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402B1 -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402B1
KR101396402B1 KR1020120039292A KR20120039292A KR101396402B1 KR 101396402 B1 KR101396402 B1 KR 101396402B1 KR 1020120039292 A KR1020120039292 A KR 1020120039292A KR 20120039292 A KR20120039292 A KR 20120039292A KR 101396402 B1 KR101396402 B1 KR 101396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nses
lower pattern
injectio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683A (ko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Priority to KR102012003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40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29C45/0062Joined by injection moul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45/006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 B29C2045/0067Joining parts moulded in separate cavities interposing an insert between the parts to be assembled

Abstrac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금형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금형을 통해 상부 사출물 및 하부 사출물을 별로도 제작하여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입체효과 사출물을 제공한다. 그 입체효과 사출물은 상부 또는 하부 면에 복수 개의 렌즈들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상부 사출물; 및 상기 상부 사출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렌즈들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패턴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Injection product with steric effec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입체효과 사출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가 형성된 상부 사출물 및 렌즈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하부 패턴층을 구비한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원 평면상에 형성된 2차원 패턴 또는 영상들의 모습은 빛의 반사에 통해 인간의 눈에 2차원 형태로 그대로 입사되기 때문에 2차원적으로 인식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입체효과를 갖는 광학렌즈 구조(이하, '입체효과 사출물"이라 한다)를 이용하게 되면, 2차원적인 영상을 3차원(3D), 즉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입체효과 사출물을 이용하여 2차원 영상을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하는 원리는 사람의 눈이 가로방향으로 64mm 가량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에 기인한다. 여기서, 양안 시차란, 사람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동일한 위치의 영상이라도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들어오는 빛의 경로가 달라, 좌우 망막에 약간의 다른 상이 맺히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입체효과 사출물은 일반적으로 투명한 반구형의 렌즈들이 상면으로 형성되고 하면으로 미세 패턴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입체효과 사출물은 매우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두꺼운 외장 케이스 등에 접착되어 사용되거나 외장 케이스 자체에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입체효과 사출물의 두께는 렌즈의 초점 거리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매우 얇은 두께를 갖는 입체효과 사출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부로 형성되는 렌즈를 매우 작은 사이즈로 형성하여야 한다. 예컨대, 0.2㎜ 정도의 입체효과 사출물을 제작하려면, 렌즈의 사이즈, 즉 렌즈의 지름은 대략 0.02㎜ 정도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작은 사이즈의 렌즈를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려우며, 또한 하면으로 그러한 작은 렌즈에 맞은 패턴을 표현하는 공정도 매우 힘들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금형을 통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금형을 통해 상부 사출물 및 하부 사출물을 별로도 제작하여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입체효과 사출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부 또는 하부 면에 복수 개의 렌즈들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상부 사출물; 및 상기 상부 사출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렌즈들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패턴층;을 포함하는 입체효과 사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을 상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시키고, 상기 공기층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측면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 사이에 투명 수지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패턴층은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사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렌즈 상에 상기 렌즈보다 굴절률이 낮은 필름층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층 상에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상면에 복수 개의 렌즈가 형성된 상부 사출물 및 상면에 패턴이 형성된 하부 패턴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부 사출물 상에 상기 렌즈보다 굴절률이 낮은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 상에 보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들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패턴이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효과 사출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상부 사출물 및 하부 패턴층을 측면에서 지지하고,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 사이에 공기층이 유지되도록 하는 측면 지지대를 통해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을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은 기 설정된 두께를 갖는 투명 수지 접착층을 통해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은, 렌즈들이 형성된 상부 사출물 및 렌즈들에 대응되는 패턴들이 형성된 하부 패턴층이 별도로 형성되고,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결합되거나 또는 투명 접착제를 통해 결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입체효과 사출물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사출물뿐만 