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037B1 -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037B1
KR101025037B1 KR1020100068094A KR20100068094A KR101025037B1 KR 101025037 B1 KR101025037 B1 KR 101025037B1 KR 1020100068094 A KR1020100068094 A KR 1020100068094A KR 20100068094 A KR20100068094 A KR 20100068094A KR 101025037 B1 KR101025037 B1 KR 10102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layer
transparent
backgroun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혜정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현정
주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정, 주혜정 filed Critical 김현정
Priority to KR1020100068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5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07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containing glass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제조방법은 평면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평면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투명체 내에 레이저 빔으로 형상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형상층의 적어도 일부는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평면 이미지를 입체 형상으로 가공하지 않고도 투명장식물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투명장식물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TRANSPARENT ORNA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크리스털 유리(crystal glass), 아크릴 등과 같이 투명한 소재(이하, '투명체'라 칭함)의 내부 한 지점에 초점이 맺히도록 레이저 빔을 조사하면, 초점이 맺힌 부분에서 레이저 빔의 에너지에 의해 투명한 소재에 미세한 크랙(crack)이 형성된다.
이 미세한 크랙은 투명체로 입사된 빛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키거나 난반사시킨다. 따라서, 레이저 빔의 초점을 이동시키며 투명체 내에 다수의 크랙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원하는 형상을 투명체 내에 형성할 수 있다. 현재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투명체 내부에 임의의 형상(이하, '형상층'이라 함)을 형성한 투명장식물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도 1에는 평면 이미지가 예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평면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형상층이 형성된 종래의 투명장식물이 예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형상층(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투명체(101) 내에 형성된 다수의 크랙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층(110)은 형성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투명체(101) 내에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야 할 좌표를 설정한 후, 레이저 조사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조사하는 레이저 빔의 초점 위치가 설정된 좌표를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형성한다.
이때, 레이저 조사장치는 레이저 빔을 단속적(斷續的)으로 조사한다. 즉, 레이저 조사장치는 투명체(101) 내에 하나의 크랙이 형성되면 레이저 빔의 조사를 멈추고 다음 크랙을 형성할 위치로 레이저 빔 조사부(도시되지 않음)를 이동한 후 다시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평면 이미지(10)는 투명체(101)에 형성된 형상층(110)의 원본 이미지이다. 즉, 평면 이미지(10)는 레이저 조사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가공 데이터로 변환되어 레이저 조사장치의 제어부에 입력된다.
그런데, 형상층(110)의 원본 이미지가 평면 이미지(10)일 경우에는 형상층(110) 또한 평면 형상을 갖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장식물(100)을 측면에서 보면 형상층(110)은 직선 형상을 갖는다.
형상층(110)이 평면 형상일 경우, 투명장식물(100)의 장식적 효과가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투명체(101)의 두께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나타내고자 하는 이미지를 실물과 거의 유사하도록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투명장식물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실물과 거의 유사한 입체적인 형상을 투명체 내에 형성하는 데에는 평면 형상의 형상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매우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투명장식물의 가격이 크게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평면 이미지로부터 투명체에 형성되는 형상층에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된 변형부를 형성함으로써, 평면 형상층에 비해 입체감을 향상시키면서 입체 형상의 제조에 비해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평면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평면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투명체 내에 레이저 빔으로 형상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층의 적어도 일부는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형상층은 면 형상 및 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변화될 수 있고, 상기 면 형상 및 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는 요철부 또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층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며 형성되는 상기 형상층 영역 중 일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평면 이미지와 다른 배경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상기 투명체 내에 레이저 빔으로 배경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경층은 상기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는 배경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경 변형부의 일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경층 중 상기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형상층과 겹쳐지는 부분 의 명도는, 겹쳐지지 않는 부분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배경층 중 상기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형상층과 겹쳐지는 부분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은 연속적인 명도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투명체; 및 평면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상기 투명체 내에 형성된 형상층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층의 적어도 일부는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며 형성된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이 제공된다.
상기 형상층은 면 형상 및 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면 형상 및 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는 요철부 또는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형상층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의 일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장식물은 상기 평면 이미지와 다른 배경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상기 투명체 내에 형성된 배경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경층은 상기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는 배경 변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경 변형부의 일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경층 중 상기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형상층과 겹쳐지는 부분의 명도는, 겹쳐지지 않는 부분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배경층 중 상기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형상층과 겹쳐지는 부분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은 연속적인 명도의 변화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상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원근 방향으로 위치변화시켜 형성함으로써 평면 이미지를 입체 이미지로 가공하지 않고도 투명장식물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투명장식물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이미지와 다른 배경 이미지의 형상에 따라 형상층 후방에 배경층을 형성함으로써 투명장식물의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평면 이미지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종래의 투명장식물을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변형예의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200)은 투명체(201) 및 투명체 내에 형성된 형상층(210)을 포함한다.
