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122B1 -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 - Google Patents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122B1
KR101179122B1 KR1020110121824A KR20110121824A KR101179122B1 KR 101179122 B1 KR101179122 B1 KR 101179122B1 KR 1020110121824 A KR1020110121824 A KR 1020110121824A KR 20110121824 A KR20110121824 A KR 20110121824A KR 101179122 B1 KR101179122 B1 KR 10117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sheet
waterproof sheet
composit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환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Priority to KR102011012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시공되어지는 일반적인 방수공법에 있어서 도막방수공법의 건조지연과 경화반응불량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공기간 단축과 비용절감, 더 나아가서는 친환경적인 공법을 제공하고, 시트 방수 공법에 있어서 대표적인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의 열에 의한 변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강도, 내구성, 기계적 물성 내유성, 및 내마모성이 강하며, 신축성이 우수하여 유연하고 가벼우며 주름이 가지 않으며, 열에 잘 견디고 방수기능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즉 나일론 및 아크릴 섬유와 같은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 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 층과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과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 상도 도막방수제를 포함하는 시트방수공법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층은 열차단 도막코팅층, 합성섬유직물시트, 무기질탄성 도막중도방수제, 유리섬유직물시트(Fiber Glass Fabric), 무기질 보호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Complex fabric waterproof sheet using synthetic fibr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으로서 특히 인장강도, 내구성, 기계적 물성 내유성 및 내마모성이 강하며, 신축성이 우수하여 유연하고 가벼우며 주름이 가지 않으며, 열에 잘 견디고 방수기능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즉 나일론 및 아크릴 섬유와 같은 합성섬유를 이용하여 제작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의 옥상이나 상부 슬라브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에 있어서 가장 광범위하고 전통적인 방수공법으로 도막방수공법 중에는 아크릴 수지와 또는 EVA수지를 이용하여 시멘트, 규사, 무기충전제와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시공하는 무기질계 탄성 도막 방수공법과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고분자화한 폴리머에 여러 무기 충전제, 착색제를 혼합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공법이 있다. 그리고 시트방수공법으로 가장 대표적으로 아스팔트를 유화시켜 합성고무를 배합시킨 고무화 아스팔트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의 경우, 먼저 도막방수에 있어서 요즘과 같이 불확실한 기후조건 속에서 시공기간이 장기간 길어지고 잦은 비로 인한 건조지연과 특히 공기 중에 수분과 습기에 취약한 폴리우레탄방수에 가장 큰 하자발생의 원인이 되는 경화반응불량이 나타나서 이로 인해 방수층과 방수층 사이에 접착성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나타나고 시공 후에 내구성약화와 들뜸 현상과 박리사고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의 경우 주제와 경화제를 정해진 배합비로 현장에서 시공해야 하는 이유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현장작업자의 정확하지 않은 계량으로 혼합불량이 나타나서 본래의 물성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 폴리우레탄 도막방수는 혼합하여 도포한 후 경화되어 방수기능을 갖는 도막을 형성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며, 시공초기단계에서는 액상의 형태로 유지되므로 일반적인 콘크리트 바닥에서는 완전한 수평이 아니기 때문에 도포 시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름으로 인하여 일정한 두께의 도막을 형성하기 어려움으로 경화 후 얇은 층은 약한 외부 충격과 압력에 취약하여 도막파괴가 일어나 수회 시공과 보수를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9446호(발명의 명칭: 고분자 복합 방수 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적층한 건식 시트 방수 공법)에는 이러한 도막방수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고무화 아스팔트시트공법의 경우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를 합지하여 그 위에 중도층으로 무기질계 탄성도막방수나 폴리우레탄도막방수를 시공하고 상도층을 시공하고 있다. 하지만 공정횟수가 많아지고 인건비 지출이 증가되고 외부에 의한 열이 차단되지 않아 결국 직접 전달되는 열로 인해 변형이 되어 하자발생의 문제점이 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폴리우레탄도막방수의 경우 유기용제와 납(Pb), 프탈산다이옥틸 (DOP)와 같은 환경오염에 주범이 되는 화학 물질을 사용함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적인 새로운 방수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79446호 (공개일 2010.07.