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269A -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269A
KR20180022269A KR1020160107458A KR20160107458A KR20180022269A KR 20180022269 A KR20180022269 A KR 20180022269A KR 1020160107458 A KR1020160107458 A KR 1020160107458A KR 20160107458 A KR20160107458 A KR 20160107458A KR 20180022269 A KR20180022269 A KR 20180022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attern
stamp
layer
bas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7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석
박성한
Original Assignee
(주)쓰리에스엠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에스엠케이 filed Critical (주)쓰리에스엠케이
Priority to KR1020160107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2269A/ko
Publication of KR2018002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2B27/2214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은 기저층; 상기 기저층의 일측에 상기 기저층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부; 상기 일측의 맞은 편 타측에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진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저층의 타측 상에 구비되어 빛을 상기 렌즈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STEREOSCOPIC FILM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차원 평면상에 형성된 2차원 패턴 또는 영상들의 모습은 빛의 반사에 통해 인간의 눈에 2차원 형태로 그대로 입사되기 때문에 2차원적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렌티큘러 쉬트(lenticular sheet)라는 렌즈 시트를 이용하게 되면, 2차원적인 영상을 3차원(3D), 즉 입체적인 영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렌즈 쉬트를 포함하는 입체 필름의 두께와 렌즈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2-0137784 (공개일자 : 2012.12.24)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 및 입체 필름의 제조 방법은 입체 필름의 두께, 렌즈나 패턴의 선폭 및 렌즈의 사이즈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기저층; 상기 기저층의 일측에 상기 기저층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부; 상기 일측의 맞은 편 타측에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진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저층의 타측 상에 구비되어 빛을 상기 렌즈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부을 포함하는 입체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반사부는, 빛을 상기 렌즈부를 향하여 반사하도록 상기 패턴부와 접촉하는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부는, 빛을 상기 렌즈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층과, 상기 패턴부와 상기 반사층 사이에 위치하여 두께에 따라 상기 반사층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의 색깔이 변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입체 필름은 상기 렌즈부 상에 코팅되어 상기 렌즈부를 보호하며, 상기 렌즈부의 초점거리보다 더 먼 지점에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빛이 포커싱되도록 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는, 레진으로 이루어진 제1 보호층과,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렌즈부 사이에 위치하여 빛의 투과가 가능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패턴부의 선폭은 5 nm 이상 2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렌즈부, 상기 기저층 및 상기 패턴부의 두께는 30 ㎛ 이상 300 ㎛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렌즈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스탬프와 패턴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스탬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탬프와 제2 스탬프 사이에 레진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레진의 냉각 후 상기 제1 스탬프와 상기 제2 스탬프를 분리하여 기저층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렌즈부와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저층의 타측 상에 빛을 상기 렌즈부로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부를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 필름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 및 입체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스탬프 및 제2 스탬프를 통하여 렌즈 및 패턴을 동시에 기저층에 형성함으로써 입체 필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 및 입체 필름의 제조 방법은 LIGA 공정을 통한 제1 스탬프 및 제2 스탬프의 사용으로 렌즈부 및 패턴부를 형성하므로 입체 필름의 두께, 렌즈나 패턴의 선폭 및 렌즈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 및 입체 필름의 제조 방법은 반사부를 통하여 색깔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인쇄 기법으로 인한 입체 필름 사이즈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을 나타낸다.
도 2는 패턴부의 형상 일례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4는 일반적인 입체 필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보호부에 따른 초점거리의 변화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은 기저층(110), 렌즈부(130), 패턴부(150) 및 반사부(170)를 포함한다.
기저층(110)은 PC(Polycarbonate)나 PCABS(Polycarbonat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와 같이 빛의 통과가 가능한 레진(resin)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렌즈부(130)는 기저층(110)의 일측에 기저층(1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렌즈부(130)는 반사부(170)로부터 반사된 빛을 집속하여 렌즈부(130)의 외부를 향하여 투과시킨다. 렌즈부(130)의 초점거리는 입체 필름의 설계 과정에서 설정될 수 있으며, 렌즈부(130)의 직경, 두께나 곡률 등을 변경시킴으로써 설정된 초점거리를 만족시킬 수 있다.
패턴부(150)는 일측의 맞은 편 타측에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패턴부(150) 역시 기저층(1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서 패턴부(150)는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의 패턴을 포함하고 있으나,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서로 다른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은 계단 형상을 지닐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렌즈부(130) 및 반사부(17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와 같은 패턴부(150)는 기저층(110)의 일측으로부터 입사된 빛이나 반사부(170)에 의하여 반사되어 기저층(110)의 일측을 향하여 진행하는 빛을 산란시킬 수 있으며 산란의 정도나 방향은 패턴부(150)의 형상에 의하여 변할 수 있다.
