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660B1 -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 Google Patents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660B1
KR101366660B1 KR1020120111159A KR20120111159A KR101366660B1 KR 101366660 B1 KR101366660 B1 KR 101366660B1 KR 1020120111159 A KR1020120111159 A KR 1020120111159A KR 20120111159 A KR20120111159 A KR 20120111159A KR 101366660 B1 KR101366660 B1 KR 101366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ttern
dimensional
shee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운선
Original Assignee
홍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운선 filed Critical 홍운선
Priority to KR1020120111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6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29D11/00298Producing lens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제품(10)에 부착되는 인쇄 시트지에 있어서,
평면패턴시트부(20)의 일측에 입체패턴시트부(30)가 일부 형성되고, 평면패턴시트부(20)와 입체패턴시트부(30)의 표면에 UV경화층(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평면패턴시트부(20)와 입체패턴시트부(30)는 상부금형(1)으로 부터 순차적으로 필름층(31)이 형성되고, 필름층(31)의 저면 일부에 렌즈층(32)이 형성되며, 렌즈층(32)의 하부에 이격되어 투명층(33)이 형성되되 투명층(33)은 인쇄패턴층(34)의 상부로 형성되고, 인쇄패턴층(34)은 하부금형(2)의 상면에 형성되며, 하부금형(2)의 상부에 인쇄패턴층(34)과 투명층(33)은 일부이고 나머지 부분은 평면패턴층(36)으로 형성되고, 평면패턴층(36)과 필름층(31) 사이 및 렌즈층(32)과 투명층(33) 사이에 레진층(35)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 A sheet hanving a partial 3D pattern }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의 전체적인 면에 입체 패턴을 형성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을 형성하고 나머지는 평면 패턴을 형성하여 입체 패턴에 의한 시각적 어지러움을 주지 않으면서 입체 패턴이 돋보이게 하도록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원 평면상에 형성된 2차원 패턴 또는 영상들의 모습은 빛의 반사에 통해 인간의 눈에 2차원 형태로 그대로 입사되기 때문에 2차원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렌티큘러(lenticular) 시트라는 광학렌즈 시트를 이용하게 되면, 2차원적인 영상을 3차원(3D), 즉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렌티큘러 시트를 이용하여 2차원 영상을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하는 원리는 사람의 눈이 가로방향으로 64 mm 가량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에 기인한다. 여기서, 양안 시차란, 사람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동일한 위치의 영상이라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경로가 달라, 좌우 망막에 약간의 다른 상이 맺히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렌티큘러 시트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반구형의 렌즈들이 상부 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으로 미세 패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며, 매우 얇은 두께 예컨대 0.2㎜ 정도의 두께를 갖는다. 이와 같이 얇은 렌티큘러 시트는 사출레진으로 형성된 두꺼운 외장 케이스 등에 접착되어 사용됨으로써, 사람들의 눈에 시각적 효과 불러 일으킨다.
그러나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렌티귤러 시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부로 형성되는 렌즈는 매우 작은 사이즈를 가져야 한다. 즉, 일반적으로 렌티큘러 시트의 두께는 렌즈의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되는데, 0.2㎜ 정도의 렌티큘러 시트의 경우, 렌즈의 사이즈, 즉 렌즈의 지름은 대략 0.02㎜ 정도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렌즈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또한 하부면으로 그러한 작은 렌즈에 맞은 패턴을 인쇄하는 공정도 매우 힘들어 현실적으로 양산을 하는데 문제점이 많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입체렌즈시트는 표면이 무수히 많은 렌즈들이 서로 패턴을 이루어, 마치 작은 엠보싱 표면처럼 보이게 된다. 이것은 당연히 각각의 렌즈들이 그 목적에 따라 렌즈의 굴절효과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입체인쇄용 렌즈시트들은 표면을 이루로 있는 각각의 작은 렌즈들 때문에 표면이 엠보싱과 같은 굴곡을 이루게 되어 제품화에 있어서 또는 제품관리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앉고 있다. 즉 굴곡면의 틈사이로 이물질이 끼게 되고, 세척을 하려해도 작은 이 틈사이로 침착된 이물질은 제거하기가 힘들어 렌즈시트 본래의 투명도를 점차 감소시키고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하는 폐단을 가져오게 한다.