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들에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에 시공되고 있는 도막방수공법에서 발생하는 건조 및 경화에 따른 시공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또한 건조지연과 경화반응 불량으로 접착력이 약해지는 것으로 인해 나타나는 내구성 약화, 들뜸 현상, 박리현상을 방지하고, 특히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에서 현장에서 주제와 경화제를 정해진 배합비로 시공하는 것으로 인해 공정이 복잡해지고 현장작업자의 혼합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본래의 물성이 나오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공 후 현장의 공기 중에 수분과 습기로 인한 물성의 약화를 방지하고, 시공 초기 단계에서 액상의 형태로 인해 도막의 불균일성으로 나타나는 도막파괴를 방지하는 부분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특히 인장강도, 내구성, 기계적 물성 내유성, 및 내마모성이 강하며, 신축성이 우수하여 유연하고 가벼우며 주름이 가지 않으며, 열에 잘 견디고 방수기능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즉 나일론 및 아크릴 섬유와 같은 합성섬유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장점을 살려 상기 섬유 중 둘 이상 혼합하여 짜거나 부직포와 같이 합성섬유를 평행 또는 부정 방향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만든 합성섬유로 제작된 복합직물 일체형방수시트와 무용제형 우레탄방수 코팅제층을 제공하여 시트공법에 있어서 대표적인 고무화 아스팔트시트공법에서 열에 의한 변형으로 나타나는 하자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우수한 내구성과 강도를 가진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와 그 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존의 시트공법과 달리 시공 부위와 시트를 부착하여 시공하지 않는 절연 공법이기 때문에 시공이 되어지는 콘크리트 부위의 균열이 발생되더라도 방수시트층이 파단되어 지지 않으며 부풀림 현상이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와 그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현장에서 작업 전 사전 정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 부분을 10cm 이상 겹치게 한 후에 접합 부위를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로 접착한 후 양쪽 시트가 만나는 부분에 발생하는 면차를 잡아주기 때문에 이음매 불량으로 인한 하자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코팅제로 마감 도포 함으로 일정한 도막이 형성되어 외관이 미려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와 그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와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코팅제층을 통해 일반적인 폴리우레탄도막방수제를 사용함으로 나타나는 유기용제와 납(Pb), 프탈산다이옥틸 (DOP)등과 같은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은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 층과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과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상도 도막방수제를 포함한다.
상기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은 열차단 도막 코팅층, 합성섬유 직물 시트, 무기질탄성도막중도방수제, 유리섬유직물시트(Fiber Glass Fabric), 무기질 보호마감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차단도막코팅층은 아크릴수지 40~50중량%, 탄산칼슘 30~40중량%, 알루미나 실리케이트(Alumina Silicate) 10~20중량%, 물6.7~10중량%, 조색제 3~5중량%, 소포제 0.1~1중량%, 분산제0.1~1중량%, 증점제0.1~1중량%를 포함하고 합성섬유직물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중량%, 폴리아미드 섬유, 즉 나일론 100중량% 및 아크릴 섬유 100중량%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장점을 살려 상기 섬유 중 둘 이상 혼합하여 짜거나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만든 합성섬유로 구성되고, 무기질 탄성도막중도 방수제는 아크릴 에멀젼 30~40중량%, 시멘트 25~35중량%, 규사 7호사 25~35중량%, 물 5~10중량%, 첨가제 5~10중량%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코팅중량은 400~700g/㎡으로 이루어지고, 유리섬유직물시트(Fiber Glass Fabric)는 레노 플레인(leno plain)조직이며 밀도는 경사 5~10 count/inch, 위사 5~10 count/inch, 직물단위중량은 200~300 g/㎡, 수지함량10~15중량%를 사용하고, 무기질 보호마감제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에멀젼 20~30중량%, 규사 6호사 20~30중량%, 규사 7호사 20~30중량%, 시멘트 20~30중량%, 물 10~2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은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를 시공 면에 적층한 후 접합 부위를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로 접착하고 양쪽 시트가 만나는 부분에 발생하는 면차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는 아크릴수지 40~50중량%,탄산칼슘 50~6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형 반응 경화형 방수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트방수 공법은 바탕 면에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를 적층하는 단계와 이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 상에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과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코팅제를 마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복합 직물 일체형 방수 시트 층은 열차단도막코팅층, 합성섬유직물시트, 무기질 탄성 도막중도 방수제, 유리섬유 직물시트(Fiber Glass Fabric), 무기질 보호마감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는 바탕 면에 1~5mm의 두께로 적층되며, 상기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은 0.5~3mm의 두께로 마감 도포된다.