반사부(170)는 패턴부(150)와 접촉하도록 기저층(110)의 타측 상에 구비되어 빛을 렌즈부(130)를 향하여 반사한다. 반사부(170)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기저층(110)의 일측을 통하여 입사된 빛은 패턴부(150)를 지나 반사부(170)에 도달하며, 반사부(170)는 빛을 기저층(110)의 일측을 항하여 반사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패턴부(150)는 입사되거나 반사되는 빛을 산란시킬 수 있다.
렌즈부(130)는 반사되거나 산란된 빛을 초점 거리에 따라 집속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체 필름 외부의 관찰자는 패턴에 대한 깊이감을 시각적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패턴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은 렌즈부(130), 기저층(110) 및 패턴부(15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 제조 방법을 나타낸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스탬프(stamp)(310)와 패턴부(150)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스탬프(330)를 준비한다. 제1 스탬프(310)에는 렌즈부(13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제1 스탬프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스탬프(330) 역시 패턴부(150)에 대응하도록 패턴부(150)의 요철과 반대되는 제2 스탬프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탬프(310)와 제2 스탬프(330)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1 금형(311) 및 제2 금형(331)이 제1 스탬프(310)와 제2 스탬프(330)의 외측을 덮을 수 있다. 제1 스탬프(310)와 제2 스탬프(330)의 제1 스탬프 패턴과 제2 스탬프 패턴은 LIGA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미세구조물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LIGA 공정은 X-선을 이용한 사진공정(lithography), 전기도금공정(electroforming) 및 사출공정(molding) 등의 세 가지 단계로 이루어진 미세한 가공 기술을 의미하며, 독일어 Lithographie, Galvanoformung 및 Abformung의 첫 글자를 인용한 약자이다.
여기서, X-선을 이용한 사진 공정(lithography)은 X-선용 마스크를 통하여 레지스트(resist)에 X-선을 조사하고 현상하여 미세한 레지스트 구조물(resist structure)을 제작하는 공정이다.
전기 도금 공정(electroforming)은 제작된 미세한 레지스트 구조물에서 레지스트가 제거된 부분에 전기 도금을 이용하여 금속을 성장시켜 채운 후 나머지 레지스트를 제거하여 미세한 금속 구조물(metal structure)을 제작하는 공정이다.
사출 공정(molding)은 제작된 미세한 금속 구조물을 몰드(mold)로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미세구조물을 사출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이 LIGA 공정에 의하여 생성된 미세구조물을 대상물에 대하여 누름으로써 제1 스탬프 패턴을 갖는 제1 스탬프(310)와 제2 스탬프 패턴을 갖는 제2 스탬프(330)가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1 스탬프(310) 및 제2 스탬프(330)는 니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니켈은 렌즈부(130)에 해당되는 미세구조물의 곡면을 원형에 가깝게 구현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현된 제1 스탬프(310)와 제2 스탬프(330) 사이에 레진을 주입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진의 냉각 후 제1 스탬프(310)와 제2 스탬프(330)를 분리하여 기저층(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렌즈부(130)와 패턴부(15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1 스탬프(310)와 제2 스탬프(330)를 이용함으로써 기저층(110), 렌즈부(130), 패턴부(15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입체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가 형성된 렌즈 쉬트(10)가 준비된 후 패턴층(20)이 인쇄 공정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입체 필름의 경우 렌즈와 패턴은 동시에 구현되지 않는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1 스탬프(310) 및 제2 스탬프(330)를 통하여 렌즈부(130)와 패턴부(150)가 동시에 형성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은 제1 스탬프(310) 및 제2 스탬프(330)를 통하여 렌즈부(130)와 패턴부(150)가 형성되므로 기저층(110), 렌즈부(130) 및 패턴부(150)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에 일반적인 입체 필름은 렌즈 쉬트에 잉크 성분을 인쇄하여 패턴층을 형성하므로 렌즈 쉬트와 패턴층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부(150)와 접촉하도록 기저층(110)의 타측 상에 빛을 렌즈부(130)로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부(170)를 코팅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의 제조 방법은 X선을 이용하는 LIGA 공정을 통하여 구현된 제1 스탬프(310) 및 제2 스탬프(330)로 제조되므로 렌즈부(130) 및 패턴부(150)의 선폭과, 렌즈부(13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부(130)의 두께가 줄어들기 때문에 렌즈부(130), 기저층(110) 및 패턴층의 두께 역시 줄어들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130) 또는 패턴부(150)의 선폭(L1, L2)은 5 nm 이상 20 ㎛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렌즈부(130), 기저층(110) 및 패턴부(150)의 두께(D1)는 30 ㎛ 이상 300 ㎛ 미만일 수 있다.
