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534B1 - 전원 회로 - Google Patents

전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534B1
KR101180534B1 KR1020110049003A KR20110049003A KR101180534B1 KR 101180534 B1 KR101180534 B1 KR 101180534B1 KR 1020110049003 A KR1020110049003 A KR 1020110049003A KR 20110049003 A KR20110049003 A KR 20110049003A KR 101180534 B1 KR101180534 B1 KR 101180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witching element
switching
power supply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352A (ko
Inventor
유끼오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온 세미컨덕터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온 세미컨덕터 트레이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온 세미컨덕터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2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25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non-isolated boost conver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02M3/158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with a plurality of power processing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switched with a phase shift, i.e. interleav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Abstract

역률을 개선함과 함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 회로의 입출력의 리플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는 전원 회로를 제공한다.
전원 회로는,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16, 17)를 포함하는 제1 전원 회로, 제3 및 제4 스위칭 소자(18, 19)를 포함하는 제2 전원 회로 및 제어 회로(26)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26)는, 교류 전원(10)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플러스일 때에 제1 스위칭 소자(16)와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고,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일 때에 제2 스위칭 소자(17)와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시프트하도록 스위칭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전원 회로{POWER SUPPLY CIRCUIT}
본 발명은,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전자 기기의 전원 회로로서, 정류 회로(예를 들어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와 평활 회로(예를 들어 콘덴서)를 갖고,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원 회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원 회로는, 정현파의 교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정현파의 피크 부근에서만 전원 회로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역률이 나쁘다. 또한, 정현파의 교류 전압을 인가해도 정현파에 비례하지 않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 고조파가 발생하여 주변 기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다이오드와 병렬로 스위칭 소자를 접속하고, 스위칭 소자를 적당한 타이밍에 스위칭시켜, 전원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교류 전압의 정현파와 상사형으로 함으로써, 역률 개선, 고조파 억제 및 직류 전압 조정을 행하는 전원 회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을 참조).
도 10은, 종래의 전원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 전원 회로는,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4개의 다이오드(D1, D2, D3 및 D4)와, 전류 검출용의 저항(RX)과, 스위칭 소자(116, 117)와, 구동 회로(124) 및 제어 회로(126)와 출력 전압의 분압 저항(R1, R2)을 구비하고 있다.
교류 전원(110)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리액터(112)를 통하여, 교류 입력 라인인 R 라인에 인가되고, 또 하나의 교류 입력 라인인 S 라인에는 교류 전원(110)으로부터 교류 전압이 직접 입력된다. 교류 전원(110)에 의해 인가되는 교류 전압은, 다이오드(D1, D2, D3, D4)에 의해 전파 정류된 후,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123)에 의해 평활화된다.
스위칭 소자(116)는, 저항(RX)과 직렬 접속되고, 또한 저항(RX)과 함께 다이오드(D1)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116)와 다이오드(D1)는 역극성의(역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117)는, 저항(RX)과 직렬 접속되고, 또한 저항(RX)과 함께 다이오드(D2)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116)와 다이오드(D2)는 역극성의(역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접속된다. 저항(RX)은, 스위칭 소자(14) 또는 스위칭 소자(116) 중 어느 1개가 온한 기간에 다이오드(D1) 또는 다이오드(D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분압 저항(R1, R2)은,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출력 전압을 분압한다. 즉, 분압 저항(R1, R2)의 접속점으로부터 출력 전압의 분압 신호가 출력된다.
구동 회로(124)는 제어 회로(126)로부터의 입력을 스위칭 소자(116, 117)가 구동할 수 있는 진폭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어 회로(126)는, 저항(RX)의 전류 검출 결과와 출력 전압의 분압 신호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116, 117)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계속해서, 종래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교류 전원(110)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R 라인이 플러스로 되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스위칭 소자(116)가 온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이고, 스위칭 소자(116)가 온으로 되는 경우에는 도 11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R 라인(리액터(112))→스위칭 소자(116)→저항(RX)→다이오드(D2)→S 라인의 경로의 전류가 흐른다. 이 기간에 리액터(112)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스위칭 소자(116)가 오프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이고, 스위칭 소자(116)가 오프로 된 경우, 리액터(112)는, 스위칭 소자(116)가 온인 경우와 동일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고자 한다. 따라서 도 11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R 라인(리액터(112))→다이오드(D3)→콘덴서(123)→다이오드(D2)→S 라인의 경로의 전류가 흘러, 콘덴서(123)가 충전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12)에 축적되어 있던 에너지가 콘덴서(123)에 출력되어,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직류 전압(이하, 직류 출력 전압으로 한다)이 승압된다.
