 전단부 상에 배치되고 패스너 가이드부가 제공되는 헤드부,
    (d) 다수의 패스너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연결 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패스너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 패스너 연결 바디를 로딩하는 패스너 유지 수단,
    (e) 상기 패스너들이 정렬된 방향으로, 상기 패스너 유지 수단 상에 로딩된 상기 패스너 연결 바디를 공급하고, 상기 패스너들을 하나씩 상기 로드의 전면에 공급하는, 동력 작동식 패스너 공급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 공급 수단의 구동 소스는 상기 로드 박기 수단의 구동 소스와는 다르고,
    상기 패스너 공급 수단은,
    (a) 상기 패스너 연결 바디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모터,
    (b) 상기 로드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 센서,
    (c)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패스너들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2 센서,
    (d) 상기 모터가 회전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센서가 상기 로드가 완전히 후방으로 움직인 것을 감지했을 때, 상기 모터는 구동되어 상기 패스너들을 공급하기 시작하고, 상기 제 2 센서가 상기 패스너들의 공급이 완료되었음을 감지할 때, 상기 브레이크 수단에 의해 상기 모터의 관성 회전을 멈추도록 설정되는,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박기 수단은 연소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진하는 피스톤 상에 상기 로드를 배치하고, 상기 로드 박기 수단은,
    (a) 가스 연소실,
    (b) 상기 연소실 내의 가스에서 점화하는 전기 스파크형 점화 플러그,
    (c) 상기 점화 플러그에 전력 공급을 제공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패스너 공급 수단은 모터 또는 전자기 솔레노이드와 같은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에의 전력 공급은 상기 로드 박기 수단을 위한 상기 배터리로부터 이루어지거나, 상기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액추에이터를 위해 독립된 배터리가 전적으로 설치되는,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연결 바디는 코일 형태 또는 롤 형태로 감기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패스너 유지 수단은 의도에 따라 개폐될 수 있는 커버가 제공되는 매거진(magazine)이고; 상기 매거진은 못 연결 바디가 코일 형태 또는 롤 형태로 감길 때, 못 연결 바디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단면에서 보았을 때 개략적으로 원형(round)인 드럼처럼 형성되는,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4. 삭제
KR1020067020363A 2004-03-31 2005-03-30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KR101180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5993 2004-03-31
JP2004105993A JP2005288608A (ja) 2004-03-31 2004-03-31 携帯式ファスナー打ち込み工具
PCT/IB2005/000811 WO2005095064A1 (en) 2004-03-31 2005-03-30 Portable type fastener driv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328A KR20070007328A (ko) 2007-01-15
KR101180751B1 true KR101180751B1 (ko) 2012-09-07

Family

ID=3496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363A KR101180751B1 (ko) 2004-03-31 2005-03-30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96212B2 (ko)
EP (1) EP1737621B1 (ko)
JP (1) JP2005288608A (ko)
KR (1) KR101180751B1 (ko)
AU (1) AU2005228480B2 (ko)
CA (1) CA2560711C (ko)
DE (1) DE602005012074D1 (ko)
ES (1) ES2320468T3 (ko)
NZ (1) NZ549414A (ko)
WO (1) WO2005095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0893B2 (ja) * 2004-03-31 2010-10-27 日本パワーファスニング株式会社 携帯式ファスナー打ち込み工具
US7866521B2 (en) * 2004-12-03 2011-01-11 Black & Decker Inc. Magazine for wired-collated fasteners with automatic loading
CN2908061Y (zh) * 2005-05-08 2007-06-06 深圳市元亨电磁技术有限公司 使用液态高压气驱动的射钉机
DE102005000157B3 (de) * 2005-11-16 2007-04-05 Hilti Ag Befestigungsmittel-Zuführeinrichtung für ein handgeführtes kraftbetriebenes Eintreibgerät
US8225978B2 (en) 2007-02-01 2012-07-24 Black & Decker Inc. Multistage solenoid fastening tool with decreased energy consumption and increased driving force
DE102008051489B4 (de) 2008-10-13 2021-07-01 Böllhoff Verbindungstechnik GmbH Setzgerät mit einem Magazin und einem Bereitstellungsmodul für Fügeelemente
US8261847B2 (en) * 2009-10-09 2012-09-11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atic low power consumption mode for combustion tools
US8240232B2 (en) * 2010-03-25 2012-08-14 Simpson Strong-Tie Company Inc. Screwstrip advance mechanism and feeder for a power screwdriver
DE102011076086A1 (de) * 2011-05-19 2012-11-22 Hilti Aktiengesellschaft Bolzensetz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olzensetzgeräts
DE102012212573A1 (de) * 2012-07-18 2014-01-23 Hilti Aktiengesellschaft Eintreibgerät mit abnehmbarem Magazinteil
US9808857B2 (en) * 2013-02-05 2017-11-07 Comau Llc Continuous fastener feeding apparatus and method
