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7489B1 -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7489B1
KR101087489B1 KR1020090109792A KR20090109792A KR101087489B1 KR 101087489 B1 KR101087489 B1 KR 101087489B1 KR 1020090109792 A KR1020090109792 A KR 1020090109792A KR 20090109792 A KR20090109792 A KR 20090109792A KR 101087489 B1 KR101087489 B1 KR 10108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ensional
layer
thin film
low refractiv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009A (ko
Inventor
전현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Priority to KR1020090109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4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3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6Veined printings; Fluorescent printings; Stereoscopic images; Imitated patterns, e.g. tissues, texti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저비용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보호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그 입체 시트는 입체감을 주는 입체 패턴들이 형성된 패턴 인쇄층; 상기 패턴 인쇄층 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다수의 볼록 또는 오목 렌즈들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층; 상기 렌즈층 상부로 박막형태로 증착되고, 저 굴절률을 갖는 저 굴절 박막층; 및 하이-그로시(high-glossy) 처리를 위해 상기 저 굴절 박막층 상부로 형성된 투명 수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High-glossy stereoscopic shee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stereoscopic sheet}
본 발명은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는 입체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이-그로시(high-glossy) 처리를 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원 평면상에 형성된 2차원 패턴 또는 영상들의 모습은 빛의 반사에 통해 인간의 눈에 2차원 형태로 그대로 입사되기 때문에 2차원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렌티큘러(lenticular) 시트라는 광학렌즈 시트를 이용하게 되면, 2차원적인 영상을 3차원(3D), 즉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렌티큘러 시트를 이용하여 2차원 영상을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하는 원리는 사람의 눈이 가로방향으로 64 mm 가량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에 기인한다. 여기서, 양안 시차란, 사람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동일한 위치의 영상이라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경로가 달라, 좌우 망막에 약간의 다른 상 이 맺히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렌티큘러 시트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반구형의 렌즈들이 상부 면으로 형성되고 하부면은 평평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렌티큘러 시트의 경우, 무수히 많은 선형의 볼록 또는 오목 렌즈가 돌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렌즈 표면이 올록 볼록하여 외부의 충격에 쉽게 스크레치가 나거나 파손되는 일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보호하고 표면을 평평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렌즈층 상부로 다른 보호 시트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렌즈층 상부로 보호 시트를 형성하는 것은 하부 렌즈층의 굴절률을 고려하여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재질 및 공정상 비용이 많이 들며, 또한 여전히 표면 경도가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면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저비용으로 형성될 수 있는 보호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체감을 주는 입체 패턴들이 형성된 패턴 인쇄층; 상기 패턴 인쇄층 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다수의 볼록 또는 오목 렌즈들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층; 상기 렌즈층 상부로 박막형태로 증착되고, 저 굴절률을 갖는 저 굴절 박막층; 및 하이-그로시(high-glossy) 처리를 위해 상기 저 굴절 박막층 상부로 형성된 투명 수지층;을 포함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 굴절 박막층은 상기 렌즈층 상부로 동일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층의 상기 렌즈들과 동일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투명 수지층은 상면이 평평(flat)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정 굴절률을 갖는 렌즈층의 상부에 다수의 볼록 또는 오목 렌즈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렌즈들 상으로 소정 부분에 저 굴절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 굴절 박막층 상으로 하이-그로시 처리를 위해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층의 하부에 입체감을 주기 위한 입체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의 제 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저 굴절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 굴절 박막층은 증착 방법을 통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렌즈층 상부로 동일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층의 상기 렌즈들과 동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체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렌즈들의 초점 위치에, 상기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소정 규칙을 가지고 상기 입체 패턴을 인쇄하며, 상기 입체 패턴을 인쇄 후에 상기 입체 패턴 사이에 은폐 수지로 은폐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은 렌즈층 상부 표면부에 저 굴절의 특성을 갖는 물질을 증착한 후, 증착 면 위에 입체 시트의 상면을 평평하게 하는 하이-그로시 처리를 일반 투명 수지를 이용해 처리함으로써, 종래 하이-그로시 처리에 이용되는 저 굴절의 투명 수지의 고단가 문제 및 표면 경도가 약한 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부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그로시 입체시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이-그로시 입체시트는 인쇄 패턴층(100), 렌즈층(200), 저 굴절 박막층(300) 및 투명 수지층(400)을 포함한다.