도 12는, 교류 전원(110)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R 라인이 부가되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스위칭 소자(117)가 온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이고, 스위칭 소자(117)가 온이 되는 경우에는 도 12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S 라인→스위칭 소자(117)→저항(RX)→다이오드(D1)→R 라인(리액터(112))의 경로의 전류가 흐른다. 이 기간에 리액터(112)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스위칭 소자(117)가 오프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이며, 스위칭 소자(117)가 오프가 된 경우, 리액터(112)는 스위칭 소자(117)가 온인 경우와 동일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고자 한다. 따라서 도 12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S 라인→다이오드(D4)→콘덴서(123)→다이오드(D1)→R 라인(리액터(112))의 경로의 전류가 흘러, 콘덴서(123)가 충전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12)에 축적되어 있던 에너지가 콘덴서(123)에 출력되어 직류 출력 전압이 승압된다.
이 전원 회로에 의하면, 스위칭 소자(116) 또는 스위칭 소자(117) 중 어느 1개가 온한 경우만 저항(RX)에 전류가 흐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저항(RX)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스위칭 소자(116) 또는 스위칭 소자(117)의 스위칭의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전원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교류 전압의 정현파와 상사형으로 할 수 있어, 역률을 개선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5579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전원 회로에서는, 스위칭 소자(116 또는 117)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 회로의 입출력의 리플 전류가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역률을 개선함과 함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 회로의 입출력의 리플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는 전원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러스측의 출력 단자와,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제1 및 제2 교류 입력 라인과, 4개의 정류 소자가 상기 제1 및 제2 교류 입력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스측의 출력 단자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 사이에 상기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한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1 브리지 회로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 상기 제1 브리지 회로의 한쪽 정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 상기 제1 브리지 회로의 다른 쪽 정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제1 교류 입력 라인과 접속된 제3 교류 입력 라인과, 상기 제2 교류 입력 라인과 접속된 제4 교류 입력 라인과, 4개의 정류 소자가 상기 제3 및 제4 교류 입력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스측의 출력 단자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 사이에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2 브리지 회로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 상기 제2 브리지 회로의 한쪽 정류 소자와 접속된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 상기 제2 브리지 회로의 다른 쪽 정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제4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제2 전원 회로와,
상기 교류 전압이 플러스일 때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3 스위칭 소자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고, 상기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일 때에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전원 회로(승압 컨버터 회로)를 병렬로 설치하고, 각각의 전원 회로의 스위칭 소자가 온 또는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한다는 인터리브 방식을 채용했으므로, 역률을 개선함과 함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 회로의 입출력의 리플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플 전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필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회로마다 교류 입력 라인이 설치되므로, 회로 전류는 복수의 리액터를 통하게 되고, 각 교류 입력 라인에 흐르는 교류 전원에 대한 리턴 전류도 종래의 전원 회로보다 작아지는 점에서, 교류 입력 라인에 리액터를 접속하는 경우에 리액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원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도 2는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플러스이며, 제1 스위칭 소자(16)가 온하고 있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플러스이며, 제1 스위칭 소자(16)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플러스이며,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온하고 있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플러스이며,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이며, 제2 스위칭 소자(17)가 온하고 있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이며, 제2 스위칭 소자(17)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이며,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온하고 있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이며,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오프하고 있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종래의 전원 회로의 회로도.
