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493B1 - 투명 장식물 - Google Patents

투명 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493B1
KR101180493B1 KR1020120037454A KR20120037454A KR101180493B1 KR 101180493 B1 KR101180493 B1 KR 101180493B1 KR 1020120037454 A KR1020120037454 A KR 1020120037454A KR 20120037454 A KR20120037454 A KR 20120037454A KR 101180493 B1 KR101180493 B1 KR 10118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ransparent
transparent body
image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혜정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현정
주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정, 주혜정 filed Critical 김현정
Priority to KR1020120037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8Leaded 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 B44F1/066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produced by transmitted light, e.g. transparencies, imitations of glass paintings comprising at least two transparent elements, e.g. sheets, layers

Abstract

투명 장식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장식물은, 제1 투명체, 제1 투명체의 배면에 부착되는 렌티큘러 렌즈 및 렌티큘러 렌즈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렌티큘러 렌즈를 통한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장식물{Transparent Decoration}
본 발명은 투명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유리, 크리스털 글래스(crystal glass), 아크릴 등의 투명한 소재는 장식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투명한 소재의 표면에 텍스트(text)를 기재하거나 음각하여 기념패 등의 용도로 활용되거나, 투명한 소재의 뒷면에 이미지(사진이나 그림) 인쇄를 하거나, 투명한 소재의 내부에 특정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제작하여 액자 대용 또는 열쇠고리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투명한 소재 자체의 심미감을 활용한 다양한 장식물을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투명한 소재를 이용한 장식물의 경우 텍스트, 사진 및 그림이 단순히 평면적인 이미지로 소재의 외부 표면에 구현되는 것에 불과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투명한 소재의 내부에 이미지를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고, 이미 제작된 장식물은 내부의 이미지 변경이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투명한 소재를 이용한 입체 장식물의 경우 컬러(color) 이미지의 구현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9091호(2008.11.12)
본 발명은 투명체의 특정 부분에 다양한 입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투명 장식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이 간편하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한 투명 장식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투명체, 제1 투명체의 배면에 부착되는 렌티큘러 렌즈 및 렌티큘러 렌즈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렌티큘러 렌즈를 통한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투명 장식물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1 이미지층은 컬러일 수 있다.
투명 장식물은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제1 투명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장식물은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제1 투명체의 정면으로 전부 또는 일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장식물은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제1 투명체의 배면으로 후퇴되게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장식물은 제1 이미지층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2 투명체를 더 포함하고,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제2 투명체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명체 및 제2 투명체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투명체 및 제2 투명체의 사이에 렌티큘러 렌즈 및 제1 이미지층을 삽입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장식물은 제1 투명체의 정면에 부착되는 제2 이미지층 및 제2 이미지층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장식물은 제1 투명체의 내부에 레이저 빔으로 형성된 형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 장식물은 제1 투명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 둘레에 레이저 빔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 형상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렌티큘러 렌즈를 통하여 투명체의 특정 부분에 입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투명체에 렌티큘러 렌즈 및 이미지층을 부착하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제작 가능하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한 투명 장식물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 