투명체(201)는 크리스털 유리, 아크릴 등 다양한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투명체(201)는, 크리스털 유리와 같이 유리에 산화납(lead oxide)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시켜 높은 투명도를 갖게 한 것으로부터, 소정의 색상을 갖도록 색소나 금속이온과 같은 첨가제를 포함시켜 투명도를 낮게 한 것 등을 모두 포함한다. 즉, 투명체(201)는 내부에 형성된 형상층(210)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를 가진 것을 모두 지칭한다.
형상층(210)은 평면 이미지(도 1의 10)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그 형상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형상층(210)은 변형부(211, 212, 213)를 포함할 수 있고, 미변형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 이미지(10)는 일반적인 카메라로 촬영한 정지영상 또는 캠코더(camcorder)로 촬영한 동영상의 정지영상 등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컴퓨터와 같은 영상처리장치에 의해 영상처리(image processing)될 수 있는 모든 영상을 포함한다.
즉, 평면 이미지(10)는 수작업으로 제작한 그림, 책이나 신문과 같이 종이 등에 인쇄한 인쇄물, 카메라로 촬영하여 인화지에 인화한 사진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 인쇄물 또는 사진 등을 스캐너와 같은 데이터처리장치로 입력시켜 얻은 이미지 데이터를 모두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변형부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 변형부(211, 212, 213)는 미변형부(214)에 대하여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어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원근 방향은 평면 형상인 미변형부(214)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투명장식물(200) 내의 형상층(210)을 바라볼 경우에 주로 향하는 시선 방향을 말한다.
다만 사용자가 투명장식물(200)을 바라볼 때 원근 방향의 정면에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원근 방향과 일정 각도 경사진 방향에서도 바라볼 수도 있으므로, 변형부는 이러한 경사진 시선 방향까지 고려하여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층(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만 변형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그전체가 변형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체가 변형부로서 형성되는 경우, 형상층(210)은 미변형부(214)를 포함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형상층(210)은 전체적으로 부조(浮彫, relief)와 같은 입체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처럼 형상층(210)의 일부만 변형부로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입체적인 특징을 잘 부각시킬 수 있는 부분만을 선택하여 변형부로서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층(210)의 원본 이미지인 평면 이미지(도 1의 10)에서, 토끼의 입체감을 잘 표현할 수 있는 귀 및 수염 부분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3 변형부(211, 212, 213)로 각각 형성함으로써 형상층(210)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변형부(211, 212, 213)는 미변형부(214)에 대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변형부(211, 212)와 같이 면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변형부(213)와 같이 선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면 형상이나 선 형상에 요철부 또는 굴곡부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변형부가 형성되는 경우, 각 변형부들은 원근 방향으로 서로 연속될 수도 있고 적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서로 연속되면 각 변형부들의 입체감이 통일적으로 부각될 수 있고, 적정 간격 이격되면 각 변형부들의 입체감이 독자적으로 부각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은, 평면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S10)와, 전경 변형부를 형성할 부분을 선택하고 영상처리 하는 단계(S30)와, 투명체에 형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평면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S10)는, 형상층(도 4의 210)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평면 이미지(도 1의 10)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미지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컴퓨터 등의 영상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평면 이미지(10)를 입력한다.
이때, 평면 이미지(10)가 손으로 그린 그림이거나 책이나 신문과 같은 인쇄물인 경우에는, 스캐너 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데이터처리장치나 영상입력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시킨 후 영상처리장치에 입력한다.
변형부를 형성할 부분을 선택하고 영상처리 하는 단계(S30)는 다음과 같다.
우선, 영상처리장치에 입력된 평면 이미지(10)의 형상을 따라 투명체(201) 내에 형상층(210)을 형성할 때, 변형부(211, 212, 213)를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을 선택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 이미지(10) 전체가 선택될 수도 있고, 그 일부가 선택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평면 이미지(10) 중 변형부(211, 212, 213)가 형성될 부분으로 선택된 부분을 영상처리 한다. 즉, 평면 이미지(10) 중 선택된 부분에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정도에 대한 정보를 삽입한다. 따라서, 영상처리 된 후의 평면 이미지(10)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는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투명체에 형상층을 형성하는 단계(S50)는, 레이저 조사장치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투명체(201) 내에 형상층(210)을 형성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처리 된 후의 평면 이미지(10)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가공 데이터로 변환하여 레이저 조사장치의 제어부에 입력하면, 레이저 조사장치는 투명체(201)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크랙을 형성함으로써 형상층(210)을 형성한다.