도 11은 종래의 전원 회로에 있어서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플러스인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종래의 전원 회로에 있어서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인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제1 및 제3 스위칭 소자(16, 18)의 스위칭의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원 회로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이 전원 회로는, 기본적으로는 종래의 전원 회로(승압 컨버터 회로)를 2개 병렬로 설치하고, 각각의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각 스위칭 소자가 온/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는, 즉 어긋나게 한다는 인터리브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이 전원 회로는, 제1 전원 회로, 제2 전원 회로 및 제어 회로(26)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전원 회로는,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하기 위한 제1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4개의 다이오드(D1, D2, D3 및 D4)와, 전류 검출용의 저항(RX1, RX2)과, 제1 스위칭 소자(16), 제2 스위칭 소자(17)와, 구동 회로(24)를 구비하고 있다.
제2 전원 회로는, 제1 전원 회로와 병렬로 설치되고,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하기 위한 제2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는 4개의 다이오드(D5, D6, D7 및 D8)와, 전류 검출용의 저항(RX2)과, 제3 스위칭 소자(18), 제4 스위칭 소자(19)와, 구동 회로(25)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오드(D1 내지 D8)는 정류 소자의 일례이다.
교류 전원(10)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은 교류 입력 라인인 R 라인에 인가된다. R 라인은, R1 라인(제1 교류 입력 라인)과 R2 라인(제3 교류 입력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즉, R 라인은 R1 라인과 R2 라인으로 분기하고 있다. 교류 전압은, 리액터(12)를 통하여 R1 라인에 인가되고, 리액터(13)를 통하여 R2 라인에 인가된다.
또한, 교류 전원(10)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은 또 하나의 교류 입력 라인인 S 라인에 인가된다. S 라인은, S1 라인(제2 교류 입력 라인)과 S2 라인(제4 교류 입력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즉, S 라인은 S1 라인과 S2 라인으로 분기하고 있다. 교류 전압은, 리액터(14)를 통하여 S1 라인에 인가되고, 리액터(15)를 통하여 S2 라인에 인가된다. 또한, 리액터(12, 13, 14, 15)는, 예를 들어 토로이달 코일 등의 코일이다.
다이오드(D3)는 R1 라인과 출력 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7)는 R2 라인과 출력 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4)는 S1 라인과 출력 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8)는 S2 라인과 출력 라인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라인은 P측 전극(플러스측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1)는 R1 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2)는 S1 라인과 접지 라인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5)는 R2 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 접속되고, 다이오드(D6)는 S2 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접지 라인은 N측 전극(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교류 전원(10)에 의해 인가되는 교류 전압은, 다이오드(D1, D2, D3, D4)로 이루어지는 제1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 및 다이오드(D5, D6, D7, D8)로 이루어지는 제2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에 의해 전파 정류된 후,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접속된 콘덴서(23)로 평활화된다. 이 경우, N측 전극은 접지되고, P측 전극에 플러스의 직류 전압이 출력 전압으로서 발생한다.
제1 스위칭 소자(16)는, R1 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 저항(RX1)과 직렬 접속되고, 또한 저항(RX1)과 함께 다이오드(D1)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6)와 다이오드(D1)는 역극성의(역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접속된다.
제2 스위칭 소자(17)는, S1 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 저항(RX1)과 직렬 접속되고, 또한 저항(RX1)과 함께 다이오드(D2)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스위칭 소자(17)와 다이오드(D2)는 역극성의(역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접속된다.
제3 스위칭 소자(18)는, R2 라인과 접지 라인의 사이에 저항(RX2)과 직렬 접속되고, 또한 저항(RX2)과 함께 다이오드(D5)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3 스위칭 소자(18)와 다이오드(D5)는 역극성의(역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접속된다.
제4 스위칭 소자(19)는, S2 라인과 접지 라인 사이에 저항(RX2)과 직렬 접속되고, 또한 저항(RX2)과 함께 다이오드(D6)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4 스위칭 소자(19)와 다이오드(D6)는 역극성의(역방향의 전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접속된다.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16, 17, 18, 19)는, 절연 게이트 바이폴라 트랜지스터(IGBT) 등의 트랜지스터이다.