본 발명의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여러 장점이 있다.
첫째로, 기존에 시공되고 있는 일반적인 도막방수공법에서 발생하는 건조와 경화에 따른 시공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외부에 기후에 온도 변화에 따른 건조 지연과 경화반응불량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이로 인해 발생하는 내구성 약화, 들뜸 현상 박리현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둘째로,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의 우수한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통해 시트방수공법의 대표적인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 공법에서 나타나는 외부 온도와 열에 의한 변형으로 나타나는 하자 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은 현장에서 작업 전 사전 정리 작업이 불필요하며 시공 면과 시트를 부착하여 시공하지 않는 절연공법으로 인해 시공이 되어지는 콘크리트 부위에 균열이 발생하더라고 파단이 되어지지 않으며, 시트와 시트 사이의 접합부위에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과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코팅제로 마감 도포함으로 이음매로 인한 하자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일정하고 균일한 도막의 형성으로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로, 본 발명은 공장 규격화로 제작 공급이 되어지는 시트로 인해 공정의 숙련도가 요구되지 않아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공사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와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 제층을 통해 도막방수공법에 있어서 일반적인 폴리우레탄도막방수제를 사용 함으로 나타나는 유기용제와 납(Pb), 프탈산다이옥틸(DOP)등과 같은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공법이라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폴리우레탄도막방수공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여주는 도면
도2는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사용하였을 때 열에 의한 변형이 나타나는 문제점을 보여주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의 구성과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을 예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연 면섬유 및 합성섬유의 물성비교표를 나타낸 도면
도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와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의 물성비교도를 보인 도면
도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방수 공법의 시공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100:이하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라 약칭함)는 열차단 도막 코팅층(110), 합성섬유직물 시트층(120), 무기질탄성도막 중도방수제층(130), 유리섬유직물시트층(Fiber Glass Fabric)(140), 무기질 보호 마감재층(1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작된 복합직물 일체형방수시트에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200)과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300),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 상도 도막방수제를 사용하는 시트방수공법을 포함한다.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100)는 열차단도막코팅층(110)상에 합성섬유 직물 시트층(120)과 무기질 탄성도막중도방수제층(130)과 유리섬유 직물 시트층(Fiber Glass Fabric)(140)과 무기질 보호마감재층(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합성섬유직물시트층(120)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합성섬유 직물시트 일면에 무기질 탄성도막중도방수제층(130)과 유리섬유 직물 시트층(Fiber Glass Fabric)(140)과 무기질 보호마감재층(150)이 순차적으로 적층이 되고 합성섬유직물시트 타면에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 방지를 위한 열차단도막코팅층(110)이 코팅되어 있다.
이하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를 이루는 구성요소들의 성분 및 특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열차단도막코팅층(110)은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변형 방지를 위해 아크릴수지는 Tg(Glass Transition Temperature;유리전이온도) 0~10도를 사용할 시 가장 안정하고 우수한 부착력을 나타내며 아크릴수지 40~50중량%, 탄산칼슘 30~40중량%, 알루미나 실리케이트(Alumina Silicate) 10~20중량%, 물6.7~10중량%. 조색제 3~5중량%, 소포제 0.1~1중량%, 분산제 0.1~1중량%, 증점제0.1~1중량%로 구성된다. 여기에 열차단기능을 하는 알루미나 실리케이트(Alumina Silicate)가 주성분인 세라믹 미세 중공체 분말(micro-hollow ceramic powder)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뛰어나고 진공상태의 구형 분말이 균일하게 코팅되어 단열층을 형성하여 외부 온도변화에 따른 변형을 방지한다.