반면에 일반적인 입체 필름의 경우 인쇄 기법을 이용하는데, 인쇄 기법의 경우 선폭 및 렌즈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입체 필름의 선폭(L3, L4)은 100 ㎛에서 200 ㎛이고, 입체 필름 및 패턴층의 두께(D2)는 300 ㎛에서 400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입체 필름의 경우 렌즈 두께의 증가하므로 외부의 충격에 쉽게 렌즈가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입체 필름의 경우 렌즈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30)이 추가되며 이에 따라 입체 필름의 두께는 더욱 증가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은 미세한 렌즈부(130)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일반적인 입체 필름에 비하여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높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보호층이 없을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70)는, 빛을 렌즈부(130)를 향하여 반사하도록 패턴부(150)와 접촉하는 반사층(17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반사층(171)은 입사된 빛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반사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170)는, 빛을 렌즈부(130)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층(171)과, 패턴부(150)와 반사층(171) 사이에 위치하여 두께에 따라 반사층(171)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의 색깔이 변하는 유전체층(173)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층(173)은 실리콘 산화막(SiO2)으로 진공증착되어 코팅될 수 있고, 그 두께를 대략 200~550nm까지 조절하여 다양한 색변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전체층(173)은 패턴부(150)의 패턴들 중 일부 또는 각각에 대해 다양한 두께로 성형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전체층(173)의 두께에 따라 패턴의 다양한 색변환 효과는 물론 그 깊이감에도 차이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층(173)의 두께 설정은 표현하고자 하는 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패턴부(150)를 형성하는 패턴들 중 일부의 두께를 다른 일부의 두께와 다르게 함으로써 유전체층(173)의 두께 변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1 , 도 3d, 도 5에 도시된 반사층(171)은 알루미늄(Al), 은(Ag)과 금(Au)과 같은 가시광선 영역에서 반사율이 높은 금속물질이 진공증착으로 코팅되어 제작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층(171)이 금으로 이루어진 경우, 반사층(171)은 아름답고, 가공하기 쉽고, 변색이나 부식되지 않고, 반사 효과가 뛰어날 수 있다.
반사층(171)은 일례로 기저층(110)의 타측 전체에 대해 고루 코팅되거나, 패턴부(150)의 패턴에만 코팅되거나, 또는 패턴과 패턴 사이에만 코팅될 수도 있다.
반사층(171)은 미세한 유리구슬들 또는 미세한 반사 파티클(particl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사된 빛이 같은 방향으로 되돌아가게 하는 재귀반사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유리구슬 또는 반사파티클에 의하여 입사된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난반사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매끈한 표면으로 제작하여 입사된 빛이 일정한 방향으로 반사되는 정반사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난반사 방식의 경우, 반구형 유리구슬 또는 반사파티클이 무질서한 각도로 배치되거나, 반사층(171)의 코팅 표면이 불규칙적으로 울퉁불퉁하도록 유리구슬 또는 반사파티클이 코팅되도록 하여 입사된 빛이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필름은 렌즈부(13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없었으나, 필요에 따라 렌즈부(13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90)는 렌즈부(130) 상에 코팅되어 렌즈부(130)를 보호하며, 렌즈부(130)의 초점거리보다 더 먼 지점에 렌즈부(130)를 통과한 빛이 포커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부(190)와 렌즈부(130)의 굴절률이 다르므로 보호부(190)의 코팅에 따라 보호부(190)가 없을 때의 렌즈부(130)의 초점거리(F1)보다 먼 지점(F3)에 빛이 집속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부(130)의 초점거리(F1)는 보호부(190)에 따른 최종 초점거리(F3)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보호부(190)는, 레진으로 이루어진 제1 보호층(191)과, 제1 보호층(191) 및 렌즈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빛의 투과가 가능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19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보호층(193)은 ITO(Indium Tin Oxide)나 SiO2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보호층(191)의 재질은 렌즈부(130) 및 기저층(110)의 재질과 거의 유사하므로 제2 보호층(193)이 없으면 렌즈부(130)의 굴절율과 제1 보호층(191)의 굴절율이 거의 유사하여 제1 보호층(191)과 렌즈부(130)의 구분이 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보호층(191)과 렌즈부(130)와 굴절율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193)이 제1 보호층(191)과 렌즈부(13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필요한 초점거리 F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호부(190)는 도 5의 입체 필름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기저층(110)
렌즈부(130)
패턴부(150)
반사부(170)
반사층(171)
유전체층(173)
보호부(190)
제1 보호층(191)
제2 보호층(193)
제1 스탬프(310)
제2 스탬프(330)
제1 금형(311)
제2 금형(331)

Claims (8)

  1. 기저층;
    상기 기저층의 일측에 상기 기저층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렌즈부;
    상기 일측의 맞은 편 타측에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진 패턴부; 및
    상기 패턴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저층의 타측 상에 구비되어 빛을 상기 렌즈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부
    을 포함하는 입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빛을 상기 렌즈부를 향하여 반사하도록 상기 패턴부와 접촉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빛을 상기 렌즈부를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층과, 상기 패턴부와 상기 반사층 사이에 위치하여 두께에 따라 상기 반사층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의 색깔이 변하는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상에 코팅되어 상기 렌즈부를 보호하며, 상기 렌즈부의 초점거리보다 더 먼 지점에 상기 렌즈부를 통과한 빛이 포커싱되도록 하는 보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레진으로 이루어진 제1 보호층과, 상기 제1 보호층 및 상기 렌즈부 사이에 위치하여 빛의 투과가 가능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또는 상기 패턴부의 선폭은 5 nm 이상 2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상기 기저층 및 상기 패턴부의 두께는 30 ㎛ 이상 300 ㎛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필름.