분압 저항(R3, R4)은,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직렬로 접속되고,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출력 전압을 분압한다. 즉, 분압 저항(R3, R4)은 출력 전압의 분압 회로를 형성하고, 그들 접속점으로부터 출력 전압의 분압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회로(24)는, 제어 회로(26)로부터의 입력을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16, 17)를 구동할 수 있는 진폭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구동 회로(25)는, 제어 회로(26)로부터의 입력을 제3 및 제4 스위칭 소자(18, 19)를 구동할 수 있는 진폭으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제어 회로(26)는, 저항(RX1, RX2)의 전류 검출 결과와 출력 전압의 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16, 17, 18, 19)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 회로(26)는 교류 전원(10)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플러스일 때에 제1 스위칭 소자(16)와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시점)을 서로 시프트하도록, 제1 스위칭 소자(16)와 제3 스위칭 소자(18)를 제어한다. 즉, 제1 및 제3 스위칭 소자(16, 18)는 온과 오프를 교대로 반복하지만, 양쪽이 동시에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하고, 동시에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는 일이 없도록 제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 회로(26)는 교류 전원(10)으로부터의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일 때에 제2 스위칭 소자(17)와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도록 제2 스위칭 소자(17)와 제4 스위칭 소자(19)의 스위칭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16, 17, 18, 19)의 스위칭 노이즈에 의해 발생하는 입출력의 리플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11)를 설치할 수 있다. 필터(11)는, 예를 들어 코일과 콘덴서를 포함하는 LC 회로로 이루어지고, 교류 전원(10)과 R 라인 및 S 라인 사이에 접속된다.
===전원 회로의 동작===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는, 교류 전원(10)의 교류 전압이 S 라인(S1 라인, S2 라인)에 대하여 R 라인(R1 라인, R2 라인)이 플러스로 되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1 스위칭 소자(16)가 온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이며, 제1 스위칭 소자(16)가 온이 되는 경우에는 도 2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R1 라인(리액터(12))→제1 스위칭 소자(16)→저항(RX1)의 경로를 거쳐, 다이오드(D2)→S1 라인(리액터(14))의 경로와 다이오드(D6)→S2 라인(리액터(15))이라는 분기된 2개의 경로의 전류가 흐른다. 이 경우, 교류 전원(10)을 향하는 리턴 전류는, S1 라인 및 S2 라인으로 흐르게 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2, 14, 15)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제1 스위칭 소자(16)가 오프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이며, 제1 스위칭 소자(16)가 오프로 된 경우 리액터(12, 14, 15)는, 제1 스위칭 소자(16)가 온인 경우와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고자 한다. 따라서 도 3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R1 라인(리액터(12))→다이오드(D3)→콘덴서(23)의 경로를 거쳐, 다이오드(D2)→S1 라인(리액터(14))의 경로와 다이오드(D6)→S2 라인(리액터(15))이라는 분기된 2개의 경로의 전류가 흘러, 콘덴서(23)가 충전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2, 14, 15)에 축적되어 있던 에너지가 콘덴서(23)에 출력되어,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직류 전압이 승압된다.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온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이며,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온이 되는 경우에는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R2 라인(리액터(13))→제3 스위칭 소자(18)→저항(RX2)의 경로를 거쳐, 다이오드(D2)→S1 라인(리액터(14))의 경로와 다이오드(D6)→S2 라인(리액터(15))이라는 분기된 2개의 경로의 전류가 흐른다. 