합성섬유직물시트층(120)은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의 외부 변화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하게 하며 방수층에 균일한 기본 바탕층을 제공한다. 이러한 합성섬유직물시트는 인장강도, 내구성, 기계적 물성 내유성, 및 내마모성이 강하며, 신축성이 우수하여 유연하고 가벼우며 주름이 가지 않으며, 열에 잘 견디고 방수기능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중량%, 폴리 아미드 섬유, 즉 나일론 100중량% 및 아크릴 섬유 100중량%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장점을 살려 상기 섬유 중 둘 이상 혼합하여 짜거나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만든 합성섬유로 구성되고, 합성섬유의 중량은 200~300g/㎡으로 한다.
무기질 탄성도막중도방수제층(130)은 합성섬유직물시트층(120)과 유리섬유 직물 시트층(140)를 강한 접착력으로 부착하여 일체화 시키는 역할을 하며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의 주방수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무기질 탄성도막중도방수제층(130)의 주원료는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으로서 접착력이 우수한 Tg(Glass Transition Temperature;유리전이온도) -10 ~ -15도, 고형분 50중량%으로 하며 구성은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 30~40중량%, 시멘트 25~35중량%, 규사 7호사 25~35중량%, 물 5~10중량%, 첨가제 5~10중량%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코팅중량은 400~700g/㎡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성분배합비는 합성 섬유직물시트층(120)과 유리섬유 직물 시트층(Fiber Glass Fabric)(140)를 접착하고 방수성과 신장률과 탄성에 요건에 충족되는 적합한 수치이다.
유리섬유 직물 시트층(Fiber Glass Fabric)(140)은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의 중심기재로서 변형 방지기능과 인장강도와 내구성을 제공하며 여기에 사용하는 유리섬유 직물은 레노 플레인(leno plain)조직이며 밀도는 경사 5~10 count/inch, 위사 5~10 count/inch, 직물단위중량은 200~300 g/㎡, 수지함량10~15중량%를 사용할 때 가장 우수하고 안정된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를 나타낸다.
무기질 보호마감재층(150)은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의 하부의 마감 면을 강화하고 외부의 강한 충격을 견딜 수 있고 일정한 두께를 무기질 보호층을 형성하며 열변형률이 낮아 외부 온도 변화에 따른 일반적인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의 열에 의한 변형이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의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의 물성을 비교 분석한 물성비교를 보인 도면이다. 열에 의한 변형을 나타내는 내열성능(흘러내림 길이)-KS F 4917:2007 기준에서 0.1mm 이하로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에 비해 외부 온도 변화 따른 문제점이 확실하게 개선 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무기질 보호마감재층(150)의 구성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에멀젼 20~30중량%, 규사 6호사 20~30중량%, 규사 7호사 20~30중량%, 시멘트 20~30중량%, 물 10~2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은 상기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를 시공 면에 적층한 후 접합 부위를 아크릴계 퍼티 접착제로 접착하고 양쪽 시트가 만나는 부분에 발생하는 면차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는 아크릴수지 40~50중량%, 탄산칼슘 50~6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크릴계 퍼티접착제의 주성분이 되는 아크릴수지는 Tg(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유리 전이온도) -15도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며 그 이유는 겔 모양의 퍼티가 되어서 가장 안정된 물성과 작업성 및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복합직물일체형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 부분을 10cm 이상 겹치게 한 후에 접합 부위를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로 접착하기 때문에 양쪽 시트가 만나는 부분에 발생하는 면차를 잡아주어 이음매 불량으로 인한 하자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300)은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에 0.5~3mm의 두께로 마감 도포되어지며 이는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층에 우수한 부착성으로 방수성능, 색상 및 광택성, 내마모성을 제공한다.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300)은 도막방수공법에 있어서 일반적인 폴리우레탄도막방수제를 사용함으로 나타나는 유기용제와 납(Pb), 프탈산 다이옥틸(DOP)등과 같은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은 친환경적인 공법이라는 장점이 있다.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300)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2액형 반응 경화형 방수제로 형성된다.
