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875B1 -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 Google Patents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875B1
KR101178875B1 KR1020080133250A KR20080133250A KR101178875B1 KR 101178875 B1 KR101178875 B1 KR 101178875B1 KR 1020080133250 A KR1020080133250 A KR 1020080133250A KR 20080133250 A KR20080133250 A KR 20080133250A KR 101178875 B1 KR101178875 B1 KR 10117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formwork
high toughness
bridge construction
concret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742A (ko
Inventor
황윤국
김정호
박경훈
이상윤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8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Abstract

본 발명은 고인성 콘크리트로 미리 제작된 "U"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통상의 콘크리트를 그대로 타설하여 거더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하는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푸집과 그 내부에 타설되는 내측 콘크리트에 대한 실질적인 일체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추가적인 시공 없이도 그대로 현장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푸집을 사용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는 서로 완전히 일체화가 되므로 이후에 거푸집을 탈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공사 기간과 건설폐재가 줄어들며, 성분적으로 콘크리트와 일치되는 시멘트 자재를 사용하므로 이질적인 자재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완벽히 보완할 수 있고, 종래의 피복재로 사용하던 폴리머 시멘트보다 몇 배 높은 강도와 인성(휨 강성)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교량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고인성 콘크리트, "U"형 거푸집,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 교량가설공법

Description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USING HIGH-TOUGHNESS CONCRETE}
본 발명은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합판, 강재 거푸집과 같은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대신 고인성 콘크리트로 미리 제작된 "U"형 거푸집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통상의 콘크리트를 그대로 타설하여 거더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교량을 가설함으로써 거더의 단면 감소와 같은 설계 효율을 증가시키고, 공정을 단순화하여 공기를 단축하며, 보다 큰 크기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단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교량의 노후화로 인해 발생되는 교량의 교체수요와 도심지 입체교차로의 건설수요가 증가하면서 빠른시간 안에 교량을 가설하기 위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의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Girder)는 슬래브(slab)의 자중과 상기 슬래브 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며, 작용하는 하중을 교량 하부구조물인 기둥 또는 교각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교량용 구조부재로서, 교량용 콘크리트 거더의 제작은 그 내부에 긴장재를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제작된다.
종래의 교량용 거더는 보통 철근콘크리트 거더(Reinforcerd Concrete Girder, RC거더) 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Prestressed Concrete Girder, PSC 거더)가 있는데, 이들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할 경우 합판 및 강재거푸집을 사용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이질재료를 사용하여 탈형 시, 그 경계면에 자국이 남는 등 면 마감 처리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거푸집(1A)의 외벽(10)으로, 외벽은 1개 또는 복수개의 섬유보강 고인성 보드(11)를 조립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보드(11)는 시멘트계 성분으로 만들어지므로서 충전재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공법과 같이 외벽을 제거하는 단계가 필요 없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거푸집 외벽(10)은 다른 외벽과 같이 사용되어 거푸집을 만들거나, 보수, 보강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외벽(10)의 형상은 필요에 의해 굴곡 시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내벽과 같은 구조물의 보수 공법 시에는 외벽(10)을 구성하는 보드(11)를 반원형으로 굴곡시킴으로서, 터널 내벽의 곡률에 대응한 외벽을 조립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의 거푸집(1A)에 구비된 외벽(10)의 보드(11) 내측에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12)를 고정구(13)로 고정시킨 다른 구조의 거푸집(1B)의 단면도이다. 즉, 종래의 콘크리트 대신 강화섬유로 제조된 격자형 보강 재(12)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보강재(12)는 고정구(13)를 통하여 보드(11)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13)는 보강재(12)가 삽입되는 삽입구로서 홈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13a)은 고정구(13)의 일측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12)가 삽입된 고정구(13)를 보드(11)에 부착하는 경우, 보강재(12)는 고정구(13)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데, 이 사이로 충전재가 매입되므로 보강재(12) 전체를 충전재가 감싸게 된다. 이로 인해 시공 후 구조물의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강재(12)의 강화섬유로는 탄소, 유리, PVA, 아라미드, PBO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고정하는 고정구(13)로서는 시멘트계,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재로서는 시멘트계, 콘크리트, 수지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고정구(13)를 보드(11)에 부착하기 위해, 고정구(13) 일측에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고정구(1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구멍(13b)을 형성하여, 이 관통구멍(13b)에 앵커(확장형, 볼트형, 리벳형), 콘크리트 못등의 고정용 핀을 사용하게 된다.