이 경우, 교류 전원(10)을 향하는 리턴 전류는, S1 라인 및 S2 라인에 흐르게 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2, 14, 15)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오프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이며,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오프로 된 경우 리액터(13, 14, 15)는,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온인 경우와 동일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고자 한다. 따라서 도 5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R2 라인(리액터(13))→다이오드(D7)→콘덴서(23)의 경로를 거쳐, 다이오드(D2)→S1 라인(리액터(14))의 경로와 다이오드(D6)→S2 라인(리액터(15))이라는 분기된 2개의 경로의 전류가 흘러, 콘덴서(23)가 충전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3, 14, 15)에 축적되어 있던 에너지가 콘덴서(23)에 출력되어,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직류 전압이 승압된다.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9는 교류 전원(10)의 교류 전압이 S 라인(S1 라인, S2 라인)에 대하여 R 라인(R1 라인, R2 라인)이 마이너스로 되는 경우의 전원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 스위칭 소자(17)가 온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이며, 제2 스위칭 소자(17)가 온이 되는 경우에는 도 6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S1 라인(리액터(14))→제2 스위칭 소자(17)→저항(RX1)의 경로를 거쳐, 다이오드(D1)→R1 라인(리액터(12))의 경로와 다이오드(D5)→R2 라인(리액터(13))이라는 분기된 2개의 경로의 전류가 흐른다. 이 경우, 교류 전원(10)을 향하는 리턴 전류는, R1 라인 및R2 라인에 흐르게 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2, 13, 14)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제2 스위칭 소자(17)가 오프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이며, 제2 스위칭 소자(17)가 오프로 된 경우, 리액터(12, 13, 14)는, 제2 스위칭 소자(17)가 온인 경우와 동일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고자 한다. 따라서 도 7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S1 라인(리액터(14))→다이오드(D4)→콘덴서(23)의 경로를 거쳐, 다이오드(D1)→R1 라인(리액터(12))의 경로와 다이오드(D5)→R2 라인(리액터(13))이라는 분기된 2개의 경로의 전류가 흘러, 콘덴서(23)가 충전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2, 13, 14)에 축적되어 있던 에너지가 콘덴서(23)에 출력되어, P측 전극과 N측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직류 전압이 승압된다.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온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이며,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온으로 되는 경우에는 도 8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S2 라인(리액터(15))→제4 스위칭 소자(19)→저항(RX2)의 경로를 거쳐, 다이오드(D1)→R1 라인(리액터(12))의 경로와 다이오드(D5)→R2 라인(리액터(13))이라는 분기된 2개의 경로의 전류가 흐른다. 이 경우, 교류 전원(10)을 향하는 리턴 전류는, R1 라인 및R2 라인에 흐르게 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2, 13, 15)에 에너지가 축적된다.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오프인 경우>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이며,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오프로 된 경우, 리액터(12, 13, 15)는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온인 경우와 동일 방향으로 전류를 흘리고자 한다. 따라서 도 9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경로, 즉 S2 라인(리액터(15))→다이오드(D8)→콘덴서(23)의 경로를 거쳐, 다이오드(D1)→R1 라인(리액터(12))의 경로와 다이오드(D5)→R2 라인(리액터(13))이라는 분기된 2개의 경로의 전류가 흘러, 콘덴서(23)가 충전된다.
이 기간에, 리액터(12, 13, 15)에 축적되어 있던 에너지가 콘덴서(23)에 출력되어, P측 전극과 N측 전극의 사이에 발생하는 직류 전압이 승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인 경우, 제1 스위칭 소자(16)와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온과 오프를 반복하지만, 제어 회로(26)는, 제1 스위칭 소자(16)와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 회로(26)는, 제1 스위칭 소자(16)와 제3 스위칭 소자(18)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고,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고 있다.
