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344B1 -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 Google Patents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344B1
KR101336344B1 KR1020130016642A KR20130016642A KR101336344B1 KR 101336344 B1 KR101336344 B1 KR 101336344B1 KR 1020130016642 A KR1020130016642 A KR 1020130016642A KR 20130016642 A KR20130016642 A KR 20130016642A KR 101336344 B1 KR101336344 B1 KR 101336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spherical
refractive index
dimensional
stereosco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광
Original Assignee
안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재광 filed Critical 안재광
Priority to KR1020130016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 또는 반원형의 볼록렌즈가 연속 배열된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볼록렌즈는 제1 굴절률을 가지고 단면이 비구면인 제1 비구면 입체층; 상기 제1 굴절률보다 낮은 값의 제2 굴절률을 가지는 투명 수지로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의 상부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코팅한 평면 코팅층; 및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초점 거리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에 따르면, 입체층의 상부에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평면 코팅층으로 코팅하되, 입체층과 평면 코팅층의 굴절률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입체 필름의 입체감 부여 기능을 유지하면서 표면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입체층의 볼록렌즈 단면을 비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초점거리 조절이 가능하고, 복수의 굴절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화각이 좁아지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비구면 입체층과 평면 코팅층 사이에 굴절률이 상이한 제2 비구면 입체층을 더 포함하고, 제2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을 제1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굴절률 조정 및 평면 코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비구면 입체층과 제2 비구면 입체층의 반원주형 볼록렌즈의 모선을 서로 엇갈리게 구성함으로써, 렌티큘러렌즈를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에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PLANAR SOLID FILM COMPRISING MULTIPLE LAYERS WITH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본 발명은 입체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입체 필름의 일종인 렌티큘러(Lenticular) 또는 마이크로필름은, 양안 시차에 의한 착시 효과 원리를 활용하여 평면적인 2D 이미지를 3차원적인 영상물로 재구성함으로써 종래의 평면적 인쇄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최첨단 하이테크의 인쇄, 출력매체로서, 반원형의 렌티큘러렌즈 또는 마이크로렌즈와 3D 그래픽 이미지를 결합하여 입체감 및 각종 변환 효과를 표현할 수 있다. 입체감을 느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람의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5㎜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에 의한 것이다. 입체 필름을 이용하면, 일부 이미지의 차단 효과 및 선택적 빛의 전진 효과를 이용하여 2차원 평면 이미지로 3차원 입체 이미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입체 필름은 반원형의 복수 개의 렌즈열로 구성되어 표면에 수많은 굴곡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필름 표면의 오염되기 쉽고, 볼록한 부분에만 마찰이 잦게 일어나 필름의 부위에 따라 마모는 정도가 달라지며, 원래의 곡률과 다른 곡률을 구성하게 되어 입체 필름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입체 필름의 굴곡은 입체감 등을 표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인바, 상부에 단순히 평평한 필름을 부가하면, 굴곡에 의한 굴절 현상이 없어지게 되므로, 입체 필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표면을 평면화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도 입체 필름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필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입체층의 상부에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평면 코팅층으로 코팅하되, 입체층과 평면 코팅층의 굴절률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입체 필름의 입체감 부여 기능을 유지하면서 표면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입체층의 볼록렌즈 단면을 비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초점거리 조절이 가능하고, 복수의 굴절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화각이 좁아지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비구면 입체층과 평면 코팅층 사이에 굴절률이 상이한 제2 비구면 입체층을 더 포함하고, 제2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을 제1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굴절률 조정 및 평면 코팅이 용이해지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제1 비구면 입체층과 제2 비구면 입체층의 반원주형 볼록렌즈의 모선을 서로 엇갈리게 구성함으로써, 렌티큘러렌즈를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에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은,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 또는 복수 개의 반원형의 볼록렌즈가 연속 배열된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볼록렌즈는 제1 굴절률을 가지고 단면이 비구면인 제1 비구면 입체층;
상기 제1 굴절률보다 낮은 값의 제2 굴절률을 가지는 투명 수지로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의 상부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코팅한 평면 코팅층; 및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초점 거리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과 상기 평면 코팅층 사이에,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 또는 복수 개의 반원형의 볼록렌즈가 연속 배열된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볼록렌즈는 상기 제1 굴절률보다 낮고 제2 굴절률보다 높은 값의 제3 굴절률을 가지고 단면이 비구면인 제2 비구면 입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은,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과 상기 제2 비구면 입체층은,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반원주형 볼록렌즈의 모선이 45도, 60도 또는 90도로 서로 엇갈리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굴절률 및 상기 제2 굴절률의 차이는 0.04 내지 1.0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굴절률 및 상기 제3 굴절률의 차이는 0.04 내지 1.0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 및 상기 평면 코팅층은,
A-PET(A-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G-PET(G-Polyetheylene Terephthalate)수지, pc(polycarbonate)수지 및 UV(ultraviolet)경화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하나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 및 상기 제2 비구면 입체층은,