도 1c는 또 다른 종래 거푸집(1C)의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1C)은 보드(11)의 내측에 고정구(13)를 부착시키고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12)를 고정구(13)의 삽입홈(13a)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보드(11)는 구조물 또는 또 다른 보드(11)에 대해 간격유지구(14)를 통해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간격유지구(14)는 양측에 보드(11)의 내측에 접촉하여 보드(11)를 지지하는 콘(cone)(14a)이 배치되고 이 콘을 관통하는 일자형 봉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구조의 콘(cone)(14a)은 시멘트계 성분으로 이루어져 충전재로 콘크리트를 매설하는 경우, 양생 후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콘(14a)은 그 이외에도 세라믹이나 금속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1d는 고인성 시멘트계 보드(11)를 조립한 두개의 보드(11)를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만든 종래의 또 다른 거푸집(1D)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1D)은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12)를 고정구(13)를 통해 보드(11)에 고정하고, 이러한 보드(11) 두개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거푸집을 만든다. 이때 보드(11)사이에는 간격유지구(14)를 삽입하여 두 보드(11)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모든 시멘트계 보드(11) 또는 이를 이용한 거푸집(1A)(1B)(1C)(1D)의 경우, 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 확보에 대한 검증이 어려워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거푸집(1A)(1B)(1C)(1D)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콘크리트 거더는 필연적으로 철근의 배근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수반되어 이로 인해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콘크리트 거더는 교량 단면에서 중립축은 대략 거더의 중간정도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중립축(P) 하부에서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중립축(P) 상부에서는 압축응력이 발생한다. 한편 일반적인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에 대한 지지능력이 우수한 반면, 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에 대하여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거더는 중립축(P) 하부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철근을 많이 배치하고, 중립축(P) 상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콘크리트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도록 단면 설계가 이루어진다.
종래의 콘크리트 거더는 원하는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설계단면이 커지게 되어 설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며, 철근을 다량 투입하여야 하므로 배근 작업에 관련하여 공사기간이 오래 필요하고, 결과적으로 과도한 재료비가 필요함은 물론 시공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가능하며 내진 성능 및 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부 콘크리트와의 일체거동의 확보가 용이하며, 콘크리트 이질재료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없고, 추가적인 연구 없이 현장에 적용 가능한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가설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섬유가 내부에 보강되어 일반적인 콘크리트에 비해 연성능력이 우수한 고인성 콘크리트를 활용하여 거더를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인장응력 허용치를 높여 단면 감소와 같은 설계의 효율은 증가시키고, 공정을 단순화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가설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인장응력에 여유가 있으므로 보다 큰 크기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단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제작된 교량가설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하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형태로 제작한다. 이러한 고인성 콘크리트에 의한 거푸집은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면과 내측면으로 구분되어 먼저 외측면은 일반 콘크리트처럼 소정의 두께를 가진 거푸집의 외측부를 지칭하게 되며, 내측면에는 일반 콘크리트인 내측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일체화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내부에 내측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도록 다양한 전단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에 내측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대로 구조물 전단면이 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교량가설공법은 고인성 콘크리트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거푸집이 공장 또는 제작장에서 미리 제작되어 운반되며, 운반된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교량 가설위치에 거치 시킨 뒤,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푸집 내부와 바닥판 거푸집에 고인성 콘크리트가 아닌 일반 콘크리트인 내측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교량가설공법을 활용함으로써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에 고인성 콘크리트를 배치하여 콘크리트 인장응력 허용치를 높이고, 단면 감소와 같은 설계의 효율을 증가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를 활용하여 공정을 단순화하고 교량 건설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인장응력에 여유가 있으므로 보다 큰 크기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거더 