또한,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인 경우, 제2 스위칭 소자(17)와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온 및 오프하지만, 제어 회로(26)는, 제2 스위칭 소자(17)와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 회로(26)는, 제2 스위칭 소자(17)와 제4 스위칭 소자(19)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고,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16, 17, 18, 19)의 스위칭에 의한 전원 회로의 입출력의 리플 전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리플 전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터(11)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리플 전류 그 자체가 작게 되어 있으므로 필터(11)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3은,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인 경우에, 제1 및 제3 스위칭 소자(16, 18)의 스위칭의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및 제3 스위칭 소자(16, 18)는, 온과 오프를 교대로 반복, 동일한 스위칭 주기(온 기간과 이것에 이어지는 오프 기간의 합)를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하고, 동시에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스위칭하는 일이 없도록 제어되어 있다. 제1 스위칭 소자(16)의 스위칭에 의한 R1 라인의 전류 파형, 제3 스위칭 소자(18)의 스위칭에 의한 R2 라인의 전류 파형도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3 스위칭 소자(16, 18)의 스위칭의 타이밍이 어긋나게 되는 결과, R1 라인과 R2 라인의 전류 파형의 위상도 서로 시프트된다. R 라인의 전류 파형은 R1 라인과 R2 라인의 전류 파형이 합성된 것이 되고, 제1 및 제3 스위칭 소자(16, 18)의 스위칭에 의한 리플 전류는 작아지는 것을 알았다. 또한, 도 13 중 0A라는 부호가 붙어 있는 가로선은, 전류 제로의 선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교류 전원(10)에 대한 리턴 전류는,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인 경우에는 S1 라인, S2 라인으로 나뉘어 흐르고,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R1 라인, R2 라인으로 나뉘어 흐르므로, 리액터(12, 13, 14, 15)를 접속하는 경우에 리액터(12, 13, 14, 15)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교류 전원(10)에 대한 리턴 전류는,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플러스인 경우에는 다이오드(D2, D6)로 나뉘어 흐르고, R 라인의 교류 전압이 S 라인에 대하여 마이너스인 경우에는 다이오드(D1, D5)로 나뉘어 흐르므로, 마이너스측의 다이오드(D1, D2, D5, D6)는, 플러스측의 다이오드(D3, D4, D7, D8)에 비하여, 전류 용량이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저항(RX1, RX2)의 전류 검출 결과와 출력 전압의 분압 신호에 기초하여,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16, 17, 18, 19)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전원 회로의 역률 개선, 고조파 억제 및 직류 전압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전원 회로(승압 컨버터 회로)를 2개 병렬로 설치하고, 각각의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각 스위칭 소자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한다는 인터리브 방식을 채용한 것이지만, 3개 이상의 전원 회로(승압 컨버터 회로)를 병렬로 설치하고, 각각의 전원 회로를 구성하는 각 스위칭 소자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0: 교류 전원
11: 필터
12, 13, 14, 15: 리액터
16: 제1 스위칭 소자
17: 제2 스위칭 소자
18: 제3 스위칭 소자
19: 제4 스위칭 소자
23: 콘덴서
24, 25: 구동 회로
26: 제어 회로

Claims (4)

  1. 플러스측의 출력 단자와,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제1 및 제2 교류 입력 라인과, 4개의 정류 소자가 상기 제1 및 제2 교류 입력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스측의 출력 단자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 사이에 상기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한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1 브리지 회로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 상기 제1 브리지 회로의 한쪽 정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 상기 제1 브리지 회로의 다른 쪽 정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제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제1 전원 회로와,
    상기 제1 교류 입력 라인과 접속된 제3 교류 입력 라인과, 상기 제2 교류 입력 라인과 접속된 제4 교류 입력 라인과, 4개의 정류 소자가 상기 제3 및 제4 교류 입력 라인에 접속되고, 상기 플러스측의 출력 단자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 사이에 출력 전압을 발생하는 제2 브리지 회로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 상기 제2 브리지 회로의 한쪽 정류 소자와 접속된 제3 스위칭 소자와, 상기 마이너스측의 출력 단자와 접속된 상기 제2 브리지 회로의 다른 쪽 정류 소자와 병렬로 접속된 제4 스위칭 소자를 구비한 제2 전원 회로와,
    상기 교류 전압이 플러스일 때에 상기 제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3 스위칭 소자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고, 상기 교류 전압이 마이너스일 때에 상기 제2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4 스위칭 소자가 온 및 오프하는 타이밍을 서로 시프트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교류 입력 라인에 각각 접속된 제1 내지 제4 리액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교류 입력 라인에는, 각각 제1 내지 제4 리액터를 통하여 교류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에 의해 발생하는 리플을 제거하는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제1 전류 검출 소자와,
    상기 제3 및 제4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제2 전류 검출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 전류 검출 소자의 검출 결과와 상기 출력 전압의 분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KR1020110049003A 2010-05-25 2011-05-24 전원 회로 KR101180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9503 2010-05-25