A-PET(A-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G-PET(G-Polyetheylene Terephthalate)수지, pc(polycarbonate)수지 및 UV(ultraviolet)경화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하나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에 따르면, 입체층의 상부에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평면 코팅층으로 코팅하되, 입체층과 평면 코팅층의 굴절률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입체 필름의 입체감 부여 기능을 유지하면서 표면 오염문제를 해결하고, 입체층의 볼록렌즈 단면을 비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초점거리 조절이 가능하고, 복수의 굴절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화각이 좁아지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비구면 입체층과 평면 코팅층 사이에 굴절률이 상이한 제2 비구면 입체층을 더 포함하고, 제2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을 제1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굴절률 조정 및 평면 코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비구면 입체층과 제2 비구면 입체층의 반원주형 볼록렌즈의 모선을 서로 엇갈리게 구성함으로써, 렌티큘러렌즈를 이용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에서 입체감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입체 필름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종래의 입체 필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반원형 볼록렌즈로 구성되는 입체 필름 하부에 2차원 이미지를 위치시키면, 입체 필름의 반원형 굴곡에 의해 빛의 굴절이 생기게 되고,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에 의한 착시 효과 원리에 의해 3차원 이미지로 인식되게 된다. 즉, 입체 필름의 3차원 이미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렌즈 표면에 굴곡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필름 표면의 오염되기 쉽고, 볼록한 부분에만 마찰이 잦게 일어나 필름의 부위에 따라 마모는 정도가 달라지며, 원래의 곡률과 다른 곡률을 구성하게 되어 입체 필름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은, 제1 비구면 입체층(100), 평면 코팅층(200) 및 하부 초점 거리층(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은,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 또는 복수 개의 반원형의 볼록렌즈가 연속 배열된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볼록렌즈는 제1 굴절률을 가지고 단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반 입체층과 달리 단면을, 극단적으로 높은 화각을 가지는 비구면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필름의 표면에 낮은 굴절률을 가지는 평면 코팅층(200)로 코팅하여 2중 굴절률을 가지게 되어 화각이 좁아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비구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초점거리 조절이 가능하다. 렌즈의 파워가 커지면 초점 거리가 짧아지고 파워가 작으면 초점거리가 길어지므로, 렌즈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파워를 키우게 된다.
평면 코팅층(200)은, 제1 굴절률보다 낮은 값의 제2 굴절률을 가지는 투명 수지로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의 상부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코팅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초점 거리층(300)은,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곡률 반경에 대응되어 적절한 초점거리를 맞추어 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필름의 하부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에서 제1 비구면 입체층(100)과 평면 코팅층(200)은 굴절률이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은 고굴절률(예: 1.58)을 가지고, 평면 코팅층(200)은 저굴절률(예: 1.43)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의 굴곡으로 인한 3차원 이미지 효과를 온전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굴절률은 기준 매질(공기)의 굴절률을 1로 정의하고 구한 상대 값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의 굴절률(제1 굴절률)과 평면 코팅층(200)의 굴절률(제2 굴절률)의 차이는 적어도 0.04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1.0 일 수 있다. 굴절률 차이가 0.04 이하인 경우에는 입체층의 깊이를 깊게 하여 초점거리를 작게 만들어도 전체 초점거리가 충분히 짧아지지 않아 시청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고 입체 영상이 왜곡되어 깨끗한 이미지를 관찰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굴절률을 0.04 이상 차이 나게 구성하여, 초점거리를 굴절률의 차이로 조절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은,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은, 제1 비구면 입체층(100)과 평면 코팅층(200) 사이에,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 또는 반원형의 볼록렌즈가 연속 배열된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며, 볼록렌즈는 제1 굴절률(제1 비구면 입체층(100)의 굴절률)보다 낮고 제2 굴절률(평면 코팅층(200)의 굴절률)보다 높은 값의 제3 굴절률을 가지고 단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구면 입체층(100)과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은 굴절률이 다른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은 고굴절률을 가지고,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은 그보다 낮은 굴절률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앞서,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굴절률의 차이로 인하여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의 굴곡으로 인한 3차원 이미지 효과를 온전하게 얻을 수 있고, 두 층의 굴절률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0.04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1.0 일 수 있다. 또한,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의 볼록렌즈 곡률은,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의 볼록렌즈 곡률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비구면 입체층(100)보다 더 비구면형인 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굴절률 조정 및 평면 코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은, 제1 비구면 입체층(100)과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은,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반원주형 볼록렌즈의 모선이 45도, 60도 또는 90도로 서로 엇갈리게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반원주형 렌티큘러렌즈는 수직패턴 양안 시차 방식에서 표출되는 입체감을 가지나, 방사형의 마이크로렌즈는 사방패턴 양안 시차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렌티큘러렌즈층의 모선을 서로 엇갈리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입체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모선 간의 각도는 실시예에 따라서 변형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제1 비구면 입체층(100)과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은, 렌티큘러렌즈 또는 마이크로렌즈의 볼록 곡면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에서, 제1 비구면 입체층(100) 및 평면 코팅층(200)은, A-PET(A-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G-PET(G-Polyetheylene Terephthalate)수지, pc(polycarbonate)수지 및 UV(ultraviolet)경화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하나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에서, 제1 비구면 입체층(100) 및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은, A-PET(A-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G-PET(G-Polyetheylene Terephthalate)수지, pc(polycarbonate)수지 및 UV(ultraviolet)경화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하나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비구면 입체층(100)과 접하는 층(평면 코팅층(200) 또는 제2 비구면 입체층(400))의 재질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제1 비구면 입체층(100)의 볼록렌즈들의 굴절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제1 비구면 입체층 200: 평면 코팅층