단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 종이상을 포함하는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푸집과 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대한 실질적인 일체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추가적인 시공 없이도 그대로 현장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푸집을 사용하여 타설된 콘크리트는 서로 완전히 일체화가 되므로 이후에 거푸집을 탈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공사 기간과 건설폐재가 줄어들며, 성분적으로 콘크리트와 일치되는 시멘트 자재를 사용하므로 이질적인 자재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완벽히 보완할 수 있고, 종래의 피복재로 사용하던 폴리머 시멘트보다 몇 배 높은 강도와 인성(휨 강성)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은 같은 규격의 폴리머 몰타르에 비하여 2배에서 3배 이상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인성(휨강성)은 종래의 시멘트계 재료와는 이례적인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외부 마감재로 사용 시 뛰어난 보강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팽창계수가 일반 콘크리트와 같으므로 콘크리트의 움직임과 함께 거동하므로 보강재로서 매우 이상적이며, 종래 불가능했던 형태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인성 콘크리트를 활용하여 공장 또는 제작장에서 거푸집이 미리 제작되어 운반되며, 운반된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푸집을 교량 가설위치에 거치 시킨 뒤,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푸집 내부와 바닥판 거푸집에 고인성 콘크리트가 아닌 일반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에 고인성 콘크리트를 배치하여 콘크리트 인장응력 허용치를 높여 단면 감소와 같은 설계의 효율은 증가시키고,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를 활용하여 공정을 단순화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인장응력에 여유가 있으므로 보다 큰 크기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단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300)는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하는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부재로서의 내측 콘크리트(200)와 일체화되어 그 외부면을 구성하도록 제작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제작한다.
상기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소정의 두께로 제작하되 패널 또는 보드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외측면(110) 및 내측면(120)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외측면(110)은 외부에 노출되며, 내측면(120)에는 일반적인 콘 크리트의 내측 콘크리트(200)가 타설되어 충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U"형의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100)를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어 일체로 형성된 일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내측 콘크리트(200)를 갖는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U"형의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콘크리트(200)는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내부 공간에 충전되어 일체로 형성된 일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들은 일체로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콘크리트 거푸집(100)와 내측 콘크리트(200)의 상부에는 슬래브(310)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과 내측 콘크리트(200) 사이에 형성된 전단연결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중립축(P) 하부에서 인장 응력을 담당하고, 중립축(P) 상부에서는 상기 내측 콘크리트(200)와 함께 압축 응력을 담당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300)는 고인성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의 두 이질재료를 합성하여 거더단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두 이질 재료의 합성거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전단연결부(140)가 마련된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내부에 철근이 배근되고, 상기 내측 콘크리트(200)는 무철근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단면 강성 증대에 필요한 경우 철근을 배 근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이질 재료간의 연결을 위한 전단연결부(14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146)을 이용한 전단연결 방법과,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내부에 돌기(148)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철근(146)을 이용하는 전단연결 방법은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제작하기 위해 철근(146)을 조립하면서 폐합철근을 미리 배치하여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과 일반 콘크리트의 합성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내부에 돌기(148)를 형성하는 방법은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에 철근(146)을 배근하는 경우와 배근하지 않는 경우 모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는 돌기(148)가 측면에만 설치되어 있지만 하면에도 돌기(148)를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300)는 최종적으로 형성된 단면에서 중립축(P)은 대략 거더의 중간정도 높이에 위치하게 되며, 교량에 가설되는 경우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중립축(P) 하부에서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중립축(P) 상부에서는 압축응력이 발생한다.