직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표시된 A-A 직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1000)은 제1 투명체(100), 렌티큘러 렌즈(200) 및 제1 이미지층(300)을 포함하고,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가 렌티큘러 렌즈(200)를 통한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되며, 형상층(400) 및 보조프레임 형상층(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투명체(100)는 일정 너비(d 이상)를 갖는 투명 소재로, 투명 플라스틱 소재는 물론, 크리스털 글래스와 같이 유리에 산화납(lead oxide)과 같은 첨가재를 포함시켜 높은 투명도를 갖게 한 소재로부터, 소정의 색상을 갖도록 색소나 금속이온과 같은 첨가재를 포함시켜 투명도를 낮게 한 소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투명체(100)는 배면에 부착되는 제1 이미지층(300) 및 내부에 형성된 크랙(crack)을 제1 투명체(100)의 정면에서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 소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200)는 제1 투명체(100)의 배면에 부착되어, 이미지(310)가 입체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렌티큘러 렌즈(200)는 볼록 렌즈를 여러개 옆으로 늘어 놓은 형상의 렌즈로, 렌티큘러 렌즈(200)의 작용에 의해 좌우 두 눈에 서로 다른 상(像)이 비쳐 이미지(310)가 입체적으로 느껴지게 할 수 있다.
이처럼, 렌티큘러 렌즈(200)를 통해 입체감을 느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람의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5mm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좌우의 눈이 각각 렌티큘러 렌즈(200)를 통과한 평면의 화상을 서로 다른 화상으로 인식하게 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어 뇌에서 이를 융합하여 입체 이미지(310)의 깊이감과 투명체 내부의 특정한 위치에 놓인 위치감을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좌우의 눈에 비추어진 시야각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가까이 위치한 것으로 느끼게 되고, 반대로 좌우의 눈에 비추어진 시야각의 차이가 작으면 작을수록 멀리 위치한 것으로 느끼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이미지(310)가 형성되는 위치(d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제1 이미지층(300)은 렌티큘러 렌즈(200)의 배면에 부착되는 사진, 그림 또는 텍스트 등의 인쇄물로, 입체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이미지(310)의 평면 화상을 포함한다. 이미지(310)는 제1 이미지층(300)에 포함된 평면 화상이 렌티큘러 렌즈(200)를 통과한 후 입체로 보이게 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술한 양안시차에 의한 착시 효과로 구현되는 일종의 허상이다.
이 경우, 제1 이미지층(300)에 포함된 평면 화상은 좌우 눈에 따로 비추어지는 두개의 화상을 픽셀(pixel) 단위로 교차되게 포맷팅(formatting)하여 하나의 화상으로 만드는 방법을 통해, 평면 화상이 렌티큘러 렌즈(200)를 통과한 후 입체 이미지(310)로 형성되는 위치(d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1000)은,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가 제1 투명체(100) 내부에 형성되도록 평면 화상을 제작하여, 제1 투명체(100) 내부에서 입체 이미지(310)가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층(300)은 렌티큘러 렌즈(200)의 배면에 부착하여, 제1 이미지층(300) 및 렌티큘러 렌즈(200)를 교체하는 것을 통해 투명 장식물(1000)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이미지(310)를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투명체(100) 내부에 제1 이미지층(300)을 삽입하는 등의 제작 공정이 불필요하여 투명 장식물(1000)의 제작이 간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층(300)은 컬러(color)일 수 있어,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의 이미지(310)를 구현할 수 있다.
형상층(400)은 제1 투명체(100) 내부에 레이저 빔으로 크랙을 발생시켜 임의의 형상을 형성한 층이다. 구체적으로, 크리스털 글래스, 아크릴 등과 같이 투명한 소재의 내부 한 지점에 초점이 맺히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면, 초점이 맺힌 부분에서 레이저 빔의 에너지에 의해 미세한 크랙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미세 크랙은 제1 투명체(100)로 입사된 빛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키거나 난반사시키므로 제1 투명체(100) 내부에 임의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의 초점을 이동시키며 제1 투명체(100) 내부에 다수의 크랙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원하는 형상을 제1 투명체(100) 내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와 형상층(400)이 상호 보완되게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투명 장식물(1000)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보조프레임 형상층(500)은 제1 투명체(100) 내부에 형성되는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 둘레에 레이저 빔으로 형성되는 층으로, 제1 투명체(100) 내부에 구현되는 이미지(310)를 둘러싼 공간 좌표축 또는 액자 프레임과 같은 효과를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보조프레임 형상층(500)은 제1 이미지층(300)으로부터 d만큼 떨어진 제1 투명체(100)의 단면상에 일정 폭을 갖는 상대 좌표축 형상이 형성되도록 레이저 빔으로 크랙을 발생시켜 관찰자로 하여금 제1 투명체(100) 내부의 어느곳에 이미지(310)가 형성되었는지를 인지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좌표축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투명 