300: 하부 초점 거리층 400: 제2 비구면 입체층

Claims (8)

  1. 입체 필름으로서,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 또는 복수 개의 반원형의 볼록렌즈가 연속 배열된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볼록렌즈는 제1 굴절률을 가지고 단면이 비구면인 제1 비구면 입체층;
    상기 제1 굴절률보다 낮은 값의 제2 굴절률을 가지는 투명 수지로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의 상부 표면이 평평해지도록 코팅한 평면 코팅층; 및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초점 거리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과 상기 평면 코팅층 사이에,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 또는 복수 개의 반원형의 볼록렌즈가 연속 배열된 마이크로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볼록렌즈는 상기 제1 굴절률보다 낮고 제2 굴절률보다 높은 값의 제3 굴절률을 가지고 단면이 비구면인 제2 비구면 입체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은,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의 볼록렌즈 곡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과 상기 제2 비구면 입체층은,
    복수 개의 반원주형의 볼록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된 렌티큘러렌즈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반원주형 볼록렌즈의 모선이 45도, 60도 또는 90도로 서로 엇갈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절률 및 상기 제2 굴절률의 차이는 0.04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굴절률 및 상기 제3 굴절률의 차이는 0.04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 및 상기 평면 코팅층은,
    A-PET(A-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G-PET(G-Polyetheylene Terephthalate)수지, pc(polycarbonate)수지 및 UV(ultraviolet)경화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하나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구면 입체층 및 상기 제2 비구면 입체층은,
    A-PET(A-Polyethylene Terephthalate)수지, G-PET(G-Polyetheylene Terephthalate)수지, pc(polycarbonate)수지 및 UV(ultraviolet)경화수지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된 서로 다른 하나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KR1020130016642A 2013-02-15 2013-02-15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KR101336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642A KR101336344B1 (ko) 2013-02-15 2013-02-15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642A KR101336344B1 (ko) 2013-02-15 2013-02-15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344B1 true KR101336344B1 (ko) 2013-12-06

Family

ID=4998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642A KR101336344B1 (ko) 2013-02-15 2013-02-15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090B1 (ko) * 2018-04-23 2019-10-01 이스트썬텍 주식회사 사생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보호 필름
US11378816B2 (en) 2017-03-24 2022-07-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011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서로 다른 굴절률 표면을 구비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20110133287A (ko) * 2010-06-04 2011-12-12 렌텍코리아 주식회사 입체 인쇄 시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011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서로 다른 굴절률 표면을 구비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20110133287A (ko) * 2010-06-04 2011-12-12 렌텍코리아 주식회사 입체 인쇄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78816B2 (en) 2017-03-24 2022-07-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026090B1 (ko) * 2018-04-23 2019-10-01 이스트썬텍 주식회사 사생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보호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170B1 (ko) 마이크로 렌즈 겸용 렌티큘러 렌즈 시트
CN109557666B (zh) 近眼光学成像系统、近眼显示装置及头戴式显示装置
US10007122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substrat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20190028747A (ko) 라이트 필드 및 홀로그램 도파관 어레이에서의 에너지의 선택적 전파
JP2008165167A (ja) 光の透過速度差を利用した平面レンズシート
BRPI0909609A2 (pt) arranjo óptico, arranjo de lentes, dispositivo de visualização autoestereoscópica e método de visualização de uma imagem, autoestereoscópica
KR20140016991A (ko) 공진 서브파장 렌즈 층을 구비하는 다수의 뷰어들을 위한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JP6913441B2 (ja) 画像表示装置
US20160252739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803401B1 (ko) 다중 물체상 생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광학 필름
CN108761818B (zh) 一种自由立体显示系统
JP2009510538A (ja) 光を阻止する特徴を設けることによるレンチキュラーの設計の改善
CN106249426A (zh) 柱状透镜光栅结构与包括其的显示装置
CN108761819B (zh) 一种全视差自由立体显示系统
CN113631990A (zh) 三维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制作方法
KR101336344B1 (ko)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US9778472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20180024287A1 (en) Directional backlight unit,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3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TWI526717B (zh) 裸視立體顯示裝置及排列裸視立體顯示裝置之像素的方法
WO2021036428A1 (zh) 立体成像膜
TWM528434U (zh) 立體顯示裝置
CN212302118U (zh) 裸眼3d显示装置及其光学透镜
KR10172823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93789A (ko)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광학시트
Qin et al. Exploration for the Gratings Used for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