일반적인 콘크리트는 압축응력에 대한 지지능력이 우수한 반면, 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에 대하여 매우 취약한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최종 형성된 단면의 중립축(P) 상부의 단면에는 일반 콘크리트가 주로 배치되고 중립축(P) 하부에서는 고인성 콘크리트가 주로 배치되도록 하여, 두 재료의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재료의 배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중립축(P) 하부의 일반 콘크리트는 설계 계산상에서 무시하도록 하여 안전한 설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철근콘크리트 교량의 통상의 설계에서 인장응력은 하부에 배치된 철근이 지지하고, 압축응력은 상부에 배치된 철근과 콘크리트가 지지하는 개념으로 설계가 이루어진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300)는 하부에 배치된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연성능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인장에 저항하는 단면에 콘크리트 단면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단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300)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내부에 채워지는 내측 콘크리트(200)는 주로 중립축(P) 상부에 배치되어 압축력에 저항하게 되고,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에 의한 연성능력이 충분하거나 철근에 의한 단면 강성 증대의 필요가 없는 경우 철근을 배근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재료비의 절감은 물론 시공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철근없이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설계는 고인성 콘크리트에 대한 적절한 허용 인장응력을 기준으로 설계하중에 의해 기준을 넘지 않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제작하기 위한 고인성 콘크리트의 제조 공종을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에서 사용되는 고인성 콘크리트는 여러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의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다.
즉,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6:4~1:2~3의 혼합비로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쉬 및 메타카올린이 배합되어 이루어진 광물질 혼화재 10~40 중량부, 100±5℃에서 절대건조상태로 만든 입경 5mm 이하인 모래 100~130 중량부, 및 710:13의 혼합비로 CSA계 팽창재 및 글로콜즈계 수축저감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진 수축 저감재 5~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1.05중량%,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감수제 0.5~4중량% 및 증류수 94.95~99.4중량%로 구성된 고성능 배합수를 제조하는 제2 단계를 거친 다음, 상기 제2 단계에서 제조된 고성능 배합수를 기준으로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자기충전형 결합재의 비로서 고성능 배합수/자기충전형 결합재의 비가 0.2~0.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고성능배합수와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혼합하여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3 단계를 거친다.
그리고 상기 시멘트 복합체에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시멘트 복합체의 체적비 기준으로 1~5체적% 범위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물질 혼화재와 수축 저감재, 고성능 배합수를 각각 제작하여 이들로부터 자기충전형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즉 고인성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 광물질 혼화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으로, 그 혼합비는 4~6:4~1:2~3의 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5:3:2의 비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광물질 혼화재는 슬럼프, 슬럼프플로우, 섬유의 분산성, 강도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광물질 혼화재의 혼합비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지만, 일반적으로 고로슬래그는 30~70% 정도,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는 30% 이내로 콘크리트에 사용되나, 시공성을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광물질 혼화재를 가능한 다량으로 사용해야 할 뿐 아니라 고로슬래그는 시멘트 복합체에 점성을 주어 섬유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플라이애쉬는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메타카올린은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각각 갖는데 반해, 메타카올린은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이 있으므로, 이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로슬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다음은 플라이애시, 메타카올린의 순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수축 저감재로는 CSA(Calcium sulfoalumiante)계 팽창재와 글로콜즈계 수축저감제가 배합되어 얻어지는 것으로, 그 혼합비는 7~10:1~3의 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9:2의 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팽창재를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팽창량이 과다하여 팽창에 의한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 및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수축저감제를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수축저감제 자체가 고가이고, 유동성이 저하의 원인이 되 기 때문에,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상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양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합한 광물질 혼화재와 수축 저감재는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광물질 혼화재 10~40 중량부, 100±5℃에서 절대건조상태로 만든 입경 5mm 이하인 모래 100~130 중량부, 및 