이때, 변형부(211, 212, 213)는, 상술한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정도에 대한 정보에 따라, 레이저 조사장치가 레이저 빔의 초점을 원근 방향으로 변화시키면서 조사함에 의하여,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면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투명장식물(200)을 제조할 경우, 미변형부(214)에 대하여 변형부(211, 212, 213)가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어 형성됨으로써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영상처리장치는 레이저 조사장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레이저 조사장치에 입출력 수단을 부가함으로써, 입력된 평면 이미지 중에서 변형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선택하여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된 이미지 데이터를 얻고 이에 따라 투명체에 형상층을 형성하는 등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 제조방법에 포함되는 과정들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은, 투명체 내에 형성되는 형상층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단지 원근 방향으로 크랙의 위치를 변화시켜 형성하는 것만으로, 형상층을 입체로 형성하지 않으면서도 투명장식물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투명장식물의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투명장식물(300)은 투명체(301) 및 투명체 내에 형성된 형상층(310)과 배경층(320)을 포함한다.
투명체(301)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투명체(도 4의 201)와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형상층(310)은 평면 이미지(도 1의 10)를 원본 이미지로 하여, 그 형상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형상층(310)은 변형부를 구성하는 제1 변형부(311), 제2 변형부(312), 제3 변형부(313)를 포함할 수 있고, 미변형부(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형상층(도 4의 210)의 제1 변형부(211), 제2 변형부(212), 제3 변형부(213) 및 미변형부(214)와 그 형상 및 형성 방법이 각각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배경층(320)는 배경부(321) 및 중첩부(322)를 포함한다.
배경층(320)은 평면 이미지(10)와는 다른 평면 이미지인 배경 이미지(도시되지 않음)의 형상을 따라 투명체(301) 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형성한 것이다. 여기서, 배경 이미지는 평면 이미지(10)와 마찬가지로 레이저 조사장치의 제어부에 가공 데이터로 변환되어 입력될 수 있는 것이다. 평면 이미지(10)와 배경 이미지는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한 이미지 내의 서로 구별되는 부분들일 수도 있다.
배경층(320)은 형상층(310)과 원근 방향으로 간격을 갖도록, 즉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명장식물(300)을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형상층(310)이 배경층(320)에 대하여 돌출 또는 함몰된 것으로 보이게 되므로, 형상층(310)의 입체감이 더욱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형상층(310)이 배경층(320)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예를 나타낸다.
평면 이미지(10) 및 배경 이미지는 투명장식물(300)의 장식적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그 내용이 서로 연관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형상층(310)이 토끼의 형상이라면, 배경층(320)은 토끼풀 형상이나 달 표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형상층(310) 및 배경층(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장치에 의해 투명체(301) 내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한 크랙이 집적되어 형성된다. 크랙이 높은 밀도로 집적된 부분은 빛의 난반사가 많아지므로 명도가 높아지고, 크랙의 밀도가 낮은 부분은 명도가 낮아진다. 형상층(310) 및 배경층(320)은 이러한 명도차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태를 표현하게 된다.
형상층(310)이 매우 높은 밀도의 크랙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투명장식물(300)을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배경층(320)으로부터 난반사 된 빛이 형상층(31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보일 수 있다. 즉, 투명장식물(300)을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형상층(310) 및 배경층(320)이 겹쳐지는 부분은, 형상층(310) 및 배경층(320)에 표현된 형태가 한꺼번에 보이게 되어 형상층(310)의 선명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배경층(320)을 이루는 토끼풀의 형상으로 인해 형상층(310)인 토끼의 선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경층(320)에는 중첩부(32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중첩부(322)는 배경층(320) 중 투명장식물(300)을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형상층(310)과 겹쳐지는 영역에 형성된다. 중첩부(322)의 명도를 겹쳐지지 않는 영역, 즉 배경부(321)의 명도보다 낮게 조절함으로써 배경층(320)으로 인해 형상층(310)의 선명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중첩부(322)의 명도가 배경부(321)의 명도와 크게 차이가 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투명장식물(300)을 원근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배경부(321) 및 중첩부(322)의 경계 부분의 명도차에 의해 장식적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중첩부(322)의 가장자리 부분의 명도는 배경부(321)와 같게 하고 중심 영역으로 갈수록 서서히 명도가 변화되도록 중첩부(322)의 명도가 연속적으로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배경부(321) 및 중첩부(322) 경계 부분의 심한 명도차를 완화할 수도 있다.