장식물(1000)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용자로 하여금 제1 투명체(100) 내부에 깊이가 있는 액자 프레임을 포함시켜 입체 이미지(310)가 제1 투명체(100) 내에 구현된 것으로 느끼게 하는 시각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프레임 형상층(500)은 제1 투명체(100) 내부의 공간에 형성된 이미지(310)의 상대적 위치 좌표로 보조 인식되어 제1 투명체(100) 내부 어디에 형성된 이미지(310)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2000)은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가 제1 투명체(100)의 정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투명체(100)의 정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보다 다양한 입체 이미지(310)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눈에 비추어진 시야각의 차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이미지층(300)을 pixel 단위로 포맷팅하는 것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층(300)에 포함된 특정 인물 부분을 제1 투명체(100)의 정면으로 돌출되게 형성한다면, 인물의 이미지(310)가 제1 이미지층(300)의 다른 이미지(310) 부분보다 부각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2000)은 상술한 특징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100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3000)은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가 제1 투명체(100)의 배면으로 후퇴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1 투명체(100)의 배면으로 후퇴되도록 형성하여 보다 다양한 입체 이미지(310)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눈에 비추어진 시야각의 차이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이미지층(300)에 포함된 배경 부분을 제1 투명체(100)의 배면으로 후퇴되게 형성한다면, 배경의 이미지(310)보다 제1 이미지층(300)의 다른 이미지(310) 부분이 더 부각되는 효과를 줄 수 있다.
여기서, 투명 장식물(3000)은 제2 투명체(600)를 더 포함하고,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가 제2 투명체(60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투명체(600)는 제1 이미지층(300)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제1 투명체(100)의 배면으로 후퇴되게 형성되는 제1 이미지층(300)의 이미지(310)를 허공이 아닌 제2 투명체(60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이게 하여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2 투명체(600)는 제1 투명체(100)와 마찬가지로 일정 너비(d 이상)를 갖는 투명 소재로, 투명 플라스틱 소재는 물론, 크리스털 글래스와 같이 유리에 산화납(lead oxide)과 같은 첨가재를 포함시켜 높은 투명도를 갖게 한 소재로부터, 소정의 색상을 갖도록 색소나 금속이온과 같은 첨가재를 포함시켜 투명도를 낮게 한 소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필요에 따라 제2 투명체(600)의 내부에도 제1 투명체(100)와 마찬가지로 형상층(400) 및 보조프레임 형상층(50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투명체(100) 및 제2 투명체(600)는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투명체(100) 및 제2 투명체(600)의 사이에 렌티큘러 렌즈(200) 및 제1 이미지층(300)을 삽입할 수 있는 슬릿(6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제1 투명체(100) 및 제2 투명체(600)는 일체로 제작한 후 그 내부에 렌티큘러 렌즈(200) 및 제1 이미지층(300)을 용이하게 삽입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이미지층(300) 및 렌티큘러 렌즈(200)에 추가하여 새로운 제1 이미지층(300) 및 렌티큘러 렌즈(200)를 반대 방향으로 삽입하여 반대방향에서 보았을 때 같은 효과의 다른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3000)은 상술한 특징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100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4000)은 제2 이미지층(700) 및 보호커버(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미지층(700)은 사진, 그림 또는 텍스트 등의 인쇄물을 포함하여, 투명 장식물(4000)에 의해 구현되는 입체 이미지(310)와 함께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부분이다. 예를 들어, 가족 사진을 제2 이미지층(700)에 포함하고, 입체 이미지(310)는 가족 사진의 배경으로 구현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장식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보호커버(800)는 일정 두께를 갖는 제2 이미지층(700)을 커버하는 부분으로, 액자와 같은 효과를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커버(800)는 투명 장식물(4000)과 분리 가능하여 필요에 따라 제2 이미지층(700)을 용이하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투명체(100)에서 돌출되게 이미지(310)를 형성하면 제2 이미지층(700)의 위치가 이미지(310)보다 뒤에 있는 것으로 느껴져 제1 투명체(100)에 맺힌 이미지(310) 내부에 있는 것으로 착시를 일으키고, 또한 보호커버(800) 내부에 텍스트나 다른 형상을 레이저 크랙에 의해 형성하면 제2 이미지층(700) 보다 전방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장식물의 입체감 및 심미감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4000)은 상술한 특징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투명 장식물(1000)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 투명체
200: 렌티큘러 렌즈
300: 제1 이미지층
310: 이미지
400: 형상층
500: 보조프레임 형상층
600: 제2 투명체
610: 슬릿
700: 제2 이미지층
800: 보호커버
1000, 2000, 3000, 4000: 투명 장식물