수축 저감재 5~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물질 혼화재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4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20~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슬럼프, 슬럼프플로우, 섬유의 분산성, 강도면에서 볼 때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래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사용되는 5mm 이하로서 100±5℃에서 절대건조상태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는 시멘트와 광물질 혼화재 등과 프리믹싱 형태로 하면서 보관기간 동안 시멘트, 광물질 혼화재 및 수축저감재 등의 수분과 접촉하여 반응하여 수화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모래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0~1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약 1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축저감재는 자기 충전형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고인성 콘크리트)의 수축을 저감시킴으로써 균열발생을 저감시켜 고성능 콘크리트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그 첨가량은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이면 충분하고, 약 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구성하는 혼합물의 적절한 배합을 돕기 위하여 배합 후 30~50rpm의 속도로 8~10분간 혼합한 다음 분말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에서 먼지 등의 비산되므로 낮은 속도로 2차 혼합하여 비산되는 먼지의 양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10~20rpm의 속도로 2~4분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혹은 별도로, 순차적으로 고성능 배합수를 제조한다. 상기 고성능 배합수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 감수제, 증류수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때 그 함량은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1.05중량%, 및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감수제 0.5~4중량%에 그 잔부로서 증류수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는 시멘트 복합체에 증점제를 혼입되어 슬럼프 및 슬럼프플로우가 감소하였으나, 섬유가 점성이 증가된 시멘트 복합체와 일체화가 되어 섬유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증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은 0.1~1.05중량%를 사용하면 좋고, 0.3~0.중량%를 사용하면 자기충전형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고성능 감수제로서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 폴리카본산계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칼본산계 고성능감수제는 정전기적인 반발력과 고분자 흡착층의 상호작용에 의한 입체반발력(입체장해 작용)에 의해 높은 감수효과가 발휘되고, 멜란민계 고성능감수제는 정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한 효과가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자기충전형 섬유보강시멘트 복합체에서 고성능감수제의 흡착에 의한 입체장해효과가 유동성 역할을 수행하는 폴리카본산계 고성능감수제를 사 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보다 유리한 것이다.
이때 폴리카본산계 고성능감수제는 0.7~2.0중량%를 그리고 멜라민계 고성능감수제는 0.7~3.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성능감수제들은 고성능 배합수의 구성비를 감안하여 볼 때 고형분 함량이 20% 정도인 제품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이어서 500~1,000rpm의 고속으로 3~5분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또한 완전 용해를 돕는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고속 혼합시 고성능감수제, 증점제 및 증류수가 잘 혼합되어 이들 재료사용의 효과가 잘 나타나는 이유도 있지만, 믹싱이 잘 되지 않을 경우에는 장시간 보관할 경우에는 다시 각각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고속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고성능 배합수를 기준으로 자기충전형 결합재가 0.2~0.5의 비를 만족하도록 상기 고성능배합수와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혼합하여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한다. 이때 고성능배합수/자기충전형 결합재의 비가 0.2보다 작으면 강도가 증가되고, 0.5를 초과하면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현재 사용되는 고강도, 보통강도를 모두 포함시킬 수 있는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균일한 배합을 돕기 위하여 상기 40~60rpm의 속도로 5~7분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시멘트 복합체에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투입하여 함으로써 자기충전형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섬유의 함량은 1~5체적% 범위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2체적% 정도를 투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같은 섬유의 혼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갑작스런 파괴, 취성파괴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강도 등을 증가시켜 인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섬유의 혼입효과는 1%정도부터 발휘되고, 혼입량이 많을수록 그 효과는 뛰어나지만 혼입량이 증가하면 경제성, 시공성 저하 등 문제가 뒤따르며, 5%까지는 배합이 가능하나, 그 이상부터는 배합이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섬유로서 2% 정도를 혼입하여 사용하면 성능, 시공성 등을 감안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이다. 