아니라 하부 패턴층도 사출 성형을 통한 사출물로 형성하고 서로 결합함으로써, 좀더 용이하게 입체효과 사출물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은, 상부 사출물 및 하부 패턴층이 서로 별개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입체효과 사출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상부에 존재한다고 기술될 때, 이는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에 존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제3의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한편,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100)은 상부 사출물(110), 하부 패턴층(120), 저굴절 필름층(112), 하드 코팅층(114) 및 측면 지지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사출물(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렌즈들(L)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들(L)은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들(L)은 상부 사출물(110)의 일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사출 공정 시에 렌즈와 반대 굴곡을 갖는 금형을 이용하여 열성형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렌즈들(L)은 대면적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입체효과 사출물(100)의 두께는 패턴(P)이 형성된 하부 패턴층(120)이 어느 위치로 배치되느냐에 따라 좌우될 수 있고, 또한 패턴(P)의 위치는 상부 사출물(110)에 형성된 렌즈들의 초점 거리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사출물(110)로부터 하부 패턴층(120)의 이격 거리(L1)를 크게 함으로써, 상부 사출물(110)에 형성되는 렌즈들(L)의 사이즈를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에서, 렌즈들(L)의 폭(W1)은 0.1㎜일 수 있고, 렌즈들의 피치(P1)는 0.11㎜일 수 있으며, 이격 거리(L1)는 1mm 정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에 형성되는 렌즈들(L)의 사이즈 및 이격 거리(L1)가 상기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렌즈들(L)의 폭(W1) 및 피치(P1)는 상기 수치들보다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L1)도 상기 수치보다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에서, 상부 사출물(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금형을 이용한 사출 공정을 통해 형성되게 되는데, 상부 사출물(110)의 상면에 대면적의 렌즈가 형성되므로, 상부 사출물(110) 제작에 이용되는 금형의 구현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그에 따라 상부 사출물(110)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 즉, 금형에 상기 대면적의 렌즈에 대응하는 패턴을 비교적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그러한 금형을 이용하여 상부 사출물(110)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렌즈들(L)은 사출 공정을 통해 상부 사출물(110) 상면에 형성되므로, 렌즈들(L)은 상부 사출물(110)과 일체로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들(L)을 통해 입사된 빛들은 상부 사출물(110) 전체를 투과하여 하부의 패턴들(P)에까지 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부 사출물(110)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투명한 특성을 위해 상부 사출물(110)은 비결정성 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부 사출물(110)은 비결정성 수지인 투명한 ABS, GPPS, SAN(AS), PMMA, PC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사출물(110)은 핸드폰 케이스, 화장품 용기, 간판, 인테리어 소품 등에서 외곽 표면 부분을 구성하기 때문에, 변형이 없고 견고하여야 하며, 내마모성이나 내화학성이 뛰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초점 거리는 렌즈들의 곡률뿐만 아니라 렌즈를 구성하는 재질의 굴절률에 의해서도 좌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상부 사출물(110)을 제조할 때, 형성되는 렌즈들의 곡률, 상부 사출물(110)의 굴절률,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른 이격 거리(L1), 및 하부 패턴층(120)에 형성되는 패턴들(P)의 위치 등이 적절히 고려될 수 있다.
하부 패턴층(120)은 상부 사출물(110)로부터 소정 이격 거리(L1)을 가지고 배치되며, 상면에 다수의 패턴들(P)이 형성될 수 있다. 패턴들(P)은 상부 사출물(110)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렌즈들(L)의 초점 거리에 맞춰 형성되고, 적절한 입체 형상이 보여질 수 있도록 소정 규칙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패턴층(120)은 상부 사출물(110)과 유사하게 금형을 통한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 패턴층(120)은 패턴(P)에 반대되는 굴곡의 패턴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 사출물일 수 있다. 상부 사출물(110)뿐만 아니라 하부 패턴층(120)까지 금형을 통한 사출물로 형성됨으로써, 최종적인 입체효과 사출물(100)의 구현이 좀더 용이할 수 있다. 즉,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이 금형을 통해 각각 대량으로 양산되고, 그러한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이 적절한 간격을 두고 결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입체효과 사출물(100)이 제작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다양한 구조의 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의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이 형성되고, 다양한 조합으로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이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이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의 결합시, 렌즈들의 초점 거리에 맞춰 패턴들이 배치되고, 또한 패턴들은 입체 형상 구현을 위해 소정 패턴 규칙을 가지고 형성됨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하부 패턴층(120)은 사출 성형이 아닌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지 상에 옵셋 인쇄(offset-printing) 방법을 통해 패턴들(P)이 형성됨으로써, 하부 패턴층(120)이 제조될 수 있다. 즉, 구현하고자 하는 형상 및 렌즈들(L)의 초점 위치에 따라 도안을 디자인하고, 그 도안을 기초로 인쇄를 위한 판, 즉 소부를 만들어 그 소부를 통해 하부 패턴층(120) 상면에 패턴을 인쇄하게 된다. 한편, 패턴들(P)은 식각(etching)을 통한 방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패턴들(P) 형성 방법에 대해 옵셋 인쇄와 식각 방법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들을 통해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렌즈들(L) 상면에는 저굴절 필름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굴절 필름층(112)은 투명하면서도 하부의 렌즈들(L)의 굴절률 변화를 크게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저굴절 필름층(112)에서 저굴절의 의미는 렌즈들과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저굴절률을 갖는다는 의미이다.