인쇄 패턴층(100)은 입체 패턴(110) 및 은폐 수지(120)를 포함한다. 입체 패턴(110)은 상부로 형성된 다수의 렌즈들(220)의 초점 거리에 형성되고, 적절한 입체 형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소정 규칙을 가지고 형성된다. 입체 패턴(110)은 일반적으로 옵셋 인쇄(offset-printing)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현하고자 하는 형상과 렌즈들(220)의 초점 위치에 따라 적절히 도안을 디자인하고, 그 도안을 기초로 인쇄를 위한 판, 즉 소부를 만들어 그 소부를 통해 렌즈층(200) 하부에 입체 패턴을 인쇄하게 된다.
한편, 입체 패턴(110)은 식각(etching)을 통한 방법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식각 방법은 포토 마스크 장비들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식각 방법을 통해 입체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아주 미세한 패턴까지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경박단소 형태의 입체 시트를 구현하는 데에 유리하다.
입체 패턴(110) 형성 방법에 대해 옵셋 인쇄와 식각 방법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들을 통해 입체 패턴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은폐 수지(120)는 입체 패턴들(110) 사이 사이로 형성되어 입체 패턴(110)을 서로 구별되게 한다. 이러한 은폐 수지(120)는 실크 스크린(silk-screen) 방식으로 형성되는데, 은폐 수지(120)는 이미 형성된 입체 패턴(110)들의 사이 사이를 메우는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한편, 도면상, 은폐 수지(120)와 입체 패턴(110)이 동일 두께로 형성되고 있지만, 은폐 수지(120)의 두께를 입체 패턴(110)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고, 또한, 입체 패턴(110)과 은폐 수지(120)를 동일 두께로 형성하고, 인쇄 패턴층(100) 하부로 지지용 수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은폐 수지(120) 역시 실크 스크린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들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참고로, 입체 패턴들(110)을 소정 규칙을 가지고 렌즈들의 초점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사람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양안 시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양안 시차의 미세한 차를 뇌가 적절히 해석하여 입체(공간)를 느끼게 된다. 양안 시차에 따른 입체 인식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렌즈들의 초점 위치 및 그에 따른 입체 패턴들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즉, 사람의 양안 시차 특성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패턴들 전면으로 하나의 좌, 우 간격에 대응하는 렌즈들이 접착되어 형성되고, 형성된 렌즈들을 통해 좌 및 우 각각의 눈에 서로 다른 좌우 패턴만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렌즈층(200)의 상부로 다수의 반구형 렌즈들(220)을 형성하고, 렌즈층(200) 하부로는 주기적으로 일 정한 입체 패턴(110)을 형성하되, 입체 패턴의 주기 간격과 반구형 렌즈들의 간격을 적절히 일치시키면,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은 각각 다른 패턴을 인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뇌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서 인식된 영상을 적절히 결합하여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렌즈층(200)은 몸체부(210) 및 다수의 렌즈들(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렌즈층(200)은 투명 수지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로 형성되며, 상부의 렌즈들(220)은 형성되어야 할 렌즈와 반대 굴곡을 갖는 금형을 이용하여 열성형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a 이하의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제조 과정에 대한 설명부분에서 좀더 상세히 기재한다.