또한, 사용가능 섬유로는 강섬유, PVA 섬유 이외에도 PE, PP, 셀룰로우스섬유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같이 섬유를 투입한 다음 20~30rpm의 속도로 1~2분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자기충전형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즉 고인성 콘크리트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4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콘크리트 거더 교량을 가설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400)은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하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U"형의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제작하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교량 가설위치에 거치시키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내부 공간에 일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내측 콘크리트(200)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과 내측 콘크리트(200)의 상부에 슬래브(310)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310)를 콘크리트 타설하는 단계들을 포함하여 교량을 가설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400)은 크게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미리 제작하고,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교량 가설위치에 거치시키며, 일반 콘크리트의 내측 콘크리트(200)를 타설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콘크리트(200)와 슬래브(310)를 순차적으로 타설하거나,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콘크리트(200)와 슬래브(310)를 동시에 타설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400)은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일체로 제작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는 경우,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 및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분절 제작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각각의 경우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일체로 제작하고 내측 콘크리트(200)를 타설한 다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지 않는 경우는 가장 기본 적인 방법으로서 그 시공순서는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서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일체로 제작하고 내측 콘크리트(200)를 타설한 다음,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가설방법(400)은 필요에 따라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그 시공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제작한다. 그리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에 긴장재(330)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 힘을 도입하고 가설 위치에 거치시킨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된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내부에 내측 콘크리트(200)를 타설한다.
그리고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콘크리트(200)가 양생된 뒤에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310)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 시공기간은 길어질 수 있으나 슬래브(310)가 타설되는 시점에서 슬래브(310)의 콘크리트에 의한 자중에 저항하는 단면에 내측 콘크리트(200) 단면이 추가되어 단면강성이 커짐으로써 단면이 축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콘크리트(200)와 슬래브(310)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하여 한번에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공하는 경우에는 단면이 다소 커질 수는 있으나 시공기간이 짧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인 콘크리트에 긴장재(330)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편심에 작용하는 프리스트레스 힘에 의한 휨모멘트에 의해 압축응력이 최대가 되는 단면의 반대측 단면에서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해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큰 프리스트레스 힘을 도입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인장응력에서도 저항할 수 있는 연성능력이 있으므로, 인장응력이 발생하더라도 허용 한계치까지 보다 큰 프리스트레스 힘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단면의 효율을 보다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400)은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분절 제작하고,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그 적용 대상 교량의 길이가 길어서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일체로 제작하여 현장까지 운반하기 어려운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에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분절하여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여 가설하는 방법이 이용되며, 그 가설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분절 세그멘트(100a)로 제작하고, 분절 제작된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분절 세그멘트(100a)들을 현장에 운반하여 조립대(360)에 거치한다.
그리고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 집(100)에 긴장재(330)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 힘을 도입하여 조립한 뒤 교량 가설 위치에 거치시킨다. 이때 조립을 위해 전단면에 압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웹 부분에도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각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세그먼트(100a) 사이에는 전단키(370)를 두어 전단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거푸집(100)의 내부에 내측 콘크리트(200)를 타설한다.
그리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콘크리트(200)가 양생된 뒤에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310)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완성시킨다.