  8. 렌즈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1 스탬프와 패턴부를 형성하기 위한 제2 스탬프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스탬프와 제2 스탬프 사이에 레진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레진의 냉각 후 상기 제1 스탬프와 상기 제2 스탬프를 분리하여 기저층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렌즈부와 상기 패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턴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저층의 타측 상에 빛을 상기 렌즈부로 향하여 반사하는 반사부를 코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입체 필름 제조 방법.
KR1020160107458A 2016-08-24 2016-08-24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22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458A KR20180022269A (ko) 2016-08-24 2016-08-24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7458A KR20180022269A (ko) 2016-08-24 2016-08-24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269A true KR20180022269A (ko) 2018-03-06

Family

ID=61727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7458A KR20180022269A (ko) 2016-08-24 2016-08-24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22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70B1 (ko) 2019-08-09 2020-08-07 한국기계연구원 색변환이 가능한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5833B1 (ko) 2020-07-27 2021-09-01 한국기계연구원 복합 나노패턴 임프린트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나노패턴 임프린트 템플레이트
KR20210143488A (ko) 2020-05-20 2021-11-29 한국기계연구원 색변환이 가능한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2380B1 (ko) 2020-07-31 2021-12-01 한국기계연구원 복합 나노패턴을 갖는 색변환 입체 홀로그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670B1 (ko) 2019-08-09 2020-08-07 한국기계연구원 색변환이 가능한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3488A (ko) 2020-05-20 2021-11-29 한국기계연구원 색변환이 가능한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95833B1 (ko) 2020-07-27 2021-09-01 한국기계연구원 복합 나노패턴 임프린트 템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나노패턴 임프린트 템플레이트
KR102332380B1 (ko) 2020-07-31 2021-12-01 한국기계연구원 복합 나노패턴을 갖는 색변환 입체 홀로그램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2269A (ko) 입체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20175664A (ja) 紙幣などのポリマーセキュリティ文書作製用の改良ポリマーシート材料、前記改良ポリマー材料の形成方法、及び前記改良ポリマーシート材料を使用して作製されるポリマーセキュリティ文書
KR101429755B1 (ko) 입체 보안필름 및 입체 보안필름을 구비한 사출품과 그 제조방법
JP6201289B2 (ja) 画像表示体及び情報媒体
KR20170084719A (ko) 위조 방지용 광학 소자
WO2018123465A1 (ja) 反射型拡散板、表示装置、投影装置及び照明装置
WO2017138480A1 (ja) フレネルレンズ及びフレネルレンズの製造方法
CN110936750A (zh) 光学防伪元件及防伪产品
KR101998086B1 (ko) 광각 재귀반사시트
TW201913223A (zh) 投影片及投影裝置
WO2017181442A1 (zh) 一种光学防伪元件及光学防伪产品
US11726237B2 (en) Light diffuser plate, image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2009186544A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WO2017150130A1 (ja) マーカ
JP2012068441A (ja) 導光板の製造方法
KR101087489B1 (ko) 하이-그로시 입체 시트 및 그 입체 시트 제조방법
US11555952B2 (en) Display and method of producing display
KR101120865B1 (ko) 돌출부를 구비한 입체 렌즈 시트 및 그 입체 렌즈 시트의 제조방법
JP2014240892A (ja) 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を形成するための転写箔の製造方法
KR101836682B1 (ko) 네일 팁 및 네일 팁의 제조방법
JP5267075B2 (ja) 表示体
JP2014046667A (ja) 情報表示媒体及びその真贋判定方法
WO2019183595A1 (en) Transparent illumination photolithography methods and systems
JP6213039B2 (ja) セキュリティーシート及びポリマー紙幣
JP5651957B2 (ja) 画像表示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