렌즈층(200)은 PC에 한정되지 않고, 투명하기만 하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크로라이드, 폴리스티렌 등의 굴절률 1.45 ~ 1.58 정도의 투명 수지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 등의 굴절률 1.45 ~ 1.60 정도의 수지,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alate),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등의 다양한 수지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렌즈의 굴절률, 그에 따른 렌즈층 및 전체 입체 시트의 두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재질이 선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저 굴절 박막층(300)은 투명하면서도 하부의 렌즈층(200)의 굴절률 변화를 크게 하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렌즈층(200)의 굴절률과 저 굴절 박막층의 굴절률 차이가 소정 범위, 예컨대 0.2 ~ 0.3 이상이어야 한다. 만약 0.2 ~ 0.3 이하가 되면 빛이 입사할 때 굴절률 변화가 크지 않아 초점 거리가 충분히 짧아지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시각의 거리도 멀어지게 되어 입체 영상이 왜곡되어 깨끗한 이미지를 관찰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저 굴절 박막층에서 저 굴절의 의미는 렌즈층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저 굴절률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저 굴절 박막층(300)으로는 아크릴레이트 계열의 액상 수지나, 에폭시, 우레탄, 실리콘과 같은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저 굴절 박막층(300)은 종래와 달리 증착 방법을 통해 렌즈층(200) 상으로 형성한다. 증착 방법은 재질에 따라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등 다양한 증착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입체 시트의 재질의 특성상, LTCVD(Low Temperature CVD)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겠다.
종래, 저 굴절 박막층(300)은 나이프 코팅, 롤코팅, 스프레이코팅, 딥코팅, 스퀴징 등과 같은 방법을 통해 형성되었고, 그에 따라 그 두께가 매우 두껍게 형성되었다. 예컨대, 일반적인 렌즈들의 깊이, 예컨대, 0.05mm보다 두껍게 도포 되었다. 한편, 저 굴절 박막층으로 렌즈층보다 0.24 정도 굴절률이 낮은 물질들이 주로 사용되는데, 그러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비용이 매우 비싸 두껍게 도포하는 경우에 비용이 많이 들며, 또한, 그 재질이 약하기 때문에 보호막으로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다.
본 실시예에서는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저 굴절 박막층(300)을 매우 얇게, 예컨대 수 ㎛ ~ 수백 ㎚ 정도로 매우 얇게 형성한다. 그에 따라, 저 굴절 물질의 고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증착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동일 두께로 렌 즈층(200) 상면으로 균일한 두께로 저 굴절 박막층(300)이 형성되기 때문에, 렌즈의 위치에 따른 굴절률 변동 등이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투명 수지층(400)은 하이-그로시 처리를 위해 저 굴절 박막층(300) 상으로 도포 되는데, 일반적으로 액상 투명 수지를 도포하고 UV(Ultraviolet) 광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형성된다. 또한, 공기층과의 접촉 면에서 굴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투명 수지층(400)의 상면은 평평해야 한다. 그에 따라, 액상 투명 수지 도포 후, 전체 입체 수지를 압출 장치 등에 통과시켜, 어느 정도 압착에 의해 상면이 평평해진 투명 수지를 UV 광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게 된다.
투명 수지층(400)은 상면만 평평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면 앞서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른 방법을 통해 저 굴절 박막층(300) 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투명 수지층(400)은 외부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표면 경도가 높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이-그로시 입체 수지는 저 굴절 박막층이 증착 방법을 통해 매우 얇게 도포 됨으로써, 저 굴절 물질의 고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로 형성되는 경도가 높은 투명 수지층에 의해 전체 입체 수지의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표면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입체 수지의 3D 영상 표현 기능을 오래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a ~ 2g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그로시 입체시트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먼저, 렌즈층에 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금형(500)을 준비 한다. 금형(500)은 내부로 오목하게 렌즈의 형상(C)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 금형(520)과 지지대로서 기능하는 하측 금형(510)을 포함한다. 만약, 렌즈층에 형성되는 렌즈가 오목 렌즈인 경우에는 상측 금형(520)에는 외부로 볼록하게 렌즈의 형상이 형성될 수다. 참고로, 이러한 렌즈 형상의 금형, 즉 상측 금형(520)에 렌즈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들 중 하나를 설명하면, 포토 레지스트(PR)를 기판에 도포하고 소정 간격으로 패터닝 한 후에 베이크(bake)시키면 PR이 표면 장력 등의 자체 특성에 의해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고 부풀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PR 형상을 상측 금형으로 전사시킴으로써, 상측 금형에 렌즈 형상을 만들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측 금형(520) 및 하측 금형(510) 사이에 렌즈층 형성을 위한 평판 형태의 투명 수지(200a)를 배치한다. 투명 수지(200a)의 재질은 도 1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굴절률 1.45 ~ 1.60 정도의 투명한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또한 형성되는 렌즈의 초점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두께의 투명 수지(200a)가 준비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수지(200a)로 PC 원단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PC 원단을 상측 금형(520) 및 하측 금형(510) 사이에 배치시킨 후에, 열성형 압착 공정을 진행하여, PC 원단의 상면에 렌즈들(220)을 형성한다.