또한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100) 위에 슬래브(310) 철근을 조립하고, 내측 콘크리트(200)와 슬래브(310)를 함께 한번에 콘크리트 타설하여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콘크리트 거푸집(100)과 그 내부에 타설되는 내측 콘크리트(200)에 대한 실질적인 일체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추가적인 시공 없이도 그대로 현장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구조물 외부에 고인성 콘크리트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내진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 자체의 내진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사용하여 타설된 내측 콘크리트(200)는 서로 완전히 일체화가 되므로 이후에 거푸집을 탈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공사 기간과 건설폐재가 줄어들며, 성분적으로 콘크리트와 일치되는 시멘트 자재를 사용하므로 이질적인 자재로 인하 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완벽히 보완할 수 있고, 종래의 피복재로 사용하던 폴리머 시멘트보다 몇 배 높은 강도와 인성(휨 강성)을 가지고 있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이 같은 규격의 폴리머 몰타르에 비하여 2배에서 3배 이상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인성(휨강성)은 종래의 시멘트계 재료와는 이례적인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외부 마감재로 사용 시 뛰어난 보강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팽창계수가 일반 콘크리트와 같으므로 콘크리트의 움직임과 함께 거동하므로 보강재로서 매우 이상적이며, 종래 불가능했던 형태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고인성 콘크리트를 활용하여 공장 또는 제작장에서 거푸집(100)이 미리 제작되어 운반되며, 운반된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푸집(100)을 교량 가설위치에 거치 시킨 뒤,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푸집(100) 내부와 슬래브(310) 거푸집에 고인성 콘크리트가 아닌 일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위치에 고인성 콘크리트를 배치하여 콘크리트 인장응력 허용치를 높여 단면 감소와 같은 설계의 효율은 증가시키고,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300)를 활용하여 공정을 단순화하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에는 인장응력에 여유가 있으므로 보다 큰 크기의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단면의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 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종래의 시멘트계 보드형 거푸집의 예를 각각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를 제작하는 순서도로서,
a)도는 콘크리트 거푸집 단면도, b)도는 거더 단면도,
c)도는 거더위에 슬래브 콘크리트가 타설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에 구비된 절단연결부의 상세도로서, a)도는 철근을 이용한 구조, b)도는 돌기를 이용한 구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으로 제작된 교량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 도 6b, 도 6c,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을 이용하여 교량을 가설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공정설명도;
도 7a, 도 7b, 도 7c, 도 7d 및 도 7e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교량을 가설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공정설명도;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및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을 이용하여 분절 세그멘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교량을 가설하는 공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공정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1C,1D.... 종래의 거푸집 10..... 외벽
11..... 섬유보강 고인성 보드 12.....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
13..... 고정구 13a..... 삽입홈
13b.... 관통구멍 14..... 간격유지구
14a.... 콘(cone) 100....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
100a.... 분절 세그멘트 110..... 외측면
120.... 내측면 140.... 전단연결부
146.... 철근 148.... 돌기
200.... 내측 콘크리트 300.... 고인성 프리캐스트 거더
310.... 슬래브 330.... 긴장재
360.... 조립대 370.... 전단키
400....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P..... 중립축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에 있어서,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하는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U"형의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을 교량 가설위치에 거치시키며,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부 공간에 내측 콘크리트용 철근을 조립하거나 철근을 배근하지 않은 상태로 일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내측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과 내측 콘크리트의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를 콘크리트 타설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작한 후에는 콘크리트 거푸집의 하부에 형성된 긴장재를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고 교량 가설위치에 거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부에 채워지는 내측 콘크리트는 거더 중립축(P) 상부에 배치되어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하며,
    상기 내측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타설하는 단계는 콘크리트 거푸집 내부에 내측 콘크리트용 철근을 배근하거나 배근하지 않은 상태로 콘크리트 거푸집 위에 슬래브 철근을 조립하고, 내측 콘크리트와 슬래브를 함께 콘크리트 타설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5. 삭제
  6. 삭제
  7.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에 있어서,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포함하는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U"형의 단면으로 내부 공간을 갖는 다수의 분절 세그멘트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분절 세그멘트들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거푸집을 조립대에서 거치하며, 콘크리트 거푸집의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긴장재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하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을 단일체로 조립한 다음,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을 교량 가설위치에 거치시키며,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부 공간에 내측 콘크리트용 철근을 조립하거나 철근을 배근하지 않은 상태로 일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내측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과 내측 콘크리트의 상부에 슬래브 철근을 조립하고 슬래브를 콘크리트 타설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며,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부에 채워지는 내측 콘크리트는 거더 중립축(P) 상부에 배치되어 압축력에 저항하도록 하며,