또한 이러한 엠보싱(렌즈) 표면은 각각의 난반사를 일으켜 제품의 칼라가 단지 무광제품으로만 보이게 되고 유광의 고광택 제품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폐단을 가져오게 한다. 또한 입체인쇄용 렌즈시트의 경우 입체물의 해상도를 좌우하는 렌즈들 간의 반복되는 간격 즉, 피치가 형성되는데 이 피치에 따라서 입체그래픽의 해상도와 입체감의 상관관계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피치의 수치가 커진다면 렌즈간격이 넓어짐을 말하는 것이고 각각의 렌즈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이루어짐을 말한다. 따라서 각각의 렌즈가 커진다함은 입체를 형성하는 그래픽의 해상도가 육안으로 볼 때 상대적으로 거칠게 느껴지는 반면 입체의 깊이감은 더욱 크게 느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식에서는 해상도를 좋게 하면서 입체의 깊이감 또한 좋게 하기 위하여 렌즈간격을 좁게 하되 입체의 깊이감을 높이게 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렌즈 곡률반경을 높이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방식은 해상도와 깊이감을 높일 수는 있어도 대신 입체적 사물 인지각도가 상대적으로 더욱 좁아지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입체 그래픽이 구현된 사출 시트의 경우, 제품 표면에 부착되어 입체감을 주게 되는데 제품의 표면에 입체로 이루어진 패턴이 제품 전체에 구현되어 있을 경우 장식적 효과보다 시각적으로 어지러운 느낌을 주게 되므로 오히려 입체 효과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왔다.
하지만 입체 패턴을 인쇄할 경우 부분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출 제품 표면에 입체 그래픽을 구현할 경우 전체적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어지러움을 느끼지 않으면서 시각적인 미려함을 줄 수 있게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부분 입체 인쇄로 인하여 부각해야 할 로고 등을 제품 표면에 입체적으로 나타내어 회사의 이미지 등을 더욱 미려하게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10)에 부착되는 인쇄 시트지에 있어서, 평면패턴시트부(20)의 일측에 입체패턴시트부(30)가 일부 형성되고, 평면패턴시트부(20)와 입체패턴시트부(30)의 표면에 UV경화층(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평면패턴시트부(20)와 입체패턴시트부(30)는 상부금형(1)으로 부터 순차적으로 필름층(31)이 형성되고, 필름층(31)의 저면 일부에 렌즈층(32)이 형성되며, 렌즈층(32)의 하부에 이격되어 투명층(33)이 형성되되 투명층(33)은 인쇄패턴층(34)의 상부로 형성되고, 인쇄패턴층(34)은 하부금형(2)의 상면에 형성되며, 하부금형(2)의 상부에 인쇄패턴층(34)과 투명층(33)은 일부이고 나머지 부분은 평면패턴층(36)으로 형성되고, 평면패턴층(36)과 필름층(31) 사이 및 렌즈층(32)과 투명층(33) 사이에 레진층(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품 표면에 전체적으로 입체 그래픽을 구현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입체 그래픽이 구현되어 사용자에게 어지러움을 주지 않으면서 시각적인 미려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부분 입체 인쇄로 인하여 부각해야 할 로고 등을 제품 표면에 입체적으로 나타내어 회사의 이미지 등이 더욱 미려하게 부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부분 입체층이 형성된 시트가 제품에 구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분 입체층이 형성된 시트와 금형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부분 입체층이 형성된 시트의 일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제품(10)에 부착되는 인쇄 시트지에 있어서, 평면패턴시트부(20)의 일측에 입체패턴시트부(30)가 일부 형성되고, 평면패턴시트부(20)와 입체패턴시트부(30)의 표면에 UV경화층(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품의 표면 전체를 입체 패턴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 입체 패턴을 형성하되 평면 패턴과 같이 일체로 형성하여 이물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입체 패턴 부분만 돋보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면패턴시트부(20)의 일측에 부분적으로 입체패턴시트부(30)가 형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부금형(1)과 하부금형(2) 사이에 순차적으로 아래와 같은 층이 형성된다.
평면패턴시트부(20)와 입체패턴시트부(30)는 상부금형(1)으로 부터 순차적으로 필름층(31)이 형성되고, 필름층(31)의 저면 일부에 렌즈층(32)이 형성된다. 이때 렌즈층(32)은 입체를 구형하기 위하여 볼록렌즈 오목렌즈 층을 형성하는 것으로 기존의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필름층(31)은 전체적으로 형성되지만, 입체패턴을 이루는 부분으로 렌즈층(32)은 일부만 형성된다.
평면패턴시트부(20)는 사출 성형물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의 요철을 형성시키거나 , 헤어라인, 엠보 등의 패턴을 형성한다.
평면패턴시트부(20)는 일반적인 사출제품의 표면에 형성하는 것으로, 사출 제품 표면의 의장성을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이 최근 일반적인 추세이다. 따라서 현재 다양한 종류의 패턴 형상이 개발되었으므로 이러한 패턴을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렌즈층(32)의 하부에 이격되어 투명층(33)이 형성되되 투명층(33)은 인쇄패턴층(34)의 상부로 형성되고, 인쇄패턴층(34)은 하부금형(2)의 상면에 형성된다.
하부금형(2)의 상부에 인쇄패턴층(34)과 투명층(33)은 일부가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평면패턴층(36)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평면패턴층(36)과 필름층(31) 사이 및 렌즈층(32)과 투명층(33) 사이에 레진층(35)이 형성되어 채워지게 된다.
인쇄패턴층(34)에는 회사로고나 기타 광고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게 되고, 배경의 입체층에 의하여 회사 로고나 회사명이 떠 보이는 효과를 얻게 된다.
