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538B1 -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538B1
KR102262538B1 KR1020200101098A KR20200101098A KR102262538B1 KR 102262538 B1 KR102262538 B1 KR 102262538B1 KR 1020200101098 A KR1020200101098 A KR 1020200101098A KR 20200101098 A KR20200101098 A KR 20200101098A KR 102262538 B1 KR102262538 B1 KR 102262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ns
image
mold
lens ar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환
Original Assignee
이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환 filed Critical 이상환
Priority to KR102020010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3/0031Replication or moulding, e.g. hot embossing, UV-casting, 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입체영상필름은, 광투과성을 갖는 기재층, 기재층의 일 면에 적층되는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 렌즈 어레이의 굴절된 렌즈면에 증착되어 복수의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 및 표면증착층에서 이격되어 기재층의 일 면 및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Stereoscopic imaging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reoscopic imaging film}
본 발명은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체영상을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입체영상필름과, 그러한 입체영상필름을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생활에서 광학기술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것으로 렌즈를 들 수 있다. 렌즈는 오래 전에 유리 등을 재질로 하여 만들어지기 시작했지만, 요즘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이나 카메라 등 여러 광학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공기술의 발달에 따라 렌즈의 크기, 형상, 구조 등도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한 가공기술에 힘입어 다수의 렌즈를 플라스틱 시트나 수지 등의 표면에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간단히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사용 중이다. 이를 테면,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등으로 불리는 미세렌즈의 배열방식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장치 없이도 간단한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된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10-2130138 등에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체영상의 구현방식은 렌즈를 통과한 광선이 맺는 상의 양안시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이 맺는 거리, 렌즈의 규격, 렌즈의 배열상태 등에 따라 그림 픽셀 등을 정확한 위치에 정밀하게 배치하는 기술이 함께 요구된다. 따라서 그로 인해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필름, 시트 등의 제품생산이 어렵고, 불량률도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또한 같은 이유로 제품을 다변화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한정된 분야에만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제품의 제작공정도 까다로워 제품과 생산방식을 포함하는 제반 기술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2130138호, (2020. 07. 03), 명세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체영상을 보다 효과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입체영상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그러한 입체영상필름을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필름은, 광투과성을 갖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 면에 적층되는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 상기 렌즈 어레이의 굴절된 렌즈면에 증착되어 복수의 상기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 및 상기 표면증착층에서 이격되어 상기 기재층의 일 면 및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체영상필름은,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과 상기 표면증착층 사이에 광투과성을 갖는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체영상필름은, 상기 필름층과 상기 표면증착층 사이에 개재되며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타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측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패턴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및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층은, 상기 표면증착층 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을 포함하는 입체배경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체배경이미지층의 외면에 상기 인쇄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레이를 이루는 복수의 렌즈들은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광반사체는 상기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각각의 상기 렌즈면에 증착되어 상기 렌즈면을 양면 거울면으로 바꿀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은, (a)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의 몰드가 음각된 렌즈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몰드에 원료를 주입하여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고, 기재층의 일 면을 상기 렌즈 어레이와 밀착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렌즈 어레이와 접합된 상기 기재층을 렌즈금형에서 분리하고, 노출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면에 광반사체를 증착시켜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재층의 일 면 및 반대편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이미지층을 중첩시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금형은 상기 몰드가 외주면에 형성된 그라비어 롤(gravure roll)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은 필름층에 적층하여 형성하며, 상기 필름층은, 광투과성을 가지며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과 상기 표면증착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표면증착층과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을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필름층은, 상기 필름층과 상기 표면증착층의 사이에 개재되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이미지패턴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및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은,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상기 인쇄이미지를 상기 필름층 위에 한꺼번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타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측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이미지패턴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및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측 이미지층은,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상기 인쇄이미지를 상기 기재층 위에 한꺼번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이미지패턴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및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층을 상기 표면증착층 측으로 배치하고, 상기 입체배경이미지층의 외면에 상기 인쇄이미지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의 렌즈금형은, (a1) 금형판을 준비하는 단계, (a2) 상기 금형판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a3) 상기 도금층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식각제어마커를 형성하는 단계, 및 (a4) 상기 도금층의 외면에 식각액을 분사하여 음각된 상기 몰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금형제조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a4) 단계는, 상기 식각제어마커를 유지하면서 상기 식각제어마커와 상기 도금층 사이의 식각속도 차이에 따라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조절하는 제1식각단계, 상기 제1식각단계 종료 후 세척을 통해 남은 상기 식각제어마커를 제거하는 중간세척단계, 및 상기 중간세척단계 종료 후 상기 식각제어마커 없이 상기 도금층을 재식각하여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재조정하는 제2식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식각단계는, 식각시간에 따라 식각 너비와 깊이 사이의 비가 일정해지는 선형식각구간에 도달되기 이전에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제2식각단계는,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폭을 유지하면서 렌즈면의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금형제조법은, 상기 (a4) 단계 이후에, 상기 도금층의 표면을 연마하여 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입체감을 주는 입체영상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그러한 입체영상을 만들어 내는 필름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영상필름으로 예를 들어 입체영상의 생성위치, 영상의 내용 등을 다양하게, 효과적으로 편리하게 바꾸어 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을 여러 분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고 종래 적용분야 