또한, 형상층(310)과 배경층(320)의 간격을 매우 작게 함으로써 형상층(310)과 배경층(320)의 일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형상층(310)과 배경층(320)으로 표현된 이미지의 종류에 따라 형상층(310)과 배경층(320) 사이의 경계 영역의 명도차를 크게 할 수도 있고 작게 할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그 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투명장식물(300)의 변형예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투명장식물(300)의 배경층(320)에 배경 변형부(323)가 더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경 변형부(323)는 배경층(320) 중 일부분이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며 형성된 것으로, 배경층(320)의 입체감을 향상시켜서 투명장식물(300)의 전반적인 장식적 효과를 증가시킨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 변형부(323)가 형상층(310)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면, 형상층(310)에 표현된 토끼가 배경층(320)에 표현된 토끼풀들 위에 있는 것과 같은 현실감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만일 배경 변형부(324)가 경사지게 돌출된다면 원근감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경 변형부(323)는 형상층(310) 및 배경층(320)에 의해 표현되는 내용에 따라 함몰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경층에 의해 표현하고자 하는 형상이 분화구가 형성된 달의 표면이라고 할 경우, 분화구를 배경 변형부로서 원근 방향으로 함몰 형성하여 입체감 및 현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배경 변형부(323)는 투명장식물을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형상층(310)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형상층과 배경 변형부는 풍부한 입체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각각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형상층과 각 배경 변형부는 서로 연속되게 또는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형상층과 배경층은 각각 동일한 이미지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이미지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은, 평면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S11)와, 배경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S21)와, 변형부를 형성할 부분을 선택하고 영상처리 하는 단계(S31)와, 투명체에 형상층 및 배경층을 형성하는 단계(S51)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형상층 및 배경층 형성단계(S51) 이전에 배경 변형부를 형성할 부분을 선택하고 영상처리 하는 단계(S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면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S11) 및 변형부를 형성할 부분을 선택하고 영상처리 하는 단계(S31)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에 포함된 평면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S10) 및 변형부를 형성할 부분을 선택하고 영상처리 하는 단계(S30)와 각각 같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배경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S21)에서는 평면 이미지(10) 입력의 경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배경층(320)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배경 이미지(도시되지 않음)를 영상처리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입력한다.
배경 변형부를 형성할 부분을 선택하고 영상처리 하는 단계(S41)에서는, 상술한 변형부를 형성할 부분을 선택하고 영상처리 하는 단계(S31)에서와 같이, 영상처리장치에 입력된 배경 이미지 형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배경 변형부(323)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선택하고, 선택된 부분의 이미지 데이터에 원근 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정도에 대한 정보를 삽입한다.
투명체에 형상층 및 배경층을 형성하는 단계(S51)에서는, 레이저 조사장치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투명체(301) 내에 형상층(310) 및 배경층(320)을 형성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처리 된 후의 평면 이미지(10) 및 배경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를 가공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고, 이들을 레이저 조사장치의 제어부에 입력하여 투명체(301) 내에 형상층(310) 및 배경층(320)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 12에서, 평면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의 입력(S11, S21) 순서 및 영상처리(S31, S41)의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특정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형상층과 배경층의 형성도 특정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입체 형상을 사용하지 않고도 입체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형상층에 변형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변형부의 일부를 입체 형상으로 형성하면 형상층의 입체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축구선수가 공을 차는 이미지를 형상화하는 경우에, 축구선수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부로 형성하고 공만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축구선수 신체의 다른 부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변형부로 형성하고 공을 차는 다리와 공만 입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은 입체감의 통일성이나 독자성의 요구에 따라 나머지 부분과 연속될 수도 있고 적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이미지 전체를 입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입체 형상에 못지 않은 입체감을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예는 배경 변형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00, 300: 투명장식물 201, 301: 투명체
210, 310: 형상층 211, 311: 제1 변형부
212, 312: 제2 변형부 213, 313: 제3 변형부
214, 314: 미변형부 320: 배경층
321: 배경부 322: 중첩부
323: 배경 변형부

Claims (20)

  1. 평면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평면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투명체 내에 레이저 빔으로 형상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형상층의 적어도 일부는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층은 면 형상 및 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 형상 및 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는 요철부 또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층은 복수 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며 형성되는 상기 형상층 영역 중 일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이미지와 다른 배경 이미지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배경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상기 투명체 내에 레이저 빔으로 배경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층은 상기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는 배경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변형부의 일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층 중 상기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형상층과 겹쳐지는 부분의 명도는, 겹쳐지지 않는 부분의 명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층 중 상기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형상층과 겹쳐지는 부분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은 연속적인 명도의 변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의 제조방법.