    상기 내측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타설하는 단계는 콘크리트 거푸집 내부에 내측 콘크리트용 철근을 배근하거나 배근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위에 슬래브 철근을 조립하고, 내측 콘크리트와 슬래브를 함께 콘크리트 타설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8. 삭제
KR1020080133250A 2008-12-24 2008-12-24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KR10117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250A KR101178875B1 (ko) 2008-12-24 2008-12-24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250A KR101178875B1 (ko) 2008-12-24 2008-12-24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742A KR20100074742A (ko) 2010-07-02
KR101178875B1 true KR101178875B1 (ko) 2012-09-03

Family

ID=4263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250A KR101178875B1 (ko) 2008-12-24 2008-12-24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8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247A (ko) 2014-08-04 2016-02-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성능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과 강재를 결합한 합성거더 및 그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807B1 (ko) * 2012-10-04 2013-06-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Uhpc 부재를 거푸집과 구조재로서 이용하는 대형 콘크리트 거더 및 그 제작방법
CN109610722A (zh) * 2018-10-31 2019-04-12 山东海龙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钢纤维保温一体化叠合墙体及其生产施工方法
AT524664B1 (de) 2021-06-09 2022-08-15 Kollegg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rücke aus Fertigteilträgern und Fahrbahnplattenelement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571Y1 (ko) * 2004-09-24 2004-12-09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피·에스·씨 빔 교량의 크로스 빔 설치를 위한 합성거푸집
KR100502584B1 (ko) * 2002-11-22 2005-07-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100603906B1 (ko) * 2005-12-28 2006-07-24 한국철도시설산업 (주) 유자형 하로 유도상 피씨 거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584B1 (ko) * 2002-11-22 2005-07-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200369571Y1 (ko) * 2004-09-24 2004-12-09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피·에스·씨 빔 교량의 크로스 빔 설치를 위한 합성거푸집
KR100603906B1 (ko) * 2005-12-28 2006-07-24 한국철도시설산업 (주) 유자형 하로 유도상 피씨 거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6247A (ko) 2014-08-04 2016-02-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고성능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과 강재를 결합한 합성거더 및 그 제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742A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liveira et al. Strengthening of three-leaf stone masonry walls: an experimental research
JP5363930B2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6652754B2 (ja) 急速施工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の接合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021854B1 (ko) 하프 프리캐스트 합성 슬래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8875B1 (ko)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CN114197753B (zh) Uhpc模壳型钢混凝土复合圆柱-型钢梁组合框架及施工方法
EP0122268A1 (en) Structural members
López et al. Experimental testing of a composite structural system using tile vaults as integrated formwork for reinforced concrete
EP2646390B1 (en) Reinforced wall system and method
JP651129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EP3594425B1 (en) A load-bearing wall structure
JP2008231676A (ja) 鋼・コンクリート床版接合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埋込み型枠
KR100873515B1 (ko)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US11679528B2 (en) Solid waste large-mixing-amount concrete prefabricated laminated slab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206070877U (zh) 一种圆柱的超高性能混凝土永久模板
KR102311885B1 (ko) 바닥판 헌치를 구비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
JP4545667B2 (ja) 埋設型枠を使用した床版改修方法
JP2007009492A (ja) 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その製作に使用される妻型枠、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の製作方法及びプレキャストセグメントの接合方法
JPH116296A (ja) コンクリートの打設施工方法
JP668543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102472790B1 (ko) 건축물의 벽체 시공방법
KR20060062489A (ko) 이중 콘크리트 구조물
CN113526920B (zh) 一种现浇空心受力钢筋混凝土壁板及其施工方法
KR100868557B1 (ko) Pc블럭 적층시공용 가설구조 및 pc블럭을 이용한수직구조물 축조 공법
WO2008089414A1 (en) Building panel for walls, roofs and floors, buildings made therefrom and construction techniques using such pan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128

Effective date: 201207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