내에서도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서 이러한 입체영상필름을 매우 편리하고 원활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품 생산 면에서도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종래의 입체영상 제품 대비 불량률을 크게 낮추면서 보다 효과적인 입체영상을 제공하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영상필름의 형태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입체영상필름 중 양면 이미지층을 가지는 입체영상필름을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체영상필름을 단면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입체영상필름의 이미지 생성방식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입체영상필름의 렌즈어레이의 배열방식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조방법 중 렌즈금형의 준비를 위한 렌즈금형의 제조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제조법을 특정 규격의 렌즈 몰드를 갖는 렌즈금형의 제작에 적용하여 그 주요과정을 보다 세분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입체영상필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이를 바탕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영상필름의 형태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입체영상필름 중 양면 이미지층을 가지는 입체영상필름을 예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입체영상필름을 단면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며, 도 4는 도 1의 입체영상필름의 이미지 생성방식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입체영상필름의 렌즈어레이의 배열방식을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필름(1a, 1a-1, 1a-2, 1b, 1b-1, 1b-2)은 내부에 복수의 오목 및/또는 볼록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와, 렌즈 어레이(110)의 표면에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111)을 포함한다. 광학이미지는 표면증착층(111)에서 광경로를 바꾸어 반사되는 반사광에 의해 생성되며(도 4참조) 이러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이 형성된 이미지층은 필름의 최외곽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기초하여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입체영상필름(1a, 1a-1, 1a-2, 1b, 1b-1, 1b-2)을 형성할 수 있고 이로부터 필름 내 렌즈배열과 형상 및 그에 따른 반사면의 변화가 반영된 다양한 입체영상을 필름의 원하는 면에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특히,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층을 필름의 최외곽에 배치함으로써, 필름 외측에서 간단한 인쇄방식 등으로도 원하는 형태의 이미지층을 손쉽게 구현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필름의 한 면만이 아닌, 양면 모두를 활용하여 필름의 양면에서 동시에 입체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필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다채로운 전시효과로 사용자의 만족도도 크게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입체영상필름(1a, 1a-1, 1a-2, 1b, 1b-1, 1b-2)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입체영상필름은, 광투과성을 갖는 기재층(100), 기재층(100)의 일 면에 적층되는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 렌즈 어레이(110)의 굴절된 렌즈면에 증착되어 복수의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111), 및 표면증착층(111)에서 이격되어 기재층(100)의 일 면 및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이미지층[렌즈측 이미지층(301)과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포함하는 의미이다]을 포함하고,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도 2의 311참조)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지층은 기재층(100)의 일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층(100)의 타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포함할 수 있으며[도 1 및 도 3의 (a) 및 (d)참조], 또한 그에 한정되지 않고 렌즈측 이미지층(301)만을 포함하거나[도 1 및 도 3의 (b) 및 (e)참조], 기재측 이미지층(302)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도 1 및 도 3의 (c) 및 (f)참조]. 또한, 렌즈 어레이(110)를 이루는 복수의 렌즈(110a)들은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표면증착층(111)을 이루는 광반사체는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각각의 렌즈면에 증착되어 렌즈면을 양면 거울면으로 바꿀 수 있는 특징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체영상필름(1a-1, 1a-2, 1b, 1b-1, 1b-2)은 모두 필름의 내부에 렌즈 어레이(110) 및 표면증착층(111)이 배치되고, 필름의 최외곽에 이미지층이 배치된 구조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조적 특성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나타나는 구현형태의 다양성도 함께 드러내기 위해 복수 변형례들을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효과 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도 3의 (a) 및 (d)와 도 2를 참조하여 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측 이미지층(302)이 모두 형성된 구조를 설명하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다른 변형례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3의 (a) 및 (d)와 도 2를 참조하면, 입체영상필름(1a, 1b)은 광투과성을 갖는 기재층(100)을 포함한다. 기재층(100)은 광투과성을 갖는 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지는 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U(polyuretha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기재층(100)은 특정 재질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광투과성을 갖는 한도 내에서 또 다른 여러 물질들을 활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기재층(100)은 렌즈 어레이(110)와 밀착되어 렌즈 어레이(110)의 배열을 유지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110)에 형성된 표면증착층(111)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통과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110)는 기재층(100)의 일 면에 적층된다. 렌즈 어레이(110)는 복수의 렌즈(110a)들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렌즈(110a)들은 기재층(100)과 밀착된 면의 반대편 면이 곡면 형상으로 굴절되어 굴절된 렌즈면[표면증착층(111)이 형성된 렌즈(110a)의 곡면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을 형성한다. 렌즈 어레이(110)를 이루는 복수의 렌즈(110a)들은 볼록렌즈[도 1 및 도 3의 (a)참조] 및 오목렌즈[도 1 및 도 3의 (d)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이 기재층(100) 상에 규칙성 있게 배열되어 렌즈 어레이(110)를 형성할 수 있다. 잠시 도 5를 참조하여 렌즈 어레이(110)의 배열형태를 설명하면, 렌즈 어레이(110)는 기재층(100) 전체의 공간을 다양한 방식으로 분할하고 구획하도록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의 (a), (b), (f)와 같이 원형의 렌즈들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하도록 밀접시켜 다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도 5의 (c) 및 (h)와 같이 사각형상의 렌즈들을 꼭지점들이 서로 인접하게 마름모 또는 방형으로 배열하여 다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g)와 같이 또 다른 다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렌즈들을 인접하게 배치하여 또 다른 배열로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도 5의 (d) 및 (i)와 같이 기재층(100)에 대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형 렌즈 등을 나열하여 역시 다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의 (e) 및 (j)와 같이 곡선형으로 연장되는 이를 테면, 곡선연장형 렌즈 등을 배열하여 다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렌즈의 배열은 예를 들면, 도 5의 (e)와 같이 중앙의 원형 렌즈 둘레를 둘러싸는 동심원 상의 배열 등도 가능하며, 도 5의 (j)와 같이 곡선의 굴절방향이 반전되는 물결무늬 형상이 반복된 배열 등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러한 렌즈 어레이(110)의 배열방식은 도시된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그 밖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들은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각 렌즈의 형상과 규격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렌즈의 규격이나 간격, 전체개수 등을 변경시켜 입체영상의 효과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렌즈 어레이(110)들은 광선을 통과시키는 대신, 표면에 형성된 표면증착층(111)이 형성하는 거울면으로 반사시켜 광경로를 바꾸는 방식으로 이미지를 생성하므로 그러한 한도 내에서 보다 자유롭고 새로운 방식으로 다양하게 렌즈 어레이(110)의 배열을 바꾸어 줄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의 (a) 및 (d)를 참조하면, 렌즈 어레이(110)는 이와 같이 다양한 배열을 갖는 볼록렌즈 및/또는 오목렌즈들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1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렌즈(110a)들은 단면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태의 볼록렌즈 및/또는 오목렌즈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3의 (a)와 같이 볼록렌즈만으로 구성되거나, 도 1 및 도 3의 (b)와 같이 오목렌즈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조합하여 렌즈 어레이(110)를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면이 볼록하거나 오목한 렌즈(110a)들은 평면으로 볼 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둘레가 원형이거나, 다각형일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기둥형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렌즈(110a)들을 복수로 배열하여 입체영상필름(1a, 1b)의 내부에 미세한 렌즈(110a)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를 형성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110)는 예를 들어 기재층(100)을 이루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 등을 포함하여 형성되거나 또는 그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어레이(110)는 광투과성을 갖는 다양한 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표면증착층(111)은 렌즈 어레이(110)의 굴절된 렌즈면에 증착되어 형성되며, 렌즈 어레이(110)의 복수의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로 이루어진다. 