저굴절 필름층(112) 상부에는 입체효과 사출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드 코팅층(114)이 형성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114)은 스프레이 작업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의 보호 필름을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드 코팅층(114)이 그러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하드 코팅층(114)은 입체효과 시트 보호의 기능 수행을 위해 높은 표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저굴절 필름층(112) 및 하드 코팅층(114)은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측면 지지대(140)는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이 소정 이격 거리(L1)를 가지고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지지대(140)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입체효과 사출물(100)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므로, 변형이 없고 견고한 재질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 사이에는 공기층(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 사이에는 유형의 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빈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 사이의 공기층(S)은 측면 지지대(1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은 측면 지지대(140)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거나, 또는 끼움 결합 방식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상부 사출물(110) 및 하부 패턴층(120)이 측면 지지대(140)에 결합하는 방식이 상기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패턴들(P)을 소정 규칙을 가지고 렌즈들(L)의 초점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사람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기 때문에 양안 시차가 발생하고, 이러한 양안 시차의 미세한 차를 뇌가 적절히 해석하여 입체(공간)를 느끼게 된다. 양안 시차에 따른 입체 인식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렌즈들의 초점 위치 및 그에 따른 패턴들의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즉, 사람의 양안 시차 특성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패턴들 전면으로 하나의 좌, 우 간격에 대응하는 렌즈들이 형성되고, 형성된 렌즈들을 통해 좌 및 우 각각의 눈에 서로 다른 좌우 패턴만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입체감이 느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부 사출물(110) 상면에 다수의 반구형 렌즈들(L)을 형성하고, 렌즈들(L)의 초점 거리의 있는 하부 패턴층(120)의 상면에 주기적으로 일정한 패턴들(P)을 형성하되, 패턴의 주기 간격과 반구형 렌즈들의 간격을 적절히 일치시키면,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은 각각 다른 패턴을 인식하게 되고, 그에 따라 뇌는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서 인식된 영상을 적절히 결합하여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은, 렌즈들이 형성된 상부 사출물 및 렌즈들에 대응되는 패턴들이 형성된 하부 패턴층이 별도로 형성되고,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이 공기층을 사이에 두고 측면 지지대를 통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입체효과 사출물을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사출물뿐만 아니라 하부 패턴층도 사출 성형을 통한 사출물로 형성함으로써, 입체효과 사출물 구현을 좀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부 사출물 및 하부 패턴층이 서로 별개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되고 서로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입체효과 사출물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들에 대하여 기술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 부분에서 이미 설명한 내용은 간략하게 기술하거나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사출물(100a)은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과 유사하나, 상부 사출물(110a) 및 하부 패턴층(120a)의 구조가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과 다를 수 있다. 즉, 상부 사출물(110a)의 하면으로 렌즈들(L')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렌즈들(L') 상에 저굴절 필름층(11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사출물(110a) 상면으로 하드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부 사출물(110a) 보호를 위해 상부 사출물(110a) 상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저굴절 필름층(112)이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 패턴층(120a) 상면에 형성된 패턴들(P')은,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의 패턴들(P)와는 달리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사출물(100a)에서, 뾰족하게 돌출된 구조의 패턴들(P')이 예시되었지만, 패턴들의 구조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하부 패턴층(120a) 상면의 패턴들은 요구되는 입체 형상에 따라 하부 또는 하부로 굴곡을 갖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굴곡을 가지지 않고 주변과 색깔로 구별되는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패턴들의 구조나 형태는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부 사출물(110a) 및 하부 패턴층(120a) 역시 측면 지지대(140)를 통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이에 공기층(S)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층(S)은 측면 지지대(14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사출물(100b)은 도 1 또는 도 2의 입체효과 사출물(100, 100a)과는 구조적으로 다르다. 