상기 주제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폴리올(polyether-polyester pol yol), 바륨설페이트(barium sulfate), 조색제, 제습제, 분산제, 소포제,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경화제는 상기 주제 성분 100 중량부 대비 50~100 중량부의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계 화합물의 경화제로 구성된다
상기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300)은 0.5~3mm의 두께로 마감 도포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방수 공법의 시공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탕면에 열차단도막코팅층(110)상에 합성섬유직물 시트층(120)과 무기질 탄성도막중도방수제층(130)과 유리섬유 직물 시트층 (140)과 무기질 보호마감재층 (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층에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200)과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300),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 상도 방수제를 마감 도포 한다. 이때 복합직물 일체형 방수시트층은 내열성능 (흘러내림 길이) 0.1mm 이하 이며 1~5mm의 두께로 적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 직물일체화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시트방수공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지식이 있다고 할 수 있다.

Claims (7)

  1.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이음매 접착층; 및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 상도 방수제;
    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이:
    열차단도막코팅층; 합성섬유직물시트층; 무기질 탄성도막중도 방수제층; 유리섬유직물시트층; 및 무기질 보호마감재층;
    을 포함하는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도막코팅층은,
    아크릴수지 40~50중량%, 탄산칼슘 30~40중량%, 알루미나 실리케이트(Alumina Silicate) 10~20중량%, 물 6.7~10중량%, 조색제 3~5중량%, 소포제 0.1~1중량%, 분산제 0.1~1중량%, 증점제 0.1~1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합성섬유직물시트층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100중량%, 폴리아미드 섬유, 즉 나일론 100중량% 및 아크릴 섬유 100중량%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장점을 살려 상기 섬유 중 둘 이상 혼합하여 짜거나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된 합성섬유로서 그 중량은 200~300g/㎡로 구성되고,
    상기 무기질 탄성도막중도 방수제층은,
    아크릴 에멀젼 30~40중량%, 시멘트 25~35중량%, 규사 7호사 25~35중량%, 물 5~10중량%, 첨가제 5~10중량%로 포함하여 구성되고 코팅중량은 400~700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리섬유직물시트층((Fiber Glass Fabric)은,
    레노 플레인(leno plain)조직이며 밀도는 경사 5~10count/inch, 위사 5~10 count/inch, 직물단위중량은 200~300 g/㎡, 수지함량 10~15중량%를 사용하고,
    상기 무기질 보호마감재층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에멀젼 20~30중량%, 규사 6호사 20~30중량%, 규사 7호사 20~30중량%, 시멘트 20~30중량%, 물 10~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
  4. 시공 바탕면에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을 적층하는 단계;
    상기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에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 이음매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트 이음매 접착층과 상기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에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제층 또는 아크릴계 무기질 상도 방수제를 마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은, 열차단도막코팅층; 합성섬유직물시트층; 무기질 탄성도막중도 방수제층; 유리섬유직물시트층; 및 무기질 보호마감재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방수공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 이음매 접착층은 아크릴수지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유리전이온도) -15도, 40~50중량%, 탄산칼슘 50~6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복합직물일체형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 부분을 10cm 이상 겹치게 하여 접착하고 이 때 형성된 접합 부위의 면차를 잡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방수공법.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은 내열성능(흘러내림길이) 0.1mm 이하 이며 1~5mm의 두께로 적층되며,
    상기 아크릴계 퍼티접착제를 이용한 시트 이음매 접착층은 복합직물 일체형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 부분을 10cm 이상 겹치게 하여 접착되고,
    상기 무용제형 우레탄 방수 코팅층은 상기 복합직물일체형 방수시트층에 0.5~3mm의 두께로 마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방수공법.