즉 표면증착층(111)은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각 렌즈(110a)들의 표면에 광반사체를 증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110a) 표면의 굴절된 렌즈면을 굴절된 거울면으로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렌즈(110a)가 볼록렌즈로 형성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렌즈(110a) 표면의 볼록한 렌즈면에 표면증착층(111)을 형성하고, 렌즈 어레이(110)의 렌즈면들을 예를 들어 도면 상에서 위로 볼록한 거울면으로 바꾸어 줄 수 있다. 이러한 표면증착층(111)은 도 3의 (d) 등과 같이 렌즈(110a)가 오목렌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렌즈면들을 예를 들어 도면 상에서 위로 오목한 거울면으로 바꿀 수 있다. 즉 표면증착층(111)은 렌즈(110a) 형상에 따라 그 렌즈면을 대응하는 형상의 거울면으로 바꿀 수 있다. 특히, 표면증착층(111)은 그 전체가 광반사체로 이루어지며 렌즈 어레이(110)를 구성하는 렌즈(110a)는 내부로 광투과가 가능하므로, 표면증착층(111)은 렌즈(110a)를 통과하거나 렌즈(110a)를 통과하지 않고 양면으로 입사된 입사광을 모두 반사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110)를 이루는 복수의 렌즈(110a)들은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표면증착층(111)을 이루는 광반사체는 이러한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각각의 렌즈면에 증착되어 렌즈면을 양면 거울면으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표면증착층(111)으로도 매우 효과적으로, 필름의 양면으로 반사되어 나타나는 광학이미지들을 생성시킬 수 있다. 표면증착층(111)을 이루는 광반사체는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면, 알루미늄, 인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지층[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측 이미지층(302)]은 이러한 표면증착층(111)에서 이격되어 기재층(100)의 일 면 및 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된다. 특히, 도 1 및 도 3의 (a), (b)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이미지층은 기재층(100)의 일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층(100)의 타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측 이미지층(301)과 기재측 이미지층(302)은 표면증착층(111)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로도 구분될 수 있으나, 위치에 따른 구체적인 구현방식으로도 구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렌즈측 이미지층(301)과 표면증착층(111) 사이에는 광투과성을 갖는 필름층(200)이 배치될 수 있고, 필름층(200)과 표면증착층(111) 사이에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210)이 개재될 수 있다. 반면, 기재측 이미지층(302)은 기재층(100)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측 이미지층(301)은 필름층(200)에 의해 표면증착층(111)과 이격될 수 있으며 접착제층(210)으로 필름층(200)과 표면증착층(111)을 밀접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필름층(200)과 기재층(100)이 각각 렌즈측 이미지층(301)과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표면증착층(111)으로부터 이격시킨 구조가 구현된다. 이를 통해 각 이미지층과 표면증착층(111) 사이에 광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간격을 만들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반사광을 이용한 광학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름층(200)은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U(polyurethan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층(210)은 예를 들어, 필름층(200)과 표면증착층(111)을 접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지를 재질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층(210)은 광투과성을 가지며 필름층(200)과 표면증착층(111)을 접착시킬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이미지층[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측 이미지층(302)]은 이미지패턴(도 2의 311참조)을 포함하며 이미지패턴(311)은 표면증착층(111)에 의해 만들어진 전술한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면증착층(111)에 의해 생긴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투광부는 각 이미지층[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측 이미지층(302)]의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미지층이 광투과성 필름 등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내부 및/또는 표면 등을 포함하는 전체가 투광부가 될 수 있다. 이미지패턴(311)은 이러한 투광부 상에 불투명한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면증착층(111)에서 반사되며 반사광에 의한 이미지를 생성시킨다. 이미지패턴(311)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이미지층이 기재층(10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도시된 것처럼 실질적으로 필름 최외곽에 위치하는 이미지층이 위치하는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면 필름 외측으로부터 인쇄 등의 방식으로 매우 간편하게 형성해 줄 수도 있다. 또는 그러한 구조적 특성을 활용하여 인쇄작업이 된 시트나 별도의 부착물 등을 필름 외측으로부터 부착하는 등의 방식으로도 매우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이미지패턴(311)이나 이미지패턴(311)이 포함된 이미지층을 형성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패턴(311)은 도 2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 및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311b)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이미지층[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측 이미지층(302)]은 표면증착층(111) 측에 배치되며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을 포함하는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포함할 수 있고,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외면에 인쇄이미지(311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미지패턴(311)을 일정한 패턴을 갖는 패턴부와, 자유롭게 인쇄하여 형성하는 인쇄이미지(311b)를 복합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맞은 맞춤형 이미지패턴(311)을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해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체배경이미지층(310) 전체가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져 투광부로 기능할 수 있고, 입체배경이미지층(310) 내부 또는 표면에 불투명하게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 및 입체배경이미지층(310) 외면에 인쇄된 인쇄이미지(311b)들이 이러한 투광부의 내부 및/또는 표면 등에 포함된 이미지패턴(31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이미지층은 예를 들어, 필름층(200) 또는 기재층(100) 외면에 인쇄방식으로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인쇄이미지(311b)를 한꺼번에 형성해 줄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에는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인쇄이미지(311b)가 인쇄되는 투명한 외면이 투광부로 기능하고 그러한 투광부 내 인쇄된 이미지패턴(311)들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그 밖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방식으로 필름 외면에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다양한 이미지패턴(311)이 포함된 이미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입체영상필름(1a, 1b)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도 4의 (a)와 같이 필름의 양면으로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렌즈 어레이(110)가 볼록렌즈로 형성된 입체영상필름(1a)의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면, 도 4의 상면 및 하면 모두에서 표면증착층(111)에서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가 사용자의 시야에 보일 수 있다. 