즉 전체적인 부분은 평면패턴시트부(20)로 이루어지고, 그 중 일부분에 입체패턴시트부(30)가 형성되므로 입체패턴시트부(30)는 평면패턴시트부(20)의 가운데 들어가 있는 느낌을 주고, 그 위에 회사 로고나 기타 나타내고자 하는 글자, 문양등을 인쇄한 인쇄패턴층(34)이 떠 있는 느낌을 주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입체 패턴 층을 형성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더욱 미려함과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게 된다.
1 : 상부금형 2 : 하부금형
10 : 제품 20 : 평면패턴부
30 : 입체 패턴부 31 : 필름층
32 : 렌즈층 33 : 투명층
34 : 인쇄패턴층 35 : 레진층
36 : 평면패턴층 40 : UV경화층

Claims (2)

  1. 삭제
  2. 제품(10)에 부착되는 인쇄 시트지에서 평면패턴시트부(20)의 일측에 입체패턴시트부(30)가 일부 형성되고, 평면패턴시트부(20)와 입체패턴시트부(30)의 표면에 UV경화층(40)이 형성되는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에 있어서,
    평면패턴시트부(20)와 입체패턴시트부(30)는 상부금형(1)으로 부터 순차적으로 필름층(31)이 형성되고, 필름층(31)의 저면 일부에 렌즈층(32)이 형성되며,
    렌즈층(32)의 하부에 이격되어 투명층(33)이 형성되되 투명층(33)은 인쇄패턴층(34)의 상부로 형성되고, 인쇄패턴층(34)은 하부금형(2)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인쇄패턴층(34)과 투명층(33)은 상기 하부금형(2)의 전체 면 중에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패턴층(34)과 투명층(33)이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평면패턴층(36)으로 형성되며, 평면패턴층(36)과 필름층(31) 사이 및 렌즈층(32)과 투명층(33) 사이에 레진층(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KR1020120111159A 2012-10-08 2012-10-08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KR101366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59A KR101366660B1 (ko) 2012-10-08 2012-10-08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59A KR101366660B1 (ko) 2012-10-08 2012-10-08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6660B1 true KR101366660B1 (ko) 2014-03-13

Family

ID=5064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159A KR101366660B1 (ko) 2012-10-08 2012-10-08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6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60B1 (ko) * 2020-03-27 2021-01-28 김연희 2차원 그래픽인쇄 기술을 이용한 곡면화 구조의 3차원 입체화상 조형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5985B1 (ko) * 2020-03-27 2021-08-04 김연희 2차원 그래픽인쇄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입체화상 조형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011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서로 다른 굴절률 표면을 구비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101164229B1 (ko) 2011-10-06 2012-07-10 안재광 모아레 패턴 형상을 갖는 시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3011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서로 다른 굴절률 표면을 구비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101164229B1 (ko) 2011-10-06 2012-07-10 안재광 모아레 패턴 형상을 갖는 시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60B1 (ko) * 2020-03-27 2021-01-28 김연희 2차원 그래픽인쇄 기술을 이용한 곡면화 구조의 3차원 입체화상 조형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5985B1 (ko) * 2020-03-27 2021-08-04 김연희 2차원 그래픽인쇄 기술을 이용한 3차원 입체화상 조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170B1 (ko) 마이크로 렌즈 겸용 렌티큘러 렌즈 시트
KR100841438B1 (ko) 광속차를 이용한 인쇄용 평면렌즈시트
KR100938990B1 (ko) 전반사에 의한 입체표면 시트
CN104280887B (zh) 服装的裸眼3d立体图像印花方法
KR101384717B1 (ko) 복수의 나노 구조물을 포함하여 히든 이미지를 표현하는 입체 렌즈시트
KR100561321B1 (ko) 투명창이 있는 입체 플라스틱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72921B1 (ko) 미세 패턴과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한 입체라벨
KR101371171B1 (ko) 입체효과 사출물을 위한 금형 가공 방법
KR101366660B1 (ko)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KR101043770B1 (ko) 서로 다른 굴절률 표면을 구비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WO2014024145A1 (en) Cosmetic article to be applied to human keratin materials
CN203054260U (zh) 一种立体变幻图像
KR101743000B1 (ko) 변동투시화각 입체시트
KR20110094974A (ko) 사출레진 하부에 형성된 인쇄 패턴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101120865B1 (ko) 돌출부를 구비한 입체 렌즈 시트 및 그 입체 렌즈 시트의 제조방법
CN107993561B (zh) 立体防伪微透镜薄片
KR101326294B1 (ko) 삼차원 장식물
KR101035201B1 (ko) 표면 처리된 렌티큘러시트
CN203063529U (zh) 一种凹部具有立体光栅图文的印品
KR101167708B1 (ko) 상부에 렌즈와 하부로 패턴이 형성된 사출레진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101087489B1 (ko)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101336344B1 (ko)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KR101180493B1 (ko) 투명 장식물
KR20120034859A (ko) 잉크젯 프린트용 입체시트
KR101164229B1 (ko) 모아레 패턴 형상을 갖는 시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