도 2c는 금형(500)을 통해 열성형 공정을 통해 완성된 렌즈층(200)을 보여주고 있는데, 렌즈층(200)의 몸체부(210) 상부로 다수의 렌즈들(220)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렌즈층(200) 형성 후에, 렌즈들(220) 상면으로 증착 공정 을 이용하여 저 굴절 물질을 얇게, 예컨대 수 ㎛ ~ 수백 ㎚ 정도의 두께로 도포하여 저 굴절 박막층(300)을 형성한다. 저 굴절 박막층(300)은 렌즈층과의 굴절률 차이를 고려해야 적절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컨대, 렌즈층이 PC 인 경우에, PC의 굴절률이 1.58 ~1.59 정도이므로 이보다 0.24 정도 굴절률이 낮은, 즉 1.35 정도의 굴절률을 갖는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 굴절 물질을 증착하는 방법도 다양한 증착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수지의 특성상 LTCVD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e를 참조하면, 저 굴절 박막층(300) 상으로 하이-그로시 처리를 위한 투명 수지층(400)을 형성한다. 투명 수지층(400)은 액상 투명 수지를 저 굴절 박막층(300) 표면으로 도포한 후, 전체 입체 수지를 압출 장치 등에 통과시켜, 어느 정도 압착에 의해 상면이 평평해진 투명 수지를 UV 광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 수지층(400)은 표면 경도가 높은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입체 수지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표면 경도가 높은 재질로 투명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통한 스크레치 또는 파손 등을 방지하여, 입체 수지의 3D 영상 표현 기능을 오래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도 2f를 참조하면, 렌즈층(200) 하부면으로 입체 영상을 위한 입체 패턴(110)을 형성한다. 이러한 입체 패턴(110)은 입체 효과를 위해 각 렌즈들의 초점 거리 및 표현 형상을 고려하여 소정 간격 또는 규칙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입체 패턴(110)은 옵셋-인쇄나 식각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러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g를 참조하면, 입체 패턴(110)이 형성된 렌즈층(200) 하부면 전면으로 은폐 수지(120)가 형성된다. 은폐 수지(120)는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며, 입체 패턴(110)의 사이 사이를 메우게 된다. 한편, 도면상, 은폐 수지(120)와 입체 패턴(110)이 동일 두께로 형성되고 있지만, 은폐 수지(120)의 두께를 입체 패턴(110)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실크-스크린 방식을 언급하였지만, 그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은폐 수지(12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의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제조방법은 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렌즈들 상면으로 저 굴절 박막층을 매우 얇게 형성함으로써, 저 굴절 물질 사용에 대한 고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얇은 저 굴절 박막층 상으로 견고한 투명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표면 경도 약함에 따른 입체 시트의 내구성 취약성 문제를 극복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그로시 입체시트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a ~ 2g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이-그로시 입체시트의 제조 과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패턴 인쇄층 110: 입체 패턴
120: 은폐 수지 200a: 투명 수지
200: 렌즈층 210: 몸체부
220: 렌즈 300: 저 굴절 박막층
400: 투명 수지층 500: 금형
510: 하측 금형 520:상측 금형

Claims (11)

  1. 입체감을 주는 입체 패턴들이 형성된 패턴 인쇄층;
    상기 패턴 인쇄층 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다수의 볼록 또는 오목 렌즈들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층;
    상기 렌즈층 상부로 박막형태로 증착되고, 저 굴절률을 갖는 저 굴절 박막층; 및
    하이-그로시(high-glossy) 처리를 위해 상기 저 굴절 박막층 상부로 형성된 투명 수지층;을 포함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 굴절 박막층은 상기 렌즈층 상부로 동일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층의 상기 렌즈들과 동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은 상면이 평평(flat)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은 인쇄 수지 사이에 형성되되, 대응되는 상기 렌즈들의 초점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소정 규칙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5. 소정 굴절률을 갖는 렌즈층의 상부에 다수의 볼록 또는 오목 렌즈들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렌즈들 상으로 소정 부분에 저 굴절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저 굴절 박막층 상으로 하이-그로시 처리를 위해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층의 하부에 입체감을 주기 위한 입체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의 제조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렌즈들은 렌즈 형상의 금형을 이용하여, 열성형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의 제조방법.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저 굴절 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저 굴절 박막층은 증착 방법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의 제조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저 굴절 박막층은 상기 렌즈층 상부로 동일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렌즈층의 상기 렌즈들과 동일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의 제조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는 상면이 평평(flat)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렌즈들의 초점 위치에, 상기 입체감을 줄 수 있도록 소정 규칙을 가지고 상기 입체 패턴을 인쇄하며,