이러한 광학이미지는 각각 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측 이미지층(302)에서 표면증착층(111)의 양면으로 각각 반사되어 나타난 이미지일 수 있으며 반사광에 의해 생성된 허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도 4의 상면에서, 렌즈측 이미지층(301)의 이미지패턴(도 2의 311참조)으로부터 나온 빛이 필름층(200)과 접착제층(210)을 지나 표면증착층(111)의 상면에서 반사되어 시야에 도달되면 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하면에서는, 기재측 이미지층(302)에 형성된 이미지패턴으로부터 나온 빛이 기재층(100)을 지나 표면증착층(111)의 하면에서 반사되어 시야에 도달되면 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사광들은 예를 들어, 각 이미지층의 이미지패턴 사이의 투명한 부분(전술한 투광부의 일부분일 수 있다)을 통해 시야에 도달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 생성되는 광학이미지는 예를 들어, 렌즈면을 따라 형성된 표면증착층(111)이 형성하는 굴절된 거울면에 의해 만들어진 광경로의 차이, 그에 따라 서로 이격된 사용자의 양안에서 인식되는 이미지의 차이,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등이 만들어내는 착시효과와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학적 효과가 복합되어 입체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반사광에 의해 만들어진 광학이미지와 시선 방향으로 직접 보이는 각 이미지층의 이미지패턴(311)이 복합되어 깊이감 등이 부각됨으로써 보다 입체적인 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사광에 의해 생성되는 광학이미지는 실질적으로 렌즈면을 거울면으로 바꾸는 표면증착층(111)의 형상과 배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렌즈 어레이(110)를 이루는 각 렌즈(110a)들의 렌즈면의 곡률, 굴절방향(오목 또는 볼록을 포함하는 의미), 및 각 렌즈(110a) 사이의 간격 등이 복합적으로 변화되어 다양한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즉, 도 4에 렌즈면이 볼록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렌즈면이 오목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는 같은 위치에서 다른 형태나 달라진 효과로 입체영상을 보게 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볼록렌즈에 형성된 단일 표면증착층(111)으로도 상면 또는 하면으로 바라보는 방향이 바뀜에 따라서 각각 볼록 또는 오목거울로 양면 거울면이 다르게 기능하므로 서로 다른 시각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입체영상필름(1a, 1b)을 이용하여 필름의 양면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입체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 면이 아닌 한 면에만 이미지층을 적용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1 및 도 3의 (b), (c), (e), (f) 및 도 4의 (b), (c)를 참조하여 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따로 언급되지 않는 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 및 도 3의 (b)와 (e)를 참조하면, 입체영상필름(1a-1, 1b-1)은 렌즈측 이미지층(301)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미지층은 기재층(100)의 일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포함하고, 전술한 것처럼 렌즈측 이미지층(301)과 표면증착층(111) 사이에 광투과성을 갖는 필름층(200)을 포함하며, 필름층(200)과 표면증착층(111) 사이에 개재되고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21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도 4의 (b)에 볼록렌즈로 예시된 것과 같이 도 4의 상면에 해당하는 렌즈측 이미지층(301)이 위치한 방향으로부터 반사광에 의한 광학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오목렌즈 등으로 렌즈(110a)를 변경하거나, 렌즈면의 곡률, 굴절방향, 및 각 렌즈(110a) 사이의 간격 등을 조절하면 입체영상이나 그 효과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이 필름의 일 면에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의 (c)와 (f)를 참조하면, 입체영상필름(1a-2, 1b-2)은 기재측 이미지층(302)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층은 기재층(100)의 타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포함하되, 기재층(100)에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도 4의 (c)에 볼록렌즈로 예시된 것처럼 이번에는 도 4의 하면에 해당하는 기재측 이미지층(302)이 위치한 방향으로부터 반사광에 의한 광학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역시 전술한 것처럼, 오목렌즈 등으로 렌즈(110a)를 변경하거나, 렌즈면의 곡률, 굴절방향, 및 각 렌즈(110a) 사이의 간격 등을 조절하면 입체영상이나 그 효과가 변화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상이 필름의 일 면에서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측 이미지층(302)만이 형성된 경우에는, 각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기재층(100) 반대편 외측에 접착제층(210) 등을 이용하여 보호필름층(200-1)을 부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표면증착층(111)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필름 내부에 갈무리되어 보호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보호필름층(200-1)을 부착하지 않는 대신, 접착제층(210)의 두께를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표면증착층(111)을 보호하는 이를테면 보호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입체영상필름 외측의 한 면에만 이미지층을 형성해 줄 수도 있으며 그를 통해 원하는 면에서 입체영상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전술한 것처럼 필름 외곽에 배치되는 이미지층의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인쇄 등의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매우 편리하게 이미지층을 형성하고 입체영상이 생성되는 필름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도 따로 언급되지 않는 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입체영상필름의 전반적인 제조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의 몰드(11)가 음각된 렌즈금형(10)을 준비하는 단계[(a)단계-도 6의 (a)참조], 몰드(11)에 원료를 주입하여 렌즈 어레이(110)를 형성하고, 기재층(100)의 일 면을 렌즈 어레이(110)와 밀착시켜 접합시키는 단계[(b)단계-도 6의 (b)참조], 렌즈 어레이(110) 및 렌즈 어레이(110)와 접합된 기재층(100)을 렌즈금형(10)에서 분리하고, 노출된 렌즈 어레이(110)의 렌즈면에 광반사체를 증착시켜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111)을 형성하는 단계[(c)단계- 6의 (c), (d)참조], 및 기재층(100)의 일 면 및 반대편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이미지층을 중첩시켜 배치하는 단계[(d)단계-도 6의 (ea), (fa), (ga) 또는 (eb), (fb), (gb) 또는 (ec), (fc), (gc)참조]를 포함하되, 전술한 바와 같이 (d)단계의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표면증착층(111)에 의해 생긴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은, 적절한 렌즈금형(10)을 이용하여 원하는 규격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를 형성하고, 그러한 렌즈 어레이(110) 상에 표면증착층(111)을 형성하여 렌즈면을 거울면으로 바꾸고, 렌즈 어레이(110)와 표면증착층(111)이 입체영상필름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갈무리하는 동시에, 입체영상필름의 외측면에는 전술한 이미지층을 형성하여 입체영상을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는 제조과정들로 이루어져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제조방법은 종전에 쉽게 제조하기 어려웠던 특정 규격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를 제조 가능한 렌즈금형(10) 제조법도 함께 포함하고 있는바, 본 제조방법을 통해 그에 대해서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전반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이를 바탕으로 도 7 내지 10을 참조하여 렌즈금형(10)의 제조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의 (a)와 같이 몰드(11)가 음각된 렌즈금형(10)을 준비한다[(a)단계]. 렌즈금형(10) 표면에는 원하는 형태의 렌즈 어레이[도 6 (c)의 110참조]를 형성할 수 있는 몰드(11)가 형성되며 몰드(11)는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음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는 볼록렌즈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10)를 형성하기 위한 예로써 그에 대응되는 오목형상의 음각 몰드(11)가 예시되었으나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오목렌즈 등으로 렌즈의 형상이 변경되는 경우 그에 따라 몰드(11)의 형상은 대응하여 바뀔 수 있다. 즉 이하 설명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은 렌즈 어레이(110)의 렌즈 형상 등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입체영상필름을 제조하는 데 원활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각방식으로 몰드(11)를 형성하는 경우 식각액 등으로 식각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발명자는 종래 방식으로는 형성 가능한 렌즈의 규격에 한계가 있음을 알아내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금형 제조기술을 함께 개발하게 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후, 도 6의 (b)와 같이 몰드(11)에 원료를 주입하여 렌즈 어레이(110)를 형성하고, 기재층(100)의 일 면을 렌즈 어레이(110)와 밀착시켜 접합시킨다[(b)단계]. 몰드(11)에 주입하는 원료는 경화되었을 때 광투과성을 가질 수 있는 수지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수지는 예를 들어, 광경화성수지 및/또는 열경화성수지와 같은 자외선 및/또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100)은 전술한 바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소재와 두께 등을 먼저 결정하여 준비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준비된 기재층(100)을 몰드(11) 내 원료를 주입한 상태에서 도 6의 (b)와 같이 렌즈금형(10)의 몰드(11)가 있는 면에 밀착시키고 자외선 및/또는 열을 가하여(점선 화살표참조) 경화시킴으로써 기재층(100)의 일 면에 렌즈 어레이(110)를 밀착시켜 접합시킬 수 있다.
이후, 도 6의 (c)와 같이 렌즈 어레이(110) 및 렌즈 어레이(110)와 접합된 기재층(100)을 렌즈금형(10)에서 분리하고, 도 6의 (d)와 같이 노출된 렌즈 어레이(110)의 렌즈면에 광반사체를 증착시켜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111)을 형성한다[(c)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광반사체는 알루미늄 및 인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밖에 다른 반사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광반사체를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어레이(110)를 이루는 렌즈(110a)의 굴절된 렌즈면을 따라 이를 테면, 얇은 층을 이루도록 진공증착법과 같은 주지의 방법에 의해 증착시킴으로써 렌즈 어레이(110)의 렌즈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표면증착층(111)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면증착층(111)이 형성되면 광반사체의 반사기능에 의해 렌즈 어레이(110)의 렌즈면은 실질적인 거울면으로 바뀌게 되며 특히, 도면상의 하면 또는 상면 어느 측으로부터 광선이 입사하더라도 표면증착층(111)에서 반사시킬 수 있으므로 실질적인 양면 거울면으로 바뀌게 된다.