즉,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사출물(100b)은 측면 지지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부 사출물(110)과 하부 패턴층(120)은 투명 수지 접착층(13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즉, 투명 수지 접착층(130)은 전체 입체효과 사출물(100b)의 구조를 지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 접착층(130)은 투명한 재질의 수지로 형성되어 상부 사출물(110)의 렌즈들(L)로 입사된 빛들이 하부 패턴층(120)의 패턴들(P)로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투명 수지 접착층(130)이 전체 입체효과 사출물(100b)의 구조를 지지하므로, 변형이 없고 견고한 재질의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수지 접착층(130)의 존재로 인해 측면 지지대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측면 지지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투명 수지 접착층(130)의 두께(L1)는 렌즈들(L)을 초점 거리가 패턴들(P)에 도달하도록 하는 두께가 돼야 함은 물론이다.
상부 사출물(110)의 렌즈들(L) 상부에 저굴절 필름층(112) 및 하드 코팅층(114)이 형성됨은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에서와 같다. 또한, 저굴절 필름층(112) 및 하드 코팅층(114)은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효과 사출물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입체효과 사출물(100c)은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과 유사하나, 하부 패턴층(120)의 패턴들(P")이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과 다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사출물(100c)에서, 패턴들(P")은 하부 패턴층(120)과 별도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차이를 강조하기 위하여, 도 1과 달리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사출물(100c)의 패턴들(P")은 해칭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입체효과 사출물(100c)의 패턴들(P")은 사출성형을 통해 하부 패턴층(120)이 형성된 후, 패턴들에 해당되는 부분을 다른 재질의 수지로 채움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패턴층(120)은 사출성형이 아닌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 상부 사출물(110)과 하부 패턴층(120)이 측면 지지대(140)를 통해 이격 배치되고,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됨은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a 내지 5c는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사출 성형을 통해 상부 사출물(110)과 하부 패턴층(120)을 각각 제조한다. 상부 사출물(110)은 렌즈들(L)에 대응하는 오목한 금형 패턴이 형성된 금형(미도시)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고, 하부 패턴층(120)은 패턴들(P)에 대응하는 볼록한 금형 패턴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하부 패턴층(120)은 사출 성형이 아닌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수지 상에 옵셋 인쇄 방법을 통해 패턴들(P)을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사출물(110)과 하부 패턴층(120)은 동시가 아닌 각각 다른 시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하부 패턴층(120)은 상부 사출물(110)과의 결합시까지만 형성되면 된다. 따라서, 하부 패턴층(120)은 도 5b에서 상부 사출물(110)의 렌즈들(L) 상에 저굴절 필름층(112) 및 하드 코팅층(114)이 형성된 후에 제조될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부 사출물(110)의 렌즈들(L) 상에 저굴절 필름층(112) 및 하드 코팅층(114)이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저굴절 필름층(112)은 투명하면서도 하부의 렌즈들(L)의 굴절률 변화를 크게 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하드 코팅층(114)은 입체효과 사출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높은 표면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저굴절 필름층(112) 및/또는 하드 코팅층(114)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부 사출물(110)의 렌즈들(L) 상에 저굴절 필름층(112) 및 하드 코팅층(114) 형성 후, 상부 사출물(110)과 하부 패턴층(120)을 측면 지지대(140)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상부 사출물(110)과 하부 패턴층(120)은 측면 지지대에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거나, 끼움 방식을 통해 부착됨으로써, 상부 사출물(110)과 하부 패턴층(120)은 사이에 공기층(S)을 유지시키면서 측면 지지대(140)를 매개체로 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입체효과 사출물(100)을 제조하였지만, 투명 수지 접착층을 이용하여 상부 사출물(110)과 하부 패턴층(120)을 결합시킴으로써, 도 3의 입체효과 사출물(100b)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00a, 100b, 100c: 입체효과 사출물, 110: 상부 사출물, 120: 하부 패턴층, 112: 저굴절 필름층, 114: 하드 코팅층, 130: 투명 수지 접착층

Claims (9)

  1. 상부 또는 하부 면에 복수 개의 렌즈들이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상부 사출물; 및
    상기 상부 사출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렌즈들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패턴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 상에 상기 렌즈보다 굴절률이 낮은 필름층이 형성되고,
    상기 필름층 상에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 사출물.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을 상기 설정된 거리로 이격시키고, 상기 공기층을 외부와 차단시키는 측면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 사출물.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패턴층은 사출 성형을 통해 형성된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 사출물.