  11. 투명체; 및
    평면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상기 투명체 내에 형성된 형상층을 포함하고,
    상기 형상층의 적어도 일부는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며 형성된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층은 면 형상 및 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면 형상 및 선 형상 중 적어도 하나는 요철부 또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의 일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이미지와 다른 배경 이미지의 형태를 따라 상기 투명체 내에 형성된 배경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층은 상기 원근 방향으로 위치 변화되는 배경 변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변형부의 일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층 중 상기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형상층과 겹쳐지는 부분의 명도는, 겹쳐지지 않는 부분의 명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층 중 상기 원근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형상층과 겹쳐지는 부분과 겹쳐지지 않는 부분은 연속적인 명도의 변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물.
KR1020100068094A 2010-07-14 2010-07-14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1025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94A KR101025037B1 (ko) 2010-07-14 2010-07-14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94A KR101025037B1 (ko) 2010-07-14 2010-07-14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037B1 true KR101025037B1 (ko) 2011-03-25

Family

ID=4393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094A KR101025037B1 (ko) 2010-07-14 2010-07-14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0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493B1 (ko) * 2012-04-10 2012-09-07 김현정 투명 장식물
KR101387651B1 (ko) 2012-08-02 2014-04-23 김현정 투명 장식물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942Y1 (ko) 2002-03-16 2002-07-13 이광석 레이저 입체가공시스템으로써 내부에 투시가능한형상부를 갖도록 형성한 투명 아크릴 장식품
US6596967B2 (en) 2000-10-24 2003-07-22 Edward Miesak Laser based etching device
KR200406636Y1 (ko) 2005-11-08 2006-01-23 김영갑 레이저마킹을 이용하여 문안이 각설된 네임태그
KR100971797B1 (ko) * 2009-09-17 2010-07-22 주혜정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6967B2 (en) 2000-10-24 2003-07-22 Edward Miesak Laser based etching device
KR200280942Y1 (ko) 2002-03-16 2002-07-13 이광석 레이저 입체가공시스템으로써 내부에 투시가능한형상부를 갖도록 형성한 투명 아크릴 장식품
KR200406636Y1 (ko) 2005-11-08 2006-01-23 김영갑 레이저마킹을 이용하여 문안이 각설된 네임태그
KR100971797B1 (ko) * 2009-09-17 2010-07-22 주혜정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493B1 (ko) * 2012-04-10 2012-09-07 김현정 투명 장식물
KR101387651B1 (ko) 2012-08-02 2014-04-23 김현정 투명 장식물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833B1 (ko) 합성 이미지의 집합을 투사하기 위한 보안 장치
CN105205846B (zh) 水墨动画制作方法
JP2016173558A (ja) 光造形加工方法及び感光性樹脂を光硬化させる方法
JP4998120B2 (ja) 印刷物製造方法及び印刷物
JP5594641B1 (ja) チェンジング画像印刷物
KR20120095059A (ko) 2d 이미지를 3d 입체 이미지로 전환시키는 방법
CN103065357A (zh) 基于普通三维模型的皮影模型制作方法
KR101025037B1 (ko)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조방법
CN104715468A (zh) 一种基于Unity3D的裸眼3D内容制作的改进方法
CN108081735A (zh) 二维与三维结合的激光凹版木纹印刷版辊的制作方法
JP2015076023A (ja) 画像処理装置、立体デー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971797B1 (ko)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작방법
Nimkulrat Experiential craft: Knowing through analog and digital materials experience
JP6621199B2 (ja) 鑑賞用構造体
CN109767384B (zh) 一种制作无缝拼贴图案模拟荔枝纹皮革表面的方法
KR20210155014A (ko) 3d 구조체 및 상기 구조체의 2d 투영을 갖는 층 배열체
CN102096933A (zh) 一种文字样式修饰方法及装置
Furferi et al. Tactile 3D bas-relief from single-point perspective paintings: a computer based method
US20150103514A1 (en) Monochromatic dynamically-tonal stereolithographic image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KR101387651B1 (ko) 투명 장식물 및 그 제조 방법
Yang et al. Binary image carving for 3D printing
CN108416836A (zh) 一种通过三维建模渲染转二维平面的漫画制作方法
KR101135099B1 (ko) 투명장식물 및 그것의 제작방법
WO2003085186A1 (fr) Procede et appareil de simulation de broderie, et programme et support d'enregistrement associes
JP2012218172A (ja) 立体印刷物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よって作製された印刷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