이후, 도 6의 (ea), (fa), (ga) 또는 (eb), (fb), (gb) 또는 (ec), (fc), (gc)와 같이, 기재층(100)의 일 면 및 반대편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이미지층을 중첩시켜 배치한다[(d)단계]. 예를 들어, 도 6의 (ea), (fa), (ga)에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기재층(100)의 타면 외측에 중첩시켜 배치할 수도 있고, 도 6의 (eb), (fb), (gb)에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기재층(100)의 일 면 외측에 중첩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과정을 적어도 일부 복합하여 도 6의 (ec), (fc), (gc)와 같이, 렌즈측 이미지층(301)과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기재층(100)의 일 면 및 타 면 각각의 외측에 중첩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이하, 각각의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형성하는 경우, 도 6의 (ga)와 같이 기재층(100)에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직접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d)단계[이미지층을 배치하는 단계]의 이미지층은 기재층(100)의 타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포함하되, 기재측 이미지층(302)은 기재층(100)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d)단계에서 이미지층에 포함된 이미지패턴(도 2의 311참조)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도 2의 311a참조) 및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도 2의 311b참조)를 포함하되, (d)단계의 이미지층은, 입체배경이미지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표면증착층(111) 측으로 배치하고,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외면에 인쇄이미지(311b)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6의 (fa)와 같이 표면증착층(111)과 가까운 쪽으로 먼저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배치하고,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외면[외부로 노출된 면으로서 도면 상에서는 하면]에 인쇄이미지(311b)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순서를 정리해보면, 예를 들어 도 6의 (ea)와 같이 전술한 접착제층(210)과 보호필름층(200-1)을 형성하여 표면증착층(111)을 필름 내부에 갈무리하고[필요한 경우,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처럼 보호필름층(200-1)을 부착하지 않는 대신, 접착제층(210)의 두께 등을 조절하여 외부로부터 표면증착층(111)을 보호하는 이를테면 보호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후 도 6의 (fa)와 같이 먼저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배치하고, 이후 도 6의 (ga)와 같이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외면에 인쇄이미지(311b)를 인쇄방식으로 형성하여, 매우 편리하게 입체영상필름 외곽에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형성해 줄 수 있다.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도 6의 (gb)와 같이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필름층(200)에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고, 필름층(200)은 필름층(200)과 표면증착층(111) 사이에 개재되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210)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d)단계[이미지층을 배치하는 단계]의 이미지층은 기재층(100)의 일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포함하고, 렌즈측 이미지층(301)은 필름층(200)에 적층하여 형성하며, 필름층(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광투과성을 가지며 렌즈측 이미지층(301)과 표면증착층(111) 사이에 위치하여 표면증착층(111)과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필름층(200)은, 필름층(200)과 표면증착층(111)의 사이에 개재되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210)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d)단계에서 이미지층에 포함된 이미지패턴(도 2의 311참조)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도 2의 311a참조) 및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도 2의 311b참조)를 포함하되, (d)단계의 이미지층은, 입체배경이미지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표면증착층(111) 측으로 배치하고,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외면에 인쇄이미지(311b)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6의 (fb)와 같이 표면증착층(111)과 가까운 쪽으로 먼저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배치하고,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외면[외부로 노출된 면으로서 도면 상에서는 상면]에 인쇄이미지(311b)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순서를 정리해보면, 예를 들어 도 6의 (eb)와 같이 접착제층(210)과 필름층(200)을 형성하여 표면증착층(111)을 필름 내부에 갈무리하는 동시에, 표면증착층(111)으로부터 렌즈측 이미지층(301)이 이격될 수 있게 준비하고, 이후 도 6의 (fb)와 같이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필름층(200)에 적층하여 배치하고, 이후 도 6의 (gb)와 같이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외면에 인쇄이미지(311b)를 인쇄방식으로 형성하여, 역시 매우 편리하게 입체영상필름 외곽에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형성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재측 이미지층(302) 및 렌즈측 이미지층(301)은 유사한 방식으로 도 6의 (gc)와 같이 기재층(100)의 일 면 및 타 면 각각의 외측에 모두 배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의 양면 입체영상이 가능한 입체영상필름을 역시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즉,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기재층(100)의 일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301) 및 기재층(100)의 타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30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d)단계에서 이미지층에 포함된 이미지패턴(도 2의 311참조)은 전술한 것처럼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도 2의 311a참조) 및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도 2의 311b참조)를 포함하되, (d)단계의 이미지층은, 입체배경이미지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표면증착층(111) 측으로 배치하고,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외면에 인쇄이미지(311b)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입체배경필름의 양면에 모두 이미지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편리하게 기재측 이미지층(302) 및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형성해 줄 수 있다. 이를 순서에 따라 설명해 보면, 예를 들어, 도 6의 (ec)와 같이 전술한 접착제층(210)과 필름층(200)을 먼저 형성하고, 이후, 도 6의 (fc)와 같이 필름층(200) 및 기재층(100) 각각의 외측에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을 적층하여 배치하고, 이후, 도 6의 (gc)와 같이 각각 배치된 입체배경이미지층(310) 외면[외부로 노출된 면이며 기재측 이미지층(302)의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경우에는 도면 상의 하면이고, 렌즈측 이미지층(301)의 입체배경이미지층(310)의 경우에는 도면 상의 상면]에 인쇄이미지(311b)를 인쇄방식으로 형성하여, 역시 매우 편리하게 입체영상필름 외곽 양면에 이미지층을 형성해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 없이 전술한 것처럼 이미지패턴(도 2의 311참조)은 입체배경이미지패턴(도 2의 311a참조) 및 인쇄이미지(도 2의 311b참조)를 인쇄방식으로 동시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d)단계[이미지층을 배치하는 단계]의 이미지패턴(311)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 및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311b)를 포함하며, 렌즈측 이미지층(301)은,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인쇄이미지(311b)를 필름층(200) 위에 한꺼번에 인쇄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기재측 이미지층(302)은, 그러한 입체배경이미지패턴(311a)과 인쇄이미지(311b)를 기재층(100) 위에 한꺼번에 인쇄하는 방식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방식은 전술한 기재측 이미지층(302)과 렌즈측 이미지층(301)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경우, 또는 기재측 이미지층(302)과 렌즈측 이미지층(301)을 모두 형성하는 경우 어느 경우에도 제한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형성방식을 이용하여 입체영상필름의 외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간편한 인쇄방식으로 매우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다양한 이미지패턴(311)을 갖는 이미지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매우 편리하게 입체영상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조과정 중 특히, 렌즈금형(10)의 제조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특히 전술한 몰드(11)가 볼록렌즈 형상으로 음각되는 경우에 대해서, 렌즈의 폭(W): 높이(H)[도 10참조]의 비가 일반적인 2:1의 비율이 아닌, 대략 4.2:1의 비율을 갖는 특별한 규격의 렌즈를 성형할 수 있는 렌즈금형(10)의 제조법을 통해 구체적인 특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6의 제조방법 중 렌즈금형의 준비를 위한 렌즈금형의 제조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전술한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에서, (a)단계[렌즈금형을 준비하는 단계]의 렌즈금형은 다음과 같은 제조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렌즈금형은, 금형판(도 7의 10a참조)을 준비하는 단계[(a1)단계], 금형판(10a)에 도금층(도 7의 10b참조)을 형성하는 단계[(a2)단계], 도금층(10b)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식각제어마커(도 7의 10c참조)를 형성하는 단계[(a3)단계], 및 도금층(10b)의 외면에 식각액을 분사하여 음각된 몰드(도 7의 11참조)를 형성하는 단계[(a4)단계]를 포함하는 렌즈금형제조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a4)단계의 식각과정은, 식각제어마커(10c)를 유지하면서 식각제어마커(10c)와 도금층(10b) 사이의 식각속도 차이에 따라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조절하는 제1식각단계와, 제1식각단계 종료 후 세척을 통해 남은 식각제어마커(10c)를 제거하는 중간세척단계, 및 중간세척단계 종료 후 식각제어마커(10c) 없이 도금층(10b)을 재식각하여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재조정하는 제2식각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금형제조법으로 종래 제조하기 곤란한 특정 규격의 렌즈성형이 가능한 렌즈금형(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각 단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a)와 같이 금형판(10a)을 준비한다[(a1)단계]. 금형판(10a)은 렌즈금형의 베이스가 되는 것으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금형판(10a)은 표면처리를 하여 준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가공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금형판(10a)에 도 7의 (b)와 같이 도금층(10b)을 형성한다[(a2)단계]. 도금층(10b)은 실질적으로 식각이 진행되는 부분으로 두께가 렌즈높이 또는 그와 동등한 몰드(11)깊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금층(10b)은 예를 들어, 구리 및 니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금층(10b)을 형성한 후 노출된 외면은 연마하여 일정 조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형판(10a)에 먼저 도금층(10b)을 형성한다.
이후, 도 7의 (c), (d)와 같이 도금층(10b)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식각제어마커(10c)를 형성한다[(a3)단계]. 식각제어마커(10c)는 예를 들어, 빛에 반응하여 경화 또는 유화되는 성질을 갖는 감광액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감광액 도포 후 특정 부분을 개방하거나 마스킹하고 노광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크기의 식각제어마커(10c)를 형성할 수 있다. 나머지 부분은 제거하여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c)와 같이 감광액을 이용하여 감광층(10c-1)을 형성하고, 필요한 부분을 부분적으로 마스킹하고 노광하는 등의 방식으로 도 7의 (d)와 같이 감광층(10c-1) 중 일부만 경화되어 남은 식각제어마커(10c)를 형성할 수 있다. 식각제어마커(10c)가 아닌 나머지 부분은 제거함으로써 식각제어마커(10c) 사이에 위치한 도금층(10b)을 노출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식각제어마커(10c) 사이의 간격, 식각제어마커(10c)의 너비 등에 의해 식각되는 영역이 제어되고 몰드(또는 그와 동등하게 렌즈)의 배열과 규격 등도 결정될 수 있는바 원하는 규격의 렌즈 성형이 가능한 렌즈금형을 제조하기 위해 식각제어마커(10c)의 배치구조를 적절히 바꾸어 줄 수 있다.