JP2010119503A JP5635304B2 (ja) 2010-05-25 2010-05-25 電源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52A KR20110129352A (ko) 2011-12-01
KR101180534B1 true KR101180534B1 (ko) 2012-09-06

Family

ID=45010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003A KR101180534B1 (ko) 2010-05-25 2011-05-24 전원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36843B2 (ko)
JP (1) JP5635304B2 (ko)
KR (1) KR101180534B1 (ko)
CN (1) CN1022635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1034B2 (ja) * 2013-01-31 2017-06-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バータ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6116100B2 (ja) * 2014-01-31 2017-04-19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直流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CN105991019B (zh) * 2015-03-17 2019-06-11 意法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具有交错的转换器级的开关调节器的控制设备、开关调节器及对应的控制方法
EP3098955B1 (en) * 2015-03-27 2018-10-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tep-up device and converter device
US11114932B1 (en) 2020-06-18 2021-09-07 Ge Aviation System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tion of ripple curr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1130B2 (en) 2001-04-06 2003-08-26 Delta Electronics, Inc. Zero voltage, zero current switching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with low conduction loss and low switching loss
US6738274B2 (en) 2002-09-09 2004-05-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upply with integrated bridge and boost circuit
JP2006025579A (ja) 2004-07-09 2006-01-26 Sanyo Electric Co Ltd 電源回路
US7164591B2 (en) 2003-10-01 2007-01-16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Bridge-less boost (BLB) power factor correction topology controlled with one cycl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1598A (en) * 1992-09-18 1994-06-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ree-phase active filter utilizing rotating axis transformation
US5905369A (en) * 1996-10-17 1999-05-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ariable frequency switching of synchronized interleaved switching converters
JP2006067730A (ja) * 2004-08-27 2006-03-09 Sanken Electric Co Ltd 力率改善回路
CN101151791A (zh) * 2005-03-31 2008-03-26 国际整流器公司 具有正反馈电路的无桥升压转换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1130B2 (en) 2001-04-06 2003-08-26 Delta Electronics, Inc. Zero voltage, zero current switching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with low conduction loss and low switching loss
US6738274B2 (en) 2002-09-09 2004-05-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upply with integrated bridge and boost circuit
US7164591B2 (en) 2003-10-01 2007-01-16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Bridge-less boost (BLB) power factor correction topology controlled with one cycle control
JP2006025579A (ja) 2004-07-09 2006-01-26 Sanyo Electric Co Ltd 電源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352A (ko) 2011-12-01
JP2011250541A (ja) 2011-12-08
CN102263518A (zh) 2011-11-30
US8536843B2 (en) 2013-09-17
US20110291631A1 (en) 2011-12-01
CN102263518B (zh) 2014-07-16
JP5635304B2 (ja)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4273B2 (en) Switching power supply including power factor correction circuit with polarity determination control
KR100682010B1 (ko) 전원 회로
US20120069615A1 (en) Bridgeless power factor correction converter
KR101180534B1 (ko) 전원 회로
CN111213311B (zh) Ac-ac转换器电路
JP2012085465A (ja) 電源装置
JP2013021831A (ja) 力率改善回路
JP2009177935A (ja) 直流電源装置
US9036387B2 (en) Alternating-current/direct-current converter
KR101911262B1 (ko) 노이즈 저감 기능을 가지는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WO2018123008A1 (ja) コンバータ装置、モータ駆動装置、冷蔵庫、空気調和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給湯装置
JP6286380B2 (ja) 電力変換装置
JP2013192340A (ja) 電力変換装置
KR101609726B1 (ko) 고역률 스위칭 정류기의 제어회로
JP2013110785A (ja) 三相整流装置
KR101946373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69067B1 (ko) 리플 저감 정류부를 포함하는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90021672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JP6409171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電子機器及び双方向dcdcコンバータ
US11258353B2 (en) Power converter
JP2012029397A (ja) 負荷駆動装置
JP2020202711A (ja) 電力変換装置、制御方法、及び車両
JP5170024B2 (ja) 電力変換装置
CN116846199A (zh) 全桥电路的脉宽调制方法、变换器及储能设备
JP6173888B2 (ja) 負荷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