  6. 삭제
  7. 사출 성형을 통해 상면에 복수 개의 렌즈가 형성된 상부 사출물 및 상면에 패턴이 형성된 하부 패턴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상부 사출물 상에 상기 렌즈보다 굴절률이 낮은 필름층 및 상기 필름층 상에 보호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렌즈들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는 부분들에 패턴이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상부 사출물 및 하부 패턴층을 측면에서 지지하고,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 사이에 공기층이 유지되도록 하는 측면 지지대를 통해 상기 상부 사출물과 하부 패턴층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효과 사출물 제조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20039292A 2012-04-16 2012-04-16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6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292A KR101396402B1 (ko) 2012-04-16 2012-04-16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292A KR101396402B1 (ko) 2012-04-16 2012-04-16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683A KR20130116683A (ko) 2013-10-24
KR101396402B1 true KR101396402B1 (ko) 2014-05-19

Family

ID=49635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292A KR101396402B1 (ko) 2012-04-16 2012-04-16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4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79B2 (ja) * 1991-09-17 1996-01-31 登 浅田 金属彫刻様鋳出し外観を有する小形装飾部材の製造方法
JPH10250299A (ja) * 1997-03-13 1998-09-2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装飾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53009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20130065960A (ko) * 2011-12-12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79B2 (ja) * 1991-09-17 1996-01-31 登 浅田 金属彫刻様鋳出し外観を有する小形装飾部材の製造方法
JPH10250299A (ja) * 1997-03-13 1998-09-2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装飾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53009A (ko) *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20130065960A (ko) * 2011-12-12 201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683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3339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
KR102297488B1 (ko) 라이트 필드 카메라
CN105723439B (zh) 利用多个纳米结构及立体透镜的真品确认用标签
CN106104661B (zh) 标志器
US10007122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substrate,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101032170B1 (ko) 마이크로 렌즈 겸용 렌티큘러 렌즈 시트
CN106794646B (zh) 制造透镜结构的方法
CA2862791A1 (en) Injection-molded product having three-dimensional security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371171B1 (ko) 입체효과 사출물을 위한 금형 가공 방법
KR101167709B1 (ko) 사출레진 하부에 형성된 인쇄 패턴층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101043770B1 (ko) 서로 다른 굴절률 표면을 구비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101743000B1 (ko) 변동투시화각 입체시트
CN202066985U (zh) 高精密度的光栅片材
KR101396402B1 (ko) 입체효과 사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105704A (ko) 입체영상시트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36874B1 (ko) 렌티큘러 시트를 포함하는 입체 표현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167708B1 (ko) 상부에 렌즈와 하부로 패턴이 형성된 사출레진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KR101120865B1 (ko) 돌출부를 구비한 입체 렌즈 시트 및 그 입체 렌즈 시트의 제조방법
US20150338657A1 (en) Display device
KR101087489B1 (ko)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KR102262538B1 (ko)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KR101366660B1 (ko) 부분적으로 입체 패턴이 형성된 시트
KR101164229B1 (ko) 모아레 패턴 형상을 갖는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336344B1 (ko)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평면 입체 필름
KR101035201B1 (ko) 표면 처리된 렌티큘러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