이후, 도 7의 (ea) 또는 (eb)와 같이 도금층(10b)의 외면에 식각액(L)을 분사하여 음각된 몰드(11)를 형성한다[(a4)단계]. 식각액(L)은 노즐(S)을 이용하여 분사할 수 있으며 노즐(S)과 연결된 펌프(미도시) 등의 압력을 조절하여 식각액(L)의 분사압을 조절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정도로 식각이 진행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금형판(10a)을 평판 형상으로 형성 또는 배치하고 식각액(L)을 이용한 식각과정을 진행함으로써 도 7의 (ea)와 같이 몰드(11)가 음각된 평판 형상의 렌즈금형(10)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아울러 전술한 금형판(10a)을 롤 형상으로 형성 또는 배치하고, 식각액(L)을 이용한 식각과정을 진행함으로써 도 7의 (eb)와 같이 몰드(11)가 음각된 롤 형상의 렌즈금형(10)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면 상에는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되어 도시되었지만, 실제 렌즈금형(10) 대비 몰드(11) 또는 그와 동등한 렌즈들의 크기(마이크로 미터 단위의 미세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는 매우 작으므로, 도 7의 (eb)와 같은 롤 형상의 렌즈금형(10)을 사용하더라도, 실질적으로 렌즈금형(10) 표면에서 식각 등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국소영역은 근사적으로 평면과 동등하거나 평면과 같이 작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렌즈금형과 관련된 도면들은 그러한 한도 내에서 이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렌즈금형(10) 전체의 형상은 도 7의 (eb)와 같은 롤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롤 형상의 렌즈금형(10)은 이를 테면, 몰드(11)가 외주면에 형성된 그라비어 롤(gravure roll)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렌즈금형(10)을 이용함으로써 롤을 회전시키며 전술한 렌즈 어레이의 형성과정, 렌즈 어레이와 기재층의 접합과정, 및 후속하는 인쇄방식을 이용한 이미지층의 형성과정 등을 보다 손쉽게 진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술한 식각액(L)을 이용한 몰드(11) 형성과정에서 식각과정은 에칭액을 식각액(L)으로 사용하는 습식식각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식각액(L)은 예를 들어 염화제2철 및/또는 염화동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식각액(L)의 조성이나 농도 등은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한 온도 조건을 함께 조절하는 경우 보다 좋은 식각 결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도 7의 (eb)와 같은 롤 형상의 렌즈금형(10)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어, 노즐(S)의 수를 줄이고 적절한 분사압이 전달되도록 노즐(S)의 거리를 조정하여 배치할 수 있으며 렌즈금형(10)이 되는 전체 롤의 회전속도와 노즐(S)의 주기적인 움직임을 상호 조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몰드(1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특히 상기한 (a4)단계[식각액을 분사하여 음각된 몰드를 형성하는 단계]는, 식각제어마커(10c)를 유지하면서 식각제어마커(10c)와 도금층(10b) 사이의 식각속도 차이에 따라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조절하는 제1식각단계[도 8의 (b) 및 도 9의 (c)참조]와, 제1식각단계 종료 후 세척을 통해 남은 식각제어마커(10c)를 제거하는 중간세척단계[도 10의 (d)참조], 및 중간세척단계 종료 후 식각제어마커(10c) 없이 도금층(10b)을 재식각하여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재조정하는 제2식각단계[도 10의 (e)~(g)참조]를 포함하여, 종래 식각방식으로 제조하기 매우 곤란하였던 일반적인 단순 반원형 렌즈가 아닌 특정 규격의 렌즈성형이 가능한 렌즈금형(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제조법을 특정 규격의 렌즈 몰드를 갖는 렌즈금형의 제작에 적용하여 그 주요과정을 보다 세분화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식각과정의 설명에 들어가기 앞서 전술한 식각제어마커(10c)를 형성하는 단계[(a3)단계]와 관련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식각제어마커(10c)는 도 8의 (b)와 같이 식각제어마커(10c) 사이의 간격(A)과, 식각제어마커(10c) 자체의 너비(B)를 필요에 따라 바꾸어 줄 수 있다. 이러한 설정에 의해 후속하는 식각과정에서 몰드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의 폭과 높이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렌즈의 폭, 높이, 곡률 등을 고려하여 그에 따라 식각제어마커(10c)를 배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것처럼 렌즈의 폭: 높이의 비가 2:1인 반원형인 렌즈를 성형하기 위해 식각과정이 활용되는 경우에는, 알려진 데이터를 활용하여 큰 문제없이 식각제어마커(10c)를 배치하고 그에 따른 식각방식으로 원하는 렌즈를 형성 가능한 몰드를 음각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 규격은 조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자는 렌즈의 폭: 높이의 비가 대략 4.2:1인 반원형 렌즈와는 상이한 렌즈를 성형하고자 하였고, 그에 따라 대응되는 몰드를 렌즈금형에 음각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다음과 같은 기술적 사실을 알아내었다. 도 9의 (ca)는 식각제어마커(10c)를 배치한 후 식각과정이 진행되면서 식각되어 만들어지는 몰드 또는 그와 동등한 렌즈의 폭(W)과 높이(H)[도 10참조] 사이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9의 (c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식각과정이 진행될수록 렌즈의 폭과 높이 사이의 비가 일정해지는 경향(즉 선형구간을 가짐)이 발견되었고 더욱이 둘 사이의 비는 폭(W)에 대한 높이(H)의 비율로 나타내었을 때 높이(H)/폭(W)=1/2 보다 작아지지 않는 경향을 발견하였다(그래프는 선형성을 개념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가로축과 세로축의 스케일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식각제어마커(10c)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비율은 일부 변동될 수 있으나 시간경과에 따라 비율이 일정해지는 선형구간이 여전히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형구간에서 높이(H)/폭(W)의 비율은 식각제어마커(10c)의 배치를 바꾸더라도 1/2보다 작아지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H)/폭(W)=대략 1/4.2인 규격의 렌즈 성형은 곤란하므로 종전과는 다른 다음과 같은 제조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먼저, 식각과정 진행 전에 식각제어마커(10c)의 배치를 설정할 수 있는데, 이는 도 8의 (b)와 같이 식각제어마커(10c) 사이의 간격(A)과 식각제어마커(10c)의 너비(B)를 설정할 때, 식각제어마커(10c) 사이의 간격(A)과 식각제어마커(10c)의 너비(B)를 합한 거리가 최종 목표로 하는 렌즈의 폭보다는 커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목표로 하는 렌즈는 폭(W) 150㎛, 높이(H) 35㎛, 및 곡률반경 97.9㎛인 규격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 8의 (a)와 같은 반원형 렌즈 형성이 가능한 식각부위(점선참조)까지 고려하여 일차 식각영역이 그 안에서 형성되도록 식각제어마커(10c)의 너비와 간격을 설정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의 (b)에 설정된 식각제어마커(10c) 사이의 간격(A)은 110㎛, 식각제어마커(10c)의 너비(B)는 70㎛일 수 있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식각액을 분사하여 도금층(10b)을 식각하되 우선, 도 9의 (c)와 같이 식각제어마커(10c)를 유지하면서 식각제어마커(10c)와 도금층(10b) 사이의 식각속도 차이에 따라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조절하는 제1식각단계를 진행한다. 특히, 이러한 제1식각단계는, 도 9의 (ca)에 나타난 선형구간에 도달되기 전에 종료되며 이를 테면, 선형구간 도달 전 비선형구간 내 어느 한 지점에서 종료될 수 있다. 비선형구간 내의 그래프는 선형이 아닌 형상으로 선형구간과 연결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래프 상의 렌즈 폭(W)은 식각되는 너비와 동등하며, 렌즈 높이(H)는 식각되는 깊이와 동등하므로[도 10참조], 그에 따라 그래프의 선형구간은 식각 너비와 깊이 사이의 비가 일정해지는 선형식각구간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식각단계는, 식각시간에 따라 식각 너비와 깊이 사이의 비가 일정해지는 선형식각구간에 도달되기 이전에 종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각제어마커(10c)를 유지한 상태에서 1차로 식각과정을 진행하되, 전술한 선형구간 도달 이전에 식각을 종료함으로써, 적절한 식각영역을 생성하면서 전체적인 렌즈 폭(W)과 높이(H)의 비는 반원형 렌즈와 같은 비율로 고정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의 (c)에서 식각제어마커(10c) 사이의 간격(A')은 130㎛로 감소될 수 있고, 1차 식각을 통해 생성된 중간 렌즈 높이(Ha)는 45㎛일 수 있다.