Claims (10)

  1. 제1 투명체;
    상기 제1 투명체의 배면에 부착되는 렌티큘러 렌즈;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통한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상기 제1 투명체의 정면으로 전부 또는 일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층은 컬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상기 제1 투명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4. 삭제
  5. 제1 투명체;
    상기 제1 투명체의 배면에 부착되는 렌티큘러 렌즈; 및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통한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상기 제1 투명체의 배면으로 후퇴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층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2 투명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상기 제2 투명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체 및 상기 제2 투명체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투명체 및 상기 제2 투명체의 사이에 상기 렌티큘러 렌즈 및 상기 제1 이미지층을 삽입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8. 제1 투명체;
    상기 제1 투명체의 배면에 부착되는 렌티큘러 렌즈;
    상기 렌티큘러 렌즈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이미지층;
    상기 제1 투명체의 정면에 부착되는 제2 이미지층; 및
    상기 제2 이미지층을 커버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가 상기 렌티큘러 렌즈를 통한 양안시차에 의해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체의 내부에 레이저 빔으로 형성된 형상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명체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제1 이미지층의 이미지 둘레에 레이저 빔으로 형성된 보조프레임 형상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장식물.
KR1020120037454A 2012-04-10 2012-04-10 투명 장식물 KR10118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454A KR101180493B1 (ko) 2012-04-10 2012-04-10 투명 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454A KR101180493B1 (ko) 2012-04-10 2012-04-10 투명 장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493B1 true KR101180493B1 (ko) 2012-09-07

Family

ID=4707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454A KR101180493B1 (ko) 2012-04-10 2012-04-10 투명 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94B1 (ko) * 2012-12-31 2013-11-11 김현정 삼차원 장식물
WO2015130996A1 (en) * 2014-02-27 2015-09-03 Pure Depth Limited A display interposing a physical object within a three-dimensional volumetric spa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925A (ja) * 1997-05-29 1998-12-15 Tsubasa Syst Kk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を備える容器及び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を備える容器用シート
KR200349920Y1 (ko) 2004-02-02 2004-05-12 (주)아이씨코리아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입체 플라스틱 카드
KR101025037B1 (ko) * 2010-07-14 2011-03-25 김현정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7925A (ja) * 1997-05-29 1998-12-15 Tsubasa Syst Kk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を備える容器及び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を備える容器用シート
KR200349920Y1 (ko) 2004-02-02 2004-05-12 (주)아이씨코리아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입체 플라스틱 카드
KR101025037B1 (ko) * 2010-07-14 2011-03-25 김현정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294B1 (ko) * 2012-12-31 2013-11-11 김현정 삼차원 장식물
WO2014104769A1 (ko) * 2012-12-31 2014-07-03 Choo Hye Jung 삼차원 장식물
JP2016507770A (ja) * 2012-12-31 2016-03-10 ヒェ ジュン チョ 三次元装飾物
EP2939846A4 (en) * 2012-12-31 2016-09-07 Hye Jung Choo THREE-DIMENSIONAL DECORATION
WO2015130996A1 (en) * 2014-02-27 2015-09-03 Pure Depth Limited A display interposing a physical object within a three-dimensional volumetric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6735B1 (en) Enhancement of visual perception
US7612795B2 (en) Enhancement of visual perception III
KR200311905Y1 (ko) 방사형 볼록렌즈 입체인쇄시트
US7545405B2 (en) Enhancement of visual perception II
CN106249426A (zh) 柱状透镜光栅结构与包括其的显示装置
CN107529054B (zh) 显示屏、头戴显示设备及其显示控制方法和装置
KR101180493B1 (ko) 투명 장식물
US10264245B2 (en) Methods and system for generating three-dimensional spatial images
CN104102085A (zh) 复合投影裸眼3d系统及其3d成像屏幕
KR101326294B1 (ko) 삼차원 장식물
EP3824622A1 (en) Floating image generation
AU2005324379A1 (en) Enhancement of visual perception
JP2008527918A5 (ko)
JP2005148234A (ja) 立体的二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方法
WO2016083642A1 (es) Método de reproducción de imágenes con apariencia tridimensional
KR101336344B1 (ko)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KR101366660B1 (ko)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CN203337993U (zh) 光栅式3d投影系统
CN105652582A (zh) 多视角裸眼立体投影技术
CN207198475U (zh) 用于获得焦距认知的显示屏及头戴显示设备
WO2019118100A1 (en) Backlit 3d lamp
US201601702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viewing
TWI465770B (zh) Stereoscopic imaging device
KR20080093789A (ko)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광학시트
KR101346035B1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미러 및 미러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