EP2886254A1 (de) * 2013-12-20 2015-06-24 HILTI Aktiengesellschaft Arbeitsgerät
US9562751B2 (en) 2014-01-31 2017-02-07 Harger, Inc. Portable ignition controller
EP3045989B1 (en) 2015-01-16 2019-08-07 Comau S.p.A. Riveting apparatus
WO2016136632A1 (ja) * 2015-02-26 2016-09-01 日立工機株式会社 打込機
US11338422B2 (en) * 2018-01-19 2022-05-24 Max Co., Ltd. Driving tool
US10456826B2 (en) 2018-02-21 2019-10-29 Newfrey Llc Tape feed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lf-piercing rivet machine
US10780489B2 (en) 2018-02-21 2020-09-22 Newfrey Llc Tool-free opening tape feed receiver for a self-piercing rivet machine
US10758966B2 (en) 2018-02-21 2020-09-01 Newfrey Llc Processor-controlled tape feed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lf-piercing rivet machine
CN215617745U (zh) * 2018-04-13 2022-01-25 米沃奇电动工具公司 动力紧固件驱动器
US11865683B2 (en) 2020-05-06 2024-01-0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Pusher mechanism for powered fastener driver
JP2024061318A (ja) * 2022-10-21 2024-05-07 マックス株式会社 手持ち工具
JP2024061316A (ja) * 2022-10-21 2024-05-07 マックス株式会社 手持ち工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903U (ja) * 1983-04-27 1984-11-14 村田精工株式会社 釘などの部品の方向を整えると共にこれを必要時に送り出す装置
JPS61214982A (ja) * 1985-03-19 1986-09-24 株式会社マキタ 電気ネイ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08867B (ko) * 1966-05-26 1969-02-24 Dahlberg Ab F
US3688966A (en) * 1969-11-10 1972-09-05 Spotnails Magazine and feed assembly for a fastener-driving tool
JPS54136478A (en) 1978-04-14 1979-10-23 Hitachi Koki Co Ltd Electric nail driving machine
US4313552A (en) * 1978-09-01 1982-02-02 Firma Karl M. Reich Maschinenfabrik Gmbh Apparatus for driving fasteners
US4483474A (en) * 1981-01-22 1984-11-20 Signode Corporation Combustion gas-powered fastener driving tool
SE431417B (sv) * 1982-04-28 1984-02-06 Jonny Karl Gyris Andersson Anordning for indrivning av festelement
US5197646A (en) * 1992-03-09 1993-03-30 Illinois Tool Works Inc. Combustion-powered tool assembly
JPH0572380U (ja) 1992-03-13 1993-10-05 日立工機株式会社 ガス釘打機
US5558264A (en) * 1995-02-13 1996-09-24 Illinois Tool Works Inc. Combustion-powered, fastener-driving tool with gas-actuated, fastener-feeding mechanism
JPH08290370A (ja) 1995-04-19 1996-11-05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ガス燃焼式の可搬式打ち込み工具
US5794831A (en) * 1996-07-12 1998-08-18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detection and firing control system for powered fastener driving too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9903U (ja) * 1983-04-27 1984-11-14 村田精工株式会社 釘などの部品の方向を整えると共にこれを必要時に送り出す装置
JPS61214982A (ja) * 1985-03-19 1986-09-24 株式会社マキタ 電気ネイ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7621A1 (en) 2007-01-03
DE602005012074D1 (de) 2009-02-12
US20080251559A1 (en) 2008-10-16
AU2005228480B2 (en) 2009-05-14
WO2005095064A1 (en) 2005-10-13
KR20070007328A (ko) 2007-01-15
CA2560711A1 (en) 2005-10-13
AU2005228480A1 (en) 2005-10-13
ES2320468T3 (es) 2009-05-22
CA2560711C (en) 2010-11-02
US7896212B2 (en) 2011-03-01
NZ549414A (en) 2010-10-29
JP2005288608A (ja) 2005-10-20
EP1737621B1 (en)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751B1 (ko)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KR101180749B1 (ko) 휴대형 패스너 구동 공구
TWI480133B (zh) 用於固定件驅動工具之進料器機構定位裝置
JP4316927B2 (ja) 複数の固定具から供給される固定具を打ち込む工具のための、鼻部材とシャーブロックとの組立体
EP1951478B1 (en) Combustion-powered driving tool with workpiece contact element
JPH08290370A (ja) ガス燃焼式の可搬式打ち込み工具
EP1375075A2 (en) A fastener supply and positioning mechanism for a tool
US8047414B2 (en) Fastener driving tool having fastener detector in outlet passage
EP1693156B1 (en) Combustion-type power tool having switch protection arrangement
JP4720551B2 (ja) 燃焼式動力工具
WO2014011508A1 (en) Fastener driving tool with fastener driving and rotating mechanism
EP1784286B1 (en) Driver blade with auxiliary combustion chamber for combustion powered fastener-driving tool
JP4886412B2 (ja) 手持ち式打ち込み工具
JP5817126B2 (ja) 駆動工具
JPH04128173U (ja) ステツプル打ち機
JPH07217621A (ja) 釘打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