이후, 도 10의 (d)와 같이 제1식각단계 종료 후 세척을 통해 남은 식각제어마커를 제거하는 중간세척단계를 진행한다. 세척은 금형 등을 세척 가능한 세척액 등을 이용하여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남은 식각제어마커를 도시된 것처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중간 렌즈 폭(Wa)는 전술한 식각제어마커 사이의 간격(도 9의 A'참조)과 동일한 130㎛일 수 있고 중간 렌즈 높이(Ha)도 이전과 동일하게 45㎛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중간세척단계는 남은 식각제어마커만을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그 외 식각부위에는 영향 없이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이러한 중간세척단계 종료 후 도 10의 (e)~(g)와 같이 식각제어마커 없이 도금층(10b)을 재식각하여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재조정하는 제2식각단계를 진행한다. 제2식각단계에서 식각 횟수는 필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렌즈의 폭과 높이의 규격뿐만 아니라, 곡률까지 맞춰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e)와 같이 제2식각단계에서의 1회 식각을 통해 중간 렌즈 폭(Wb)과, 중간 렌즈 높이(Hb)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중간 렌즈 폭(Wb)은 155㎛, 중간 렌즈 높이(Hb)는 58㎛일 수 있으며 곡률반경[곡률원(c)의 반지름일 수 있다]은 80㎛ 정도로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2회 식각을 통해 도 10의 (f)와 같이 중간 렌즈 높이(Hc)를 감소시킬 수 있는데, 이는 식각제어마커가 없어 서로 인접한 식각부위가 동등하게 확장됨에 따라 도금층(10b) 표면이 하강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아울러, 도시된 것처럼 식각제어마커가 없이 서로 인접한 식각부위가 동등하게 확장되는바 중간 렌즈 폭(Wb)은 그대로 유지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식각에 의해 곡률원(c')이 확장되므로 곡률반경은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제2식각단계에 의해, 렌즈 어레이의 렌즈 폭을 유지하면서, 렌즈면의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렌즈 폭(Wb)은 155㎛, 중간 렌즈 높이(Hc)는 38㎛로, 전술한 목표규격에 매우 근접하게 조정될 수 있으며, 곡률반경은 97.9㎛로 목표치에 도달될 수 있다.
이후, 예를 들어, 도 10의 (g)와 같이 식각과정에서 남은 돌출부(P) 등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과정을 통해 최종적인 몰드(1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렌즈금형제조법은, 상기한 (a4)단계[식각액을 분사하여 몰드를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도금층(10b)의 표면을 연마하여 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P)는 식각과정에서 서로 인접한 식각부위 사이의 경계에 남아있는 것일 수 있으며 금형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연마공정을 통해 일정부분 삭제해 줌으로써 삭제부분만큼의 높이 및 너비 차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돌출부(P) 양편의 렌즈 폭과 높이를 동시에 필요한 만큼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10의 (g)와 같이 렌즈 폭(W) 150㎛, 렌즈 높이(H) 35㎛, 및 곡률반경 97.9㎛인 렌즈 규격을 갖는 몰드(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조법을 통해 예를 들어, 종전에는 성형이 어려웠던 반원형보다 납작한 형상의 렌즈 등을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렌즈 폭(W): 렌즈 높이(H)의 비가 4.2: 1 등인 특정 규격을 갖는 렌즈를 성형하여 렌즈 어레이로 배열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조법으로 제조된 렌즈금형을 이용하여 종전과 다른 다양한 형태의 렌즈 어레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필름을 형성하고 보다 다채로운 시각효과 등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a, 1b, 1a-1, 1b-1, 1a-2, 1b-2: 입체영상필름
10: 렌즈금형 11: 몰드
10a: 금형판 10b: 도금층
10c: 식각제어마커 10c-1: 감광층
100: 기재층 110: 렌즈 어레이
110a: 렌즈 111: 표면증착층
200: 필름층 200-1: 보호필름층
210: 접착제층 301: 렌즈측 이미지층
302: 기재측 이미지층 310: 입체배경이미지층
311: 이미지패턴 311a: 입체배경이미지패턴
311b: 인쇄이미지 A, A': 식각제어마커 사이간격
B: 식각제어마커 너비 H, Ha, Hb, Hc: 렌즈의 높이
W, Wa, Wb: 렌즈의 폭 S: 노즐
L: 식각액 P: 돌출부

Claims (22)

  1. 광투과성을 갖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 면에 적층되는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
    상기 렌즈 어레이의 굴절된 렌즈면에 증착되어 복수의 상기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 및
    상기 표면증착층에서 이격되어 상기 기재층의 일 면 및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패턴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및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층은, 상기 표면증착층 측에 배치되며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을 포함하는 입체배경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입체배경이미지층의 외면에 상기 인쇄이미지가 형성된 입체영상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과 상기 표면증착층 사이에 광투과성을 갖는 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과 상기 표면증착층 사이에 개재되며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타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측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입체영상필름.
  5. 광투과성을 갖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 면에 적층되는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
    상기 렌즈 어레이의 굴절된 렌즈면에 증착되어 복수의 상기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 및
    상기 표면증착층에서 이격되어 상기 기재층의 일 면 및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하는 입체영상필름.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를 이루는 복수의 렌즈들은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광반사체는 상기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 각각의 상기 렌즈면에 증착되어 상기 렌즈면을 양면 거울면으로 바꾸는 입체영상필름.