    상기 입체 패턴을 인쇄 후에 상기 입체 패턴 사이에 은폐 수지로 은폐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의 제조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패턴을 인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입체 패턴은 옵셋-인쇄(off-set printing) 방식으로 형성되며,
    상기 은폐 인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은폐 인쇄는 실크 스크린(silk-screen)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90109792A 2009-11-13 2009-11-13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101087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92A KR101087489B1 (ko) 2009-11-13 2009-11-13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792A KR101087489B1 (ko) 2009-11-13 2009-11-13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09A KR20110053009A (ko) 2011-05-19
KR101087489B1 true KR101087489B1 (ko) 2011-11-28

Family

ID=44362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792A KR101087489B1 (ko) 2009-11-13 2009-11-13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4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8944A1 (ko) * 2011-08-04 2013-02-07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상부에 렌즈와 하부로 패턴이 형성된 사출레진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101396402B1 (ko) * 2012-04-16 2014-05-19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438B1 (ko) 2006-12-29 2008-06-26 정현인 광속차를 이용한 인쇄용 평면렌즈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438B1 (ko) 2006-12-29 2008-06-26 정현인 광속차를 이용한 인쇄용 평면렌즈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09A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3870A1 (en) Micro-optic device with integrated focusing element and image element structure
AU2007211654C1 (en) Multilayer body with microlens arrangement
JP6201289B2 (ja)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KR101043770B1 (ko) 서로 다른 굴절률 표면을 구비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101371171B1 (ko) 입체효과 사출물을 위한 금형 가공 방법
KR20110094974A (ko) 사출레진 하부에 형성된 인쇄 패턴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101087489B1 (ko)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CN111511570B (zh) 有价文件
KR20180022269A (ko)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302956B2 (en) Stereoscopic sheet having variable perspective viewing angle and thin-layered stereoscopic sheet
KR101120865B1 (ko) 돌출부를 구비한 입체 렌즈 시트 및 그 입체 렌즈 시트의 제조방법
KR101236874B1 (ko) 렌티큘러 시트를 포함하는 입체 표현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051879B1 (ko) 미세패턴 금형, 그 금형을 이용한 입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67708B1 (ko) 상부에 렌즈와 하부로 패턴이 형성된 사출레진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CN108349178B (zh) 具有微米单位厚度的基于柱状透镜的安全图像薄膜制造方法
CN107993561B (zh) 立体防伪微透镜薄片
KR101035201B1 (ko) 표면 처리된 렌티큘러시트
KR101366660B1 (ko)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TW201805191A (zh) 立體造形物
RU2818676C1 (ru) Микрооптическое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слоями фазовосинхронизирован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KR101396402B1 (ko)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RU2661591C1 (ru) Способ декорирования и/или защиты полиграф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KR102090967B1 (ko) 필름시트 및 전사재
CN107973622B (zh) 带有色边的可呈现预设光泽盖板的制作方法
KR101051473B1 (ko) 렌티큘러 시트를 포함한 3d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영상표시 장치를 이용한 원형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