KR1020110121824A 2011-11-21 2011-11-21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 KR10117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824A KR101179122B1 (ko) 2011-11-21 2011-11-21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1824A KR101179122B1 (ko) 2011-11-21 2011-11-21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122B1 true KR101179122B1 (ko) 2012-09-07

Family

ID=4707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824A KR101179122B1 (ko) 2011-11-21 2011-11-21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1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105B1 (ko) * 2012-03-23 2014-07-04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요철이 형성된 지붕 판넬용 차열복합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490150B1 (ko) * 2013-05-10 2015-02-06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기도막과 우레탄을 이용한 고강도 복합방수시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608250B1 (ko) * 2014-11-07 2016-04-01 한호희 특장차용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73B1 (ko) 2007-03-09 2008-01-10 송병창 단위체로 생산된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현장에서의방수층 시공방법
KR101020646B1 (ko) 2010-10-29 2011-03-09 정춘수 섬유에 파일사 필라를 형성한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073B1 (ko) 2007-03-09 2008-01-10 송병창 단위체로 생산된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현장에서의방수층 시공방법
KR101020646B1 (ko) 2010-10-29 2011-03-09 정춘수 섬유에 파일사 필라를 형성한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복합방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105B1 (ko) * 2012-03-23 2014-07-04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요철이 형성된 지붕 판넬용 차열복합시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490150B1 (ko) * 2013-05-10 2015-02-06 주식회사 이파엘지종합특수방수 무기도막과 우레탄을 이용한 고강도 복합방수시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1608250B1 (ko) * 2014-11-07 2016-04-01 한호희 특장차용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150B1 (ko) 무기도막과 우레탄을 이용한 고강도 복합방수시트 제작 및 시공방법
KR102131031B1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US6468643B1 (en) Laminated product
KR100908457B1 (ko)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KR100921676B1 (ko) 무용제 우레탄 방수제가 코팅된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시트 구조체 및 복합 시트 방수 공법
KR101902830B1 (ko) 도막재와의 결합력을 증강시키기 위한 4중 절연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그 복합방수공법
KR101736146B1 (ko) 친환경 보호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20036574A (ko) 단열부직포를 이용한 복합시트 구조체 및 그를 이용한 복합시트 방수 공법
KR100982820B1 (ko) 수용성 도막방수제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443457B1 (ko)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KR1011280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공법
KR101361910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고분자 복합시트의 일체화 방수 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102097655B1 (ko) 이음부가 없는 수용성 복합 방수구조 및 시공방법
KR101179122B1 (ko) 합성섬유를 이용한 복합직물일체형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공법
KR101328679B1 (ko) 고무화 아스팔트 시트와 혼합섬유직물을 이용한 차열복합방수시트 구조체 및 차열복합방수시트공법
KR101408630B1 (ko) 수용성 복합시트 방수공법
KR101321734B1 (ko) 단열성능을 가진 고분자 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 시트 방수공법
KR101843811B1 (ko) 아크릴계 공중합 액상수지 및 무기질계 분체 복합 하이브리드 방수재
KR101923918B1 (ko) 고인장 초속경화형 폴리우레아 조성물을 이용한 구조보강방법
KR100896504B1 (ko) 자기 수평성이 우수한 하이브리드 무기 도막 방수제의 상도용 무용제 우레탄 코팅제
KR101332646B1 (ko) 단열성능을 가진 이중복합직물방수시트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복합단열시트 방수공법
KR20160044820A (ko) 건축물의 복합 방수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20055567A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용 시트 및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수·보강방법
KR101569973B1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51845B1 (ko) 고분말도 파우더 및 ? 파이버를 포함하는 수용성 탄성 도막 방수제 및 니들 펀칭으로 제조된 섬유 부직포를 포함하는 메쉬형 섬유 보강 시트를 이용한 방수 구조 및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