  9. (a)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의 몰드가 음각된 렌즈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몰드에 원료를 주입하여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고, 기재층의 일 면을 상기 렌즈 어레이와 밀착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렌즈 어레이와 접합된 상기 기재층을 렌즈금형에서 분리하고, 노출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복수의 렌즈면에 상기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를 증착시켜,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재층의 일 면 및 반대편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이미지층을 중첩시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의 이미지패턴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및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층을 상기 표면증착층 측으로 배치하고, 상기 입체배경이미지층의 외면에 상기 인쇄이미지를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금형은 상기 몰드가 외주면에 형성된 그라비어 롤(gravure roll)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은 필름층에 적층하여 형성하며, 상기 필름층은, 광투과성을 가지며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과 상기 표면증착층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표면증착층과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을 이격시키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상기 필름층과 상기 표면증착층의 사이에 개재되는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이미지패턴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및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측 이미지층은,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상기 인쇄이미지를 상기 필름층 위에 한꺼번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타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측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에 적층되어 형성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5. (a)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의 몰드가 음각된 렌즈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몰드에 원료를 주입하여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고, 기재층의 일 면을 상기 렌즈 어레이와 밀착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렌즈 어레이와 접합된 상기 기재층을 렌즈금형에서 분리하고, 노출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복수의 렌즈면에 상기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를 증착시켜,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재층의 일 면 및 반대편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이미지층을 중첩시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타 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하되, 상기 기재측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에 적층되어 형성되며,
    상기 (d) 단계의 이미지패턴은, 패턴이 형성된 입체배경이미지패턴, 및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중첩하여 인쇄된 인쇄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기재측 이미지층은, 상기 입체배경이미지패턴과 상기 인쇄이미지를 상기 기재층 위에 한꺼번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형성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6. (a)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의 몰드가 음각된 렌즈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몰드에 원료를 주입하여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고, 기재층의 일 면을 상기 렌즈 어레이와 밀착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렌즈 어레이와 접합된 상기 기재층을 렌즈금형에서 분리하고, 노출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복수의 렌즈면에 상기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를 증착시켜,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재층의 일 면 및 반대편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이미지층을 중첩시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렌즈측 이미지층, 및 상기 기재층의 타면 외측에 중첩하여 배치되는 기재측 이미지층을 포함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7. 삭제
  18. (a)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의 몰드가 음각된 렌즈금형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몰드에 원료를 주입하여 렌즈 어레이를 형성하고, 기재층의 일 면을 상기 렌즈 어레이와 밀착시켜 접합시키는 단계;
    (c) 상기 렌즈 어레이 및 상기 렌즈 어레이와 접합된 상기 기재층을 렌즈금형에서 분리하고, 노출된 상기 렌즈 어레이의 복수의 렌즈면에 상기 렌즈면들을 거울면들로 바꾸는 광반사체를 증착시켜, 광반사체로 이루어진 표면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기재층의 일 면 및 반대편 타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에 이미지층을 중첩시켜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d) 단계의 이미지층은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투광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거울면들에 의해 반사되어 생성된 광학이미지를 생성시키는 이미지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의 렌즈금형은,
    (a1) 금형판을 준비하는 단계,
    (a2) 상기 금형판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단계,
    (a3) 상기 도금층 외면에 일정 간격으로 식각제어마커를 형성하는 단계, 및
    (a4) 상기 도금층의 외면에 식각액을 분사하여 음각된 상기 몰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금형제조법을 통해 형성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는, 상기 식각제어마커를 유지하면서 상기 식각제어마커와 상기 도금층 사이의 식각속도 차이에 따라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조절하는 제1식각단계,
    상기 제1식각단계 종료 후 세척을 통해 남은 상기 식각제어마커를 제거하는 중간세척단계, 및
    상기 중간세척단계 종료 후 상기 식각제어마커 없이 상기 도금층을 재식각하여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규격을 재조정하는 제2식각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식각단계는, 식각시간에 따라 식각 너비와 깊이 사이의 비가 일정해지는 선형식각구간에 도달되기 이전에 종료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식각단계는, 상기 렌즈 어레이의 렌즈 폭을 유지하면서 렌즈면의 곡률을 변경시키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금형제조법은,
    상기 (a4) 단계 이후에, 상기 도금층의 표면을 연마하여 정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00101098A 2020-08-12 2020-08-12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KR10226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98A KR102262538B1 (ko) 2020-08-12 2020-08-12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098A KR102262538B1 (ko) 2020-08-12 2020-08-12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538B1 true KR102262538B1 (ko) 2021-06-08

Family

ID=7639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098A KR102262538B1 (ko) 2020-08-12 2020-08-12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7522A (zh) * 2021-08-25 2021-11-23 苏州大学 一种反射式成像薄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273A (ja) * 1999-07-22 2001-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型ロールの製造方法、金型ロールおよび金型ロールを用いた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1524541A (ja) * 2008-06-02 2011-09-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光学装置及びその光学装置を組み込んだ自動立体視ディスプレイ装置
JP4800302B2 (ja) * 2005-04-11 2011-10-26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印刷像が設置されている再帰反射シート
KR20130027705A (ko) * 2011-09-08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와 마이크로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KR101487972B1 (ko) * 2012-06-22 2015-01-29 최민우 렌티큘러 이미지 패널
KR102130138B1 (ko) 2013-12-24 2020-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렌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134222B1 (ko) * 2019-12-19 2020-07-16 (주)아린산업 입체화상용 광학필름, 광학필름의 제조장치,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및 광학필름으로 제작된 광고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273A (ja) * 1999-07-22 2001-0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金型ロールの製造方法、金型ロールおよび金型ロールを用いた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JP4800302B2 (ja) * 2005-04-11 2011-10-26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印刷像が設置されている再帰反射シート
JP2011524541A (ja) * 2008-06-02 2011-09-0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光学装置及びその光学装置を組み込んだ自動立体視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30027705A (ko) * 2011-09-08 2013-03-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와 마이크로 렌즈시트의 제조방법
KR101487972B1 (ko) * 2012-06-22 2015-01-29 최민우 렌티큘러 이미지 패널
KR102130138B1 (ko) 2013-12-24 2020-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렌즈 필름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134222B1 (ko) * 2019-12-19 2020-07-16 (주)아린산업 입체화상용 광학필름, 광학필름의 제조장치,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및 광학필름으로 제작된 광고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7522A (zh) * 2021-08-25 2021-11-23 苏州大学 一种反射式成像薄膜
CN113687522B (zh) * 2021-08-25 2022-05-27 苏州大学 一种反射式成像薄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0463B (zh) 光導引光學元件與結構及其製造方法
JP5108127B2 (ja) 一体化された光学補正構造物を有する空間光変調器
CA2862791C (en) Injection-molded product having three-dimensional security eleme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0974682B1 (ko) 렌즈 유사 효과를 발휘하는 회절 광학 구조를 갖는 층 구조물
CN104937448A (zh) 具备平行配置的光反射部的光控制面板的制造方法
KR20140022890A (ko) 3차원 표시용 패턴 위상차 필름 및 3차원 표시용 패턴 배향막용 원판의 제조 방법
JP2013041027A (ja) 光学フィルタ
KR102262538B1 (ko) 입체영상필름 및 입체영상필름의 제조방법
US20210055464A1 (en) Wire Grid Polariz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20080801A (ko) 패턴화 리타더의 제조방법
JPH01252902A (ja) 低反射回折格子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16004206A (ja) 再帰性反射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立体像表示装置
KR102214045B1 (ko) 보안용 홀로그램 스티커 라벨의 제조방법
KR101236874B1 (ko) 렌티큘러 시트를 포함하는 입체 표현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EP3199987B1 (en) Pattern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64229B1 (ko) 모아레 패턴 형상을 갖는 시트의 제조 방법
KR101361722B1 (ko) 위상지연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051879B1 (ko) 미세패턴 금형, 그 금형을 이용한 입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167708B1 (ko) 상부에 렌즈와 하부로 패턴이 형성된 사출레진을 포함한 입체시트 및 그 입체시트 제조방법
JP5974604B2 (ja)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116534B2 (ja) 再帰性反射体の製造方法
JP2013113938A (ja) 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用金型及びパターン位相差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942241B1 (ko) 입체이미지 패턴을 가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RU2818676C1 (ru) Микрооптическое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 слоями фазовосинхронизированных изображений
TWI792337B (zh) 具蝕刻成型偏振微小結構之光學透鏡裝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